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861A - 화학적 활성화 및 규소 제거법에 의한 코코넛껍질 기반의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학적 활성화 및 규소 제거법에 의한 코코넛껍질 기반의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861A
KR20220010861A KR1020200089504A KR20200089504A KR20220010861A KR 20220010861 A KR20220010861 A KR 20220010861A KR 1020200089504 A KR1020200089504 A KR 1020200089504A KR 20200089504 A KR20200089504 A KR 20200089504A KR 20220010861 A KR20220010861 A KR 20220010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hydrogen storage
present
koh
chemical ac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905B1 (ko
Inventor
박수진
박지혜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9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9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12Preparation
    • C01B32/342Preparation characterised by non-gaseous activa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05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 C01B3/001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 C01B3/0021Carbon, e.g. active carbon, carbon nanotubes, fullerenes;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12Preparation
    • C01B32/318Preparation characterised by the starting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을 이용한 화학적 활성화 및 규소제거법을 이용하여 미세기공이 발현된 고비표면적 수소저장용 활성탄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코넛껍질을 탄소 전구체로 사용하여 질소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는 탄화과정을 거친 후, 수산화칼륨(KOH)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을 이용한 화학적 활성화 및 규소제거법을 통해 종래 활성탄소에 비하여 우수한 수소저장용량을 나타내는 활성탄소를 제공함에 따라, 비행기, 자동차 및 선박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소저장매체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학적 활성화 및 규소 제거법에 의한 코코넛껍질 기반의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ctivated carbon derived from coconut shells by chemical activation and silica elimination for hydrogen storage}
본 발명은 다양한 대체에너지 소재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는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코코넛껍질을 탄소 전구체로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는 탄화 과정을 거친 후, 수산화칼륨(KOH)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을 이용한 화학적 활성화 및 규소 제거법을 통해, 종래 활성탄소에 비해 우수한 수소 저장 용량을 갖는 활성탄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인 화석연료의 사용을 억제하기 위한 청정에너지의 사용과 화석 연료의 고갈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수소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수소에너지는 지구상 존재하는 가장 풍부한 자원으로서,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을 뿐 아니라, 단위무게당 높은 에너지용량을 나타내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이상적인 대체에너지로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단위부피당 매우 낮은 밀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에너지원으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저장방법의 모색이 필수적이다.
수소저장방법은 크게 액화수소 저장법, 압축기체 저장법, 저장소재로서 흡착제를 이용한 흡착법 등이 있다. 그 중 흡착법은 많은 저장량, 빠른 저장이 가능하며, 가역적인 특징이 있어,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 다공성 실리카, 금속 유기 구조체 및 활성탄소가 많이 사용된다. 그 중, 활성탄소는 다른 흡착제와 비교하여 높은 비표면적 및 기공성을 나타내고, 저렴한 가격과 뛰어난 안정성으로 수소저장을 위한 흡착제로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대두되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성탄소의 전구체로서 바이오매스 물질이 각광받고 있다. 바이오매스 물질은 토양으로부터 흡수되어 식물세포에 형성된 산화규소를 포함하고 있어, 산화규소의 제거를 통한 추가적인 기공성 향상을 나타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이중 코코넛껍질은 매년 전세계적으로 많은 양이 버려지고 있고, 산화규소를 다량 포함하고 있어 수소저장용 활성탄소의 전구체로서 적절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을 이용한 화학적 활성화 및 산화규소 제거법을 이용하여 미세기공이 발현된 고비표면적 수소저장용 활성탄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033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수산화칼륨(KOH)을 이용한 화학적 활성화와 추가적인 규소제거를 통하여 비표면적과 미세기공 부피가 증가된 코코넛껍질 기반의 활성탄소를 제조하여, 기존의 활성탄소보다 높은 수소흡착능력을 나타내는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학적 활성화 및 규소제거법을 이용하여 높은 수소 흡착 능력을 보여주는 코코넛껍질 기반의 수소저장용 활성탄소의 제조방법으로서, 1) 전구체로서 코코넛껍질을 열처리하여 탄화하는 탄화단계; 2) 산화규소 제거를 위한 알칼리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제조된 알칼리수용액과 상기 1) 단계에서 탄화된 활성탄소 전구체를 혼합 및 열처리하여 산화규소를 제거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제조된 탄소 시료와, KOH 및 NaOH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1종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활성화 과정을 통해 활성탄소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1) 단계에서, 코코넛껍질의 탄화는 질소분위기 하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500 내지 90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2) 단계에서, 상기 알칼리수용액은 KOH, NaOH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이며, 상기 알칼리수용액의 농도는 0.1 내지 10 M일 수 있다.
상기 3) 단계에서 산화규소의 제거는 8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1 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4) 단계에서 탄소 시료에 대한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의 비율은 0.5 내지 15의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 5) 단계에서 활성화 과정은 600℃ 내지 1000℃에서 행해질 수 있다.
상기 5) 단계에서 활성화 과정은 5시간 이내로 행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규소제거 후 화학적 활성화를 이용하여 비표면적 및 기공부피가 크게 증가한 활성탄소를 제조할 수 있으며, 우수한 수소흡착효율을 통해 수소저장과 관련한 여러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며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저장용 활성탄소의 EDS mapping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저장용 활성탄소의 질소 흡착 등온선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저장용 활성탄소의 수소 흡착 등온선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규소제거법 및 화학적 활성화를 이용한 코코넛껍질 기반의 수소저장용 활성탄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는, 1) 전구체로서 코코넛껍질을 열처리하여 탄화하는 탄화단계; 2) 산화규소 제거를 위한 알칼리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제조된 알칼리수용액과 상기 1) 단계에서 탄화된 활성탄소 전구체를 혼합 및 열처리하여 산화규소를 제거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제조된 탄소 시료와, KOH 및 NaOH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1종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활성화 과정을 통해 활성탄소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1) 단계에서, 코코넛껍질의 탄화는 질소분위기 하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500 내지 90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2) 단계에서, 상기 알칼리수용액은 KOH, NaOH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이며, 상기 알칼리수용액의 농도는 0.1 내지 10 M일 수 있다.
상기 3) 단계에서 산화규소의 제거는 8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1 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4) 단계에서 탄소 시료에 대한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의 비율은 0.5 내지 15의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 5) 단계에서 활성화 과정은 600℃ 내지 1000℃에서 행해질 수 있다.
상기 5) 단계에서 활성화 과정은 5시간 이내로 행해질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측정예 1. 본 발명에서 제조한 화학적 활성화 및 규소제거법에 의한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표면의 구조와 형태 및 규소함유량 관찰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U8010, Hitach Co., LTD)와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제조한 활성탄소 표면의 구조와 형태 및 규소함유량을 관찰하였다.
측정예 2. 본 발명에서 제조한 화학적 활성화 및 규소제거법에 의한 수소저장용 활성탄소의 기공구조 특성
본 발명에 따른 활성탄소의 기공구조 특성을 77 K 액체질소 분위기 하에서 질소 기체를 흡착질로 하여 흡착량을 측정함으로써 관찰하였다. 질소등온흡착실험 후에는, P/P0(P: 부분압력 ; P0: 포화증기압)이 약 0.05에서 0.25 사이일 때의 흡착량에 대해서, BET 식을 이용하여 BET 비표면적을 구하였다. 또한, 전체 기공부피는 P/P0가 0.99일 때 흡착된 양을 기초로 하여 구하였다.
측정예 3. 본 발명에서 제조한 화학적 활성화 및 규소제거법에 의한 수소저장용 활성탄소의 수소 흡착 능력 관찰
본 발명에 따른 활성탄소의 수소저장용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활성탄소 샘플을 온도 200 ℃에서 잔류 압력을 10-3 torr 이하로 유지한 상태로 12 시간 동안 탈기시켰다. 그 다음 BEL-HP 기기(BEL Japan)를 이용하여 온도 77 K 및 60 bar의 조건 하에서 수소저장용량을 측정하였다. 1회 평균 시료량은 0.5 g으로 정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
코코넛껍질 50g을 활성탄소 전구체로 하여 튜브형 퍼니스에 넣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900℃ 까지 승온시켜 60분간 유지하여 탄화한 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이후, 상기 탄화된 활성탄소 전구체를 볼밀을 이용하여 분쇄한 뒤, 증류수로 세척하고, 진공오븐에서 건조한 다음, 활성탄소 전구체를 1 M의 KOH 수용액과 혼합하여 90℃에서 24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산화규소를 제거하였다. 이후, 산화규소가 제거된 활성탄소 원료의 pH가 7 내지 8에 도달할 때까지 수세하였다. 이렇게 얻은 탄소시료와 활성화제로서 KOH를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튜브형 퍼니스에 위치시키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900℃에서 1시간 동안 활성화 과정을 통해 수소저장용 활성탄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활성화 과정에서 탄소시료와 KOH를 1 : 2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소저장용 활성탄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활성화 과정에서 탄소시료와 KOH를 1 : 4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소저장용 활성탄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활성화 과정에서 탄소시료와 KOH를 1 : 6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소저장용 활성탄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활성화 과정에서 탄소시료와 KOH를 1 : 8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소저장용 활성탄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활성화 과정에서 탄소시료와 KOH를 1 : 10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소저장용 활성탄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활성화 과정이 60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소저장용 활성탄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활성화 과정이 70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소저장용 활성탄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활성화 과정이 80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소저장용 활성탄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활성화 과정이 100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소저장용 활성탄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코코넛껍질을 활성탄소 전구체로 하여 튜브형 퍼니스에 넣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900℃까지 승온시켜 60분간 유지하여 탄화한 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이후, 상기 탄화된 활성탄소 전구체를 볼밀을 이용하여 분쇄한 뒤, 증류수로 세척하고, 진공오븐에 건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한 후, 활성탄소 전구체를 1 M의 KOH 수용액과 혼합하여 90℃에서 24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산화규소를 제거하였다. 이후, 산화규소가 제거된 활성탄소 원료의 pH가 7 내지 8에 도달할 때까지 수세하였다.
비교예 3.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한 후, 활성탄소 전구체와 KOH를 1 : 6 중량비로 혼합하여, 튜브형 퍼니스에 위치시키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900℃에서 1시간 동안 활성화를 진행하였다.
비교예 4.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한 후, 활성탄소 전구체와 KOH를 1 : 6 중량비로 혼합하여, 튜브형 퍼니스에 위치시키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900℃에서 1시간 동안 활성화를 진행하였다. 이후, 1 M의 KOH 수용액과 혼합하여 90℃에서 24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산화규소를 제거하였다. 이후, 산화규소가 제거된 활성탄소 원료의 pH가 7 내지 8에 도달할 때까지 수세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전구체로서 코코넛껍질을 열처리하여 탄화하는 탄화단계;
2) 산화규소 제거를 위한 알칼리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제조된 알칼리수용액과 상기 1) 단계에서 탄화된 활성탄소 전구체를 혼합 및 열처리하여 산화규소를 제거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제조된 탄소 시료와, KOH 및 NaOH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1종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활성화 과정을 통해 활성탄소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소저장용 활성탄소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코코넛껍질의 탄화는 질소분위기 하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500 내지 90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수소저장용 활성탄소의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상기 알칼리수용액은 KOH, NaOH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이며, 상기 알칼리수용액의 농도는 0.1 내지 10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에서 산화규소의 제거는 8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1 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에서 탄소 시료에 대한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의 비율은 0.5 내지 15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제조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5) 단계에서 활성화 과정은 600℃ 내지 1000℃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제조방법.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5) 단계에서 활성화 과정은 5시간 이내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제조방법.
KR1020200089504A 2020-07-20 2020-07-20 화학적 활성화 및 규소 제거법에 의한 코코넛껍질 기반의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제조 방법 KR102424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504A KR102424905B1 (ko) 2020-07-20 2020-07-20 화학적 활성화 및 규소 제거법에 의한 코코넛껍질 기반의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504A KR102424905B1 (ko) 2020-07-20 2020-07-20 화학적 활성화 및 규소 제거법에 의한 코코넛껍질 기반의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861A true KR20220010861A (ko) 2022-01-27
KR102424905B1 KR102424905B1 (ko) 2022-07-25

Family

ID=8004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504A KR102424905B1 (ko) 2020-07-20 2020-07-20 화학적 활성화 및 규소 제거법에 의한 코코넛껍질 기반의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9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90A (ko) * 1995-06-19 1997-01-28 자기헤드용 비자성 세라믹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1122608A (ja) * 1999-10-26 2001-05-08 Tokyo Gas Co Ltd 細孔構造が制御された活性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99254B1 (ko) * 2004-10-19 2006-07-13 한국화학연구원 수소저장용 고기공도 활성탄과 이의 제조방법
KR20090094088A (ko) * 2006-11-08 2009-09-03 더 큐레이터스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미주리 높은 표면적 탄소 및 이를 생산하기 위한 공정
KR20170100331A (ko) 2016-02-25 2017-09-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활성탄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5794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활성탄 분말 첨가제를 투입한 납축전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90A (ko) * 1995-06-19 1997-01-28 자기헤드용 비자성 세라믹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1122608A (ja) * 1999-10-26 2001-05-08 Tokyo Gas Co Ltd 細孔構造が制御された活性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99254B1 (ko) * 2004-10-19 2006-07-13 한국화학연구원 수소저장용 고기공도 활성탄과 이의 제조방법
KR20090094088A (ko) * 2006-11-08 2009-09-03 더 큐레이터스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미주리 높은 표면적 탄소 및 이를 생산하기 위한 공정
KR20170100331A (ko) 2016-02-25 2017-09-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활성탄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5794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활성탄 분말 첨가제를 투입한 납축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905B1 (ko) 202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ginni et al. Effect of one-step and two-step H3PO4 activation on activated carbon characteristics
JP5542146B2 (ja) 酸素含有量を制御した非常に多孔質の活性炭
CN110451509B (zh) 一种以硝酸锌为活化剂制备氮掺杂多孔碳材料的方法
JP5781992B2 (ja) 塩基性官能基を付与した非経口用吸着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507470A5 (ko)
CN110015662B (zh) 一种吸附co2用氮掺杂多孔碳材料的制备方法
Khoshnood Motlagh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rice husk and rice straw as bioresources for production of carbonaceous adsorbent and silica
Huang et al. From fish scales to highly porous N-doped carbon: a low cost material solution for CO 2 capture
KR101631181B1 (ko) 이산화탄소 흡착용 활성 카본에어로겔의 제조방법
Joshi et al. Sodium hydroxide activated nanoporous carbons based on Lapsi seed stone
KR20210148749A (ko) 바이오차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Boonamnuayvitaya et al.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tivated carbon from coffee residue
Xu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tivated carbon from reedy grass leaves in a two-step activation procedure
JP5388051B2 (ja) メソポーラスカーボン(mc−mcm−48)およびその製造方法
Shao et al. Sustainable preparation of hierarchical porous carbon from discarded shells of crustaceans for efficient CO2 capture
KR102424905B1 (ko) 화학적 활성화 및 규소 제거법에 의한 코코넛껍질 기반의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제조 방법
Erdogan et al. Hydrogen storage behavior of zeolite/graphene, zeolite/multiwalled carbon nanotube and zeolite/green plum stones-based activated carbon composites
JP2013112572A (ja) 水素吸蔵方法及び水素吸蔵材料
Ariharan et al. Phosphorous-doped porous carbon derived from paste of newly growing Ficus benghalensis as hydrogen storage material
KR102554306B1 (ko) 화학적활성화 및 규소제거법에 의한 솔방울기반의 이산화탄소 포집용 활성탄소의 제조방법
KR101082590B1 (ko) 수소저장용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
KR102414318B1 (ko) 커피찌꺼기 기반의 수소저장용 활성탄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217646A (zh) 一种多孔硅碳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102664368B1 (ko) 옥살산칼륨을 이용한 커피찌꺼기 기반의 이산화탄소 포집용 활성탄소의 제조방법
Kim et al. Valorization of waste coffee grounds into microporous carbon materials for CO 2 adsor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