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313A -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트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트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313A
KR20220010313A KR1020200089052A KR20200089052A KR20220010313A KR 20220010313 A KR20220010313 A KR 20220010313A KR 1020200089052 A KR1020200089052 A KR 1020200089052A KR 20200089052 A KR20200089052 A KR 20200089052A KR 20220010313 A KR20220010313 A KR 20220010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odule
key
patter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957B1 (ko
Inventor
배병주
최용운
안창훈
Original Assignee
(주)컴엑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컴엑스아이 filed Critical (주)컴엑스아이
Priority to KR1020200089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957B1/ko
Priority to PCT/KR2021/008348 priority patent/WO2022014917A1/ko
Publication of KR20220010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957B1/ko
Priority to US18/094,207 priority patent/US2023015531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기기의 포트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된 틀 형상의 모듈 프레임과, 모듈 프레임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로킹모듈 몸체, 포트 내부의 단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로킹모듈 몸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로킹부재 및 제1로킹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로킹모듈 몸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로킹부재를 가지는 로킹 모듈과, 모듈 프레임 내외로 로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킹위치로 삽입시 제1로킹부재를 간섭하여 단자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제2로킹부재에 로킹결합되며 제2로킹부재를 분리시키기 위한 해제키가 삽입되는 키홈을 가지는 패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트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트 차단장치{A MODULE FOR LOCKING PORT OF ELECTRIC DEVICE AND PORT LOC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마련되어 외장기기를 연결할수 있는 포트를 물리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포트 차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트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금융기관이나 정부산하 기관 등에 외부인이 침입하거나, 비 관리자가 진입하여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출해가는 사건이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으며, 이에 대비하여 여러 가지 대응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컴퓨터의 USB 포트, 네트워크 장비, 전자제품 등을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비 인가된 데이터 전송케이블이나 커넥터를 연결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또한, 랜 케이블이 연결되는 랜 포트 즉, 네트웍 포트를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네트웍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인출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도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출원인은 USB 포트를 잠그기 위한 장치, 랜포트를 잠그기 위한 장치, 네트웍 포트락을 잠그기 위한 장치 등을 개발한 바 있다.
한편, 전자기기의 포트를 물리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락 장치는 포트에 삽입되어 포트를 직접적으로 차단하는 잠금부재와, 상기 잠금부재를 포트에서 빼낼 때 사용하는 키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키부재는 잠금부재의 키홀에 삽입되어 잠금부재의 로킹상태를 해제하고, 잠금부재를 포트로부터 빼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키홈의 내부에 형성된 패턴홈에 대응되는 패턴키를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패턴키와 패턴홈은 락 장치별로 다양한 패턴으로 설계 및 제작됨으로써 잠금부재의 패턴홈에 매칭되는 패턴키를 가지는 키부재를 이용해서만 상기 잠금부재를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 패턴키를 잠금부재의 키홀에 단순히 넣어서 패턴홈에 걸리도록 한 후에 잡아당기는 방법으로 상기 잠금부재를 포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 상기 패턴홈과 패턴키의 패턴이 서로 일치하지 않더라도 상기 패턴키의 일부분이 키홀 내부의 패턴홈에 부분적으로 걸리도록 하여 상기 잠금부재를 포트로부터 억지로 빼낼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전자기기의 포트를 더욱 확실하게 잠글 수 있는 락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19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전자기기의 포트를 안전하게 잠글 수 있는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트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은, 전자기기의 포트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된 틀 형상의 모듈 프레임; 상기 모듈 프레임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로킹모듈 몸체, 상기 포트 내부의 단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로킹모듈 몸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로킹부재 및 상기 제1로킹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로킹모듈 몸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로킹부재를 가지는 로킹 모듈; 상기 모듈 프레임 내외로 로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킹위치로 삽입시 상기 제1로킹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단자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제2로킹부재에 로킹결합되며, 상기 제2로킹부재를 분리시키기 위한 해제키가 삽입되는 키홈을 가지는 패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전자기기의 포트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킹모듈 몸체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부벽과 하부벽 사이에 위치되고,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제1 및 제2로킹부재 각각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전단에서 상부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모듈 프레임의 입구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입구 차단부; 및 상기 수평부의 양측 테두리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패턴모듈의 왕복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로킹모듈이 패턴모듈이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로킹결합 및 해제동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로킹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내벽에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자유단부까지 상기 패턴모듈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부에는 상기 로킹위치로 이동되는 패턴모듈에 의해 접촉되어 가압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패턴모듈에 간섭되어 탄성 변형시 상기 포트의 단자부에 접촉되어 밀착되는 간섭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제1로킹부재가 패턴모듈의 움직임에 의해 연동하여 자연스럽게 로킹 및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로킹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내벽에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다단까지 상기 패턴모듈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로키위치로 이동되는 패턴모듈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로킹모듈 몸체의 하부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로킹위치로 이동된 패턴모듈이 해제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모듈은, 전면과 하면으로 상기 키홈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판형의 패턴모듈 몸체; 및 상기 패턴모듈 몸체의 양측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키홈 내부의 서로 다른 내면에는 상기 해제키의 패턴키가 결합되는 패턴부와, 상기 해제키의 걸쇄키가 결합되는 걸쇄키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키홈의 패턴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패턴키를 가지는 해제키만을 사용하여 차단모듈을 포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모듈 몸체는, 상면에서 전단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깊게 형성되어 상기 로킹모듈의 제1로킹부재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와, 상기 제1수용홈의 끝단에서 상기 키홈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1관통홀과, 상면에서 후단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깊게 형성되어 상기 로킹모듈의 제2로킹부재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과, 상기 제2수용홈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로킹부재의 끝단이 걸리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을 공유하면서 상기 키홈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관통홀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로써, 패턴모듈과 로킹모듈이 상호 연동하면서 로킹 및 해제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트락 장치는,
전자기기의 포트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된 틀 형상의 모듈 프레임; 상기 모듈 프레임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로킹모듈 몸체, 상기 포트 내부의 단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로킹모듈 몸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로킹부재 및 상기 제1로킹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로킹모듈 몸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로킹부재를 가지는 로킹 모듈; 상기 모듈 프레임 내외로 로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킹위치로 삽입시 상기 제1로킹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단자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제2로킹부재에 로킹결합되며, 상기 제2로킹부재를 분리시키기 위한 해제키가 삽입되는 키홈을 가지는 패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모듈;
및 해제키 본체의 선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키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로킹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패턴모듈이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로킹모듈과 로킹해제되도록 하는 패턴키와, 상기 패턴키의 외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키홈 내부에서 확장되어 상기 키홈 내부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패턴모듈을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걸쇄키를 구비하는 해제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키홈 내부의 패턴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키를 가지는 허용된 해제키만을 이용하여 포트에 결합된 차단모듈을 빼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턴키의 선단에는 상기 키홈의 내부벽에 형성된 패턴부에 대응되는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키홈의 내부의 양측벽면에 상기 걸쇄키가 걸리는 걸쇄키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트락 장치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USB 포트와 같은 포트에 삽입된 상태로 자유롭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전자기기의 포트를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포트에 결합되어 로킹상태가 된 차단모듈은 차단모듈의 키홈 내부의 패턴부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키를 가지는 해제키를 사용해야만, 포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해제키의 패턴키가 차단모듈의 키홈에 완전하게 삽입되어야만, 걸쇄키가 키홈 내부의 걸쇄키 걸림홈에 걸릴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허가된 해제키 이외의 도구를 이용해서는 차단모듈을 포트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포트를 더욱 확실하게 차단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트락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나타내 보인 도 1에 도시된 차단모듈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차단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6 각각 도 3의 로킹모듈과 패턴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차단모듈의 패턴모듈이 해제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차단모듈의 패턴모듈이 로킹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Ⅵ선-Ⅵ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상태에서 키홈에 해제키의 패턴키와 걸쇄키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해제키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해제키의 평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 각각은 도 16에 도시된 해제키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7에서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21a는 해제키의 이동하우징이 돌출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21b는 도 20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상태에서 가동부재를 이동시켜서 걸쇄키를 좁힌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23a는 도 18에 도시된 조작부와 패턴키 및 걸쇄키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3b는 도 23a의 평면도이다.
도 23c는 도 23b에서 가동부재를 이동시켜서 걸쇄키가 좁혀진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24는 차단모듈의 키홈에 해제키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저면도이다.
도 25는 차단모듈의 키홈에 해제키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저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상태에서 걸쇄키가 벌어진 상태를 보인 저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상태에서 해제키를 이용하여 패턴모듈을 해제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보인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트락 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트락 장치는, 전자기기(10)의 포트(20)에 삽입되어 상기 포트(20)를 차단하는 차단모듈(100)과, 상기 포트(20)에 삽입되어 결합된 차단모듈(100)을 로킹 해제하여 인출하는 해제키(200)를 구비한다.
상기 차단모듈(100)은 모듈 프레임(110)과, 상기 모듈 프레임(110)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로킹 모듈(120)과, 상기 로킹 모듈(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모듈 프레임(110) 내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턴 모듈(130)을 구비한다.
상기 모듈 프레임(110)은 전방과 후방으로 개방된 사각 틀 형상을 가지며, 하부벽(111), 상부벽(112) 및 한 쌍의 측면벽(113)을 가진다. 모듈 프레임(110)은 차단할 전자기기의 포트(20)에 대응되는 형상 및 사이즈로 제작된다. 상기 양측벽(113) 각각에는 로킹모듈(1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114)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로킹 모듈(120)은 모듈 프레임(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로킹모듈 몸체(121)와, 로킹모듈 몸체(121)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로킹부재(123) 및 제2로킹부재(125)를 구비한다.
상기 로킹모듈 몸체(121)는 모듈 프레임(110)의 상부벽(111)과 하부벽(112) 사이에 위치되는 수평부(121a)와, 상기 수평부(121a)의 전단에서 상부로 확장 형성되는 입구 차단부(121b)와, 수평부(121a)의 양측 테두리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121c)를 구비한다. 수평부(121a)의 양측면에는 상기 고정돌기(114)가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21c)에는 상기 패턴모듈(130)의 왕복 이동 거리를 제안하고,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로킹부재(123)는 로킹모듈 몸체(121)에 일단이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상하로 타성 변형 가능하다. 제1로킹부재(123)의 자유단부에는 포트(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단자부(21)에 접촉되는 간섭돌기(123a)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1로킹부재(123)의 자유단부에는 경사지게 가이드면(123b)이 형성된다. 제1로킹부재(123)는 끝단이 하부 즉, 로킹모듈 몸체(121)의 하부면으로 돌출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차단모듈(100)을 전자기기의 포트(20)에 삽입시에는 간섭돌기(123a)가 상기 포트(20)의 단자부(21)에 간섭되지 않는다(도 7 내지 도 10 참조). 반면에, 도 11 내지 도 14와 같이, 패턴모듈(130)을 모듈 프레임의(110)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하여 로키위치로 위치시키면, 패턴모듈(130)에 의해서 제1로킹부재(123)의 자유단의 가이드면(123b)이 간섭되어 제1로킹부재(123)가 변형되어서 패턴모듈(130) 위로 올라탄 상태로 가압된다. 이 상태에서는 간섭돌기(123a)가 포트(20)의 단자부(21)에 강하게 밀착 접촉되어 로킹상태가 됨으로써, 차단모듈(100)은 포트(20)에서 자연스럽게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제2로킹부재(125)는 로킹모듈 몸체(121)에 일단이 연결되며, 자유단부가 로킹모듈 몸체(121)의 하부로 돌출되게 연장된다. 제2로킹부재(125)의 끝단은 패턴모듈(130)에 형성되는 걸림턱(137a)에 걸린다. 즉, 패턴모듈(130)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프레임(11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로킹위치가 되면, 패턴모듈(130)의 걸림턱(137a)이 제2로킹부재(125)의 끝단에 접촉되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해제키(300)를 이용하여 상기 제2로킹부재(125)를 밀어내어 걸림턱(137a)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도 15 참조). 즉, 도 15와 같이, 제2로킹부재(125)는 패턴모듈(130)의 키홈(135)에 삽입되는 해제키(300)의 패턴키(230)에 밀려서 걸림턱(137a)에서 벗어나서 걸림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패턴모듈(130)을 해제위치로(도 8 참조)로 빼낼 수 있다.
상기 로킹모듈 몸체(121)에는 상기 제1 및 제2로킹부재(123,125)를 수용하는 관통홀(h1)이 상하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관통홀(h1)의 내벽에 제1 및 제2로킹부재(123,125)의 일단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패턴모듈(130)은 모듈 프레임(110)의 하부벽(111)과 로킹모듈(120) 사이의 결합공간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패턴모듈(130)은 도 12와 같은 로킹위치와, 도 8과 같은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로킹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해제키(200)를 사용해야만 한다.
이러한 패턴모듈(130)은 판형의 패턴모듈 몸체(131)와, 패턴모듈 몸체(131)의양측 테두리에서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133)를 가진다.
상기 패턴모듈 몸체(131)의 하면에는 해재키(200)의 패턴키(230)와 걸쇄키(240)가 삽입되는 키홈(135)이 형성된다. 키홈(135)은 패턴모듈 몸체(131)의 하면과 전면으로 노출된다. 키홈(135)의 내부에는 상기 패턴키(230)의 패턴에 대응되는 패턴부(135a)와, 상기 걸쇄키(240)가 결합되는 걸쇄키 걸림홈(135b)이 형성된다. 패턴부(135a)는 키홈(135)의 입구에 대응되는 내부 후단면에 형성되고, 걸쇄키 걸림홈(135b)은 키홈(135)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패턴모듈 몸체(131)의 상면에는 로킹모듈(120)의 제1로킹부재(123)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136)이 형성된다. 제1수용홈(136)은 패턴모듈 몸체(131)의 전단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깊게 형성되고, 제1수용홈(136)의 끝단에는 키홈(135)과 연통되는 제1관통홀(136a)이 형성된다. 또한, 제1수용홈(136)에는 제1로킹부재(123)의 가이드면(123b)에 대응되는 접촉 가압면(136b)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패턴모듈 몸체(131)의 상면에는 제2로킹부재(125)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137)이 인입 형성된다. 제2수용홈(137)은 패턴모듈 몸체(131)의 전단에서 후단 쪽으로 점진적으로 깊게 형성되며, 끝단에는 제2로킹부재(125)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턱(137a)이 형성된다. 걸림턱(137a)에 연장되도록 제2수용홈(137)의 끝단에는 제2관통홀(137b)이 키홈(135)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패턴모듈(130)이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해제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제1수용홈(136)에 제1로킹부재(123)가 수용되어 있고, 제2수용홈(137)에는 제2로킹부재(125)가 수용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패턴모듈(130)을 모듈 프레임(110)의 내부로 밀어넣어서 로킹위치가 되면(도 12 내지 도 14 참조), 제1로킹부재(123)는 접촉 가압면(136b)에 간섭되어 제1수용홈(136)에서 벗어나서 상부로 이동되어 포트(20)의 단자부(21)에 간섭돌기(123a)가 밀착된다. 그리고, 제2로킹부재(125)의 끝단은 제2수용홈(137)의 걸림턱(137a)에 걸리면서 제2관통홀(137b)을 통해 키홈(135)으로 돌출된다.
상기 해제키(200)는 본체 케이스(210)와, 본체 케이스(210)의 전방으로 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하우징(220), 이동 하우징(220)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패턴키(230)와, 패턴키(230)의 양측에 배치되는 걸쇄키(240)와, 상기 이동하우징(220)과 걸쇄키(240)의 움직임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5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 케이스(210)는 서로 결합되는 하부케이스(211)와 상부케이스(213)를 구비한다. 하부케이스(211) 내부의 바닥에는 고정슬릿(211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슬릿(211a)에 가이드부재(212)가 결합된다. 가이드부재(212)의 상면에는 스토퍼 홈(212a)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213)에는 상기 조작부(250)의 메인 조작노브(523)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슬릿(213a)이 형성된다. 본체 케이스(210)의 선단에는 이동하우징(220)이 출몰 가능한 관통홀(214)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하우징(220)은 본체 케이스(210)의 선단의 관통홀(214)을 통해서 내외로 출몰 가능하도록 본체 케이스(210)에 설치된다. 이러한 이동하우징(220)은 서로 결합되는 하부하우징(221)과 상부하우징(223)을 구비한다. 하부하우징(221)은 가이드부재(2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하부하우징(221)에는 가이드부재(212)의 스토퍼 홈(212a)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탄성 돌기(221a)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21a 상태에서 이동하우징(220)을 밀어서 도 21b와 같이, 본체 케이스(210)의 선단으로 돌출되게 하면, 탄성돌기(221a)가 스토퍼 홈(212a)에 걸리게 되어 이동하우징(2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메인 조작노브(253)를 더 밀면, 후술할 가동부재(251)가 더 이동하여 걸쇄키(24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동하우징(220)의 선단으로 돌출되게 상기 패턴키(230)가 나사 또는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다. 즉, 패턴키(230)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일단이 이동하우징(220)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패턴모듈(130)의 키홈(135)의 패턴부(135a)에 대응되는 패턴형상을 가지는 키홈 결합부(231)를 가진다. 이러한 패턴키(230)는 판 형상을 가진다.
상기 걸쇄키(240)는 이동하우징(220) 내부에 설치되는 걸쇄키 몸체(241)와, 걸쇄키 몸체(241)에서 연장되는 걸쇄키부(243)를 가진다. 걸쇄키 몸체(241)는 대략 'U'자 형상을 가지며, 연결부(241a)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마주하도록 절곡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부(241b)를 가진다. 탄성부(241b)의 단부에 걸쇄키부(243)가 일체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걸쇄키부(243)는 탄성부(241b)에서 직교하도록 절곡되어 연장되며, 패턴키(230)의 양측에 동일 높이와 두께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쇄키부(243)의 내측에는 상기 패턴키(230)의 후단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턱(243b)이 형성된다. 또한, 걸쇄키부(243)의 외측 테두리에는 경사진 가이드면(243c)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241b)가 양측에서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탄성 변형되면서 한 쌍의 걸쇄키부(243)가 서로 접근하면서 패턴키(230)에 밀착 접근된다. 상기 걸쇄키부(243)는 판 형상을 가지고, 끝단에는 키홈(135)의 내부의 걸쇄키 걸림홈(135b)에 걸리는 걸림돌기(243a)가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걸쇄키부(243)의 후단에는 후술할 가동부재(251)의 후진시 후술할 걸림용 돌기(258b)에 간섭되어 벌어지도록 하는 벌림 간섭부(243d)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걸쇄키(240)는 상기 조작부(250)의 동작에 의해 움직임이 제어된다.
상기 조작부(250)는 상기 이동하우징(220)의 내부에 소정 거리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251)와, 상기 가동부재(251)에 연결되는 메인 조작노브(253)와, 상기 가동부재(251)에 연결되는 서브 조작노브(255)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부재(251)는 이동하우징(220)의 내부에 소정 거리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부재(251)는 상기 메인 조작노브(253)가 결합되는 가동부재 몸체(257)와, 가동부재 몸체(257)에서 연장되어 상기 걸쇄키(24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258)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부재 몸체(257)에는 메인 조작노브(253)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257a)와, 상기 서브 조작노브(255)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257b)와, 가동부재(25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돌기(257c)를 구비한다. 상기 제1결합부(257a)는 가동부재 몸체(257)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2결합부(257c)는 가동부재 몸체(257)의 후단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탄성돌기(257c)는 가동부재 몸체(257)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가동부재 몸체(257)에 연결된다. 이러한 탄성돌기(257c)는 이동하우징(220)의 상부하우징(223)에 형성된 걸림돌기(223a)에 선택적으로 걸림으로써 가동부재(251)가 전진하여 이동된 상태에서 위치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작동부(258)에는 걸쇄키(243)의 걸쇄키 몸체(241)를 외측에서 지지하면서 이동시 컬쇄키부(243)를 간섭하여 좁혀지도록 간섭하는 한 쌍의 해제용 간섭리브(258a)와, 해제용 간섭리브들(258a) 사이에 배치되어 걸쇄키부(243)가 벌어지도록 하는 걸림용 돌기(258b)를 가진다. 해제용 간섭리브(258a)는 작동부(258)의 양측 테두리에서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어, 걸쇄키 몸체(241)의 탄성부(241b)를 외측에서 지지한다. 이러한 해제용 간섭리브(258a)는 가동부재(251)가 전진하면, 도 23c와 같이, 걸쇄키부(243)의 가이드면(243c)을 간섭하여 걸쇄키부(243)가 좁혀지도록 한다. 가동부재(251)가 전진하기 전에는 도 23b와 같이, 걸쇄키부(243)의 벌림 간섭부(243d) 사이에 걸림용 돌기(258b)가 위치함으로써, 걸쇄키부(243)가 좁혀지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가동부재(251)가 최대로 전진하면, 걸쇄키부(243)가 걸림용 돌기(258b)에서 벗어나서 간섭리브(258a)에 의해 간섭되어 도 23c와 같이, 좁혀짐으로써 상기 키홈(135)에 진입될 수 있게 된다. 키홈(135)에 진입된 후에 상기 메인 조작노브(253) 또는 서브 조작노브(255)를 조작하여 가동부재(251)를 소정 거리 후진시키면, 걸림용 돌기(258b)에 의해 걸쇄키부(243)가 도 26과 같이, 벌어지면서 키홈(135) 내에서 도 26과 같이, 걸림돌기(243a)가 걸쇄키 걸림홈(235b)에 걸리게 된다.
상기 메인 조작노브(253)는 가동부재(152)에 연결되도록 본체 케이스(210)의 외측에 노출되며, 가이드슬릿(211)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다. 서브 조작노브(255)는 일단이 상기 제2결합부(257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본체 케이스(210)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홀(215)을 통해서 본체 케이스(210)의 측면으로 출몰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경사홀(215)로 서브 조작노브(255)가 돌출되면, 사용자는 메인 조작노브(253)를 조작하기 어려운 좁은 환경에서, 서브 조작노브(255)를 용이하게 조작하여 걸쇄키(240)의 걸림동작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포트 잠금장치의 작용효과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모듈(130)이 해제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단모듈(100)을 전자기기의 포트(20)에 삽입한다. 그러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모듈(120)과 모듈 프레임(110) 사이의 공간에 단자부(21)가 위치하되,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제1로킹부재(123)는 단자부(21)와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모듈 프레임(110)의 전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패턴모듈(130)을 모듈 프레임(110)의 내부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모듈(130)이 로키위치로 이동하면서 제1로킹부재(123)를 간섭하여 단자부(21) 쪽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간섭돌기(123a)가 단자부(21)에 밀착되어 차단모듈(100)이 자유롭게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또한, 패턴모듈(130)의 걸림턱(137a)에 제2로킹부재(125)의 단부가 걸리게 된다. 그러면, 패턴모듈(130)은 초기의 해제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포트(20)에 차단모듈(100)을 견고하게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고, 임의로 차단모듈(100)을 빼낼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포트(20)에 결합되어 차단하고 있는 차단모듈(100)을 빼내기 위해서는, 상기 해제키(20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21a의 상태에서 메인 조작노브(253)를 밀면, 도 21b와 같이, 이동하우징(220)이 본체 케이스(210)의 선단으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메인 조작노브(253)를 전방으로 더 밀면, 가동부재(251)가 이동하여 도 22 및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키(230)의 양측에 걸쇄키(240)가 밀착되도록 좁혀진다.
도 22의 상태에서, 패턴키(230)와 걸쇄키(240)를 차단모듈(100)의 키홈(135)에 삽입한다. 그러면, 도 8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홈(135) 내부에 패턴키(230)가 삽입되되, 패턴키(230)의 패턴과 키홈(135)의 패턴부(135a)가 서로 일치해야만, 패턴키(230)가 끝까지 키홈(135)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패턴키(230)가 완전히 삽입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키(230)가 제2로킹부재(125)를 밀어내어 걸림턱(137a)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해제키(200)의 메인 조작노브(253) 또는 서브 조작노브(255)를 밀어서 소정거리 후진시킨다. 그러면, 가동부재(251)가 후진이동하면서 도 20 및 도 23b와 같이, 걸쇄키(240)가 벌어지게 된다. 그러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43a)가 키홈(135) 내부의 걸쇄키 걸림홈(135b)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도 26의 상태에서 해제키(200)를 잡아당기면, 패턴모듈(130)이 소정거리 끌려나오게 되어 해제위치 즉, 도 27과 같이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로킹부재(123)가 초기위치로 탄성 복원되고, 간섭돌기(123a)는 포트(20)의 단자부(21)에서 분리되어 해제상태가 된다. 그러면, 해제키(200)를 더 잡아당기면, 차단모듈(100)이 포트(20)에서 자연스럽게 빠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포트(20)에 삽입하여 용이하게 로킹시킬 수 있게 되어, 포트(20)를 안정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포트(20)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패턴모듈(130)의 키홈(135) 내의 패턴부(135a)에 대응되는 패턴을 갖는 패턴키(230)를 갖는 해제키(200)를 사용해야만, 차단모듈(100)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패턴키(230)와 걸쇄키(240)가 독립적으로 작용하도록 하고, 패턴키(230)의 패턴의 형상에 의해서 걸쇄키(240)의 역할이 종속되도록 함으로써, 미승인된 해제키(200)를 가지고 차단모듈(100)을 분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클립이나, 핀셋 등의 비인가된 도구를 이용하여 차단모듈(100)을 강제로 분리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전자기기 20..포트
21..단자부 100..차단모듈
110..모듈 프레임 120..로킹모듈
130..패턴모듈 200..해제키
210..본체 케이스 220..이동하우징
230..패턴키 240..걸쇄키
250..조작부 251..가동부재
253..메인 조작노부 255..서브 조작노브

Claims (9)

  1. 전자기기의 포트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된 틀 형상의 모듈 프레임;
    상기 모듈 프레임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로킹모듈 몸체, 상기 포트 내부의 단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로킹모듈 몸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로킹부재 및 상기 제1로킹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로킹모듈 몸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로킹부재를 가지는 로킹 모듈;
    상기 모듈 프레임 내외로 로킹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킹위치로 삽입시 상기 제1로킹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단자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제2로킹부재에 로킹결합되며, 상기 제2로킹부재를 분리시키기 위한 해제키가 삽입되는 키홈을 가지는 패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모듈 몸체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상부벽과 하부벽 사이에 위치되고,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제1 및 제2로킹부재 각각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전단에서 상부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모듈 프레임의 입구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입구 차단부; 및
    상기 수평부의 양측 테두리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패턴모듈의 왕복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킹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내벽에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자유단부까지 상기 패턴모듈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부에는 상기 로킹위치로 이동되는 패턴모듈에 의해 접촉되어 가압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패턴모듈에 간섭되어 탄성 변형시 상기 포트의 단자부에 접촉되어 밀착되는 간섭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로킹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내벽에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다단까지 상기 패턴모듈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로키위치로 이동되는 패턴모듈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로킹모듈 몸체의 하부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모듈은,
    전면과 하면으로 상기 키홈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판형의 패턴모듈 몸체; 및
    상기 패턴모듈 몸체의 양측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키홈 내부의 서로 다른 내면에는 상기 해제키의 패턴키가 결합되는 패턴부와, 상기 해제키의 걸쇄키가 결합되는 걸쇄키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모듈 몸체는,
    상면에서 전단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깊게 형성되어 상기 로킹모듈의 제1로킹부재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와, 상기 제1수용홈의 끝단에서 상기 키홈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1관통홀과, 상면에서 후단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깊게 형성되어 상기 로킹모듈의 제2로킹부재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과, 상기 제2수용홈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로킹부재의 끝단이 걸리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을 공유하면서 상기 키홈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관통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단모듈; 및
    해제키 본체의 선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키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로킹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패턴모듈이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로킹모둘과 로킹해제되도록 하는 패턴키와, 상기 패턴키의 외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키홈 내부에서 확장되어 상기 키홈 내부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패턴모듈을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걸쇄키를 구비하는 해제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포트 잠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키의 선단에는 상기 키홈의 내부벽에 형성된 패턴부에 대응되는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포트 잠금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홈의 내부의 양측벽면에 상기 걸쇄키가 걸리는 걸쇄키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포트 잠금장치.

KR1020200089052A 2020-07-17 2020-07-17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트 차단장치 KR102382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052A KR102382957B1 (ko) 2020-07-17 2020-07-17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트 차단장치
PCT/KR2021/008348 WO2022014917A1 (ko) 2020-07-17 2021-07-01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트 차단장치
US18/094,207 US20230155313A1 (en) 2020-07-17 2023-01-06 Port blocking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and port lock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052A KR102382957B1 (ko) 2020-07-17 2020-07-17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트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313A true KR20220010313A (ko) 2022-01-25
KR102382957B1 KR102382957B1 (ko) 2022-04-05

Family

ID=7955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052A KR102382957B1 (ko) 2020-07-17 2020-07-17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트 차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55313A1 (ko)
KR (1) KR102382957B1 (ko)
WO (1) WO20220149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13989B (zh) * 2021-05-05 2023-09-01 精英電腦股份有限公司 活動式鎖耳及包含其的電子裝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2055U (ja) * 2005-04-28 2005-07-28 クン チン−フウ 電子デバイスのトランスポートロック装置
JP3137476U (ja) * 2007-09-14 2007-11-22 優護國際企業股▲分▼有限公司 コンピュータインターフェースポート用コネクタロック
KR101768190B1 (ko) * 2016-05-26 2017-08-16 (주)컴엑스아이 Usb 포트 잠금장치
KR101961922B1 (ko) 2018-07-05 2019-07-17 (주)컴엑스아이 네트웍 포트 커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웍 포트 락 장치
KR102016580B1 (ko) * 2019-06-11 2019-08-30 (주)컴엑스아이 Qsfp 포트 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202B1 (ko) * 2013-02-01 2014-06-12 안창훈 Usb 포트 잠금장치
KR101865165B1 (ko) * 2017-07-27 2018-06-07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잠금 기능을 가지는 보안 usb 허브
KR102062845B1 (ko) * 2018-06-01 2020-01-06 (주)컴엑스아이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2055U (ja) * 2005-04-28 2005-07-28 クン チン−フウ 電子デバイスのトランスポートロック装置
JP3137476U (ja) * 2007-09-14 2007-11-22 優護國際企業股▲分▼有限公司 コンピュータインターフェースポート用コネクタロック
KR101768190B1 (ko) * 2016-05-26 2017-08-16 (주)컴엑스아이 Usb 포트 잠금장치
KR101961922B1 (ko) 2018-07-05 2019-07-17 (주)컴엑스아이 네트웍 포트 커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웍 포트 락 장치
KR102016580B1 (ko) * 2019-06-11 2019-08-30 (주)컴엑스아이 Qsfp 포트 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4917A1 (ko) 2022-01-20
US20230155313A1 (en) 2023-05-18
KR102382957B1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202B1 (ko) Usb 포트 잠금장치
EP3591770B1 (en) Network port cover module and network port locking device having same
KR101391975B1 (ko) Usb 포트 잠금장치
KR102067747B1 (ko) 랜 케이블 락장치
KR101768190B1 (ko) Usb 포트 잠금장치
KR101475861B1 (ko) 랜 포트락장치
KR102382957B1 (ko)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트 차단장치
KR101883661B1 (ko) Usb 포트 잠금장치
KR102382958B1 (ko) 전자기기의 포트락 해제키
EP3653813B1 (en) Lock with a long-travel deadbolt
US2004017468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ircuit board insertion and removal
KR20190137381A (ko)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
KR102016580B1 (ko) Qsfp 포트 락장치
KR20160067723A (ko)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KR102627959B1 (ko) 전자기기의 포트 차단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포트 차단장치
KR101579470B1 (ko)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KR20180032157A (ko) Usb 케이블 잠금장치
JP2002100434A (ja) コネクタ
JP3737622B2 (ja) 電子機器システム
KR101412724B1 (ko) Usb 포트 잠금장치
US5399109A (en) Quick-release connector module
CN213619494U (zh) 锁定装置
KR0131801Y1 (ko)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KR100500242B1 (ko) 배터리팩의 잠금장치
US6680851B1 (en) Positive latching combination handle and insertion/removal tool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