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365A -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365A
KR20220011365A KR1020200090163A KR20200090163A KR20220011365A KR 20220011365 A KR20220011365 A KR 20220011365A KR 1020200090163 A KR1020200090163 A KR 1020200090163A KR 20200090163 A KR20200090163 A KR 20200090163A KR 20220011365 A KR20220011365 A KR 20220011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electronic device
pattern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민석
신성영
신현창
양병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0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1365A/ko
Priority to PCT/KR2021/007948 priority patent/WO2022019497A1/ko
Priority to EP21845371.0A priority patent/EP4170456A4/en
Priority to CN202180059060.9A priority patent/CN116157763A/zh
Publication of KR2022001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365A/ko
Priority to US18/155,415 priority patent/US2023015634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01L27/32
    • H01L51/5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4Arrangements for heating and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90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방향에서 활성화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 1 투과율을 갖고 상기 카메라 장치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상기 카메라 장치의 화각에 대응하는 화각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활성화 영역(active area), 및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낮은 제 2 투과율을 갖는 제 2 활성화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불투명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을 포함하고, 상기 불투명 마스크는 상기 화각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 1 부분, 및 상기 화각 영역의 외곽 경계를 지정된 폭을 갖고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DEVICE AND DISPLA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 장치는 그 기능 및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출시되고 있으며, 넓은 시인성 확보와 조작의 편의성을 위한 대화면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주변 또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면적을 확장하기 위해서, 카메라 장치를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영역(active area) 주변(예: 아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에서 활성화 영역 중, 카메라 장치와 중첩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은 표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카메라 장치가 요구하는 투과율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주변(예: 카메라 장치와 중첩되는 일부 영역의 주변) 보다 픽셀들 및/또는 배선들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장치와 중첩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은, 픽셀들 및/또는 배선들의 밀도가 낮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영역은 투과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를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영역(active area) 아래에 배치한 전자 장치는, 상기 투과 영역에서 픽셀들 및/또는 배선들(예: 금속)이 불규칙한 배치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카메라 장치로 유입되는 광에서 다양한 진동수를 갖는 회절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회절이 발생되면, 상기 유입되는 광의 주파수(예: 공간 주파수(spatial frequency))별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가 선형(예: linear)적이지 않고, 곡선형(예: sine wave)으로 출렁이는 현상(예: 일반적으로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현상은 카메라 장치의 이미지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Cu, Al, Mg, SUS 또는 CLAD(예: SUS와 Al이 교번하여 배치된 적층 부재)의 재질로 형성되는 금속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시트는 전자 장치의 강성을 높이고,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시트는 전자 장치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고, 구겨짐이 발생하면 디스플레이의 외관 불량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로 유입되는 광의 회절을 감소시켜 이미지 품질을 개선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배치되는 금속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두께를 감소할수 있고, 구겨짐으로 인한 디스플레이의 외관 불량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방향에서 활성화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 1 투과율을 갖고 상기 카메라 장치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상기 카메라 장치의 화각에 대응하는 화각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활성화 영역(active area), 및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낮은 제 2 투과율을 갖는 제 2 활성화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불투명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을 포함하고, 상기 불투명 마스크는 상기 화각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 1 부분, 및 상기 화각 영역의 외곽 경계를 지정된 폭을 갖고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과한 외부의 광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를 위한 것으로서, 제 1 투과율을 갖고 상기 카메라 장치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상기 카메라 장치의 화각에 대응하는 화각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활성화 영역(active area), 및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낮은 제 2 투과율을 갖는 제 2 활성화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불투명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을 포함하고, 상기 불투명 마스크는 상기 화각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 1 부분, 및 상기 화각 영역의 외곽 경계를 지정된 폭을 갖고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과한 외부의 광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를 위한 것으로서, 제 1 투과율을 갖고 상기 카메라 장치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상기 카메라 장치의 화각에 대응하는 화각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활성화 영역(active area), 및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낮은 제 2 투과율을 갖는 제 2 활성화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제 2 방향에 부착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불투명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을 포함하고, 상기 불투명 마스크는 상기 화각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 1 부분, 상기 화각 영역의 외곽 경계를 지정된 폭을 갖고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 2 부분, 상기 제 1 활성화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의 외곽에 형성되는 제 3 부분, 및 상기 제 2 활성화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금속 시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 패널)에, 카메라 장치(또는 카메라 장치의 화각)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지정된 패턴을 포함하는 마스크층을 추가하고, 상기 지정된 패턴에 의해 카메라 장치로 유입되는 광의 회절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기 마스크층에서 상기 지정된 패턴들을 형성하는 불투명 마스크를 상기 투과 영역의 외곽으로도 확대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불투명 마스크가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금속 시트의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금속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두께를 감소할 수 있고, 금속 시트의 구겨짐으로 인한 디스플레이의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의 후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라인 ‘5-5’에서 바라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6’ 영역을 확대한 전자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7’ 영역을 확대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 1 활성화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의 불투명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 1 방향에서 볼 때, 마스크층의 불투명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의 불투명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제 1 방향에서 볼 때, 마스크층의 불투명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의 불투명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제 1 방향에서 볼 때, 마스크층의 불투명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의 불투명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제 1 방향에서 볼 때, 마스크층의 불투명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의 불투명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제 1 방향에서 볼 때, 마스크층의 불투명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의 불투명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제 1 방향에서 볼 때, 마스크층의 불투명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의 불투명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제 1 방향에서 볼 때, 마스크층의 불투명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의 불투명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제 1 방향에서 볼 때, 마스크층의 불투명 마스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인 폴딩(in folding) 방식으로 접히는 다른 실시예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예시이다.
도 18는 아웃 폴딩(out folding) 방식으로 접히는 다른 실시예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예시이다.
도 19은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예시이다.
도 20a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이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b는 디스플레이의 대부분이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전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후면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 1 면(또는 전면)(110A), 제 2 면(또는 후면)(110B), 및 제 1 면(110A) 및 제 2 면(1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10C)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은, 도 1의 제 1 면(110A), 제 2 면(110B) 및 측면(1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면(1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1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 면(1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1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110C)은, 전면 플레이트(102) 및 후면 플레이트(111)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118)(또는 "측면 부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111) 및 측면 베젤 구조(1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는, 상기 제 1 면(110A)으로부터 상기 후면 플레이트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제 1 영역(110D)을,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긴 엣지(long edge)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도 2 참조)에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는, 상기 제 2 면(110B)으로부터 상기 전면 플레이트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 연장된 제 2 영역(110E)을 긴 엣지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 또는 후면 플레이트(111)가 상기 제 1 영역(110D) 또는 제 2 영역(110E) 중 하나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면 플레이트(102)는 제 1 영역(110D) 및 제 2 영역(110E)을 포함하지 않고, 제 2 면(110B)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서 볼 때, 측면 베젤 구조(118)는, 상기와 같은 제 1 영역(110D) 또는 제 2 영역(110E)이 포함되지 않는 측면 쪽에서는 제 1 두께 (또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 1 영역(110D) 또는 제 2 영역(110E)을 포함한 측면 쪽에서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1), 입력 장치(103), 음향 출력 장치(107, 114), 센서 모듈(104, 119), 카메라 장치(105, 112, 113), 키 입력 장치(117), 인디케이터(미도시 됨), 및 커넥터(108, 1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100)는,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117), 커넥터(108, 109), 또는 인디케이터)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01)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102)의 적어도 일 부분을 통하여 보여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면(110A), 및 상기 측면(110C)의 제 1 영역(110D)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102)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1)의 적어도 일부가 보여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모서리를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의 인접한 외곽 형상과 대체로(substantially)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가 노출되는 면적을 확장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01)의 외곽과 전면 플레이트(102)의 외곽간의 간격이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의 표면(또는 전면 플레이트(102))은 디스플레이(101)가 시각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형성되는 화면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화면 표시 영역은 제 1 면(110A), 및 측면(110C)의 제 1 영역(110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110A, 110D)의 적어도 일부의 하부에 카메라 장치(105)가 배치되어, 카메라 장치(105)의 위치가 시각적으로 구별(또는 노출)되지 않고, 관련 기능(예: 이미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110A, 110D)을 z축 방향에서 볼 때, 카메라 장치(105)는 화면 표시 영역(110A, 110D)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게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외부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 장치(105)은 복수의 카메라 장치(105, 11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카메라 장치(105, 112)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 공간에서,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110A, 110D)과 시각적으로 구별(또는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예: 제 1 면(110A), 제1 영역(110D))의 일부에 리세스 또는 개구부(opening)를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 또는 상기 개구부와 적어도 일부 정렬되는 음향 출력 장치(114), 센서 모듈(104), 발광 소자(예: 플래시), 및 카메라 장치(1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의 배면에, 음향 출력 장치(114), 센서 모듈(119), 발광 소자(예: 플래시), 및 카메라 장치(1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0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모듈(104, 119)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키 입력 장치(11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영역(110D), 및/또는 상기 제 2 영역(110E)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103)는, 마이크(103)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입력 장치(103)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마이크(103)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07, 114)는 스피커들(107, 11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들(107, 114)은, 외부 스피커(107) 및 통화용 리시버(114)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마이크(103), 스피커들(107, 114) 및 커넥터들(108, 109)은 전자 장치(100)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하우징(1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하여 외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홀은 마이크(103) 및 스피커들(107, 114)을 위하여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음향 출력 장치(107, 114)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홀이 배제된 채, 동작되는 스피커(예: 피에조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04, 119)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4, 119)은,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 1 면(110A)에 배치된 제 1 센서 모듈(104)(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 2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 및/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제 2 면(110B)에 배치된 제 3 센서 모듈(119)(예: HRM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는 하우징(110)의 제 1 면(110A), 제 2 면(110B)의 일부 영역, 또는 디스플레이(10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105, 112)는, 전자 장치(100)의 제 1 면(110A)에 배치된 제 1 카메라 장치(105), 및/또는 제 2 면(110B)에 배치된 제 2 카메라 장치(112)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치들(105, 112)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5, 112)는 플래시(11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113)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렌즈들 (광각 렌즈, 초광각 렌즈 또는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상기 전자 장치(1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각 다른 속성(예: 화각) 또는 기능을 가진 복수의 카메라 장치들(예: 듀얼 카메라, 또는 트리플 카메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화각을 갖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105, 112)이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기반하여, 카메라 장치(105, 112)의 화각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카메라 장치(105, 112)들 중 적어도 하나는 광각 카메라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망원 카메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카메라 장치(105, 112)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장치(100)의 z축 방향인 전면을 향하는 전면 카메라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상기 전면과 반대인 후면을 향하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카메라 장치(105, 112)들은, 광각 카메라, 망원 카메라, 또는 IR(infrared) 카메라(예: TOF(time of flight) camera, structured light camer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IR 카메라는 센서 모듈(104, 119)의 적어도 일부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OF 카메라는 피사체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104, 119)의 적어도 일부로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 장치(117)는, 하우징(110)의 측면(110C)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117)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117)는 디스플레이(101) 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키 입력 장치(117)는 디스플레이(101)에 포함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 1 면(110A)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예: 발광 소자)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는,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105)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LED, IR LED 및 제논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홀(108, 109)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1 커넥터 홀(108),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커넥터 홀(또는 이어폰 잭)(109)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들(105, 112) 중 일부 카메라 장치(105), 센서 모듈(104, 119)들 중 일부 센서 모듈(104), 및/또는 인디케이터는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보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카메라 모듈(105), 센서 모듈(104), 및/또는 인디케이터는 전자 장치(100)의 내부 공간에서, 디스플레이(101)의, 전면 플레이트(102)까지 투명 영역을 통해 외부 환경과 접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센서 모듈(104)은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에서 전면 플레이트(102)를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도 1 및 도 2의 전자 장치(10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예: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는, 측면 부재(310)(예: 도 2의 측면 베젤 구조(118)), 제 1 지지 부재(311)(예: 브라켓 또는 지지 구조), 전면 플레이트(320)(예: 전면 커버, 도 1의 전면 플레이트(102)), 디스플레이(400)(예: 도 1의 디스플레이(101)), 인쇄 회로 기판(340)(예: PCB(printed circuit board), FPCB(flexible PCB), 또는 RFPCB(rigid flexible PCB)), 배터리(350), 제 2 지지 부재(360)(예: 리어 케이스), 안테나(370), 및 후면 플레이트(380)(예: 후면 커버, 도 2의 후면 플레이트(111))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300)는,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제 1 지지 부재(311), 또는 제 2 지지 부재(36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지지 부재(311)는, 전자 장치(300)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부재(310)와 연결될 수 있거나, 측면 부재(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 부재(311)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 부재(311)는, 일면에 디스플레이(330)가 결합되고 타면에 인쇄 회로 기판(340)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340)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34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370)는, 후면 플레이트(380)와 배터리(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370)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370)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면 베젤 구조(310) 및/또는 상기 제 1 지지 부재(311)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지지 부재(360)(예: 리어 케이스)는, 인쇄 회로 기판(340)과 안테나(3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지 부재(360)는, 인쇄 회로 기판(340) 또는 배터리(350)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 일면 및 안테나(370)가 결합된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부재(310)의 제1지지 부재(311)는 전면 플레이트(320)를 향하는 제1면(3101) 및 제1면(3101)과 반대 방향(예: 후면 플레이트(380) 방향)을 향하는 제2면(3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500)(예: 도 1의 카메라 장치(105))는 제1지지 부재(311)와 후면 플레이트(3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500)는 제1지지 부재(311)의 제1면(3101)으로부터 제2면(3102)까지 연결된 관통홀(301)을 통해 전면 플레이트(320)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보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500)의 관통홀(301)을 통해 돌출된 부분은 디스플레이(400)의 대응되는 위치에서 외부 환경을 검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카메라 장치(500)가 디스플레이(400)와 제1지지 부재(311) 사이에 배치될 경우, 관통홀(301)은 불필요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400)와 카메라 장치(500)의 배치 관계가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400)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4의 디스플레이(400)는 도 1의 디스플레이(101), 및 도 3의 디스플레이(400)과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400)는 전면 커버(320)(예: 전면 플레이트, 글래스 플레이트, 제1커버 부재, 또는 커버 부재)의 배면(예: 제 2 방향(② 방향)을 향하는 면)에 접착제(또는 점착제)(예: 도 5의 접착제(410))를 통해 배치되는 POL(polarizer)(432)(예: 편광 필름), 디스플레이 패널(431),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배면(예: 제 2 방향(② 방향)을 향하는 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440)(예: 부자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320)는 글래스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 커버(320)는 UTG(ultra thin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면 커버(320)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면 커버(32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I(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면 커버(320)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면 커버(320)들 중 하나의 층은 다른 하나의 층으로부터 잘 분리될 수 있도록, 다른 층의 접착제보다 접착력이 약하거나 두께가 더 얇은 접착제에 의해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면 커버(320)는 상면, 하면 및/또는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다양한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제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반응 접착제, 일반 접착제 및/또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복수의 픽셀들(예: 도 7의 제1서브 픽셀 영역(Pr), 제2서브 픽셀 영역(Pg), 또는 제3서브 픽셀 영역(P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를 제 1 방향(① 방향)에서 바라볼 때, 화면 표시 영역(예: 도 1의 제 1 면(110A), 제 1 영역(110D)) 중 카메라 장치(예: 도 1의 카메라 장치(105))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영역에는 복수의 픽셀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복수의 픽셀들의 보호하기 위한 봉지층(예: 도 7의 봉지층(431d))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은 인캡슐레이션 글래스(encapsulation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기판(예: 글래스 또는 폴리머 재질의 플렉서블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픽셀들은, LTPS 기판에 형성된 TFT(thin film transisto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벤딩 가능한 플렉서블한 재질의 베이스 필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레에틸렌 설파이드(PES: polyethylene sulfid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제 1 방향(① 방향)에는 저온 폴리 실리콘(LTPS: 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또는 저온 다결정 산화물(LTPO, 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기반의 복수의 TFT(thin film transistor)들을 포함하는 TFT 층(미도시), TFT 층으로부터 제 1 방향(① 방향)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예: 도 7의 중간층(431c)), 또는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제 1 방향(① 방향)에 형성되는 봉지층(예: 도 7의 봉지층(431d))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봉지층은 박막 봉지 필름(TFE: thin film encapsulation)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POL(432)은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되고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1)과 POL(43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도시된 구조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400)는 POL(432)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COE(color filter on encapsulation) 방식으로써 컬러 필터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320), POL(432), 디스플레이 패널(431), 및 보호층(440)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제어 회로(미도시 됨)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의 인쇄 회로 기판(예: 도 3의 인쇄 회로 기판(340))과 디스플레이 패널(43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와, FPCB에 실장되는 DDI(display driver I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미도시)는 COP(chip on panel) 또는 COF(chip on film) 방식으로 배치되는 DDI(display driver IC) 및/또는 TDDI(touch display driver I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추가적으로 터치 패널(43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터치 패널(433)의 배치 위치에 따라 in-cell 방식 또는 on-cell 방식의 터치 디스플레이로 동작할 경우, 제어 회로는 TDDI(touch display driver IC)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400)는 제어 회로의 주변에 배치되는 지문 센서(미도시 됨)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센서는 디스플레이(400)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 구성 요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홀을 통해 전면 커버(320)의 외면으로부터 접촉되거나, 근접한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초음파 방식 또는 광학식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440)(예: 부자재층)은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배면(예: 제 2 방향(② 방향)을 향하는 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1, 442),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1, 442)의 배면(예: 제 2 방향(② 방향)을 향하는 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부재(443)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부재(443)의 배면(예: 제 2 방향(② 방향)을 향하는 면)에 배치되는 금속 시트(44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1, 442)는 디스플레이 패널(431)과 그 하부(예: 제 2 방향(② 방향) 부착물들간에 발생될 수 있는 기포를 제거하고 디스플레이 패널(431)에서 생성된 광 또는 외부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441) (예: 울퉁 불퉁한 패턴을 포함하는 블랙층) 및/또는 충격 완화를 위하여 배치되는 완충층(442)(예: 스폰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완충층(442)은, 폴리머로 형성된 완충 부재(cush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부재(443)는 방열을 위한 방열 시트(예: 그라파이트(graphite) 시트), 포스터치 FPCB, 지문 센서 FPCB, 통신용 안테나 방사체, 도전/비도전 테이프 또는 open cell 스폰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시트(444)는 도전성 부재(예: 금속 플레이트)로서,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의 강성 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주변 노이즈를 차폐하며, 주변의 열 방출 부품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시트(444)는 Cu, Al, Mg, SUS(steel use stainless)(예: STS(stainless steel)), 또는 CLAD(예: SUS와 Al이 교번하여 배치된 적층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금속 시트(444)는 기타 다른 합금 소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400)의 적어도 일부가 접히는 폴더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폴더블 전자 장치인 경우, 금속 시트(444)는 디스플레이(400)에 굴곡(예: 플렉서블) 특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시트(444) 중 적어도 일부는 굴곡 가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굴곡 가능부(미도시)는 지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오프닝들을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400)의 굴곡 특성에 기여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굴곡 가능부(미도시)는 지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리세스(recess)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400)의 굴곡 특성은 복수의 오프닝들의 개수, 배치 밀도 및/또는 형상에 따라 결정 및/또는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시트(444)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내부에는 카메라 장치(예: 도 5의 카메라 장치(500))로 유입되는 광의 회절을 줄이기 위한 불투명 마스크(예: 도 6의 불투명 마스크 (611) 또는 도 7의 불투명 마스크(710))들을 포함하는 마스크층(예: 도 7의 마스크층(431s))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스크층(431s)에서 상기 지정된 패턴들을 형성하는 불투명 마스크(예: 도 7의 불투명 마스크(710))은 불투명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불투명 마스크의 재질은 불투명 금속 이외에도,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불투명 마스크(710)는 카메라 장치(예: 도 5의 카메라 장치(500))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투과 영역 이외의 부분으로 확대 형성될 수 있고, 불투명 마스크(710)가 금속 시트(444)의 기능을 제공체함으로써 금속 시트(444)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를 생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층(431s)에서 불투명 마스크(예: 도 7의 불투명 마스크(710))은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활성화 영역(예: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확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층(431s)에서 불투명 마스크(예: 도 7의 불투명 마스크(710))은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활성화 영역(예: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확대 형성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비활성화 영역(예: 비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확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비활성화 영역(예: 비표시 영역)은 COP(chip on panel) 또는 COF(chip on film) 방식으로 DDI(display driver IC) 및/또는 TDDI(touch display driver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제 2 방향(② 방향)으로 벤딩되는 본딩 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예: 도 7의 불투명 마스크(710))은 상기 본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확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본딩 영역에서 금속 시트(444)의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딩 영역(미도시)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불투명 마스크가 확대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본딩 영역(미도시)과 중첩되는 적어도 일부분에서 금속 시트(444)가 제거(또는 삭제)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금속 시트(444)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또는 삭제)함으로써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의 두께를 감소할 수 있고, 금속 시트(444)의 변형(예: 구겨짐, 찍힘, 눌림)으로 인한 디스플레이(400)의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본딩 영역과 중첩되는 적어도 일부분에서 금속 시트(444)를 제거(또는 삭제)함으로써, 상기 본딩 영역의 강성을 보강하고, 상기 본딩 영역의 들뜸과 같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필기 부재(예: 전자 펜)에 의한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부재(44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부재(445)는 디지타이저로써, 전자 펜으로부터 인가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유전체 기판상에 배치되는 코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검출 부재(445)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부재(445)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2)와 기능성 부재(4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검출 부재(445)는 디스플레이 패널(431)과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1)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검출 부재(445)는 금속 시트(444)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440)은 카메라 장치(예: 도 5의 카메라 장치(500))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오프닝들(4411, 4421, 4451, 444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500)는 오프닝들(4411, 4421, 4451, 4441)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배면(예: 제 2 방향(② 방향)을 향하는 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상부에 배치되는 POL(432) 및/또는 터치 패널(433)에도 굴절률에 의한 카메라 장치(500)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응 위치가 천공된 오프닝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POL(432) 및/또는 터치 패널(433)은 카메라 장치(500)와의 대응 위치가 투명하게 처리되거나, 편광 특성이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31) 및/또는 POL(432)은 카메라 장치(5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오프닝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프닝들(4411, 4421, 4451, 4441)의 크기(예: 직경, 면적)는 카메라 장치(500)의 크기, 및/또는 카메라 장치(500)의 화각에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오프닝들(4411, 4421, 4451, 4441)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터치 패널(433), 검출 부재(445), 및/또는 금속 시트(44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POL(432)을 포함하지 않고, COE(color filter on encapsulation) 방식으로 컬러 필터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편광판인 POL(432)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투과율을 높이고, 두께를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400)는 POL(432)을 제거함으로써, POL(432)을 포함한 디스플레이와 비교할 때 약 20 % 이상 투과율이 향상되고, 두께는 약 100㎛~약 150㎛ 저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 필터층(미도시)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서 적용되는 POL(432)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컬러 필터층(미도시)은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반사광을 차단하여 야외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컬러 필터층(미도시)은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색 순도를 향상시켜, 사용자에게 양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중간층((예: 도 7의 중간층(431c))에, 복수의 픽셀들(예: 도 7의 제1서브 픽셀 영역(Pr), 제2서브 픽셀 영역(Pg), 또는 제3서브 픽셀 영역(Pb)), 전극(예: 도 7의 제1화소 전극(4311a), 제2화소 전극(4311b), 또는 제3화소 전극(4311c)), 및 화소 정의막(pixel define layer)(예: 도 7의 화소 정의막(4314))(예: 뱅크,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소 정의막은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sin) 등의 유기물 또는 실리카 계열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화소 정의막은 광 차단 물질(예: 불투명 재질)을 포함하여, 광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뱅크가 광 차단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특정 픽셀에서 생성된 빛과 상기 특정 픽셀에 인접하는 픽셀(예: 상기 특정 픽셀에 이웃하게 배열되는 픽셀)에서 생성된 빛의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소 정의막은 POL(432)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외부 광의 반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예: 도 5의 디스플레이(400)), 및 상기 디스플레이(400)의 제 2 방향에서 활성화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장치(예: 도 1의 카메라 장치(105))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400)는, 제 1 투과율을 갖고 상기 카메라 장치(105)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상기 카메라 장치(105)의 화각에 대응하는 화각 영역(예: 도 6의 화각 영역(VA))을 포함하는 제 1 활성화 영역(예: 도 7의 제 1 활성화 영역(A1))(active area), 및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낮은 제 2 투과율을 갖는 제 2 활성화 영역(예: 도 7의 제 2 활성화 영역(A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7의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불투명 마스크(예: 도 7의 불투명 마스크(710))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예: 도 7의 마스크층(431s)을 포함하고, 상기 불투명 마스크(710)는 상기 화각 영역(VA)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 1 부분(711), 및 상기 화각 영역(VA)의 외곽 경계를 지정된 폭을 갖고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 2 부분(7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불투명 마스크(710)는 상기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712)의 외곽에 형성되는 제 3 부분(예: 도 15a의 제 3 부분(7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불투명 마스크(710)는 상기 제 2 활성화 영역(A2)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4 부분(예: 도 15a의 제 4 부분(714))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부분(711)은 제 1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3 부분(713)은 제 2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4 부분(714)은 제 3 패턴을 갖도록 형성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패턴 내지 상기 제 3 패턴은 모두 동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과 다르고, 상기 제 3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 및/또는 상기 제 2 패턴과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부분(713)은 상기 제 2 부분(712)의 외곽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4 부분(714)은 제 2 활성화 영역(A2)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베이스층(예: 도 7의 베이스층(431a),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제 1 방향에 적층되고 복수의 배선 및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배선층(예: 도 7의 배선층(431b)), 상기 배선층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적층되고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중간층(예: 도 7의 중간층(431c)), 및 상기 중간층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적층되는 봉지층(예: 도 7의 봉지층(431d)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층은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배선층 사이에 적층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31)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에 부착되는 보호층(4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예: 도 6의 보호층(440))은 금속 시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예: 도 5의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디스플레이(400)를 통과한 외부의 광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예: 도 1의 카메라 장치(105))를 위한 것으로서, 제 1 투과율을 갖고 상기 카메라 장치(105)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상기 카메라 장치(105)의 화각에 대응하는 화각 영역(예: 도 6의 화각 영역(VA))을 포함하는 제 1 활성화 영역(예: 도 7의 제 1 활성화 영역(A1))(active area), 및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낮은 제 2 투과율을 갖는 제 2 활성화 영역(예: 도 7의 제 2 활성화 영역(A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7의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불투명 마스크(710)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예: 도 7의 마스크층(431s)을 포함하고, 상기 불투명 마스크(710)는 상기 화각 영역(VA)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 1 부분(711), 및 상기 화각 영역(VA)의 외곽 경계를 지정된 폭을 갖고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 2 부분(7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불투명 마스크(710)는 상기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712)의 외곽에 형성되는 제 3 부분(713), 및 상기 제 2 활성화 영역(A2)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4 부분(7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부분(711)은 제 1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3 부분(713)은 제 2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4 부분(714)은 제 3 패턴을 갖도록 형성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불투명 마스크(710)의 상기 제 2 부분(712)은, 상기 화각 영역(VA)의 외곽인 상기 제 1 활성화 영역(A1)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 2 활성화 영역(A2)의 전체에 대응하도록 확대 형성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패턴 내지 상기 제 3 패턴은 모두 동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과 다르고, 상기 제 3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 및/또는 상기 제 2 패턴과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부분(713)은 상기 제 2 부분(712)의 외곽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4 부분(714)은 제 2 활성화 영역(A2)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31)로부터 제 2 방향에 부착되는 보호층(4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440)은 금속 시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예: 도 5의 디스플레이(400))는, 상기 디스플레이(400)를 통과한 외부의 광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예: 도 1의 카메라 장치(105))를 위한 것으로서, 제 1 투과율을 갖고 상기 카메라 장치(105)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상기 카메라 장치(105)의 화각에 대응하는 화각 영역(예: 도 6의 화각 영역(VA))을 포함하는 제 1 활성화 영역(예: 도 7의 제 1 활성화 영역(A1))(active area), 및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낮은 제 2 투과율을 갖는 제 2 활성화 영역(예: 도 7의 제 2 활성화 영역(A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7의 디스플레이 패널(431)),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31)로부터 제 2 방향에 부착되는 보호층(예: 도 6의 보호층(440))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불투명 마스크(710)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예: 도 7의 마스크층(431s))을 포함하고, 상기 불투명 마스크(710)는 상기 화각 영역(VA)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 1 부분(711), 상기 화각 영역(VA)의 외곽 경계를 지정된 폭을 갖고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 2 부분(712), 상기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712)의 외곽에 형성되는 제 3 부분(713), 및 상기 제 2 활성화 영역(A2)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4 부분(714)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440)은 금속 시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라인 ‘5-5’에서 바라본 전자 장치(3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6’ 영역을 확대한 전자 장치(3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UB(unbreakable) type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예: curved display)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은 OCTA(on cell touch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방식의 flat type 디스플레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 및/또는 디스플레이(4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 300) 및/또는 도 4의 디스플레이(4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300)는 제 1 방향(① 방향)을 향하는 전면 커버(320)(예: 커버 부재, 전면 플레이트, 전면 윈도우 또는 제1플레이트)와, 전면 커버(320)와 반대 방향(예: 제 2 방향(② 방향))으로 향하는 후면 커버(380)(예: 후면 커버 부재, 후면 플레이트, 후면 윈도우 또는 제2플레이트) 및 전면 커버(320)와 후면 커버(380) 사이의 공간(3001)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400)의 보호층(440)과 측면 부재(310) 사이에 배치되는 제1방수 부재(32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측면 부재(310)와 후면 플레이트(380)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방수 부재(3801)(예: 방수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방수 부재(3201) 및 제2방수 부재(3801)는 외부의 이물질 또는 수분이 전자 장치(300)의 내부 공간(300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방수 부재는 카메라 장치(500)와 측면 부재(310) 사이의 실장 지지 구조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방수 부재(3201) 및/또는 제2방수 부재(3801)은 접착제로 대체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부재(310)는 전자 장치(300)의 내부 공간(300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 부재(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 부재(311)는 측면 부재(310)와 구조적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 부재(311)는 카메라 장치(500)가 디스플레이(400)의 보호층(440)의 오프닝(예: 도 6의 오프닝(OP))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배면(예: 제 2 방향(② 방향)을 향하는 면) 근처에 정렬되고, 배치되도록 카메라 장치(500)를 지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500)는 카메라 하우징(510), 카메라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5101)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스플레이 방향(예: ① 방향)으로 돌출되는 렌즈 하우징(520) 및 렌즈 하우징(520)의 내부 공간(5201)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들(530: 531, 532, 533, 534) 및 카메라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5101)에서, 복수의 렌즈들(530)을 통과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500)가 AF(auto focus) 기능을 포함할 경우, 렌즈 하우징(520)은 카메라 하우징(510)에서 소정의 구동 유닛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431)과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유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500)가 AF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렌즈들(530)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별도의 구동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카메라 장치(500)는 카메라 하우징(510)이 생략되고, 렌즈 하우징(520)이 소정의 정렬 공정을 통해 제1지지 부재(311)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 부재(311)에 직접 배치 되는 경우는, 카메라 배치 공간을 줄이기 위해서 카메라 하우징(510)을 생략하고, 렌즈 하우징(520)이 제1지지 부재(311)의 일측면에 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500)는 제1지지 부재(311)의 관통홀(301)을 통해 정렬된 후, 접착제(312)(예: 본딩 부재 또는 테이프 부재)를 통해 제1지지 부재(311)의 배면(예: 제 2 방향(② 방향)을 향하는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POL(432), 디스플레이 패널(431),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예: 도 4의 보호층(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500)는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에 추가로 배치되는 제2지지 부재(360)(예: 리어 케이스)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300)는 전면 커버(320)의 배면(예: 제 2 방향(② 방향)을 향하는 면)에서 측면 부재(310)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제(410), POL(432), 디스플레이 패널(431) 및 보호층(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320)를 제 1 방향(① 방향)에서 바라볼 때, 보호층(440)은 복수의 렌즈들(530)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오프닝(OP)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440)에 형성된 오프닝(OP)은 차광층(441)에 형성된 오프닝(예: 도 4의 오프닝(4411)), 완충층(442)에 형성된 오프닝(예: 도 4의 오프닝(4421)), 기능성 부재(443)에 형성된 오프닝(예: 도 4의 오프닝(4431)) 및 금속 시트(444)에 형성된 오프닝(예: 도 4의 오프닝(4441))이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방식으로, 하나의 오프닝(OP)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오프닝들은 카메라 장치(5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그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활성화 영역(active area)(예:표시 영역)과 비활성화 영역(non-active area)(예: 비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활성화 영역은 활성화 영역의 외곽에 배치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활성화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베젤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활성화 영역은 제 1 투과율을 갖고, 카메라 장치(500)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제 1 활성화 영역(A1), 및 제 1 투과율보다 낮은 제 2 투과율을 갖는 제 2 활성화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활성화 영역(A2)은 제 1 활성화 영역(A1)을 제외한 나머지 활성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활성화 영역(A1)은 약 5% ~ 20% 범위의 투과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투과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 1 활성화 영역(A1)은 이미지 센서에서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광이 통과하는 카메라 장치(500)의 화각(θ)에 대응하는 화각 영역(V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 따르면, 제 1 활성화 영역(A1), 및 제 2 활성화 영역(A2)은 카메라 장치(500)의 화각(θ)에 의해 그 크기 또는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활성화 영역(A2)은 약 5% 이내의 투과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비투과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활성화 영역(A1)은, 약 5% ~ 20% 범위의 투과율을 갖기 위해, 제 2 활성화 영역(A2)에 비해 낮은 밀도로 배치된 복수의 픽셀들(예: 도 7의 픽셀(P)) 및/또는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활성화 영역(A1)은 투과율을 높이기 위하여 복수의 픽셀들(예: 도 7의 픽셀(P)) 및/또는 배선들이 불규칙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픽셀들(예: 도 7의 픽셀(P)) 및/또는 배선들의 불규칙한 배열은 카메라 장치(500)로 유입되는 광의 의도하지 않은 회절을 유도할 수 있고, 주파수 별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가 일정치 않고 저주파수에서 낮아지는 현상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절된 광은 카메라 장치(500)의 렌즈(530)를 거쳐 이미지 센서(540)에 도달 시, 이미지 촬영에 불필요한 광으로써 이미지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절 광이 집중되면 이미지에 십자가 모양 등의 형상, 이미지 형상 주위로 상이 겹쳐보이는 이중상, 또는 이미지가 뿌옇게 보이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적어도 일부 레이어에 마스크층(예: 도 7의 마스크층(431s))이 형성되고, 마스크층(431s)은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의도하지 않은 광의 회절을 줄이기 위한 불투명 마스크(예: 도 6의 불투명 마스크(611) 또는 도 7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1 부분(71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투명 마스크(611)는 불투명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불투명 마스크(611)의 형상, 크기, 및/또는 배치 밀도의 조절에 의해 복수의 오프닝(721)(예: 도 7의 오프닝(72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611)는 약 수천 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불투명 마스크(611)들은 제 1 활성화 영역(A1)의 화각(예: 도 6의 화각(θ))에 대응하는 화각 영역(VA)에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층(431s)은 화각 영역(VA) 외곽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불투명 마스크(612)(예: 도 7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2 부분(7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불투명 마스크(611)들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오프닝(예: 도 7의 오프닝(721))들은 높은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특성을 유지하면서, 제 1 활성화 영역(A1)으로부터 카메라 장치(500)로 유입되는 광의 회절을 감소시킴으로써, 카메라 장치(500)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마스크층(431s)에 형성되는 불투명 마스크(예: 도 7의 불투명 마스크(710))에 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7’ 영역을 확대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6의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베이스층(431a), 배선층(431b), 배선층(431b)으로부터 제 1 방향(① 방향)에 적층되는 중간층(431c), 및/또는 중간층(431c)으로부터 제 1 방향(① 방향)에 적층되는 봉지층(431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제1서브 픽셀 영역(Pr)(pixcel red), 제2서브 픽셀 영역(Pg)(pixcel green) 및 제3서브 픽셀 영역(Pb)(pixcel blue)이 하나의 픽셀(P)(pixcel)로 정의된 복수의 픽셀들(P)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픽셀들(P)이 배치된 영역은 “활성화 영역(active area)”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선층(431b)은 중간층(431c)의 제1 내지 제3 화소 전극(4311a, 4311b, 4311c)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적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 부재는, 복수의 배선들, LTPS(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및/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중간층(431c)에서, 제1서브 픽셀 영역(Pr), 제2서브 픽셀 영역(Pg) 및 제3서브 픽셀 영역(Pb)에 대응하도록, 배선층(431b)상에 배치되는 제1화소 전극(4311a), 제2화소 전극(4311b) 및 제3화소 전극(4311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중간층(431c)에서, 제1 내지 제3화소 전극(4311a, 4311b, 4311c)의 상부(예: 제 1 방향(①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1유기물층(4312a), 제2유기물층(4312b) 및 제3유기물층(4312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서브 픽셀 영역(Pr, Pg, Pb)은 절연 재질의 화소 정의막(pixel define layer)(4314)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유기물층(4312a, 4312b, 4312c) 상에는 대향 전극(4313)이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화소 전극(4311a, 4311b, 4311c)은 반사층을 포함하는 반사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유기물층(4312a, 4312b, 4312c)은 각각 제1색상, 제2색상 및 제3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색상 내지 제3색상은 각각 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백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조합 외에 기타 다양한 색의 조합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향 전극(4313)은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은(Ag),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리튬(Li), 칼슘(Ca), 구리(Cu), LiF/Ca(lithium fluoride/calcium alloy), LiF/Al(lithium fluoride/aluminum alloy), MgAg(magnesium-silver alloy) 또는 CaAg(calcium-silver alloy)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 nm 내지 수십 nm의 두께를 갖는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유기물층(4312a, 4312b, 4312c)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유기 발광층에서 방출된 광은 직접 또는 제1 내지 제3화소 전극(4311a, 4311b, 4311c)에 의해 반사되어 대향 전극(4313)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봉지층(encap layer)(431d)은 대향 전극(4313)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상부(예: 대향 전극(4313)의 제 1 방향(①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선층(431b)의 하측(예: 제 2 방향(② 방향))에는 베이스층(431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선층(431b)은 베이스층(431a)의 상부(예: (예: 제 1 방향(① 방향))에 적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선층(431b) 및/또는 베이스층(431a)은 투명 절연 기판(예: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배선층(431b) 및/또는 베이스층(431a)은 유리 기판, 석영 기판 또는 투명 수지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 수지 기판은 폴리이미드계(polyimidebased) 수지, 아크릴계(acryl-based)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계(polyacrylate-based)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polycarbonate-based) 수지, 폴리에테르계(polyether-based) 수지, 술폰산계(sulfonic acid-based) 수지, 및/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polyethyleneterephthalate-based)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베이스층(431a)과 봉지층(431d) 사이의 중간층(431c)에 형성되는 복수의 픽셀들(P)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픽셀들(P)은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의 배치 밀도와 제 2 활성화 영역(A2)에서의 배치 밀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활성화 영역(A1)에 형성된 복수의 픽셀들(P)의 배치 밀도는 제 2 활성 화 영역(A2)에 형성된 복수의 픽셀들(P)의 배치 밀도보다 낮을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복수의 픽셀들(P)은 제 1 활성화 영역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층(431a)과 배선층(431b) 사이에는 마스크층(431s)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크층(431s)의 적어도 일부분은 ELVDD, 및 ELVSS 와 같은 전원 전압, 및/또는 그라운드(GN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층(431s)이 형성되는 레이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크층(431s)은 베이스층(431a)으로부터 제 2 방향(②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 따르면, 마스크층(431s)은 불투명 마스크(710), 예컨대 유색(예: 블랙)의 불투명 마스크(7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투명 마스크(710)은 Mo(molybdenum), Mo 합금, Al(aluminum), 또는 Al 합금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불투명 마스크(710)은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카메라 장치(예: 도 5의 카메라 장치(500))의 화각(예: 도 6의 화각(θ))에 대응하는 화각 영역(VA)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투명 마스크(710)는 화각 영역(VA)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각 영역(VA)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불투명 마스크(710)는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1 부분(711)”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1 부분(711)은 지정된 패턴(예: 지정된 제 1 패턴)을 갖고 형성될 수 있고, 규칙적으로 형성(또는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부분(711)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마스크층(431s)의 오프닝(721)(예: 도 8a의 투과 영역(TA))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크층(431s)에서 불투명 마스크(710)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은 오프닝(721)을 갖는 투과 영역(TA)일 수 있고, 투과 영역(TA)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과 영역(TA)은,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1 부분(711)이 화각 영역(VA) 안에서 규칙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지정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는 화각 영역(VA)의 외곽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각 영역(VA)의 외곽에 형성되고, 화각 영역(VA)의 외곽 경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불투명 마스크(710)는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2 부분(71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710)는 화각 영역(VA)의 외곽의 적어도 일부분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불투명 마스크(710)는 화각 영역(VA)의 외곽인 제 1 활성화 영역(A1)의 전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불투명 마스크(710)는 화각 영역(VA)의 외곽인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불투명 마스크(710)는 화각 영역(VA)의 외곽인 제 1 활성화 영역(A1) 및 제 2 활성화 영역(A2)의 전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불투명 마스크(710)는 화각 영역(VA)의 외곽인 제 1 활성화 영역(A1) 및 제 2 활성화 영역(A2)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층(431s)에서 제 2 활성화 영역(A2)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불투명 마스크(710)는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배면(예: 제 2 방향(② 방향)을 향하는 면)에 배치되는 금속 시트(예: 도 6의 금속 시트(444))의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불투명 마스크(710)는 디스플레이 패널(431) 주변의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 노이즈를 차폐함으로써 플리커와 같은 화질 불량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불투명 마스크(710)는 화각 영역(VA)의 외곽의 적어도 일부분에 더 형성되는 것은 도 10a 내지 도 12b 및 도 14a 내지 도 16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불투명 마스크(710)은 베이스층(431a)과 배선층(431b) 사이에 적층되는 블랙 컬러의 금속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710)을 형성하는 방법은 중간층(431c)의 제1 내지 제3 화소 전극(4311a, 4311b, 4311c)들을 형성하는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반도체 공정(예: 증착, PR(포토레지스터) 코팅, 노광, 현상, 에칭, 스트립)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불투명 마스크(710)의 두께는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제 2 방향(② 방향)(예: 하부)에 배치되는 금속 시트(예: 도 6의 금속 시트(444))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1 부분(711)은 형상, 크기, 배치 밀도 및/또는 배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1 부분(711)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지정된 패턴을 갖고 광이 투과할 수 있는 복수의 오프닝(72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오프닝(721)들을 형성함으로써, 높은 MTF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1 부분(711)들은 제 1 활성화 영역(A1)으로부터 카메라 장치(500)로 유입되는 광의 회절을 감소시킴으로써, 개선된 이미지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오프닝(721)들의 크기, 형상, 배치 밀도 또는 간격에 의해, 상기 제 1 활성화 영역(A1)을 통해 유입되는 광의 회절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오프닝(721)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형상, 크기 및/또는 배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상기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상기 복수의 오프닝(721)들을 통해, 약 100 ppi(pixel per inch) 내지 약 300 ppi 범위의 픽셀 배치 밀도에 대응하는 투과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층(431s)에 형성된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1 부분(711)은 제 1 활성화 영역(A1)의 복수의 픽셀들(P) 및/또는 상기 복수의 배선들(예: 도 8a의 복수의 배선들(803))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상기 복수의 픽셀들(P) 및/또는 상기 복수의 배선들(803)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에서 바라볼 때, 복수의 오프닝(721)들을 회피하여(예: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픽셀들(P) 및/또는 복수의 배선들(803)은,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에서 바라볼 때,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1 부분(711)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상기 복수의 픽셀들 및/또는 상기 복수의 배선들(803)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바라볼 때, 복수의 오프닝(721)들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제 1 활성화 영역(A1)은 복수의 오프닝(721)들의 형상 변경을 통해 광의 회절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에서 바라볼 때, 패턴(611)들에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오프닝(721)들은 광의 회절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복수의 오프닝(721)들의 다양한 형태들의 예시들은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스크층(431s)에서 상기 복수의 패턴(611)들을 형성하는 불투명 마스크(710)은 제 1 활성화 영역(A1)의 화각(예: 도 6의 화각(θ))에 대응하는 화각 영역(예: 도 6의 화각 영역(VA))영역에 형성될 뿐만 아니라, 화각 영역(VA)의 외곽 영역으로 확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투명 마스크(710)은 화각 영역(VA)의 외곽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제 2 부분(7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활성화 영역(A1)에 형성되고, 화각 영역(VA)의 외곽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열되는 제 2 부분(712)은 조리개(aperture)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제 1 활성화 영역(A1)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화각 영역(예: 도 6의 화각 영역(VA))영역을 제 1 방향(①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일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431)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a 및 도 8b와 결부하여, 도 7에서 미설명되거나 또는 달라진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 및 도 8b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마스크층(예: 도 7의 마스크층(431s))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는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8a 및 도 8b에서, 상기 복수의 픽셀들(P) 및/또는 상기 복수의 배선들(803)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배선층(예: 도 7의 배선층(431b)) 및 중간층(예: 도 7의 중간층(431c))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는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8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제 1 활성화 영역(예: 도 7의 제 1 활성화 영역(A1))을 위에서(예: 도 7의 제 1 방향(① 방향))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마스크층(431s)에서 불투명 마스크(예: 도 7의 불투명 마스크(71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710)은 빛이 투과되지 않거나, 또는 빛의 투과율이 지정된 값 미만인 차광 영역(BA)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픽셀들(예: 도 7의 복수의 픽셀들(P))은 차광 영역(BA)에 대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710)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들(예: 도 7의 복수의 오프닝들(72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오프닝들(721)은 불투명 마스크(710)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이고, 광이 투과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프닝들(721)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고, 투과 영역(TA)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프닝들(721)에 의해 형성되는 투과 영역(TA)은 원형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과 영역(TA)은 제 1 활성화 영역(A1)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픽셀들(P) 및/또는 상기 복수의 배선들(803)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710)은 복수의 오프닝들(72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됨으로써 지정된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710) 들의 폭 또는 복수의 오프닝들(721)의 폭은 상기 복수의 픽셀들(P)의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710) 들의 최대 폭 또는 복수의 오프닝들(721)의 최대 폭은 상기 복수의 픽셀들(P)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제 1 활성화 영역(A1)을 위에서(예: 도 7의 제 1 방향(① 방향)) 바라볼 때, 복수의 오프닝들(721)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십자형(예: 크로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프닝들(721)에 의해 형성되는 투과 영역(TA)의 형상, 크기, 배치 밀도 및/또는 배치 간격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예시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투과 영역(TA)의 폭 또는 너비는 광의 회절되는 각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회절되는 에너지를 모으거나 퍼트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과 영역(TA)들 사이의 간격은 회절되는 광 사이에서 상쇄 간섭을 일으킬 수 있고, 회절되는 광 패턴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투과 영역(TA)들의 형상은 회절되는 각도를 변화시켜, 회절 패턴의 모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투과 영역(TA)들의 형상, 크기(예: 직경, 면적), 배치 구조 및/또는 배치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카메라 장치(500)의 MTF 성능을 유지하면서, 회절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어 고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예: 도 5의 카메라 장치(500))는 복수의 오프닝들(721)에 의한 투과율을 갖는 제 1 활성화 영역(A1)을 통해, 카메라 장치(예: 도 5의 카메라 장치(500))의 렌즈(예: 도 5의 복수의 렌즈들(530))의 한계 회절 곡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MTF 곡선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주파수 대역에서 명암 대비(콘트라스트) 지정된 수치 이상의 반응도(modulation transfer)(예: 콘트라스트 입출력비)를 가지는 카메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9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또는,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에서 볼 때,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0))는 전면을 향하는 하나의 카메라 장치(예: 도 5의 카메라 장치(500))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7의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하나의 카메라 장치(500)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제 1 활성화 영역(A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활성화 영역(A1)은 하나의 카메라 장치(500)의 렌즈(예: 도 5의 복수의 렌즈들(530))에 대응하도록(또는, 중첩되도록) 화각 영역(V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층(431s)은, 화각 영역(VA)의 적어도 일부에,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1 부분(71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부분(711)들은 특정 형상, 특정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 1 부분(711)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들은 복수의 오프닝(721)(예: 제 1 오프닝(721))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711)들은 특정 형상, 특정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화각 영역(VA) 내에서 제 1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은 카메라 장치(500)의 화각에 대응하는 화각 영역(VA)의 외곽으로 확대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은,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에서 볼 때, 상기 화각 영역(VA)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부분(711), 및 상기 화각 영역(VA)의 외곽으로 확대되어 형성된 제 2 부분(7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2 부분(712)은 지정된 폭을 갖고서 화각 영역(VA)의 경계 부분(A3)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2 부분(712)은 제 1 활성화 영역(A1)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되, 화각 영역(VA)의 경계 부분(A3)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각 영역(VA)은 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2 부분(712)은 원형의 형태로 화각 영역(VA)의 외곽 경계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활성화 영역(A1)의 형상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각 영역(VA)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거나, 화각 영역(VA)를 둘러싸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활성화 영역(A1)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모양(예: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2 부분(712)은 전자 장치(300)의 조립 공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31)과 카메라 장치(500) 사이에 정렬 불일치(align miss) 검출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0)의 조립 공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31)과 카메라 장치(500)의 정렬 불일치(align miss)가 발생하면,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2 부분(712)이 화각 영역(VA)과 중첩하게 되어 광을 차단하게 되고, 이는 카메라 장치(50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에서 비네팅(vignetting]의 발생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비네팅 현상을 발견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431)과 카메라 장치(500)의 정렬 불일치(align miss)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조립 불량을 줄이고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오프닝(721)의 형상은 사각형이지만, 본 발명의 오프닝(721)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0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또는,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에서 볼 때,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마스크층(431s)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마스크층(431s)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a 및 도 10b와 결부하여, 달라진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431s)은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 에서 볼 때, 제 1 활성화 영역(A1)의 적어도 일부(901)(예: 도 9a 및 도 9b의 901에 대응하는 영역)로 확대되어 형성된 불투명 마스크(7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스크층(431s)에 형성된 불투명 마스크들(711, 712, 713)은, 화각 영역(VA)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1 부분(711), 화각 영역(VA)의 외곽 경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 2 부분(712), 및 제 2 부분(712)의 외곽인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3 부분(7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부분(711)들은 특정 형상, 특정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 1 부분(711)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들은 복수의 오프닝(721)(예: 제 1 오프닝(721))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711)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또는 산포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화각 영역(VA) 내에서 제 1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부분(713)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 3 부분(713)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들은 복수의 오프닝(722)(예: 제 2 오프닝(722))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부분(713)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제 2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부분(713)들의 제 2 패턴은, 제 1 부분(711)들의 제 1 패턴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오프닝들(721, 722)의 형상은 사각형이지만, 본 발명의 오프닝들(721, 722)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1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또는,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에서 볼 때,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마스크층(431s)은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마스크층(431s)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a 및 도 11b와 결부하여, 달라진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431s)은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 에서 볼 때, 제 1 활성화 영역(A1)의 적어도 일부(901)(예: 도 9a 및 도 9b의 901에 대응하는 영역) 및 제 2 활성화 영역(A2)의 적어도 일부(902)(예: 도 9a 및 도 9b의 902에 대응하는 영역)로 확대되어 형성된 불투명 마스크(713, 7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스크층(431s)에 형성된 불투명 마스크들(711, 712, 713, 714)은, 화각 영역(VA)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1 부분(711), 화각 영역(VA)의 외곽 경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 2 부분(712), 제 2 부분(712)의 외곽인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3 부분(713), 및 제 2 활성화 영역(A2)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4 부분(7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부분(711)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 1 부분(711)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들은 복수의 오프닝(721)(예: 제 1 오프닝(721))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711)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화각 영역(VA) 내에서 제 1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부분(713)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 3 부분(713)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들은 복수의 오프닝(722)(예: 제 2 오프닝(722))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부분(713)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제 2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4 부분(714)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 4 부분(714)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들은 복수의 오프닝(723)(예: 제 3 오프닝(723))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부분(714)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 2 활성화 영역(A2)에서 제 3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4 부분(713)들의 제 3 패턴은 제 1 부분(711)들의 제 1 패턴 및/또는 제 3 부분들(713)의 제 2 패턴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패턴 내지 상기 제 3 패턴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과 다르고, 상기 제 3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 및/또는 상기 제 2 패턴과 다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오프닝들(721, 722, 723)의 형상은 사각형이지만, 본 발명의 오프닝들(721, 722, 723)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전면(또는,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에서 볼 때,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마스크층(431s)은 도 9a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마스크층(431s)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하, 도 12a 및 도 12b에서 달라진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불투명 마스크(예: 도 7의 불투명 마스크(710))은 화각 영역(VA)의 외곽인 제 1 활성화 영역(A1)의 일부 및 상기 제 2 활성화 영역(A2)의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투명 마스크(710)는 화각 영역(VA)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대부분의 면적에 해당되는 영역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이 화각 영역(VA)의 외곽 전체로 확대되어 형성됨으로써 주변 노이즈를 차폐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제 2 방향(② 방향)에 부착되는 금속 시트(예: 도 6의 금속 시트(444))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금속 시트(예: 도 6의 금속 시트(444))를 생략 또는 삭제할 수 있다. 금속 시트(예: 도 6의 금속 시트(444))는 전자 장치(300)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변형(예: 구겨짐, 찍힘, 눌림)이 발생하면 디스플레이의 외관 불량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금속 시트(예: 도 6의 금속 시트(444))를 생략 또는 삭제함으로써, 전자 장치(300)의 두께를 감소하고, 구겨짐으로 인한 디스플레이의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전면(또는,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에서 볼 때,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마스크층(431s)은 도 9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마스크층(431s)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하, 도 13a 및 도 13b에서 달라진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장치(300))는 전면(예: 제 1 방향(①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카메라 장치(500), 예컨대 적어도 2개의 카메라 장치(예: 도 3의 카메라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복수의 카메라 장치(500)들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제 1 활성화 영역(A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적어도 2개의 카메라 장치(500)에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제 1 활성화 영역(A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활성화 영역(A1)은 복수의 카메라 장치(500)들 각각의 렌즈(예: 도 5의 복수의 렌즈들(530))에 대응하도록(또는, 중첩되도록) 복수의 화각 영역(VA1, VA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활성화 영역(A1)은 제 1 렌즈(예: 광각 렌즈)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 1 화각 영역(VA1), 및 제 2 렌즈(예: 망원 렌즈)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 2 화각 영역(VA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화각 영역(VA1)은, 제 1 렌즈(예: 광각 렌즈)와 관련된 화각(예: 도 6의 화각(θ))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고, 제 2 화각 영역(VA2)은 제 2 렌즈(예: 망원 렌즈)와 관련된 화각(예: 도 6의 화각(θ))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 1 활성화 영역(A1)을 제외한 나머지 활성화 영역은 제 2 활성화 영역(A2)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 따르면, 마스크층(431s)은, 복수의 화각 영역(VA1, VA2)들 각각에서, 불투명 마스크(71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층(431s)은, 복수의 화각 영역(VA1, VA2)들 각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1 부분(71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부분(711)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 1 부분(711)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들은 복수의 오프닝(721)(예: 제 1 오프닝(721))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711)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화각 영역(VA) 내에서 제 1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따르면, 마스크층(431s)은 복수개의 화각 영역(VA1, VA2)들의 외곽으로 확대되어 형성된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2 부분(7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투명 마스크(710)의 제 2 부분(712)은 제 1 활성화 영역(A1)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되, 제 1 화각 영역(VA1)의 경계 부분 및 제 2 화각 영역(VA2)의 경계 부분(A3)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4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또는,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에서 볼 때,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마스크층(431s)은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마스크층(431s)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a 및 도 14b와 결부하여, 달라진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431s)은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 에서 볼 때, 제 1 활성화 영역(A1)의 적어도 일부(1301)(예: 도 13a 및 도 13b의 1301에 대응하는 영역)로 확대되어 형성된 불투명 마스크(7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스크층(431s)에 형성된 불투명 마스크들(711, 712, 713)은, 화각 영역들(VA1, VA2)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1 부분(711), 화각 영역들(VA1, VA2)의 외곽 경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 2 부분(712), 및 제 2 부분(712)의 외곽인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3 부분(7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부분(711)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 1 부분(711)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들은 복수의 오프닝(721)(예: 제 1 오프닝(721))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711)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화각 영역들(VA1, VA2) 내에서 제 1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부분(713)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 3 부분(713)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들은 복수의 오프닝(722)(예: 제 2 오프닝(722))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부분(713)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제 2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부분(713)들의 제 2 패턴은 제 1 부분(711)들의 제 1 패턴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오프닝들(721, 722)의 형상은 사각형이지만, 본 발명의 오프닝들(721, 722)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5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또는,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에서 볼 때,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마스크층(431s)은 도 9a 내지 도 14b에 도시된 마스크층(431s)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a 및 도 15b와 결부하여, 달라진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431s)은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 에서 볼 때, 제 1 활성화 영역(A1)의 적어도 일부(1301)(예: 도 13a 및 도 13b의 1301에 대응하는 영역) 및 제 2 활성화 영역(A2)의 적어도 일부(1302)(예: 도 13a 및 도 13b의 1302에 대응하는 영역)로 확대되어 형성된 불투명 마스크(713, 7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스크층(431s)에 형성된 불투명 마스크들(711, 712, 713, 714)은, 화각 영역들(VA1, VA2)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1 부분(711), 화각 영역(VA)의 외곽 경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 2 부분(712), 제 2 부분(712)의 외곽인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3 부분(713), 및 제 2 활성화 영역(A2)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4 부분(7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부분(711)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 1 부분(711)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들은 복수의 오프닝(721)(예: 제 1 오프닝(721))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711)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화각 영역들(VA1, VA2) 내에서 제 1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부분(713)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 3 부분(713)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들은 복수의 오프닝(722)(예: 제 2 오프닝(722))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부분(713)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 1 활성화 영역(A1)에서 제 2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4 부분(714)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 4 부분(714)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들은 복수의 오프닝(723)(예: 제 3 오프닝(723))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부분(714)들은 특정 형상, 특정 크기, 및/또는 특정 배치 밀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 2 활성화 영역(A2)에서 제 3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4 부분(713)들의 제 3 패턴은 제 1 부분(711)들의 제 1 패턴 및/또는 제 3 부분들(713)의 제 2 패턴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패턴 내지 상기 제 3 패턴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과 다르고, 상기 제 3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 및/또는 상기 제 2 패턴과 다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오프닝들(721, 722, 723)의 형상은 사각형이지만, 본 발명의 오프닝들(721, 722, 723)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전면(또는, 디스플레이 패널(431))을 제 1 방향(① 방향)에서 볼 때,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마스크층(431s)은 도 9a 내지 도 15b에 도시된 마스크층(431s)과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하, 도 16a 및 도 16b에서 달라진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 16a 및 도 16b을 참조하면, 마스크층(예: 도 7의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예: 도 7의 불투명 마스크(710))은 카메라 장치(예: 도 3의 카메라 장치(500))의 화각에 대응하는 화각 영역들(VA1, VA2)의 외곽 전체로 확대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투명 마스크(710)는 화각 영역들(VA1, VA2)의 외곽인 제 1 활성화 영역(A1)의 일부 및 제 2 활성화 영역(A2)의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투명 마스크(710)는 화각 영역들(VA1, VA2)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대부분의 면적에 해당되는 영역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431)은 마스크층(431s)의 불투명 마스크(710)이 화각 영역들(VA1, VA2)의 외곽 전체로 확대되어 형성됨으로써 주변 노이즈를 차폐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패널(431)의 제 2 방향(② 방향)에 부착되는 금속 시트(예: 도 6의 금속 시트(444))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금속 시트(예: 도 6의 금속 시트(444))를 생략 또는 삭제할 수 있다. 금속 시트(예: 도 6의 금속 시트(444))는 전자 장치(300)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변형(예: 구겨짐, 찍힘, 눌림)이 발생하면 디스플레이의 외관 불량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금속 시트(예: 도 6의 금속 시트(444))를 생략 또는 삭제함으로써, 전자 장치(300)의 두께를 감소하고, 구겨짐으로 인한 디스플레이의 외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인 폴딩(in folding) 방식으로 접히는 다른 실시예의 전자 장치를 도시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7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폴딩 축(A)을 기준으로 인 폴딩(in folding) 방식으로 접히는 전자 장치(1700)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딩 축(A)은 디스플레이(1740)(예: 도 1의 디스플레이(101))의 중심을 세로 방향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폴딩 축(A)은 디스플레이(1740)의 중심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700)는, 폴더블 하우징(예: 제 1 하우징(1710), 제 2 하우징(1720), 제 1 하우징(1710))에 대해 제 2 하우징(1720)이 회동 가능(rotatable)하도록 제 1 하우징(1710)과 제 2 하우징(1720)을 연결하는 힌지 조립체(1730), 및 폴더블 하우징(1710, 17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된 플렉서블(flexible)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17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740)는 제 1 하우징(1710)에서 힌지 조립체(1730)를 가로질러 제 2 하우징(1720)까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40)는 폴딩 축(A)을 기준으로 제 1 하우징(1710)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 1 표시 영역(1741)과 제 2 하우징(1720)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 2 표시 영역(174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힌지 조립체(1730)는 전자 장치(17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상태 전환(바꾸어 말해, 형태 전환)(1760)될 때 두 표시 영역들(1741, 1742)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는 인 폴딩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700)가 펼쳐진 상태일 때 두 표시 영역들(1741, 1742)은 실질적으로 동일 방향으로 향할 수 있고, 펼쳐진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상태 전환(미도시)됨에 따라 두 표시 영역들(1741, 1742)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힌지 조립체(173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폴딩 되도록 2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740)의 배면(예: 하부)에는 카메라 장치(105)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740)와 상기 카메라 장치(105)(예: 도 3의 카메라 장치(500))가 중첩되는 부분에서의 마스크층(431s)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18는 아웃 폴딩(out folding) 방식으로 접히는 다른 실시예의 전자 장치를 도시할 수 있다.
도 18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8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폴딩 축(A)을 기준으로 아웃 폴딩(out folding) 방식으로 접히는 전자 장치(1800)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딩 축(A)은 디스플레이(1840)(예: 도 1의 디스플레이(101))의 중심을 세로 방향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폴딩 축(A)은 디스플레이(1840)의 중심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800)는, 폴더블 하우징(예: 제 1 하우징(1810), 제 2 하우징(1820)), 힌지 조립체(1830), 및 폴더블 하우징(1810, 18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8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40)는 폴딩 축(A)을 기준으로 제 1 하우징(1810)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 1 표시 영역(1841)과 제 2 하우징(1820)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 2 표시 영역(184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힌지 조립체(1830)는 전자 장치(18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상태 전환될 때 두 표시 영역들(1841, 1842)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아웃 폴딩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800)가 펼쳐진 상태일 때 두 표시 영역들(1841, 1842)은 실질적으로 동일 방향으로 향할 수 있고, 펼쳐진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상태 전환(1860)됨에 따라 두 표시 영역들(1841, 1842)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힌지 조립체(183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폴딩 되도록 2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840)의 배면(예: 하부)에는 카메라 장치(105)(예: 도3의 카메라 장치(50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840)와 상기 카메라 장치(105)가 중첩되는 부분에서의 마스크층(431s)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19은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의 전자 장치를 도시할 수 있다.
도 19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9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일부분의 길이가 가변되는 하우징(22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20)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 또는 폭이 조정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1910)(예: 도 1의 디스플레이(10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220)은 고정되는 제 1 측면 부재(1921), 상기 제 1 측면 부재(1921)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움직일 수 있는 제 2 측면 부재(19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측면 부재(1921)는 디스플레이(1910)로부터 x1 방향에 배치되고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측면 부재(1923)는 디스플레이(1910)로부터 x2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x2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910)는 상기 제 2 측면 부재(1923)가 x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노출되는 면적 및/또는 폭이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9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17의플렉서블 디스플레이(1740), 또는 도 18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84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910)는 상기 제 2 측면 부재(1923)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노출되는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9의 화살표 1901과 같이, 상기 제 2 측면 부재(1923)가 x2 방향으로 움직이면 노출되는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910)는 상기 제 2 측면 부재(1923)가 x1 방향으로 움직이면 노출되는 폭이 줄어들 수 있다.
만약, 제 1 측면 부재(1921)와 제 2 측면 부재(1923)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910)의 노출 폭이 제 1 폭(W1)이고, 상기 제 2 측면 부재(1923)가 x2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최대 폭이 제 2 폭(W2)라고 가정한다면, 디스플레이(1910)의 최소 폭 및 디스플레이(1910)의 최대 폭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디스플레이(1910)의 최소 폭: 제 1 폭(W1),
- 디스플레이(1910)의 최대 폭: 제 1 폭(W1) 및 제 2 폭(W2)을 합한 폭
도시된 예에서, 제 1 측면 부재(1921)는 고정되고, 제 2 측면 부재(1923)는 x2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 1 측면 부재(1921)도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측면 부재(1921)는 x1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1910)는 제 1 측면 부재(1921)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노출되는 폭이 x1 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 2 측면 부재(1923)는 x2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 2 측면 부재(1923)는 y1 방향 또는 y2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910)는 제 2 측면 부재(1923)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노출되는 폭이 y1 방향 또는 y2 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910)의 배면(예: 하부)에는 카메라 장치(105)(예: 도 3의 카메라 장치(50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장치(105)는 디스플레이(1910)의 노출이 고정된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105)의 위치는 디스플레이(1910)의 폭에 관계없이 고정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910)와 상기 카메라 장치(105)가 중첩되는 부분에서의 마스크층(431s)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16b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20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2003)의 일부분(예: 제 2 영역(A2))이 제 2 하우징(2002)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일 수 있다. 도 20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2003)의 대부분이 제 2 하우징(2002)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일 수 있다.
도 20a에 도시된 상태는 제 2 하우징(2002)에 대하여 제 1 하우징(2001)이 폐쇄(closed)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0b에 도시된 상태는 제 2 하우징(2002)에 대하여 제 1 하우징(2001)이 개방(open)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된 상태(closed state)" 또는 "개방된 상태(opened state)"는 전자 장치가 폐쇄되거나 개방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0)는 제 1 하우징(2001), 및 제 1 하우징(2001)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2 하우징(2002)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00)에서 제 1 하우징(2001)은 제 2 하우징(2002)의 일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200)은 고정되고, 제 1 하우징(2001)은 제 2 하우징(2002)으로부터 지정된 방향, 예를 들어, 화살표 ①로 지시된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2001)은, 예를 들면, 제 1 하우징, 슬라이드부 또는 슬라이드 하우징으로 칭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2001)은 제 2 하우징(2002)과 결합된 채로 특정 방향(예: ①로 지시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하우징(2002)은, 예를 들면, 제 2 하우징, 메인부 또는 메인 하우징으로 칭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2002)은 메인 회로 기판이나 배터리와 같은 각종 전기, 전자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2001)은 제 1 플레이트(2011)(예: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레이트(2011)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2003)의 일부분(예: 제 1 영역(A1))이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03)는 상기 안착된 일부분(예: 제 1 영역(A1))으로부터 연장된 다른 일부분(예: 제 2 영역(A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003)의 다른 일부분(예: 제 2 영역(A2))은, 제 1 하우징(2001)의 움직임에 따라, 제 2 하우징(2002)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또는 제 2 하우징(200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003)의 다른 일부분(예: 제 2 영역(A2))은, 제 1 하우징(2001)이 제 2 하우징(2002)에 대하여 이동(예: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제 2 하우징(2002)의 내부로 수납(예: 슬라이드-인(slide-in) 동작)되거나, 제 2 하우징(2002)의 외부로 노출(예: 슬라이드-아웃(slide-out)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003)는 제 1 하우징(2001)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고정적으로 보여지는 제 1 영역(A1)과, 제 1 하우징(2001)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제 2 하우징(2002)의 내부로 수납(예: 슬라이드-인(slide-in) 동작)되거나, 제 2 하우징(2002)의 외부로 노출(예: 슬라이드-아웃(slide-out) 동작)되는 제 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영역(A2)은 제 2 하우징(2002)의 내부에 장착된 롤러(미도시)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하우징(2001)이 슬라이드 이동하면, 상기 롤러가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003)의 제 2 영역(A2)은 상기 롤러의 회전에 따라 제 2 하우징(2002)의 내부로 수납(예: 슬라이드-인(slide-in)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003)의 제 2 영역(A2)은 상기 롤러의 회전에 따라 제 2 하우징(2002)의 외부로 노출(예: 슬라이드-아웃(slide-out)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2002)은 제 2 플레이트(2021a), 제 2 플레이트(2021a)에 대향하는 후면 플레이트(2021b)(예: 리어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하우징(2002)은 제 2 플레이트(2021a)와 후면 플레이트(2021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하우징은, 제 2 플레이트(2021a)에서 연장된 제 1 측벽(2023a), 제 1 측벽(2023a)과 제 2 플레이트(2021a)에서 연장된 제 2 측벽(2023b), 및 제 1 측벽(2023a)과 제 2 플레이트(2021a)에서 연장되고, 제 2 측벽(2023b)에 평행한 제3 측벽(2023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측벽(2023b)과 제3 측벽(2023c)은 제 1 측벽(2023a)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레이트(2021a), 제 1 측벽(2023a), 제 2 측벽(2023b) 및 제3 측벽(2023c)은 제 1 하우징(200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또는 감싸도록) 일측(예: 전면(front face))이 오픈되게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하우징(200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지는 상태로 제 2 하우징(2002)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하우징(2001)은 제 2 하우징(2002)의 안내를 받으면서 지정된 방향, 예를 들어, 화살표 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측벽(2023b) 또는 제3 측벽(2023c)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레이트(2021a), 제 1 측벽(2023a), 제 2 측벽(2023b) 및/또는 제3 측벽(2023c)은 별개의 하우징으로 형성되어 결합 또는 조립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2021b)는 제 2 플레이트(2021a)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게 결합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후면 플레이트(2021b)는 실질적으로 제 2 플레이트(2021a)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레이트(2021a) 또는 후면 플레이트(2021b)는 디스플레이(2003)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200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하우징(2002)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으며, 제 2 플레이트(2021a) 또는 후면 플레이트(2021b)는 제 2 하우징(2002)의 내부로 수납된 디스플레이(2003)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레이트(2011)(예: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 1 하우징(2001)이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이동하면, 제 2 영역(A2)이 점차 제 2 하우징(2002)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제 1 영역(A1)과 함께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03)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영역(A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하우징(2002)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으며, 도 20a에 도시된 상태(예: 폐쇄 상태)에서도 제 2 영역(A2)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와 무관하게, 노출된 제 2 영역(A2)의 일부는 롤러(미도시)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롤러(205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 2 영역(A2)의 일부는 곡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0)는 키 입력 장치(2041), 커넥터 홀(2043), 오디오 모듈(2045a, 2045b, 2047a, 2047b) 또는 카메라 모듈(204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전자 장치(2000)는 인디케이터(예: LED 장치) 또는 각종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 장치(2041)는 제 2 하우징(2002)의 제 2 측벽(2023b) 또는 제3 측벽(2023c)에 배치될 수 있다. 외관과 사용 상태에 따라, 도시된 키 입력 장치(2041)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키 입력 장치(들)을 포함하도록 전자 장치(2000)가 설계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0)는 도시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 예를 들면, 홈 키 버튼, 또는 홈 키 버튼 주변에 배치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 장치(2041)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하우징(2001)의 일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홀(2043)은, 생략될 수 있으며,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지만, 전자 장치(2000)는 복수의 커넥터 홀(20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커넥터 홀(2043) 중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 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 홀(2043)은 제3 측벽(2023c)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커넥터 홀(2043) 또는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홀이 제 1 측벽(2023a) 또는 제 2 측벽(2023b)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2045a, 2045b, 2047a, 2047b)은 스피커 홀(2045a, 2045b), 또는 마이크 홀(2047a, 2047b)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홀(2045a, 2045b) 중 하나는 음성 통화용 리시버 홀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외부 스피커 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마이크 홀(2047a, 2047b)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서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홀(2045a, 2045b)과 마이크 홀(2047a, 2047b)이 하나의 홀로 구현되거나, 스피커 홀(2045a, 2045b)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조번호 "2045b"로 지시된 스피커 홀은 제 1 하우징(2001)에 배치되어 음성 통화용 리시버 홀로 활용될 수 있으며, 참조번호 "2045a"로 지시된 스피커 홀(예: 외부 스피커 홀), 또는 마이크 홀(2047a, 2047b)은 제 2 하우징(2002)(예: 측면들(2023a, 2023b, 2023c)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049)은 제 2 하우징(2002)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2003)의 제 1 영역(A1)과는 반대 방향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0)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2049)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00)는 광각 카메라, 망원 카메라 또는 접사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적외선 프로젝터 및/또는 적외선 수신기를 포함함으로써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49)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전자 장치(2000)는 디스플레이(2003)의 제 1 영역(A1)과는 반대 방향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예: 전면 카메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는 제 1 영역(A1)의 주위에 또는 디스플레이(2003)과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2003)과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된 경우 디스플레이(2003)를 투과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0)의 인디케이터(미도시)는 제 1 하우징(2001) 또는 제 2 하우징(2002)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함으로써 전자 장치(2000)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인 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0)의 센서 모듈(미도시)은, 전자 장치(20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예를 들어, 근접 센서, 지문 센서 또는 생체 센서(예: 홍채/안면 인식 센서 또는 HRM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장치(2000)는, 디스플레이(2003) 의 배면(예: 하부)에 카메라 장치(예: 도 1의 카메라 장치(105), 또는 도 3의 카메라 장치(50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장치(105)는 제 1 하우징(2001)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고정적으로 보여지는 제 1 영역(A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003)와 상기 카메라 장치(105)가 중첩되는 부분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카메라 장치(105)가 중첩되는 부분의 구조를 도 21 및 도 22를 결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1은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장치(20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2003)의 대부분이 제 2 하우징(2002)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일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0)는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0)와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1을 참조하여, 언급되지 않은 설명만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0)는, 디스플레이(2003) 의 배면(예: 하부)에 카메라 장치(예: 도 1의 카메라 장치(105), 또는 도 3의 카메라 장치(50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장치(105)는 제 1 하우징(2001)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고정적으로 보여지는 제 1 영역(A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003)와 상기 카메라 장치(105)가 중첩되는 부분에서의 마스크층(예: 도 7의 마스크층(431s))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16b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층(431s)은 제 2 하우징(2002)의 외부로 노출(예: 슬라이드-아웃(slide-out) 동작)되는 제 2 영역(A2)에서 지정된 형태를 갖고 배열되는 불투명 마스크(2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투명 마스크(2111)는 디스플레이(2003)가 제 2 하우징(2002)의 내부로 수납(예: 슬라이드-인(slide-in) 동작)되거나, 제 2 하우징(2002)의 외부로 노출(예: 슬라이드-아웃(slide-out) 동작)되는 방향에 수직된 방향(예: 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2111)는 제 2 영역(A2)에서 복수개의 열을 갖도록 배열 및 형성되고, 서로 이웃한 불투명 마스크(2111)들 사이에는 불투명 마스크가 형성되지 않는 투과 영역(2112)이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2111)는 제 2 영역(A2)에서 복수개의 열을 갖도록 배열 및 형성됨에 따라, 디스플레이(2003)가 제 1 하우징(2001)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제 2 하우징(2002)의 내부로 수납(예: 슬라이드-인(slide-in) 동작)되거나, 제 2 하우징(2002)의 외부로 노출(예: 슬라이드-아웃(slide-out) 동작)될 때, 디스플레이(2003)에게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2003)의 밴딩이 수월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제 2 영역(A2)에서 형성되는 불투명 마스크(2111)는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영역(A2)에서 형성되는 불투명 마스크(2111)들은 디스플레이(2003)가 제 2 하우징(2002)의 내부로 수납(예: 슬라이드-인(slide-in) 동작)되거나, 제 2 하우징(2002)의 외부로 노출(예: 슬라이드-아웃(slide-out) 동작)되는 방향(예: ①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영역(A2)에서 형성되는 불투명 마스크(2111)들 각각은 도 21의 ①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제 1 영역(A1)에서 형성되는 불투명 마스크(2111)는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영역(A1)에서 형성되는 불투명 마스크(2111)는 카메라 장치(105)가 중첩되는 부분에서 적어도 일부 형성될 뿐만 아니라, 카메라 장치(105)와 중첩되지 않는 부분(예: 도 21의 2120에 대응하는 부분)에도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영역(A1)에서 형성되는 불투명 마스크(2211)는 도 11a 및 도 11b에서 설명된 불투명 마스크들(711, 712, 713, 714)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마스크층(431s)과 같이 카메라 장치(105)와 중첩되지 않는 부분(예: 도 22의 2120에 대응하는 부분)의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2는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장치(20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2003)의 대부분이 제 2 하우징(2002)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일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0)는 도 20a 내지 도 21에 도시된 전자 장치(2000)와 적어도 일부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2를 참조하여, 언급되지 않은 설명만 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층(431s)은 제 2 하우징(2002)의 외부로 노출(예: 슬라이드-아웃(slide-out) 동작)되는 제 2 영역(A2)에서 지정된 형태를 갖고 배열되는 불투명 마스크(2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투명 마스크(2211)는 디스플레이(2003)가 제 2 하우징(2002)의 내부로 수납(예: 슬라이드-인(slide-in) 동작)되거나, 제 2 하우징(2002)의 외부로 노출(예: 슬라이드-아웃(slide-out) 동작)되는 방향에 수직된 방향(예: 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2211)는 제 2 영역(A2)에서 복수개의 열을 갖도록 배열 및 형성되고, 서로 이웃한 불투명 마스크(2111)들 사이에는 불투명 마스크가 형성되지 않는 투과 영역(2212)이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2211)의 각 열은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않고, 분절부(22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절부(2213)는 마스크층(431s)에서 불투명 마스크(2211)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투명 마스크(2211)의 각 열에 형성된 분절부(2213)들은 이웃한 열에 형성된 분절부(2213)들과 서로 이웃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투명 마스크(2211)의 각 열에 형성된 분절부(2213)들은 지시부호 220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평행하지 않고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제 2 영역(A2)에서 형성되는 불투명 마스크(2211)는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영역(A2)에서 형성되는 불투명 마스크(2211)들은 디스플레이(2003)가 제 2 하우징(2002)의 내부로 수납(예: 슬라이드-인(slide-in) 동작)되거나, 제 2 하우징(2002)의 외부로 노출(예: 슬라이드-아웃(slide-out) 동작)되는 방향(예: ①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영역(A2)에서 형성되는 불투명 마스크(2211)들 각각은 도 22의 ①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제 1 영역(A1)에서 형성되는 불투명 마스크(2211)는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영역(A1)에서 형성되는 불투명 마스크(2211)는 카메라 장치(105)가 중첩되는 부분에서 적어도 일부 형성될 뿐만 아니라, 카메라 장치(105)와 중첩되지 않는 부분(예: 도 22의 2220에 대응하는 부분)에도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영역(A1)에서 형성되는 불투명 마스크(2211)는 도 11a 및 도 11b에서 설명된 불투명 마스크들(711, 712, 713, 714)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마스크층(431s)과 같이 카메라 장치(105)와 중첩되지 않는 부분(예: 도 22의 2220에 대응하는 부분)의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2300) 내의 전자 장치(2301)의 블록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전자 장치(2301)는,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장치들(예: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또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과 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3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2380)은, 도 1의 카메라 장치(105), 도 3의 카메라 장치(500), 도 5의 카메라 장치(500), 도 18 및 도 19의 카메라 장치(105), 도 20a 및 도 20b의 카메라 모듈(2049), 및/또는 도 21 및 도 22의 카메라 장치(105)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2300)에서 전자 장치(2301)는 제 1 네트워크(23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23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23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2304) 또는 서버(23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301)는 서버(2308)를 통하여 전자 장치(23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301)는 프로세서(2320), 메모리(2330), 입력 모듈(2350), 음향 출력 모듈(2355), 디스플레이 모듈(2360), 오디오 모듈(2370), 센서 모듈(2376), 인터페이스(2377), 연결 단자(2378), 햅틱 모듈(2379), 카메라 모듈(2380), 전력 관리 모듈(2388), 배터리(2389), 통신 모듈(2390), 가입자 식별 모듈(2396), 또는 안테나 모듈(23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3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23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2376), 카메라 모듈(2380), 또는 안테나 모듈(23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23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23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3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2320)에 연결된 전자 장치(23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23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2376) 또는 통신 모듈(23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23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23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23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20)는 메인 프로세서(23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23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301)가 메인 프로세서(2321) 및 보조 프로세서(23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2323)는 메인 프로세서(23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2323)는 메인 프로세서(23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23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23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23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23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2321)와 함께, 전자 장치(23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2360), 센서 모듈(2376), 또는 통신 모듈(23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23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2380) 또는 통신 모듈(23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23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23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23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30)는, 전자 장치(23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320) 또는 센서 모듈(23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3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30)는, 휘발성 메모리(23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23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2340)은 메모리(23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2342), 미들 웨어(2344) 또는 어플리케이션(23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2350)은, 전자 장치(23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3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23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23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3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23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3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360)은 전자 장치(23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3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23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3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2370)은, 입력 모듈(23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2355), 또는 전자 장치(23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3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2376)은 전자 장치(23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3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377)는 전자 장치(23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3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23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23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23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3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23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23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23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3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3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388)은 전자 장치(23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2389)는 전자 장치(23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23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390)은 전자 장치(23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302), 전자 장치(2304), 또는 서버(23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2390)은 프로세서(23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390)은 무선 통신 모듈(23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23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23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23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23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392)은 가입자 식별 모듈(23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2398) 또는 제 2 네트워크(23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3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3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3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3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392)은 전자 장치(23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3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23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23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23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23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23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2398) 또는 제 2 네트워크(23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23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23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23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23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2399)에 연결된 서버(2308)를 통해서 전자 장치(2301)와 외부의 전자 장치(23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2302, 또는 2304) 각각은 전자 장치(23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3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2302, 2304, 또는 23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23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23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23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23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23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23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3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2304) 또는 서버(2308)는 제 2 네트워크(23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23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23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2336) 또는 외장 메모리(23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23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23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3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431s: 마스크층
VA: 화각 영역
711: 불투명 마스크의 제 1 부분
712: 불투명 마스크의 제 2 부분
713: 불투명 마스크의 제 3 부분
713: 불투명 마스크의 제 4 부분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방향에서 활성화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 1 투과율을 갖고 상기 카메라 장치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상기 카메라 장치의 화각에 대응하는 화각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활성화 영역(active area), 및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낮은 제 2 투과율을 갖는 제 2 활성화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불투명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을 포함하고,
    상기 불투명 마스크는 상기 화각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 1 부분, 및 상기 화각 영역의 외곽 경계를 지정된 폭을 갖고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마스크는
    상기 제 1 활성화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의 외곽에 형성되는 제 3 부분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마스크는
    상기 제 2 활성화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4 부분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제 1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3 부분은 제 2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4 부분은 제 3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내지 상기 제 3 패턴은 모두 동일한, 전자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과 다르고,
    상기 제 3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 및/또는 상기 제 2 패턴과 다른, 전자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의 외곽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부분은 제 2 활성화 영역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제 1 방향에 적층되고 복수의 배선 및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배선층;
    상기 배선층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적층되고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적층되는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층은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배선층 사이에 적층되는,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에 부착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금속 시트를 포함하지 않는, 전자 장치.
  11. 디스플레이를 통과한 외부의 광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를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제 1 투과율을 갖고 상기 카메라 장치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상기 카메라 장치의 화각에 대응하는 화각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활성화 영역(active area), 및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낮은 제 2 투과율을 갖는 제 2 활성화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불투명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을 포함하고,
    상기 불투명 마스크는 상기 화각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 1 부분, 및 상기 화각 영역의 외곽 경계를 지정된 폭을 갖고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마스크는 상기 제 1 활성화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의 외곽에 형성되는 제 3 부분, 및 상기 제 2 활성화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4 부분을 더 포함하는, , 디스플레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제 1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3 부분은 제 2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4 부분은 제 3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마스크의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화각 영역의 외곽인 상기 제 1 활성화 영역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 2 활성화 영역의 전체에 대응하도록 확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내지 상기 제 3 패턴은 모두 동일한, 디스플레이.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과 다르고,
    상기 제 3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 및/또는 상기 제 2 패턴과 다른, 디스플레이.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의 외곽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부분은 제 2 활성화 영역 전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제 2 방향에 부착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금속 시트를 포함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20. 디스플레이를 통과한 외부의 광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를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제 1 투과율을 갖고 상기 카메라 장치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상기 카메라 장치의 화각에 대응하는 화각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활성화 영역(active area), 및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낮은 제 2 투과율을 갖는 제 2 활성화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제 2 방향에 부착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불투명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을 포함하고,
    상기 불투명 마스크는 상기 화각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 1 부분, 상기 화각 영역의 외곽 경계를 지정된 폭을 갖고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 2 부분, 상기 제 1 활성화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의 외곽에 형성되는 제 3 부분, 및 상기 제 2 활성화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금속 시트를 포함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KR1020200090163A 2020-07-21 2020-07-21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11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163A KR20220011365A (ko) 2020-07-21 2020-07-21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21/007948 WO2022019497A1 (ko) 2020-07-21 2021-06-24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21845371.0A EP4170456A4 (en) 2020-07-21 2021-06-24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AND CAMERA DEVICE
CN202180059060.9A CN116157763A (zh) 2020-07-21 2021-06-24 包括显示器和相机装置的电子装置
US18/155,415 US20230156347A1 (en) 2020-07-21 2023-01-17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and camer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163A KR20220011365A (ko) 2020-07-21 2020-07-21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365A true KR20220011365A (ko) 2022-01-28

Family

ID=7972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163A KR20220011365A (ko) 2020-07-21 2020-07-21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56347A1 (ko)
EP (1) EP4170456A4 (ko)
KR (1) KR20220011365A (ko)
CN (1) CN116157763A (ko)
WO (1) WO20220194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345209U (zh) * 2019-03-08 2019-09-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2259705A (zh) * 2020-10-21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和有机发光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7955B2 (en) * 2011-03-24 2013-10-29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cealing sensors and other components of electronic devices
US10360431B2 (en) * 2015-03-25 2019-07-2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in hole array mask above optical image sensor and related methods
KR102501111B1 (ko) * 2015-12-28 2023-0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094963B2 (en) * 2016-09-02 2018-10-09 Apple Inc. Infrared-transparent window coatings for electronic device sensors
US10732743B2 (en) * 2017-07-18 2020-08-04 Apple Inc. Concealable input region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microperforations
EP3553638A1 (en) * 2018-04-13 2019-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having opaque member disposed in area surrounded by pixels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9497A1 (ko) 2022-01-27
US20230156347A1 (en) 2023-05-18
CN116157763A (zh) 2023-05-23
EP4170456A1 (en) 2023-04-26
EP4170456A4 (en)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991B1 (ko) 슬라이드 아웃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156347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and camera device
US2022021025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lide-out display
KR20220007825A (ko) 디지타이저 및 표시 장치
KR20220037755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05323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US1188576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module and method for detecting damage to the display module
US2023005403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camera and method controlling thereof
US2023005113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static discharge path
EP4276909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amera module
KR102647157B1 (ko) 정전기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145126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JP202452123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を含む電子装置
EP4350881A1 (en)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structure
US2023004669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hielding member
KR20220138325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81212A (ko) 터치 센서 일체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3324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32276A (ko)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 프레임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기판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38149A (ko) Esd 현상을 고려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24717A (ko) 금속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4102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3247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20633A (ko) 안테나 구조체 및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7136643A (zh) 包括相机模块的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