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813A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813A
KR20220010813A KR1020200089393A KR20200089393A KR20220010813A KR 20220010813 A KR20220010813 A KR 20220010813A KR 1020200089393 A KR1020200089393 A KR 1020200089393A KR 20200089393 A KR20200089393 A KR 20200089393A KR 20220010813 A KR20220010813 A KR 20220010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gzag
extension
wire
stent
cylindr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권
이영재
강서희
이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200089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0813A/ko
Publication of KR20220010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4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folded prior to deploy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9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comprising two or more adjacent rings flexibly connected by separat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X-ray or laser opa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12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elasticity, flexibility, spring rate or mechanical 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 A61F2250/0098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radio-opaque, e.g. radio-opaque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과제) 신규 구조의 스텐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스텐트 (100) 는, 와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격자상의 망목 구조의 통상체 (10) 를 갖는 스텐트 (100) 로서, 통상체 (10) 는, 당해 통상체 (10)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구간 (R1) 을 구성하는 제 1 통상부 (71) 와,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구간 (R2) 을 구성하는 제 2 통상부 (72) 를 포함하고, 제 1 통상부 (71) 에 있어서의 망목 구조인 제 1 망목 구조 (71a) 는, 와이어끼리가 걸어맞춰져 있는 훅부 (75) 를 갖고, 제 2 통상부 (72) 에 있어서의 망목 구조인 제 2 망목 구조 (72a) 는, 둘레 방향으로 늘어선 모든 그물눈 (83) 의 4 모서리에 훅부 (75) 를 가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고,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1 단 이상의 범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텐트{STENT}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사격자상 (斜格子狀) 의 망목 구조의 통상체를 갖는 스텐트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의 스텐트는, 그 전체가, 와이어를 평직으로 짜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079742호
본 발명은, 신규 구조의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와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격자상의 망목 구조의 통상체를 갖는 스텐트로서,
상기 통상체는, 당해 통상체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구간을 구성하는 제 1 통상부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구간을 구성하는 제 2 통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망목 구조인 제 1 망목 구조는, 와이어끼리가 걸어맞춰져 있는 훅부를 갖고,
상기 제 2 통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망목 구조인 제 2 망목 구조는, 둘레 방향으로 늘어선 모든 그물눈의 4 모서리에 훅부를 가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1 단(段) 이상의 범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 구조의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텐트를 촬상한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텐트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텐트의 제 2 통상부의 모식적인 전개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텐트의 제 2 통상부의 모식적인 전개도이고, 그물눈이 넓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 는,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의 A-A 선을 따른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횡단면도, 도 5(b) 는,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의 B-B 선을 따른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횡단면도, 도 5(c) 는,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의 C-C 선을 따른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텐트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이 중 도 6(a) 는 스텐트가 생체 내에 유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 는 그 상태에서의 스텐트의 확대도이다.
도 7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텐트의 제 1 망목 구조의 제 1 구조에 있어서의 제 1 부분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전개도이다.
도 8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텐트의 제 1 망목 구조의 제 1 구조에 있어서의 제 2 부분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전개도이다.
도 9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텐트의 제 1 망목 구조의 제 1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전개도이다.
도 10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텐트의 제 1 망목 구조의 제 2 구조에 있어서의 제 3 부분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전개도이다.
도 1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텐트의 제 1 망목 구조의 제 2 구조에 있어서의 제 4 부분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전개도이다.
도 1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텐트의 제 1 망목 구조의 제 2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전개도이다.
도 13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텐트의 제 1 망목 구조의 제 1 구조와 제 2 구조의 편조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 중 어느 것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텐트 (100) 는, 와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격자상의 망목 구조의 통상체 (10) 를 갖는 스텐트 (100) 로서, 통상체 (10) 는, 당해 통상체 (10)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구간 (R1) 을 구성하는 제 1 통상부 (71) 와,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구간 (R2) 을 구성하는 제 2 통상부 (72) 를 포함하고, 제 1 통상부 (71) 에 있어서의 망목 구조인 제 1 망목 구조 (71a) 는, 와이어끼리가 걸어맞춰져 있는 훅부 (75) (도 2) 를 갖고, 제 2 통상부 (72) 에 있어서의 망목 구조인 제 2 망목 구조 (72a) 는, 둘레 방향으로 늘어선 모든 그물눈 (83) 의 4 모서리에 훅부 (75) 를 가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고,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1 단 이상의 범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1 단 이상이란, 망목 (그물눈 (83)) 의 단수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와 같은 신규 구조의 스텐트 (100) 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통상부 (72) 의 제 2 망목 구조 (72a) 는, 둘레 방향으로 늘어선 모든 그물눈 (83) 의 4 모서리에 훅부 (75) 를 가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물눈 (83) 이 용이하게 확대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텐트 (100) 로부터 다른 스텐트 (제 2 스텐트 (200)) 를 돌출시켜, 이들 2 개의 스텐트 (스텐트 (100) 및 제 2 스텐트 (200)) 의 집합체를 Y 자상의 형태로 하여,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체 내에 유치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스텐트의 집합체는, 담관 (110) 의 분기부 (간문부의 양엽) 에 배치할 수 있다. 요컨대, 스텐트 (100) 및 제 2 스텐트 (200) 는, 이른바 Partial Stent In Stent 라고 불리는 시술에 사용할 수 있다. 제 2 망목 구조 (72a) 는, 둘레 방향으로 늘어선 모든 그물눈 (83) 의 4 모서리에 훅부 (75) 를 가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어느 위치에서도, 제 2 통상부 (72) 로부터 제 2 스텐트 (200) 를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그물눈 (83) 은 신축 가능하고, 통상시에는 그물눈이 미세한 구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통상부 (72) 의 내부에 종양 등이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통상부 (71) 의 제 1 망목 구조 (71a) 는, 와이어끼리가 걸어맞춰져 있는 훅부 (75) (후술하는 훅부 (37, 47, 48)) 를 갖기 때문에, 양호한 보형성을 갖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스텐트 (100) 를 생체 내의 원하는 부위에 반송할 때에 있어서, 스텐트 (100) 를 딜리버리 장치 (도시 생략) 내에 장전했을 때에, 축 방향에 있어서의 스텐트 (100) 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딜리버리 장치로부터 꺼내어 생체 내에 유치한 후에 있어서의 스텐트 (100) 의 형상 (길이) 을 원하는 길이로 컨트롤하기 쉬워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텐트 (100) 는, 핸들링성이 양호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망목 구조 (71a) 는, 충분한 유연성도 겸비하고 있어, 보형성과 유연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체 (10) 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3 구간 (R3) 을 구성하는 제 3 통상부 (73) 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제 1 통상부 (71), 제 2 통상부 (72), 및 제 3 통상부 (73) 가, 축 방향에 있어서 이 순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3 통상부 (73) 에 있어서의 망목 구조인 제 3 망목 구조 (73a) 는, 와이어끼리가 걸어맞춰져 있는 훅부 (75) 를 갖는다.
즉, 통상체 (10)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제 2 통상부 (72) 이고, 양단부가 제 1 통상부 (71) 및 제 3 통상부 (73) 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통상부 (71), 제 2 통상부 (72) 및 제 3 통상부 (73) 는, 예를 들어, 각각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통상부 (71), 제 2 통상부 (72) 및 제 3 통상부 (73) 는, 서로 동축, 동직경, 또한 서로 연장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망목 구조 (72a) 는, 와이어 (80) 를 쌍방향의 나선상으로 권회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즉, 제 2 망목 구조 (72a) 는, 이른바 메시상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망목 구조 (72a) 는, 각각 제 1 경사 방향으로 와이어 (80) (의 일부분씩) 가 나선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열의 제 1 나선부 (81) 와, 제 1 경사 방향과는 역방향의 제 2 경사 방향으로 와이어 (80) (의 일부분씩) 가 나선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열의 제 2 나선부 (82) 를 포함한다.
제 2 망목 구조 (72a) 는, 적어도 와이어 (80) 가 나선상으로 1 주회하는 범위에 걸쳐, 모든 그물눈 (83) 의 4 모서리에 훅부 (75) 를 가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제 2 망목 구조 (72a) 는, 적어도 와이어 (80) 가 나선상으로 2 주회하는 범위에 걸쳐, 모든 그물눈 (83) 의 4 모서리에 훅부 (75) 를 가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2 망목 구조 (72a) 는, 와이어 (80) 가 평직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망목 구조 (72a) 는, 예를 들어, 그 전체를 1 개의 와이어 (80) 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80) 를 제 1 경사 방향으로 권회하는 것과, 와이어 (80) 의 방향을 반전시켜 와이어 (80) 를 제 2 경사 방향으로 권회하는 것을 복수 회 반복함으로써, 제 2 망목 구조 (72a) 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통상부 (72) 와 제 1 통상부 (71) 의 경계부에 있어서 와이어 (80) 의 방향을 반전시킬 때에, 와이어 (80) 를 제 1 망목 구조 (71a) 에 대하여 걸어맞춰 훅부 (77) (도 2) 를 형성함으로써, 제 2 통상부 (72) 와 제 1 통상부 (71) 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 2 통상부 (72) 와 제 1 통상부 (71) 를 연결하는 훅부 (77) 는, 통상체 (10)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 지점에 배치되어 있다.
각 훅부 (77) 에 있어서는, 와이어 (80) 와, 제 1 망목 구조 (71a) 를 구성하는 와이어가 각각 루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와이어 (80) 와, 제 1 망목 구조 (71a) 를 구성하는 와이어가, 서로의 루프를 빠져 나가며, 또한, 각각 연장되는 방향이 반전되어 있음으로써, 훅부 (77) 가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 2 통상부 (72) 와 제 3 통상부 (73) 의 경계부에 있어서 와이어 (80) 의 방향을 반전시킬 때에, 와이어 (80) 를 제 3 망목 구조 (73a) 에 대하여 걸어맞춰 훅부 (77) (도 2) 를 형성함으로써, 제 2 통상부 (72) 와 제 3 통상부 (73) 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 2 통상부 (72) 와 제 3 통상부 (73) 를 연결하는 훅부 (77) 도, 통상체 (10)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 지점에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 (80) 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금속 재료여도 되고, 수지 재료여도 된다.
와이어 (80) 의 선직경 (외경)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05 ㎜ 이상 0.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텐트 (100) 는, X 선 불투과성의 복수의 마커를 구비하고 있다. 각 마커는, 예를 들어, 금 등의 세선을 코일상으로 권회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통상체 (10) 를 구성하는 와이어에 외부 삽입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복수의 마커에는, 제 1 통상부 (71) 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마커 (91, 92) 와, 제 2 통상부 (72) 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마커 (93) 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마커 (91, 92) 와 제 2 마커 (93) 의 형상이 서로 상이하다.
이 때문에, 생체 내에 있어서, 각 마커의 형상을 식별함으로써, 제 1 통상부 (71) 와 제 2 통상부 (72) 의 위치를 각각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스텐트 (100) 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 1 통상부 (71) 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마커 (91, 92) 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제 1 통상부 (71) 에 있어서의 제 2 통상부 (72) 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2 개 지점에 각각 제 1 마커 (91)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통상부 (71) 에 있어서의 제 2 통상부 (72) 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2 개 지점에 각각 제 1 마커 (92)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예를 들어, 제 1 마커 (91) 와 제 1 마커 (92) 는,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 3 통상부 (73) 에 있어서의 제 2 통상부 (72) 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2 개 지점에 각각 제 1 마커 (91) 가 형성되어 있고, 제 3 통상부 (73) 에 있어서의 제 2 통상부 (72) 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2 개 지점에 각각 제 1 마커 (92) 가 형성되어 있다.
일례로서, 제 1 마커 (91) 는 직선상의 형상이고, 제 1 마커 (92) 는 V 자상의 형상이다.
제 2 마커 (93) 는, 예를 들어, 제 2 통상부 (72) 의 제 2 망목 구조 (72a) 를 구성하는 와이어 (80) 에 권회된 코일이고, 당해 와이어 (80) 를 따라 나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제 2 마커 (93) 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 2 통상부 (72) 의 전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생체 내에 있어서, 제 2 통상부 (72) 의 범위를 확인하면서, 제 2 스텐트 (200) 를 스텐트 (100) 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통상부 (71) 의 제 1 망목 구조 (71a) 의 일례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13 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망목 구조 (71a) 는,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격자상의 특정 망목 구조 (76) (도 13) 를 포함하고 있다.
도 7 은,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제 1 구조 (11) 에 있어서 제 1 와이어 (31) 의 제 1 부분 (3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구조를, 평탄하게 전개했을 때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는, 도 7 에 나타내는 구조는, 도 7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도 7 에 있어서, 좌우 방향은, 당해 통상의 구조의 둘레 방향이고, 도 7 에 나타내는 구조의 우단은 좌단에 이어져 있다.
동일하게, 도 8 은,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제 1 구조 (11) 에 있어서 제 1 와이어 (31) 의 제 2 부분 (33)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구조를, 평탄하게 전개했을 때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는, 도 8 에 나타내는 구조는, 도 8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은, 당해 통상의 구조의 둘레 방향이고, 도 8 에 나타내는 구조의 우단은 좌단에 이어져 있다. 또한, 도 8 에 있어서, 제 1 부분 (32) (도 7 에 나타내는 구조) 에 대해서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동일하게, 도 9 는,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제 1 구조 (11) 를 평탄하게 전개했을 때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는, 도 9 에 나타내는 구조는, 도 9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9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은, 제 1 구조 (11) 의 둘레 방향이고, 도 9 에 나타내는 구조의 우단은 좌단에 이어져 있다.
동일하게, 도 10 은,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제 2 구조 (12) (도 12) 에 있어서 제 2 와이어 (41) 의 제 3 부분 (4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구조를, 평탄하게 전개했을 때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는, 도 10 에 나타내는 구조는, 도 10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0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은, 당해 통상의 구조의 둘레 방향이고, 도 10 에 나타내는 구조의 우단은 좌단에 이어져 있다.
동일하게, 도 11 은,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제 2 구조 (12) 에 있어서 제 2 와이어 (41) 의 제 4 부분 (43)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구조를, 평탄하게 전개했을 때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는, 도 11 에 나타내는 구조는, 도 11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은, 당해 통상의 구조의 둘레 방향이고, 도 11 에 나타내는 구조의 우단은 좌단에 이어져 있다. 또한, 도 11 에 있어서는, 제 3 부분 (42) (도 10 에 나타내는 구조) 에 대해서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동일하게, 도 12 는,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제 2 구조 (12) 를 평탄하게 전개했을 때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는, 도 12 에 나타내는 구조는, 도 12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2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은, 제 2 구조 (12) 의 둘레 방향이고, 도 12 에 나타내는 구조의 우단은 좌단에 이어져 있다.
동일하게, 도 13 은, 특정 망목 구조 (76) 를 평탄하게 전개했을 때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는, 특정 망목 구조 (76) 는, 도 13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3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은, 특정 망목 구조 (76) 의 둘레 방향이고, 도 13 에 나타내는 구조의 우단은 좌단에 이어져 있다.
또한, 통상체 (10), 특정 망목 구조 (76), 제 1 구조 (11) 및 제 2 구조 (12) 의 축 방향은, 서로 일치하고 있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 축 방향을 구별하지 않고 간단히 축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동일하게, 통상체 (10), 특정 망목 구조 (76), 제 1 구조 (11) 및 제 2 구조 (12) 의 둘레 방향은, 서로 일치하고 있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 둘레 방향을 구별하지 않고 간단히 둘레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스텐트 (100) 는, 특정 망목 구조 (76) 를 구성하는 와이어로서, 제 1 와이어 (31) (도 7 ∼ 도 9) 와 제 2 와이어 (41) (도 10 ∼ 도 12) 를 포함한다. 제 1 와이어 (31) 는, 제 1 부분 (32) (도 7) 과 제 2 부분 (33) (도 8, 도 9) 을 포함한다.
특정 망목 구조 (76) 는, 서로 동축으로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는 통상의 제 1 구조 (11) (도 9) 와 제 2 구조 (12) (도 12) 를 포함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조 (11) 는, 제 1 와이어 (31)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사격자상의 것이고, 제 1 통상부 (71) 의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단 (13) (도 7 ∼ 도 9) 을 포함한다.
제 1 부분 (32) 은, 각각 제 1 구조 (11) 의 각 단 (13) 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요동하면서 제 1 통상부 (71) 의 둘레 방향으로 1 주회분보다 긴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도 7) 를 포함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제 1 경사 방향 (도 7 에 있어서 우상향 방향) 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35) 와, 제 1 경사 방향과는 역방향의 제 2 경사 방향 (도 7 에 있어서 우하향 방향) 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 (36) 가 교대로 반복해서 이어진 형상이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에서 제 1 구조 (11) 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단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이어져 있다.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지그재그로 요동한 선단에서 제 1 구조 (11) 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단 (13) 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와 서로 걸어맞춰져 훅부 (37) 를 형성하고 있다.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일단의 제 2 연장부 (36) (도 7 에 나타내는 제 2 연장부 (36a)) 는, 당해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타단의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감겨져 있다. 요컨대, 제 2 연장부 (36) 끼리가 연선 (연선부 (39)) 을 구성하고 있다.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분 (33) 은,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제 2 연장부 (36) 중 서로 연장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순차적으로 감겨져 있다. 요컨대, 제 2 연장부 (36) 와 제 2 부분 (33) 에 의해서도 연선 (연선부 (39)) 이 구성되어 있다.
제 2 와이어 (41) 는, 제 3 부분 (42) (도 10) 과 제 4 부분 (43) (도 11, 도 12) 을 포함한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구조 (12) 는, 제 2 와이어 (41)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사격자상의 것이고, 제 1 통상부 (71) 의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단 (14) (도 10 ∼ 도 12) 을 포함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부분 (42) 은, 각각 제 2 구조 (12) 의 각 단 (14) 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요동하면서 제 1 통상부 (71) 의 둘레 방향으로 1 주회 미만의 범위에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를 포함한다.
각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는, 지그재그로 요동한 선단에서 제 2 구조 (12) 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단 (14) 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와 서로 걸어맞춰져 훅부 (47) 를 형성하고 있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에서 제 2 구조 (12) 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단 (14) 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에 이어져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부분 (43) 은, 복수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의 집합체 (도 10 참조) 와 상보적으로 제 2 구조 (12) (도 12) 를 구성하도록, 축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요동하면서 제 2 구조 (12) 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단 (14) 에 순차적으로 이어지면서 통상체 (10) 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주회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지그재그로 요동한 선단에서 제 2 구조 (12) 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단 (14) 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와 서로 걸어맞춰져 훅부 (48) 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망목 구조 (71a) 의 특정 망목 구조 (76) 는, 제 1 구조 (11) 와 제 2 구조 (12) 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구조 (11) 는, 각 단 (13) 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끼리가, 지그재그로 요동한 선단의 훅부 (37) 에 있어서 서로 걸어맞춰진 구조이기 때문에, 양호한 보형성을 갖는다. 여기서, 양호한 보형성을 갖는 스텐트 (100) 는, 스텐트 (100) 가 직경 방향으로 압축되었을 때에, 직경 방향으로 확장 (복원) 하고자 하는 확장력 (radial force) 을 충분히 갖는다. 각 단 (13) 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지그재그로 요동하면서 제 1 통상부 (71) 의 둘레 방향으로 1 주회분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구조 (11) 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걸쳐 빠짐없이 충분한 보형성을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일단의 제 2 연장부 (36) 는, 자신의 타단의 제 2 연장부 (36) 에 감겨져 있기 때문에, 제 1 구조 (11) 는 더욱 양호한 보형성을 갖는다. 더구나, 제 1 구조 (11) 를 구성하는 제 1 와이어 (31) 의 제 2 부분 (33) 은,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제 2 연장부 (36) 중 서로 연장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순차적으로 감겨져 있기 때문에, 제 1 구조 (11) 는 한층 더 양호한 보형성을 갖는다.
제 2 구조 (12) 는, 각 단 (14) 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끼리가, 지그재그로 요동한 선단의 훅부 (47) 에 있어서 서로 걸어맞춰진 구조이기 때문에, 양호한 보형성을 갖는다. 게다가, 제 2 구조 (12) 를 구성하는 제 2 와이어 (41) 의 제 4 부분 (43) 은, 지그재그로 요동한 선단의 훅부 (48) 에 있어서 각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와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제 2 구조 (12) 는 더욱 양호한 보형성을 갖는다. 더구나, 제 4 부분 (43) 은, 복수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의 집합체와 상보적으로 사격자상의 제 2 구조 (12) 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구조 (12) 의 전역에 걸쳐 빠짐없이 충분한 보형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통상부 (71) 의 양호한 보형성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텐트 (100) 를 딜리버리 장치 (도시 생략) 내에 장전했을 때에, 축 방향에 있어서의 스텐트 (100) 의 신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구조 (11) 의 제 1 연장부 (35) 에 대해서는, 일부의 제 1 연장부 (35) 를 제외하고 연선으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텐트 (100) 는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다. 여기서, 스텐트 (100) 가 유연성을 갖는다란, 축력 (axial force) 이 적당히 작은 것이다.
이하, 특정 망목 구조 (76) 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와이어 (31) 는 1 개의 와이어이다. 제 1 부분 (32) 은 제 1 와이어 (3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분이고, 제 2 부분 (33) 은 제 1 와이어 (3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나머지 부분이다.
동일하게, 제 2 와이어 (41) 는 1 개의 와이어이고, 제 3 부분 (42) 은 제 2 와이어 (4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분이고, 제 4 부분 (43) 은 제 2 와이어 (4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나머지 부분이다.
제 1 와이어 (31) 및 제 2 와이어 (41) 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금속 재료여도 되고, 수지 재료여도 된다.
제 1 와이어 (31) 및 제 2 와이어 (41) 의 선직경 (외경)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05 ㎜ 이상 0.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특정 망목 구조 (76) 는, 각각 통상의 제 1 구조 (11) (도 9) 와 제 2 구조 (12) (도 12) 를 포함한다. 이 중 제 1 구조 (11) 는, 제 1 와이어 (31) 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 2 구조 (12) 는, 제 2 와이어 (41)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 구조 (11) 와 제 2 구조 (12) 는, 서로 동축으로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구조 (11) 와 제 2 구조 (12) 는, 서로 편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축 방향에 있어서 제 1 구조 (11) 와 제 2 구조 (12) 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제 1 구조 (11) 와 제 2 구조 (12) 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구조 (11) 와 제 2 구조 (12) 가 서로 편조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구조 (11) 및 제 2 구조 (12) 는, 일방이 외주측에 배치되고, 타방이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다고 하는 위치 관계에 있지는 않다. 단,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정 망목 구조 (76) 는, 제 1 구조 (11) 와 제 2 구조 (12) 의 일방이 외주측에 배치되고, 타방이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는 이중 통 구조 (혹은, 제 1 구조 (11) 및 제 2 구조 (12) 이외의 다른 층을 포함하는 삼중 이상의 구조) 여도 된다.
이하, 도 7 내지 도 9 를 사용하여, 제 1 구조 (11) 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7 을 사용하여, 제 1 구조 (11) 중, 제 1 와이어 (31) 의 제 1 부분 (3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분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조 (11) 를 구성하는 제 1 와이어 (31) 의 제 1 부분 (32) 은, 복수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를 포함한다.
제 1 구조 (11) 의 각 단 (13) 에 대하여, 1 개씩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가 배치되어 있다.
개개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제 1 경사 방향 (도 7 에 있어서 우상향 방향) 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35) 와, 제 1 경사 방향과는 역방향의 제 2 경사 방향 (도 7 에 있어서 우하향 방향) 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 (36) 가 교대로 반복해서 이어진 형상이다.
도 7 의 예에서는, 최상단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2 개의 제 1 연장부 (35) 와 2 개의 제 2 연장부 (36)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위로부터 2 단째 이후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5 개의 제 1 연장부 (35) 와 6 개의 제 2 연장부 (36)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2 단째 이후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 5 개의 제 1 연장부 (35) 와 5 개의 제 2 연장부 (36) 를 포함하는 부분이, 제 1 구조 (11) 의 1 주회분에 상당하고 있다. 요컨대, 위로부터 2 단째 이후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제 1 구조 (11) 의 1 주회분에 걸쳐 연장되는 부분에 더하여, 1 개의 제 2 연장부 (36) 를 갖는다. 요컨대, 2 단째 이후의 각 단 (13) 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1 주회분보다 긴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각 단 (13) 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의 제 1 연장부 (35) 및 제 2 연장부 (36) 의 수는, 제 1 통상부 (71) 의 직경이나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원하는 그물눈의 미세함 등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이웃하는 단 (13) 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전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도 7 에 있어서, 위로부터 세어 홀수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왼쪽부터 순서대로, 제 1 연장부 (35) 와 제 2 연장부 (36) 를 교대로 구비하고 있는 데 대하여, 위로부터 세어 짝수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왼쪽부터 순서대로, 제 2 연장부 (36) 와 제 1 연장부 (35) 를 교대로 구비하고 있다.
도 7 에 있어서, 제 1 부분 (32) 은, 일단 (32a) 을 시단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단 (13) 을 바꾸면서 복수 주회 연장되어 있다.
최상단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좌단의 제 1 연장부 (35) 를 기단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최상단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의 우단의 (요컨대 종단의) 제 2 연장부 (36) 는, 위로부터 2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의 왼쪽으로부터 3 번째의 제 2 연장부 (36) 에 이어져 있다.
위로부터 2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왼쪽으로부터 3 번째의 제 2 연장부 (36) 를 기단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위로부터 2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종단의 제 2 연장부 (36) 는, 당해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의 기단의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감겨져 있다. 위로부터 2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종단의 제 2 연장부 (36) 는, 위로부터 3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의 왼쪽으로부터 3 번째의 제 2 연장부 (36) 에 이어져 있다.
위로부터 3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왼쪽으로부터 3 번째의 제 2 연장부 (36) 를 기단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위로부터 3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종단의 제 2 연장부 (36) 는, 당해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의 기단의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감겨져 있다. 위로부터 3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종단의 제 2 연장부 (36) 는, 위로부터 4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의 왼쪽으로부터 4 번째의 제 2 연장부 (36) 에 이어져 있다.
위로부터 4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왼쪽으로부터 4 번째의 제 2 연장부 (36) 를 기단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위로부터 4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종단의 제 2 연장부 (36) 는, 당해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의 기단의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감겨져 있다. 위로부터 4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종단의 제 2 연장부 (36) 는, 위로부터 5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의 왼쪽으로부터 4 번째의 제 2 연장부 (36) 에 이어져 있다.
위로부터 5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왼쪽으로부터 4 번째의 제 2 연장부 (36) 를 기단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위로부터 5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종단의 제 2 연장부 (36) 는, 당해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의 기단의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감겨져 있다. 위로부터 5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종단의 제 2 연장부 (36) 는, 위로부터 6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의 왼쪽으로부터 5 번째의 제 2 연장부 (36) 에 이어져 있다.
이하 동일하게, 각 단 (13) 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가 순차적으로 이어져 있고, 각 단 (13) 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의 일단의 제 2 연장부 (36a) 가, 당해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의 타단의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감겨져 있다.
여기서, 제 1 연장부 (35) 와 제 2 연장부 (36) 의 경계의 모서리부가 도 7 에 있어서의 상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산부라고 하고, 제 1 연장부 (35) 와 제 2 연장부 (36) 의 경계의 모서리부가 도 7 에 있어서의 하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골부라고 한다.
최상단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2 산분(山分)의 구조이고, 2 단째 이후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5 산분의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지그재그로 요동한 선단에서 이웃하는 단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와 서로 걸어맞춰져 훅부 (37) 를 형성하고 있다.
각 훅부 (37) 에 있어서는, 일방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골부와 타방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산부가 각각 루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일방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골부와 타방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산부가, 서로의 루프를 빠져 나가며, 또한, 연장되는 방향이 반전되어 있음으로써, 훅부 (37) 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단 (13) 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각 골부는, 1 단 아래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각 산부와 걸어맞춰져 훅부 (37) 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와이어 (31) 의 일부분이 제 1 와이어 (31) 의 다른 일부분의 주위에 감겨져 있음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부분을, 연선부 (39) 라고 한다.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일단의 제 2 연장부 (36a) 가 당해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감겨짐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부분 등이, 연선부 (39) 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위로부터 2 단째 이후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1 주회분 + 1 개의 제 2 연장부 (36) 분의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일단의 제 2 연장부 (36a) 가 당해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감겨짐으로써 연선부 (39) 가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 (3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각 단의 연선부 (39) 는, 서로 연장상에 위치하는 배치로 되어 비스듬하게 이어져 있다. 요컨대, 각 단의 연선부 (39) 는, 나선상으로 이어져 있다.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 (32) 의 타단 (32b) 은, 예를 들어, 최하단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제 2 연장부 (36) 끼리의 연선부 (39) 를 형성하고, 되꺾임점 (32c) 에서 제 1 부분 (32) 이 되꺾인 후, 추가로 1 개분의 제 1 연장부 (35) 만큼 연장된 선단에 존재한다.
또한, 제 1 부분 (32) 의 타단 (32b) 을 포함하는 제 1 연장부 (35) 는, 최하단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 당해 제 1 연장부 (35) 와 대응하는 제 1 연장부 (35) 의 주위에 감겨져, 연선부 (39) 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부분 (32) 의 타단 (32b) 은, 예를 들어, 훅부 (37) 에 대하여 결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 을 사용하여,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제 1 구조 (11) 중, 제 1 와이어 (31) 의 제 2 부분 (33)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에 있어서, 제 2 부분 (33) 은, 일단 (33a) 을 시단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 2 부분 (33) 의 일단 (33a) 은, 제 1 부분 (32) 의 일단 (32a) 과 동일 지점이다. 요컨대, 제 1 와이어 (31) 에 있어서, 일단 (32a) (일단 (33a)) 을 경계로 하는 일방의 부분이, 제 1 부분 (32) (도 8 에 있어서의 이점쇄선 부분) 이고, 타방의 부분이, 제 2 부분 (33) (도 8 에 있어서의 실선 부분) 이다.
제 2 부분 (33) 은, 먼저, 일단 (33a) 으로부터 좌방향을 향하여 3 산분의 지그재그 연장부 (33c) 를 형성하고 있다. 지그재그 연장부 (33c) 의 각 골부는, 위로부터 2 단째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각 산부와 걸어맞춰져 훅부 (37) 를 형성하고 있다.
지그재그 연장부 (33c) 의 종단 (33d) 을 시단으로 하여, 좌방향으로 1 산분만큼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주위에 제 2 부분 (33) 을 감음으로써 연선부 (39)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선부 (39) 의 종단에 있어서, 훅부 (37) 에 대하여 제 2 부분 (33) 이 감겨짐으로써, 감김부 (38) (도 8 에 나타내는 감김부 (38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감김부 (38a) 를 경계로 하여, 제 2 부분 (33) 의 연장 방향은, 좌하향의 방향으로부터, 우하향의 방향으로 전환되어 있다.
감김부 (38a) 의 앞쪽에 있어서, 제 2 부분 (33) 은,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제 2 연장부 (36) 중 서로 연장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순차적으로 감겨져 있다.
제 2 부분 (33) 에 있어서, 감김부 (38a) 의 앞쪽의 부분은, 각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감겨져 연선부 (39) 를 형성하면서, 감김부 (38a) 로부터 우하향으로 연장되고, 도 8 에 있어서의 우단에 나타내는 중간점 (33e) 에 도달한다. 이 중간점 (33e) 은, 도 8 에 있어서의 좌단에도 나타내고 있다.
제 2 부분 (33) 은, 계속해서, 도 8 에 있어서의 좌단의 중간점 (33e) 으로부터 우하향으로 연장되면서 각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감겨져 연선부 (39) 를 형성하고, 도 8 에 있어서의 최하단에 있어서의 우단의 훅부 (37) 에 도달한다.
제 2 부분 (33) 은, 이 훅부 (37) 에 대하여 감겨져 감김부 (38) 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감김부 (38) 를 경계로 하여, 제 2 부분 (33) 의 연장 방향은, 우하향의 방향으로부터 좌하향의 방향으로 전환되어 있다.
또한, 제 2 부분 (33) 은, 최하단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1 개의 제 1 연장부 (35) 의 주위에 감겨져, 당해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골부에 도달한 후, 연장 방향이 좌하향의 방향으로부터 좌상향의 방향으로 전환되어 있다.
계속해서, 제 2 부분 (33) 은, 서로 연장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순차적으로 감겨져, 도 8 에 있어서의 좌단에 나타내는 중간점 (33f) 에 도달한다. 이 중간점 (33f) 은, 도 8 에 있어서의 우단에도 나타내고 있다.
제 2 부분 (33) 은, 계속해서, 도 8 에 있어서의 우단의 중간점 (33f) 으로부터 좌상향으로 연장되면서 각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감겨져, 도 8 에 있어서의 좌단의 중간점 (33g) 에 도달한다. 이 중간점 (33g) 은, 도 8 에 있어서의 우단에도 나타내고 있다.
제 2 부분 (33) 은, 계속해서, 지그재그 연장부 (33c) 의 우단에 있어서의 1 산분의 주위에 감겨져 있다. 제 2 부분 (33) 은, 지그재그 연장부 (33c) 의 1 산분의 주위에 감겨지는 과정에서, 연장 방향이 좌상향의 방향으로부터 좌하향의 방향으로 전환되어 있다.
제 2 부분 (33) 은, 지그재그 연장부 (33c) 의 우단에 있어서의 1 산분의 주위에 감겨진 후, 훅부 (37) 에 감겨져 감김부 (38) 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감김부 (38) 를 경계로 하여, 제 2 부분 (33) 의 연장 방향은, 좌하향의 방향으로부터 우하향의 방향으로 전환되어 있다.
계속해서, 제 2 부분 (33) 은, 서로 연장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순차적으로 감겨져, 도 8 에 있어서의 우단에 나타내는 중간점 (33h) 에 도달한다. 이 중간점 (33h) 은, 도 8 에 있어서의 좌단에도 나타내고 있다.
제 2 부분 (33) 은, 계속해서, 도 8 에 있어서의 좌단의 중간점 (33h) 으로부터 우하향으로 연장되면서 각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감겨져, 도 8 에 있어서의 우단의 중간점 (33i) 에 도달한다. 이 중간점 (33i) 은, 도 8 에 있어서의 좌단에도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제 2 부분 (33) 은, 서로 연장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순차적으로 감겨져, 도 8 에 있어서의 최하단에 있어서의 훅부 (37) 에 도달한다. 제 2 부분 (33) 은, 이 훅부 (37) 에 대하여 감겨져 감김부 (38) 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감김부 (38) 를 경계로 하여, 제 2 부분 (33) 의 연장 방향은, 우하향의 방향으로부터 좌하향의 방향으로 전환되어 있다.
또한, 제 2 부분 (33) 은, 최하단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1 개의 제 1 연장부 (35) 의 주위에 감겨져, 당해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골부에 도달한 후, 연장 방향이 좌하향의 방향으로부터 좌상향의 방향으로 전환되어 있다.
계속해서, 제 2 부분 (33) 은, 서로 연장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순차적으로 감겨져, 도 8 에 있어서의 좌단에 나타내는 중간점 (33j) 에 도달한다. 이 중간점 (33j) 은, 도 8 에 있어서의 우단에도 나타내고 있다.
제 2 부분 (33) 은, 계속해서, 도 8 에 있어서의 우단의 중간점 (33j) 으로부터 좌상향으로 연장되면서 각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감겨져, 도 8 에 있어서의 좌단의 중간점 (33k) 에 도달한다. 이 중간점 (33k) 은, 도 8 에 있어서의 우단에도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제 2 부분 (33) 은, 서로 연장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연장부 (36) 에 순차적으로 감겨진 후, 지그재그 연장부 (33c) 의 좌단에 있어서의 1 산분의 주위에 감겨져, 타단 (33b) 에 도달한다. 타단 (33b) 은, 예를 들어, 제 1 부분 (32) 에 대하여 결속되어 있다.
또한, 일단 (32a) 은, 제 1 와이어 (31) 의 일단이고, 타단 (33b) 은, 제 1 와이어 (31) 의 타단이다.
이와 같이, 제 2 부분 (33) 은,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끼리가 걸어맞춰져 있는 훅부 (37) 에 대하여 감겨져 있는 감김부 (38) 를 포함하고, 당해 감김부 (38) 를 경계로 하여, 연장 방향이 전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부분 (32) 에 대한 제 2 부분 (33) 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면서, 제 2 부분 (33) 을 여러 가지 방향으로 연장시키면서 제 1 부분 (32) 에 대하여 감을 수 있다.
여기서,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 (도 9 등에 나타내는 단부 (15a, 15b))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제 2 부분 (33) 의 각 부는, 서로 병렬로 연장되어 있다. 요컨대, 도 9 에 있어서,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 이외의 부분에서는, 제 2 부분 (33) 의 각 부는, 제 2 연장부 (36) 의 주위에 감겨져 있고, 우하향의 방향 (제 2 경사 방향) 으로 연장되어 있다. 요컨대, 도 9 에 있어서,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 이외의 부분에서는, 제 2 부분 (33) 의 각 부는, 우상향의 방향 (제 1 경사 방향) 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통상부 (71) 가 적당한 변형성도 갖게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 이외의 부분에서는, 연선부 (39) 는 우하향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우상향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선부 (39) 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통상부 (71) 가 충분한 유연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제 1 구조 (11) 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 를 사용하여, 제 2 구조 (12) 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0 을 사용하여, 제 2 구조 (12) 중, 제 2 와이어 (41) 의 제 3 부분 (4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분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구조 (12) 를 구성하는 제 2 와이어 (41) 의 제 3 부분 (42) 은, 복수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를 포함한다.
제 2 구조 (12) 의 각 단 (14) 에 대하여, 1 개씩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가 배치되어 있다.
개개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는, 제 3 경사 방향 (도 10 에 있어서 우상향 방향) 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45) 와, 제 3 경사 방향과는 역방향의 제 4 경사 방향 (도 10 에 있어서 우하향 방향) 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 (46) 가 교대로 반복해서 이어진 형상이다.
도 10 의 예에서는, 최상단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는, 5 개의 제 2 연장부 (46) 와 4 개의 제 1 연장부 (45)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최하단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는, 5 개의 제 2 연장부 (46) 와 5 개의 제 1 연장부 (45)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이외의 각 단 (14) 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는, 4 개의 제 2 연장부 (46) 와 4 개의 제 1 연장부 (45)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0 의 예에서는, 5 개의 제 2 연장부 (46) 와 5 개의 제 1 연장부 (45) 로 제 2 구조 (12) 의 1 주회분에 상당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하단 이외의 각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는, 1 주회분 미만의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것이 된다.
도 10 에 있어서, 제 3 부분 (42) 은, 일단 (42a) 을 시단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단 (14) 을 바꾸면서 복수 주회 연장되어 있다.
최상단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는, 일단 (42a) 을 포함하는 제 2 연장부 (46) 를 기단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최상단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에 있어서의 종단의 제 2 연장부 (46) 는, 도 10 에 있어서의 좌단에 나타내고 있다. 최상단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에 있어서의 종단의 제 2 연장부 (46) 는, 위로부터 2 단째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에 있어서의 좌단의 제 2 연장부 (46) 에 이어져 있다.
위로부터 2 단째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에 있어서의 우단의 제 2 연장부 (46) 는, 위로부터 3 단째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의 제 2 연장부 (46) 에 이어져 있다.
동일하게, 위로부터 3 단째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로부터, 아래로부터 2 단째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에 대해서도, 각 단 (14) 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요동하면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에서, 이웃하는 단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의 제 2 연장부 (46) 에 이어져 있다.
여기서, 제 1 연장부 (45) 와 제 2 연장부 (46) 의 경계의 모서리부가 도 10 에 있어서의 상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산부라고 하고, 제 1 연장부 (45) 와 제 2 연장부 (46) 의 경계의 모서리부가 도 10 에 있어서의 하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골부라고 한다.
최상단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는, 4.5 산분의 구조이다. 위로부터 2 단째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로부터, 아래로부터 2 단째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에 대해서는, 각각 3.5 산분의 구조로 되어 있다. 최하단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는, 5 산분의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양단부 (단부 (15a, 15b)) 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의 지그재그의 요동수보다,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양단부 이외의 부분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의 지그재그의 요동수가 적다.
또,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양단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에 있어서의 지그재그의 요동수가 서로 동일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각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는, 지그재그로 요동한 선단에서 이웃하는 단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와 서로 걸어맞춰져 훅부 (47) 를 형성하고 있다.
각 훅부 (47) 에 있어서는, 일방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의 골부와 타방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의 산부가 각각 루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일방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의 골부와 타방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의 산부가, 서로의 루프를 빠져 나가며, 또한, 연장되는 방향이 반전되어 있음으로써, 훅부 (47) 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단 (14) 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의 각 골부 중, 1 단 아래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의 각 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골부에 대해서는, 각각 대응하는 산부와 걸어맞춰져 훅부 (47) 를 형성하고 있다.
제 3 부분 (42) 의 타단 (42b) 은, 예를 들어, 최하단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에 있어서의 우단의 제 1 연장부 (45) 의 연장상에 위치하고 있고, 아래로부터 2 단째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와 아래로부터 3 단째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와의 훅부 (47) 에 대하여 결속되어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구조 (12) 중, 제 2 와이어 (41) 의 제 3 부분 (4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분은, 부분적으로 블랭크가 존재하는 사격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1 을 사용하여,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제 2 구조 (12) 중, 제 2 와이어 (41) 의 제 4 부분 (43)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에 있어서, 제 4 부분 (43) 은, 일단 (43a) 을 시단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 4 부분 (43) 의 일단 (43a) 은, 제 3 부분 (42) 의 일단 (42a) 과 동일 지점이다. 요컨대, 제 2 와이어 (41) 에 있어서, 일단 (42a) (일단 (43a)) 을 경계로 하는 일방의 부분이, 제 3 부분 (42) (도 11 에 있어서의 이점쇄선 부분) 이고, 타방의 부분이, 제 4 부분 (43) (도 11 에 있어서의 실선 부분) 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4 부분 (43) 은, 복수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의 집합체 (도 11 에 있어서의 이점쇄선 부분) 와 상보적으로, 사격자상의 제 2 구조 (12) (도 12) 를 구성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즉, 제 4 부분 (43) 은, 축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요동하면서, 제 2 구조 (12) 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단 (14) 에 순차적으로 이어지면서, 둘레 방향으로 복수 주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 4 부분 (43) 은, 지그재그로 요동한 선단에서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와 서로 걸어맞춰져 훅부 (48) 를 형성하고 있다.
각 훅부 (48) 에 있어서는, 제 4 부분 (43) 의 산부 또는 골부와,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의 산부 또는 골부가, 각각 루프 형상으로 되어 있고, 서로의 루프를 빠져 나가며, 또한, 연장되는 방향이 반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4 부분 (43) 의 지그재그 형상은, 2 단분(段分)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49) 와, 제 1 연장부 (49) 가 연장된 선단으로부터 제 1 연장부 (49) 와는 반대의 경사 방향으로 되꺾여 1 단분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제 2 연장부 (50) 가 교대로 반복해서 이어진 형상이다.
도 11 에 있어서, 제 1 연장부 (49) 는 좌하향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연장부 (50) 는 좌상향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2 구조 (12) 의 각 단 (14) 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에 있어서의 제 1 연장부 (45) 및 제 2 연장부 (46) 의 수는, 제 1 통상부 (71) 의 직경이나 특정 망목 구조 (76) 의 원하는 그물눈의 미세함 등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 2 구조 (12) 의 제 4 부분 (43) 의 지그재그 형상은, 예를 들어, 스텐트 (100) 의 직경 등에 관계없이 일정 형상 (2 단분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49) 와, 제 1 연장부 (49) 가 연장된 선단으로부터 제 1 연장부 (49) 와는 반대의 경사 방향으로 되꺾여 1 단분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제 2 연장부 (50) 가 교대로 반복해서 이어진 형상) 으로 할 수 있다.
제 4 부분 (43) 의 타단 (43b) 은, 훅부 (47) 에 대하여 결속되어 있다.
일단 (42a) 은, 제 2 와이어 (41) 의 일단이고, 타단 (43b) 은, 제 2 와이어 (41) 의 타단이다.
제 2 구조 (12) 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구조 (11) 와 제 2 구조 (12) 가 서로 편조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4) 가, 지그재그로 요동할 때마다, 제 1 와이어 (31) 의 외면측과 내면측을 교대로 통과하고 있음으로써, 제 1 구조 (11) 와 제 2 구조 (12) 가 서로 편조되어 있다.
또한, 도 13 에 있어서, 제 1 와이어 (31)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 1 구조 (11) (도 9) 는, 간략화시켜 나타내고 있고, 제 1 구조 (11) 에 있어서의 각 훅부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음과 함께, 연선부 (39) 의 형성 범위는 망점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조 (11) 에 있어서의 망목의 치수와, 제 2 구조 (12) 에 있어서의 망목의 치수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구조 (11) 에 있어서의 망목과, 제 2 구조 (12) 에 있어서의 망목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망목의 치수의 1/2 씩 어긋나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스텐트 (100) 를 구성하는 특정 망목 구조 (76) 를 제작하는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제 1 구조 (11) 를 먼저 제작한 후, 제 2 구조 (12) 를 제작함으로써, 특정 망목 구조 (76) 가 얻어진다.
제 1 구조 (11) 는, 제 1 와이어 (31) 의 일단 (일단 (32a)) 측부터 순서대로 짜는 것에 의해 제작해도 되고, 제 1 와이어 (31) 의 타단 (타단 (33b)) 측부터 순서대로 짜는 것에 의해 제작해도 된다.
동일하게, 제 2 구조 (12) 는, 제 2 와이어 (41) 의 일단 (일단 (42a)) 측부터 순서대로 짜는 것에 의해 제작해도 되고, 제 2 와이어 (41) 의 타단 (타단 (43b)) 측부터 순서대로 짜는 것에 의해 제작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통상부 (71) 의 제 1 망목 구조 (71a) 는, 상기 서술한 특정 망목 구조 (76) 가 이중으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통상부 (71) 는, 특정 망목 구조 (76) 가 삼중 이상으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특정 망목 구조 (76) 끼리는, 연결 와이어 (61)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 와이어 (61) 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금속 재료여도 되고, 수지 재료여도 된다.
연결 와이어 (61) 는, 복수의 특정 망목 구조 (76) 의 망목끼리를 꿰매 붙이도록 하여, 복수의 특정 망목 구조 (76) 의 망목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와이어 (61) 는, 제 1 통상부 (71)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있어서, 각각 주회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통상부 (71) 는, 서로 동축으로 다중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특정 망목 구조 (76) 와, 복수의 특정 망목 구조 (76) 끼리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 와이어 (61) 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축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특정 망목 구조 (76) 끼리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특정 망목 구조 (76) 끼리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복수의 특정 망목 구조 (76) 에 있어서의 연선부 (39) 의 연장 방향은, 서로 동일한 경사 방향이어도 되고, 서로 교차하는 (서로 역방향의) 경사 방향이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제 3 통상부 (73) 의 제 3 망목 구조 (73a) 는, 제 1 망목 구조 (71a)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3 통상부 (73) 에 대해서도, 제 1 통상부 (71) 와 동일하게, 보형성과 유연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변형, 개량 등의 양태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통상부 (71) 의 제 1 망목 구조 (71a) 와 제 3 통상부 (73) 의 제 3 망목 구조 (73a) 가 동일한 구성인 예를 설명했지만, 제 1 망목 구조 (71a) 와 제 3 망목 구조 (73a) 는 서로 상이한 구조여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망목 구조 (71a) 및 제 3 망목 구조 (73a) 가 이중 구조의 특정 망목 구조 (76) 를 포함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제 1 망목 구조 (71a) 및 제 3 망목 구조 (73a) 에 있어서의 특정 망목 구조 (76) 는 한 겹이어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망목 구조 (71a) 및 제 3 망목 구조 (73a) 가 특정 망목 구조 (76) 를 포함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제 1 망목 구조 (71a) 및 제 3 망목 구조 (73a) 는, 그 밖의 구조여도 된다. 예를 들어, 제 1 망목 구조 (71a) 및 제 3 망목 구조 (73a) 는, 제 1 구조 (11) 를 포함하고 있지만 제 2 구조 (12) 를 포함하지 않는 구조여도 되고, 제 2 구조 (12) 를 포함하고 있지만 제 1 구조 (11) 를 포함하지 않는 구조여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스텐트 (100) 가 제 1 통상부 (71) 와 제 2 통상부 (72) 외에 제 3 통상부 (73) 를 구비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스텐트 (100) 는 제 3 통상부 (73) 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 연장부 (33c) 가 제 2 부분 (33) 의 일부분이라고 하는 설명을 실시했지만, 지그재그 연장부 (33c) 는, 제 1 부분 (32) (도 7) 에 있어서의 최상단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의 일부분이어도 된다. 요컨대, 최상단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4) 는, 5 개의 제 1 연장부 (35) 와 5 개의 제 2 연장부 (36)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 1 부분 (32) 의 일단 (제 1 와이어 (31) 의 일단) 은, 도 8 에 나타내는 일단 (33a) 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구조 (11) 를 구성하는 제 1 와이어 (31) 와 제 2 구조 (12) 를 구성하는 제 2 와이어 (41) 가 별개의 와이어인 예를 설명했지만, 제 1 와이어 (31) 와 제 2 와이어 (41) 는, 1 개의 와이어의 일부분씩이어도 된다.
또,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부분 (32) 과 제 2 부분 (33) 이 1 개의 제 1 와이어 (31) 의 일부분씩인 예를 설명했지만, 제 1 부분 (32) 과 제 2 부분 (33) 은, 별개의 와이어여도 된다. 또,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3 부분 (42) 과 제 4 부분 (43) 이 1 개의 제 2 와이어 (41) 의 일부분씩인 예를 설명했지만, 제 3 부분 (42) 과 제 4 부분 (43) 은, 별개의 와이어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는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
(1) 와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격자상의 망목 구조의 통상체를 갖는 스텐트로서,
상기 통상체는, 당해 통상체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구간을 구성하는 제 1 통상부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구간을 구성하는 제 2 통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망목 구조인 제 1 망목 구조는, 와이어끼리가 걸어맞춰져 있는 훅부를 갖고,
상기 제 2 통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망목 구조인 제 2 망목 구조는, 둘레 방향으로 늘어선 모든 그물눈의 4 모서리에 훅부를 가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1 단 이상의 범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스텐트.
(2) 상기 제 2 망목 구조는, 각각 제 1 경사 방향으로 와이어가 나선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열의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1 경사 방향과는 역방향의 제 2 경사 방향으로 와이어가 나선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열의 제 2 나선부를 포함하는 (1) 에 기재된 스텐트.
(3) 상기 제 2 망목 구조는, 적어도 와이어가 나선상으로 1 주회하는 범위에 걸쳐, 모든 그물눈의 4 모서리에 훅부를 가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는 (2) 에 기재된 스텐트.
(4) 상기 제 2 망목 구조는, 와이어가 평직된 구조인 (2) 또는 (3) 에 기재된 스텐트.
(5) X 선 불투과성의 복수의 마커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마커에는,
상기 제 1 통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마커와, 상기 제 2 통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마커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마커와 상기 제 2 마커의 형상이 서로 상이한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텐트.
(6)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상부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제 1 마커를 갖는 (5) 에 기재된 스텐트.
(7) 상기 제 2 마커는, 상기 제 2 망목 구조를 구성하는 와이어에 권회된 코일이고, 당해 와이어를 따라 나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5) 또는 (6) 에 기재된 스텐트.
(8) 상기 제 2 마커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상부의 전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텐트.
(9) 상기 통상체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3 구간을 구성하는 제 3 통상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상부, 상기 제 2 통상부, 및 상기 제 3 통상부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이 순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3 통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망목 구조인 제 3 망목 구조는, 와이어끼리가 걸어맞춰져 있는 훅부를 갖는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텐트.
(10) 상기 제 1 망목 구조는, 사격자상의 특정 망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망목 구조를 구성하는 와이어로서, 제 1 와이어와 제 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와이어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망목 구조는, 서로 동축으로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는 통상의 제 1 구조와 제 2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조는, 상기 제 1 와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사격자상의 것이고, 상기 제 1 통상부의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각각 상기 제 1 구조의 각 단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요동하면서 상기 제 1 통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1 주회분보다 긴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를 포함하고,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는, 제 1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경사 방향과는 역방향의 제 2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가 교대로 반복해서 이어진 형상이고, 상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에서 상기 제 1 구조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단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에 이어져 있고,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는, 지그재그로 요동한 선단에서 상기 제 1 구조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단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와 서로 걸어맞춰져 상기 훅부를 형성하고 있고,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의 일단의 상기 제 2 연장부는, 당해 제 1 지그재그 연장부의 타단의 상기 제 2 연장부의 주위에 감겨져 있고,
상기 제 2 부분은,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의 상기 제 2 연장부 중 서로 연장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 2 연장부의 주위에 순차적으로 감겨져 있고,
상기 제 2 와이어는, 제 3 부분과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조는, 상기 제 2 와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사격자상의 것이고, 상기 제 1 통상부의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부분은, 각각 상기 제 2 구조의 각 단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요동하면서 상기 제 1 통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1 주회 미만의 범위에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를 포함하고,
각 제 2 지그재그 연장부는, 지그재그로 요동한 선단에서 상기 제 2 구조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단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와 서로 걸어맞춰져 상기 훅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에서 상기 제 2 구조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단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에 이어져 있고,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복수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의 집합체와 상보적으로 상기 제 2 구조를 구성하도록, 상기 축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요동하면서 상기 제 2 구조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단에 순차적으로 이어지면서 상기 제 1 통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주회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지그재그로 요동한 선단에서 상기 제 2 구조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단의 상기 제 2 지그재그 연장부와 걸어맞춰져 상기 훅부를 형성하고 있는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텐트.
(11) 상기 제 1 구조와 상기 제 2 구조가 서로 편조되어 있는 (10) 에 기재된 스텐트.
(12) 상기 제 2 지그재그 연장부가, 지그재그로 요동할 때마다, 상기 제 1 와이어의 외면측과 내면측을 교대로 통과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제 1 구조와 상기 제 2 구조가 서로 편조되어 있는 (11) 에 기재된 스텐트.
(13) 상기 제 1 통상부는,
서로 동축으로 다중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특정 망목 구조와,
복수의 상기 특정 망목 구조끼리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 와이어를 구비하는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텐트.
10 : 통상체
11 : 제 1 구조
12 : 제 2 구조
13 : 제 1 구조의 단
14 : 제 2 구조의 단
15a, 15b : 단부
31 : 제 1 와이어
32 : 제 1 부분
32a : 일단
32b : 타단
32c : 되꺾임점
33 : 제 2 부분
33a : 일단
33b : 타단
33c : 지그재그 연장부
33d : 종단
33e, 33f, 33g, 33h, 33i, 33j, 33k : 중간점
34 : 제 1 지그재그 연장부
35 : 제 1 연장부
36 : 제 2 연장부
36a : 일단의 제 2 연장부
37 : 훅부
38, 38a : 감김부
39 : 연선부
41 : 제 2 와이어
42 : 제 3 부분
42a : 일단
42b : 타단
43 : 제 4 부분
43a : 일단
43b : 타단
44 : 제 2 지그재그 연장부
45 : 제 1 연장부
46 : 제 2 연장부
47, 48 : 훅부
49 : 제 1 연장부
50 : 제 2 연장부
61 : 연결 와이어
71 : 제 1 통상부
71a : 제 1 망목 구조
72 : 제 2 통상부
72a : 제 2 망목 구조
73 : 제 3 통상부
73a : 제 3 망목 구조
75 : 훅부
76 : 특정 망목 구조
77 : 훅부
80 : 와이어
81 : 제 1 나선부
82 : 제 2 나선부
83 : 그물눈
91, 92 : 제 1 마커
93 : 제 2 마커
100 : 스텐트
110 : 담관
200 : 제 2 스텐트

Claims (13)

  1. 와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격자상의 망목 구조의 통상체를 갖는 스텐트로서,
    상기 통상체는, 당해 통상체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구간을 구성하는 제 1 통상부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구간을 구성하는 제 2 통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망목 구조인 제 1 망목 구조는, 와이어끼리가 걸어맞춰져 있는 훅부를 갖고,
    상기 제 2 통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망목 구조인 제 2 망목 구조는, 둘레 방향으로 늘어선 모든 그물눈의 4 모서리에 훅부를 가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1 단(段) 이상의 범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스텐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망목 구조는, 각각 제 1 경사 방향으로 와이어가 나선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열의 제 1 나선부와, 상기 제 1 경사 방향과는 역방향의 제 2 경사 방향으로 와이어가 나선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열의 제 2 나선부를 포함하는, 스텐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망목 구조는, 적어도 와이어가 나선상으로 1 주회하는 범위에 걸쳐, 모든 그물눈의 4 모서리에 훅부를 가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는, 스텐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망목 구조는, 와이어가 평직된 구조인, 스텐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 선 불투과성의 복수의 마커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마커에는,
    상기 제 1 통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마커와, 상기 제 2 통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마커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마커와 상기 제 2 마커의 형상이 서로 상이한, 스텐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상부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제 1 마커를 갖는, 스텐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커는, 상기 제 2 망목 구조를 구성하는 와이어에 권회된 코일이고, 당해 와이어를 따라 나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스텐트.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커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상부의 전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스텐트.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3 구간을 구성하는 제 3 통상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상부, 상기 제 2 통상부, 및 상기 제 3 통상부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이 순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3 통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망목 구조인 제 3 망목 구조는, 와이어끼리가 걸어맞춰져 있는 훅부를 갖는, 스텐트.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망목 구조는, 사격자상 (斜格子狀) 의 특정 망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망목 구조를 구성하는 와이어로서, 제 1 와이어와 제 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와이어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망목 구조는, 서로 동축으로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는 통상의 제 1 구조와 제 2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조는, 상기 제 1 와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사격자상의 것이고, 상기 제 1 통상부의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각각 상기 제 1 구조의 각 단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요동하면서 상기 제 1 통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1 주회분보다 긴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를 포함하고,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는, 제 1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경사 방향과는 역방향의 제 2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가 교대로 반복해서 이어진 형상이고, 상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에서 상기 제 1 구조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단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에 이어져 있고,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는, 지그재그로 요동한 선단에서 상기 제 1 구조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단의 제 1 지그재그 연장부와 서로 걸어맞춰져 상기 훅부를 형성하고 있고,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의 일단의 상기 제 2 연장부는, 당해 제 1 지그재그 연장부의 타단의 상기 제 2 연장부의 주위에 감겨져 있고,
    상기 제 2 부분은, 각 제 1 지그재그 연장부의 상기 제 2 연장부 중 서로 연장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 2 연장부의 주위에 순차적으로 감겨져 있고,
    상기 제 2 와이어는, 제 3 부분과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조는, 상기 제 2 와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사격자상의 것이고, 상기 제 1 통상부의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부분은, 각각 상기 제 2 구조의 각 단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요동하면서 상기 제 1 통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1 주회 미만의 범위에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를 포함하고,
    각 제 2 지그재그 연장부는, 지그재그로 요동한 선단에서 상기 제 2 구조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단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와 서로 걸어맞춰져 상기 훅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에서 상기 제 2 구조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단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에 이어져 있고,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복수의 제 2 지그재그 연장부의 집합체와 상보적으로 상기 제 2 구조를 구성하도록, 상기 축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요동하면서 상기 제 2 구조에 있어서의 이웃하는 단에 순차적으로 이어지면서 상기 제 1 통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주회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지그재그로 요동한 선단에서 상기 제 2 구조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단의 상기 제 2 지그재그 연장부와 걸어맞춰져 상기 훅부를 형성하고 있는, 스텐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와 상기 제 2 구조가 서로 편조되어 있는, 스텐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그재그 연장부가, 지그재그로 요동할 때마다, 상기 제 1 와이어의 외면측과 내면측을 교대로 통과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제 1 구조와 상기 제 2 구조가 서로 편조되어 있는, 스텐트.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상부는,
    서로 동축으로 다중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특정 망목 구조와,
    복수의 상기 특정 망목 구조끼리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 와이어를 구비하는, 스텐트.
KR1020200089393A 2020-07-20 2020-07-20 스텐트 KR20220010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393A KR20220010813A (ko) 2020-07-20 2020-07-20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393A KR20220010813A (ko) 2020-07-20 2020-07-20 스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813A true KR20220010813A (ko) 2022-01-27

Family

ID=80049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393A KR20220010813A (ko) 2020-07-20 2020-07-20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08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9742A (ja) 2001-09-17 2003-03-18 Piolax Medical Device:Kk ステント付きグラフ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9742A (ja) 2001-09-17 2003-03-18 Piolax Medical Device:Kk ステント付きグラフ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3663B2 (en) Stent
EP1903984B1 (en)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44906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US10617421B2 (en) Stent for connecting adjacent tissu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620201B1 (en) One piece medical prosthesis for an anatomical duct
CN111118729B (zh) 一种支架编织方法及使用该方法制成的支架
US20070173927A1 (en) Self-expandable shape memory alloy st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6506168A (ja) 網目状ステ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28729B1 (ko)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JP6177259B2 (ja)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グラフト
JP2023106141A (ja) ステント
WO2017163457A1 (ja)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KR20220010813A (ko) 스텐트
EP1235535B1 (en) Stent
JP7305256B2 (ja) ステント
KR101764405B1 (ko) 스텐트
JP7401955B2 (ja) ステント
KR20160072651A (ko) 스텐트 제조방법
JP2021019708A (ja) ステント
JP2023148363A (ja) ステント、ステントグラフト
JP7484890B2 (ja) 合成樹脂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JP7451876B2 (ja) ステント
KR100548781B1 (ko) 원통형 스텐트
KR102438975B1 (ko) 이중 구조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26385A (ko) 스텐트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