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222A -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222A
KR20220010222A KR1020200088828A KR20200088828A KR20220010222A KR 20220010222 A KR20220010222 A KR 20220010222A KR 1020200088828 A KR1020200088828 A KR 1020200088828A KR 20200088828 A KR20200088828 A KR 20200088828A KR 20220010222 A KR20220010222 A KR 20220010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ce
product
user terminal
business platform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381B1 (ko
Inventor
공병주
Original Assignee
(주)서영아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영아이앤티 filed Critical (주)서영아이앤티
Priority to KR1020200088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381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가격미정상품에 대한 가격문의 또는 가격설정상품에 대한 가격조정을 위하여 인스턴트 메세지를 전송하고,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에 대한 가격설정 또는 가격조정이 된 상품의 결제링크(URL)를 수신한 후 결제를 진행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스턴트 메세지를 출력하고, 계약조건 및 옵션을 포함하는 계약내용 및 제안가격을 입력하여 결제링크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결제완료 이벤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공급자 단말 및 공급자 단말로부터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업로드받아 게재하는 수신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급자 단말로의 인스턴트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공급자 단말로 인스턴트 메세지를 전송하는 전달부, 공급자 단말에서 계약조건 및 옵션을 포함하는 계약내용 및 제안가격을 기 설정된 입력 프레임 내에 입력하는 경우, 계약내용 및 제안가격으로 결제가 가능한 결제링크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생성부,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링크에서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결제완료 이벤트를 공급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BUSINESS PLATFORM SERVICE USING INSTANT PRICE SETTING AND PAYMENT FOR UNPRICED PRODUCT}
본 발명은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진정상품병행수입에서 가격이 결정되지 않은 서로 다른 서비스에 대한 빠른 가격결정 및 결제가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최근 인터넷을 통해 국내 브랜드의 제품 뿐 아니라 해외 명품도 구매대행 사이트를 통해서 구입하는 것이 유행이 되고 있다. 해외여행과 유학을 통해 외국 브랜드에 익숙해진 소비자들은 국내에 있는 제품을 좀 더 저렴한 가격에 구입하기 위해 혹은 국내에 없는 브랜드를 구매하기 위해 구매대행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고 있다. 또, 수입업자들은 직접 진정상품을 병행수입하여 온라인 쇼핑몰을 통하여 직접 판매하거나 또는 소비자들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해외 직구에 의하여 제품을 구매하고 있는데, 이렇듯 진정상품병행수입이 성행하는 이유는 다국적 기업의 가격차별화정책이나 국가마다 다른 환율정책 등에 의하여 발생된다. 이와 관련하여 파리협약의 속지주의 원칙에 따라 진정상품병행수입을 금지하자는 견해도 있지만, 대부분의 국가들은 국제소진론이나 상표기능론에 입각하여 일정한 경우에 진정상품병행수입을 허용하고 있다.
이때, 진정상품병행수입에 있어서 상품의 A/S 문제나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위조상품판매가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국등록특허 제10-1487430호(2015년02월05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580846호(2015년12월30일 공고)에는, 병행수입품의 정품확인과 A/S를 용이하게 하도록 고유식별코드로 관리하고, 병행수입 상품, 상품 라벨 또는 상품에 연결된 태그에 표시하며, A/S를 위해서는 A/S 사업자 간 역경매 방식으로 고객에게 견적서가 제공되는 구성과, 정품거래 확인데이터로부터 해외공급자 정보, 거래품목정보, 병행수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정품거래인증을 신청하면, 신청된 제품의 DB 상 존재여부를 비교판단하여 인증서나 보증서를 발급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소비자들은 이러한 병행수입품을 저렴하게 구매를 할 수가 있지만, 문제는 그 제품에 하자가 발생한 경우 구매자는 어디에서 A/S를 받아야 하는지의 여부이다. 해외의 상표권자가 국내의 상표권자나 전용사용권자에게 독점수입권을 부여한 경우 그 해당업체는 자신의 비용으로 A/S와 관련된 모든 책임을 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진정상품의 병행수입업체를 통하여 국내에 들어온 제품에 하자가 발생한 경우 독점수입업체는 진정상품의 하자에 대하여 수리, 교환 및 환불 등을 해주지 않는 것이 관례이다. 이에,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A/S 가격이 서로 달라지는 경우 견적을 받아 입찰을 받고 이를 고르는 과정이 너무 길기 때문에 고객은 A/S 의뢰를 하기 전부터 프로세스가 길고 어려운 것에 부담감과 피로감을 느낀다. 따라서, 병행수입품을 수입할 때 또는 수입한 후 발생되는 문제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가격이 고정되지 않거나 고정될 수 없는 서비스에 대하여 가격을 빠르게 확정하고 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격이 미정인 서비스에 대하여 경매나 입찰의 과정없이도 인스턴트 메세지로 빠르게 가격을 제공하고 제공된 가격으로 결제할 수 있는 결제링크를 즉석에서 생성 및 기 설정된 시간 또는 기간만큼 유효하도록 함으로써, 계약의 완결이 빠르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하고, 고객 또한 결정된 가격으로 중개 플랫폼 상 인터넷으로 결제할 수 있으므로 직거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정부도 진정상품병행수입을 장려하고 이에 따라 병행수입업체도 증가하고 또 소비자의 병행수입품 구매도 증가하는 현실에서 하자가 있는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가 적절한 A/S를 받지 못한다는 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다는 점에서 빠른 견적 제공 및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플랫폼을 통하여 제품의 하자나 훼손에 대한 불안감을 제거할 수 있는,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격미정상품에 대한 가격문의 또는 가격설정상품에 대한 가격조정을 위하여 인스턴트 메세지를 전송하고,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에 대한 가격설정 또는 가격조정이 된 상품의 결제링크(URL)를 수신한 후 결제를 진행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스턴트 메세지를 출력하고, 계약조건 및 옵션을 포함하는 계약내용 및 제안가격을 입력하여 결제링크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결제완료 이벤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공급자 단말 및 공급자 단말로부터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업로드받아 게재하는 수신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급자 단말로의 인스턴트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공급자 단말로 인스턴트 메세지를 전송하는 전달부, 공급자 단말에서 계약조건 및 옵션을 포함하는 계약내용 및 제안가격을 기 설정된 입력 프레임 내에 입력하는 경우, 계약내용 및 제안가격으로 결제가 가능한 결제링크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생성부,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링크에서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결제완료 이벤트를 공급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격이 미정인 서비스에 대하여 경매나 입찰의 과정없이도 인스턴트 메세지로 빠르게 가격을 제공하고 제공된 가격으로 결제할 수 있는 결제링크를 즉석에서 생성 및 기 설정된 시간 또는 기간만큼 유효하도록 함으로써, 계약의 완결이 빠르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하고, 고객 또한 결정된 가격으로 중개 플랫폼 상 인터넷으로 결제할 수 있으므로 직거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정부도 진정상품병행수입을 장려하고 이에 따라 병행수입업체도 증가하고 또 소비자의 병행수입품 구매도 증가하는 현실에서 하자가 있는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가 적절한 A/S를 받지 못한다는 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다는 점에서 빠른 견적 제공 및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플랫폼을 통하여 제품의 하자나 훼손에 대한 불안감을 제거할 수 있어 고객의 감성 품질까지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공급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공급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진정상품병행수입에서 전파인증을 요청하거나, 병행수입품의 A/S를 요청하거나 위조상품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인증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전파인증이란 전파환경 및 방송통신망 등에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기자재와 중대한 전자파장해를 주거나 전자파로부터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받을 정도의 영향을 받는 기자재에 대한 인증을 받는 것인데, 전파인증제도는 전파환경, 방송통신 인프라 및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졌고 이에 따른 인증을 받아야 국내로 반입 및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진정상품병행수입을 하는 수입업자가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전파인증을 받아야 국내 반입 및 판매가 가능해지는데 이의 절차나 통과를 위한 제반 업무를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수입업자가 아닐지라도 동일한 제품을 2 개 이상 반입하는 경우에 전파인증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를 요청하는 사용자는 수입업자에 한하지 않는다. 상술한 3 가지의 서비스는 각 제품이나 상황 또는 상태마다 달라지기 때문에 가격이 설정되지 않은 서비스이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지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에게 이를 문의 및 가격을 확정한 후 서비스 제공을 의뢰해야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인스턴트 메세지로 공급자 단말(400)과 연결되어 서비스 가격을 문의 또는 조정하고 이에 대한 결제링크가 공급자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경우 유효기간 또는 유효시간 내에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결제링크에는 계약내용, 옵션 및 가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자 단말(400)로부터 공급할 서비스의 종류, 옵션 등의 상세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페이지에 게재되도록 업로드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호 태그를 선택하는 경우, 태그에 대응하는 공급자 단말(400)의 서비스나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스턴트 메세지로 공급자 단말(400)로 가격 문의를 하는 경우, 공급자 단말(400)에서 계약내용 & 옵션 박스와 가격 박스를 채우기만 하면 계약내용, 옵션 및 가격으로 결제할 수 있는 결제링크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공급자 단말(400)에게 알리고, 공급자 단말(400)의 서비스 제공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알려주는 서버일 수 있고, 공급자 단말(400)로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정산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급자 단말(400)이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선호 태그에 대응하는 콘텐츠나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되도록 피드(Feed)를 공급하는 구독(Subscribe)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급자 단말(400)에서 대용량 업로드가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급자 단말(400)은,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서비스 공급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는, 진정상품병행수입품의 전파인증, A/S(수선 포함), 위조상품여부를 인증하는 서비스일 수 있으나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 않고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공급자 단말(400)은,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이미지, 사진, 텍스트 및 동영상으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 적어도 하나의 공급자 단말(400)은 서비스가 제공되는 상황, 예를 들어, 명품가방을 수선하는 공급자라고 가정하면 명품가방을 수선하는 과정을 촬영하여 콘텐츠로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도 있고, 위조상품여부를 확인하는 공급자라고 가정하면, 위조상품을 판별할 수 있는 검증과정을 촬영하여 콘텐츠로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이때, 공급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인스턴트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계약내용, 옵션 및 가격을 입력하여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결제링크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공급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를 완료한 경우 서비스 제공을 시작하고, 완료된 경우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정산을 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공급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공급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급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전달부(320), 생성부(330), 전송부(340), 맞춤화부(350), 대용량전송부(360), 라이브러리부(370), 구독관리부(380), 추천필터부(390) 및 실시간중계부(3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급자 단말(400)로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급자 단말(400)은,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급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 이전에, 진정상품병행수입에 대한 문제점 및 배경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개념들은 도 2를 설명하면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이때, 병행수입이란 해외상표권자의 생산·유통되는 제품(상표가 외국에서 적법하게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자에 의하여 부착·배포된 상품에 한정한다)을 국내 전용사용권자가 아닌 제3자가 판매를 목적으로 수입하는 것(법률 제15338호)이다. 여기서의 진정상품은 상표가 외국에서 적법하게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자에 의하여 부착되어 배포된 상품을 말한다.
이러한 진정상품병행수입이 발생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국내와 외국에서의 제품의 가격 차이 때문이다. 이러한 가격 차이는 다국적 기업들이 의도적으로 국가마다 다른 가격차별정책을 사용하기도 하고, 또 국가마다 다른 환율정책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한다. 따라서 진정상품병행수입을 인정하는 긍정적인 효과로는 병행수입으로 인하여 국제적인 가격 격차가 해소될 수 있고, 또 소비자들은 필요에 따라 제품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반면에 진정상품병행수입을 인정하는 부정적인 효과로는 상표권자나 상표권의 전용사용권자의 권리가 약화되고, 병행수입업자가 상표권자와 상표권의 라이선스계약을 하지 않고 단지 상표권자의 명성에 무임승차를 하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각 국가들은 자국의 이익을 위하여 진정상품병행수입의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한국의 상표법은 진정상품병행수입을 허용할 것인지와 관련하여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고, 이를 학설 및 판례에 맡기고 있다. 즉, 상표법은 진정상품병행수입을 상표법의 목적과 상표의 기능에 따라 판단하도록 하는 원칙론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다만, 관세청이나 공정거래위원회는 일정한 경우에 진정상품병행수입이 상표권 침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규정을 둠으로써 진정상품병행수입을 허용하고 있다. 또한, 공정거래위원회는 병행수입에 있어서의 불공정거래행위의 유형고시를 통하여 진정상품병행수입은 독점수입권자 외의 제3자가 다른 유통경로를 통하여 진정상품을 수입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경쟁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지니는 것이므로 이를 부당하게 저해하는 경우에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된다고 규정함으로써 진정상품병행수입을 원칙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진정상품병행수입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크게 3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첫 번째는 병행수입업자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하여 진정상품을 판매하는 경우 온라인 쇼핑몰에서 병행수입업자의 판매행위가 부정경쟁방지법상 부정경쟁행위에 해당되는지가 문제가 되는지이고, 두 번째는 병행수입품의 A/S 문제이며, 세 번째는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위조상품 판매 문제이다. 첫 번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몰에서 진정상품병행수입품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논외로 한다.
두 번째는 병행수입품의 A/S 문제인데, 진정상품병행수입은 일정한 경우에 허용이 되고, 또 이러한 수입품의 광고행위도 매장 내부 간판, 포장지 및 쇼핑백, 선전광고물에 하는 것은 영업표지로서의 기능이 아니므로 부정경쟁방지법상 부정경쟁행위가 아니라고 본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이러한 병행수입품을 저렴하게 구매를 할 수가 있다. 문제는 그 제품에 하자가 발생한 경우 구매자는 어디에서 A/S를 받아야 하는지의 여부이다. 해외의 상표권자가 국내의 상표권자나 전용사용권자에게 독점수입권을 부여한 경우 그 해당업체는 자신의 비용으로 A/S와 관련된 모든 책임을 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진정상품의 병행수입업체를 통하여 국내에 들어온 제품에 하자가 발생한 경우 독점수입업체는 진정상품의 하자에 대하여 수리, 교환 및 환불 등을 해주지 않는 것이 관례이다. 정부는 진정상품병행수입을 장려하고, 그러므로 이러한 병행수입업체도 증가하고, 또 소비자들의 병행수입품 구매도 증가하는 현실에서, 하자가 있는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가 적절한 A/S를 받지 못한다는 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다. 그러므로 진정상품병행수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여러 단체들은 품목별 A/S 센터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도 이와 관련된 명확한 규정을 둘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특허인 한국등록특허 제10-1487430호(2015년02월05일 공고)에서는 서비스 제공을 하는 공급자가 경매방식으로 입찰을 함으로써 진정상품병행수입품에 대한 A/S를 진행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세 번째는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위조상품 판매인데, 병행수입업자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하여 진정상품을 판매하는 경우, 그 병행수입업자가 자체적으로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기도 하지만, 이들은 영세하기 때문에 G마켓이나 옥션과 같은 오픈마켓을 통하여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병행수입품이 진정상품이 아닌 위조상품인 경우와 오픈마켓에서 위조상품이 판매되는 경우의 책임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유통 및 판매를 전담하는 업체들은 수입업체로부터 제품을 공급받아서 판매를 하는데, 그 수입업체가 위조상품을 공급한 경우 진정상품인줄 알고 이를 구매한 소비자들은 피해를 입게 된다. 국내의 판매업체가 수입업체가 제시한 확인증 검사 외에 제대로 된 물품검수를 하여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오픈마켓에서의 판매가 문제인데, 여기서의 판매가 진정상품인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지만, 위조상품인 경우에 문제가 발생한다. 즉, 오픈마켓에서 위조상품이 판매된 경우 그 판매업자가 책임을 지는 것은 당연하지만, 소비자의 입장에서 보면 그 판매업자는 영세업자이고 또 소비자는 오픈마켓의 명성을 보고 제품을 구매하였기 때문에 오픈마켓 운영자도 이에 대한 책임이 있는지의 여부가 문제가 된다. 히노끼 사건에서 법원은 오픈마켓 운영자와 판매자 사이에 객관적 행위 공동성을 인정할 만큼 직접적이고 밀접하게 기여하였다거나 침해행위를 유발하였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오픈마켓 운영자의 공동불법행위책임을 인정하지 않았으나, 오픈마켓 운영자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상표권 침해행위를 방지하고 중단해야 할 법령상, 조리상의 작위의무가 있으므로 판매중단 조치 외에 판매정보 삭제등의 기술적 조치를 충분히 취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오픈마켓 운영자에게 부작위에 의한 방조책임이 있다고 판시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이 계속 발생하자, 아디다스 사건에서 대법원은 부작위에 의한 방조자로서의 공동불법행위 책임을 명시하였다. 즉, 오픈마켓 운영자가 제공하는 인터넷 게시공간에 게시된 상표권 침해 게시물의 불법성이 명백하고, 오픈마켓 운영자가 위와 같은 게시물로 인하여 상표권을 침해당한 피해자로부터 구체적ㆍ개별적인 게시물의 삭제 및 차단 요구를 받거나 피해자로부터 직접적인 요구를 받지 않았다하더라도 그 게시물이 게시된 사정을 구체적으로 인식하였거나 그 게시물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었음이 외관상 명백히 드러나고, 나아가 기술적, 경제적으로 그 게시물에 대한 관리ㆍ통제가 가능한 경우에는 오픈마켓 운영자에게 그 게시물을 삭제하고 향후 해당 판매자가 위 인터넷 게시공간에서 해당 상품을 판매할 수 없도록 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오픈마켓 운영자가 이를 게을리하여 게시자의 상표권 침해를 용이하게 하였을 때에는 위 게시물을 직접 게시한 자의 행위에 대하여 부작위에 의한 방조자로서 공동불법행위책임을 진다는 것이다. 또한, 대법원은 오픈마켓 운영자가 등록된 상품정보만으로 그 상품이 위조상품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고, 정교하게 제조한 위조상품인 경우 실물로도 확인이 쉽지 않고, 매일 새로 등록되는 대량의 상품을 일일이 확인하여 특정 상표가 사용된 상품이 위조상품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오픈마켓 운영자의 방조책임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를 위하여,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 제10-1572943호(2015년12월01일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1580846호(2015년12월30일 공고), 한국공개특허 제2019-0127573호(2019년11월13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20-0004972호(2020년01월15일 공개)를 통하여 위조상품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품 인증 시스템을 구축했다.
상술한 개념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공급자 단말(400)로부터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업로드받아 게재할 수 있다. 이때,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상품의 A/S, 인증 서비스 및 비지니스 제공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개념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전달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공급자 단말(400)로의 인스턴트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공급자 단말(400)로 인스턴트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가격미정상품에 대한 가격문의 또는 가격설정상품에 대한 가격조정을 위하여 인스턴트 메세지를 전송하고, 공급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인스턴트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인스턴트 메세지는, 일대일 대화 및 그룹 대화를 위한 채팅창에서 송수신될 수 있다.
생성부(330)는, 공급자 단말(400)에서 계약조건 및 옵션을 포함하는 계약내용 및 제안가격을 기 설정된 입력 프레임 내에 입력하는 경우, 계약내용 및 제안가격으로 결제가 가능한 결제링크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에 대한 가격설정 또는 가격조정이 된 상품의 결제 URL은, 기 설정된 시간 또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유효한 URL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4시간 동안만 가능하며 그 이후가 되는 경우 결제를 요청한다고 할지라도 그 가격과 서비스(계약사항, 옵션 등)를 제공받으려고 해도 결제가 불가능한 URL일 수 있다. 결제를 빨리 진행시켜 견적서가 왕복되고 진행되는 과정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때, 계약내용이나 옵션은 이후 서비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지연되거나 하는 등의 분쟁이 발생했을 때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약내용, 옵션 및 가격을 스마트 컨트랙트로 저장하여 이후 서비스가 완료된 후에 자동으로 정산이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스스로 이행이 되는 자동화된 약정(Automated Self-Enforced Agreements)으로 계약의 성립과 이행이라는 두 과정을 블록체인 기술에 의해 하나로 합친 개념이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기술적 개념은 거래기록이 분산되어 저장되고 탈중앙화하여 공유되며, 복제된 원장이 작동 및 보관됨과 동시에 다시 그 원장에 자산의 이전을 지시하는 사건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일종(Event-Driven Program)이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법적으로 ① 2 명 이상의 당사자가 있어야 하고, ② 일방 당사자로부터 다른 당사자로의 자산이전과 관련되고, ③ 그 이행(Implementation)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일단 계약이 개시(Initiated)된 이후에는 인간의 개입이 요구되지 않는 계약개념이다. 이러한 면에서 살펴보면 계약법적 요소로서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알고리즘 계약의 일종인데, 알고리즘 계약에서는 일방 당사자 또는 쌍방 모두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약의 체결 여부 및 조건을 결정하기로 약속한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인간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당사자의 신뢰를 중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약의 가장 큰 약점이라 할 수 있는 계약의 불이행 문제가 상대방의 신용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래밍된 조건의 성취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소위 조건부 계약(Conditional Nature)의 일종이다. 따라서 스마트 컨트랙트에서는 조건 성취 여부를 해석, 판단, 평가하는 것이 법적으로 중요한 쟁점이 되고, 조건의 설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3자 관계에 근거하여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트랜잭션(Transaction)은, ① 프로그래밍 코드 작성, ② 코드 서명, ③ 블록체인 저장, ④ 거래실행 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와 그 결과는 트랜잭션에 포함되어 체인으로 연결된 블록(Block)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모든 참여자가 거래정보를 공유하게 되며, 거래내역과 계약내용은 추가나 변경 없이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에 상호 독립적으로 보관된다. 여기서 참여자들은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만들어진 지갑 주소(Wallet address)를 블록체인과 연동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전자서명을 하게 된다.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은 계약의 수행을 네트워크상에서 실행하거나 입증이 쉽고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컴퓨터 프로토콜(Protocol)이므로, 이후 분쟁이 발생했을 때 양 당사자를 중재해야 하는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는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전송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링크에서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결제완료 이벤트를 공급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에 대한 가격설정 또는 가격조정이 된 상품의 결제링크(URL)를 수신한 후 결제를 진행할 수 있고, 공급자 단말(400)은, 계약조건 및 옵션을 포함하는 계약내용 및 제안가격을 입력하여 결제링크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결제완료 이벤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맞춤화부(350)는,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을 업로드할 때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태그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태그를 선택하거나 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키워드 또는 선택된 태그에 대응하는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이 배치되도록 페이지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어 임베딩(Embedding)을 이용할 수 있다. Word2vec은 한 문장 내에서 단어의 등장 빈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어 자체가 가지는 의미를 다차원 벡터 공간에 임베딩하는 모델이다. NNLM(Neural Net Language Model)을 기반으로 하여 대량의 문서 말뭉치(corpus)를 빠르게 학습하여 처리할 수 있다. 학습 방식은 주변 단어를 이용하여 중간 단어를 예측하는 방법인 CBOW(Continuous Bag of Word)와 중간에 있는 단어를 이용하여 주변 단어를 예측하는 Skip-Gram 방식이 있다. 이처럼 학습을 통해 단어의 문맥적 의미를 수치적으로 보존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각 단어들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거나 수치적으로 쉽게 다룰 수 있다. 단어들을 임베딩한 경우에도 각 태그를 특정 단어 하나만으로 나타내는 경우, 단어와 태그 간 유사도가 정확하게 계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어떤 유사도 측정 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분류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word2vec의 결과로 나온 단어 벡터들을 사용하여 단어와 각 태그 간의 유사도를 효과적으로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태그-단어 간 유사도는 유클리디안 유사도, 코사인 유사도, 확장된 자카드 유사도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과 동일하므로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대용량전송부(360)는, 공급자 단말(400)에서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을 업로드할 때 대용량 파일을 전송하는 대용량 파일 전송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대용량전송부(360)는 이하의 라이브러리 구축을 위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 기반으로 새로 업로드된 파일을 기계 학습 기반의 분류 기법을 적용하여 파일을 폴더로 자동으로 배치해줄 수도 있다. 일차적으로 파일 분류는 새로 업로드된 파일의 이름, 확장자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이후 확장자별로 세분화된 속성(Feature)을 고려한 기계 학습을 통해 파일을 분류할 수 있다. User Access Service는 스토리지 사용자가 접근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Identity Service는 고유 식별 키를 이용하여 스토리지 사용자들과 스토리지의 역할을 인증하고 결정하는 서비스이고, Storage Service는 스토리지 인스턴스를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File Classification Service는 기계 학습을 적용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에서 파일의 이름, 확장자, 속성에 따라 자동으로 파일을 분류해주는 서비스이다. Operation Support Service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서 사용 및 유지되는 자원, 정책, 계약 등을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이때, File Classification Service는 기계 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새로업로드된 파일을 자동으로 분류하고 분류 결과에 따른 폴더에 저장해 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File Classification Service는 기계 학습 기법으로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기법을 이용하며, 기존에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의 정보를 Training Data로 사용할 수 있다. 지도 학습을 위해서 Training Data의 속성을 추출하고 이를 참조하여 파일을 분류할 수 있으므로, 클라우드 스토리지 사용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파일 종류를 미리 정의할 수 있고(인간의 개입이 요구됨), 또한 파일 종류별로 어떤 속성을 Training Data의 Feature Set으로 사용할 것인지를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Training Data를 이용하여 학습 모델을 생성하고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새롭게 업로드된 파일을 학습 모델에 입력하여 자동적인 파일 분류를 수행할 수 있는데, 분류 결과인 Target Class는 폴더 이름이며, 분류 결과로 폴더 이름이 나오면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자동으로 해당 폴더로 파일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학습이 끝나면 학습 모델에 새로 업로드된 파일의 정보를 입력하여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부(370)는, 대용량 파일 전송 플랫폼으로 업로드된 공급자 단말(400)의 대용량 파일은 기 구비된 라이브러리에 유형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라이브러리부(370)는 대용량 파일을 관리하기 위하여 하둡 분산 파일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하둡 분산 파일시스템(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이하 HDFS)을 이용할 수 있다. HDFS는 하둡을 구성하는 코어 프로젝트 중 하나로, 범용 하드웨어로 구성된 클러스터에서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파일시스템이다. HDFS는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마스터 역할을 하는 네임노드와 슬레이브 역할을 하는 데이터노드 두 종류로 구성되는 클러스터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네임노드는 파일시스템의 네임스페이스를 관리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데이터 접근을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주어진 파일에 대한 데이터 블록을 가지는 데이터노드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노드는 실제 데이터 블록을 저장하는 노드로, 클라이언트나 네임노드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 블록을 저장 및 탐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블록에 대한 정보를 네임노드에 주기적으로 보고하여 네임노드가 데이터 블록의 위치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노드에서의 데이터 읽기/쓰기는 블록 단위로 이루어지며, 블록은 기본 128MB로 디스크 블록에 비해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에서 디스크 탐색 시간의 비용을 줄이기 위함이다. 범용 하드웨어의 사용을 가정하여 설계된 하둡은 데이터의 내고장성을 보장하기 위해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여러 데이터 노드에 복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블록 복제본의 수는 Replication Factor로 설정된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기본적으로는 세 개의 복제본을 가질 수 있다. 이때, HDFS는 세 개의 복제본을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첫 번째 복제본은 로컬 랙의 노드에 저장하며, 두 번째 복제본은 첫 번째 복제본과 같은 랙의 다른 데이터노드에, 그리고 마지막 복제본은 다른 랙의 데이터노드에 저장할 수 있다. 하나의 데이터 노드의 하드웨어 실패의 확률에 비해 랙의 하드웨어 실패의 확률은 매우 낮기 때문에 HDFS에서는 위의 방식으로 블록 복제본을 위치시킴으로써 분산 파일시스템의 내고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HDFS는, 플래시 메모리 저장장치 사용의 증가, 자주 접근되지 않는 데이터를 위한 아카이브 저장소의 필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이종 저장장치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카이브(ARCHIVE), DISK, SSD, RAM_DISK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저장장치는 서로 구분되는 특징을 보이는데, 아카이브 저장소로 이용되는 저장장치는 데이터 접근속도가 느리지만 단위 가격 당 저장 용량이 크다는 것, SSD는 하드디스크에 비해 빠른 읽기/쓰기 성능을 보이며 특히 임의 데이터 접근 속도가 하드디스크에 비해 매우 빠른 특징을 보일 수 있다. HDFS에서는 각 저장장치의 특징을 잘 활용하기 위하여 이종 저장장치 환경에서 데이터 복제본이 저장될 저장장치를 결정하는 여섯 가지의 정책을 이용할 수 있으며, HDFS의 파일 또는 디렉토리 단위로 사용할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여섯 가지 정책 중 기본값(디폴트)으로 설정되어 있는 Hot 정책은 모든 데이터 복제본을 DISK에 저장하는 정책이다. Cold 정책은 모든 데이터 복제본을 ARCHIVE에 저장하는 정책으로 더 이상 이용되지 않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정책이다. Warm 정책은 하나의 복제본은 DISK에 저장하고 나머지 복제본은 ARCHIVE에 저장하는 정책으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와 접근되지 않는 데이터가 함께 있을 경우를 위한 정책이다. Lazy_Persist는 하나의 복제본을 RAM_DISK에 저장하고 나머지 복제본을 DISK에 저장하는 정책이다. Lazy_Persist는 Replication Factor가 1일 때 효과적으로 동작하지만 2 이상일 때에는 DISK에 데이터 블록이 쓰이는 것을 기다려야하기 때문에 많은 성능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All_SSD는 모든 복제본을 SSD에 저장하는 정책이며, One_SSD는 하나의 복제본을 SSD에 저장하고 나머지 복제본을 DISK에 저장하는 정책이다. 상술한 정책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실시예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가능한 정책은 상술한 정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독관리부(380)는, 복수의 공급자 단말(400)로부터 사진, 이미지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업로드받아 게재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독(Subscribe)을 신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피드(Feed)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공급자 단말(400)은 서로 다른 주체에 귀속되는 복수의 공급자 단말(400)일 수 있다.
추천필터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에 관심없음으로 표시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추천하는 콘텐츠 리스트에서 관심없음이 표시된 콘텐츠와 동일 또는 유사한 콘텐츠는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A 공급자 단말(400)에서 업로드된 "명품백 수선 전후 극적인 변화!"라는 콘텐츠에 좋아요, 공유하기, 관심없어요 등의 자신의 반응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관심없어요로 표시된 콘텐츠와 유사 또는 동일한 콘텐츠를 더 이상 추천하지 않음으로써 추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데, 여기서, "명품백"에 관심이 없는 것인지 또는 공급자인 명품백 수선자가 싫은 것인지까지 디테일하게 구분하여 전자의 경우 명품백과 관련된 동영상을 모두 제거하도록 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명품백 수선자인 A의 동영상을 추천 리스트에서 모두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선호도 기반 추천 시스템은 최적의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기 위해 사용자 행동분석, 평가분석, 상품 분류 카테고리 분석 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지만, 상품 특성을 반영하는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카테고리와 키워드로서 상품의 본질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텍스트 문서와 같은 콘텐츠 추천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자 선호도와 문서의 유사도를 동시에 고려하는 협업 필터링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서비스는 주로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와 개인 선호도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그러나 한정된 키워드만을 이용한 아이템 유사도를 분석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인간의 개입 없이 시스템에 의해 동영상의 특징을 있는 그대로 파악하고, 동영상간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추천하는 플랫폼을 이용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각 동영상으로부터 차별화된 의미를 갖는 모든 단어인 형태소를 추출하고, 이러한 형태소를 기반으로 유사도를 분석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빅데이터 클러스터에서 추출된 형태소를 이용하여 동영상간의 유사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문제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추출한 형태소를 기반으로 각각의 동영상을 여러 개의 부분영상인 클립(clip)으로 분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추천필터부(390)는 빅데이터 처리 클러스터에서 동작하며, 형태소 추출 모듈, 형태소 빈도 측정 및 랭킹화 모듈, 클립(Clip) 생성 모듈, 유상 영상 색인 모듈 그리고 색인 기반 추천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형태소 추출 모듈에서는, 첫 번째로 공급자 단말(400)에서 업로드한 동영상으로부터 동영상의 모든 음성을 문자화하여 의미 있는 단어인 형태소로 분리해 낸다. 실제 의미가 부여되어 있는 한자의 경우나 단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영어의 경우 난이도가 높지 않은 반면, 한글의 경우 다양한 조사, 형용사, 부사 등과 의미를 가진 단어로 구성되어 추출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 의미론적 형태소 분석 모듈을 기초로 하며, 주로 공백을 구분자로하여 형태소 분석을 하지만, 형용사와의 조합 추출, 부사의 결합 방법과 한나눔을 활용하여 형태소를 분석하고 처리할 수 있다.
두 번째로, 형태소 빈도 측정 및 랭킹화 모듈을 구동하는데, 전술한 형태소 분석 모듈이 생성한 동영상의 형태소는 대용량이며, 개방형 동영상 공유 플랫폼에는 무수히 많은 동영상이 실시간적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하둡보다는 실시간 처리와 반복 계산에 유리한 스파크를 빅데이터 처리 플랫폼을 활용하여 각 형태소의 빈도수를 측정하고 내림차순으로 랭킹화 할 수 있다. 스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는 구조는 [형태소, 빈도수] 형태의 KV 구조를 가지며, 각 동영상 별로 빈도수를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며, 키워드 기반 검색의 효율성을 위해 각 형태소별로 랭킹할 수 있다. 세 번째로 클립 생성 모듈은, 형태소 분석 모듈과 빈도 측정 및 랭키화 모듈의 결과물을 이용하여 새롭게 유입되는 동영상을 여러 개의 의미 있는 부분 동영상인 클립(Clip)을 생성할 수 있다. 클립별로 유사도를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시한 검색 키워드에 최적화된 보다 세분화된 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반드시 필요한 부분만을 검색할 수 있게 한다.
각 클립은 예를 들어, [클립ID, 동영상ID, 동영상내의 시간 위치]의 스키마가 구성될 수 있다. 클립은 연속된 샷의 집합으로 정의하고, 샷은 중단 없이 촬영된 영상을 의미하며, 샷의 시작은 급격히 바뀌는 영상 프레임 또는 장면전환 효과가 포함된 프레임일 수 있다. 클립을 생성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인접한 샷 간의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샷을 통합한다. 만약 인접한 샷의 유사도가 떨어지면 새로운 샷을 구성한다. 이렇게 유사도가 떨어지는 샷은 다른 주제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때 샷 간의 유사도는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ularity)을 기본으로 하나, 유클라디안 거리나, k-이웃 등을 이용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렇게 클립을 클러스터링으로 생성했으면, 모든 동영상은 복수의 클립으로 이루어지고, 동영상 공유 시스템에서는 새로운 분야의 새로운 동영상이 끊임없이 유입되므로, 이렇게 유입된 동영상도 사용자의 질의에 반영되어야 한다. 하지만, 새로운 동영상과 기존의 수많은 동영상과의 유사도를 항상 재계산해야 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 키워드 형태소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가변적이라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하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각 클립간의 유사도 색인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의 검색에 빠른 응답을 보장하고, 더 나아가 현재 시청중인 동영상과 가장 유사한 동영상을 빠르게 추천할 수 있다.
실시간중계부(391)는, 공급자 단말(400)에 카메라가 연동되고, 공급자가 제공하는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이 수선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의뢰가 진행되는 동안 공급자 단말(400)을 경유하여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실시간중계부(391)는 QoE(Quality of Experience)를 보장하기 위하여 HTTP 적응적 스트리밍(HTTP Adatptive Streaming)을 이용할 수 있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을 위해 실시간중계부(391)는, 공급자 단말(400)에서 촬영한 동영상을 다양한 품질을 가지도록 세그먼트 형태로 인코딩할 수 있다. 세그먼트와 동영상에 관한 정보는 실시간중계부(391)에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실시간 스트리밍을 시작 시에 실시간중계부(391)로 MPD 파일을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MPD 파일에 기술된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와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세그먼트를 요청한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은 요청할 비디오 세그먼트의 품질을 네트워크 상황에 맞춰 적응적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HTTP 적응적 스트리밍에서 대역폭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할 경우 다음 세그먼트를 요청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실제 대역폭보다 더 크게 대역폭을 예측하였을 경우 네트워크 상황에 맞는 품질보다 더 높은 품질의 세그먼트를 다운로드하여 버퍼 소모량이 증가하고 재생 끊김의 확률이 증가한다. 대역폭을 실제 대역폭 보다 더 작게 예측하였을 경우 요청 가능한 품질보다 낮은 품질의 세그먼트를 다운로드하게 되어 대역폭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 대역폭이 빈번하게 변하는 경우 불필요한 품질 변경이 발생하여 QoE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의 QoE 향상을 위한 변동 패턴 인지형 대역폭 예측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인스턴트 메세지가 송수신되고 결제링크가 생성되기 위한 채팅 플랫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고객은 레고에 대한 전파인증을 받고자 하고 공급자는 바로 전파인증에 필요한 가격을 제시하며 도 3b에 입력한 후 결제링크를 바로 생성하여 고객에게 제시한다. 이때 도 3a와 도 3b는 크기의 제한으로 잘린 것일 뿐, 도 3a가 좌측 도 3b가 우측에 포함된 하나의 페이지이다. 전파인증의 과정이 길고 복잡하며 돈이 많이 듦에도 불구하고 이를 수행해줄 사람을 찾는 것 또한 어려운 일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진정상품병행수입과정 및 수입한 후에 필요한 서비스를 중개해주고 이에 대한 계약이 빠르게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하나의 페이지에서 이탈없이 심리스하게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페이지가 구성될 수 있고, 도 4b와 같이 각 상품이나 서비스는 주문(Order)하거나 요청(Request)할 수 있도록 하고, 도 4c와 같이 고정가격의 경우 바로 주문을 하면 되지만, 가격이 협의가 필요한 경우에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견적을 바로 받아보고 결제를 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d를 보면 어떠한 서비스를 요청할 것인지를 선택하고 보내기(Send) 버튼만 누르면 요청은 모두 완료된 것이다. 도 4e를 보면, 이 페이지를 공유할 것인지, 저장할 것인지 또는 관심이 없어서 제거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도 4f를 보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자신이 원하는 관심 분야를 태그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g를 보면, 진행중인 프론토(여보세요라는 뜻)에는 상품 일대일 대화, 그룹대화 등 다양한 종류의 인스턴트 대화가 카테고리로 구분되어 나열되며, 도 4h가 바로 도 3a 및 도 3b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 레이아웃이다. 인스턴트 메세지의 종류는 도 4i와 같이 일반 메세지, 메세지 + 첨부파일, 메세지 + 테스트로 나누어지며, 도 3a에서 파일첨부도 가능하도록 도 4j와 같이 파일첨부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고 다양한 플랫폼과도 연동이 가능하다. 도 4k를 보면 진정상품병행수입된 물품이 정품인지의 여부, 또는 다른 전파인증, KC 인증 등의 다양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도 4l과 같이 팔로잉, 팔로워를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공급자의 서비스나 콘텐츠를 피드로 받아볼 수도 있고 그 결과는 도 4m과 같다. 이때, 사용자 단말 또는 공급자 단말에서 팔로워 또는 팔로잉과 같은 소셜미디어 기능을 통하여 상호간 대상을 그룹핑하고 소식을 수신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플랫폼에 기반할 수 있다.
도 4n은 각 사용자가 자신의 관심분야를 설정하고 확인하는 나의페이지이며, 도 4o는 자신이 구매한 서비스의 배송상황이나 처리사항 등을 알 수 있는 페이지이다. 도 4p와 같이 복수의 소셜미디어와 연동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공급자 단말로부터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업로드받아 게재하고(S5100),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급자 단말로의 인스턴트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공급자 단말로 인스턴트 메세지를 전송한다(S5200).
그리고,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공급자 단말에서 계약조건 및 옵션을 포함하는 계약내용 및 제안가격을 기 설정된 입력 프레임 내에 입력하는 경우, 계약내용 및 제안가격으로 결제가 가능한 결제링크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S5300),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링크에서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결제완료 이벤트를 공급자 단말로 전송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가격미정상품에 대한 가격문의 또는 가격설정상품에 대한 가격조정을 위하여 인스턴트 메세지를 전송하고, 상기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에 대한 가격설정 또는 가격조정이 된 상품의 결제링크(URL)를 수신한 후 결제를 진행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스턴트 메세지를 출력하고, 계약조건 및 옵션을 포함하는 계약내용 및 제안가격을 입력하여 상기 결제링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결제완료 이벤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공급자 단말; 및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업로드받아 게재하는 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공급자 단말로의 인스턴트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공급자 단말로 상기 인스턴트 메세지를 전송하는 전달부, 상기 공급자 단말에서 계약조건 및 옵션을 포함하는 계약내용 및 제안가격을 기 설정된 입력 프레임 내에 입력하는 경우, 상기 계약내용 및 제안가격으로 결제가 가능한 결제링크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결제링크에서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상기 결제완료 이벤트를 상기 공급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에 대한 가격설정 또는 가격조정이 된 상품의 결제 URL은, 기 설정된 시간 또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유효한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상품의 A/S, 인증 서비스 및 비지니스 제공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을 업로드할 때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태그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태그를 선택하거나 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상기 키워드 또는 선택된 태그에 대응하는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이 배치되도록 페이지를 재구성하는 맞춤화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공급자 단말에서 상기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을 업로드할 때 대용량 파일을 전송하는 대용량 파일 전송 플랫폼을 제공하는 대용량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대용량 파일 전송 플랫폼으로 업로드된 상기 공급자 단말의 대용량 파일은 기 구비된 라이브러리에 유형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라이브러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단말은 서로 다른 주체에 귀속되는 복수의 공급자 단말이고,
    상기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복수의 공급자 단말로부터 사진, 이미지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업로드받아 게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독(Subscribe)을 신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피드(Feed)로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는 구독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에 관심없음으로 표시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콘텐츠 리스트에서 상기 관심없음이 표시된 콘텐츠와 동일 또는 유사한 콘텐츠는 제거하는 추천필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공급자 단말에 카메라가 연동되고, 공급자가 제공하는 가격미정상품 또는 가격설정상품이 수선 서비스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의뢰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공급자 단말을 경유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하는 실시간중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메세지는, 일대일 대화 및 그룹 대화를 위한 채팅창에서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공급자 단말에서 팔로워 또는 팔로잉과 같은 소셜미디어 기능을 통하여 상호간 대상을 그룹핑하고 소식을 수신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088828A 2020-07-17 2020-07-17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86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828A KR102586381B1 (ko) 2020-07-17 2020-07-17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828A KR102586381B1 (ko) 2020-07-17 2020-07-17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222A true KR20220010222A (ko) 2022-01-25
KR102586381B1 KR102586381B1 (ko) 2023-10-06

Family

ID=8004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828A KR102586381B1 (ko) 2020-07-17 2020-07-17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38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863A (ko) * 2004-03-11 2005-09-15 (주)프로젝트팩토리 메신저를 이용한 인터넷 상에서의 실시간 상품흥정 거래방법
KR20060070862A (ko) * 2004-12-21 2006-06-26 토브시스템주식회사 알피지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20110075259A (ko) * 2009-12-28 2011-07-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용자 선호와 평가를 반영한 음악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온라인 음악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40141926A (ko) * 2013-06-03 2014-12-11 양진호 멀티미디어 파일의 업로드 장치 및 방법
KR20170097075A (ko) * 2014-12-19 2017-08-25 페이스북, 인크. 피어-투-비즈니스 결제의 전송 및 수신의 용이화
KR20190093384A (ko) * 2018-02-01 2019-08-09 (주)파밍봇 서비스 서버, 이를 포함하는 sns 방식 상품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863A (ko) * 2004-03-11 2005-09-15 (주)프로젝트팩토리 메신저를 이용한 인터넷 상에서의 실시간 상품흥정 거래방법
KR20060070862A (ko) * 2004-12-21 2006-06-26 토브시스템주식회사 알피지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20110075259A (ko) * 2009-12-28 2011-07-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용자 선호와 평가를 반영한 음악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온라인 음악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40141926A (ko) * 2013-06-03 2014-12-11 양진호 멀티미디어 파일의 업로드 장치 및 방법
KR20170097075A (ko) * 2014-12-19 2017-08-25 페이스북, 인크. 피어-투-비즈니스 결제의 전송 및 수신의 용이화
KR20190093384A (ko) * 2018-02-01 2019-08-09 (주)파밍봇 서비스 서버, 이를 포함하는 sns 방식 상품 거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381B1 (ko)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achandran et al. Towards a decentralized data marketplace for smart cities
US8635169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generated video reviews
US8615474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generated video reviews
US20190279241A1 (en) Content-based mining via blockchain
CA3080637C (en) Video streaming playback system and method
US8719075B2 (en) System, program product, and methods for online image handling
US20130291126A1 (en) Electronic Document Delivery, Display, Updating, and Interaction Systems and Methods
US11445260B2 (en) Video streaming playback system and method
US20110099083A1 (en) Online video marketplace
KR102197695B1 (ko) 콘텐츠 저작권의 상업적 이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4765B1 (ko) 부동산 매물 관리 서버
Rayna et al. Web 2.0 is cheap: supply exceeds demand
KR20220052504A (ko) Ai를 활용한 광고 콘텐츠 매칭을 통한 광고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0646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홈페이지 및 쇼핑몰 생성 및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698558B1 (ko) 컨텐츠에 링크 정보를 등록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220078521A1 (en) Video streaming playback system and method
KR102586381B1 (ko)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30113569A (ko)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US20120095818A1 (en) Business card directory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100549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standards-based journalism marketplace
KR20220054990A (ko) 이미지 및 영상 검색 바탕의 의류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36136B1 (ko)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71339B1 (ko) 소셜미디어 기반 소비자 주도형 상품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93912B1 (ko) 인플루언서 미팅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38748B1 (ko) 인증사진 보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