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880A - 2-(1-alkyloxy)-1-ethanol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 - Google Patents

2-(1-alkyloxy)-1-ethanol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880A
KR20170046880A KR1020150147001A KR20150147001A KR20170046880A KR 20170046880 A KR20170046880 A KR 20170046880A KR 1020150147001 A KR1020150147001 A KR 1020150147001A KR 20150147001 A KR20150147001 A KR 20150147001A KR 20170046880 A KR20170046880 A KR 20170046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anol
nematodes
alkyloxy
composition
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명
김준헌
박정규
이동운
정영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바이오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바이오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바이오비전
Priority to KR102015014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6880A/ko
Publication of KR20170046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8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1-alkyloxy)-1-ethanol의 제조방법과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뿌리혹선충 또는 소나무재선충에 처리한 결과 2-(1-alkyloxy)-1-ethanol의 유도체는 살선충제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원예와 화훼 및 수목 등에 큰 피해를 주는 뿌리혹선충 및 소나무재선충을 방제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2-(1-alkyloxy)-1-ethanol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Nematocide composition comprising 2-(1-alkyloxy)-1-ethanol derivatives}
본 발명은 2-(1-alkyloxy)-1-ethanol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예, 화훼 등에 큰 피해를 주는 뿌리혹선충과 소나무류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 등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가지는 살선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충은 인간의 생활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해를 주는 곤충의 총칭으로, 해충의 방제법은 가장 원시적으로 손으로 포살하는 방법부터 초단파, 초음파, 감압, 광선, 온습 등에 의한 물리적 방제법과 살충제, 훈증제, 기피제, 유인제, 불임제 등에 의한 화학적 방제법 및 기생곤충, 포식곤충, 기생충, 곤충바이러스 등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법, 작물의 경작기 변경 등에 의한 경종적 방제법 등이 연구되어 있다(doopedia, 두산백과). 이 중에서 대표적인 해로운 선충으로는 당근, 수박, 토마토, 고추 등 300여종의 작물의 뿌리에 혹을 만들어 수분과 양분의 흡수능력을 저하시키는 혹선충과 뿌리혹선충류, 강원지역의 배추 재배지에서 피해가 발생되는 사탕무시스트선충, 소나무류를 3개월 이내에 고사시킬 수 있는 소나무재선충 등이 있다.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은 1850년대 영국에서 재배중인 오이 뿌리혹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90종 이상이 보고되었다(Perry, R.N. et al., Root-knot nematode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London, P488, 2009). 뿌리혹선충은 분포가 매우 광범위하며 아열대지방에서 피해가 특히 심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뿌리혹선충은 토양에 서식하면서 식물 뿌리에 침입하여 뿌리 내부에 기생하며 영양분을 흡수하고 혹(gall)을 형성하여 식물의 수분과 양분의 흡수를 저하시켜 영양결핍 증상이 발생시킨다(Kim, H.H. et al., Antagonistic plant survey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in greenhouses, Korean, J. Appl. Entomol., 37, P91-95, 1998). 또한 뿌리혹선충은 주로 노지나 시설재배지의 수박, 참외, 오이, 토마토, 멜론 등의 과채류와 당귀, 더덕, 인삼, 천궁과 같은 약용식물 등 넓은 범위의 경제작물에 큰 피해를 일으키고 있으며(Lim, J.R. et al., 2005. Occurrence of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Codonopsis lanceolata field and its damaged by Meloidogyne hapla, Korean J. Appl. Entomol., 44, P317-323, 2005) 농림축산식품부에 등록된 2011년도 통계자료에 의하면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채소류의 재배면적(260,507 ha) 중 과채류의 재배면적은 54,012 ha로써 그 중 약 80%를 차지하는 43,664 ha가 시설재배를 하고 있다. 최근 시설재배 면적이 증가하면서 겨울 동안에도 연작 재배함으로써 아열대 지방에 적응하는 뿌리혹선충의 발생이 심하고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은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등 몇몇 하늘소에 의하여 매개되어 소나무를 고사시키는 치명적인 병으로 소나무속 뿐만 아니라 전나무속, 가문비나무속, 잎갈나무속의 일부 수종에도 해를 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소나무재선충은 북미대륙 토착종으로서 원산지에서는 저항성을 가지고 있으나 국내 지역의 소나무류는 저항성이 없어 극심한 피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다(Burgdahl, D.R. et al., Impact of pinewood nematode in North America:Present and future, J. Nematol., 20, P260-265, 1988).
사탕무시스트선충은 검역대상해충으로 관리되어 왔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강원지역의 배추 재배지에서 피해가 최초로 발생되어 검역당국에서는 박멸을 목적으로 방제작업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특별한 방제약제가 없어 방제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또한, Aphelenchida목 Parasitaphelenchidae과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은 소나무속(Pinus)뿐만 아니라 전나무속(Abies), 가문비나무속(Picea), 잎갈나무속(Larix) 등을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나무재선충은 딱정벌레목 하늘소과 Monochamus속에 속하는 하늘소류에 의해 매개되는데,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류는 감염된 지 불과 3개월 이내에 완전히 고사되는 병이다. 살선충제로는 뿌리혹선충 방제제로 다조멧, 비펜트린, 카두사포스, 포스티아제이트, 메탐소듐 등이 있고, 소나무재선충 예방약제로는 모란텔타트레이트, 밀베멕틴, 아바멕틴, 에마멕틴벤조에이트 등이 있다(작물보호제 지침서 2012. 한국작물보호협회). 이들 약제는 주로 국외에서 개발되어 생산된 약제를 수입하여 분포장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고 국내에서 개발된 약제는 전무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소나무재선충병 예방약제는 효과는 뛰어나나 약제가 고가이므로 피해면적 전체를 대상으로 예방기에는 방제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보다 저렴하면서 효과가 우수한 약제 개발 등 실용화에 노력은 하고 있으나 지금까지는 적용가능한 약제는 개발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 약제들은 국내에서 개발된 바 없으며 국외에서 개발되어 생산된 약제를 수입하여 단가가 비싸며 이를 분포장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농가 해충 피해 방제를 위한 경제적이고 살선충 효과가 뛰어난 제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뿌리혹선충 및 소나무재선충 등에 대한 살선충제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본 발명자들의 2-(1-undecyloxy)-1-ethan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비 및 살선충제 조성물이 대한민국 출원특허 제10-2015-0080669호로 출원한 바 있고, 본 발명자들이 1-undecan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비 및 살선충제 조성물을 대한민국 출원특허 제10-2015-0080670호로 출원한 바 있다. 또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의 발생예찰 및 대량포획에 의한 소나무재선충의 방제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0827호에 개시된 바 있으나 2-(1-alkyloxy)-1-ethanol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 및 그 합성법에 대하여는 암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2-(1-alkyloxy)-1-ethanol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2-(1-alkyloxy)-1-ethanol을 합성하고 이와 함께 그의 유도체를 정제수에 희석하여 희석제를 제조하고 이를 뿌리혹선충 또는 소나무재선충에 처리하여 그 살선충활성을 평가함으로써 달성한다.
본 발명은 2-(1-alkyloxy)-1-ethanol의 유도체를 살선충제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원예와 화훼 및 수목 등에 큰 피해를 주는 뿌리혹선충 및 소나무재선충을 방제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살선충제 조성물로는 2-(1-alkyloxy)-1-ethanol의 유도체 2-(1-dodecyloxyl)-1-ethanol, 2-(1-decyloxy)-1-ethanol, 2-(1-nonyloxy)-1-ethanol, 2-(1-octyloxy)-1-ethanol, 2-(1-heptyloxy)-1-ethanol, 2-(1-tridecyloxy)-1-ethanol의 군에서 선택되어지는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살선충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Na를 이용한 합성법로 합성하여 소나무재선충과 뿌리혹선충의 방제제로서의 가능성을 검정하였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2-(1-alkyloxy)-1-ethanol은 다른 물질을 첨가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지만 살선충제상의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사용하기에 좋은 형상으로 제제화하여 사용가능하다. 즉, 2-(1-alkyloxy)-1-ethanol을 불활성 담체 또는 보조제와 함께 적당한 비율로 배합하여 용해, 분리, 현탁, 혼합, 함침, 흡착 또는 부착시켜 적절한 제형, 예컨대 현탁제, 유제, 액제, 수화제, 과립수화제, 입제, 분제, 정제, 팩제 등으로 제제하여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불활성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고체의 담체로 될 수 있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콩가루, 곡물가루, 목분, 나무껍질가루, 톱가루, 담배줄기가루, 호도나무껍질가루, 밀기울, 섬유소 분말, 식물 엑기스 추출 후의 찌꺼기, 분쇄 합성 수지 등의 합성 중합체, 점토류(예컨대 카올린,벤토나이트, 산성 백토 등), 탈크류(예컨대, 탈크, 파이로필라이트 등), 실리카류[예컨대 규조토, 규사, 운모, 화이트카본(함수 미분 규소, 함수 규산이라고도 불리는 합성 고분산 규산으로, 제품에 따라 규산칼슘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도 있음)], 활성탄, 황 분말, 경석, 소성규조토, 벽돌 분쇄물, 비산회, 모래, 탄산칼슘, 인산칼슘 등의 무기 광물성 분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플라스틱 담체, 유안, 인안,초안, 요소, 염안 등의 화학 비료, 퇴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액체의 담체로 될 수 있는 재료로서는 그 자체 용매능을 갖는 것 외에 용매능을 갖지 않아도 보조제의 도움으로 유효 성분 화합물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되며, 예컨대, 물, 알코올류(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등), 케톤류(예컨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 이소부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에테르류(예컨대, 에틸에테르, 디옥산, 셀로솔브, 디프로필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 지방족 탄화수소류(예컨대, 등유, 광유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예컨대, 벤젠, 톨루엔, 크실렌, 솔벤트나프타, 알킬나프탈렌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류(예컨대,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염소화벤젠 등), 에스테르류(예컨대, 초산에틸, 디이소프로필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등), 아미드류(예컨대,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니트릴류(예컨대, 아세토니트릴 등), 디메틸설폭시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유효 성분 화합물의 유화, 분산, 가용화 및/또는 습윤의 목적을 위해서 유화제가 사용되며, 예컨대, BFC30, HP11, CP11EA, CO25, CO10, Triton X-100 등의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또, 유효 성분 화합물의 분산 안정화, 점착 및/또는 결합의 목적을 위해서 다음에 예시하는 보조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카세인, 젤라틴, 전분,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라비아검, 폴리비닐알코올, 송근유, 당유, 벤토나이트, 리그닌술폰산염 등의 보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고체 제품의 유동성 개량을 위해서 다음에 예로 드는 보조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왁스,스테아르산염, 인산알킬에스테르 등의 보조제를 사용할 수 있다. 현탁성 제품의 해교제로서, 예컨대 나프탈렌술폰산 축합물, 축합인산염 등의 보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소포제로서는, 예컨대, 실리콘유 등의 보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방부제로서는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파라클로로메타크실레놀,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등도 첨가할 수 있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서 기능성 전착제, 피페로닐부톡사이드 등의 대사 분해 저해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동결방지제, BHT(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등의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가할 수도 있다.
유효 성분인 2-(1-alkyloxy)-1-ethanol의 배합 비율은 필요에 따라서 가감할 수 있으며, 전체 100 중량부 중, 0.01∼90 중량부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해서 사용하면 되며, 예컨대, 유제, 수화제, 분제 또는 입제로 하는 경우는 0.01∼50 중량%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살선충제 조성물은 각종 선충을 방제하기 위해서 그대로 또는 물 등으로 적절하게 희석 또는 현탁시킨 형태로 사용하면 좋다. 본 발명의 살선충제 조성물의 사용량은 여러 가지 인자, 예컨대 목적, 대상 병해, 작물의 생육 상황, 병해의 발생 경향, 날씨, 환경 조건, 제형, 시용 방법, 시용 장소, 시용 시기 등에 따라 변동 되지만 유효 성분 화합물로서 10 아르당 0.001 g∼10 kg, 바람직하게는 0.01 g∼1 kg의 범위에서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상기의 선충류로서는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자바니카뿌리혹선충(Meloidogyne javanica),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 등의 뿌리혹선충(Meloidogyne)속 선충류, 감자썩이선충(Ditylelenchus destructor), 마늘줄기선충(Ditylelenchusdipsaci) 등의 줄기구근선충(Ditylelenchus)속 선충류, 딸기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penetrans), 국화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fallax), 커피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cffeae), 차나무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loosi), 사과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vulnus) 등의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속 선충류, 감자시스트선충(Globodera rostochiensis), 감자흰시스트선충(Globodera pallida) 등의 감자시스트선충(Globodera)속 선충류, 콩시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 사탕무시스트선충(Heterodera shachtoii) 등의 콩시스트선충(Heterodera)속 선충류, 벼이삭선충(Aphelenchoides besseyi), 국화잎선충(Aphelenchoides ritzemabosi), 딸기잎선충(Aphelenchoides fragarieae) 등의 잎선충(Aphelenchoides)속 선충류, 귀리둥근꼬리선충(Aphelenchus avenae)등의 둥근꼬리선충(Aphelenchus)속 선충류, 바나나뿌리썩이선충(Radopholus similis) 등의 뿌리썩이선충(Radopholus)속 선충류, 귤나무선충(Tylenchulus semipenetrans) 등의 감귤선충(Tylenchulus)속 선충류, 고구마선충(Rotylenchulus reniformis) 등의 고구마선충(Rotylenchulus)속 선충류, 수목 중에 생식하는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등의 선충류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이다.
본 발명 살선충제 조성물의 용도는 선충의 발생이 예측되는 대상 식물, 그 종자 또는 파종하기 위한 재배 담체 등에 통상의 방법을 적용하여 사용하면 되며 벼 육묘 상자 시용, 종자 분의 등의 시용 방법, 종자 소독법, 식혈 처리, 주원 처리, 작조 처리, 토양 혼화 등의 시용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고 과수, 곡류, 야채 등의 밭농사에 있어서 발생하는 각종 선충에 대해서는 분의나 침지 시 종자의 처리, 묘근의 침지 처리, 파종 시 작조, 육묘용 재배 용기나 식혈 및 주원의 육묘 담체에 관주, 표면 살포, 혼화 처리 등 후관수와 같이 식물에 흡수시켜 사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또 수경 재배에 있어서의 수경액에 처리 하여도 좋다.
이밖에도 상기 살선충제 조성물은 방제 대상 병해충과 방제 적기의 확대를 위해서 또는 약량의 저감을 도모할 목적으로 다른 살균제, 살충제, 살진드기제, 살선충제, 생물 농약 등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 사용 장소에 따라서는 제초제, 식물 성장 조절제, 비료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다른 살균제는, 예컨대 황, 석회황합제, 염기성 황산동, 이프로벤포스, 에디펜포스, 톨클로포스·메틸, 타이람, 폴리카바메이트, 지네브, 만제브, 만코제브, 프로피네브, 티오파네이트, 티오파네이트메틸, 베노밀, 이미녹타딘초산염, 이미녹타딘알베실산염, 메프로닐, 플루톨라닐, 펜시쿠론, 푸라메트피르, 티플루자마이드, 메탈락실, 옥사딕실, 카프로파미드, 디클로플루아니드, 플루술파미드, 클로로탈로닐, 크레속심·메틸, 페녹사닐, 히멕사졸, 에크로메졸, 플로오로이미드, 프록시미돈, 빈클로졸린, 이프로다이온, 트리아디메폰, 비터타놀, 트리플루미졸, 이프코나졸, 플루코나졸, 프로피코나졸, 디페노코나졸, 미클로부타닐,테트라코나졸, 헥사코나졸, 테부코나졸, 티아디닐, 이미벤코나졸, 프로클로라즈, 페푸라조에이트, 시프로코나졸, 이소프로티올란, 페나리몰, 피리메타닐, 메파니피림, 피리페녹스, 플루아지남, 트리포린, 디클로메진, 아족시스트로빈, 티아디아진, 캡탄, 프로베나졸, 아시벤졸라-S 메틸, 프탈라이드, 트리시크라졸, 피로퀴론, 퀴노메티오네이트, 옥소리닉산, 디티아논, 카스가마이신, 발리다마이신, 폴리옥신, 블라스티사이딘, 스트렙토마이신 등을 들 수 있다.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는 살충제, 살진드기제, 살선충제로서는, 예컨대, 에티온, 트리클로르폰, 메타미도포스, 아세페이트, 디클로르보스, 메빈포스, 모노크로토포스, 말라티온, 디메토에이트, 포르모티온, 메카밤, 바미도티온, 티오메톤, 디설포톤, 옥시데프로포스, 날레드, 메틸파라티온, 페니트로티온, 시아노포스, 프로파포스, 펜티온, 프로티오포스, 프로페노포스, 이소펜포스, 테메포스, 펜토에이트, 디메틸빈포스, 클로르펜빈포스, 테트라클 로빈포스, 폭심, 이속사티온, 피라클로포스, 메티다티온,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피리다펜티온, 디아지논, 피리미포스메틸, 포살론, 포스메트, 디옥사벤조포스, 퀴날포스, 테르부포스, 에토프로포스, 카두사포스, 메설펜포스, DPS(NK-0795), 포스포카브, 페나미포스, 이소아미도포스, 포스티아제이트, 이사조포스, 에토프로포스, 펜티온, 포스티에탄, 디클로펜티온, 티오나진, 술프로포스, 펜설포티온, 티아미다포스, 피레트린, 알레트린, 프랄레트린, 레스메트린, 퍼메트린, 테플루트린, 비펜트린, 펜프로파트린, 사이퍼메트린, 알파사이퍼메트린, 사이할로트린, 람다사이할로트린, 델타메트린, 아크리나트린, 펜발러레이트, 에스펜발러레이트, 시클로프로트린, 에토펜프록스, 할펜프록스, 실라플루오펜, 플루시트리네이트, 플루발리네이트, 메소밀, 옥사밀, 티오디카브, 알디카브, 알라니카브, 칼탭, 메톨카브, 크실리카브, 프로폭술, 페녹시카브, 페노부카브, 에티오펜카브, 페노티오카브, 비페나제이트, BPMC(2-sec-부틸페닐-N-메틸카바메이트), 카바릴, 피리미카브, 카보푸란, 카보설판, 푸라티오카브, 벤푸라카브, 알독시카브, 디아펜티우론, 디플루벤주론, 테플루벤주론, 헥사플루무론, 노발루론, 루페누론, 플루페녹수론, 클로르플루아주론, 산화펜부타주석, 수산화트리시클로헥실주석, 올레인산나트륨, 올레인산칼륨,메토프렌, 하이드로프렌, 바이나파크릴, 아미트라즈, 디코폴, 켈센, 클로르벤질레이트, 페니소브로모레이트, 테트라디폰, 벤설탑, 벤조메이트, 테부페노자이드, 메톡시페노자이드, 피리다릴, 메타플루미존, 플루벤디아미드, 크로마페노자이드, 프로파가이트, 아세퀴노실, 엔도설판, 디오페놀란, 클로르페나피르, 펜피록시메이트, 톨펜피라드, 피프로닐, 테부펜피라드, 트리아자메이트, 에톡사졸, 헥시티아족스, 황산니코틴, 나이텐피람, 아세타미프리드, 티아클로프리드,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푸란, 플루아지남, 피리프록시펜, 히드라메틸논, 피리미디펜, 피리다벤, 시로마진, TPIC(트리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피메트로진, 클로펜테진, 부프로페진, 티오시클람, 페나자퀸, 퀴노메티오네이트, 인독사카브, 폴리낙틴(polynactin) 복합체, 밀베멕틴, 아바멕틴, 에마멕틴 벤조에이트, 스피노사드, BT(바실러스·투린기엔시스), 아자디락틴, 로테논, 히드록시프로 필전분, 염산레바미솔, 메탐·소디움, 타르타르산모란텔, 다조멧, 트리클라미드, 바스토리아(Pasteuria penetrans), 모나크로스포륨·피마토파검(Monacrosporium phymatopagum)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초제로서는, 예컨대 글리포사이트, 술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비알라포스, 부타미포스, 에스프로카브, 프로술포카브, 벤티오카브, 피리부티카브, 아슐람, 리누론, 다이므론, 이소우론, 벤술푸론메틸, 시클로술파무론, 시노술푸론, 피라조술푸론에틸, 아짐술푸론, 이마조술푸론, 테닐클로르, 알라클로르, 프레틸라클로르, 클로메프로프, 에토벤자니드, 메페나셋, 펜디메탈린, 비페녹스, 아시플루오펜, 락토펜, 시할로포프부틸, 이옥시닐, 브로모부티드, 알록시딤, 세톡시딤, 나프로파미드, 인다노판, 피라졸레이트, 벤조페납, 피라플루펜에틸, 이마자피르, 술펜트라존, 카펜스트롤, 펜톡사존, 옥사디아존, 파라콰트, 디콰트, 피리미노박, 시마진, 아트라진, 디메타메트린, 트리아지플람, 벤푸레세이트, 플루티아세트메틸, 퀴잘로포프·에틸, 벤타존, 과산화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1> 2-(1- alkyloxy )-1-ethanol의 합성
(1) 2-(1- alkyloxy )-1-ethanol의 합성
2-(1-undecyloxy)-1-ethanol은 하늘소과의 Monochamus속의 집합페로몬으로 합성이 가능하다. 그러나 위 방법은 용매인 DMF를 건조시켜야 하며 상대적으로 고가인 NaH를 사용하기에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저가인 Na을 사용하여 하기 단계를 통해 1-bromoalkane과 ethylene glycol을 이용하여 2-(1-alkyloxy)-1-ethanol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구체적으로는 0℃로 냉각한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0.4 mole에 나트륨 (Na) 0.15 mole을 첨가 후, 60℃로 가열하여 나트륨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상기에서 얻은 용액에 1-브로모운데칸 0.125 mole을 조금씩 30분에 걸쳐 첨가한 후, 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상기 반응물에 물을 넣어 반응을 멈추고 에테르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추출물은 포화식염수로 세척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추출물은 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테르를 모두 증발시키고 이를 통해 얻은 조합성물을 증류하였다. 이후 증류하여 얻은 화합물은 실리카겔 컬럼을 이용하여 분획하여 2-(1-alkyloxy)-1-ethanol을 수득하였다.
(2) 공시재료
공시재료로 사용한 2-(1-alkyloxy)-1-ethanol의 유도체는 하기와 같다.
Figure pat00002

< 실시예 2 > 살선충 활성 검정에 사용된 소나무재선충 준비
본 발명에 사용된 소나무재선충은 곰솔 10년생에 선충을 접종하여 증식시킨 다음 선충에 의해 고사된 나무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깔때기법으로 선충을 분리 검출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뿌리혹선충은 선충감염토양에 참외를 식재하여 60일간 재배한 후 선추에 의한 감염된 뿌리를 채취하여 선충의 난낭을 분리하여 사온에서 부화시켜 갓 부화한 유충을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시험예 1>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활성 검정
본 발명에 사용된 소나무재선충은 곰솔 10년생에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하여 증식시킨 다음 선충에 의해 고사된 나무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베르만방법(Baerman funnel method)으로 선충을 분리 검출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뿌리혹선충은 선충 감염 토양에 참외를 식재하여 60일간 재배한 후 선충에 의한 감염된 뿌리를 채취하여 선충의 난낭을 분리하여 상온에서 부화시켜 갓 부화한 유충을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유화제(BFC30)를 증류수 500 mL에 0.1 mL량으로 희석한 용액에 공시화합물을 50 mL conical tube를 이용하여 102, 103, 104, 105배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공시화합물을 24마이크로웰플레이트의 각 웰마다 1 mL씩 넣고 선충 100마리/0.01 mL를 접종하였다. 24시간 후 실체현미경에서 선충의 치사유무를 조사하여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무처리구는 유화제 (BFC30) 5,000배액만 처리하여 대조구로 하였다.
실험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nonyloxy)-1-ethanol, 2-(1-decylox)-1-ethanol, 2-(1-dodecyloxy)-1-ethanol 화합물은 10,000배 희석액에서 살선충률 100%를 보였고, 2-(1-dodecyloxy)-1-ethanol 화합물은 100,000배 처리에서도 96.8%의 살선충 효과를 보였다.
2-(1- alkyloxy )-1-ethanol 공시화합물의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효과
화합물 희석배수별 살선충률(평균%±표준편차)
x100 x1,000 x10,000 x100,000 -
2-(1-heptyloxy)-1-ethanol 100 100 20.0±4.5 0.9±1.3 -
2-(1-octyloxy)-1-ethanol 100 100 41.6±6.7 13.1±3.6 -
2-(1-nonyloxy)-1-ethanol 100 100 100 5.4±4.9 -
2-(1-decyloxy)-1-ethanol 100 100 100 51.1±9.7 -
2-(1-undecyloxy)-1-ethanol 100 100 100 81.5±7.9 -
2-(1-dodecyloxy)-1-ethanol 100 100 100 96.8±1.2 -
2-(1-tridecyloxy)-1-ethanol 100 100 12.6±4.9 3.4±2.0 -
무처리 - - - - 2.4±0.9
< 실시예 3 > 살선충 활성 검정에 사용된 뿌리혹선충 준비
살선충 활성 검정에 사용된 뿌리혹선충은 진주 지역 뿌리혹 선충 상습발생지 토양에 참외를 식재하여 60일간 증식시킨 후 참외뿌리를 채취하여 난낭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난낭은 비이커에 담아 상온에 보관하면서 부화한 유충을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 시험예 2> 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활성 검정
공시 화합물을 conical tube에 각 희석배수별로 희석하여 24마이크로웰플레이트의 각 웰마다 1 mL씩 넣고 선충 100마리/0.01 mL를 접종하였다. 24시간 후 실체현미경에서 선충의 치사유무를 조사하여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무처리구는 유화제 5,000배 액만 처리하여 대조구로 하였다. 실험결과, 뿌리혹선충에 대해서는 소나무재선충에 비해 살선충효과가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2-(nonyloxy)-1-ethanol화합물과 2-(1-decyloxy)-1-ethanol화합물 1,000배 처리구에서 각각 99.4%와 93.3%의 살선충 효과를 보였다.
공시화합물의 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효과
화합물 희석배수별 살선충률(평균%±표준편차)
x100 x1,000 x10,000 x100,000 -
2-(1-heptyloxy)-1-ethanol 100 1.7±19 1.8±16 2.0±2.1 -
2-(1-octyloxy)-1-ethanol 100 66.7±0.8 0.6±1.0 1.9±2.0 -
2-(nonyloxy)-1-ethanol 100 99.4±1.0 5.0±3.4 1.0±1.7 -
2-(1-decyloxy)-1-ethanol 100 93.3±3.9 0.7±1.2 1.1±2.0 -
2-(1-undecyloxy)-1-ethanol 100 85.6±1.7 1.9±1.7 0.6±1.1 -
2-(1-dodecyloxy)-1-ethanol 86.3±6.7 58.2±1.6 7.2±2.1 2.7±0.8 -
2-(1-tridecyloxy)-1-ethanol 33.0±3.5 2.2±1.4 1.8±0.6 0.4±0.7 -
무처리 - - - - 1.0±1.0
본 발명은 2-(1-alkyloxy)-1-ethanol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규한 살선충제 조성물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원예와 화훼 및 수목 등에 큰 피해를 주는 뿌리혹선충과 소나무류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는 소나무재선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함으로써 농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2-(1-alkyloxy)-1-ethanol 및 그 유도체 2-(1-heptyloxy)-1-ethanol, 2-(1-octyloxy)-1-ethanol, 2-(nonyloxy)-1-ethanol, 2-(1-decyloxy)-1-ethanol, 2-(1-dodecyloxy)-1-ethanol, 2-(1-tridecyloxy)-1-ethanol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특징인 살선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선충제 조성물은 소나무재선충 또는 뿌리혹선충에 대해 선택적인 살선충 활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살선충제 조성물.
  3.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이 불활성 담체 또는 보조제를 더 함유하는 살선충제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현탁제, 유제, 액제, 수화제, 과립수화제, 입제, 분제, 정제 및 팩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살선충제 조성물.
KR1020150147001A 2015-10-21 2015-10-21 2-(1-alkyloxy)-1-ethanol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 KR20170046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001A KR20170046880A (ko) 2015-10-21 2015-10-21 2-(1-alkyloxy)-1-ethanol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001A KR20170046880A (ko) 2015-10-21 2015-10-21 2-(1-alkyloxy)-1-ethanol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848A Division KR20170092142A (ko) 2017-07-28 2017-07-28 2-(1-alkyloxy)-1-ethanol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880A true KR20170046880A (ko) 2017-05-04

Family

ID=5874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001A KR20170046880A (ko) 2015-10-21 2015-10-21 2-(1-alkyloxy)-1-ethanol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68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6060B2 (ja) 組成物、植物の成長に有益で又は植物有害生物に対する保護をもたらすための方法及び植物種子
KR101050445B1 (ko) 살선충제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TWI373310B (ko)
EA020654B1 (ru) Пестицидные комбинации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CN105638701B (zh) 一种杀线虫组合物及其用途
TW201642747A (zh) 含新菸鹼類、擬除蟲菊酯及阿維菌素殺蟲劑之增效殺蟲組合物
JP4932160B2 (ja) 有害生物防除組成物並びに有害生物の防除方法
KR102033104B1 (ko) 알피니아 갈랑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Joseph Lethal and sublethal effects of organically-approved insecticides against Bagrada hilaris (Hemiptera: Pentatomidae)
CN111903697A (zh) 一种杀菌组合物
CN115067341B (zh) 一种杀线虫组合物
TWI714636B (zh) 協同性殺蟲組合物
KR101795850B1 (ko) 2-(1-undecyloxy)-1-ethan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비 및 살선충제 조성물
KR20170092142A (ko) 2-(1-alkyloxy)-1-ethanol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
KR20170043151A (ko) 황산구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
KR20170046880A (ko) 2-(1-alkyloxy)-1-ethanol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선충제
JPS6368505A (ja) 農業用殺虫殺菌組成物
JP2017078026A (ja) 害虫の防除方法及び防除剤
KR20190084673A (ko) N,n-디메틸 데칸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4402951A (en) Insecticidal composition
WO2024105626A1 (en) Synergistic fung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picoxystrobin and thiophanate methyl and method related thereto
CN105557721B (zh) 一种杀虫组合物
CN106689203B (zh) 一种作物病虫害防除组合物
KR20220012879A (ko) 식물 기생성 선충 방제제 및 식물 기생성 선충의 방제 방법
KR20160144549A (ko) 1-undecan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비 및 살선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