KR20220014613A - 균총 조절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균총 조절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613A
KR20220014613A KR1020200094423A KR20200094423A KR20220014613A KR 20220014613 A KR20220014613 A KR 20220014613A KR 1020200094423 A KR1020200094423 A KR 1020200094423A KR 20200094423 A KR20200094423 A KR 20200094423A KR 20220014613 A KR20220014613 A KR 20220014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ginseng fruit
bacteria
frui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명길선
백흥수
홍용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00094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4613A/ko
Priority to CN202110803555.XA priority patent/CN114053318A/zh
Publication of KR20220014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8Antiseborrhe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균총 조절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에 따르면,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유익균 증가 효과가 우수하며, 동시에 유해균 감소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유해균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 및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균총 조절용 조성물{Composition for Controlling Microflora}
본 명세서에는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균총 조절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피부의 표면에는 피부균들이 존재한다. 이 피부균은 크게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포도상구균이나 연쇄상구균 등의 유해균과 피부질환을 일으키지 않는 유익균 등으로 나누어진다. 종래에는 피부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항생제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항생제 내성균이 출현하여 결국 항생제가 무력해지고, 더불어 비특이적 항생제 사용으로 인해 유해균뿐만 아니라 유익균까지 사멸하여 피부균 밸런싱이 무너지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피부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방부제 및 항균제의 사용은 필수적이지만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합성물질들은 피부에 알러지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인체에 무해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09820호에서는 생약 성분의 항균 작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유익균의 조절 및 피부균 밸런싱에 관해서는 여전히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유해균 및 유익균의 조절을 중심으로 피부를 개선하는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09820호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개시의 목적은 유해균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으면서, 동시에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균총 조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유익균 증가 효과가 우수하며, 동시에 유해균 감소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유해균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 및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추출물의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 내지 5는 일 예에 따른 추출물에 따른 균주의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여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본 개시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개시에 대해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균총 조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균총은 유익균 및 유해균을 포함하며, 기능이 뚜렷하지 아니하거나 무해한 중립균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삼”은 고려인삼, 즉 파낙스 진생(Panax ginseng)일 수 있다.
상기 “인삼열매”는 인삼의 생장 과정 중 얻어지는 과실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3 내지 5년생 인삼, 더 구체적으로 4년생의 인삼으로서 7월 중순경 일주일 정도 열리는 과실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인삼열매는 그 입수 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재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로부터 얻어지는 성분, 물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추출 방법은 천연물로부터 얻어지는 성분, 물질이 추출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른 방법의 가공 또는 처리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발효, 또는 효소처리 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의 추출물은 발효물, 농축물, 건조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서의 추출물은 발효물일 수 있다.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인삼열매로부터 얻어지는 성분, 물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추출 방법은 열, 산(acid), 염기(base), 효소 등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인삼열매로부터 얻어지는 성분, 물질이 추출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른 방법의 가공 또는 처리는 인삼열매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발효 또는 효소처리 등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의 인삼열매 추출물은 발효물, 농축물, 건조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서의 추출물은 발효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방법은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얻어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농축은 구체적으로 35 내지 5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의 온도에서 감압농축을 수행할 시, 본 발명 인삼열매 추출물 내 다양한 성분의 시너지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감압 농축은 구체적으로 600mmHg 이상, 620mmHg 이상, 640mmHg 이상, 660mmHg 이상, 680mmHg 이상, 700mmHg 이상, 720mmHg 이상, 740mmHg 이상; 760mmHg 이하, 740mmHg 이하, 720mmHg 이하, 700mmHg 이하, 680mmHg 이하, 660mmHg 이하, 650mmHg 이하, 640mmHg 이하, 620mmHg 이하, 600mmHg 이하의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을 얻는 추출 방법으로는 가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당업자에게 자명한 추출 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인삼열매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추출 용매로는 본 명세서의 인삼열매 추출물은 인삼열매의 C1-C6 알코올 추출물, 구체적으로 에탄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당업자에게 자명한 추출 용매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생 인삼열매의 추출물 또는 인삼열매 건조물의 추출물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1) 생(生)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의 열매를 수확하여; 2) 종자를 제거하거나, 제거하지 아니하고; 3) 인삼열매의 과육과 과피(종자를 제거하지 아니하는 경우 종자를 포함)를 일광 건조 또는 열풍 건조를 하여 인삼열매 건조 원료를 얻은 후, 4) 얻어진 인삼열매 건조 원료에 물 또는 유기용매(특히,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40~45℃, 600~700mmHg에서 감압농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1) 생(生)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의 열매를 수확하여; 2) 종자를 제거하거나, 제거하지 아니하고; 3) 인삼열매의 과육과 과피(종자를 제거하지 아니하는 경우 종자를 포함)를 착즙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PT)계 진세노사이드(Re, Rg1, Rg2) 및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PD)계 진세노사이드(Rb1, Rb2, Rb3, Rc, R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프로토파낙사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에 대한 프로토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의 비율(PD/PT) 은 0.1 내지 0.4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본 발명 인삼열매 추출물 내의 다양한 성분의 시너지 효과가 더 우수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PD/PT는 0.1 이상, 0.15 이상, 0.2 이상, 0.216 이상, 0.25 이상, 0.3 이상, 0.35 이상, 0.4 이상; 0.25 이하, 0.3 이하, 0.35 이하, 0.4 이하, 0.45 이하, 0.5 이하, 이하, 0.55 이하, 0.6 이하, 0.65 이하, 0.7 이하, 0.726 미만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서의 인삼열매 추출물은 상기 진세노사이드 성분뿐만 아니라 비타민, 무기물질 및 안토시아닌을 또한 포함하는 다양한 물질의 조합물이기 때문에, 본 개시의 조성물이 발휘하는 효과는 상기 다양한 물질의 조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에 의한 것이며, 단일 진세노사이드 또는 진세노사이드만의 조합(예컨대, 사포닌)에 의한 것이 아니다.
상기 “유익균”은 피부에 유익한 효과를 부여하는 균으로서, 피부를 정상 pH로 조절하고, 피부 보습 기능 및 외부 환경에 대한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주며, 피부 표면에서 유해균의 증식을 예방하는 보호 작용을 수행하고, 유해균과 경쟁하여 피부 항상성 유지에 이바지하는 균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익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또는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이다.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는 인간 피부의 정상적 미생물 서식자로서 비병원성 세균이다.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는 피부 유해균의 생물막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며, 자극성 대사산물의 생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가 감소하면 피부의 여드름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상기 유익균에 의한 용도의 조성물이며, 구체적으로 항염증, 항여드름,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용도의 조성물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용도의 조성물이다.
상기 “유해균”은 피부의 상태를 악화시키는 균으로서, 직간접적으로 피부 건강에 해로운 작용, 예컨대, 유해균의 대사작용 또는 증식작용 자체로 피부에 해로운 작용을 하거나, 그로부터 생산되는 물질로 인하여 피부 상태를 악화시키는 균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해균은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중 하나 이상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는 그램-음성 세균으로서 거의 모든 유형의 손상 조직을 감염시킬 수 있고, 요로 감염, 호흡계 감염, 피부염, 연조직 감염, 및 균혈증을 포함하는 다양한 감염들, 및 다양한 계통적 감염을, 특히 면역억제 환자에게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는 그램-양성 세균으로서 건강한 사람에서는 증상을 야기하지 않지만 피부의 상처를 통해서 화농을 일으키며, 피부 표면의 부스럼, 종기의 원인균이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균총은 피부 균총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익균은 피부 유익균이며, 상기 유해균은 피부 유해균이다. 공기에 직접 노출이 되어 있는 피부는 혐기성 세균(anaerobes)이 주로 서식하는 장과 달리 호기성 세균(aerobes)이 주로 서식한다. 따라서 장 내 메커니즘에 기반하여 유익균 및 유해균이 구별되지 아니하며, 피부 유익균 및 피부 유해균은 숙주의 면역상태, 균들 간의 상호작용 등에 따라 분류된다.
상기 “균총 조절”은 유익균 증가 또는 유해균 감소를 의미하며, 이에는 유익균 증가 및 유해균 감소의 의미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균총 조절”은 나아가 무해균 밸런싱을 포함한다. 상기 무해균의 예로는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구명칭: Propionibacterium acnes)를 들 수 있으며, 상기 균은 피부와 피지를 먹고 사는 피부 상재균 중 하나로서, 죽은 피부에 직접 자외선이 도달하지 않도록 상쇄작용을 하며, 사춘기에 성호르몬이 분비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무해한 균에 해당한다. 본 개시의 조성물은 상기 유익균 증가 및 상기 유해균 감소에 더하여, 상기 무해균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여 피부균 밸런싱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상기 유해균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다. 상기 “유해균에 의한 피부질환”은 상기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및/또는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에 의하여 야기되는 피부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예방”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치료"는 상기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해균에 의한 피부질환은 피부 염증, 급·만성 습진,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만성단순태선, 간찰진, 박탈 피부염, 구진상 두드러기, 건선, 일광 피부염 및 여드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의 1일 적용량은 1 mg/kg 내지 1500 mg/kg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1일 적용량은 1 mg/kg 이상, 25 mg/kg 이상, 50 mg/kg 이상, 75 mg/kg 이상, 100 mg/kg 이상, 125 mg/kg 이상, 150 mg/kg 이상, 175 mg/kg 이상, 200 mg/kg 이상, 225 mg/kg 이상, 250 mg/kg 이상, 500 mg/kg 이상, 750 mg/kg 이상, 1000 mg/kg 이상; 125 mg/kg 이하, 150 mg/kg 이하, 175 mg/kg 이하, 200 mg/kg 이하, 225 mg/kg 이하, 250 mg/kg 이하, 500 mg/kg 이하, 750 mg/kg 이하, 1000 mg/kg 이하, 1250 mg/kg 이하, 1500 mg/kg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적용은 1일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1일 2회 내지 24회, 3일 1회 내지 2회, 1주일 1회 내지 6회, 2주일 1회 내지 10회, 3주일 1회 내지 15회, 4주일 1회 내지 3회, 또는 1년에 1회 내지 12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적용”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적용 대상에 상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투여, 도포, 흡수 및 섭취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때, 적용 대상은 상기 조성물을 적용할 수 있는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의 함량은 제형, 용도, 적용 횟수 및 적용 경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조성물의 제형에 있어서 주사제 등 비경구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또는 식품, 알약 및 시럽 등 경구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본 개시의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조성물의 장 내 흡수율, 소화율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로 제조되어 국소 도포될 경우, 상기 1일 적용량을 고려하면, 체중이 60 kg인 적용 대상에 대하여 60 mg 내지 90,000 mg로 적용될 수 있다. 1일 도포량을 100 g으로 가정하면 본 개시의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6 중량% 내지 9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0.06 중량% 이상, 0.15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4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5 중량% 이상, 0.9 중량% 이상, 1.05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35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10.0 중량% 이상, 20.0 중량% 이상, 30.0 중량% 이상, 40.0 중량% 이상, 50.0 중량% 이상, 60.0 중량% 이상; 0.75 중량% 이하, 0.9 중량% 이하, 1.05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35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4.55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10.0 중량% 이하, 20.0 중량% 이하, 30.0 중량% 이하, 40.0 중량% 이하, 50.0 중량% 이하, 60.0 중량% 이하, 70.0 중량% 이하, 80.0 중량% 이하, 90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이다. 이 경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희석제 또는 보조제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면,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기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생리식염수, PBS와 같은 완충액,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풍미제, 유화제, 보존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약학적으로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제형(예를 들면, 분말, 정제, 캡슐, 시럽, 알약, 또는 과립), 또는 비경구 제형(예를 들면, 주사제)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전신 제형, 또는 국부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피부 외용제로서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액제,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겔제, 또는 에어로졸제의 제형일 수 있다.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경피 흡수를 증가시키는 제제, 예를 들어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계면활성제, 아존, 알코올, 아세톤,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건강식품 조성물이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 및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미국화장품·향료협회(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에서 발간하는 국제 화장품 원료집(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치,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 이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개시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개시는 유익균 증가 및 유해균 감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의 인삼열매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개시는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익균 증가 및 유해균 감소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개시는 유익균 증가 및 유해균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인삼열매 추출물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개시를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개시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의 제조
1. 실시예 1의 인삼열매 추출물의 제조
생(生)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를 수확하여 종자를 제거하지 아니한 채 인삼 열매의 종자, 과즙, 과육, 및 과피가 포함된 인삼열매 원료를 준비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인삼열매 원료 1kg에 70% 에탄올 6~10L를 가하여 상온에서, 5~10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50~70℃에서, 600 mmHg 감압농축하여 인삼열매 추출물 3~5g을 제조하였다.
2. 비교예 1의 인삼뿌리 추출물의 제조
인삼 열매 대신 인삼뿌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뿌리 추출물 3~5g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진세노사이드 함량 비교
상기 실시예 1의 인삼열매 추출물 및 비교예 1의 인삼뿌리 추출물을 메탄올에 녹이고 0.2um PTFE(Polytetrafluoroethylene) filter로 여과 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추출물 내 진세노이드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단위: ug/g).
성분(ug/g) 실시예 1 비교예 1
진세노사이드 Rb1 2921 2115
진세노사이드 Rb2 4016 1047
진세노사이드 Rb3 473 199
진세노사이드 Rc 2395 1225
진세노사이드 Rd 3022 349
진세노사이드 Rg1 4187 2557
진세노사이드 Re 54601 3186
진세노사이드 Rf 653 1054
진세노사이드 Ro 0 1635
총량 72268 13367
표 1 및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진세노사이드의 총량은 비교예 1에 비하여 실시예 1에서 약 5.4배로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진세노사이드를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PD)계 진세노사이드(Rb1, Rb2, Rb3, Rc 및 Rd) 및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PT)계 진세노사이드(Rg1, Re, 및 Rf)의 비율(PD/PT)로 구분하였을 때 각각 0.216과 0.726으로, 그 조성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시험예 2> 유익균 증가 효능의 평가
1. 평가 방법
피부 유익균인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기탁번호: ATCC12228) 1X106 CFU/mL 가 포함된 TSB(tryptic soy broth) 배지에 상기 실시예 1의 인삼열매 추출물 및 비교예 1의 인삼뿌리 추출물을 각각 250, 500, 1000 중량 ppm 처리하여 35℃에서 24시간 동안 진탕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과 인삼열매 추출물 또는 인삼뿌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군의 균 농도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한편, 피부 상재균 중 하나인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를 1X106 CFU/mL 농도로 접종한 BHI(brain heart infusion)배지에 상기 실시예 1의 인삼열매 추출물을 각각 250, 500, 1000 중량 ppm 처리하여 35℃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과 인삼열매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군의 균 농도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2 및 3에 나타내었다.
2. 평가 결과
도 2로부터, 실시예 1의 경우 피부 상재균인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여 정상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으로부터,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하여 피부 유익균인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의 생장을 더욱 현저히 촉진시킴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유해균 감소 효능의 평가
1. 평가 방법
피부 유해균인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기탁번호: ATCC9027) 1X106 CFU/mL가 포함된 TSB(Tryptic soy Broth) 배지에 상기 실시예 1의 인삼열매 추출물을 각각 125, 250, 500 중량 ppm 처리하여 35℃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처음 접종된 균의 수와 24시간 후 살아남은 균의 수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한편, 또 다른 피부 유해균인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기탁번호: ATCC6538)가 포함된 TSB(tryptic soy broth) 배지에 실시예 1의 인삼열매 추출물을 각각 250, 500, 1000 중량 ppm 처리하여 35℃에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처음 접종된 균의 수와 24시간 후 살아남은 균의 수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4 및 5에 나타내었다.
2. 평가 결과
도 4 및 5로부터, 실시예 1의 경우 피부 유해균인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의 생장을 현저히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의 결과에 있어서, 125 중량 ppm 및 500 중량 ppm으로 처리할 경우에 비하여, 250 중량 ppm으로 처리할 경우 특히 우수한 유해균 감소 효능을 나타내어, 유용한 적용 범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약학적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환제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환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30
옥수수 전분 30
글리세린 20
솔비톨 분말 20
[제형예 2] 정제의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30
유당 20.5
덱스트린 20
말티톨 분말 20
자일리톨 분말 7
슈거 에스테르(sugar ester) 2.5
[제형예 3] 과립제의 제조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과립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30
자일리톨 5
이소말트 65
[제형예 4] 주사제의 제조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mg)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10~50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제형예 5] 드링크제의 제조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드링크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g)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0.11
포도당 10
구연산 2
정제수 188
[제형예 6] 영양화장수의 제조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Montana 202 (제조사: Seppic)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7] 팩 제형의 제조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 제형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0.1
폴리비닐알코올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이 포함될 것이다.

Claims (13)

  1.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균총 조절용 조성물로서,
    상기 균총은 유익균 및 유해균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익균은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균은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중 하나 이상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총은 피부 균총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장벽 강화를 위한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유해균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균에 의한 피부질환은 피부 염증, 급·만성 습진,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만성단순태선, 간찰진, 박탈 피부염, 구진상 두드러기, 건선, 일광 피부염 및 여드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의 1일 적용량은 1 mg/kg 내지 1500 mg/kg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6 중량% 내지 9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되는,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PT)계 진세노사이드에 대한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PD)계 진세노사이드의 건조 중량 비율(PD/PT)이 0.1 내지 0.4인,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인,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식품 조성물인,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200094423A 2020-07-29 2020-07-29 균총 조절용 조성물 KR20220014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23A KR20220014613A (ko) 2020-07-29 2020-07-29 균총 조절용 조성물
CN202110803555.XA CN114053318A (zh) 2020-07-29 2021-07-15 菌群调节用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23A KR20220014613A (ko) 2020-07-29 2020-07-29 균총 조절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13A true KR20220014613A (ko) 2022-02-07

Family

ID=80233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423A KR20220014613A (ko) 2020-07-29 2020-07-29 균총 조절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14613A (ko)
CN (1) CN1140533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820A (ko) 1998-07-29 2000-02-15 강상모 미용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573B1 (ko) * 2014-04-30 2014-08-0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3025B1 (ko) * 2017-05-19 2018-01-30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820A (ko) 1998-07-29 2000-02-15 강상모 미용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53318A (zh)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24400A (ja) 活性成分のためのペトロラタムベースの送達システム
KR102149973B1 (ko) 유제놀 및 갈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0795512B1 (ko) 병풀 및 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
US20150297651A1 (en) Living body healing accelerator
KR20070079497A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10806765B2 (en) Immunologically active phyto-mixture and its use in the prevention and in a method for treatment of efflorescences
KR20090011836A (ko)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1894807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30120619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72224B1 (ko) 인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120061221A (ko) 붉나무, 지모, 가죽나무 추출물과 그 용도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20014613A (ko) 균총 조절용 조성물
KR102297957B1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094308A (ko)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20014614A (ko) 상처 회복용 조성물
KR20210044762A (ko) 잣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90014873A (ko) 참가시나무 열매 및 바나바 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645444B1 (ko) 홍차잎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3814B1 (ko) 파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36923B1 (ko) 서시움 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구강 조성물
KR101847479B1 (ko)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ozhaiev Actual aspects of medical use of woloski nut extracts (Juglans regia l.) and black walnut (Juglans nigra l.)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