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348A -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 Google Patents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348A
KR20220011348A KR1020200090120A KR20200090120A KR20220011348A KR 20220011348 A KR20220011348 A KR 20220011348A KR 1020200090120 A KR1020200090120 A KR 1020200090120A KR 20200090120 A KR20200090120 A KR 20200090120A KR 20220011348 A KR20220011348 A KR 20220011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
game
voice
chatting
compu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672B1 (ko
Inventor
고정연
김병주
김주현
송하윤
유가희
이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200090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67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7Communicating with other players during game play, e.g. by e-mail or cha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5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finding other players; for building a team; for providing a buddy l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81Input via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게임 내 보이스 채팅 중 게이밍 디바이스로부터 채팅 상대방 정보 및 단독 채팅의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단독 채팅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및 단독 채팅 요청에 기반하여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로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METHOD FOR GAME SERVICE AND COMPUTING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개시되는 실시예는 게임 내 채팅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게임은 게이밍 디바이스 내에서만 실행되는 로컬 게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게이밍 디바이스나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실행되는 온라인 게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또한, 하드웨어 성능 및 네트워크 기술의 향상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나 게임 콘솔뿐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렛(Tablet) PC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에서도 게임이 실행 가능하도록 진화하고 있다.
한편, 게임 내 게임 유저들이 보이스 채팅을 하면서 함께 게임을 진행할 때, 특정 게임 유저에게만 메시지를 전달할 경우가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보이스 채팅 시 특정 게임 유저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텍스트를 작성하여 텍스트 귓속말로 전달하거나 별도의 보이스 채팅방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는 보이스 채팅 중 단독 채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기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게임 내 보이스 채팅 중 게이밍 디바이스로부터 채팅 상대방 정보 및 단독 채팅의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단독 채팅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단독 채팅 요청에 기반하여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로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단독 채팅 요청은, 기 설정된 호출 액션 및 채팅 상대방 호명을 포함하는 단독 채팅 이벤트에 기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키보드의 기 설정된 키를 누르는 행위일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게임 화면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행위일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기 설정된 명령어를 호명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는, 상기 단독 채팅의 음성 신호 및 큐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서비스 방법은, 상기 단독 채팅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동작; 및 상기 변환된 텍스트를 상기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서비스 방법은, 상기 단독 채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단독 채팅 이외의 보이스 채팅에 대해 볼륨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륨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보이스 채팅의 합성된 음성 신호에서 게임 유저들의 음성 볼륨을 상기 단독 채팅의 음성 볼륨 보다 작도록 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로서, 게임 내 보이스 채팅 중 게이밍 디바이스로부터 채팅 상대방 정보 및 단독 채팅의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단독 채팅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독 채팅 요청에 기반하여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로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를 전달하는 음성 전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단독 채팅 요청은, 기 설정된 호출 액션 및 채팅 상대방 호명을 포함하는 단독 채팅 이벤트에 기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키보드의 기 설정된 키를 누르는 행위일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게임 화면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행위일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기 설정된 명령어를 호명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음성 전달 모듈은, 상기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에 상기 단독 채팅의 음성 신호 및 큐 사운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단독 채팅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를 상기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텍스트 전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단독 채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단독 채팅 이외의 보이스 채팅에 대해 볼륨 제어를 수행하는 볼륨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륨 제어 모듈은, 상기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보이스 채팅의 합성된 음성 신호에서 게임 유저들의 음성 볼륨을 상기 단독 채팅의 음성 볼륨 보다 작도록 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기 설정된 호출 액션 및 채팅 상대방 호명을 통해 단독 채팅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보이스 채팅 중에도 특정한 상대방을 대상으로 단독 채팅을 수행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게임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개시되는 실시예에서 단독 채팅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개시되는 실시예에서 단독 채팅이 이루어지는 동안 보이스 채팅에 대해 볼륨 제어를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채팅 시 단독 채팅을 수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 "게임"이란,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게이머들이 게이밍 디바이스에 탑재되거나 연결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즐길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통상 플레이어 캐릭터를 직접 조작하거나, 게임 내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등의 방식으로 진행되며, 롤플레잉, 어드벤쳐, 아케이드 등으로 장르가 구분되기도 한다.
이하에서 "게이밍 디바이스"란 게임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되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며, 출력장치를 통해 결과를 출력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랩탑(Laptop Computer), 게임 콘솔(Game Console),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렛(Tablet) PC, 스마트 밴드(Smart Band)나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정의를 만족하는 하드웨어라면 게이밍 디바이스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에서 "온라인 게임"이란, 게임의 플레이를 위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야 하는 게임을 의미한다. 통상 원격지의 둘 이상의 게이밍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서버를 통해 동기화되어 즐기는 게임을 의미한다. 상기의 정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게임을 실행하는 게이밍 디바이스의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개인용 컴퓨터나 게임 콘솔에서 실행되는 게임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에서 실행되는 게임, 또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게이밍 디바이스(서로 다른 종류의 게이밍 디바이스도 포함한다)가 연동되거나 클라우드에서 실행되는 게임 또한 상기 정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온라인 게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에서 "입력장치(Input Device)"란, 게이밍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조이스틱,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하드웨어 버튼 또는 스티어링 휠, 악기, 총, 장갑, 발판 등의 형태로 제조된 게임 조작 전용 입력장치를 들 수 있다. 이외에도 게이밍 디바이스에 탑재되거나 연동되는 각종 센서(온도 센서, 적외선 센서, 모션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나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실내 위치 확인 시스템(Indoor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치 확인 수단 또한 입력장치의 일 예로 들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게임 서비스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게이밍 디바이스(102) 및 게임 서버(10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통신 네트워크(150)를 통해 게임 서버(104)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150)는 인터넷, 하나 이상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s),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s), 셀룰러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 그 밖에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밍 디바이스(102)에는 하나 이상의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은 게임 서버(104)와 연동하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게이밍 디바이스(102)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게임 서버(104)에 각각 접속하여 동일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게임 유저 간 보이스 채팅을 수행하기 위한 음향 장비(예를 들어, 마이크 및 스피커 또는 헤드 셋 등)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게임 유저들은 게임 내에서 제공하는 보이스 채팅 기능을 통해 서로 대화하면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각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게임 유저의 음성 신호를 게임 서버(104)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단독 채팅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단독 채팅이라 함은 게임 유저가 보이스 채팅 내에서 특정 상대방에게만 발화 내용을 전달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독 채팅 이벤트는 게임 유저의 기 설정된 호출 액션 및 채팅 상대방 호명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즉, 단독 채팅 이벤트는 게임 유저가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을 하면서 단독 채팅을 하기 위한 채팅 상대방(예를 들어, 게임 유저의 닉네임 등)을 호명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개시되는 실시예에서 단독 채팅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키보드의 기 설정된 키를 누르는 행위일 수 있다. 즉, 게임 유저가 키보드의 기 설정된 키를 누르면서 채팅 상대방을 호명(예를 들어, 혈맹원 중 닉네임 "루나"를 호명)하는 경우,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단독 채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게임 화면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를 선택하는 행위일 수 있다. 즉, 게임 유저가 게임 화면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하여 선택하면서 채팅 상대방을 호명하는 경우,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단독 채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기 설정된 모션(예를 들어, 손가락으로 V자를 표시함)을 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게임 유저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면서 채팅 상대방을 호명하는 경우,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단독 채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게임 유저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d)를 참조하면,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기 설정된 명령어(예를 들어, "단독 채팅" 등)를 호명하는 것일 수 있다. 즉, 게임 유저가 기 설정된 명령어를 호명하고 이어서 채팅 상대방을 호명하는 경우,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단독 채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단독 채팅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단독 채팅 요청을 게임 서버(104)로 전송할 수 있다. 단독 채팅 요청에는 단독 채팅을 하기 위한 채팅 상대방 정보 및 단독 채팅의 발화 내용인 음성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단독 채팅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게임 유저가 호명한 채팅 상대방 정보와 함께 게임 유저가 발화하는 음성 신호를 단독 채팅 요청에 포함하여 게임 서버(104)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단독 채팅 이벤트의 종료를 감지할 수 있다.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단독 채팅 이벤트의 종료를 감지한 경우, 단독 채팅 종료 요청을 게임 서버(104)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독 채팅 이벤트의 종료는 게임 유저의 기 설정된 종료 액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즉, 게임 유저는 기 설정된 종료 액션을 취하여 단독 채팅을 종료시킬 수 있다.
기 설정된 종료 액션은 기 설정된 호출 액션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이 키보드의 기 설정된 키를 누르는 것인 경우, 기 설정된 종료 액션은 기 설정된 키의 누름을 해제하는 것일 수 있다. 즉, 게임 유저는 단독 채팅을 하는 동안 키보드의 기 설정된 키를 누르고 있다가 단독 채팅을 종료하려고 하면 키보드의 기 설정된 키의 누름을 해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이 키보드의 기 설정된 키를 누르는 것인 경우, 기 설정된 종료 액션은 기 설정된 키를 다시 누르는 것일 수 있다. 즉, 게임 유저는 단독 채팅을 시작하면서 키보드의 기 설정된 키를 한 번 누르고, 단독 채팅을 종료하려고 하는 경우 키보드의 기 설정된 키를 다시 한 번 누를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이 게임 화면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하여 선택하는 것인 경우, 기 설정된 종료 액션은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터치를 해제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 설정된 종료 액션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게임 서버(104)는 게임 서버(104)에 접속하는 복수 개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들로 게임 서비스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게임 서버(104)는 복수의 게임 유저들(예를 들어, 동일한 혈맹원들)을 대상으로 게임 내에서 보이스 채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게임 서버(104)는 게이밍 디바이스(102)로부터 단독 채팅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단독 채팅 요청에 기반하여 해당 게임 유저들에게 단독 채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게임 서버(104)는 게이밍 디바이스(102)로부터 단독 채팅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단독 채팅을 종료할 수 있다.
도 3은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104)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게임 서버(104)는 음성 전달 모듈(111), 텍스트 전달 모듈(113), 및 볼륨 제어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전달 모듈(111), 텍스트 전달 모듈(113), 및 볼륨 제어 모듈(115)는 물리적으로 구분된 하나 이상의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되거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와 달리 구체적 동작에 있어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음성 전달 모듈(111)은 게이밍 디바이스(102)로부터 단독 채팅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단독 채팅 요청에 포함된 채팅 상대방 정보로부터 채팅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다. 음성 전달 모듈(111)은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를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음성 전달 모듈(111)은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102)에게만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는 단독 채팅 요청에 포함된 게임 유저의 음성 신호(즉, 단독 채팅의 발화 음성) 및 큐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큐 사운드는 채팅 상대방에게 보이스 채팅의 발화 음성이 단독 채팅에 의한 것임을 알려주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에 포함된 큐 사운드를 스피커로 출력하면서 단독 채팅의 발화 음성을 연이어 출력하게 된다.
즉, 단독 채팅의 상대방의 입장에서는 보이스 채팅을 통해 여러 명의 게임 유저와 대화를 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에 큐 사운드를 포함시켜 전달함으로써, 현재 전달되는 게임 유저의 음성 신호가 단독 채팅 요청에 의한 발화 음성임을 채팅 상대방에게 알려줄 수 있다.
텍스트 전달 모듈(113)은 단독 채팅 요청에 포함된 게임 유저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텍스트 전달 모듈(113)은 단독 채팅의 발화 내용을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텍스트 전달 모듈(113)은 STT(Speech to Text) 기술을 통해 단독 채팅 요청에 포함된 게임 유저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텍스트 전달 모듈(113)은 변환된 텍스트(즉, 단독 채팅의 발화 내용)를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로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를 전달하여 단독 채팅의 발화 음성이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더라도 채팅 상대방이 이를 잘 듣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단독 채팅의 발화 내용을 텍스트로 다시 한번 채팅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볼륨 제어 모듈(115)은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102)에서 단독 채팅의 발화 음성이 출력되는 동안, 단독 채팅 이외의 보이스 채팅에 대해 볼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볼륨 제어 모듈(115)은 단독 채팅이 이루어지는 동안 보이스 채팅에 대해 볼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볼륨 제어 모듈(115)은 단독 채팅이 이루어지는 동안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로 전달하는 보이스 채팅의 합성된 음성 신호에서 게임 유저들의 음성 볼륨을 단독 채팅의 음성 볼륨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개시되는 실시예에서 단독 채팅이 이루어지는 동안 보이스 채팅에 대해 볼륨 제어를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게임 유저들(A, B, C, D)이 보이스 채팅을 하면서 함께 게임을 진행하고 있고, 게임 유저 A가 게임 유저 C에게 단독 채팅을 보내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게임 서버(104)는 게임 유저 A의 단독 채팅 요청에 따라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V)를 게임 유저 C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게임 서버(104)는 게임 유저들 간 보이스 채팅 시 합성된 음성 신호를 각 게임 유저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즉, 게임 서버(104)는 게임 유저 A에게 게임 유저 B, C, D의 음성 신호가 합성된 음성 신호(S1)를 전달하고, 게임 유저 B에게 게임 유저 A, C, D의 음성 신호가 합성된 음성 신호(S2)를 전달하며, 게임 유저 C에게 게임 유저 B, D의 음성 신호가 합성된 음성 신호(S3)를 전달하고, 게임 유저 D에게 게임 유저 A, B, C의 음성 신호가 합성된 음성 신호(S4)를 전달하게 된다.
게임 서버(104)는 단독 채팅의 채팅 상대방인 게임 유저 C에게 합성된 음성 신호(S3)을 전달할 때, 게임 유저 B 및 게임 유저 D의 음성 볼륨을 단독 채팅의 음성 볼륨 보다 작게 하여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독 채팅의 음성 볼륨이 기본 설정 값인 경우, 합성된 음성 신호(S3)에서 게임 유저 B 및 게임 유저 D의 음성 볼륨을 기본 설정 값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볼륨을 기본 설정 값보다 작게 하는 것은 음성 볼륨을 소거(뮤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단독 채팅의 채팅 상대방인 게임 유저 C가 보이스 채팅을 하면서도 단독 채팅의 발화 음성을 보다 명확히 듣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채팅 시 단독 채팅을 수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게임 유저 A는 기 설정된 호출 액션(예를 들어, 키보드의 기 설정된 키를 누름)을 하면서 채팅 상대방을 호명(예를 들어, 루나님)하여 단독 채팅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게임 유저 A는 채팅 상대방에게 전달할 단독 채팅 내용(예를 들어, "이번 전쟁 끝나고 다음 스케줄 확인해서 공유해주세요")을 발화할 수 있다. 게임 유저 A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게임 유저 A가 호명한 채팅 상대방 정보와 함께 게임 유저 A가 발화하는 음성 신호를 단독 채팅 요청에 포함하여 게임 서버(104)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게임 서버(104)는 단독 채팅 요청에 포함된 채팅 상대방 정보로부터 채팅 상대방(즉, 닉네임 "루나")을 확인하고, 채팅 상대방인 게임 유저 C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로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게임 서버(104)는 단독 채팅 요청에 포함된 게임 유저 A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채팅 상대방인 게임 유저 C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로 전달할 수 있다.
게임 유저 C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에 포함된 큐 사운드를 스피커로 출력하면서 단독 채팅의 발화 음성을 연이어 출력할 수 있다(①). 그리고, 게임 유저 C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게임 서버(104)로부터 전달받은 텍스트를 게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②).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기 설정된 호출 액션 및 채팅 상대방 호명을 통해 단독 채팅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보이스 채팅 중에도 특정한 상대방을 대상으로 단독 채팅을 수행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게임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는 게임 서버(104)가 전달하는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에 큐 사운드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임 서버(104)가 단독 채팅의 발화 음성 및 단독 채팅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를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로 전달하고,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102)에서 큐 사운드를 출력하면서 단독 채팅의 발화 음성을 연이어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게임 서버(104)가 단독 채팅 요청에 포함된 게임 유저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임 서버(104)가 단독 채팅의 발화 음성 및 단독 채팅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를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로 전달하면,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102)가 단독 채팅의 발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게임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602에서, 게임 서버(104)는 게임 내 보이스 채팅 중 게이밍 디바이스(102)로부터 단독 채팅 요청을 수신한다. 게이밍 디바이스(102)는 단독 채팅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단독 채팅 요청을 게임 서버(104)로 전송할 수 있다. 단독 채팅 요청에는 단독 채팅을 하기 위한 채팅 상대방 정보 및 단독 채팅의 발화 내용인 음성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604에서, 게임 서버(104)는 단독 채팅 요청에 포함된 채팅 상대방 정보로부터 채팅 상대방을 확인한다.
단계 606에서, 게임 서버(104)는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를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로 전달한다.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에는 단독 채팅 요청에 포함된 게임 유저의 음성 신호(즉, 단독 채팅의 발화 음성) 및 큐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08에서, 게임 서버(104)는 단독 채팅 요청에 포함된 게임 유저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102)로 전달한다.
단계 610에서, 게임 서버(104)는 게이밍 디바이스(102)로부터 단독 채팅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단독 채팅을 요청한 게임 유저와 채팅 상대방 간의 단독 채팅을 종료한다. 이때, 게임 유저들 간 보이스 채팅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게이밍 디바이스(102)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게임 서버(104)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게임 서비스 시스템
102 : 게이밍 디바이스
104 : 게임 서버
111 : 음성 전달 모듈
113 : 텍스트 전달 모듈
115 : 볼륨 제어 모듈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게임 내 보이스 채팅 중 게이밍 디바이스로부터 채팅 상대방 정보 및 단독 채팅의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단독 채팅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단독 채팅 요청에 기반하여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로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독 채팅 요청은,
    기 설정된 호출 액션 및 채팅 상대방 호명을 포함하는 단독 채팅 이벤트에 기반하여 발생되는, 게임 서비스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키보드의 기 설정된 키를 누르는 행위인, 게임 서비스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게임 화면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행위인, 게임 서비스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는 것인, 게임 서비스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기 설정된 명령어를 호명하는 것인, 게임 서비스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는,
    상기 단독 채팅의 음성 신호 및 큐 사운드를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임 서비스 방법은,
    상기 단독 채팅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동작; 및
    상기 변환된 텍스트를 상기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임 서비스 방법은,
    상기 단독 채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단독 채팅 이외의 보이스 채팅에 대해 볼륨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볼륨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보이스 채팅의 합성된 음성 신호에서 게임 유저들의 음성 볼륨을 상기 단독 채팅의 음성 볼륨 보다 작도록 하는, 게임 서비스 방법.
  1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로서,
    게임 내 보이스 채팅 중 게이밍 디바이스로부터 채팅 상대방 정보 및 단독 채팅의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단독 채팅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독 채팅 요청에 기반하여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로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를 전달하는 음성 전달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2. 청구한 11에 있어서,
    상기 단독 채팅 요청은,
    기 설정된 호출 액션 및 채팅 상대방 호명을 포함하는 단독 채팅 이벤트에 기반하여 발생되는, 컴퓨팅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키보드의 기 설정된 키를 누르는 행위인, 컴퓨팅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게임 화면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행위인, 컴퓨팅 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기 설정된 모션을 취하는 것인, 컴퓨팅 장치.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호출 액션은,
    게임 유저가 기 설정된 명령어를 호명하는 것인, 컴퓨팅 장치.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전달 모듈은,
    상기 단독 채팅 관련 음성 정보에 상기 단독 채팅의 음성 신호 및 큐 사운드를 포함시키는, 컴퓨팅 장치.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단독 채팅의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를 상기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텍스트 전달 모듈을 더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단독 채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단독 채팅 이외의 보이스 채팅에 대해 볼륨 제어를 수행하는 볼륨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볼륨 제어 모듈은,
    상기 채팅 상대방의 게이밍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보이스 채팅의 합성된 음성 신호에서 게임 유저들의 음성 볼륨을 상기 단독 채팅의 음성 볼륨 보다 작도록 하는, 컴퓨팅 장치.
KR1020200090120A 2020-07-21 2020-07-21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521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120A KR102521672B1 (ko) 2020-07-21 2020-07-21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120A KR102521672B1 (ko) 2020-07-21 2020-07-21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348A true KR20220011348A (ko) 2022-01-28
KR102521672B1 KR102521672B1 (ko) 2023-04-13

Family

ID=8005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120A KR102521672B1 (ko) 2020-07-21 2020-07-21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6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178A (ko) * 2007-11-26 2009-05-29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다자간 화상 통화시 음성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KR101222132B1 (ko) * 2009-12-18 2013-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ip 망에서 그룹 통신과 일대일 통신을 병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88272A (ko) * 2016-07-13 2016-07-25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음성 입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00087284A (ko) * 2012-08-01 2020-07-20 구글 엘엘씨 영상 회의 시스템에서의 아바타 이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178A (ko) * 2007-11-26 2009-05-29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다자간 화상 통화시 음성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KR101222132B1 (ko) * 2009-12-18 2013-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ip 망에서 그룹 통신과 일대일 통신을 병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87284A (ko) * 2012-08-01 2020-07-20 구글 엘엘씨 영상 회의 시스템에서의 아바타 이용
KR20160088272A (ko) * 2016-07-13 2016-07-25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음성 입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672B1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60824A1 (en) Virtual environment controls based on voice chat audio inputs
US99611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obile telephone calling and/or messaging operations in-game during computer game application execution
WO2017054466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US200802339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based communication
CN111263181A (zh) 直播互动方法、装置、电子设备、服务器及存储介质
CN111147444B (zh) 一种交互方法及电子设备
JP7431497B2 (ja) 映像通話およびオブジェクト認識を基盤としたゲーム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2698787A2 (en) Method for providing voice call using text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759708B2 (en) Method for game service and commander voice chat and computing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2521672B1 (ko)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JP7232846B2 (ja) ボイスチャット装置、ボイスチャッ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081090A (ko) 감정 기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64914A (ko)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JP714387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70825B1 (ko)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848791B2 (en) Detection and presentation of video conference attendee different from logged-in attendees
KR102449127B1 (ko) 그룹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WO2024024392A1 (ja) 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プログラム、サーバ及び表示制御方法
JP7150114B1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方法、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プログラム
KR20230080227A (ko) 애플리케이션 음성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401294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a smart search and the sharing of results during a conference
US20240171704A1 (en)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communication support apparatus, communication support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200131058A (ko) 커뮤니케이션 공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220152820A (ko)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CN115485705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程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