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136B1 -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136B1
KR102336136B1 KR1020210075687A KR20210075687A KR102336136B1 KR 102336136 B1 KR102336136 B1 KR 102336136B1 KR 1020210075687 A KR1020210075687 A KR 1020210075687A KR 20210075687 A KR20210075687 A KR 20210075687A KR 102336136 B1 KR102336136 B1 KR 102336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template
creator
web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훈
문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라 티.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라 티.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라 티.피.에스
Priority to KR1020210075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하여 생성된 템플릿 디자인을 업로드하고, 기 설정된 심사 프로세스를 거쳐 크리에이터의 권한을 획득하며 크리에이터로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고,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하여 선택된 디자인 템플릿 내에서 편집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생성한 템플릿 디자인을 수집하여 공유 플랫폼에 공유하는 공유부, 공유 플랫폼 내에서 사용자 단말이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한 후 결제를 한 경우 크리에이터 단말로 저작권 수익에 대한 정산을 실시하는 정산부, 사용자 단말에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2차적저작물인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생성하는 경우,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저작권은 사용자 단말로 귀속시키는 저작권관리부를 포함하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DESIGN CONTENTS BROKERAGE SERVICE USING WEB BROWSER BASED EDITING TOOL}
본 발명은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심사를 거쳐 등록된 크리에이터로부터 디자인 템플릿을 업로드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문서편집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최근 국내외에서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소비자와 전문가가 모여 정보를 공유하고 협업하는 플랫폼이 활성화되고 있다. 소비자와 전문가는 공유 플랫폼에 참여하여 지식과 경험을 공유해 왔으며 창업과 경제활동에까지 그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공유 플랫폼을 만들고 그 안에서 활동하는 방식은 트렌드와 밀접한 디자인 산업에도 반영되었고, 디자인 산업에서도 온라인에서 협업으로 개인의 작품을 공유하고 거래하는 디자인 공유 플랫폼이 생기고 있다. 이제까지의 디자인 산업은 특정 소수의 전문가에게만 상품의 생산과 판매의 기회가 있었으나, 현재는 많은 개인이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직접 참여하고 있다. 현대의 소비자들은 대량생산 산업 구조에서 결핍된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와 다양한 제품을 요구하고 있으며, 시대적 변화의 대안으로 공유 플랫폼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 디자인 산업에서는 공유 플랫폼을 통해 디자인 프로젝트를 공유하고 있으며 메이커스 운동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때, 디자인 템플릿을 웹 기반으로 제공하거나 디자인 템플릿 콘텐츠의 거래를 중개하는 공유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0-0021062호(2010년02월24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20-0032414호(2020년03월26일 공개)에는, 사용자가 파워포인트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고, 템플릿 내 텍스트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하는 구성과, 블록체인 및 핑거프린팅을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전자거래를 중개할 때,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트열 내 임의의 위치를 선택하며, 선택된 위치마다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디지털 핑거프린팅 정보를 삽입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는 단순히 소비자의 입장으로 미리 만들어진 디자인 템플릿을 사용할 수 있을 뿐 사용자가 디자인 템플릿을 새로 생성하거나 만들어 공유할 수 있는 구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후자의 경우에도 블록체인 내 저작권 도용이 없도록 분산저장한다는 구성만 있을 뿐 데이터베이스를 풍부하게 할 수 있는 원천(Source) 자체를 다양화하는 구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디자인 공유 플랫폼은 개인 디자이너와 소규모 회사의 다양한 제품 생산을 유통할 수 있는 경제 기반을 제공한다. 향후 21세기 산업구조는 현재까지 대기업 중심의 하향식 혁신구조에서 많은 개인의 창조적 가치 창출을 기본으로 한 상향식 혁신으로 변화할 것이므로, 디자인 산업에서도 새로운 시대적 흐름에 맞는 안정된 디자인 공유 플랫폼이 필요하다. 이에, 웹 기반으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편집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판매자가 되는 프로슈머로부터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로슈머가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면서 동시에 새로이 생성하여 공유할 수 있는 공유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심사 프로세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템플릿 디자인을 심사하여 크리에이터의 자격을 부여하며, 크리에이터의 권한을 획득한 사용자는 자신이 디자인한 템플릿을 업로드한 후 일반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고, 일반 사용자는 저작권이 있는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다시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인 2차적저작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선순환 구조로 디자인 템플릿의 창작활동을 이끌어낼 수 있고, 저작자의 권리와 이에 인접하는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향상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하여 생성된 템플릿 디자인을 업로드하고, 기 설정된 심사 프로세스를 거쳐 크리에이터의 권한을 획득하며 크리에이터로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고,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하여 선택된 디자인 템플릿 내에서 편집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생성한 템플릿 디자인을 수집하여 공유 플랫폼에 공유하는 공유부, 공유 플랫폼 내에서 사용자 단말이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한 후 결제를 한 경우 크리에이터 단말로 저작권 수익에 대한 정산을 실시하는 정산부, 사용자 단말에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2차적저작물인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생성하는 경우,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저작권은 사용자 단말로 귀속시키는 저작권관리부를 포함하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프로슈머가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면서 동시에 새로이 생성하여 공유할 수 있는 공유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심사 프로세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템플릿 디자인을 심사하여 크리에이터의 자격을 부여하며, 크리에이터의 권한을 획득한 사용자는 자신이 디자인한 템플릿을 업로드한 후 일반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고, 일반 사용자는 저작권이 있는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다시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인 2차적저작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선순환 구조로 디자인 템플릿의 창작활동을 이끌어낼 수 있고, 저작자의 권리와 이에 인접하는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향상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심사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심사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자인 템플릿을 구매하거나 이용하여 문서를 편집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및 크리에이터 모두 초기에는 사용자의 지위를 가지고 있고, 이후 사용자가 크리에이터 신청을 한 후 심사위원의 심사를 거쳐 크리에이터로 등록되나,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는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는 유저(User)인 사용자로, 크리에이터는 디자인 템플릿을 창작, 생성 및 업로드하는 제공자로 역할을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도 크리에이터의 지위를 얻어 디자인 템플릿을 창작, 업로드 및 판매할 수 있으며, 크리에이터 단말(400)의 크리에이터도 사용자와 같이 타인의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로부터 디자인 템플릿을 등록받고, 유료 또는 무료를 설정받은 후 기 설정된 카테고리에 디자인 템플릿을 분류되도록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경우 무료인 경우에는 무단배포되지 않도록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코드를 이용 로그에만 남기고, 유료인 경우에는 결제를 수행하여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에 기록함으로써 이후 저작권 무단침해나 무단배포가 되지 않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결제가 된 경우 수익금의 기 설정된 퍼센트를 저작권료로 크리에이터 단말(400)로 지급하고, 무료로 사용한 경우에도 광고 수익으로 얻은 광고료를 크리에이터 단말(400)로 지급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만든 경우에는 2차적저작물로 사용자 단말(100)의 저작권으로 등록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은,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자인 템플릿을 창작 및 생성하는 디자이너, 일반인, 전문가, 프리랜서 등의 단말일 수 있다. 크리에이터 단말(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크리에이터 신청을 하면 심사를 거쳐 디자인 템플릿을 판매할 수 있는 크리에이터로 등록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크리에이터 단말(400)은 자신의 디자인 템플릿을 유료 또는 무료로 설정할 수 있고, 유료인 경우 판매대금의 기 설정된 퍼센트에 대응하는 금액을, 무료인 경우 광고수익의 기 설정된 퍼센트에 대한 금액을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정산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심사 단말(500)은,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자인 템플릿이나 포트폴리오를 심사하여 크리에이터 신청을 허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심사위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심사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심사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심사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유부(310), 정산부(320), 저작권관리부(330), 분산저장부(340), 분류부(350), 연결관리부(360), 파생디자인관리부(370), 대행부(380) 및 리뷰관리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심사 단말(500)로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심사 단말(500)은,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심사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유부(310)는, 크리에이터 단말(400)에서 생성한 템플릿 디자인을 수집하여 공유 플랫폼에 공유할 수 있다. 템플릿 디자인이라는 용어는 웹사이트를 제작하기 용이하도록 미리 완성해놓은 디자인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 디자인은 마이크로소프트(워드, 파워포인트, 엑셀)나 어도비사의 PDF와 같은 문서를 편집할 때 그 배경이 되는 디자인이나 글씨의 크기, 위치, 배치, 레이아웃 등을 미리 결정해놓아 사용자는 텍스트만 적으면 문서편집이 완료될 수 있는 디자인을 의미한다. 물론, 웹사이트를 제작하기 위한 템플릿 디자인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심사 단말(500)은,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에서 업로드한 디자인 템플릿을 심사하여 크리에이터 권한의 부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심사 단말(500)의 심사를 거치지 않아도 사용자 단말(100)의 리뷰나 평점이 좋거나, 또는 이용 빈도나 횟수가 많다면 크리에이터로 선정될 자격을 줄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은,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하여 생성된 템플릿 디자인을 업로드하고, 기 설정된 심사 프로세스를 거쳐 크리에이터의 권한을 획득하며 크리에이터로 등록될 수 있다. 크리에이터 단말(400)의 디자인 템플릿은 유료 또는 무료로 크리에이터 단말(400)에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디자인 템플릿은 문서편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이용되는 디자인 템플릿일 수 있다.
여기서, 웹 기반 편집툴은 HTML5 기반일 수 있다. HTML5는, 웹문서 표준인 HTML(Hyoer Text Markup Language)의 최신 규격으로 문서 작성 중심에서 그림, 동영상, 음악 등을 실행하는 기능이 포함되었다. HTML5는 플러그인 기반의 액티브 엑스(Active-X), Flash 와 같이 프로그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한 문제는 대부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 종래의 HTML 표준과 HTML5의 가장 큰 차이점은 시맨틱 마크업을 지원하는 점과 추가적인 API를 제공하는 점이다. 시맨틱 마크업은 웹 문서를 의미적으로 구조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요소이다. 예를 들어, 문서의 내용을 머리말, 본문, 꼬리말로 구분할 수 있도록 <head>, <section>, <footer> 라는 요소로 문서를 작성하게 되면, 문서의 내용을 구조적으로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HTML5에서는 다양한 API를 제공한다. HTML5에서 제공하는 API는 2차원 그래픽을 지원하거나,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 등 웹 애플리케이션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HTML5는, 웹 페이지를 만들 때 사용이 되는 마크업 언어로 하이퍼링크와 텍스트로 표시하던 HTML을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까지 표현하고 제공할 수 있다. HTML5는 웹 문서 구조 설계를 위한 마크업 언어인 HTML, 디자인 표현을 위한 CSS, 인터랙티브한 동작을 표현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기존의 HTML의 태그에 새로운 태그들이 더 추가될 수 있으며, 콘텐츠들을 담기 위한 구조로 개선되어 플랫폼의 역할까지도 수행할 수 있다. 또, HTML5는 모바일 웹을 위한 표준은 아니지만, 앞서 설명한 여러 기능 중에서 모바일 웹의 구현에 필요한 기능들을 다수 제공해 주고 있다. 2차원 그래픽, 오디오, 다양한 웹 폼 등은 모바일 웹의 UI(User Interface)를 풍부하고 다양하게 해줄 수 있다. 즉, 모바일 웹 환경에서도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동적인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모바일 웹 환경에서는 모바일 환경의 특성상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환경이 자주 발생하지만, 이러한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 웹 클라이언트의 캐시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거나 로컬에 DB를 저장하여 SQL문으로 질의할 수 있다.
또는, SaaS(Software as a Servcie)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SaaS는 인터넷 어디에서든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다. 이때, 기관, 사용자 및 강사의 요구사항에 따라 BaaS(Backend as a Service)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물론, 인프라나 플랫폼 자체가 구비되지 않은 사용자, 기관 및 강사의 경우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로 서버 운영에 필요한 서버자원, IP, Network, Storage, 전력 등 여러 인프라 자원을 탄력적이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IaaS는 자원을 쉽게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를 제공하므로 친숙한 환경이 주어질 수 있다. 또, PaaS(Platform as a Service)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안정적인 환경과 그 환경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API까지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PaaS는 간편하게 원시코드를 빌드 및 배포할 수 있으며 사용량에 따라 스케일 아웃(Scale Out)을 하기 용이하다. BaaS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서비스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힘든 회원관리 및 푸시, 파일 처리 등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PaaS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고 제공되는 백앤드 모듈을 REST API나 라이브러리 CALL을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정산부(320)는, 공유 플랫폼 내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한 후 결제를 한 경우 크리에이터 단말(400)로 저작권 수익에 대한 정산을 실시할 수 있다. 정산을 위하여 실시간 로그를 수집하고 누락내역이나 정산지연이 되는 사항이 없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때, 자동생성 및 수집되는 실시간 로그는, 업로드 판매내역 로그, 필터링 로그, 실거래내역로그, 실시간 정산 로그, 비제휴 모니터링 로그 등 실시간 수집 로그들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유일키 기준으로 정리하여 실시간 자동 매칭할 수 있다. 실시간 로그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각 로그의 특성을 고려하여 미리 설계된 로직에 따라 비제휴 원인분석결과, 필터링 미호출, 고의 누락, 미제휴 다운로드 건수, 정산누락 건수 등이 실시간 집계되며 항목별 자동으로 로그를 분석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산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기존 매월 또는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정산 데이터 로그를 자동으로 저장하고 플랫폼의 데이터와 비교분석되는 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수집되는 로그나 기준값 그리고 비교값은 상술한 로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계약의 종류나 사인 간의 자유로운 의사 또는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저작권관리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2차적저작물인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생성하는 경우,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저작권은 사용자 단말(100)로 귀속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고,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하여 선택된 디자인 템플릿 내에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분산저장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에서 디자인 템플릿을 업로드한 로그(Log), 사용자 단말(100)에서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 및 구매한 로그, 사용자 단말(100)에서 2차적저작물인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생성한 로그를 블록체인 내 적어도 하나의 로그에 트랜잭션(Transaction)으로 블록을 생성하여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작권자의 지분이나 구매내역 등은 블록체인으로 공유될 수 있다. 이때, 저작권자의 지분을 기재하기 위해서는 합의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만약, A라는 템플릿 디자이너가 자신이 참여하지도 않은 템플릿 디자인에 대하여 자신이 하였다고 거짓문서를 꾸민 다음 이를 다른 노드가 블록을 복사 및 브로드캐스팅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노드의 51%가 이를 보유하게 한다면 블록체인 내에서 이는 진실이 된다.
따라서, DPoS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투표를 통해 증인 혹은 대표자를 선출하여 그들로 하여금 PoS 합의 알고리즘을 진행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이다. 대표자가 되고 싶은 후보자는 자신의 공개키를 네트워크에 공약과 함께 등록하고, 투표자는 지갑에 포함된 투표 권한을 통해 자신의 지분만큼 표를 받아 대표자에게 투표한다. 만약 임명받은 대표자들이 Nothing at Stake 와 같은 행위를 통해 부당 이익을 챙기고자 한다면 그 즉시 투표자들은 투표를 진행하여 새로운 대표자를 선출할 수 있다. 일반적인 PoS 합의 알고리즘을 지분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직접 민주주의라고 본다면 DPoS 는 지분 가진 사람들 중 일부 대표자를 선출하여 이루어지는 간접 민주주의라 할 수 있다. 이때, 동률을 막기 위해 홀수인 21명을 선출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빠르며, Nothing at Stake 문제를 해결했다는 장점이 있지만, 거래소와 같이 많은 지분을 보유한 곳이 투표권을 남용하여 자신들에게 유리한 대표자를 선출할 수도 있다.
또는, PBFT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선출된 하나의 리더 노드가 검증 노드를 이용하여 타당하다고 검증된 거래를 수신하여, 합의 요청을 모두에게 전파하고 2/3 표를 ??득하여 블록을 생성한다. PBFT 합의 알고리즘은 일부 비정상 노드가 존재하더라도 정상 작동하도록 하는 분산 시스템의 BFT 알고리즘을 발전시켜서, 비동기식 네트워크에서도 사용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PBFT에서는 전체 네트워크로 전파하여 투표하는 두 번의 브로드캐스팅 과정을 통해 더 높은 확률로 리더나 검증 노드가 이상한 노드를 보다 정확하게 제거하였다. 이미 검증된 거래를 수신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보다행하기 때문에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는, Ripple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검증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비동기 라운드 기반 프로토콜로 수집 단계, 합의 단계, 마감 단계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수집 단계에서는 검증서버가 네트워크로부터 트랜잭션을 수신하여 서명의 유효성과 관련 정보의 정확성을 검사하고 제안서를 다시 네트워크에 후보 집합으로 브로드 캐스팅한다. 합의 단계에서는 서버들이 전달받은 제안서에 대해 투표를 진행하여 합의한다. 마감 단계에서는 제안서가 80% 이상의 동의를 얻으면 제안서를 후보 집합에서 제거하여 원장에 정식으로 등록되며 한 라운드가 마감된다. Ripple 합의 알고리즘은 실시간 결제 시스템을 목표로 대량의 결제를 빠르게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주로 은행간 이체 서비스를 중점으로 서비스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속도의 중심을 두어 개발하여 빠른 속도가 장점이다. 이를 통하여 각 프로필의 무결성을 지킬 수 있으며, 신뢰를 바탕으로 원 저작권자를 찾을 수 있게 된다.
분류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에서 업로드된 디자인 템플릿을 기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만약, 크리에이터 A가 사업제안서 분야의 템플릿 디자인을 전문으로 하고, 사업제안서를 각 분야, 예를 들어, IT, 법무, 마케팅, 기획, 과학기술 등 다양한 분야별로 사업제안서 템플릿 디자인을 만들었다고 가정하면, 이 모든 템플릿 디자인이 뒤죽박죽 크리에이터 A 이름으로 섞여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를 하나하나 보고 찾아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따라, 분류부(350)는 크리에이터 단말(400)에서 템플릿 디자인을 업로드할 때, 문서 종류, 문서 포맷, 문서 분야 등을 태그로 태깅하도록 하고, 기 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각 문서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연결관리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하여 디자인 템플릿의 편집을 진행하다가,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의 연결 또는 세션이 종료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 내에서 편집된 데이터를 임시저장한 후,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연결 또는 세션이 재활성화된 경우 편집된 데이터를 웹 기반 편집툴로 전송하여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문서의 30 페이지를 작성하다가 갑자기 연결이 끊겼는데 계속 작성해야 하는 경우에는 오프라인 모드로 사용자 단말(100)의 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저장한 후, 연결이 재개되면 연결이 끊겼던 시점부터 누적된 편집 데이터를 웹 페이지나 클라우드 또는 웹 드라이브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구글독스(Google Docs)에서도 오프라인 모드를 지원하는데, 연결이 끊어진 상태에서도 계속하여 편집이 가능하고, 연결이 이어진 후에 동기화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물론 구글독스 이외에도 다양한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다.
파생디자인관리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생성하여 공유한 경우,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과 크리에이터의 디자인 템플릿 간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수익을 정산할 수 있다. 한국의 저작권법은 A 라는 그림을 그대로 따라 그리기만 해도, 따라 그린 B 그림에 대해 저작권을 인정해주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란이 많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서 A를 다운로드받거나 엑세스하여 조회했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작한 B 디자인 템플릿이, A와 유사하다면 A에게도 어느 정도의 지분을 주는 것이 정당하다. 저작권법 제22조에서도 2차적 저작물 작성권이란, 저작자는 그의 저작물을 원저작물로 하는 2차적 저작물을 작성하여 이용할 권리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고, 동법 제46조 제1항에서도 저작재산권자는 다른 사람에게 그 저작물의 이용을 허락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동법 제46조 제2항에서는 제46조 제1항 규정에 따라 허락을 받은 자는 허락 받은 이용 방법 및 조건의 범위 안에서 그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2차적 저작물은 사용자 단말(100)로 귀속되지만, 이를 이용할 때에는 원 저작권자 즉, 크리에이터 단말(400)의 크리에이터에게 이용허락을 받아야 하는 등으로 원 저작권자의 기여를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 템플릿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유사도가 높을수록 원 저작권자인 크리에이터에게 더 많은 지분을 인정해주도록 설정할 수 있고, 정산을 하는 경우에도 이 지분에 따라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디자인 템플릿의 유사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CNN을 이용한 유사 이미지 분석은 이미지의 모든 픽셀을 탐색하여 유사 이미지를 탐색하므로 수많은 반복적인 학습 과정과 유사도 측정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연산 속도를 위해 반복적인 학습 과정의 빈도를 낮추게 되면 낮은 유사도 결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CNN 기술의 단점인 느린 분석 속도를 보완하기 위해 이미지 유사도는 소폭 저하되지만 이진트리(Binary Tree)를 이용한 ANNOY(Approximate Nearest Neighbors Oh Yeah) 기술을 적용하여 유사 이미지를 탐색하고 유사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ANNOY 기술은 이미지의 픽셀을 분석하여 이미지별 유사도에 따라 이진트리 기법을 사용하여 유사도를 탐색하고 해당 이미지와 가장 가까운 벡터값을 갖는 구역에 할당한다. ANNOY 기술은 CNN 기술을 통해 얻은 유사 이미지 결과를 바탕으로 ANNOY의 유사도 권역 레이아웃을 구성한다. 새로운 입력 이미지는 이진트리를 통해 기존 이미지와의 유사도를 탐색하여 유사도에 따른 이미지 권역을 구성하고 할당한다. ANNOY의 유사 이미지 권역 레이아웃이 존재하는 경우, 새롭게 입력된 이미지는 이진트리 탐색을 통해 이미지 권역에 할당된다. 이미지들의 유사도에 따라 권역별로 트리가 구성되어 있어 새로운 이미지가 입력되었을 시 이미지 간 유사도가 높은 곳의 권역을 선택하고 배치된 권역에서 거리 값(노드)을 측정하여 이진트리노드(Node)를 통해 유사한 이미지 권역을 탐색한다. 따라서 ANNOY 기술을 이용한 유사이미지 탐색은 모든 이미지의 픽셀을 탐색하는 CNN 기술보다 정확도는 소폭 감소하지만, 이진트리 기법을 통해 유사 이미지를 탐색하기 때문에 유사 이미지검색을 위한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 할 수 있다.
대행부(380)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에서 디자인 템플릿이 등록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의 정보로 디자인 템플릿을 저작권협회 서버(미도시)로 전송하여 등록대행할 수 있다. 저작권의 경우 그대로 등록만 하면 되기 때문에 특허업계에서 사건 위임을 받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일반인은 저작권을 어디에 어떻게 등록해야 하는지 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디자인 템플릿이 등록되면, 크리에이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즉시 저작권등록을 대행해줄 수 있다.
리뷰관리부(390)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의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리뷰 및 평점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400)로부터 템플릿 디자인을 등록받고 크리에이터 신청을 받으면, 적어도 하나의 심사 단말(500)로 크리에이터가 제출한 포트폴리오나 템플릿 디자인을 전송하여 크리에이터 등록의 허용 여부를 피드백하도록 한다. 이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심사 단말(500)에서 심사를 완료하여 크리에이터의 권한을 부여한 경우, 크리에이터는 (b)와 같은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구매하지 않아도 웹 기반으로 저작 및 창작활동을 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템플릿 디자인은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되어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업로드되며, (c)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 후 유료 또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수익은 크리에이터 단말(400)로 정산된다. (d) 사용자 단말(100)에서 크리에이터 단말(400)의 템플릿 디자인을 이용하여 새로운 템플릿 디자인을 만든 경우에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2차적 저작물로 등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반 사용자가 크리에이터의 지위 및 권한을 획득하고 수익을 분배받는 과정을 단계화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도메인 접속 후 온라인 플랫폼에 사용계약신청을 할 수 있고,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과 청약을 체결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웹 편집툴의 URL에 접속하면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청약체결된 사용자 정보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데이터 관리 모듈로 이관되며, 사용자가 만든 디자인도 데이터 관리 모듈로 이관되어 관리된다. 도 4b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웹 편집툴을 활용하여 창작한 디자인을 템플릿 형태로 저장한다. 해당 디자인 템플릿은 데이터 관리 모듈에서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자신이 만든 디자인 템플릿을 활용한 수익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싶다면 크리에이터 권한을 획득해야 한다. 사용자는 플랫폼을 통해 크리에이터 심사 프로세스를 등록할 수 있으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의 디자인 및 활동 현황 데이터를 토대로 심사를 진행한다. 심사가 완료되고 크리에이터 권한을 부여하기로 결정이 되었다면 플랫폼을 통해 해당 결과를 고지한다. 고지와 동시에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는 해당 계정에게 크리에이터 권한을 부여한다. 크리에이터는 플랫폼 상에서 직접 디자인 콘텐츠를 제작/등록하며 다른 포맷의 디자인 콘텐츠를 해당 플랫폼 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등록할 수 있다 .
도 4c를 보면, 크리에이터는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 템플릿을 데이터화할 수 있고,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크리에이터가 업로드한 데이터를 심사하여 플랫폼에 크리에이터 데이터 형태로 제공한다. 디자인 저작물(콘텐츠)가 데이터화 관리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 저작물 거래를 위한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메인 접속 후 온라인 플랫폼에서 자신이사용할 디자인을 검색한다. 해당 디자인이 유료인 경우 사용자는 플랫폼을 통해 디자인 이용권을 구매하며, 이를 통해 거래 활동과 데이터를 남긴다. 또한 사용자는 웹 편집툴을 통해 디자인 콘텐츠를 직접 재가공(2차저작물 생성) 후 다운로드 등을 통해 퍼블리싱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생성한 템플릿 디자인을 수집하여 공유 플랫폼에 공유한다(S5100).
그리고,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공유 플랫폼 내에서 사용자 단말이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한 후 결제를 한 경우 크리에이터 단말로 저작권 수익에 대한 정산을 실시하고(S5200), 사용자 단말에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2차적저작물인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생성하는 경우,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저작권은 사용자 단말로 귀속되도록 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하여 생성된 템플릿 디자인을 업로드하고, 기 설정된 심사 프로세스를 거쳐 크리에이터의 권한을 획득하며 크리에이터로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업로드한 디자인 템플릿을 심사하여 크리에이터 권한의 부여 여부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심사 단말;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고,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하여 선택된 디자인 템플릿 내에서 편집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생성한 템플릿 디자인을 수집하여 공유 플랫폼에 공유하는 공유부, 상기 공유 플랫폼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한 후 결제를 한 경우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로 저작권 수익에 대한 정산을 실시하는 정산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2차적저작물인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저작권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 귀속시키는 저작권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하여 디자인 템플릿의 편집을 진행하다가,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연결 또는 세션이 종료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서 편집된 데이터를 임시저장한 후, 상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연결 또는 세션이 재활성화된 경우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웹 기반 편집툴로 전송하여 반영되도록 하는 연결관리부를 포함하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디자인 템플릿을 업로드한 로그(Log),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 및 구매한 로그,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2차적저작물인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생성한 로그를 블록체인 내 적어도 하나의 로그에 트랜잭션(Transaction)으로 블록을 생성하여 기록하는 분산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업로드된 디자인 템플릿을 기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분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생성하여 공유한 경우, 상기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과 상기 크리에이터의 디자인 템플릿 간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수익을 정산하는 파생디자인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디자인 템플릿이 등록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의 정보로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저작권협회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대행하는 대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의 디자인 템플릿은 유료 또는 무료로 상기 크리에이터 단말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리에이터 단말의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리뷰 및 평점을 수신하는 리뷰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템플릿은 문서편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이용되는 디자인 템플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075687A 2021-06-10 2021-06-10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36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687A KR102336136B1 (ko) 2021-06-10 2021-06-10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687A KR102336136B1 (ko) 2021-06-10 2021-06-10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136B1 true KR102336136B1 (ko) 2021-12-08

Family

ID=7886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687A KR102336136B1 (ko) 2021-06-10 2021-06-10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1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057A (ja) * 2002-05-28 2003-12-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著作権契約支援サーバおよび支援方法支援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90093287A (ko) *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딸기커뮤니케이션 저작권 보호를 위한 콘텐츠 권한 설정을 통한 실시간 콘텐츠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11720B1 (ko) * 2019-12-04 2020-05-15 주식회사 그로비스인포텍 클라우드 저작물 분석을 통한 디자인 추천 방법
KR20200065307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일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보증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057A (ja) * 2002-05-28 2003-12-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著作権契約支援サーバおよび支援方法支援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90093287A (ko) *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딸기커뮤니케이션 저작권 보호를 위한 콘텐츠 권한 설정을 통한 실시간 콘텐츠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65307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일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보증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11720B1 (ko) * 2019-12-04 2020-05-15 주식회사 그로비스인포텍 클라우드 저작물 분석을 통한 디자인 추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gatto et al. Have you chosen your request? Analysis of online food delivery companies in Brazil
Nakatsu et al. A taxonomy of crowdsourcing based on task complexity
Evans-Cowley et al. Microparticipation with social media for community engagement in transportation planning
US20110082848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earch results management
KR102138896B1 (ko) 소셜미디어, 마케팅 및 전자상거래를 통합한 o2o 기반 멀티플랫폼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CN102422315A (zh) 基于策略的媒体联合和货币化
KR102579517B1 (ko) Nft 연계 현물상품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Das et al. Case study of trend mining i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articles
Alvsvåg et al. The role of a data marketplace for innovation and Value-Added services in smart and sustainable cities
US20220076288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managing a reward program
KR20220052504A (ko) Ai를 활용한 광고 콘텐츠 매칭을 통한 광고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58785B1 (ko) 저작권자 및 이용자 간 저작재산권 권리관계를 조율하는 저작권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0646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홈페이지 및 쇼핑몰 생성 및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746563B1 (ko) 쇼핑몰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36136B1 (ko) 웹 기반 편집툴을 이용한 디자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Huth et al. A Service Definition for Data Portability.
KR102224782B1 (ko) 지역 콘텐츠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Wu et al. Spatial social network research: a bibliometric analysis
KR102586381B1 (ko) 가격미정상품의 즉시가격조정 및 조정가격결제를 이용한 비지니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71339B1 (ko) 소셜미디어 기반 소비자 주도형 상품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Niu et al. New technology research and practices in digital publishing in China
KR102667500B1 (ko) 라이선스 및 카테고리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39838B1 (ko)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거래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shraf et al. Real-Time Extraction and Annotation of Social Media Contents for Predicting National Consumer Confidence Index
Montargil et al. Building a web tracking browser information system: The online panel as a research method in internet stu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