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569A -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569A
KR20130113569A KR1020120035811A KR20120035811A KR20130113569A KR 20130113569 A KR20130113569 A KR 20130113569A KR 1020120035811 A KR1020120035811 A KR 1020120035811A KR 20120035811 A KR20120035811 A KR 20120035811A KR 20130113569 A KR20130113569 A KR 20130113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ransaction
information
suppli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선
Original Assignee
김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선 filed Critical 김혜선
Priority to KR1020120035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3569A/ko
Publication of KR20130113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콘텐츠를 온라인 상에서 판매, 구매, 입찰, 역경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이미지 거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는, 온라인 상에서 이미지콘텐츠를 수집하는 콘텐츠수집부;와,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거래부;와,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온라인 결제를 결제서버와 연동하여 처리하는 결제처리부;와, 온라인 이미지거래서비스를 인터넷 상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인터넷접속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서비스부;와, 공급자정보와 수요자정보와 이미지콘텐츠와 거래정보와 분류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거래데이터베이스(이미지거래DB) 및 통신망을 통한 인터넷 접속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한 이미지거래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ONLINE IMAGE TRADING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미지 콘텐츠를 온라인 상에서 판매, 구매, 입찰, 역경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및 통신망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들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Digital Contents) 산업이 성행하고 있다.
정보기술의 고도화에 따라 일반 산업현장의 프리젠테이션을 비롯하여, 광고, 홍보, 마케팅, 심지어 학생들의 과제물에도 텍스트 정보 이외에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이미지 정보의 삽입이 현저히 늘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 정보는 텍스트에 비하여 그 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함축되는 내용의 양 및 범위가 텍스트와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많이 갖기 때문에 다양하게 활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미지의 생성작업은 고도로 숙련된 일러스트레이터나, 화가, 산업디자인 전공자 등의 그림을 그리는 것에 익숙하지 않거나, 이미지 편집 도구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들에게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며, 심지어 시도하지도 못할 정도의 불가능한 작업이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미지 자료가 필요한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검색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찾아 자신의 보고서, 프리젠테이션 등에 추가하는 것이 일상적인 일이 되어 왔다.
그러나 이미지 콘텐츠들의 경우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는 창작물이기 때문에 이러한 행동들은 모두 저작권법을 어기는 불법행위이다. 또한 다른 이의 창작물의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감독하고 관리하는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일반인들이 인터넷에 등록된 이미지 콘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쉽지않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에 등록된 이미지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인터넷 상의 이미지를 타인이 무단 사용하는 경우 이미지 창작자의 창작의욕을 훼손하게 되어, 문화발전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는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제공하고, 공급자에게는 창작된 이미지에 대한 정당한 금전적 보상 및 창작물의 타인에 의한 무단 도용을 막을 수 있도록, 온라인 상에서 이미지콘텐츠의 구매, 공급계약체결, 입찰 등의 온라인 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이미지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의 온라인 이미지 거래 서비스 장치는, 온라인 상에서 이미지콘텐츠를 수집하는 콘텐츠수집부;와,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거래부;와,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온라인 결제를 결제서버와 연동하여 처리하는 결제처리부;와, 온라인 이미지거래서비스를 인터넷 상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인터넷접속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서비스부;와, 공급자정보와 수요자정보와 이미지콘텐츠와 거래정보와 분류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거래데이터베이스(이미지거래DB) 및 통신망을 통한 인터넷 접속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한 이미지거래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수집부는, 온라인 상의 이미지를 검색하여 자동으로 수집하는 이미지검색엔진으로서의 자동검색모듈;과, 공급자들이 수동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등록모듈;과, 수집된 이미지콘텐츠 관련정보를 분류하여 이미지거래DB에 저장하는 분류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검색모듈은, 온라인 상에 등록된 이미지 중 이미지거래DB에 등록되지 않은 새로운 이미지콘텐츠들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모듈;과, 적법한 절차에 의해 이미지 등록을 받을 수 있도록 블로그, 카페, 로그인이 필요한 웹사이트에 자동 회원 가입을 수행하고, 이 후의 접속시에는 자동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회원가입모듈;과, 회원가입이 초기 수행된 사이트의 관리자에게로 메일 등에 이미지수집동의요청서를 첨부하여 발송하는 것에 의해 이미지 수집에 대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법적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수집동의요청모듈;과, 모니터링부에서 검색한 새로운 이미지콘텐츠 중 회원가입이 수행되어 적법한 이미지 수집 권한이 부여된 이미지콘텐츠를 수집하는 이미지수집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거래부는, 콘텐츠의 수요자와 공급자 사이의 매매를 수행하는 매매모듈;과, 입찰에 의한 거래를 수행하는 입찰모듈;과, 역경매를 수행하는 역경매모듈;을 포함하여, 매매, 입찰, 역경매 등의 이미지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거래DB는, 상기 온라인등록모듈의 의한 등록정보, 인터넷서비스부를 통한 공급자회원 가입, 이미지거래 공급자로서의 등록 등에서 등록되는 공급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공급자DB;와, 인터넷서비스부를 통해 등록되는 수요자 회원가입 정보, 이미지거래 수요자로서의 등록 등에서 등록되는 수요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수요자DB;와, 콘텐츠분류기준에 따라 콘텐츠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콘텐츠, 공급자들이 등록한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콘텐츠DB;와, 수집된 이미지콘텐츠, 공급자정보, 수요자정보 중 하나 이상을 분류하는 기준을 저장하는 분류기준DB;와, 각각의 콘텐츠, 수요자, 공급자별로 수행한, 이미지콘텐츠의 구매, 판매, 입찰, 역경매 중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저장하는 거래정보D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온라인 이미지 거래 서비스 방법은, 이미지거래서버의 자동검색모듈, 인터넷서비스부, 콘텐츠거래부 또는 분류모듈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이미지콘텐츠를 수집하는 콘텐츠수집과정;과, 인터넷서비스부를 이용한 회원가입 정보, 이미지거래요청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입력되는 공급자와 수요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공급자 및 수요자수집과정;과, 수집된 이미지콘텐츠를 이용하여 수요자와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매매, 입찰, 역경매 중 하나 이상의 이미지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거래서비스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거래서비스과정은, 이미지거래의 수행을 위해 수요자들이 수요자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수요자거래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수요자거래요청과정;과, 이미지거래의 수행을 위해 공급자들이 공급자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공급자거래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공급자거래요청과정;과, 상기 수요자거래요청과정과 공급자거래요청과정에 의해 등록된 거래요청정보를 콘텐츠거래부에 의해 일정한 방식으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분류과정;과, 상기 분류과정에 의해 등록된 거래요청정보를 검색하는 거래요청정보검색과정;과, 상기 거래요청정보검색과정의 거래요청정보에 따라 온라인 이미지거래를 수행하는 이미지거래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거래과정은, 매매, 입찰, 역경매 중 하나 이상의 거래요청이 있는 경우 거래 대상 수요자 또는 공급자들에게 거래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홍보과정;과, 콘텐츠거래부의 매매모듈이 공급자가 판매 요청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수요자의 선택에 따라 이미지의 매매를 수행하는 매매과정;과, 공급자의 입찰 거래요청에 의해 콘텐츠거래부의 입찰모듈이 공급자의 이미지에 대한 입찰을 수행하는 입찰과정;과, 수요자가 요청한 거래요청정보에 따라 콘텐츠거래부의 역경매모듈이 공급자의 역경매 입력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수요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역경매를 수행하는 역경매과정;을 포함하여, 상기 거래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매매과정, 입찰과정 또는 역경매과정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홍보과정은, 거래요청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공급자DB, 수요자DB 또는 거래정보DB 중 하나 이상에서 배포대상자를 검색하는 배포대상자검색과정;과, 배포대상자가 검색된 후에는 배포대상자에게 거래요청 이미지, 계약조건, 유형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및 거래대상 이미지에 대한 선택화면을 이메일 또는 푸쉬기능을 수행하여 배포대상자에게 배포하는 배포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경매과정은, 수요자가 입력한 자신이 필요한 이미지의 유형, 가격, 사용처, 거래내역(라이센스 거래, 기술협력, 콘텐츠 기술지도, 콘텐츠 개발 등), 서비스 공급 조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역경매 거래요청을 이미지거래서버가 수신하여 역경매를 등록하는 역경매신청과정;과, 상기 역경매신청과정이 수행된 후 역경매모듈이 공급자DB로부터 역경매 대상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공급자를 검색하는 공급자검색과정;과, 상기 공급자검색과정에서 검색된 공급자에게 역경매정보를 전송하는 공급자통보과정;과, 상기 공급자통보과정에 의해 공급자들이 역경매에 참여하여 입찰을 신청하면 역경매모듈이 입찰참여 공급자, 입찰 내용을 포함하는 입찰참여 정보를 수요자에게 통보하는 수요자입찰결과통보과정;과, 상기 수요자입찰결과통보과정에서 전송된 입찰참여 정보에 의해 수용자가 공급자를 선택하는 경우 결제처리부에 의해 결제를 수행하는 역경매결제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창작물로서의 이미지 콘텐츠를 온라인 상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정보 전달이 필요한 이미지를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자신의 정보를 표현하는 이미지를 합법적이고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미지콘텐츠를 제공하는 창작자에게는 창작된 이미지 콘텐츠에 대한 정당한 금전적 보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의해 창작의욕을 고무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미지콘텐츠의 거래를 활성화시킴에 따라 타인의 창작물인 이미지 콘텐츠를 불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콘텐츠문화 의식을 발전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수요자들의 입자에서는 이미지콘텐츠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다른 생산활동에 투자하는 것에 의해 경제적인 이득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이미지거래서버(100)의 기능 블록 구성도,
도 3은 온라인등록모듈(113)에 의해 등록되는 공급자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이미지거래서버(100)에 의해 수행되는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상기 과정에서 수집되는 수요자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이미지거래서비스과정(S300)의 상세처리과정을 나태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콘텐츠분류, 수요자 공급자 분류, 거래요청정보 등의 등록을 위한 상세 분류과정(S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홍보과정(S310)의 상세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매매를 위한 매매인터페이스화면(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역경매과정(S340)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상기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은 다수의 수요자 단말기(200)와 공급자단말기(300)들을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500)을 통해 접속한 다수의 수요자와 공급자들에게 이미지콘텐츠에 대한 온라인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거래서버(10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수요자단말기(200)와 공급자 단말기(300)들은 유선 인터넷 서비스를 접속하는 개인용컴퓨터와 통신망(500)의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는 휴대전화, 통신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온라인 이미지거래는 온라인을 통한 이미지콘텐츠의 판매 또는 구매 등의 매매, 입찰, 역경매, 라이센스 거래, 기술협력, 콘텐츠 기술지도, 콘텐츠 개발 등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이 때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의 제공에 따라 발생하는 온라인 결제처리가 수행되며, 결제서버(400)는 이미지거래서버(100)의 온라인 결제서비스를 대행한다.
도 2는 도 1의 이미지거래서버(1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와 같이, 상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이미지거래서버(100)는 온라인 상에서 이미지콘텐츠를 수집하는 콘텐츠수집부(110)와,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거래부(120)와,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온라인 결제를 결제서버(400)와 연동하여 처리하는 결제처리부(130)와, 온라인 이미지거래서비스를 인터넷 상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인터넷접속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서비스부(140)와, 공급자정보와 수요자정보와 이미지콘텐츠와 거래정보와 분류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거래데이터베이스(이미지거래DB)(150) 및 통신망을 통한 인터넷 접속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콘텐츠수집부(110)는 통신망(500)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되어 인터넷 상에 게시되거나 공급자들이 제공하는 이미지콘텐츠를 자동 또는 수동의 방식으로 수집한다.
이를 위해 상기 콘텐츠수집부(110)는 온라인 상의 이미지를 검색하여 자동으로 수집하는 이미지검색엔진으로서의 자동검색모듈(111)과, 공급자들이 수동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등록모듈(113), 수집된 이미지콘텐츠 관련정보를 분류하여 이미지거래DB(150)에 저장하는 분류모듈(1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동검색모듈(111)은 블로그, 카페, 특정 사이트 등의 온라인 상에 등록된 이미지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온라인 상의 이미지 정보의 자동검색수집을 위해 상기 자동검색모듈(111)은 그 하부에 모니터링모듈, 회원가입모듈, 이미지수집동의요청모듈, 이미지수집모듈 등의 하부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모듈은 검색엔진으로 구성되어 온라인 상에 등록된 이미지 중 이미지거래DB에 등록되지 않은 새로운 이미지콘텐츠들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회원가입모듈은 적법한 절차에 의해 이미지 등록을 받을 수 있도록 블로그, 카페, 로그인이 필요한 웹사이트에 자동 회원 가입을 수행하고, 이 후의 접속시에는 자동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자동 회원 가입이 수행되지 않은 웹사이트의 경우에는 이를 로그파일로 기록하여 관리자에게 통보함으로써 관리자가 차후 수동으로 회원 가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미지수집동의요청모듈은 회원가입이 초기 수행된 사이트의 관리자에게로 메일 등에 이미지수집동의요청서를 첨부하여 발송하는 것에 의해 이미지 수집에 대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법적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수집모듈은 모니터링부에서 검색한 새로운 이미지콘텐츠 중 회원가입이 수행되어 적법한 이미지 수집 권한이 부여된 이미지콘텐츠를 다운로드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라인등록모듈(113)은 공급자가 수동으로 이미지콘텐츠를 등록하거나 공급자 등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미지등록 인터페이스화면을 공급자단말기(300)로 전송하여 출력한다. 이 경우 공급자는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수행하게 된다.
공급자는 공급자단말기(300)에 출력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공급자정보, 등록 이미지콘텐츠 정보, 희망 온라인 이미지 거래서비스 유형 등의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인터페이스화면은 인터넷 HTTP 등의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입력된 정보를 이미지거래서버(100)의 콘텐츠수집부(110)로 전송한다.
도 3은 온라인등록모듈(113)에 의해 등록되는 공급자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온라인등록모듈(113)에 의해 등록되는 공급자의 정보는 개인인 경우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핸드폰번호, 이메일 주소, 공급가능 기술 아이템, 소속기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관인 경우 및 개인 공급자 중 기관에 속한 경우에 등록되는 기관정보는 소속기관유형(기업, 대학, 연구소....), 법인 또는 사업자 등록번호,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요기술 아이템, 담당자명, 담당자 직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등록되는 공급가능 콘텐츠 정보는 1순위, 2순위, 3순위 등으로 순위를 부여하고, 각 순위별로, 콘텐츠종류, 기술공급형태를 기입하게 된다. 상기 콘텐츠종류 또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으로 분류하여 기입할 수 있다. 기술공급형태는 매매, 라이센스, 기술협력, 콘텐츠기술지도, 개발의뢰 등으로 분류되어 기입될 수 있다.
이러한 온라인등록모듈(113)의 공급자등록 및 이미지거래서비스 등록 절차에 의해 온라인 이미지 서비스 방법에서 설명될 공급자및수집과정(S200)이 수행된다.
상기 분류모듈(115)은 상기 회원가입된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분류기준DB(154)의 고객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이미지거래DB(150)의 공급자DB(151)에 저장하고, 수집된 이미지콘텐츠들 또한 분류기준DB(154)의 이미지콘텐츠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콘텐츠DB(153)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분류모듈(115)은 이미지콘텐츠의 분류를 위해 이미지처리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이미지처리기능은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이미지의 식별을 통해 유해정보의 포함 여부, 종류 등을 식별하여 자동으로 이미지콘텐츠에 대한 분류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각 웹사이트별로 이미지를 분류하는 등의 다양한 분류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분류모듈(115)의 분류를 위한 분류기준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종류별 문양, 도안, 글자체, 그림, 패턴, 사인...
영상종류별 사진, 동영상, 정지이미지....
주제별 사람, 건축, 교통, 과학, 동물, 배경, 비즈니스, 산업, 생활, 여행, 식품, 스포츠, 식물, 음식, 의학, 일러스트, 캐리커쳐, 정물, 컨셉, 그래픽, 풍경 ....
가격별 1천만원, 1만원이상, 10만원 이상, 30만원 이상, 5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 100만원 이상, 개별주문.....
소유별 권리이전, 용도별 부분이전, 공동사용......
횟수별 매체변경시, 동일매체 횟수, 연장사용.....
용도별 신문, 잡지, 차량, TV, 영화, 캔리더, 옥외광고, 간판, 디스플레이, 판매용상품, 전자화면, 로고, 심볼, 캐릭터, 인터넷, 모바일, SW, 참고서, 서적, E-BOOK, 인터넷 신문.....
기술공급형태별 매매, 라이센스, 기술협력, 콘텐츠기술지도, 개발의뢰......
또한, 상기 분류모듈(115)은 주의상품을 분류한다. 주의상품의 분류로는 기거래이미지콘텐츠, 대여, 복제, 변경, 반품, 초상권 및 재산권 침해, 약정 계약의 침해 등의 법적 책임 발생의 문제가 있는 이미지에 대한 분류, 술, 담배, 피임약, 데이터 서비스, 에로틱, 클럽활동, 성적 생명이나 환경, 약물 남용, 비행, 정신 또는 신체적 질환, 사회의 문제를 알리는 홍보물의 게재 등의 미풍양속을 저해하는 이미지에 대한 분류 등이다.
이때 이미지거래서버(100)는 상기 이미지의 부득이한 거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내용을 게재하고 책임제한 사항을 수요자 또는 공급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이미지거래서버(100)의 다른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콘텐츠거래부(120)는 콘텐츠의 수요자와 공급자 사이의 매매를 수행하는 매매모듈(121), 입찰에 의한 거래를 수행하는 입찰모듈(123), 역경매를 수행하는 역경매모듈(12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매매, 입찰, 역경매 등의 이미지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콘텐츠거래부(120)의 동작은 하기의 이미지 거래 서비스 방법의 처리과정의 설명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결제처리부(130)는 외부의 결제서버(400)와 연동하여, 상기 콘텐츠거래부(120)에서 수행된 콘텐츠거래에 대한 결제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터넷서비스부(140)는 IIS서버, 아파치서버 등의 웹 또는 왑 서비스 제공 서버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이미거래서버(100)의 온라인 상의 이미지거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네서비스부(140)는 회원가입을 위한 인터페이스화면의 출력, 이미지거래를 위한 인터페이스화면의 출력, 온라인등록모듈의 온라인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화면의 출력, 거래되는 이미지콘텐츠의 검색, 현재 진행되는 거래 정보의 표시, 화면간 이동 등의 웹접속자인 수요자단말기(200) 및 공급자단말기(300)와 이미지거래서버(100)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거래DB(150)는 공급자DB(151)와 수요자DB(152)와 콘텐츠DB(153)와 분류기준DB(154)와 거래정보DB(155) 등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자DB(151)는 상기 온라인등록모듈(115)의 의한 등록정보, 인터넷서비스부(140)를 통한 공급자회원 가입, 이미지거래 공급자로서의 등록 등에서 등록되는 공급자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상기 수요자정보DB(152)는 인터넷서비스부(140)를 통해 등록되는 수요자 회원가입 정보, 이미지거래 수요자로서의 등록 등에서 등록되는 수요자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상기 콘텐츠DB(153)는 콘텐츠분류기준에 따라 콘텐츠수집부(111)를 통해 수집된 콘텐츠, 공급자들이 등록한 콘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상기 분류기준DB(154)는 표 1과 같이 수집된 이미지콘텐츠, 공급자정보, 수요자정보를 분류하는 기준을 저장한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콘텐츠, 공급자정보, 수요자정보는 각각의 식별 코드와 이미지분석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식별의 기준이 되는 연산코드에 의해 자동으로 분류되어 저장되거나,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거래정보DB(155)는 각각의 콘텐츠, 수요자, 공급자별로 수행한, 이미지콘텐츠의 구매, 판매, 입찰, 역경매 등의 거래 정보를 저장한다. 이는 차후의 이미지거래서비스의 내역 자료로 이용되며, 이미지거래 이후의 사후관리를 위한 데이터로서 이용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미지거래서버(100)에 의한 본 발명의 이미지거래서비스가 온라인 상에서 제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이미지거래서버(100)에 의해 수행되는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와 같이 상기 이미지거래서버(100)를 이용한 온라인 이미지 거래 서비스 방법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콘텐츠수집과정(S100)과 공급자 및 수요자수집과정(S200) 및 수집된 이미지콘텐츠를 이용하여 수요자와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매매, 입찰, 역경매 등의 이미지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거래서비스과정(S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콘텐츠수집과정(S100)은 이미지거래서버(100)의 자동검색모듈(111), 인터넷서비스부(140) 또는 콘텐츠거래부(120) 중 하나 이상과 분류모듈(115)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자동검색모듈(111)의 경우에는 상술한 콘텐츠수집부(111)의 설명에서와 같이, 자동검색모듈에 의해 이미지콘텐츠를 수집하고, 상기 콘텐츠거래부(120)는 이미지거래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공급자가 등록하는 이미지콘텐츠를 수집하며, 상기 인터넷서비스부(140)는 로그인하여 접속한 공급자가 등록한 이미지콘텐츠를 수집한다.
상기 분류모듈(115)은 자동검색모듈(111)과 콘텐츠거래부(120)와 인터넷서비스부(140)를 통해 수집된 이미지콘텐츠를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한 후 이미지거래DB(150)에 등록 저장한다.
이러한 처리 과정에 의해 이미지콘텐츠가 수집된다.
상기 공급자 및 수요자수집과정(S200)은 공급자와 수요자 정보를 수집하는 처리과정이다.
상기 공급자 및 수요자수집과정(S200)은 상술한 도 3의 설명에서와 같이 공급자회원가입 정보, 자동검색 또는 이미지거래를 위해 신규 등록하는 공급자 정보에 포함되는 공급자의 개인 또는 소속기관정보를 이용하여 공급자 정보를 수집하고, 수요자정보의 경우에는 회원가입정보, 이미지거래서비스를 위한 구매, 입찰, 역경매를 위하여 입력하는 수요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요자정보를 수집한다.
도 5는 상기 과정에서 수집되는 수요자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수요자의 개인 정보로는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핸드폰번호, 이메일 주소, 주요 관심기술 아이템, 소속기관 정보를 포함한다. 수요자 중 기관정보로는 기관유형(기업, 대학, 연구소 등), 법인 또는 사업자 등록번호,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요 기술 아이템(ITEM), 담당자명, 담당자직위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켄텐츠수집과정(S100)과 공급자 및 수요자수집과정(S200)을 통해 이미지 수요자와 공급자 및 이미지콘텐츠가 수집된 후에는 도 4와 같이, 이미지콘텐츠의 수요자와 공급자사이의 이미지 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거래서비스과정(S300)을 수행한다.
도 6은 상기 이미지거래서비스과정(S300)의 상세처리과정을 나태는 순서도이다.
도 6과 같이 상기 이미지거래서비스과정(S300)은 수요자거래요청과정(S301)과 공급자거래요청과정(S303)과 거래요청정보검색과정(S305)과 이미지거래과정(S30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거래과정(S307)은 거래에 대한 홍보를 수행하는 홍보과정(S310)과 거래의 내용에 따라 실제 거래를 처리하는 매매과정(S320), 입찰과정(S330), 역경매과정(S340)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6과 같이, 이미지거래의 수행을 위해 수요자들이 수요자단말기(100)를 통해 입력한 컨테츠거래형태(매매, 입찰, 경매, 역경매 등), 콘텐츠거래방법, 콘텐츠사용기간, 콘텐츠사용가격, 입찰가능날짜지정, 콘텐츠공급계약결정, 기술공급형태 등에서 필요한 항목을 수신하는 수요자거래요청과정(S301)이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 신규 등록되는 수요자의 정보는 공급자및수요자수집과정(S200)의 처리과정에 의해 수집되어 이미지거래DB(150)의 수요자DB(152)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수요자거래요청과정(S301)과 독립적으로 이미지거래의 참여를 원하는 공급자들이 공급자단말기(200)를 통해 이미지거래서버(100)에 접속하여 입력한 콘텐츠 공급 조건, 공급자의 유형(개인, 회사, 대학, 디자이너, 연구소, 프로작가 등)을 수신하는 공급자거래요청과정(S303)이 수행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어 있으나, 수요자거래요청과정(S301)에서와 같이 컨테츠거래형태(매매, 입찰, 경매, 역경매 등), 콘텐츠거래방법, 콘텐츠사용기간, 콘텐츠사용가격, 입찰가능날짜지정, 콘텐츠공급계약결정 등에서 필요한 항목을 입력할 수 있다. 공급자거래요청과정(S303)에서 신규 등록되는 공급자의 정보 또한 공급자 및 수요자수집과정(S200)의 처리과정에 의해 수집되어 이미지거래DB(150)의 공급자DB(151)에 저장된다. 그리고 공급자에 의해 등록되는 이미지콘텐츠 또는 콘텐츠DB(153)에 등록된다.
이러한 수요자거래요청과정(S301)과 공급자거래요청과정(S303)은 콘텐츠거래부(120)와 인터넷서비스부(140)의 연동작업에 의해 수행된다.
상술한 수요자거래요청과정(S301)과 공급자거래요청과정(S303)에 의해 등록된 거래요청정보는 콘텐츠거래부(120)에 의해 일정한 방식으로 분류되어 등록되는 분류과정(S30, 도 7 참조)이 수행된다.
도 7은 콘텐츠분류, 수요자 공급자 분류, 거래요청정보 등의 등록을 위한 상세 분류과정(S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콘텐츠수집부(110), 콘텐츠거래부(120) 또는 인터넷서비스부(140)는 콘텐츠의 자동 검색, 수요자단말기(200) 또는 공급자단말기(300)로부터의 정보 입력이 있는 경우 수집된 정보를 분류기준DB(154)를 참조하여 분류한다.
구체적으로, 도 7과 같이, 수집된 이미지콘텐츠, 수요자 또는 공급자의 회원등록정보 또는 거래요청정보를 분석하는 정보분석과정(S31)을 수행한다.
정보분석이 수행된 후에는 이미지거래DB(150)에 저장된 분류기준과 비교하여 분류기준을 설정하는 분류기준설정과정(S33)을 수행한다.
이 후 검색의 편의를 위해 분류된 정보들에 대하여 정보분류인덱스(Index)를 부여하는 정보분류인덱싱과정(S35)을 수행한 후 이미지콘텐츠, 수요자 또는 공급자정보, 거래요청자 정보, 거래요청 정보 등의 정보를 거래요청자데이터파일로 생성하(S37)여 이미지거래DB(150)에 등록저장한다.
수요자거래요청과정(S301)과 공급자거래요청과정(S303)에 의해 거래요청 정보가 수집되면, 콘텐츠거래부(213)는 이미지거래DB(150)를 검색하여 거래요청정보, 수요자와 공급자 정보, 거래요청 콘텐츠정보를 검색하는 거래요청정보검색과정(S305)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분류과정(S30) 및 거래요청정보검색과정(S305)이 수행된 후에는 거래요청에 따른 이미지거래과정(S307)이 수행된다.
상기 이미지거래과정(S307)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홍보과정(S310)과 거래의 내용에 따라 실제 거래를 처리하는 매매과정(S320), 입찰과정(S330), 역경매과정(S340)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홍보과정(S310)은 매매, 입찰, 역경매 등의 거래요청이 수집된 경우 거래요청정보검색과정(S305)에서 검색된 거래 대상 수요자 또는 공급자들에게 이메일, 문자메시지 등의 방법으로 거래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것에 의해 이미지거래참여를 유도하는 과정이다.
도 8은 상기 홍보과정(S310)의 상세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홍보과정(S310)은 거래요청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공급자DB(151)와 수요자DB(152) 및 거래정보DB(155)에서 배포대상자를 검색하는 배포대상자검색과정(S311)을 수행한다.
배포대상자가 검색된 후에는 배포대상자에게 거래요청 이미지, 계약조건, 유형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및 거래대상 이미지에 대한 선택화면을 이메일 또는 푸쉬기능을 수행하여 배포대상자의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공급자단말기(300)로 전송하거나, 배포대상자의 접속시 단말기 화면으로 출력하여 주는 배포과정(S313)을 수행한다.
상기 배포과정(S313)이 수행된 후에는 관심자가 미리 구매 또는 판매를 선택하여 거래를 선점할 수 있고, 일정 시간 동한 결제를 보류할 수 있도록 거래 선점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거래 선점자를 순차적으로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상기 매매과정(S320)은 인터넷서비스부(140)가 접속한 수요자단말기(200)에게 공급자가 판매 요청한 이미지를 표시한 후 수요자의 선택에 따라 콘텐츠거래부(120)의 매매모듈(121)에 의해 이미지의 구매 또는 판매를 수행하는 과정이다.
도 9는 매매를 위한 매매인터페이스화면(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요자가 수요자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이미지거래서버(100)에 접속한 경우 인터네서비스부(140)가 수요자단말기(200)에 출력되는 매매인터페이스화면(20)을 출력한다.
공급자가 판매를 위해 등록한 이미지콘텐츠는 이미지콘텐츠화면(21)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선택버튼(찜하기)(21)를 이용하여 거래선점을 수행하거나, 바로구매하기버튼(22)을 이용하여 바로 구매를 수행하거나, 결제버튼(24)를 이용하여 거래선점된 이미지콘텐츠에 대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가 수행된 이미지콘텐츠에 대하여는 이미지거래서버(100)가 다운로드 가능하게 하거나, 결제를 수행한 수요자단말기(100)로 전송하고, 거래가 체결되었음을 거래정보DB(155)에 등록한다.
상기 입찰과정(S330)은 공급자의 입찰 거래요청에 의해 콘텐츠거래부(120)의 입찰모듈(123)이 수행한다.
상기 입찰과정(S330)은 공급자가 거래요청 시 이미지콘텐츠에 입찰(경매) 방식의 거래를 선택하면 입찰모듈(123)에 의해 수행된다.
입찰과정(S330)이 수행되면 콘텐츠거래부(120)는 홍보과정(S310)을 통해 입찰과정이 진행됨을 통보한다.
이 후, 입찰에 참여를 통보받은 수요자들은 이미지거래서버(100)에 접속하여 입찰이 등록된 이미지파일을 검색한 후 해당 이미지에 대한 구매 가격을 기입하는 것에 의해 입찰에 참여한다.
콘텐츠거래부(120)는 입찰 기한 내에 수집된 입찰참여 정보 중 최고 가격을 기입한 수요자를 낙찰자로 결정하고 결제처리를 수행하여 입찰과정(S330)의 이미지거래를 성사시킨다.
상기 역경매과정(S340)은 수요자가 원하는 이미지의 제공을 역경매 방식으로 요청하는 거래요청정보에 의해 콘텐츠거래부(120)의 역경매모듈(125)에 의해 수행된다.
도 10은 역경매과정(S340)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수요자가 입력한 자신이 필요한 이미지의 유형, 가격, 사용처, 거래내역(라이센스 거래, 기술협력, 콘텐츠 기술지도, 콘텐츠 개발 등), 서비스 공급 조건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역경매 거래요청을 이미지거래서버(100)가 수신하여 역경매를 등록하는 역경매신청과정(S341)이 수행된다.
역경매신청과정(S341)이 수행된 후 상기 역경매모듈(125, 도 2 참조)은 공급자DB(151)로부터 역경매 대상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공급자를 검색하는 공급자검색과정(S342)을 행한다.
공급자검색과정(S342)이 수행된 후에는 검색된 공급자에게 역경매정보를 전송하는 공급자통보과정(S343)을 수행한다.
공급자통보과정(S343)에 의해 공급자들이 역경매에 참여하여 입찰을 신청하면 역경매모듈(125)은 입찰참여 공급자, 입찰 내용을 포함하는 입찰참여 정보를 수요자에게 통보하는 수요자입찰결과통보과정(S345)을 수행한다.
수요자입찰결과통보과정(S345)에서 전송된 입찰참여 정보에 의해 수용자가 공급자를 선택하는 경우 이미지거래서버(100)의 결제처리부(130)에 의해 결제를 수행하는 역경매결제과정(S346)을 처리하는 것에 의해 역경매과정(S340)이 수행된다.이 과정에서 역경매의 낙찰에 따른 공급계약서 등이 온라인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100: 이미지거래서버, 200: 수요자단말기, 300: 공급자단말기
400: 결제서버

Claims (10)

  1. 온라인 상에서 이미지콘텐츠를 수집하는 콘텐츠수집부;와,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거래부;와,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온라인 결제를 결제서버와 연동하여 처리하는 결제처리부;와,
    온라인 이미지거래서비스를 인터넷 상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인터넷접속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서비스부;와,
    공급자정보와 수요자정보와 이미지콘텐츠와 거래정보와 분류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거래데이터베이스(이미지거래DB) 및 통신망을 통한 인터넷 접속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한 이미지거래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수집부는,
    온라인 상의 이미지를 검색하여 자동으로 수집하는 이미지검색엔진으로서의 자동검색모듈;과,
    공급자들이 수동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등록모듈;과,
    수집된 이미지콘텐츠 관련정보를 분류하여 이미지거래DB에 저장하는 분류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동검색모듈은,
    온라인 상에 등록된 이미지 중 이미지거래DB에 등록되지 않은 새로운 이미지콘텐츠들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모듈;과,
    적법한 절차에 의해 이미지 등록을 받을 수 있도록 블로그, 카페, 로그인이 필요한 웹사이트에 자동 회원 가입을 수행하고, 이 후의 접속시에는 자동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회원가입모듈;과,
    회원가입이 초기 수행된 사이트의 관리자에게로 메일 등에 이미지수집동의요청서를 첨부하여 발송하는 것에 의해 이미지 수집에 대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법적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수집동의요청모듈;과,
    모니터링부에서 검색한 새로운 이미지콘텐츠 중 회원가입이 수행되어 적법한 이미지 수집 권한이 부여된 이미지콘텐츠를 수집하는 이미지수집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이미지 거래 서비스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거래부는,
    콘텐츠의 수요자와 공급자 사이의 매매를 수행하는 매매모듈;과,
    입찰에 의한 거래를 수행하는 입찰모듈;과,
    역경매를 수행하는 역경매모듈;을 포함하여,
    매매, 입찰, 역경매 등의 이미지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이미지 거래 서비스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거래DB는,
    상기 온라인등록모듈의 의한 등록정보, 인터넷서비스부를 통한 공급자회원 가입, 이미지거래 공급자로서의 등록 등에서 등록되는 공급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공급자DB;와,
    인터넷서비스부를 통해 등록되는 수요자 회원가입 정보, 이미지거래 수요자로서의 등록 등에서 등록되는 수요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수요자DB;와,
    콘텐츠분류기준에 따라 콘텐츠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콘텐츠, 공급자들이 등록한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콘텐츠DB;와,
    수집된 이미지콘텐츠, 공급자정보, 수요자정보 중 하나 이상을 분류하는 기준을 저장하는 분류기준DB;와,
    각각의 콘텐츠, 수요자, 공급자별로 수행한, 이미지콘텐츠의 구매, 판매, 입찰, 역경매 중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저장하는 거래정보D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이미지 거래 서비스 장치.
  6. 이미지거래서버의 자동검색모듈, 인터넷서비스부, 콘텐츠거래부 또는 분류모듈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이미지콘텐츠를 수집하는 콘텐츠수집과정;과,
    인터넷서비스부를 이용한 회원가입 정보, 이미지거래요청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입력되는 공급자와 수요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공급자 및 수요자수집과정;과,
    수집된 이미지콘텐츠를 이용하여 수요자와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매매, 입찰, 역경매 중 하나 이상의 이미지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거래서비스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이미지 거래 서비스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거래서비스과정은,
    이미지거래의 수행을 위해 수요자들이 수요자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수요자거래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수요자거래요청과정;과,
    이미지거래의 수행을 위해 공급자들이 공급자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공급자거래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공급자거래요청과정;과,
    상기 수요자거래요청과정과 공급자거래요청과정에 의해 등록된 거래요청정보를 콘텐츠거래부에 의해 일정한 방식으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분류과정;과,
    상기 분류과정에 의해 등록된 거래요청정보를 검색하는 거래요청정보검색과정;과,
    상기 거래요청정보검색과정의 거래요청정보에 따라 온라인 이미지거래를 수행하는 이미지거래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이미지 거래 서비스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거래과정은,
    매매, 입찰, 역경매 중 하나 이상의 거래요청이 있는 경우 거래 대상 수요자 또는 공급자들에게 거래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홍보과정;과,
    콘텐츠거래부의 매매모듈이 공급자가 판매 요청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수요자의 선택에 따라 이미지의 매매를 수행하는 매매과정;과,
    공급자의 입찰 거래요청에 의해 콘텐츠거래부의 입찰모듈이 공급자의 이미지에 대한 입찰을 수행하는 입찰과정;과,
    수요자가 요청한 거래요청정보에 따라 콘텐츠거래부의 역경매모듈이 공급자의 역경매 입력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수요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역경매를 수행하는 역경매과정;을 포함하여,
    상기 거래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매매과정, 입찰과정 또는 역경매과정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이미지 거래 서비스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홍보과정은,
    거래요청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공급자DB, 수요자DB 또는 거래정보DB 중 하나 이상에서 배포대상자를 검색하는 배포대상자검색과정;과,
    배포대상자가 검색된 후에는 배포대상자에게 거래요청 이미지, 계약조건, 유형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및 거래대상 이미지에 대한 선택화면을 이메일 또는 푸쉬기능을 수행하여 배포대상자에게 배포하는 배포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이 이미지 거래 서비스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역경매과정은,
    수요자가 입력한 자신이 필요한 이미지의 유형, 가격, 사용처, 거래내역(라이센스 거래, 기술협력, 콘텐츠 기술지도, 콘텐츠 개발 등), 서비스 공급 조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역경매 거래요청을 이미지거래서버가 수신하여 역경매를 등록하는 역경매신청과정;과,
    상기 역경매신청과정이 수행된 후 역경매모듈이 공급자DB로부터 역경매 대상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공급자를 검색하는 공급자검색과정;과,
    상기 공급자검색과정에서 검색된 공급자에게 역경매정보를 전송하는 공급자통보과정;과,
    상기 공급자통보과정에 의해 공급자들이 역경매에 참여하여 입찰을 신청하면 역경매모듈이 입찰참여 공급자, 입찰 내용을 포함하는 입찰참여 정보를 수요자에게 통보하는 수요자입찰결과통보과정;과,
    상기 수요자입찰결과통보과정에서 전송된 입찰참여 정보에 의해 수용자가 공급자를 선택하는 경우 결제처리부에 의해 결제를 수행하는 역경매결제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이미지 거래 서비스 방법.
KR1020120035811A 2012-04-06 2012-04-06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13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811A KR20130113569A (ko) 2012-04-06 2012-04-06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811A KR20130113569A (ko) 2012-04-06 2012-04-06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569A true KR20130113569A (ko) 2013-10-16

Family

ID=4963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811A KR20130113569A (ko) 2012-04-06 2012-04-06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35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391A (ko) 2015-03-19 2016-09-28 정호재 태깅 기반 이미지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216335B1 (ko) * 2020-07-10 2021-02-17 김유철 디지털 컨텐츠 플랫폼에서 디지털 컨텐츠 수요자의 요청에 대응되는 특정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2399801B1 (ko) * 2021-12-22 2022-05-19 주식회사 유시스 드론 온라인 매칭 서비스 플랫폼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391A (ko) 2015-03-19 2016-09-28 정호재 태깅 기반 이미지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216335B1 (ko) * 2020-07-10 2021-02-17 김유철 디지털 컨텐츠 플랫폼에서 디지털 컨텐츠 수요자의 요청에 대응되는 특정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2399801B1 (ko) * 2021-12-22 2022-05-19 주식회사 유시스 드론 온라인 매칭 서비스 플랫폼 및 그 방법
KR102444508B1 (ko) * 2021-12-22 2022-09-19 주식회사 유시스 드론 온라인 매칭 서비스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9530B2 (ja) 情報処理方法
US86503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healthcare industry channels in an IP marketplace
US87516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hannel promotions in an IP marketplace
US200601121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management
JP2018538639A5 (ko)
US201201308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vertical silos in an ip marketplace
CA2884693A1 (en) Property rights management platform
US201202657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p zone credentialing
KR20130113569A (ko) 온라인 이미지거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US20140214507A1 (en) Referral affiliate buyout system and method
KR20080030202A (ko) 블로그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 홍보 방법 및 상품 판매 시스템
US201100549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standards-based journalism marketplace
KR2014001586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저작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Taherdoost E-Business Essentials: Building a Successful Online Enterprise
US201403371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n ipr market
EP26749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P zone credentialing
Verma et al.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ERM): Procurement Policies, Issues and Challenges in Indian Libraries
WO20151195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uplicating an intellectual property transaction deal room
EP26469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marketing channels in an ip marketplace
Ball A new model for procuring e-books
Suseela E-Commerce Trends in the Dissemination of Scholarly Information: Impact on modern hybrid and digital libraries in India
JP2004157928A (ja) 古書籍流通支援システム、古書籍流通支援システムを利用したビジネス方法、及び、古書籍流通支援プログラム
EP26749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P zone intelligent sugges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