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522A - 소음 방지 슬리퍼 - Google Patents

소음 방지 슬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522A
KR20220013522A KR1020200092222A KR20200092222A KR20220013522A KR 20220013522 A KR20220013522 A KR 20220013522A KR 1020200092222 A KR1020200092222 A KR 1020200092222A KR 20200092222 A KR20200092222 A KR 20200092222A KR 20220013522 A KR20220013522 A KR 20220013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lipper
present disclosure
user
out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942B1 (ko
Inventor
최철용
박영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픈한
주식회사 꿈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픈한, 주식회사 꿈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픈한
Priority to KR1020200092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94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522A/ko
Priority to KR1020220079001A priority patent/KR20220093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7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음 방지 슬리퍼가 개시된다. 상기 슬리퍼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하방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발바닥이 안착되는 바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소음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 1 재질로 구성된 제 1 레이어; 중량 충격음을 저감하는 제 2 재질로 구성된 제 2 레이어; 및 경량 충격음을 저감하는 제 3 재질로 구성된 제 3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음 방지 슬리퍼{ANTI NOISE SLIPPERS}
본 개시는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층간 소음 방지 슬리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아파트, 주상복합공간 또는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층간 소음은 위층에서 발생되는 바닥 충격음이 아래층에 전달되어 피해를 끼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유아의 경우에는 보행과 관련하여 주의를 요하기에는 아직 미성숙하므로, 뛰어다니는 등의 행동으로 인해 바닥 충격음이 더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성인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조금만 부주의하게 걷는 경우 바닥 충격음은 얼마든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 충격음은 국내 바닥충격음 측정 및 평가 방법에 관한 기준 KS F 2810-1, 2 및 KS F 2863-1, 2에 따라 경량 충격음(2863-1, 125Hz~2000Hz)과 중량 충격음(2863-2, 63Hz - 500Hz)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량 충격음은 저주파 대역에 속하고, 중량 충격음은 고주파 대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뉠 수도 있다.
다만, 유아의 보행에 의해 발생되는 바닥 충격음은 저주파 및 고주파 대역의 충격음을 모두 포함하므로, 사실상 경량 충격음 및 중량 충격음 모두 방지가 되어야 한다.
한편, 이러한 유아의 보행에 의해 발생하는 바닥 충격음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많은 가정에서는 층간 소음 방지용 매트를 구비해두곤 한다. 그러나, 층간 소음 방지 매트는 부피가 클 뿐 더러,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에 사방을 돌아다니는 유아에 의해 발생하는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에는 다소 부족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슬리퍼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95677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슬리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음 방지 슬리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슬리퍼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하방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발바닥이 안착되는 바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소음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 1 재질로 구성된 제 1 레이어; 중량 충격음을 저감하는 제 2 재질로 구성된 제 2 레이어; 및 경량 충격음을 저감하는 제 3 재질로 구성된 제 3 레이어;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레이어는, 상기 제 1 레이어와 상기 제 3 레이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재질, 상기 제 2 재질 및 상기 제 3 재질은, 서로 다른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재질은, 제 1 경도를 갖고, 상기 제 2 재질은, 상기 제 1 경도보다 큰 제 2 경도를 갖고, 상기 제 3 재질은, 상기 제 1 경도보다 크고 상기 제 2 경도보다 작은 제 3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재질은, 상기 제 1 레이어에서 흡수되지 못한 소음 에너지를 흡수함과 동시에 차음 기능을 수행하는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재질은, PU(polyurethane)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재질은, PE(polyethylene)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재질은,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레이어, 상기 제 2 레이어 및 상기 제 3 레이어의 두께 비율은 1:2: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하면에 구비되고 기 설정된 패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 방지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 방지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레이어의 두께, 상기 제 2 레이어의 두께 및 상기 제 3 레이어의 두께의 합이 20mm 내지 30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퍼는 한 켤레의 무게가 60g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사용자의 발바닥의 아치부분에 접하는 제 1 굴곡부; 및 상방으로 돌출되되, 사용자의 뒤꿈치와 접하는 일 영역이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제 2 굴곡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굴곡부는, 상기 제 1 레이어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굴곡부의 가장 높은 일 지점은 상기 제 1 레이어의 상면으로부터 8mm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굴곡부는, 상기 제 1 레이어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굴곡부의 가장 높은 일 지점은 상기 제 1 레이어의 상면으로부터 5mm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의 가장 낮은 일 지점은, 상기 제 2 굴곡부의 가장 높은 일 지점으로부터 2mm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바닥 충격음이 흡수될 수 있는 슬리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A'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 및 바닥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B-B'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굴곡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굴곡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슬리퍼는 사용자의 발에 착용되어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리퍼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을 감싸는 덮개부와 사용자의 발바닥이 안착되는 바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바닥부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경량 충격음 및 중량 충격음을 흡수하기 위한 최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따른 슬리퍼는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바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슬리퍼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리퍼(1000)는 덮개부(100) 및 바닥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슬리퍼(10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슬리퍼(10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덮개부(100)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덮개부(100)는 사용자의 발가락까지 감쌀 수도 있다.
바닥부(200)는 덮개부(100)의 하방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발바닥이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부(100) 및 바닥부(200)는 박음질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덮개부(100)의 일단 및 타단의 적어도 일 영역 각각은 바닥부(200)의 외피와 박음질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 등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슬리퍼에 비해 내구성이 좀 더 견고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덮개부(100) 및 바닥부(200)의 결합에 대한 내용은 도 4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저감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통해 본 개시에 따른 바닥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A'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닥부(200)는 제 1 레이어(210), 제 2 레이어(220), 제 3 레이어(230), 제 1 외피부(240), 제 2 외피부(250) 및 제 3 외피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바닥부(2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바닥부(2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제 1 레이어(210)는 소음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 1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음 에너지는 사람이 뛰면서 발생하는 압력 에너지 또는 딱딱한 바닥과 닿으면서 발생하는 소리 에너지 등 모든 소음과 관련되는 에너지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제 1 레이어(210)의 제 1 재질은 소음 에너지를 흡수하는 흡음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
일례로, 제 1 재질은 PU(polyurethane) 재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재질이 PU 재질인 경우, 제 1 레이어(210)는 사용자에게 적당한 쿠션감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제 1 레이어(210)는 바닥부(200)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슬리퍼(1000)를 착용하였을 때, 편리하게 느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2 레이어(220)는 중량 충격음을 저감하는 제 2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량 충격음은 국내 바닥 충격음 측정 및 평가 방법에 관한 기준에 따라, 63Hz - 500Hz의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충격음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제 2 레이어(220)의 제 2 재질은 제 1 레이어(210)에서 흡수되지 못한 소음 에너지를 흡수함과 동시에 제 3 레이어(23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음 기능을 수행하는 재질일 수 있다.
일례로, 제 2 재질은 PE(polyethylene) 재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레이어(220)의 제 2 재질은 밀도 기준으로 0.941 g/cm3 이상의 밀도를 갖는 PE 재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3 레이어(230)는 경량 충격음을 저감하는 제 3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량 충격음은 국내 바닥 충격음 측정 및 평가 방법에 관한 기준에 따라, 125Hz~2000Hz의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충격음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제 3 레이어(230)의 제 3 재질은 슬리퍼(1000)가 바닥에 닿는 면에 위치하여, 내구성이 좋고 바닥 충격음을 빠르게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
일례로, 제 3 재질은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레이어(210), 제 2 레이어(220) 및 제 3 레이어(230)의 두께 비율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레이어(210), 제 2 레이어(220) 및 제 3 레이어(230)의 두께 비율은 1:2:1일 수 있다. 즉, 제 2 레이어(220)는 제 1 레이어(210) 및 제 3 레이어(230) 각각의 두께보다 두배 두꺼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레이어(210)의 두께는 5mm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레이어(220)의 두께는 10mm일 수 있다. 또한, 제 3 레이어(230)의 두께는 5mm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1 레이어(210)의 두께는 10mm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레이어(220)의 두께는 20mm일 수 있다. 또한, 제 3 레이어(230)의 두께는 10mm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레이어(210), 제 2 레이어(220) 및 제 3 레이어(230)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레이어(210) 및 제 3 레이어(230)는 각각 한 개씩 구비되고, 제 2 레이어(220)는 두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슬리퍼는 종래의 슬리퍼에 비해 다소 가벼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레이어(210), 제 2 레이어(220) 및 제 3 레이어(230) 각각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에어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레이어(210), 제 2 레이어(220) 및 제 3 레이어(230) 각각은 면적당 무게가 종래의 흡음제 또는 차음제 역할을 수행하는 재질에 비해 다소 적을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에 따른 슬리퍼의 한 켤레의 무게는 60g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슬리퍼는 사용자에게 편리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슬리퍼는 일반적인 아동용 신발인 150mm 사이즈를 기준으로 한 켤레에 60g일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슬리퍼는 160mm 사이즈를 기준으로 한 켤레에 60g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레이어(220)는, 제 1 레이어(210)와 제 3 레이어(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레이어(220)는 제 1 레이어(210)에서 흡수되지 못한 소음 에너지가 제 3 레이어(23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레이어(210)는 바닥부(200)의 최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레이어(220)는 제 1 레이어(210)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레이어(230)는 제 2 레이어(220)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레이어(210), 제 2 레이어(220) 및 제 3 레이어(230)가 순차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닥부(200)는 사용자 및 외부로부터 발생한 충격에도 부서지지 않고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레이어(210)의 제 1 재질은 가볍고 쿠션감이 우수한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재질은 사용자의 맨발에 전달되는 작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다만, 제 1 재질은 바닥부(200)의 최하단에 위치하기에는 내구성이 약하여 바닥과의 접지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형태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제 1 재질은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초기 충격은 흡수할 수 있으나, 중량 충격음은 흡수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 1 레이어(210)는 바닥부(200)의 최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레이어(210)는 소음에너지를 흡수하는 흡음재역할, 맨발의 부드러운 쿠션감과 촉감을 제공해주는 역할 및 형태 유지가 가능하여 슬리퍼(1000)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 2 레이어(220)의 제 2 재질은 가볍고 단단한 쿠션감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 2 재질은 밀도 기준으로 0.941 g/cm3 이상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재질은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지고 있기에 형태 유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 2 재질은 사용자로부터 발생한 중량 충격음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 2 재질은 중량 충격음이 가해졌을 때, 제 2 레이어의 밖으로 중량 충격음이 밀려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흡음 및 차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 2 재질은 제 1 재질 및 제 3 재질에 비해 딱딱할 수 있다. 만약, 제 2 레이어(220)가 바닥부(20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만족스러운 쿠션감을 제공하지 못할 것이다. 또한, 제 2 레이어(220)가 바닥부(200)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바닥과의 충격으로 인한 충격음이 더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 2 레이어(220)는 제 1 레이어(210) 및 제 3 레이어(23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 3 레이어(230)의 제 3 재질은 바닥과의 충격에도 바닥부(200)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 1 재질 및 제 3 재질의 중간 정도의 내구성 및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3 레이어(230)는 바닥부(200)의 최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레이어(230)는 바닥에 닿는 면에 위치하여 신체 하중에서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빠르게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3 재질은 형태 유지가 가능하여 슬리퍼의 형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바닥부(200)는 제 1 레이어(210), 제 2 레이어(220) 및 제 3 레이어(230)의 순서대로 형성된 소음 저감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부(200)는 형상이 유지되면서도,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슬리퍼는 운동화처럼 단단한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어린이가 슬리퍼를 착용하고 뛸 때 밑창이 압축되어 발목 꺾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소음 저감 레이어의 두께는 20mm 내지 30mm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재질, 제 2 재질 및 제 3 재질은 서로 다른 재질일 수 있다. 이때, 제 1 재질, 제 2 재질 및 제 3 재질은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재질은 제 1 경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재질은 제 1 경도보다 큰 제 2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제 1 레이어(210)의 제 1 재질은 사용자에게 만족스러운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해 제 2 재질보다 좀 더 낮은 경도인 제 1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3 재질은 제 1 재질의 제 1 경도보다 크고, 제 2 재질의 제 2 경도보다 작은 제 3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제 3 레이어(230)의 제 3 재질은 슬리퍼(1000)와 바닥에 의해 발생되는 초기 충격이 부드럽게 흡수될 수 있는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외피부(240)는 소음 저감 레이어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여기서, 소음 저감 레이어는 제 1 레이어(210), 제 2 레이어(220) 및 제 3 레이어(230)를 포함하는 레이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외피부(240)는 제 1 레이어(210)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피부(240)는 흡한속건성을 갖는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한속건성을 갖는 원단은 사용자의 피부의 표면이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쾌적성 및 착용감이 향상되는 원단일 수 있다. 일례로, 흡한속건성을 갖는 원단은 합성 섬유에 흡수제와 유중수분산 에멀젼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코팅한 후 건조 및 경화 처리하여 생성되는 원단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2 외피부(250)는 소음 저감 레이어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외피부(250)는 제 3 레이어(230)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피부(250)는 기 설정된 패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리퍼(1000)는 사용자가 보행 중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 방지부와 관련된 내용은 도 3을 통해 후술한다.
한편, 제 3 외피부(260)는 소음 저감 레이어의 측면을 감싸고, 제 1 외피부(240) 및 제 2 외피부(250) 각각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감쌀 수 있다. 그리고, 제 3 외피부(260)는 제 1 외피부(240) 및 제 2 외피부(250) 각각과 박음질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3 외피부(260)는 제 1 외피부(240) 및 제 2 외피부(250) 각각을 소음 저감 레이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제 3 외피부(260)는 쌍선 박음질을 통해 제 1 외피부(240) 및 제 2 외피부(250) 각각과 결합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제 3 외피부(260)가 제 1 외피부(240) 및 제 2 외피부(250) 각각과 박음질을 통해 결합되는 일례는 도 3을 통해 후술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에너지는 제 1 레이어(210)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레이어(210)에 의해 흡수되지 못한 소음 에너지 및 중량 충격음은 제 2 레이어(220)에 의해 저감될 수 있다. 더하여, 슬리퍼(1000)와 바닥과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경량 충격음은 제 3 레이어(230)에 의해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리퍼(1000)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바닥 충격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피부 및 제 2 외피부(250)의 적어도 일 영역은 박음질을 통해 제 3 외피부(26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외피부(250)의 일 영역에는 기 설정된 패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통해 본 개시에 따른 박음질 및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 방지부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의 일례를 설명하기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의 일례를 설명하기 평면도이다. 도 3의 (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의 일례를 설명하기 배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 3 외피부(260)는 제 1 외피부(240) 및 제 2 외피부(250) 각각과 박음질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외피부(240) 및 제 2 외피부(250) 각각은 소음 저감 레이어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외피부(240) 및 제 2 외피부(250)는 서로 다른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외피부(240)는 흡한속건성을 갖는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발바닥에서 땀 등이 발생하여도, 쾌적함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외피부(250)는 제 1 외피부(240)보다 내구성이 좀 더 좋은 원단일 수 있다. 일례로, 제 2 외피부(250)의 데니어(denier)는 제 1 외피부(240)의 데니어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데니어는 원사, 섬유 등의 단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외피부(260) 및 덮개부(100)는 박음질을 통해 바닥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제 3 외피부(260) 및 덮개부(100)가 박음질을 통해 바닥부(200)와 결합되는 내용은 도 4를 통해 후술한다.
한편, 도 3의 (b)를 참조하면, 바닥부(200)의 하면에는 기 설정된 패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 방지부(27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끄럼 방지부(270)는 제 2 외피부(250)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리퍼(1000)는 사용자가 보행 중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 방지부(27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외피부(25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외피부(250)의 하면에는 미끄러움을 방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패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부(100)는 박음질을 통해 바닥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덮개부(100)가 박음질을 통해 바닥부(200)에 결합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 및 바닥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B-B'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덮개부(100)의 일단 및 타단의 적어도 일 영역 각각은 제 1 외피부(240) 및 제 3 외피부(26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외피부(240)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제 3 외피부(260)가 박음질을 통해 결합되는 경우, 덮개부(100)는 바닥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100)는 바닥부(200)와 튼튼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부(100)의 일단 및 타단의 적어도 일 영역은 제 1 외피부(240) 및 제 3 외피부(260)의 사이를 지나, 소음 저감 레이어의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외피부(240)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제 3 외피부(260)가 박음질을 통해 결합되는 경우, 덮개부(100)는 바닥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퍼(1000)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는 사용자가 슬리퍼(1000)를 착용하였을 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통해 본 개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굴곡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개시에서, 도 5는 사용자의 왼발에 착용되는 슬리퍼(100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용자의 오른발에 착용되는 슬리퍼(1000)는 도 5에 도시된 슬리퍼(1000)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닥부(200)는 제 1 굴곡부(280) 및 제 2 굴곡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굴곡부(280)는 슬리퍼(1000)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사용자의 발바닥의 아치부분에 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굴곡부(280)는 소음 저감 레이어 중 제 1 레이어(2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제 1 굴곡부(280)는 소음 저감 레이어와 제 1 외피부(24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굴곡부(280)는 제 1 레이어(210)와 외피부(24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굴곡부(280)는 사용자의 발바닥과 직접 맞닿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굴곡부(280)는 PU(polyurethane) 재질, PE(polyethylene) 또는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 중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2 굴곡부(290)는 슬리퍼(1000)의 상방으로 돌출되되, 사용자의 뒤꿈치와 접하는 일 영역이 함몰된 함몰부(29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슬리퍼(1000)를 착용하였을 때 함몰부(291)에 뒤꿈치가 안착됨으로써,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제 2 굴곡부(290)는 소음 저감 레이어와 제 1 외피부(24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굴곡부(290)는 제 1 레이어(210)와 외피부(24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굴곡부(290)는 사용자의 발바닥과 직접 맞닿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굴곡부(290)는 PU(polyurethane) 재질, PE(polyethylene) 또는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 중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굴곡부(280), 제 2 굴곡부(290) 및 함몰부(291)는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 기 설정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제 1 굴곡부(280), 제 2 굴곡부(290) 및 함몰부(291)에 대해 좀 더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굴곡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굴곡부(280)를 설명하기 위한 도 5의 C-C' 단면도이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제 1 굴곡부(280)는 제 1 레이어(2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굴곡부(280)의 가장 높은 일 지점은 제 1 레이어(210)의 상면으로부터 제 1 높이(h1)만큼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높이(h1)는 8mm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6의 (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2 굴곡부(290)를 설명하기 위한 도 5의 D-D' 단면도이다.
도 6의 (b)를 참고하면, 제 2 굴곡부(290)는 제 1 레이어 (2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굴곡부(290)의 가장 높은 일 지점은 제 1 레이어(210)의 상면으로부터 제 2 높이(h2)만큼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높이(h2)는 5mm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제 2 굴곡부(290)는 함몰부(29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함몰부(291)의 가장 낮은 일 지점은, 제 2 굴곡부(290)의 가장 높은 일 지점으로부터 제 3 높이(h3)만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높이(h3)는 2mm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함몰부(291)는 제 2 굴곡부(290)에 함몰 형성되어 있지만, 제 1 레이어(210)의 상면으로부터는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함몰부(291)는 제 1 레이어(210)의 상면으로부터 3mm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6의 (c)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굴곡부(280) 및 제 2 굴곡부(290)를 설명하기 위한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슬리퍼(1000)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1 높이(h1)를 갖는 제 1 굴곡부(280) 및 제 2 높이(h2)를 갖는 제 2 굴곡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슬리퍼(1000)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슬리퍼로서,
    사용자의 발등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하방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발바닥이 안착되는 바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소음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 1 재질로 구성된 제 1 레이어;
    중량 충격음을 저감하는 제 2 재질로 구성된 제 2 레이어; 및
    경량 충격음을 저감하는 제 3 재질로 구성된 제 3 레이어;
    를 포함하는,
    슬리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이어는,
    상기 제 1 레이어와 상기 제 3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슬리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재질, 상기 제 2 재질 및 상기 제 3 재질은,
    서로 다른 재질인,
    슬리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재질은,
    제 1 경도를 갖고,
    상기 제 2 재질은,
    상기 제 1 경도보다 큰 제 2 경도를 갖고,
    상기 제 3 재질은,
    상기 제 1 경도보다 크고 상기 제 2 경도보다 작은 제 3 경도를 갖는,
    슬리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재질은,
    상기 제 1 레이어에서 흡수되지 못한 소음 에너지를 흡수함과 동시에 차음 기능을 수행하는 재질인,
    슬리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재질은,
    PU(polyurethane) 재질인,
    슬리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재질은,
    PE(polyethylene) 재질인,
    슬리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재질은,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인,
    슬리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어, 상기 제 2 레이어 및 상기 제 3 레이어의 두께 비율은 1:2:1인,
    슬리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하면에 구비되고 기 설정된 패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 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슬리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 방지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슬리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어의 두께, 상기 제 2 레이어의 두께 및 상기 제 3 레이어의 두께의 합이 20mm 내지 30mm인,
    슬리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퍼는,
    한 켤레의 무게가 60g인,
    슬리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사용자의 발바닥의 아치부분에 접하는 제 1 굴곡부; 및
    상방으로 돌출되되, 사용자의 뒤꿈치와 접하는 일 영역이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제 2 굴곡부;
    를 포함하는,
    슬리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굴곡부는,
    상기 제 1 레이어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굴곡부의 가장 높은 일 지점은 상기 제 1 레이어의 상면으로부터 8mm 돌출된,
    슬리퍼.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굴곡부는,
    상기 제 1 레이어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굴곡부의 가장 높은 일 지점은 상기 제 1 레이어의 상면으로부터 5mm 돌출된,
    슬리퍼.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가장 낮은 일 지점은,
    상기 제 2 굴곡부의 가장 높은 일 지점으로부터 2mm 함몰 형성된,
    슬리퍼.
KR1020200092222A 2020-07-24 2020-07-24 소음 방지 슬리퍼 KR102415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222A KR102415942B1 (ko) 2020-07-24 2020-07-24 소음 방지 슬리퍼
KR1020220079001A KR20220093076A (ko) 2020-07-24 2022-06-28 소음 방지 슬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222A KR102415942B1 (ko) 2020-07-24 2020-07-24 소음 방지 슬리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001A Division KR20220093076A (ko) 2020-07-24 2022-06-28 소음 방지 슬리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522A true KR20220013522A (ko) 2022-02-04
KR102415942B1 KR102415942B1 (ko) 2022-07-06

Family

ID=802685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222A KR102415942B1 (ko) 2020-07-24 2020-07-24 소음 방지 슬리퍼
KR1020220079001A KR20220093076A (ko) 2020-07-24 2022-06-28 소음 방지 슬리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001A KR20220093076A (ko) 2020-07-24 2022-06-28 소음 방지 슬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159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271B1 (ko) * 2023-10-16 2024-02-19 (주)투에이치컴퍼니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실내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9002A (ja) * 2001-01-26 2002-08-06 Kazuhiro Hosokawa 消音サンダル
KR200467315Y1 (ko) * 2013-03-28 2013-06-10 강세원 층간소음방지용 슈즈
KR20150068217A (ko) * 2013-12-11 2015-06-19 윤선영 다기능성 신발 인솔
KR101995677B1 (ko) 2018-11-28 2019-07-02 백홍주 층간 소음방지용 실내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9002A (ja) * 2001-01-26 2002-08-06 Kazuhiro Hosokawa 消音サンダル
KR200467315Y1 (ko) * 2013-03-28 2013-06-10 강세원 층간소음방지용 슈즈
KR20150068217A (ko) * 2013-12-11 2015-06-19 윤선영 다기능성 신발 인솔
KR101995677B1 (ko) 2018-11-28 2019-07-02 백홍주 층간 소음방지용 실내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076A (ko) 2022-07-05
KR102415942B1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7336A (en) Footwear insole with a moisture absorbent inner layer
US5607745A (en) Slip-resistant, moisture absorbent sheet material
US20140335319A1 (en) Double-sided anti-slip towel mat
US20070110950A1 (en) One piece floor mat for use as vehicle floor mat, doormat and sports mat
KR101995677B1 (ko) 층간 소음방지용 실내화
JP2012075864A (ja) 履物の中敷き
KR20220093076A (ko) 소음 방지 슬리퍼
JP3114453U (ja) 靴中敷き
KR102415943B1 (ko) 슬리퍼
KR20160141053A (ko) 하이힐용 안창
JP2011160827A (ja) 多層構造インソール
KR200467315Y1 (ko) 층간소음방지용 슈즈
CN216315963U (zh) 多层一次性鞋垫
JP5677552B2 (ja) 多層構造インソール
CN215455816U (zh) 抗菌鞋垫
US20170340021A1 (en) Sock with a sole comprising hexagonally shaped embossed surfaces
CN215225120U (zh) 一种新型除湿透气鞋和鞋底
CN220859537U (zh) 一种防滑橡胶休闲鞋
KR200418182Y1 (ko) 미끄럼방지용 덧판이 부착된 실내화
CN215837382U (zh) 一种透气性能好的飞织鞋面
CN213604755U (zh) 一种柔软耐压的酒店拖鞋
JP3245600U (ja) 複数層の構造を備える生体学的な靴底
JPH08280403A (ja)
TWM635212U (zh) 鞋子
JPH1099103A (ja) 靴用中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