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706A - 조립식 연통 - Google Patents

조립식 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706A
KR20220009706A KR1020200088257A KR20200088257A KR20220009706A KR 20220009706 A KR20220009706 A KR 20220009706A KR 1020200088257 A KR1020200088257 A KR 1020200088257A KR 20200088257 A KR20200088257 A KR 20200088257A KR 20220009706 A KR20220009706 A KR 20220009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refabricated
present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효식
Original Assignee
오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효식 filed Critical 오효식
Priority to KR1020200088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9706A/ko
Publication of KR20220009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23J11/02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originating from various locations to the outside, e.g. in locomotive sheds, in gar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1Joints; Connections between stack and branch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연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로나 연소기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으며, 연통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각 부분을 착탈할 수 있어 보관시 부피를 줄여주며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조립식 연통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난로 또는 연소기에 연결되는 조립식 연통에 있어서, 단위부재를 상하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단위부재는 한 쌍의 연통 몸체를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통 몸체는 다수의 측판이 서로 일정 각도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연통{prefabricated stovepipe}
본 발명은 조립식 연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로나 연소기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으며, 연통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각 부분을 착탈할 수 있어 보관시 부피를 줄여주며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조립식 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펠릿(pellet)이란 식물이나 나무를 톱밥과 같은 작은 입자 형태로 분쇄, 건조하여 별도의 접착제 없이 작고 일정한 크기로 압축하여 작은 알갱이 모양으로 성형한 제품으로, 난방 및 발전용 연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펠릿은 연소 시 유해가스를 배출하지 않음으로써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친환경 청정 에너지원으로, 이는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써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연료이다.
또한, 이러한 펠릿은 무연탄과 유사한 발열량을 내면서 발화점이 낮고 사용이 간편하며,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난방용 연료로 사용되는 경유나 무연탄을 대신할 경우에 연료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펠릿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나 난방기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펠릿 난로의 일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8540호에 기재된 기술이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연료탱크(11)의 하부에 회전되는 스크류(31)가 내장된 연료공급관(30)과 호퍼(12)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점화부(23)에 연결되며 양측 끝부분이 각각 팬(F)과 연소부(20)에 조립된 상태로 상면에 여러 개의 구멍(41a)이 형성된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내부에 삽입되며 일측이 점화부(23)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내부에 히터(42a)가 장착되는 제1유도관(42)과 상기 몸체(41)의 내부에 삽입되며 일측이 점화부(23)의 저면에 위치되는 제2유도관(43) 및 상기 몸체(41)에 형성된 구멍(41a)으로부터 유출되는 바람을 상부의 연료공급관(30)측으로 유도시켜 연료공급관(30)의 열전도를 방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커버(50)로 이루어진 공기유입관(40)과 팬(F)이 형성된 연료공급부(10); 상기 연료공급부(10)와 근접되게 형성되는 연소실(21)의 하부에 공기유입관(40)의 일측이 연결되며 바닥면(23a)과 측면(23b)에 여러 개의 구멍(23a', 23b')이 형성되어 공기유입관(40)으로부터 유입되는 바람이 원활하게 유입되게 형성하며 상부에 측면(23b)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차단벽(23c)이 일체로 형성된 점화부(23)가 형성되며 상부에 여러 개의 격벽(22)과 연통(24)을 갖는 연소부(20); 상기 연료공급부(10)에 조립되는 제어부(미도시)와 이를 조절하는 여러 개의 스위치(61)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된 콘트롤러(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8540호에 기재된 기술은 펠릿이나 목재칩등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난로에 있어서 에너지원의 공급을 막힘과 변형없이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연통의 구성이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연통의 길이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맞춤 제작을 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체 부피가 커져 운반 및 보관을 어렵게 하므로 이동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8540호(2010.04.14.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271748호(2013.05.30.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난로 또는 연소기에 설치하는 연통으로서 다수의 단위부재를 상하 조립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연통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적절하게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연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통을 구성하는 단위부재는 한 쌍의 연통 몸체를 조립하여 형성되되, 연통 몸체의 일측에는 경첩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경첩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자석을 설치하여 자력에 의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설치와 분해를 용이하게 하며 분해시 부피를 큰차이로 줄일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조립식 연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립식 연통에 있어서, 단위부재를 상하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부재는 한 쌍의 연통 몸체를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통 몸체는 다수의 측판이 서로 일정 각도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통 몸체의 일측 측판의 측단 내측면에는 경첩의 일측이 고정 결합되고, 타측 측판의 측단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는 상기 경첩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고정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측판의 하부 내측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제1삽입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판의 하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측판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각 측판의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최상단에 위치하는 단위부재의 상부에는 방향전환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향전환부재는 다수의 측판이 서로 일정각도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전환 몸체와 상기 전환 몸체의 상부에는 커버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지고, 각 측판에는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난로 또는 연소기에 설치하는 연통으로서 다수의 단위부재를 상하 조립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연통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적절하게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통을 구성하는 단위부재는 한 쌍의 연통 몸체를 조립하여 형성되되, 연통 몸체의 일측에는 경첩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경첩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자석을 설치하여 자력에 의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설치와 분해를 용이하게 하며 분해시 부피를 큰차이로 줄일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펠릿 난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펠릿 난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연소부의 개념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고정판의 평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회전판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공급부와 가이드관의 결합부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른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난로부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른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난로부와 연소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의 단위부재의 분리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부재의 분리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의 방향전환부재의 분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의 연통 몸체를 적층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난방 몸체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난방 몸체의 평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연통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의 분리된 상태의 연통 몸체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연소부의 개념도이고,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고정판의 평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회전판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공급부와 가이드관의 결합부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른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난로부의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른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난로부와 연소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의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의 단위부재의 분리된 개념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부재의 분리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방향전환부재의 분래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의 연통 몸체를 적층한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난방 몸체의 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조립식 연통이 설치된 펠릿 난로의 난방 몸체의 평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연통의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연통의 분리된 상태의 연통 몸체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펠릿 난로 또는 연소기에 설치되는 조립식 연통에 관한 것으로, 우선 펠릿 난로에 대해 살펴보면,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연료를 연소하는 연소부(100)와 상기 연소부(1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난로부(200)와 상기 난로부(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연통(4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소부(100), 난로부(200) 및 연통(400)은 서로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부피를 줄여주어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운반시에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부(100)는 외측을 형성하는 외통(110)과 상기 외통(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통(130)과 상기 내통(130)의 상부를 상하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관(1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통(130)은 외통(110)의 내측에 구비되는데, 상기 내통(130)의 상부는 상기 외통(1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관(140)이 내통(130)의 상부를 상하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연료를 내통(130)의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가이드관(140)을 통하여 내통(130)의 내측으로 펠릿 등과 같은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내통(130)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관(140)이 상하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상판(136)이 구비되는데, 상기 상판(136)의 양측부는 내통(130)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난로부(200)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상판(136)의 가장자리 하부를 지지하도록 지지턱(232)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턱(232)의 상부에는 가이드홈(234)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136)의 돌출된 측부가 삽입됨으로써, 난로부(200)와 연소부(100)가 용이하게 착탈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기 난로부(200)는 상기 지지턱(232)의 사이에 상하 관통하도록 제1통공(218)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136)의 일측에는 상기 제1통공(218)에 대응되도록 제2통공(137)이 형성되어 연소부(100)에서 생성된 열기를 난로부(200)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통(130)의 하부에는 하판(132)이 구비되어 내통(130)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지지하게 되며, 상기 하판(132)의 상면에는 스플리터(13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플리터(135)는 그 단면에 상부가 뾰족한 다각형 또는 원추형상의 뿔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관(14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가이드관(140)을 통하여 공급되는 연료가 상기 스플리터(135)에 의해 양측으로 분산되어 하판(132)의 상면에 고르게 펼쳐지게 된다.
한편, 상기 하판(132)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하 관통되도록 절개부(미도시)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부의 크기는 연료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연료가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판(132)의 하부에는 수거부재(134)가 서랍식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내통(130)의 하단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부재(133)이 형성되어 상기 수거부재(134)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거부재(134)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연소된 연료의 재가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하방으로 떨어져 상기 수거부재(134)의 내측에 쌓이게 되며, 상기 수거부재(134)는 외통(1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수거부재(134)를 인출하여 내부에 쌓여있는 재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판(13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통(130)의 하부에 고정설치 될 수도 있고, 상기 수거부재(134)처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수거부재(134)를 인출한 후, 하판(132)을 인출하여 내부의 재를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통(130)의 외측에는 외통(110)이 구비되는데, 상기 외통(110)의 하면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부(1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유량 조절부(120)는 상기 외통(1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되 는 고정판(121)과 상기 고정판(121)의 하부에 고정판(12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124)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고정판(121)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제1통기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124)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2통기공(1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121)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원호 형상으로 상하 관통되는 가이드공(12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124)의 가장자리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공(123)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126)가 설치되어 회전판(124)의 회전하는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회전판(124)의 일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127)를 사용하여 회전판(124)을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판(121)의 제1통기공(122)과 제2통기공(125)의 겹치는 정도에 따라 외측과 연통되는 공간의 정도를 조절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내통(130)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제3통공(131)을 통하여 내통의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관(140)의 상부에는 공급부(30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공급부(300)의 내측에는 연료가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관(140)을 통하여 연소부(100)로 연료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300)의 하부에는 연료를 가이드관(140)으로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330)가 형성되는데, 상기 투입구(330)의 내측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내측 지지판(332)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관(140)의 상단 외측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외측 지지판(142)이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가이드관(140)의 상부에 공급부(300)를 결합할 때, 상기 내측 지지판(332)이 가이드관(14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측면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외측 지지판(142)은 투입구(330)의 외측면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공급부(300)를 가이드관(140)의 상부에 끼우는 과정 만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관(140)의 상부 일측에는 가이드관(140)을 관통하도록 차단부재(144)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관(140)의 상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연료의 차단 및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소부(100)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는 난로부(200)의 일측 단부와 상기 공급부(300)의 사이에는 흔들림 방지부(26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흔들림 방지부(260)는 상기 난로부(20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262)과 상기 공급부(300)의 일측에 상기 지지브라켓(262)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걸침브라켓(31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난로부(200)에 설치된 지지브라켓(262)의 상부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제2절곡부(263)의 내측에 상기 공급부(300)에 설치된 걸침브라켓(312)의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절곡부(314)가 삽입됨으로써, 공급부(3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난로부(200)는 상기 연소부(13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난로부(200)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난방 몸체(210)와 상기 난방 몸체(2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도어(220)와 상기 난방 몸체(210)의 일측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다리(2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어(220)는 난방 몸체(210)의 일측에 경첩을 사용하여 설치되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220)를 통하여 내측에 요리 재료를 수용할 수 있어 오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난방 몸체(210)의 내측에는 칸막이(212)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칸막이(212)는 난방 몸체(210)의 공간을 분할하도록 설치되어 연소부(100)에서 공급되는 열기가 상기 칸막이(212)에 막혀 연통(400)까지의 이동거리가 길어지도록 하여 보다 많은 열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연소부(100)를 연결하지 않고 난로부(200)만으로 난방 및 오븐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칸막이(212)는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칸막이(212)의 일측에는 난방 몸체(210)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면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점검창(240)이나 단부에 구비되는 도어(220)를 통하여 연료를 주입하여 연소시키게 되며, 칸막이(212)의 타측에는 상기 도어(220)를 통하여 식재료를 수용하여 오븐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칸막이(212)의 상단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열기가 용이하게 타측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창(240)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보다 용이하게 개폐할 수도 있으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부(100)의 상부에 연결되는 난방 몸체(210)의 내측면에는 반사판(27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212)의 표면을 반사가 잘되도록 코팅하여 연소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빛이 상기 반사판(270) 및 칸막이(212)에 의해 상기 점검창(240)으로 조사되도록 하여 어두운 곳에서 조명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난로부(200)를 구성하는 난방 몸체(210)의 일측면에는 연통지지부(216)가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연통지지부(216)는 난방 몸체(210)의 내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통지지부(216)의 상부에는 연통(400)이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지지부(216)은 난방 몸체(210)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통(400)은 상하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단위부재(410)와 최상단의 단위부재(4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배출되는 연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재(43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하로 착탈되는 단위부재(410)는 한 쌍의 연통 몸체(420)가 연결되도록 조립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연통 몸체(420)는 다수의 측판(421)이 서로 일정 각도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판(42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3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통 몸체(420)를 구성하는 일측 단부의 측판(421)의 측단 내측면에는 경첩(422)의 일측이 고정 결합되고, 타측 단부의 측판(421)의 측단 외측면또는 내측면에는 경첩(42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고정자석(423)이 설치된다.
그래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통 몸체(420)를 서로 결합할 때, 경첩(422)의 타측부가 인접한 측판(421)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측판(421)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설치되는 고정자석(423)에 의해 경첩(422)의 타측부가 고정되어 한 쌍의 연통 몸체(420)가 단위부재(410)로 조립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 몸체(420)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요철(428)이 형성되는데, 상기 요철(428)은 인접한 연통 몸체(420)가 서로 끼워질 수 있도록 어긋나게 형성되어 고정자석(423) 및 경첩(422)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 몸체(420)를 구성하는 각 측판(421)의 하단 내측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제1삽입판(424)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1삽입판(424)의 하단 중심부에는 걸림홈(4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측판(421)의 상단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걸림부재(426)가 형성되는데, 상기 단위부재(410)를 상하 연결할 때, 상부에 위치하는 단위부재(410)의 제1삽입판(424)이 하부에 위치하는 단위부재(4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부재(426)가 걸림홈(425)에 삽입되어 상하로 위치하는 단위부재(410)가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426)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지고 측판(421)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자석부재(427)를 고정하는 고정볼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재(426)가 걸림홈(425)에 삽입되어 지지하게 되며 상기 제1삽입판(424)은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자력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부재(410)의 외측에는 연통 몸체(420)의 형상에 따라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보강부재(429)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재(429)의 양단부는 상기 자석부재(427)에 부착되어 인접한 연통 몸체(420)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통(400)의 상단을 형성하는 방향전환부재(430)는 다수의 측판(441)으로 이루어지는 전환 몸체(440) 한 쌍을 조립하여 형성되고, 상부에는 커버부재(443)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환 몸체(440)를 구성하는 일측 단부의 측판(441)의 측단 내측면에는 경첩(444)의 일측이 고정 결합되고, 타측 단부의 측판(441)의 측단 외측면에는 경첩(444)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고정자석(445)이 설치되어 한 쌍의 전환 몸체(440)이 전술한 단위부재(410)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전환 몸체(440)를 구성하는 각 측판(441)의 하단 내측에는 제2삽입판(446)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삽입판(446)의 하단 중심부에는 걸림홈(447)이 형성되어 상기 단위부재(410)의 상부에 결합될 때, 걸림부재(426)가 상기 걸림홈(447)에 삽입되고, 상기 제2삽입판(446) 역시 자석에 부착될 수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측판(421)의 외측면에 설치된 자석부재(427)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각 구성들은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고, 분해한 상태에서는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야외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환 몸체(440)를 구성하는 측판(441)에는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배출구(442)가 형성되어 연통(400)을 통하여 이동하는 연기를 측방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립식 연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로나 연소기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으며, 연통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각 부분을 착탈할 수 있어 보관시 부피를 줄여주며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조립식 연통에 관한 것이다.
100 : 연소부 110 : 외통
120 : 유량 조절부 130 : 내통
140 : 가이드관
200 : 난로부 210 : 난방 몸체
220 : 도어 240 : 점검창
250 : 다리
260 : 흔들림 방지부 300 : 공급부
310 : 공급 몸체 320 : 뚜껑
330 : 투입구 400 : 연통
410 : 단위부재 420 : 연통 몸체
430 : 방향전환부재 440 : 전환 몸체

Claims (8)

  1. 조립식 연통에 있어서,
    단위부재를 상하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부재는 한 쌍의 연통 몸체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몸체의 일측 측판의 측단 내측면에는 경첩의 일측이 고정 결합되고,
    타측 측판의 측단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는 상기 경첩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고정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통.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판의 하부 내측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제1삽입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판의 하단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측판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판의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통.
  7. 제1항에 있어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단위부재의 상부에는 방향전환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재는 다수의 측판이 서로 일정각도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전환 몸체와 상기 전환 몸체의 상부에는 커버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지고,
    각 측판에는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통.
KR1020200088257A 2020-07-16 2020-07-16 조립식 연통 KR20220009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257A KR20220009706A (ko) 2020-07-16 2020-07-16 조립식 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257A KR20220009706A (ko) 2020-07-16 2020-07-16 조립식 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706A true KR20220009706A (ko) 2022-01-25

Family

ID=8004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257A KR20220009706A (ko) 2020-07-16 2020-07-16 조립식 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970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40Y1 (ko) 2009-05-20 2010-04-21 오영덕 펠릿 난로
KR101271748B1 (ko) 2012-11-19 2013-06-10 제이에스바이오에너지 주식회사 펠렛난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40Y1 (ko) 2009-05-20 2010-04-21 오영덕 펠릿 난로
KR101271748B1 (ko) 2012-11-19 2013-06-10 제이에스바이오에너지 주식회사 펠렛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3358A (en) Pellet fuel burner for heating and drying systems
US10995945B2 (en) Biomass pellet combustion system
US9995489B2 (en) Pellet stove
RU132530U1 (ru)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котел длительного горения
EP1826483A2 (en) Combustion method and combustion device
KR101306785B1 (ko) 펠렛 히터
RU2372555C2 (ru) Горелка на древесном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м топливе
KR20220009706A (ko) 조립식 연통
KR101346914B1 (ko)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KR101681306B1 (ko) 복합 보일러
KR20220009702A (ko) 펠릿 난로
KR102297258B1 (ko) 유해연소가스를 제거 가능한 펠릿 난로
RU182455U1 (ru) Водогрейный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котел длительного горения
KR101349913B1 (ko) 펠렛 보일러용 공기 분산형 연소장치
KR101861205B1 (ko) 고형연료 난로
KR101346870B1 (ko) 펠릿 보일러용 건 타입 버너
KR102023110B1 (ko) 화목 펠릿 난로
RU183190U1 (ru) Водогрейный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котел длительного горения
CN202303472U (zh) 燃烧颗粒燃料的灶台式水暖锅炉
KR20100006637U (ko) 다목적 하향식 화목연소장치
RU183192U1 (ru) Водогрейный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котел длительного горения
RU2003137603A (ru) Теплогенератор
EA012814B1 (ru) Печь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и обогрева
RU183159U1 (ru) Водогрейный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котел длительного горения
CZ304324B6 (cs) Spalovací zařízen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