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136A - 지관 자동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지관 자동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136A
KR20220013136A KR1020200092266A KR20200092266A KR20220013136A KR 20220013136 A KR20220013136 A KR 20220013136A KR 1020200092266 A KR1020200092266 A KR 1020200092266A KR 20200092266 A KR20200092266 A KR 20200092266A KR 20220013136 A KR20220013136 A KR 20220013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per tube
bogie
branch pipe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631B1 (ko
Inventor
홍승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지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지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지관
Priority to KR1020200092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6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18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elongated, e.g. sticks, rods, bars
    • B65G57/186Cylindrical articles, e.g. tubes, rods,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20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 B65G57/22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in layers each of predetermined arrangement
    • B65G57/24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in layers each of predetermined arrangement the layers being transferred as a whole, e.g. on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12Loading elongated articles, e.g. rails, lo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관 자동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생산된 지관을 공급하는 지관 공급장치와, 지관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지관 다수개를 한 단위로 협지하여 승강시키고 이송시키는 지관 승강 이송장치와, 지관 승강 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된 지관이 다단으로 적재되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후방에 설치되어 지관의 적재 완료시 대차를 외부로 취출하는 취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관 자동 적재장치{Paper tube automatic loading device}
본 발명은 지관 자동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관 제조과정에서 제조된 지관 다수개를 한 단위로 협지하여 이송시키고 적재용 대차에 다단으로 지관의 손상없이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지관 자동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관은 여러 장의 종이 띠를 꼬여진 상태로 회전하는 벨트에 의해 나선상으로 말아서 제조하는 것으로 긴 원통형상을 가지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직경과 두께 그리로 원하는 길이로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지관 제조과정에서 일정 길이로 절단된 지관은 두께, 길이 및 직경에 따라 무게가 달라져 직경이 크고 길이가 길수록 많은 무게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지관은 적재장소로 운반하여 적층하는 방식으로 적재하게 되는데 지관의 두께가 두껍고 길이 및 직경이 클수록 중량이 크므로 작업자가 무거운 지관을 들고 이동하는 작업과정에서 많은 힘이 들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근록격 통증을 발생시키게 될 뿐 아니라 작업시간이 오래 걸려 작업효율이 낮고 보통 2명 이상의 작업자가 함께 들어야 되므로 많은 인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안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5334호는 지관을 지관이송부에 의거 이송시켜 적재함으로써 종래 작업자가 지관을 들어 운반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있으나, 이는 지관을 높은 위치로 이동시켜 지관이송부의 경사도를 따라 지관이 회전하면서 낙하되는 과정에서 충격과 지관간의 충돌로 인해 지관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고 지관을 높은 위치에 이송하기 위해서는 설비의 크기가 높아야 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며, 특히, 다단 적재시 제1이송부와 제 2 이송부를 힌지를 중심으로 상승시켜 적재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다단 적재를 위해서는 이송부를 일정한 높이로 정확히 상승시켜야 되는 조작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이송부에 재치된 지관을 다시 대차에 옮겨야 되는 지관적재 과정이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관을 수평으로 이송시키면서 다수개를 한 단위로 협지하여 대차에 다단으로 손상없이 정열상태로 밀착되게 차곡차곡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지관 자동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단위 지관을 협지하여 대차에 바로 적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의 지관 자동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산된 지관을 공급하는 지관 공급장치와, 지관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지관 다수개를 한 단위로 협지하여 승강시키고 이송시키는 지관 승강 이송장치와, 지관 승강 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된 지관이 다단으로 적재되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후방에 설치되어 지관의 적재 완료시 대차를 외부로 취출하는 취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자동 적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관 공급장치는 경사상의 안내판의 하단에 설치되어 안내판을 따라 내려오는 지관을 정지시키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전방 하부에 직교되게 설치되어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컨베어벨트와, 상기 컨베어벨트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차단판의 이면에 피스톤로드가 축착되어 피스톤로드의 입출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컨베어벨트를 90°회전시켜 지관을 안내판과 수평으로 연결 설치된 받침판에 센터링시켜 이송시키는 센터링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어벨트의 일측 상부 본체프레임에는 인입정위치 센서가 설치되어 지관이 컨베어벨트의 회전으로 정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컨베어벨트의 회전을 일시 정지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관 승강 이송장치는 다수개의 지관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사각틀체의 하부 전후에 마주보게 설치되어 다수개의 지관을 동시에 클램핑하는 한 쌍의 협지판과, 상기 사각틀체를 승강모터의 작동으로 감고 풀어 승강시키는 체인과,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상기 사각틀체를 주행모터에 의해 왕복 주행시키는 주행테이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마주보는 협지판은 외측에 돌출시킨 다수개의 안내봉이 사각틀체의 저부 중간에 횡설된 나사관체의 좌우 오른나사와 왼나사에 나사결합되어 동시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되는 너트관의 브라켓에 관통상태로 유설되어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차는 지관을 일정 높이로 적재할 수 있도록 외측에 다수개의 이탈방지간이 설치되며, 지관 적재작업시 록킹실린더에 의해 록킹되어 유동이 방지되고 적재 완료시 록킹실린더가 해제되어 취출장치에 의해 취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출장치는 대차의 후방에 설치되어 대차의 중간을 직접적으로 밀어주는 1차 취출실린더와 대차의 양측에 설치되어 1차 취출실린더의 베이스판 양측을 평형상태로 밀어 주는 2개의 2차 취출실린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생산된 지관 다수개를 한 단위로 한꺼번에 협지하고 이를 대차로 이동시켜 다단으로 안정되게 적재하므로 다수개를 동시에 적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능률적인 지관 적재작업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관을 수평으로 이동하여 협지한 상태에서 대차에 협지판을 이완시켜 적재하므로 지관에 충격을 주지 않아 지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정확히 정렬상태로 적재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크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지관 공급부의 지관 공급 전 상태도
도 4는 지관 공급부의 지관 공급 후 상태도
도 5는 지관 협지부의 일부 확대도
도 6은 대차에 지관이 적재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대차에 지관이 적재 완료된 상태의 취출 전 상태도
도 8은 대차를 취출시킨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관 자동 적재장치는 생산된 지관(P)을 공급하는 지관 공급장치(100)와, 지관 공급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지관(P) 다수개를 한 단위로 협지하여 승강시키고 이송시키는 지관 승강 이송장치(200)와, 지관 승강 이송장치(200)로부터 이송된 지관(P)이 다단으로 적재되는 대차(300)와, 상기 대차(3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지관(P)의 적재 완료시 대차(300)를 외부로 취출하는 취출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관 공급장치(100)는 경사상의 안내판(1)의 하단에 설치되어 안내판(1)을 따라 내려오는 지관(P)을 정지시키는 차단판(2)과, 상기 차단판(2)의 전방 하부에 직교되게 설치되어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컨베어벨트(3)와, 상기 컨베어벨트(3)를 회전시키는 모터(4)와, 상기 차단판(2)의 이면에 피스톤로드(5)가 축착되어 피스톤로드(5)의 입출에 의해 축(6)을 중심으로 컨베어벨트(3)를 90° 회전시켜 지관(P)을 안내판(1)과 수평으로 연결 설치된 받침판(7)에 센터링시켜 이송시키는 센터링실린더(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컨베어벨트(3)의 일측 상부 본체프레임(9)에는 인입정위치 센서(10)가 설치되어 지관(P)이 컨베어벨트(3)의 회전으로 정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컨베어벨트(3)의 회전을 일시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는 컨베어벨트(3)의 회전에 의해 지관(P)을 일정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안내판(1)을 따라 하강되는 지관(P)을 일정한 위치에서 다음 단계가 이루어지는 받침판(7)에 똑바르게 정열되는 상태로 이송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관 제조라인에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안내판(1)을 따라 하강되는 지관(P)은 차단판(2)에 접촉됨과 동시에 컨베어벨트(3)의 회전으로 이송되다가 정위치에 도달하면 인입정위치 센서(10)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4)를 오프시키게 됨으로써 컨베어벨트(3)의 회전을 일시 정지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센터링실린더(8)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5)를 인입시키면서 지관 공급장치(100) 어셈블리를 90° 회전시켜 컨베어벨트(3)에 있는 지관(P)을 옆의 받침판(7) 상에 센터링시켜 이송시키게 되고 이어서 지관 공급장치(100)는 다시 원위치에 복귀되어 연속적인 이송작동을 하게 되며, 받침판(7)으로 이송된 지관(P)은 받침판(7)의 경사도를 따라 굴러서 차곡차곡 나열 재치되고 정해진 수량의 지관(P)이 재치되면 카운터 센서(23)가 이를 감지하여 다음의 지관 승강 이송단계에 들어가게 된다.
상기 지관 승강 이송장치(200)는 전기한 공정을 거쳐 이송된 한 단위의 지관(P)을 동시에 협지하여 상승과 함께 대차(300)로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이는 다수개의 지관(P)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사각틀체(11)의 하부 전후에 마주보게 설치되어 다수개의 지관(P)을 동시에 클램핑하는 한 쌍의 협지판(12)(12')과 상기 사각틀체(11)를 승강모터(13)의 작동으로 감고 풀어 승강시키는 체인(14)과, 본체프레임(9)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15)을 따라 상기 사각틀체(11)를 주행모터(16)에 의해 왕복 주행시키는 주행테이블(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마주보는 협지판(12)(12')은 외측에 돌출시킨 다수개의 안내봉(18)이 사각틀체(11)의 저부 중간에 횡설된 나사관체(19)의 좌우 오른나사와 왼나사에 나사결합되어 동시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되는 너트관(20)의 브라켓(21)에 관통상태로 유설되어 스프링(22)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관 공급장치(100)로부터 이송되어 받침판(7)에 다수개의 지관(P)이 나열되면 카운터 센서(23)가 설정된 수량의 지관(P)을 감지하여 클램핑모터(24)를 온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스크류가 회전되면 이에 결합된 너트관(20)이 동시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브라켓(21)을 동시에 이동시키므로 상기 브라켓(21)을 관통한 안내봉(18)을 매개로 스프링(22)으로 탄설된 협지판(12)(12')은 지관(P)의 양측에 밀착되어 협지되거나 이격되어 진다.
상기 협지판(12)(12')이 지관(P)의 양측단을 협지하는 과정에서 브라켓(21)에 설치된 좌우 클램프센서(25)가 협지판(12)(12')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클램핑모터(24)를 오프시킴으로써 일정하고 적정한 협지를 가능하게 하고, 협지력의 해제는 지관(P)을 대차(300)에 적재시키기 위해 하강되는 과정에서 하강정지센서(26)에 의한 감지로서 하강 정지와 함께 클램핑모터(24)의 역회전으로 스크류의 반대방향 회전에 의해 너트관(20)이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때 너트관(20)의 외측 이동은 상부에 설치된 제품길이조정센서(27)의 감지에 따른 클램핑모터(24)의 오프로서 설정된 위치에 정지된다.
또한, 상기 사각틀체(11)는 주행테이블(17)에 설치된 승강모터(13)와 체인(14)으로 연결되어 승강모터(13)에 의한 체인(14)의 감김과 풀림 작동으로 승강하도록 되어 있으며, 사각틀체(11)를 안정되고 평형상태로 승강하기 위한 다수개의 수평유지봉(2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와 하부 일측에는 상승정지센서(29)와 하강정지센서(2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판(7)에 설정된 수량의 지관(P)이 나열 재치되면 전후 협지판(12)(12')에 의해 지관(P)을 양측에서 완강히 협지한 상태에서 카운터 센서(23)의 감지에 의한 승강모터(13)의 작동으로 체인(14)이 감기면서 지관(P)을 협지한 사각틀체(11)가 상승되어 다음의 적재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지관(P)을 협지한 사각틀체(11)가 클램핑모터(24)에 의한 체인(14)의 감김으로 상승되면 본체프레임(9)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15)을 따라 대차(300)로 이송되어 지관(P)을 적재하게 되는 데, 상기 사각틀체(11)를 체인(14)으로 연결한 승강모터(13)와 수평유지봉(28)은 주행테이블(17)에 설치되어 주행테이블(17)과 사각틀체(11)는 동시에 왕복운동하게 된다.
주행테이블(17)에는 진행하는 전방에 주행모터(16)가 설치되고 이의 저면에 활차(31)가 설치되어 본체프레임(9)에 설치된 레일(15)을 따라 전진하며, 대차(300)의 상측에 위치하는 레일(15)의 선단에는 전진저속센서(32)와 스톱센서(33)가 설치되어 사각틀체(11)가 대차(300) 상방에 오게 되면 일차적으로 감속된 후 정지하게 되며, 적재 완료 후 후진될 때 원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후진정지센서(34)가 레일(15)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관 승강 이송장치(200)는 지관 공급장치(100)로부터 센터링 되어 나열 배치된 다수개의 한 단위 지관(P)을 사각틀체(11)의 협지판(12)(12')에 의해 협지한 상태에서 체인(14)의 감김작동으로 대차(300) 상부까지 상승시켜 주행모터(16)의 작동으로 레일(15)을 따라 활주되는 주행테이블(17)과 함께 전진시키고 협지된 지관(P)이 대차(300)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스톱센서(33)에 의거 정지됨과 동시에 승강모터(13)가 작동되어 감긴 체인(14)을 풀어 사각틀체(11)를 대차(300)의 내부에 하강시키고 사각틀체(11)에 설치된 하강정지센서(26)가 대차(300) 내부의 지관(P)과의 간격을 감지하게 되면 클램핑모터(24)의 역회전 작동으로 협지판(12)(12')을 이완시켜 지관(P)과 분리시킴으로써 협지력이 해지된 한 단위의 지관(P) 전체는 기적재된 지관(P)의 상부에 차곡차곡 정확하고 정렬상태로 적재된다.
상기 대차(300)는 지관(P)을 일정 높이로 적재할 수 있도록 바퀴(35) 달린 외측에 다수개의 이탈방지간(36)이 세워져 있으며, 대차(300)의 후방에는 지관(P)의 적재 완료시 대차(300)를 본체로부터 밀어 취출하는 3개의 취출실린더로 구성된 취출장치(4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대차(300)는 적재작업시 록킹실린더(37)에 의해 록킹되어 유동이 방지되고 적재 완료시 록킹실린더(37)가 해제되어 취출장치(400)에 의해 취출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취출장치(400)는 대차(300)의 중간을 직접적으로 밀어주는 1차 취출실린더(38)와 대차(300)의 양측에 설치되어 1차 취출실린더(38)의 베이스판(38') 양측을 밀어주는 2개의 2차 취출실린더(39)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협지판(12)(12')에 협지되어 이송된 한 단위의 지관(P) 다수개가 대차(300)에 적재 완료되면 본체프레임(9)에 설치된 적재완료센서(40)가 이를 감지하여 취출장치(400)에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1차 취출실린더(38)와 2차 취출실린더(39)가 동시에 작동하되 1차 취출실린더(38)가 대차(300)를 직접적으로 밀어 취출하고 동시에 1차 취출실린더(38)의 베이스판(38')을 2차 취출실린더(39)가 밀어내어 대차(300)를 본체로부터 완전히 취출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 작동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관 생산장치로부터 생산된 지관(P)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안내판(1)을 따라 하강되면 지관 공급장치(100)의 차단판(2)에 부딪힘과 동시에 회전되고 있는 컨베어벨트(3)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인입 정위치센서에 감지되면 컨베어벨트(3)의 회전이 일시 정지됨과 동시에 센터링실린더(8)가 작동하여 축(6)을 중심으로 차단판(2)과 컨베어벨트(3) 어셈블리 전체를 90° 회전시켜 지관(P)을 측부의 지관 승강 이송장치(200)의 받침판(7)으로 센터링 이송시키게 된다.
받침판(7)에 연속적으로 지관(P)이 나열 배치되어 카운터 센서(23)가 설정된 개수만큼을 감지하게 되면 지관 승강 이송장치(200)의 사각틀체(11)에 설치된 전후 마주보는 한 쌍의 협지판(12)(12')이 클램핑모터(24)에 의한 스크류 회전에 따라 너트관(20)과 브라켓(21)의 내측 이동으로 지관(P)의 양측단을 완강하게 협지하게 되는데 이때 브라켓(21)을 관통한 협지판(12)(12')의 안내봉(18)에는 스프링(22)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협지판(12)(12')이 지관(P)의 양측단에 밀착될 때 브라켓(21)이 스프링(22)을 압축시키면서 협지하게 되어 보다 강력한 협지를 가능하게 하고 브라켓(21)이 이동되어 스프링(22)을 압축시키면서 지관(P)을 협지는 과정에서 브라켓(21)에 설치된 좌우 클램프센서(25)가 협지판(12)(12')과 설정된 간격을 감지하게 되면 클램핑모터(24)가 오프되어 스크류의 회전이 정지되므로 필요이상으로 계속 협지력이 가해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램핑모터(24)가 오프되면 이어서 승강모터(13)가 작동되어 체인(14)을 감아올리면서 사각틀체(11)를 위로 상승시키게 되고 설정된 상승 높이(이탈방지간(36) 보다 높은 위치)에 도달하면 상승정지센서(29)가 이를 감지하여 상승이 정지됨과 동시에 주행모터(16)가 작동하여 주행테이블(17)을 레일(15)을 따라 전진시키게 되는 데 주행테이블(17)에는 사각틀체가 체인(14) 및 수평유지봉(28)으로 지관(P)을 협지한 사각틀체(1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행테이블(17)과 사각틀체(11)는 동시에 전진하여 적재장치의 상부에서 레일(15)의 선단에 설치된 전진저속센서(31)에 의해 감속되고 이어서 스톱센서(33)의 감지로서 정지함과 동시에 승강모터(13)의 역회전 작동으로 감겼던 체인(14)이 풀리면서 협지부에 협지된 한 단위의 지관(P)이 대차(300) 내부에 하강하게 되며 하강정지센서(26)의 감지에 의해 기적재된 지관(P)이 감지되면 클램핑모터(24)가 역회전하여 상기한 협지과정과는 반대작동으로 협지판(12)(12')이 이완되어 협지력이 해제되므로 다수개의 한 단위의 지관(P) 전체는 지관(P)의 상면에 정렬상태로 차곡차곡 적재된다.
이같이 적재가 완료되면 협지판(12)(12')이 벌어지는 과정에서 제품길이조정센서(27)의 감지로서 클램핑모터(24)가 오프되고 이와 동시에 승강모터(13)의 역회전 작동으로 체인(14)을 감아 올려 사각틀체(11)를 상승시키고 이어서 주행모터(16)에 의한 주행테이블(17)의 후진으로 사각틀체(11)도 원위치로 복귀되어 후진정지센서(34)에 의해 후진이 정지됨과 동시에 승강모터(13)의 작동으로 사각틀체(11)가 하강되어 지관(P)을 협지하는 일련의 공정 대기 상태에 들어가고 전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동을 연속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대차(300)에 지관(P)이 설정된 높이로 적재가 완료되면 적재완료센서(40)가 이를 감지하여 부저와 함께 대차(300)를 잡고 있던 록킹실린더(37)가 해제되고 취출장치(400)에 의해 취출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취출장치(400)는 대차(300)의 중간을 직접적으로 밀어주는 1차 취출실린더(38)와 대차(300)의 양측에 설치되어 1차 취출실린더(38)의 베이스판(38') 양측을 밀어주는 2차 취출실린더(39)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대차(300)를 취출할 때에는 1차 취출실린더(38)가 대차(300)의 중간을 밀어 전체적으로 밀어내게 되고 동시에 평형상태로 취출이 가능하도록 대차(300)의 양측을 2차 취출실린더(39)가 밀어내게 되므로 대차(300)는 안정된 상태로 취출장치(400)에 의해서 본체 밖으로 취출되므로써 한 싸이클의 지관 적재공정이 종료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공정이 종료되면 새로운 대차(300)를 배치하여 전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연속적인 지관 적재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지관(P) 공급과 협지 그리고 이송하여 적재하는 단순한 공정으로 많은 수량의 지(P)관을 정렬상태로 적재할 수 있으므로 적재시간이 빠르고 구조가 간단하며 실용화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1 : 안내판 2 : 차단판 3 : 컨베어벨트 4 : 모터 5 : 피스톤로드 6 : 축 7 : 받침판 8 : 센터링실린더 9 : 본체프레임 10 : 인입정위치 센서 11 : 사각틀체 12, 12' : 협지판 13 : 승강모터 14 : 체인 15 : 레일 16 : 주행모터 17 : 주행테이블 18 : 안내봉 19 : 나사관체 20 : 너트관 21 : 브라켓 22 : 스프링 23 : 카운터 센서 24 : 클램핑모터 25 : 클램프센서 26 : 하강정지센서 27 : 제품길이조정센서 28 : 수평유지봉 29 : 상승정지센서31 : 활차 32 : 전진저속센서 33 : 스톱센서 34 : 후진정지센서 35 : 바퀴 36 : 이탈방지간 37 : 록킹실린더 38 : 1차 취출실린더 38' : 베이스판 39 : 2차 취출실린더 40 : 적재완료센서 100 : 지관 공급장치 200 : 지관 승강 이송장치 300 : 대차 400 : 취출장치 P : 지관

Claims (7)

  1. 생산된 지관(P)을 공급하는 지관 공급장치(100)와, 지관 공급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지관(P) 다수개를 한 단위로 협지하여 승강시키고 이송시키는 지관 승강 이송장치(200)와, 지관 승강 이송장치(200)로부터 이송된 지관(P)이 다단으로 적재되는 대차(300)와, 상기 대차(3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지관(P)의 적재 완료시 대차(300)를 외부로 취출하는 취출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자동 적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 공급장치(100)는 경사상의 안내판(1)의 하단에 설치되어 안내판(1)을 따라 내려오는 지관(P)을 정지시키는 차단판(2)과, 상기 차단판(2)의 전방 하부에 직교되게 설치되어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컨베어벨트(3)와, 상기 컨베어벨트(3)를 회전시키는 모터(4)와, 상기 차단판(2)의 이면에 피스톤로드(5)가 축착되어 피스톤로드(5)의 입출에 의해 축(6)을 중심으로 컨베어벨트(3)를 90° 회전시켜 지관(P)을 안내판(1)과 수평으로 연결 설치된 받침판(7)에 센터링시켜 이송시키는 센터링실린더(8)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자동 적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컨베어벨트(3)의 일측 상부 본체프레임(9)에는 인입정위치 센서(10)가 설치되어 지관(P)이 컨베어벨트(3)의 회전으로 정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컨베어벨트(3)의 회전을 일시 정지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자동 적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지관 승강 이송장치(200)는 다수개의 지관(P)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사각틀체(11)의 하부 전후에 마주보게 설치되어 다수개의 지관(P)을 동시에 클램핑하는 한 쌍의 협지판(12)(12')과, 상기 사각틀체(11)를 승강모터(13)의 작동으로 감고 풀어 승강시키는 체인(14)과, 본체프레임(9)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15)을 따라 상기 사각틀체(11)를 주행모터(16)에 의해 왕복 주행시키는 주행테이블(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자동 적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한 쌍의 마주보는 협지판(12)(12')은 외측에 돌출시킨 다수개의 안내봉(18)이 사각틀체(11)의 저부 중간에 횡설된 나사관체(19)의 좌우 오른나사와 왼나사에 나사결합되어 동시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되는 너트관(20)의 브라켓(21)에 관통상태로 유설되어 스프링(22)으로 탄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자동 적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대차(300)는 지관(P)을 일정 높이로 적재할 수 있도록 외측에 다수개의 이탈방지간(36)이 설치되며, 지관 적재작업시 록킹실린더(37)에 의해 록킹되어 유동이 방지되고 적재 완료시 록킹실린더(37)가 해제되어 취출장치(400)에 의해 취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자동 적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취출장치(400)는 대차(300)의 후방에 설치되어 대차(300)의 중간을 직접적으로 밀어주는 1차 취출실린더(38)와 대차(300)의 양측에 설치되어 1차 취출실린더(38)의 베이스판(38') 양측을 평형상태로 밀어주는 2개의 2차 취출실린더(3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자동 적재장치.
KR1020200092266A 2020-07-24 2020-07-24 지관 자동 적재장치 KR102425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266A KR102425631B1 (ko) 2020-07-24 2020-07-24 지관 자동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266A KR102425631B1 (ko) 2020-07-24 2020-07-24 지관 자동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136A true KR20220013136A (ko) 2022-02-04
KR102425631B1 KR102425631B1 (ko) 2022-07-26

Family

ID=80268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266A KR102425631B1 (ko) 2020-07-24 2020-07-24 지관 자동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5518A (zh) * 2022-02-28 2022-05-03 江西春山新能源有限公司 一种实验玻璃管外观检测及分选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6350A (ko) 2022-10-21 2024-04-30 (주)제이에스아이 자동 적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164A (ja) * 1999-07-12 2001-01-23 Mitsuya Tekko Kk 管状物の整列積込み装置
JP2001305011A (ja) * 2000-04-27 2001-10-31 Mitsubishi Heavy Ind Ltd ワーク搬入搬出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164A (ja) * 1999-07-12 2001-01-23 Mitsuya Tekko Kk 管状物の整列積込み装置
JP2001305011A (ja) * 2000-04-27 2001-10-31 Mitsubishi Heavy Ind Ltd ワーク搬入搬出方法及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5518A (zh) * 2022-02-28 2022-05-03 江西春山新能源有限公司 一种实验玻璃管外观检测及分选装置
CN114425518B (zh) * 2022-02-28 2024-02-23 江西春山新能源有限公司 一种实验玻璃管外观检测及分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631B1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6369A (en) Pallet inspection and stacking apparatus
CN109319203B (zh) 钢管码垛缠绕打包生产线
KR102425631B1 (ko) 지관 자동 적재장치
CN110884817A (zh) 一种铜排自动移栽仓库
CN112058690B (zh) Led框架产品测试系统下料装置
CN111891692B (zh) Led框架产品测试系统上料装置
KR102349792B1 (ko)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
CN109693944B (zh) 一种龙骨自动包装码垛设备及方法
CN216037916U (zh) 纺织插纱机器人
CN220097803U (zh) 一种下料装置和硅棒输送系统
CN211997713U (zh) 一种杆件自动上料装置
US3831733A (en) Destacking apparatus
CN210046489U (zh) 木塑底板自动输送线
CN218143655U (zh) 一种同步入出库分拣装置
CN114803951B (zh) 一种巷道堆垛机
CN216996698U (zh) 一种空调冷凝器拆垛机构及自动拆垛码垛设备
CN216971305U (zh) 一种整层式全自动码垛机
CN213558505U (zh) Led框架产品测试系统下料装置
CN213474546U (zh) Led框架产品测试系统上料装置
CN110921299B (zh) 一种地板打包系统
CN110386466B (zh) 一种酒瓶卸垛装置
CN110921304A (zh) 一种杆件自动上料装置及其上料方法
CN220420549U (zh) 一种石英舟扩散升降机构
JP2001106338A (ja) 木材等の自動積込方法及びその装置
JP3117701B2 (ja) 梱包解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