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879A -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및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및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12879A KR20220012879A KR1020217041285A KR20217041285A KR20220012879A KR 20220012879 A KR20220012879 A KR 20220012879A KR 1020217041285 A KR1020217041285 A KR 1020217041285A KR 20217041285 A KR20217041285 A KR 20217041285A KR 20220012879 A KR20220012879 A KR 202200128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nt parasitic
- compound
- parasitic nematodes
- nematode
- genu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5/00—Nematoc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8—Bridged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및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틸렌쿠스 상과(superfamily)의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제 및 상기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충(線蟲)은, 다종다양하게 분화하며 생태 또한 다양하다. 선충 중에서도, 틸렌쿠스 상과(Tylenchoidea)의 식물 기생성 선충인 고구마뿌리혹선충, 콩씨스트선충, 뿌리썩이선충 등은, 농작물의 식물의 뿌리로부터 영양을 얻어 증식하기 때문에, 농작물의 생육 불량이나 기형을 일으키며, 작물 생산에 미치는 피해액은 연간 수십억 달러가 된다고도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 따라서, 농작물의 생산량 향상을 위해서는, 특히 이들 틸렌쿠스 상과의 선충의 방제제 개발이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식물 기생성 선충에 대한 방제 수단으로서 훈증제 및 비훈증제(접촉제)에 의한 방제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오존층 및 비표적 생물에 대한 영향이 강한 기존의 방제제의 사용 제한 가 진행되고 있다. 또, 약제 저항성 선충의 발생에 의한 기존제의 불효과 사례도 보여지고 있어, 인축 안전성이 높고, 환경 부하가 낮고, 동시에 기존제와도 교차 저항성을 나타내지 않는 방제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PF1378A 물질(16-케토아스퍼질이미드: 16-keto aspergillimide)은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속이 생산하는 대사산물로서 보고되며, 포유류의 소화관 기생 선충인 Haemonchus controlus 의 3령 유충에 대한 구충 활성 물질로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2). 또한, PF1378B, C를 포함하는 아스페르파랄린(asperparaline)류에 대해서는, 누에에 대한 마비 활성, 및, 파밤나방, 벼멸구, 및 바퀴벌레에 대한 살충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3 및 4, 특허문헌 1 및 2). 또한, PF1378A 물질은 벼멸구 등의 농업 해충에 대하여 침투이행적인 살충 활성을 나타내는 것도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3). 또한, PF1378A 물질이 참진드기, 벼룩 등의 동물 기생성 해충에 대하여 살충 활성을 나타내는 것, 포유동물에 대하여 안전성을 갖는 것 또한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4).
또한, 아스페르파랄린 A가 누에의 신경 세포에서 발현되는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하여 아세틸콜린과 비경합적으로 현저한 길항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나, 포유류 유래 수용체와 비교하여 곤충 수용체에 높은 선택성을 나타내는 것이 보고되어 있고, 살충제로서 신규한 작용성을 갖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비특허문헌 5). 또한, 아스페르파랄린 A와 유사한 골격을 갖는 파라헤르콰마이드(paraherquamide)는 구충제로 알려져 있다.
농약의 창제 연구의 동향, 주식회사 시엠시 출판, 2018년, 제7장, p. 128~135
The Journal of Antibiotics, 1997, 50 (10), 840-846
Tetrahedron Letters, 1997, 38(32), 5655-5658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2000, 64 (1), 111-115
PLoS ONE 6(4), e18354(2011)
상기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식물 기생성 선충에 대한 방제 수단이 연구되어 왔고, 현재까지 다수의 선충 방제제가 개발 시판되고 있지만, 종래의 방제제로는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을 방제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어, 이러한 선충의 방제제 및 방제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개발이 불충분하였다. 또한, 비표적 생물에 악영향이 적은 신규 선충 방제제의 개발도 요망되고 있다. 게다가, 환경에 대한 노출 리스크가 비교적 낮고, 사용자의 병해충 방제에 드는 노력도 적은 종자 처리와 같이, 생력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제제도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표적 생물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또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및 상기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PF1378A 물질(16-케토아스퍼질이미드), PF1378B 물질(아스페르파랄린 A) 및 PF1378C 물질(아스페르파랄린 B)이, 토양 처리나 종자 처리 등의 간편한 처리 방법에 의하여, 특히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에 대해 우수한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들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방제제에 의하면, 비표적 생물인 작물(유용 식물)에 대하여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안전성이 높을 뿐 아니라, 상기 작물이 특히 쌍떡잎식물인 경우에는, 놀랍게도, 그 생육을 촉진하는 신규한 작용을 가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들의 거울상 이성질체 및 농원예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틸렌쿠스 상과(Tylenchoidea)의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2] 상기 틸렌쿠스 상과(Tylenchoidea)의 식물 기생성 선충이, 멜로이도기네(Meloidogyne) 속, 헤테로데라(Heterodera) 속, 로틸렌쿨루스(Rotylenchulus) 속, 및 프란틸렌쿠스(Prantylenchus)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생성 선충인, [1]에 기재된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3] 분말상 고체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분제 또는 분말제인, [1] 또는 [2]에 기재된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4] 입상 또는 분말상 고체 담체 및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입제 또는 분립제인, [1] 또는 [2]에 기재된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5] 액체 담체, 계면활성제 및 증점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플로우어블(flowable)제인, [1] 또는 [2]에 기재된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6] 분말상 고체 담체 및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수화제인, [1] 또는 [2]에 기재된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7] 또한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용 제제이기도 한,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8]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들의 거울상 이성질체 및 농원예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유효량으로 대상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틸렌쿠스 상과(Tylenchoidea)의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9] 상기 틸렌쿠스 상과(Tylenchoidea)의 식물 기생성 선충이, 멜로이도기네(Meloidogyne) 속, 헤테로데라(Heterodera) 속, 로틸렌쿨루스(Rotylenchulus) 속, 및 프란틸렌쿠스(Prantylenchus)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생성 선충인, [8]에 기재된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10] 상기 대상이,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 식물, 토양 및 토양 이외의 배양 담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8] 또는 [9]에 기재된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11] 상기 대상이 토양 또는 토양 이외의 배양 담체이고, 상기 유효량이 상기 토양 10 아르(are) 당 0.1 g ~ 1000 g 인, [10]에 기재된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12] 상기 대상이 식물의 종자이고, 상기 유효량이 상기 식물의 종자 1 kg 당 0.01 g ~ 100 g 인, [10]에 기재된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13] 상기 화합물의 유효량으로 쌍떡잎식물, 토양 및 토양 이외의 배양 담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대상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 방법이기도 한, [8]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14] 틸렌쿠스 상과(Tylenchoidea)의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식 (3) 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들의 거울상 이성질체 및 농원예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으로 이루어진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용도.
[15] 상기 틸렌쿠스 상과(Tylenchoidea)의 식물 기생성 선충이, 멜로이도기네(Meloidogyne) 속, 헤테로데라(Heterodera) 속, 로틸렌쿨루스(Rotylenchulus) 속, 및 프란틸렌쿠스(Prantylenchus)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생성 선충인, [14]에 기재된 용도.
[16] 상기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가,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용 제제인 [14] 또는 [15]에 기재된 용도.
본 발명에 의하면, 비표적 생물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또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및 상기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및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에 의하면, 토양 처리나 종자 처리 등의 간편한 처리에 의해,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에 대해 우수한 방제 효과 뿐만 아니라, 비표적 생물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특히 쌍떡잎식물에 대해서는 생육 촉진 효과도 발휘하기 때문에, 곡류, 콩류, 설탕 제조용 녹초류, 야채류, 과수류 등의 농작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두, 오이, 왜무 등의 작물의 수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저농도로 충분히 상기 효과를 모두 발휘하기 때문에 환경 노출의 위험이 낮은 점에서도 안전성이 높은,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제 및 상기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각각 간단히 “화합물 (1)", "화합물 (2)", 및 "화합물 (3)"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하기 식 (1) 내지 (3) 중, Me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그 거울상 이성질체 및 농원예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이하, 간단히 “선충 방제제”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1), 화합물 (2) 및 화합물 (3), 및 이들의 거울상 이성질체 및 농원예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의 유효량으로 대상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이하, 간단히 “선충 방제 방법” 또는 “방제 방법”으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및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에는, 하기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을 살충 또는 약화시키기 위한 제제 및 방법 외에, 하기 식물로부터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을 제거하기 위한 제제 및 방법,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의 식물에의 기생을 방지하기 위한 제제 및 방법,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제제 및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1), 화합물 (2) 및 화합물 (3), 및 이들의 거울상 이성질체 및 농원예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쌍떡잎식물의 성장 촉진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로서, 또한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용의 제제이기도 한,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용 및 쌍떡잎식물 생육 촉진용의 제제도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합물 (1), 화합물 (2) 및 화합물 (3), 및 이들의 거울상 이성질체 및 농원예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의 유효량으로 쌍떡잎식물, 토양, 및 토양 이외의 배양 담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대상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선충 방제 방법으로서, 또한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 방법이기도 한,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및 쌍떡잎식물 생육 촉진의 방법도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화합물 (1)은, “PF1378A 물질(16-케토아스퍼질이미드)”라고도 하고, 화합물(2)는, “PF1378B 물질(아스페르파랄린 A)”라고도 하며, 화합물(3)은, “PF1378C 물질(아스페르파랄린 B)”이라고도 한다. 이들 화합물 (1) 내지 (3)은 각각 종래 공지의 방법 또는 이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면, The Journal of Antibiotics, 1997, 50(10), 840-846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각 화합물의 생산 균주의 배양물로부터 각각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효 성분으로서 화합물 (1) 내지 (3)뿐만 아니라, 이들의 거울상 이성질체 및 거울상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효 성분으로서 화합물 (1) 내지 (3) 각각의 농원예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 부가염의 예로는 염산염, 질산염, 황산염, 인산염, 및 아세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본 발명에 관한 화합물(유효 성분), 즉,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들의 거울상 이성질체 및 농원예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으로서는, 1종 단독이어도 2종 이상의 조합이어도 된다(이하, 이들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을 총칭하여 단순히 “본 발명에 관한 화합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본 발명에 관한 화합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들의 거울상 이성질체 및 농원예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특히 틸렌쿠스 상과(Tylenchoidea)의 식물 기생성 선충에 대해 우수한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틸렌쿠스 상과 식물 기생성 선충으로는 틸렌쿠스과(Tylenchidae), 크리코네마과 (Criconematidae), 헤테로데라과(Heteroderidae) 네오틸렌쿠스과(Neotylenchidae), 틸렌쿠루스과(Tylenchuidae), 알란토네마티스과(Allantonematidae)를 들 수 있으며, 틸렌쿠스과(Tylenchidar) 및 헤테로데라과(Heteroderidae)가 바람직하다. 틸렌쿠스과(Tylenchidar)의 아과로는 Pratylechinae(로틸렌클루스(Rotylenchulus) 속, 프란틸렌쿠스(Prantylenchus) 속), Tylenchinae, Dolichodorinae, Hoploaiminae를 들 수 있다. 헤테로데라과(Heteroderidae)의 아과로는 Heteroderinae (멜로이도기네(Meloidonye) 속 및 헤테로데라(Heterodera) 속)을 들 수 있다.
멜로이도기네 속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뿌리혹선충,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Meloidogyne acronea, Meloidogyne africana, Meloidogyne arenaria, Meloidogyne arenaria thamesi, Meloidogyne artiella, Meloidogyne chitwoodi, Meloidogyne coffeicola, Meloidogyne ethiopica, Meloidogyne exigua , Meloidogyne graminicola, Meloidogyne graminis, Meloidogyne hapla, Meloidogyne incognita acrita, Meloidogyne javanica, Meloidogyne kikuyensis, Meloidogyne naasi, Meloidogyne paranaensis, Meloidogyne thamesi, Meloidogyne suginamiensis, Meloidogyne fallax, Meloidogyne enterolobii, Meloidogyne mayaguensis를 들 수 있다.
헤테로데라 속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씨스트선충, 보다 구체적으로는, 콩씨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 Heterodera avenae, Heterodera cruciferae, Heterodera oryzae, Heterodera schachtii, Heterodera zeae, Globodera pallida, Globodera rostochiensis, Globodera solanacearum, Globodera tabacum, Globodera virginiae, Heterodera elaquista를 들 수 있다.
로틸렌쿨루스 속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고구마씨트러스선충(Rotylenchulus reniformis), Rotylenchus parrus를 들 수 있다.
프란틸렌쿠스 속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딸기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penetrans), Pratylenchus alleni, Pratylenchus brachyurus, Pratylenchus coffeae, Pratylenchus crenatus, Pratylenchus dulscus, Pratylenchus fallax, Pratylenchus flakkensis, Platylenchus goodeyi, Pratylenchus hexincisus, Pratylenchus loosi, Pratylenchus minutus, Pratylenchus mulchandi, Pratylenchus musicola, Pratylenchus neglectus, Pratylenchus pratensus, Pratylenchus reniformia, Pratylenchus scibneri, Pratylenchus thornei, Pratylenchus vulnus, Pratylenchus zeae를 들 수 있다.
이들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으로서는,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의 조합일 수도 있지만, 그 중에서도,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멜로이도기네 속, 헤테로데라 속, 로틸렌쿨루스 속 및 프란틸렌쿠스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대해 특히 우수한 방제 활성을 나타낸다. 이들 중에서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뿌리혹선충, 씨스트선충, 고구마씨트러스선충, 및 뿌리썩이선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구마뿌리혹선충, 콩씨스트선충, 뿌리썩이선선충, 고구마씨트러스선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비표적 생물에 대한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 방제 방법의 대상이 되는 식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곡류, 콩류, 설탕 제조 녹초류, 야채류, 과수류 등의 유용 식물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벼과(벼, 밀류(보리, 밀, 호밀), 옥수수, 사탕수수, 수수, 잔디), 콩과(대두, 팥, 강낭콩, 붉은강낭콩, 땅콩, 펄스), 십자화과(유채씨, 왜무, 양배추, 배추), 비름과(사탕무), 천남성과(토란, 구약나물), 아욱과(목화), 가지과(토마토, 가지, 피망, 고추, 마령서, 담배), 박과(오이, 멜론, 수박), 장미과(딸기), 미나리과(당근), 메꽃과(고구마), 국화과(국화, 우엉), 수선화과(양파, 마늘), 차나무과(차), 꼭두서니과(커피나무), 소나무과(소나무), 포도과(포도), 파초과(바나나), 운향과(감귤) 등의 작물을 들 수 있다. 그 중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특히 쌍떡잎식물에 대하여 생육 촉진 효과도 발휘한다. 그 때문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 및 생육 촉진 방법(선충 방제제 및 방제 방법을 겸하는 경우도 포함함, 이하 동일)의 유효 성분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대상이 되는 식물로서는, 쌍떡잎식물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박과(오이, 멜론, 수박), 콩과(대두, 팥, 강낭콩, 붉은강낭콩, 땅콩, 펄스), 십자화과(유채씨, 왜무, 양배추, 배추), 비름과(사탕무), 아욱과(목화), 가지과(토마토, 가지, 피망, 고추, 마령서, 담배), 장미과(딸기), 미나리과(당근), 메꽃과(고구마), 국화과(국화, 우엉), 수선화과, 차나무과(차), 꼭두서니과(커피나무), 포도과(포도), 운향과(감귤) 등의 작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쌍떡잎식물로서는, 이들 중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의 조합일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박과, 콩과, 또는 십자화과의 식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근, 미생물 농약, 유전자 재조합 작물 등을 조합한 다양한 방제 기술이 진보하고 있고, 본 발명은 이들 기술과 조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 방제 방법, 및,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 및 생육 촉진 방법의 대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곤충에 대한 BT(Bacillus thringensis) 독소 단백질을 생산하고, 곤충 내성을 나타내는 식물(대두, 옥수수, 목화, 유채씨)이나, 제초제인 글리포세이트나 글루포시네이트에 내성을 나타내는 식물(대두, 옥수수, 목화, 유채씨)이나, 곤충 및 제초제 모두에 내성을 나타내는 식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 방제 방법의 대상으로서는, 상기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 중 적어도 1종, 상기 식물 중 적어도 1종, 상기 식물이 자라는 토양, 및 토양 이외의 배양 담체(수경 재배, 사경, NFT(Nutrient Film Technique), 암면(rock wool) 재배등의 양액; 인공 배토, 육묘 용 인공 매트 등의 고형 배지 등)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상기 식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식물의 줄기부, 종자, 뿌리, 괴경, 구근 및 근경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처리가 간편하다는 관점에서, 상기 대상으로서는, 토양 및/또는 식물의 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이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 또는 생육 촉진제인 경우, 이들 대상으로서는, 상기 쌍떡잎식물 중 적어도 1종, 상기 쌍떡잎식물이 성장하는 토양, 및 토양 이외의 배양 담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처리가 간편하다는 관점에서, 상기 대상으로서는, 토양 및/또는 쌍떡잎식물의 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는, 상기 본 발명에 관한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로서는, 각각, 상기 본 발명에 관한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그대로 이거나, 희석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로서는, 각각, 상기 본 발명에 관한 화합물 이외의 기타 유해 생물 방제제(살충제(살 진드기제 및 살선충제를 포함함), 살균제, 제초제), 식물 성장 조절제, 비료 등 중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체적인 약물의 예로는, 예를 들어, 페스티사이드 매뉴얼(The Pesticide Manual, 제17판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발행) 및 시부야 인덱스(SHIBUYA INDEX, 2014년, SHIBUYA INDEX RESEARCH GROUP 발행)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에 있어서, 상기 기타 유해 생물 방제제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살충제 및/또는 살균제이다.
상기 기타 유해 생물 방제제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카바메이트계 화합물, 네라이스톡신 유도체, 유기 염소계 화합물, 피레스로이드계 화합물, 벤조일우레아계 화합물, 유약호르몬 유사 화합물, 탈피 호르몬 유사 화합물, 네오니코티노이드계 화합물, 신경세포의 나트륨 채널 차단제, 살충성 대환식 락톤, γ-아미노부티르산(GABA) 길항제, 리아노딘 수용체 작용성 화합물, 살충성 요소류, BT제, 곤충 병원 바이러스제, 폴리에테르계 항생제, 티아민 길항제, 및 설파제·엽산 길항제 배합제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충제로서 아세페이트(acephate), 디클로로보스(dichlorvos), EPN, 페니트로티온(fenitrothion), 페나미포스(fenamifos), 프로티오포스(prothiofos), 프로페노포스(profenofos), 피라클로포스(pyraclofos) 클로르피리포스-메틸(chlorpyrifos-methyl), 다이아지논(diazinon), 포스티아제트(fosthiazate), 이미시아포스(imicyafos)와 같은 유기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메토밀(methomyl), 티오디카르브(thiodicarb), 알디카르브(aldicarb), 옥사밀(oxamyl), 프로폭수르(propoxur), 카르바릴(carbaryl), 페노부카르브(fenobucarb), 에티오펜카르브(ethiofencarb), 페노티오카르브(fenothiocarb), 피리미카르브(pirimicarb), 카르보푸란(carbofuran), 카르보스술판(carbosulfan), 벤푸라카르브(benfuracarb)와 같은 카바메이트계 화합물; 카르탭(cartap), 티오시클람(thiocyclam)과 같은 네라이스톡신 유도체; 디코폴(dicofol), 테트라디폰(tetradifon)과 같은 유기 염소계 화합물; 페르메트린(permethrin), 테플루트린(tefluthrin), 사이퍼메트린(cypermethrin), 델타메트린(deltamethrin), 시할로트린(cyhalothrin), 펜발레레이트(fenvalerate), 플루발리네이트(fluvalinate), 에토펜프록스(ethofenprox), 실라플루오펜(silafluofen), 시할로트린(cyhalothrin)과 같은 피레스로이드계 화합물; 디플루벤주론(diflubenzuron), 테플루벤주론(teflubenzuron), 플루페녹수론(flufenoxuron), 클로르플루아주론(chlorfluazuron)과 같은 벤조일 우레아계 화합물; 메토프렌(methoprene)과 같은 유약호르몬 유사 화합물; 크로마페노지드와 같은 탈피호르몬 유사 화합물;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클로티아니딘(clothianidin), 티아메톡삼(thiamethoxam), 아세타미프리드(acetamiprid), 니텐피람(nitenpyram), 티아클로프리드(thiacloprid), 디노테푸란(dinotefuran), 술폭사플로르(sulfoxaflor), 플루피라디푸론(flupyradifurone), 디클로로메조티아즈(dicloromezotiaz), 트리플루메조피림(triflumezopyrim)과 같은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작용제; 플루벤디아미드(flubendiamid), 클로르안트라닐리프롤(chlorantraniliprole), 시안트라닐리프롤(cyantraniliprole), 시클라닐리프롤(cyclaniliprole), 테트라닐리프롤(tetraniliprole)과 같은 디아미드 화합물; 에티프롤(ethiprole), 피프로닐(fipronil), 피라플루프롤(pyrafluprole), 피리프롤(pyriprole), 브로플라닐리드(broflanilide), 플룩사메타미드(fluxametamide)와 같은 GABA 수용체 작용성 화합물; 피리다벤(pyridaben), 펜프록시메이트(fenpyroxymate), 피리미디펜(pyrimidifen), 테부펜피라드(tebufenpyrad), 톨펜피라드(tolfenpyrad)와 같은 호흡 사슬 전자 전달계 복합체 I 억제 화합물; 플루피람(fluopyram), 시플루메토펜(cyflumetofen), 시에노피라펜(cyenopyrafen), 피플루부미드(pyflbumide)와 같은 호흡 사슬 전자 전달계 복합체 II 억제 화합물; 플루아크리피림(fluacrypyrim), 아세퀴노실(acequinocyl), 플루메토퀸(flometoquin)과 같은 사슬 전자 전달계 복합체 III 억제 화합물; 스피로디클로펜(spirodiclofen), 스피로메시펜(spiromesifen), 스피로테트라마트(spirotetramat)과 같은 ACCase 억제 화합물, 스피노사드(spinosad), 아베르멕틴(avermectin), 밀베마이신(milbemycin), 스피네트람(spinetoram), 레피멕틴(lepimectin), 에마멕틴 벤조에이트(emamectin benzoate)와 같은 매크롤라이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화합물로는 부프로페진(buprofezin), 헥시티아족스(hexythiazox), 아미트라즈(amitraz), 클로르디메포름(chlordimeform), 에톡사졸(ethoxazole), 피메트로진(pymetrozine), 비페나제이트(bifenazate), 플로니카미드(flonicamid), 클로르페나피르(chlorfenapyr),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인독사카르브(indoxacarb), 피리달릴(pyridalyl), 또는 피리플루퀴나존(pyrifluquinazon), 메타플루미존(metaflumizone), 히드라메틸논(hydramethylnon), 트리아자메이트(trizamate), 아피도피로펜(afidopyropen), 플루피리민(flupyrimin), 레노플루트린(renofluthrin), 클로로프파랄레트린(chloroprallethrin), 시할로디아미드(cyhalodiamide), 플루엔설폰(fluensulfone), 풀아자인돌리진(fluazaindolizine), 입실론-메토플루트린(epsilon-metofluthrin) 입실론-몸플루오로트린(epsilon-momfluorothrin), 카파-비펜트린(kappa-bifenthrin), 카파-테플루트린(kappa-tefluthrin), 플루헥사폰(fluhexafon), 티옥사자펜(tioxazafen), 몸플루오로트린(momfluorothrin), 헵타플루트린(heptafluthrin), 피리미노스트로빈(pyriminostrobin), 시클록사프리드(cycloxaprid), 이소시클로세람(isocycloseram), 옥사조설필(oxazosulfyl), 티클로피라조플로르(tyclopyrazoflor), 스피로피디온(spiropidion), 아시조나피르(acynonapyr), 벤즈피리목산(benzpyrimoxan), 딤프로피라피라다즈(dimpropyridaz), 플루펜티오페녹스(flupentiofenox), 시에트피라펜(cyetpyrafen), 유기금속계 화합물, 디니트로계 화합물, 유기황화합물, 우레아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히드라진계 화합물을 들 수 있고, BT제, 곤충병원바이러스제 등과 같은 미생물 농약도 들 수 있다.
상기 살충제로서는, 이들 중 1종을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의 조합일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플루피리민(flupyrimin)을 들 수 있다. 이들 살충제로서는, 각각, 그 농원예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살균제로서, 예를 들어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크레속심-메틸 (kresoxym-methyl), 트리플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 메토미노스트로빈(metominostrobin), 오리사스트로빈(orysastrobin), 피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등의 스트로빌루린계 화합물; 메파니피림(mepanipyrim), 피리메타닐(pyrimethanil), 시프로디닐(cyprodinil)과 같은 아닐리노피리미딘계 화합물; 트리아디메폰(triadimefon), 비테르타놀(bitertanol), 트리플루미졸(triflumizole), 메토코나졸(metoconazole), 프로피코나졸(propiconazole), 펜코나졸(penconazole), 플루실라졸(flusilazole), 미클로부타닐(myclobutanil), 시프로코나졸(cyproconazole), 테부코나졸(tebuconazole), 헥사코나졸(hexaconazole), 프로클로라즈(prochloraz), 시메코나졸(simeconazole), 프로티오코나졸(prothioconazole)과 같은 아졸계 화합물; 퀴노메티오네이트(quinomethionate)와 같은 퀴녹살린계 화합물; 마네브(maneb), 지네브(zineb), 프로비네브(propineb)와 같은 디티오카바메이트계 화합물; 디에토펜카르브(diethofencarb)와 같은 페닐카바메이트계 화합물; 클로로탈로닐(chlorothalonil), 퀸토젠(quintozene)과 같은 유기염소계 화합물; 베노밀(benomyl), 티오파네이트메틸(thiophanate-methyl), 카벤다짐(carbendazole) 등의 벤즈이미다졸계 화합물; 메탈락실(metalaxyl), 옥사딕실(oxadixyl), 오프라세(ofurase), 베날락실(benalaxyl), 플루랄락실(furalaxyl), 시프로푸람(cyprofuram)과 같은 페닐아미드계 화합물; 디클로플루아니드(dichlofluanid)와 같은 술펜산계 화합물; 수산화제2구리(copper hydroxide), 옥시퀴놀린 구리(oxine-copper)와 같은 구리계 화합물; 히드록시이소사졸(hydroxyisoxazole)과 같은 이소사사졸계 화합물; 포세틸알루미늄(fosetyl-aluminium), 톨클로포스-메틸(tolclofos-methyl)과 같은 유기인계 화합물; 캡탄(captan), 캡타폴(captafol), 폴펫(folpet)과 같은 N-할로게노티오알킬계 화합물; 프로시미돈(procymidone), 이프로디온(iprodione), 빈클로졸린(vinchlozolin)과 같은 디카르복시이미드계 화합물; 플루톨라닐(flutolanil), 메프로닐(mepronil), 푸라메트피르(furametpyr), 티플루자미드(thifluzamide), 보스칼리드(boscalid), 펜티오피라드(penthiopyrad) 과 같은 카르복시아닐리드계 화합물; 펜프로피모르프(fenpropimorph), 디메토모르프(dimethomorph)와 같은 모르폴린계 화합물; 수산화 트리페닐주석(fenthin hydroxide), 아세트산 트리페닐주석(fenthin acetate)과 같은 유기주석계 화합물;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펜피클로닐(fenpiclonil)과 같은 시아노피롤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화합물로는 트리시클라졸(tricyclazole), 피로퀼론(pyroquilon), 카르프로파미드(carpropamid), 디클로시메트(diclocymet), 페녹사닐(fenoxanil), 프탈라이드(fthalide), 플루아지남(fluazinam), 시목사닐(cymoxanil), 트리포린(triforine), 피리페녹스(pyrifenox), 페나리몰(fenarimol), 페프로피딘(fepropidin), 펜시쿠론(pencycuron), 페림존(ferimzone), 시아조파미드(cyazofamid), 이프로발리카르브(iprovalicarb), 벤티아발리카르브-이소프로필(benthiavalicarb-isopropyl), 이미녹타딘-알베실레이트(iminoctadin-albesilate), 시플루페나미드(cyflufenamid), 카수가마이신(kasugamycin), 발리다마이신(validamy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옥솔리닉산(oxolinic-acid), 테부플로퀸(tebufloquin), 프로베나졸(probenazole), 티아디닐(tiadinil), 이소티아닐(isotianil), 이소프로티올란(isoprothiolane), 톨프로카르브(tolprocarb), 피디플루메토펜(pydiflumetofen), 피카르부트라족스(picarbutrazox), 만데스트로빈(mandestrobin), 디피메티트론(dipymetitrone) 피라지플루미드(pyraziflumid), 옥사티아피프로필린(oxathiapiprolin), 펜플루펜(penflufen), 펜피콕사미드(fenpicoxamid), 플룩사피록사드(fluxapyroxad), 이소플루시프람(isoflucypram), 메틸테트라프롤(methyltetraprole), 피라프로포인(pyrapropoyne), 피리디클로메틸(pyridachlomethyl), 이플루페노퀸(ipflufenoquin), 플루오피모미드(fluopimomide), 플루인다피르(fluindapyr), 플로릴피콕사미드(florylpicoxamid), 디클로벤티아족스(dichlobentiazox)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살균제로서, 이들 중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의 조합일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살균제로서는, 각각, 그 농원예상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로서는, 각각, 사용상 적당한 형상으로 제제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또는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로서, 적절한 농원예상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함유하는 양태가 제공된다. 그 형태로서는, 유제, 액제, 수용제, 유탁제, 수화제, 과립상 수화제, 플로우어블(flowable)제, 서스포에멀전(Suspo-Emulsion)제, 분제, DL 분제, 분말제, 입제, 분립제, 정제, 오일제, 에어로졸, 훈연제, 마이크로캡슐제 등의 임의의 투여 형태로 제형으로 처방할 수 있다. 이들 각종 제형은, 예를 들면 “농약 제제 가이드”(일본 농약 학회·시용법 연구회편, 사단법인 일본 식물 방역 협회 발행, 2007년)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농원예상 허용가능한 담체로서는, 상기 제형에 따라 고체 담체, 액체 담체, 가스상 담체 등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고체 담체는, 입경에 따라 분말상(평균 입경 63㎛ 미만)과 입상(평균 입경 63㎛ 이상)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고, 제형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분말상 고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탈크, 벤토나이트, 점토, 카올린, 규조토, 화이트 카본(비정질 규소, 규산칼슘), 탄산칼슘, 황산암모늄, 황산칼륨, 황산칼슘, 목분 등의 식물성 분말, 전분,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입상 고체 담체로서는 버미큘라이트, 규사, 경석, 펄라이트, 규조토 과립, 아타파르자이트 과립, 제올라이트 과립, 벤토나이트 과립, 목편이나 코르크, 옥수수 속대 등의 식물성 입상물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분말상 고체 담체인 점토, 탄산칼슘 등에 결합제 등을 첨가하여 조립 성형한 점토 조립품, 탄산칼슘 조립품 등을 입상 고체 담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체 담체로서는, 이들 중 1종 단독이거나 되고 2종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탈크, 벤토나이트, 클레이, 카올린, 규조토, 화이트 카본(비정질 규소, 규산칼슘), 규사, 황산칼슘, 클레이 조립품을 들 수 있다.
액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n-헥산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코올류; γ-부티로락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n-헥산, 노말파라핀, 유동파라핀, 나프텐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크실렌, 알킬벤젠, 메틸나프탈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의 에테르류; 지방산메틸에스테르,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토니트릴, 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산아미드류; 대두유, 면실유 등의 식물유류; 디메틸술폭시드; N-알킬피롤리돈; 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 유동파라핀, 물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스상 담체로서는 LPG, 공기, 질소, 탄산 가스, 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로서는, 각각, 상기 담체 이외에, 제제 보조제로서 유화, 분산, 또는 습윤 등의 기능을 갖는 계면활성제; 증점제; 결합제 착색제; 소포제; 동결방지제; 방진균제; 유동성개량제; 고착제;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서는,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POA(POA: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에테르 설페이트, POA 스티릴페닐에테르 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폴리머 설페이트, 라우릴황산나트륨, 알칸술폰산나트륨, α-올레핀 술폰산염, 디알킬설포숙시네이트, 알킬벤젠술폰산염, 나프탈렌설폰산 포르말린 축합물염(나트륨염 등), 리그닌술폰산염(나트륨염 등), POA알킬페닐에테르술포네이트, 지방산염, POA알킬페닐에테르 포스페이트, POA 스티릴페닐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카르본산형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POA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중 1종 또는 이들의 혼합을 나타낸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의 조합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라우릴황산염(보다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 알킬벤젠술폰산염(보다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 리그닌 술폰산염(보다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POA 스티릴페닐에테르, POA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POA 피마자유, POA 경화 피마자유, POA 알킬에테르, POA 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 옥시프로필렌 블록중합체, POA 알킬아민,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아세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POA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중 1종 또는 이들의 혼합을 나타낸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메틸·폴리옥시알킬렌알킬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디메틸벤자일코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디알킬디아미노에틸베타인, 알킬디메틸벤질베타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증점제로는, 유기계 증점제로서, 잔탄검, 웰란검, 디우탄검, 구아검, 트라간트검, 아라비아검, 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및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등을 들 수 있고, 무기계 증점제로서는, 몬모릴로나이트계 광물질 미분, 사포나이트계 점토 광물 및 무수 실리카 미분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 중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제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전분, 덱스트린, 벤토나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중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제형·제법에 따라서는 액체 담체, 고체 담체나 계면활성제가 결합제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특별히 결합제를 첨가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착색제로서는, 산화철이나 산화티탄 등의 무기 안료; 알리자린 염료, 아조 염료, 또는 금속 프탈로시아닌 염료 등의 유기 안료; 적색 2호, 적색 3호, 적색 40호, 적색 102호, 적색 104호, 적색 105호, 적색 106호, 황색 4호, 황색 5호, 녹색 3호, 청색 1호, 또는 청색 2호 등의 식용 색소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소포제로서는, 오일계, 금속 비누계, 실리콘계 등이 있고, 이들 중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다.
상기 동결방지제로서는, 에틸렌글리콜이나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킬렌글리콜계나 글리세린, 우레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다.
상기 방진균제로서는 소르빈산칼륨, p-클로로-메타자일레놀 및 p-옥시벤조산부틸, p-히드록시벤조산에스테르, 살리실산 유도체 및 1,2-벤조티아졸린-3-온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이들 중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유동성 개량제로서는, 화이트 카본(비정질 규소, 규산칼슘)이나 유동 파라핀 등의 고점성 액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착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나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수용성 고분자, 아세트산비닐이나 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 에멀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중 1종 단독이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제형에 따라서는 상기 액체 담체, 고체 담체, 계면활성제, 결합제 등이 고착제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특별히 고착제를 첨가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제제 보조제로서는, 여기에 나타낸 제제 보조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각종 보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계면활성제 등의 제제 보조제는 필요에 따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관한 화합물(유효 성분)의 함유량(상기 본 발명에 관한 화합물이 2종 이상인 경우 이들의 합계량, 이하 동일)로서는, 사용 목적이나 처리 방법에 따르는 것이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8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또는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가 상기 기타 유해 생물 방제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경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기타 유해 생물 방제제의 혼합 비율은, 적절하게 넓은 범위에 걸쳐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또는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가 상기의 농원예상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함유하는 경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상기 담체의 혼합 비율은, 적절히 넓은 범위에 걸쳐 변경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의 조성으로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1) 습윤제 및/또는 분산제(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를 0.6~30 중량%, 분말상 고체 담체를 20~95 중량% 함유하는 수화제(wettable powder)인 조성,
(1')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10~70 중량%, 습윤제 및/또는 분산제(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를 0.6~20 중량%, 분말상 고체 담체를 10~89.4 중량% 함유하는 수화제(wettable powder)인 조성,
(2) 습윤제 및/또는 분산제(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및 결합제를 총 0.6~30 중량%, 분말상 고체 담체를 20~95 중량% 함유하는 과립상 수화제(water dispersible granule) 인 조성,
(2')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0.2~50 중량%, 습윤제 및/또는 분산제(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및 결합제를 총 0.6~30 중량%, 분말상 고체 담체를 20∼99.2 중량% 함유하는 과립상 수화제(water dispersible granule)인 조성,
(3) 습윤제 및/또는 분산제(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증점제, 동결 방지제, 방진균제, 및 소포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제 보조제를 5~40 중량 %, 액체 담체인 물을 20~94 중량% 함유하는 플로어블제(flowable formulation)인 조성,
(3')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10 내지 70 중량%, 습윤제 및/또는 분산제(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증점제, 방진균제, 동결 방지제, 소포제, 및 고착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제 보조제를 5~28 중량%, 액체 담체인 물을 2~85 중량% 함유하는 플로어블제(flowable formulation)인 조성,
(4) 유화제(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를 1~30 중량%, 액체 담체인 유기 용매를 20~97 중량% 함유하는 유제(emulsifiable concentrate)인 조성,
(4')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10~70 중량%, 유화제(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를 1~25 중량%, 액체 담체인 유기 용매를 5~89 중량% 함유하는 (emulsifiable concentrate)인 조성,
(5) 분말상 고체 담체를 70~99.8 중량% 함유하는 분제(dust)인 조성,
(5') 본 발명에 관한 화합물을 10~80 중량%, 분말상 고체 담체를 10~90 중량% 함유하는 분제(dust) 또는 분말제(powder formulation)인 조성,
(6) 용제 또는 결합제를 0.2~10 중량%, 입상 고체 담체를 70~99.6 중량% 함유하는 분립제(dust-granule mixture)인 조성,
(6')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0.1~20 중량%, 용제 또는 결합제를 0.2~10 중량%, 입상 고체 담체를 70~99.7 중량% 함유하는 분립제(dust-granule mixture) 인 조성,
(7) 습윤제 및/또는 분산제(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및 결합제를 총 0.5~30 중량%, 분말상 고체 담체를 20~98 중량% 함유하는 압출형 입제(Extruded granule)인 조성,
(7')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0.1~20 중량%, 습윤제 및/또는 분산제(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및 결합제를 총 0.5~30 중량%, 분말상 고체 담체를 50∼99.4 중량%, 함유하는 압출형 입제(Extruded Granule)인 조성,
(8) 습윤제 및/또는 분산제(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분말상 고체 담체, 및 결합제를 총 0.5~30 중량%, 입상 고체 담체를 20~98 중량% 함유하는 피복형 입제(Coated granule)인 조성,
(8')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0.1~20 중량%, 습윤제 및/또는 분산제(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분말상 고체 담체, 및 결합제를 총 0.5~30 중량%, 입상 고체 담체를 50~99.4 중량% 함유하는 피복형 입제(Coated Granule)인 조성,
(9) 막재와, 유화제 및 분산제(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및 방진균제를 총 1∼50 중량%, 액체 담체인 물을 20∼98 중량%, 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제(micro capsule)인 조성,
(9') 막재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0.1~20 중량%, 유화제 및 분산제(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및 방진균제를 총 1~50 중량%, 액체 담체인 물을 30~98.9 중량%, 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제(microcapsule)인 조성.
이들 중에서도, 농원예상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함유하는 조성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 (3'), (5'), (6'), (7'), (8') 조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로서는, 각각, 상기 식물의 종자를 처리하기 위한 종자 처리제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또는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와, 상기 기타 유해 생물 방제제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방제제와의 조합이 제공된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각 제제의 제제 형태를 조제해 두고, 사용할 때에, 이들을 그 자리에서 혼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합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제는 제1 조성물로서 제공되고, 기타 유해 생물 방제제를 함유하는 제제는 제2 조성물로서 제공된다. 이 경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은, 상기한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절한 담체 및/또는 제제 보조제를 사용하여 임의의 제형일 수 있다. 조합물은 약물 세트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선충 방제 방법 및/또는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 방법으로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제1 조성물과, 기타 유해 생물 방제제 중 적어도 1종 또는 이를 함유하는 제2 조성물 및 처리될 영역에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각 성분을 동시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서, "동시에" 적용하는 것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제1 조성물 및 기타 유해 생물 방제제 중 적어도 1종 또는 제2 조성물을 처리될 영역에 적용하기 전에 혼합하여 그 혼합물을 적용하는 것도 포함된다. “개별적으로” 적용하는 것에는, 이들을 미리 혼합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제1 조성물을 기타 유해 생물 방제제 중 적어도 1종 또는 제2 조성물보다 먼저 적용하는 것, 전자를 후자보다 나중에 적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제1 조성물과, 기타 유해 생물 방제제의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 조성물을 처리 될 영역에 적용하는 공정를 포함하는,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및/또는 쌍떡잎식물의 성장 촉진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및/또는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으로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본 발명의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 또는 상기 조합물의 유효량을, 그대로, 혹은 희석하여, 상기 대상,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의 종자 또는 토양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을 방제하기 위한(바람직하게는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으로부터 상기 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및/또는 쌍떡잎식물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본 발명의 쌍떡잎식물의 성장 촉진제, 또는 상기 조합물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본 발명의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 또는 상기 조합물로 상기 대상을 처리하는 수단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종자 처리, 토양 처리를 들 수 있다.
상기 종자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침지법, 분의법, 도말법, 분사법, 펠릿법, 피막법, 훈증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침지법은, 액상의 약제(본 발명에 관한 화합물,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본 발명의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 또는 상기 조합물, 이하 동일) 중에 종자를 침지하는 방법으로, 상기 분의법에는, 건조상의 종자에 분상의 약제를 부착시키는 건분의법과, 가볍게 물에 담긴 종자를 분상의 약제를 부착시키는 습분의법이 있다.
상기 도말법은, 소정량의 약제의 수화제에, 소량의 물 및 임의의 색소를 첨가하고, 교반기 상에서 수십초간 교반시킨 후, 방제제로 씌워진 균일한 작물 종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법은 종자 표면에 약제를 분무하는 방법이다.
또한, 종자를 충전제와 함께 일정한 크기·형태로 펠렛화할 때, 충전물에 약제를 혼합하여 처리하는 상기 펠릿법이나, 약제를 포함하는 필름을 종자에 코팅하는 상기 피막법, 밀폐 용기 내에 가스화 된 약제에 의해 종자를 소독하는 상기 훈증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파종시에 약제를 파종 고랑의 토양 및 종자에 직접 살포하는 방법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본 발명의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 또는 상기 조합물은, 상기 종자 이외에, 발아 후, 또는, 토양으로부터의 출아 후에 이식되는, 발아한 식물 및 유식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침지에 의한 전체 또는 일부의 처리에 의해, 이식 전에 이들 식물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토양 처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관한 화합물,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본 발명의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제, 또는 상기 조합물을, 토양 중 또는 토양 상에 적용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토양 처리로는, 혼화 처리, 살포 처리, 띠(帶), 고랑 및 이식 구멍 적용 처리(밭고랑 내 토양 살포 처리, in furrow 처리를 포함함) 등의 처리 방법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처리 방법으로서는, 혼화 처리, 살포 처리, 및 고랑 및 이식 구멍 적용 처리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화 처리에서는, 입제인 약제를 표층 15~25 cm의 토양 중에 수동 및 기계로 혼화시킴으로써, 식물의 재배 중에 있어서의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을 방제할 수 있다. 또한, 파종 및 종우를 이식할 때, 토양 표층의 이식 고랑 내에 약제를 식물체 및 토양 양쪽에 살포 처리함으로써,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을 방제할 수도 있다. 또한, 약물을 토양에 관주하여 적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토양 처리 방법이다.
이들 이외에도, 바람직한 대상의 처리 방법의 예로서, 야채, 및 화훼류의 생산을 위한, 수경 재배 및 사경, NFT(Nutrient Film Technique), 암면(rock wool) 재배등의 고형 배지 경재배와 같은 양액 재배 시스템에 있어서의 양액에 대한 약제의 첨가나, 벼 육묘용의 육묘 상자에 대한 약제의 시용(상토혼화 등)을 들 수 있다. 버미큘라이트를 포함하는 인공 배토 및 육묘용 인공 매트를 포함하는 고형 배지에 약제를 직접 적용하는 방법도 들 수 있다.
상기 대상이 식물이고 그 줄기부에 살포 처리에 의해 적용하는 경우, 또는 상기 대상이 상기 식물에 기생하고 있는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인 경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처리량(즉 유효량: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2종 이상인 경우에는 이들의 합계량, 이하 동일)로서는 경지 10 아르(are)당 0.1 g~10 kg인 것이 바람직하고, 1 g~1000 g 인 것이 qhek 바람직하다.
상기 대상이 식물의 종자인 경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처리량(유효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종자 1 kg당 0.01 g ~ 100 g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 20 g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g ~ 20 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g ~ 15 g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종자에 부착되는 유효량(코팅 중에 존재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량)으로서는, 0.002 ~ 10 mg/종자의 범위 내이며, 바람직하게는 0.1 mg ~ 5.0 mg/종자이다.
상기 대상이 토양 또는 토양 이외의 배양 담체(수경 재배, 사경, NFT(Nutrient Film Technique), 암면 재배 등의 양액; 인공 배토, 육묘용 인공 매트 등의 고형 배지 등)인 경우, 상기 본 발명에 관한 화합물의 처리량(유효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토양 10 아르당 0.1 g ~ 1000 g이며, 바람직하게는 1 g ~ 100 g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로서 제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분제·분말제]
식 (1)의 화합물
50 중량%
클레이
34 중량%
화이트 카본
5 중량%
황산칼슘
11 중량%
상기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분쇄하여 분의용 분제를 얻었다.
제제예 2 [분제·분말제]
식 (2)의 화합물
50 중량%
클레이
34 중량%
화이트 카본
5 중량%
황산칼슘
11 중량%
상기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분쇄하여 분의용 분제를 얻었다.
제제예 3 [수화제]
식 (1)의 화합물
30 중량%
클레이
60중량%
화이트 카본
4 중량%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2 중량%
나프탈렌술폰산염포르말린축합물나트륨
4 중량%
상기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분쇄하여 수화제를 얻었다.
제제예 4 [플로우어블제]
식 (1)의 화합물
50.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
5.0 중량%
라우릴 황산나트륨
2.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0.0 중량%
잔탄검
0.3중량%
1,2-벤조티아졸린-3-온
0.05 중량%
실리콘계 소포제
0.2중량%
색소
3.0 중량%
물
29.45 중량%
상기 배합으로부터 잔탄검, 1,2-벤조티아졸린-3-온 및 적량의 물을 제외한 전량을 예비 혼합한 후, 습식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그 후, 잔탄검, 1,2-벤조티아졸린-3-온 및 잔량의 물을 첨가하여 플로우어블제를 얻었다.
제제예 5 [입제·피복형 입제]
식 (1)의 화합물
2.0 중량%
규사
85.1 중량%
라우릴 황산나트륨
0.5 중량%
리그닌술폰산나트륨
0.5중량%
화이트 카본
0.5 중량%
유동 파라핀
1.2중량%
색소
0.2 중량%
카올린
10.0 중량%
상기 성분 중, 식 (1)의 화합물, 라우릴황산나트륨, 리그닌술폰산나트륨, 화이트 카본, 색소, 카올린을 균일하게 혼합 분쇄하여 분쇄물을 얻었다. 규사에 유동 파라핀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습윤시킨 후, 상기 분쇄물을 규사에 균일하게 혼합하여 피복하여 입제를 얻었다.
(시험예 1)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e) 방제 시험(약액 침지)
24웰 플레이트의 각 구멍에, 종농도 0.1% 아세톤 및 소정 농도의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2)가 되도록 조제한 약액 1 mL를 각각 넣고, 이것에 고구마뿌리혹선충 2기 유충 20~30 마리를 방사하고, 25℃ 암소에서 정치하였다. 약액 첨가 2일 후의 생존, 고심충 수를 계측하고, 하기 식에 의해 고심사충률을 산출하였다.
(고심사충률 산출식)
고심사충률 = (사망충 수+고심충 수)/(전체방사충 수)×100
그 결과, 화합물 (1) 및 화합물 (2)의 둘 다에서, 10 ppm의 농도에서 90% 이상의 고심사충률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2) 콩씨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 방제 시험(약액 침지)
24웰 플레이트의 각 구멍에, 종농도 0.1% 아세톤 및 소정 농도의 화합물 (1)이 되도록 조제한 약액 1 mL를 각각 넣고, 이것에 콩씨스트선충 2기 유충 20~30마리를 방사하고, 25℃ 암소에서 정치했다. 약액 첨가 2일 후의 생존, 고심충 수를 계측하였다. 또한, 화합물 (1)을 처리하 않은 무처리군 있어서의 생존, 고심충 수도 마찬가지로 계측하고, 하기 식에 의해 보정 사충률을 산출하였다.
(보정 사충률 산출식)
보정 사충률(%) = {(처리군 사충률-무처리군 사충률)/(100-무처리군 사충률)}×100
그 결과, 화합물 (1)에 있어서는 10 ppm의 농도에서 100%의 보정 사충률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3)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방제 시험(토양 관주)
멸균 토양을 충전한 3 cm의 스티롤 컵에 오이 종자를 1립씩 파종하였다. 발아 후, 토양에 관주했을 때에 화합물 (1)이 100 ppm이 되도록 10% 아세톤수로 조제한 약액을 3mL씩 토양에 관주하였다. 1시간 경과 후 고구마뿌리혹선충 2기 유충 용액 200마리/mL를 1mL/pot씩 접종하였다. 접종 21일 후에 오이 뿌리의 뿌리혹 형성 정도를, 하기 6단계의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으로 육안 조사로 분류하여, 뿌리혹 지수를 산출했다. 또한, 화합물 (1)을 처리하지 않은 처리군(무처리)의 경우의 뿌리혹 지수도 마찬가지로 산출하였다. 각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뿌리혹 지수 산출식)
뿌리혹 지수=(0×a+1×b+2×c+3×d+4×e+5×f)/((a+b+c+d+e+f)×5)×100
a: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0에 해당하는 그루 수, b: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1에 해당하는 그루 수, c: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2에 해당하는 그루 수, d: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3에 해당하는 그루 수, e: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4에 해당하는 그루 수, f: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5에 해당하는 그루 수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0… 뿌리혹이 전혀 인지되지 않음
1… 약간 인지되지만 피해는 눈에 띄지 않는 정도
2… 인지되지만, 큰 뿌리혹은 적음
3… 크고 작은 뿌리혹을 포함하여 다수 인지됨
4… 큰 뿌리혹이 다수 인지됨 (50% 이하)
5… 큰 뿌리혹에 의해 뿌리가 굵어짐 (50% 이상)
처리군 | 뿌리혹 지수 |
미처리 | 76 |
화합물 (1) | 0 |
(시험예 4) 오이 약해 시험(종자 분의)
멸균 토양을 충전한 3cm의 스티롤 컵에, 제제예 1 또는 제제예 2에 나타낸 분의용 분제로,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2)의 처리량이 소정량이 되도록 분의 처리한 오이 종자를 1립씩 파종하였다. 파종 10일 후에 발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제제예 1(화합물 (1)) 또는 제제예 2(화합물 (2)) 대신에 Fluensulfone로 처리한 종자를 파종한 경우, 및 어느 화합물로도 처리하지 않은 종자를 파종한 경우(무처리)의 경우의 발아율도 마찬가지로 산출했다. 각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처리군 | 유효성분의 처리량 [mg/seed] |
파종수 | 발아수 | 발아율 [%] |
미처리 | - | 5 | 5 | 100 |
화합물 (1) | 0.5 | 5 | 5 | 100 |
화합물 (2) | 0.5 | 5 | 5 | 100 |
Fluensulfone | 0.5 | 5 | 0 | 0 |
(시험예 5)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방제 시험 1(종자 분의)
멸균 토양을 충전한 3cm의 스티롤 컵에, 제제예 1에 나타낸 분의용 분제로, 화합물 (1)의 처리량이 소정량이 되도록 분의 처리한 오이 종자를 1립씩 파종하였다. 파종 10일 후에 고구마뿌리혹선충 2기 유충 용액 200마리/mL를 종자 1립에 대해 1 mL씩 접종하였다. 접종 21일 후에 오이 뿌리의 뿌리혹 형성 정도를, 하기 6단계의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으로 육안 조사로 분류하여, 뿌리혹 지수를 산출했다. 또한, 제제예 1(화합물 (1)) 대신에 Paraherquamide A를 처리한 종자를 파종한 경우, 어느 화합물도 처리하지 않은 종자를 파종한 경우(무처리)의 경우의 뿌리혹 지수도 마찬가지로 산출하였다. 각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a: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0에 해당하는 그루 수, b: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1에 해당하는 그루 수, c: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2에 해당하는 그루 수, d: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3에 해당하는 그루 수, e: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4에 해당하는 그루 수, f: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5에 해당하는 그루 수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0… 뿌리혹이 전혀 인지되지 않음
1… 약간 인지되지만 피해는 눈에 띄지 않는 정도
2… 인지되지만, 큰 뿌리혹은 적음
3… 크고 작은 뿌리혹을 포함하여 다수 인지됨
4… 큰 뿌리혹이 다수 인지됨 (50% 이하)
5… 큰 뿌리혹에 의해 의해 뿌리가 굵어짐 (50% 이상)
처리군 | 유효성분의 처리량 [mg/seed] |
뿌리혹 지수 |
무처리 | - | 100 |
화합물 (1) | 0.5 | 8 |
Paraherquamide A | 0.5 | 44 |
(시험예 6) 고구마씨트러스선충(Rotylenchulus Reniformis) 방제 시험(종자 분의)
제제예 1에 나타낸 분의용 분제에, 유전자 재조합 대두 종자, 소량의 물 및 청색 색소를 첨가하고, 교반기 상에서 수십초간 교반하는 것에 의하여, 이 분제로 균일하게 도말된 유전자 재조합 대두 종자를 얻었다. 이 대두 종자를 미리 고구마씨트러스선충의 알과 유충을 접종한 토양에 파종했다. 파종 80일 후 토양 500 mL에 서식하는 고구마씨트러스선충의 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제제예 1(화합물 (1))로 처리하지 않은 종자를 파종한 경우(무처리)도 마찬가지로 측정하였다. 각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처리군 | 유효성분의 처리량 [mg] |
토양 선충 수 [vs 무처리] |
화합물 1(1) | 2.0 | 53.8 |
무처리 | - | 100 |
(비교 시험예 1) 닭회충(Asacaridia galli) 방제 시험(in vitro)
링거액을 이용하여 소정 농도의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2)가 되도록 조제한 약액 10 mL내에, 각각, 닭회충 6마리를 투하하고, 42℃의 워터 배스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개시로부터 24시간 후의 생존충수를 계측하고, 사충률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1) 및 화합물 (2) 모두에서, 50 ppm의 농도에서 0%의 사충률을 나타내어, 화합물 (1) 및 화합물 (2)는 동물 내부 기생성 선충에 대해 전혀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 시험예 2) 브라질구충(Nipposronglus brassiliensis) 방제 시험(in vitro)
브라질구충을 래트에 감염시켜 감염 래트를 제작했다. 감염 래트 3마리에, 소정 농도의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2)가 되도록 조제한 약액을 각각 경구 투여하고, 투여 7일 후의 랫트 소장 중의 브라질구충을 입체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방제 효과를 판정했다.
그 결과, 화합물 (1) 및 화합물 (2) 모두에서, 20 mg/kg으로 투여한 래트에서는 방제 효과가 확인되지 않아, 화합물 (1) 및 화합물 (2)는 동물 내부 기생성 선충에 대하여 전혀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 시험예 3)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방제 시험(in vitro)
소나무재선충 방제 시험으로서, 면구 시험법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우선, 탈지면의 면구(직경 5 mm)를 곤충침으로 고정하고,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2)가 2000 ppm이 되도록 조정한 메탄올 용액을 마이크로 피펫으로 주입하였다. 데시케이터 내에서 약 30분간 감압하여 용매를 증발 제거하여 시료 면구로 했다. 또한, 검정균인 잿빛곰팡이를 감자 덱스트로스 한천 배지를 넣은 페트리 접시에서 22℃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페트리 접시의 중앙에 상기 시료 면구를 두고 여기에 소나무재선충 1500 마리(용액 100 μL) 주입하였다. 이 접시를 26℃에서 5일간 배양하고, 하기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잿빛곰팡이의 섭식도를 평가했다. 또한, 화합물 (1) 또는 (2) 대신에 Morantel을 사용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각 평가 결과(스코어)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스코어 1 : 섭식에 영향 없음 (효과 없음)
스코어 2: 섭식도 41% 이상
스코어 3: 섭식도 21~40%
스코어 4: 섭식도 20% 이하
스코어 5:섭식 없음 (효과 큼)
시험 화합물 | 유효 성분의 처리량 [μg/면구] |
처리농도 [ppm] |
스코어 |
화합물 (1) | 20 | 200 | 1 |
화합물 (2) | 20 | 200 | 1 |
Morantel | 5 | 50 | 5 |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가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에 대해 특이적으로 우수한 방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7) 대두 생육 영향 시험(종자 분의)
제제예 1에 나타낸 분의용 분제에, 유전자 재조합 대두 종자, 소량의 물 및 청색 색소를 첨가하고, 교반기 상에서 수십초간 교반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 분제로 균일하게 도말된 유전자 재조합 대두 종자를 얻었다. 이 대두 씨앗을 미리 고구마뿌리혹선충의 알과 유충을 접종한 토양에 파종했다. 파종 80일 후에 줄기부의 풀 길이 및 줄기부의 중량을 측정하여 화합물 (1)의 대두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제제예 1(화합물 (1)) 대신에 아바멕틴 제제(Avitcta Complete, Syngenta사 제조)로 처리한 종자를 파종한 경우, 및 어느 화합물에서도 처리하지 않은 종자를 파종한 경우(무처리)의 줄기부의 풀 길이, 줄기부의 중량도 마찬가지로 측정하였다. 각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또한, 표 6에는, 무처리의 경우를 100으로 한 경우의 풀 길이의 상대값(vs무처리)도 함께 나타낸다.
처리군 | 유효성분의 처리량 [mg/seed] |
풀 길이 [cm] |
vs 무처리 | 중량 [g] |
화합물 (1) (분제) |
1.0 | 42 | 150 | 11.4 |
2.0 | 53 | 189.29 | 17.7 | |
아바멕틴 제제 (Avicta Complete) |
0.151 | 21 | 75 | 11.8 |
무처리 | - | 28 | 100 | 8.0 |
또한, 상기와 동일하게 처리한 대두 종자를 고구마뿌리혹선충 대신 콩씨스트선충 또는 고구마씨트러스선충의 알 및 유충을 접종한 토양에 파종하고, 파종 80일 후에 줄기부의 풀 길이, 및 줄기부의 중량을 측정한 결과, 상기와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시험예 8) 오이 생육 영향 시험
제제예 1에 나타낸 분의용 분제에, 오이 종자, 소량의 물을 첨가하고, 교반시켜, 이 분제로 균일하게 도말된 오이 종자를 얻었다. 이 오이 종자를 고구마뿌리혹선충으로 오염된 토양에 파종하였다. 파종 49일 후에 줄기부의 초장을 측정하고, 화합물 (1)의 오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제제예 1(화합물 (1))로 처리하지 않은 종자를 파종한 경우(무처리)의 줄기부의 풀 길이도 마찬가지로 측정하였다. 각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낸다. 또한, 표 7에는, 무처리의 경우를 100으로 한 경우의 초장의 상대값(vs무처리)도 함께 나타낸다.
처리군 | 유효성분의 처리량 [mg/seed] |
풀 길이 [cm] |
vs 무처리 |
화합물 (1) (분제) |
1.0mg | 15.68 | 169.15 |
2.0mg | 27.10 | 292.34 | |
무처리 | - | 9.27 | 100 |
(비교 시험예 4) 밀 생육 영향 시험
24웰 플레이트의 각 구멍에, 종농도 10% 아세톤 및 소정의 농도의 화합물 (1)이 되도록 조정한 약액 200 μL를 각각 넣고, 이것에 발아가 끝난 밀의 뿌리부를 침지시켰다. 침지 3일 후에 줄기부의 풀 길이를 측정하여, 화합물 (1)의 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화합물 (1)로 처리하지 않은 종자를 파종한 경우(무처리)의 줄기부의 풀 길이도 마찬가지로 측정하였다. 각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표 8에는, 무처리의 경우를 100으로 한 경우의 초장의 상대값(vs무처리)도 함께 나타낸다.
처리군 | 처리농도 [ppm] |
풀 길이 [cm] |
vs 무처리 |
화합물 (1) (분제) |
50 | 9.87 | 106.1 |
100 | 9.20 | 98.9 | |
200 | 9.20 | 98.9 | |
무처리 | - | 9.30 | 100 |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는 식물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나타내고, 나아가 쌍떡잎 식물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우수한 생육 촉진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밝혀졌다.
(시험예 9)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방제 시험 2
육묘 배토를 충전한 9cm 포트에, 제제예 1에 나타낸 분의용 분제로, 화합물 (1)의 처리량이 소정량이 되도록 분의 처리한 오이 종자를 1립씩 파종하였다. 파종 13일 후에 고구마뿌리혹선충으로 오염된 농장에 모종을 정식하고, 정식 27일 후에 오이 뿌리의 뿌리혹 형성 정도를 일반사단법인 일본식물방역협회의 수탁시험의 시험법에 따라, 아래의 5단계의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으로 육안 조사로 분류하고, 뿌리혹 지수를 산출했다. 또한, 제제예 1 대신에 플루오피람 0.5% 입제(비람 입제, 바이엘사 제)를 혼화 처리한 토양에 종자의 파종을 수행한 것 이외는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뿌리혹 지수를 산출했다. 또한, 어느 화합물도 처리하지 않은 종자를 파종한 경우(무처리)의 뿌리혹 지수도 마찬가지로 산출하였다. 또한, 각 군에 있어서 24그루 또는 25그루를 조사하고, 결과는 그 평균으로 하였다. 각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낸다. 표 9 중, 투하약량은 재배 면적당 화합물량을 나타낸다(이하 동일).
(뿌리혹 지수 산출식)
뿌리혹 지수=(0×a+1×b+2×c+3×d+4×e)/((a+b+c+d+e)×4)×100
a: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0에 해당하는 그루 수, b: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1에 해당하는 그루 수, c: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2에 해당하는 그루 수, d: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3에 해당하는 그루 수, e: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4에 해당하는 그루 수
(뿌리혹 형성 정도 구별 기준)
0 ... 근계 전체에 뿌리혹이 전혀 인지되지 않음
1 … 잔뿌리에 뿌리혹이 약간 인지됨
2 … 잔뿌리에 다소 뿌리혹이 인지됨
3 … 주근에도 뿌리혹이 인지됨
4 … 뿌리혹이 특히 많고 큼
처리군 | 유효성분 | 뿌리혹 지수 | |
처리량 | 투하약량 | ||
무처리 | - | - | 50 |
화합물 (1)(분제) | 2 mg/seed | 25 g/ha | 7.4 |
플루오피람 0.5% 입제 (비람 입제) |
20 kg/10a | 1000 g/ha | 5.6 |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는,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하여, 종래의 대조 약제를 통상의 사용법으로 사용했을 경우의 투하약량의 40분의 1의 저약량으로, 상기 대조 약제와 동등한 높은 피해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시험예 10) 딸기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penetrans) 방제 시험(종자 분의)
제제예 1에 나타낸 분의용 분제로, 화합물 (1)의 처리량이 소정량이 되도록 분의 처리한 왜무 종자를 1립씩, 딸기뿌리썩이선충에 오염된 농장에 파종하였다. 파종 77일 후에 수확하고, 근부의 가해흔수를 하기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지수화하였다. 다음 식에 따라 약제 처리군의 근부 피해도를 산출했다. 또한, 제제예 1 대신에 이미시아포스 1.5% 입제(네마킥 입제, 아그로카네쇼사제)를 혼화 처리한 토양에 종자의 파종을 수행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근부 피해도를 산출 하였다. 또한, 어느 화합물로도 처리하지 않은 종자를 파종한 경우(무처리)의 근부 피해도도 마찬가지로 산출하였다. 또한, 각 군에 있어서는 20주×2 반복, 총 40그루의 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는 그 평균으로 하였다. 각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낸다.
(근부 피해도 산출식)
근부 피해도 = (0×a+1×b+2×c+3×d+4×e)/((a+b+c+d+e)×4)×100
a: 근부 피해 지수 기준 0에 해당하는 주수, b: 근부 피해 지수 기준 1에 해당하는 주수, c: 근부 피해 지수 기준 2에 해당하는 주수, d: 근부 피해 지수 기준 3에 해당하는 주수, e: 근부 피해 지수 기준 4에 해당하는 주수
(근부 피해 지수 기준)
0… 가해흔 없음
1… 가해흔의 수가 1~5
2… 가해흔의 수가 6~10
3… 가해흔의 수가 11~20
4… 가해흔의 수가 21 이상
처리군 | 유효성분 | 근부 피해도 | |
처리량 | 투하약량 | ||
무처리 | - | - | 43.8 |
화합물 (1) | 2 mg/seed | 160 g/ha | 26.3 |
이미시아포스 1.5% 입제 (네마킥 입제) |
15 kg/10a | 2250 g/ha | 14.4 |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는, 딸기뿌리썩이선충에 대해서도, 종래의 대조 약제를 통상의 사용법으로 사용했을 경우의 투하약량의 14분의 1 이하의 저약량으로, 이 대조약과 동등한 높은 피해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 선충 방제 방법은, 비표적 생물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또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 효과를 발휘하는 선충 방제제 및 선충 방제 방법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선충 방제제 및 선충 방제 방법에 의하면, 쌍떡잎식물에 대해서 특이적인 생육 촉진 효과도 발휘하기 때문에, 곡류, 콩류, 설탕 제조용 녹초류, 야채류, 과수류 등의 농작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두, 오이, 왜무 등의 작물의 수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6)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렌쿠스 상과(Tylenchoidea)의 식물 기생성 선충이, 멜로이도기네(Meloidogyne) 속, 헤테로데라(Heterodera) 속, 로틸렌쿨루스(Rotylenchulus) 속, 및 프란틸렌쿠스(Prantylenchus)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생성 선충인,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말상 고체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분제 또는 분말제인,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입상 또는 분말상 고체 담체 및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입제 또는 분립제인,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체 담체, 계면활성제 및 증점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플로우어블(flowable)제인,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말상 고체 담체 및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수화제인,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제.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용 제제이기도 한,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틸렌쿠스 상과(Tylenchoidea)의 식물 기생성 선충이, 멜로이도기네(Meloidogyne) 속, 헤테로데라(Heterodera) 속, 로틸렌쿨루스(Rotylenchulus) 속, 및 프란틸렌쿠스(Prantylenchus)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생성 선충인,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 제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이, 틸렌쿠스 상과의 식물 기생성 선충, 식물, 토양 및 토양 이외의 배양 담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이 토양 또는 토양 이외의 배양 담체이고, 상기 유효량이 상기 토양 10 아르 당 0.1 g ~ 1000 g 인,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이 식물의 종자이고, 상기 유효량이 상기 식물의 종자 1 kg 당 0.01 g ~ 100 g 인,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유효량으로 쌍떡잎식물, 토양 및 토양 이외의 배양 담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대상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 방법이기도 한,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틸렌쿠스 상과(Tylenchoidea)의 식물 기생성 선충이, 멜로이도기네(Meloidogyne) 속, 헤테로데라(Heterodera) 속, 로틸렌쿨루스(Rotylenchulus) 속, 및 프란틸렌쿠스(Prantylenchus)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생성 선충인, 용도.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는 쌍떡잎식물의 생육 촉진용 제제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9-098327 | 2019-05-27 | ||
JP2019098327 | 2019-05-27 | ||
PCT/JP2020/020955 WO2020241702A1 (ja) | 2019-05-27 | 2020-05-27 | 植物寄生性センチュウ防除剤及び植物寄生性センチュウの防除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2879A true KR20220012879A (ko) | 2022-02-04 |
Family
ID=7355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41285A KR20220012879A (ko) | 2019-05-27 | 2020-05-27 |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및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225618A1 (ko) |
EP (1) | EP3977856A4 (ko) |
JP (2) | JPWO2020241702A1 (ko) |
KR (1) | KR20220012879A (ko) |
CN (1) | CN113891655A (ko) |
AU (1) | AU2020285210A1 (ko) |
BR (1) | BR112021017847A8 (ko) |
CA (1) | CA3138985A1 (ko) |
CL (1) | CL2021002950A1 (ko) |
CO (1) | CO2021015286A2 (ko) |
IL (1) | IL288168A (ko) |
PE (1) | PE20220286A1 (ko) |
WO (1) | WO2020241702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45383A (ja) | 1997-03-04 | 1998-09-14 | Hideo Hayashi | アスペルパラリン、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殺虫剤 |
KR20100071219A (ko) | 2008-12-19 | 2010-06-29 | 박대기 | 밀봉 구조의 병뚜껑 제조방법과 그 물품 |
KR20100071218A (ko) | 2008-12-19 | 2010-06-29 | 정언지 | 커버를 잘라낼 수 있는 원통형 초크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56165A1 (ja) | 2007-06-21 | 2008-12-24 | Meiji Seika Kaisha, Ltd. | 16-ケトアスペルギルイミドを有効成分とする農園芸用殺虫剤 |
CN102325452A (zh) * | 2008-12-19 | 2012-01-18 | 明治制果药业株式会社 | 16-酮曲霉酰亚胺类和包含它们作为有效成分的有害生物控制剂 |
US20110263520A1 (en) * | 2008-12-19 | 2011-10-27 | Ryo Horikoshi | Composition for use in controlling harmful organisms that contains 16-keto aspergillimide |
-
2020
- 2020-05-27 US US17/607,917 patent/US20220225618A1/en active Pending
- 2020-05-27 EP EP20815276.9A patent/EP3977856A4/en active Pending
- 2020-05-27 BR BR112021017847A patent/BR112021017847A8/pt unknown
- 2020-05-27 WO PCT/JP2020/020955 patent/WO202024170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5-27 CN CN202080038857.6A patent/CN113891655A/zh active Pending
- 2020-05-27 CA CA3138985A patent/CA3138985A1/en active Pending
- 2020-05-27 PE PE2021001782A patent/PE20220286A1/es unknown
- 2020-05-27 KR KR1020217041285A patent/KR20220012879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0-05-27 JP JP2021522823A patent/JPWO2020241702A1/ja active Pending
- 2020-05-27 AU AU2020285210A patent/AU2020285210A1/en active Pending
-
2021
- 2021-11-08 CL CL2021002950A patent/CL2021002950A1/es unknown
- 2021-11-12 CO CONC2021/0015286A patent/CO2021015286A2/es unknown
- 2021-11-16 IL IL288168A patent/IL288168A/en unknown
-
2024
- 2024-06-26 JP JP2024103114A patent/JP2024129071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45383A (ja) | 1997-03-04 | 1998-09-14 | Hideo Hayashi | アスペルパラリン、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殺虫剤 |
KR20100071219A (ko) | 2008-12-19 | 2010-06-29 | 박대기 | 밀봉 구조의 병뚜껑 제조방법과 그 물품 |
KR20100071218A (ko) | 2008-12-19 | 2010-06-29 | 정언지 | 커버를 잘라낼 수 있는 원통형 초크 |
Non-Patent Citations (5)
Title |
---|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2000, 64 (1), 111-115 |
PLoS ONE 6(4), e18354(2011) |
Tetrahedron Letters, 1997, 38(32), 5655-5658 |
The Journal of Antibiotics, 1997, 50 (10), 840-846 |
농약의 창제 연구의 동향, 주식회사 시엠시 출판, 2018년, 제7장, p. 128~13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225618A1 (en) | 2022-07-21 |
CL2021002950A1 (es) | 2022-06-24 |
CO2021015286A2 (es) | 2021-11-19 |
JP2024129071A (ja) | 2024-09-26 |
AU2020285210A1 (en) | 2022-02-03 |
BR112021017847A8 (pt) | 2023-01-17 |
BR112021017847A2 (ko) | 2021-11-30 |
WO2020241702A1 (ja) | 2020-12-03 |
PE20220286A1 (es) | 2022-02-25 |
EP3977856A1 (en) | 2022-04-06 |
CN113891655A (zh) | 2022-01-04 |
EP3977856A4 (en) | 2023-01-25 |
IL288168A (en) | 2022-01-01 |
JPWO2020241702A1 (ko) | 2020-12-03 |
CA3138985A1 (en) | 2020-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132549B (zh) | 动物用体外寄生虫长效防除剂 | |
JP5313869B2 (ja) | 有害生物防除用組成物 | |
JP5254957B2 (ja) | 殺線虫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 |
JP6748735B2 (ja) | 植物病害の防除能を有する微生物 | |
UA128352C2 (uk) | (гетеро)арилімідазольна сполука і агент для контролю шкідників | |
RU2756530C1 (ru) | Композици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го и садового фунгицида | |
UA128289C2 (uk) | Пестицидні суміші, які містять індазоли | |
JP7491919B2 (ja) | フルピリミンを含有するイネ害虫防除用固形製剤 | |
JPWO2010071218A1 (ja) | 16−ケトアスペルギルイミドを含む有害生物防除用組成物 | |
KR20190096995A (ko) | 시클라닐리프롤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용 고형 조성물 | |
JP4234196B2 (ja) | 16−ケトアスペルギルイミドを有効成分とする農園芸用殺虫剤 | |
KR20220012879A (ko) |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및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 |
WO2017115782A1 (ja) | 有害生物防除用組成物 | |
KR102678723B1 (ko) | 이미노피리딘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해 생물 방제용 조성물 | |
WO2016080148A1 (ja) | 有害生物防除用組成物 | |
KR101820010B1 (ko) | 살선충 효능을 갖는 신규 엔테로박터 속 hk169균주 및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제 | |
KR101795850B1 (ko) | 2-(1-undecyloxy)-1-ethan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비 및 살선충제 조성물 | |
KR20170043151A (ko) | 황산구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 | |
TW201609680A (zh) | 環狀縮酚肽(cyclic depsipeptide)衍生物及含該衍生物所成之有害生物防治劑 | |
JP2017165655A (ja) | 新規農園芸用殺菌剤pf1451物質およびその製造法 | |
KR20160144549A (ko) | 1-undecan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비 및 살선충제 조성물 | |
KR20170046880A (ko) | 2-(1-alkyloxy)-1-ethanol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