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613A - 수중 양식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양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613A
KR20220009613A KR1020200087996A KR20200087996A KR20220009613A KR 20220009613 A KR20220009613 A KR 20220009613A KR 1020200087996 A KR1020200087996 A KR 1020200087996A KR 20200087996 A KR20200087996 A KR 20200087996A KR 20220009613 A KR20220009613 A KR 20220009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derwater
present
sea
sea squi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208B1 (ko
Inventor
유원기
이혜령
유사랑
유현정
Original Assignee
유원기
이혜령
유사랑
유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기, 이혜령, 유사랑, 유현정 filed Critical 유원기
Priority to KR1020200087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20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9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중지반에 설치되는 지지받침과, 상기 지지받침의 일측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협하광의 통형상으로서 상하부 일측이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 타측 및 측면 일측이 개방된 회전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의 개방된 측면 일측에 설치되고 내외면에 양식대상물이 부착되는 채묘시트를 포함하는 양식회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멍게의 양식면적이 충분하게 제공됨에 따라 기존 방식보다 더 크고 둥근 멍게를 수확할 수 있으며, 장기간 양식하더라도 고밀도에 따른 멍게의 폐사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한 조류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부착된 멍게가 쉽게 탈락되거나, 양식장치가 쉽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중 양식장치{a submerged type apuaculture apparatus}
본 발명은 수중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멍게의 양식면적을 충분히 제공함과 아울러 강한 조류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수중 양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멍게의 양식방식은 말목식, 뗏목식, 연승수하식이 있다.
여기서, 말목식은 연안의 깊이가 얕은 곳에서 두 줄의 말목을 박고 그 위에 옆으로 나무를 걸친 후, 이 나무에 수하연을 늘어뜨려 양식하는 방법으로 간이수하식이라고도 한다.
뗏목식은 해수면에 뜸통이 부착된 뗏목을 띄우고, 뗏목에 수하연을 매달아 양식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말목식의 경우 내파성이 약하여 양식할 수 있는 지역이 연안에 한정되고, 뗏목식의 경우 시설비가 많이 들어 양식 초기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 방식이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연안 뿐 아니라 외해에서도 시설할 수 있는 연승수하식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승수하식 방식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연승수하식 방식은 해수면에 복수개의 부이(100)와 연결된 메인로프(200)의 양단을 해저면에 말목으로 고정하고, 메인로프(200)에 소정 간격으로 수하연로프(300)을 설치한다.
그리고, 수하연로프(300)에 멍게 종자(400)를 별도의 실로 감아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하고, 이를 해저에 투하하여 일정 기간 동안 양식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연승수하식 방식은 멍게 종자(400)가 좁은 수하연로프(300)에서 성장하므로 양식면적이 부족하여 길쭉하게 자라면서 최고 3년이 되면 더 이상 성장할 공간이 없어 무조건 출하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부족한 양식면적으로 인해 부착영역이 작으므로 강한 조류의 흐름에 의한 충격으로 부착된 멍게가 쉽게 탈락되어 안정적인 양식이 곤란한 실정이며, 탈락된 멍게가 해저에 폐사되어 연안 어장을 오염시키는 환경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여름철의 경우, 해수면과 가까이 위치한 멍게들이 높은 수온으로 인해 폐사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멍게의 충분한 양식면적을 제공함과 아울러 강한 조류의 흐름에도 멍게가 쉽게 탈락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하는 양식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멍게의 양식면적을 충분히 제공함과 아울러 강한 조류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수중 양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중지반에 설치되는 지지받침과, 상기 지지받침의 일측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협하광의 통형상으로서 상하부 일측이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 타측 및 측면 일측이 개방된 회전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의 개방된 측면 일측에 설치되고 내외면에 양식대상물이 부착되는 채묘시트를 포함하는 양식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양식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양식회전체는 상부 타측이 개방되어 상하부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받침은 적어도 일측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받침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받침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돌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하우징 또는 상기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날개를 포함하는 임펠러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멍게의 양식면적이 충분하게 제공됨에 따라 기존 방식보다 더 크고 둥근 멍게를 수확할 수 있으며, 장기간 양식하더라도 고밀도에 따른 멍게의 폐사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한 조류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부착된 멍게가 쉽게 탈락되거나, 양식장치가 쉽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승수하식 방식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의 정면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1)는 특히 멍게와 같은 양식대상물을 양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0) 및 양식회전체(2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수중지반에 설치되어 수중 양식장치(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지지받침(11) 및 지지대(12)를 포함한다.
지지받침(11)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과 4개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플레이트(11a)와, 이들 간을 상호 연결하는 막대 형상의 연결프레임(11b)을 포함하며, 연결프레임(11b) 간에는 다수개의 제 1 개구(S1)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1)는 지지받침(11)에 형성된 제 1 개구(S1)를 통해 후술하는 채묘시트(22)에 부착된 멍게의 배설물이 수중지반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멍게의 배설물을 먹이로 하는 해삼 등과 같은 다양한 해양생물을 복합 양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1a)의 저면 일측에는 수중지반에 삽입되는 지지돌기(30)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1a)의 상면 일측에는 측면 둘레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만곡진 홈부(41)가 형성된 연결돌기(40)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돌기(30)는 지지받침(11)을 수중지반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원뿔 또는 다각뿔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돌기(40)는 복수의 수중 양식장치(1)가 설치되는 경우, 인접하는 수중 양식장치(1) 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프의 설치영역을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수중 양식장치(1)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12)는 중앙에 배치된 지지플레이트(11a)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단에 구체 형상의 결합돌기(12a)가 형성된다.
양식회전체(20)는 상협하광의 통형상으로서 멍게가 양식되는 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강한 조류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여 멍게가 탈락되거나 양식장치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회전하우징(21) 및 채묘시트(22)를 포함한다.
회전하우징(21)은 지지대(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채묘시트(22)의 설치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부 회전결합구(21a), 하부 회전결합구(21b), 하부프레임(21c) 및 측부프레임(21d)을 포함한다.
상부 회전결합구(21a)는 하부에 결합돌기(11aa)가 삽입되는 결합홈(21aa)이 형성되고, 측면 둘레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만곡진 홈부(21ab)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회전결합구(21a)는 결합홈(21aa)을 통해 결합돌기(11a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 회전결합구(21b)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대(12)의 하단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프레임(21c)은 회전결합구(21b)의 측면 일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다수개의 회전결합구(21b)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하부프레임(21c) 간에는 다수개의 제 2 개구(S2)가 형성된다.
측부프레임(21d)은 상단부가 상부 회전결합구(21a)의 측면 일측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연장형성된 하부프레임(21c)의 단부에 결합되며, 측부프레임(21d) 간에는 다수개의 제 3 개구(S3)가 형성된다.
채묘시트(22)는 내외면을 통해 멍게가 부착되어 양식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측부프레임(21d) 간에 설치되되, 제 3 개구(S3)의 상부영역이 일부 개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채묘시트(22)는 팜사로 직조된 직물 또는 팜사로 제조된 부직포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멍게가 부착되어 생장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1)는 채묘시트(22)의 내외면을 통해 멍게가 양식되는 양식면적을 충분하게 제공함에 따라 기존 방식보다 더 크고 둥근 멍게를 수확할 수 있으며, 장기간 양식하더라도 고밀도에 따른 멍게의 폐사가 발생되지 않아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1)는 문어나 장어 등과 같은 특정 어류의 서식공간을 지지받침 상에 설치하면 전체 시설이 인공어초로서의 역할을 하여 해양생태계에도 상당히 유익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1)는 수중에 설치되어 해수면의 온도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으므로 온도에 따른 폐사율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사계절 양식도 가능하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1)는 양식회전체(20)가 상협하광의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회전체(20)의 측면 하단부에 보다 큰 수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류의 강한 흐름이 측방에 작용하더라도 양식장치가 쉽게 전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1)는 양식회전체(20)가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류의 강한 흐름이 측방에 작용하는 경우,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류의 강한 흐름을 자연스럽게 흘려보내 조류의 강한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채묘시트(22)에 부착된 멍게가 탈락되거나 양식장치가 쉽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양식회전체(2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채묘시트(22)에 부착된 멍게의 위치가 수시로 가변됨에 따라 용존산소, 플랑크톤 및 온도 등과 같은 성장환경을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1)는 양식회전체(20)의 하부에 다수개의 제 2 개구(S2)가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개의 제 3 개구(S3)가 형성되어 상하부가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부에서 수직 상승하는 조류의 강한 흐름이 발생되더라도 이를 하부에서 상부로 자연스럽게 흘려보내 조류의 강한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직 상승하는 조류의 강한 흐름에 의해 채묘시트(22)에 부착된 멍게가 탈락되거나 양식장치가 쉽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1)는 상부 회전결합구(21a)의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몸체(51)와 몸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의 날개(52)가 돌출형성된 임펠러부재(50)가 더 형성되는 것이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장치(1)는 임펠러부재(50)가 더 형성됨에 따라 측방에 작용하는 조류의 흐름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임펠러부재(50)가 수중 양식장치(1)의 상부 회전결합구(21a)에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프레임(21c), 측부 프레임(21d) 또는 지지대(12)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수중 양식장치 10 : 본체
11 : 지지받침 11a : 지지플레이트
11b : 연결프레임 12 : 지지대
12a : 결합돌기 20 : 양식회전체
21 : 회전하우징 21a : 상부 회전결합구
21aa : 결합홈 21ab : 홈부
21b : 하부 회전결합구 21c : 하부프레임
21d : 측부프레임 22 : 채묘시트
30 : 지지돌기 40 : 연결돌기
41 : 홈부 50 : 임펠러부재
51 : 몸체 52 : 날개
S1 : 제 1 개구 S2 : 제 2 개구
S3 : 제 3 개구

Claims (5)

  1. 수중지반에 설치되는 지지받침과, 상기 지지받침의 일측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협하광의 통형상으로서 상하부 일측이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 타측 및 측면 일측이 개방된 회전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의 개방된 측면 일측에 설치되고 내외면에 양식대상물이 부착되는 채묘시트를 포함하는 양식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양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회전체는 상부 타측이 개방되어 상하부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양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받침은 적어도 일측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양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받침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받침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돌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양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우징 또는 상기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날개를 포함하는 임펠러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양식장치.
KR1020200087996A 2020-07-16 2020-07-16 수중 양식장치 KR102510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996A KR102510208B1 (ko) 2020-07-16 2020-07-16 수중 양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996A KR102510208B1 (ko) 2020-07-16 2020-07-16 수중 양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613A true KR20220009613A (ko) 2022-01-25
KR102510208B1 KR102510208B1 (ko) 2023-03-15

Family

ID=8004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996A KR102510208B1 (ko) 2020-07-16 2020-07-16 수중 양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20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7Y1 (ko) * 2002-08-28 2003-01-24 김분도 해상 침하식 전복 양식함 장치
KR20050025939A (ko) * 2004-10-25 2005-03-14 서상민 부력조절부분이 내장된 육성기에 의한 멍게 양식방법
KR20120079877A (ko) * 2011-01-06 2012-07-16 주식회사 에이앤이 수산물 양식 케이지
KR20120134671A (ko) * 2011-06-03 2012-12-12 윤인수 태풍에도 안전한 어패류, 포자생식 해산물 등의 양식시설
KR20150019847A (ko) * 2013-08-16 2015-02-25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식 이매패류 양식장치
KR20160010945A (ko) * 2014-07-21 2016-01-29 이원재 수중승강방식의 양식시스템
KR101626663B1 (ko) * 2014-08-19 2016-06-13 임정석 부침식 양식장치
KR20190029616A (ko) * 2016-07-29 2019-03-20 제노션 바다에서 수산양식 동물을 양육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7Y1 (ko) * 2002-08-28 2003-01-24 김분도 해상 침하식 전복 양식함 장치
KR20050025939A (ko) * 2004-10-25 2005-03-14 서상민 부력조절부분이 내장된 육성기에 의한 멍게 양식방법
KR20120079877A (ko) * 2011-01-06 2012-07-16 주식회사 에이앤이 수산물 양식 케이지
KR20120134671A (ko) * 2011-06-03 2012-12-12 윤인수 태풍에도 안전한 어패류, 포자생식 해산물 등의 양식시설
KR20150019847A (ko) * 2013-08-16 2015-02-25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식 이매패류 양식장치
KR20160010945A (ko) * 2014-07-21 2016-01-29 이원재 수중승강방식의 양식시스템
KR101626663B1 (ko) * 2014-08-19 2016-06-13 임정석 부침식 양식장치
KR20190029616A (ko) * 2016-07-29 2019-03-20 제노션 바다에서 수산양식 동물을 양육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208B1 (ko)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114B1 (ko) 가두리방식의 해삼양식장치
JP2015177787A (ja) 被養殖生物の養殖方法およびその養殖施設
JP2021500059A (ja) 海で水産養殖動物を飼育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101959294B1 (ko) 수생식물 재배용 용기
JP2015035988A (ja) 水産生物の育成装置
KR20200128990A (ko)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CN111280104A (zh) 复合型贝藻礁聚鱼装置
WO1993012651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ultivating marine organisms
KR101415366B1 (ko) 이중 튜브식 해삼 양성용 쉘터 및 이를 이용한 해삼용 가두리
CN108617565B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人工鱼礁系统
KR101657774B1 (ko) 육상 수조용 부착생물 육성 장치
KR20060090465A (ko) 패류 유생 생산용 수조
KR20220009613A (ko) 수중 양식장치
CN101984792B (zh) 章鱼工厂化苗种培育方法
KR200484611Y1 (ko) 전복양식용 가두리
JP3796224B2 (ja) 養殖施設
JP2021500063A (ja) 海で水産養殖動物を飼育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200491524Y1 (ko) 부침식 가리비 대량 양식장치
CN211832416U (zh) 龙虾全生长周期遮蔽装置
CN212184724U (zh) 海参养殖网箱
KR102200440B1 (ko)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CN105994093A (zh) 水产混合养殖方法
CN206196597U (zh) 水藻养殖装置
KR20120059718A (ko) 축제식 양식장의 해삼 종묘 생산 장치 및 방법
KR101901014B1 (ko) 해류방향에 대응하여 연속배치된 연승수하식 수산물 양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