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990A -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 Google Patents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990A
KR20200128990A KR1020190053290A KR20190053290A KR20200128990A KR 20200128990 A KR20200128990 A KR 20200128990A KR 1020190053290 A KR1020190053290 A KR 1020190053290A KR 20190053290 A KR20190053290 A KR 20190053290A KR 20200128990 A KR20200128990 A KR 20200128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water tank
larvae
shellfish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택
강경숙
이동은
Original Assignee
이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택 filed Critical 이기택
Priority to KR1020190053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8990A/ko
Publication of KR2020012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01K61/55Bask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와 인접한 육상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다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패류의 부유기(400㎛ 이하의 길이) 유생을 양성하는 인공종묘 양식설비에 있어서, 해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갖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간부 외벽의 일측에 관통형성된 배수관을 갖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설치되어 바다로부터 공급된 해수를 상기 수조부에 공급하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배수공이 관통형성되어 하방으로 상기 해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해수공급부; 및 상기 해수공급부의 배수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수용되되, 저면에는 상기 유생보다 작은 면적의 구멍을 갖는 그물망이 형성되어 일정 개체수의 유생을 수용하는 유생수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FARMING EQUIPMENT FOR ARTIFICIAL SEEDS OF SHELLFISH PLANKTONIC STAGE}
본 발명은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종묘 패류 중 수중에서 부유생활을 하는 시기인 부유기의 유생을 용이하게 양식하기 위한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류란 연체동물 가운데 석회질의 껍데기를 가진 종류를 총칭하며, 여기에는 단판강(單板綱), 다판강(多板綱)과 복족강(腹足綱)의 전새아강, 유폐아강(有肺亞綱)의 대부분 및 후새아강의 일부, 굴족강(掘足綱), 이매패강(二枚貝綱), 그리고 두족강(頭足綱)의 극히 일부가 포함된다.
이 중에서도 이매패류라 불리는 이매패강은 발이 도끼모양을 하고 있어 부족강(斧足綱)이라고도 하는데, 이들의 몸체는 인대(靭帶)로 연결된 좌우대칭형 껍데기로 싸여 있고, 치설(radula)이없는 대신 입수공과 출수공을 이용해서 아가미로 수중(水中)의 먹이를 여과하여 얻는다.
상기 이매패류 중에서 바지락, 꼬막, 피조개, 새꼬막 등은 우리나라 연안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대표적인 식용 이매패류로서, 유생기부터 비부착성의 부유유생생활(planktonic larval stage)을 하다가 일정크기의 중간육성기인 치패로 성장하면 진흙 등의 저질(sediment) 속으로 들어가 생활을 하는 저서성(burrower)을 보인다.
상기 저서성 이매패류들은 가두리나 실내수조에서 먹이와 영양제를 주고 환경을 조절해줄 수 있는 양식 대상종들과는 달리, 자연환경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갯벌 양식으로 자연산 치패를 수집하여 일정기간 성장시킨 후 수확하기 때문에 자연 서식지에서 지속적인 재생산이 이뤄져야 그 품종의 양식산업이 유지된다.
최근 들어, 굴, 전복, 피조개, 가리비, 바지락, 백합 및 가무락 등의 패류의 양식 방법은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으며, 이전까지 국내 어패류의 종패를 천연 종묘에 의존하다가 근래에는 육상 수조에서 종묘를 양식하는 방법으로 변화되고 있다.
즉, 해양 환경 오염과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해 천연 종묘의 공급이 불안정하여 자원이 부족해진 것이 원인으로, 육상 수조 내에서 인공 종묘를 양식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패류 부유기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통상적인 종래기술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내측면을 직육면체로 하여 사각의 수조 형태로 이루어지고, 벽면은 시멘트재료 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조에는 해수를 가둔 상태에서 부유기의 유생이 생존하기 위한 기포기를 가동하게 되는데, 부유 생활을 하다가 대략 300㎛ 내지 400㎛의 길이가 되면 중간육성기인 치패로 성장하여 수조 바닥면으로 가라앉게 되고, 이렇게 성장한 치패는 부유기의 유생과 분리 수확된 후 다른 환경으로 옮겨져 키워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조에서 중간육성기인 치패를 분리 수확하기 위해서는 수조에 해수가 차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작업하기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 효율을 조금 높이기 위해 해수를 뺀 상태에서 치패 분리 수확을 하게 되면 아직 치패로 성장하지 않은 부유기의 유생이 죽거나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생의 배설물이 지속적으로 쌓인 상태에서 중간육성기로 접어든 치패가 바닥으로 가라앉게 되면 먹이 활동 및 변태 작용에 장애가 발생하여 폐사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조에는 해수가 고여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유생의 생존을 위해 항시 기포기를 가동해야하므로 설치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전기요금 등 부가적인 유지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유생의 생존을 위해서 사용되는 기포기는 해수 내에 포말(거품)을 생성하는데, 이러한 거품은 패류가 공통적으로 기피하는 것으로 이 거품으로 인해 오히려 부유기 또는 중간육성기의 유생이 폐사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760272 B1 KR 10-1285112 B1 KR 10-1108643 B1 KR 20-0241833 Y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기에서 중간육성기인 치패로 성장한 유생을 간단하게 분리 수확할 수 있도록 하고, 치패로 성장하지 않은 부유기의 유생에게 피해를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치패를 분리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유기의 유생으로부터 발생하는 배설물을 특별한 작업 없이도 쉽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의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포기의 설치를 배제하여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기포기로부터 생성된 포말(거품)으로 인해 유생이 폐사하는 것을 최소화되도록 하는 구조의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바다와 인접한 육상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다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패류의 부유기(400㎛ 이하의 길이) 유생을 양성하는 인공종묘 양식설비에 있어서, 해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갖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간부 외벽의 일측에 관통형성된 배수관을 갖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설치되어 바다로부터 공급된 해수를 상기 수조부에 공급하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배수공이 관통형성되어 하방으로 상기 해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해수공급부; 및 상기 해수공급부의 배수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수용되되, 저면에는 상기 유생보다 작은 면적의 구멍을 갖는 그물망이 형성되어 일정 개체수의 유생을 수용하는 유생수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조부의 공간부 바닥면 또는 측면에는 막대형태의 이격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유생수용유닛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조부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배치되되 상기 유생수용유닛의 내부에 포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높이에서 해수를 낙하시켜 하강수류를 발생시키는 제1해수공급라인과, 상기 유생수용유닛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조부의 가장자리에 안쪽에 배치되되 상기 제1해수공급부에서 배수되는 해수보다 더 큰 물줄기 및 물세기를 가지는 해수를 배수하여 상기 수조부 내의 해수에 용존산소량을 보충하는 제2해수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부유기에서 중간육성기인 치패로 성장한 유생을 분리할 시 유생수용유닛만을 꺼내어 치패만 구별하여 손쉽게 건져낼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치패로 성장하지 않은 부유기의 유생에게 피해를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치패를 분리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해수공급부에서 유입되는 해수가 유생수용유닛의 저면 그물망을 통해 지속적으로 흘러감으로써 상기 유생수용유닛에 수용되는 해수가 하강수류를 형성하므로 유생의 배설물을 특별한 작업 없이도 쉽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해수가 고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흐르게 해 수조부로 유입되는 해수의 용존산소량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류 유생의 생존에 필요한 기포기의 설치를 배제하여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기포기의 설치를 배제함에 따라 상기 기포기로부터 생성된 포말(거품)으로 인해 유생이 폐사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패류 인공종묘 양식설비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평면도이고,
도4는 도2의 측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생수용유닛을 확대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공급부를 확대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는, 바다와 인접한 육상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다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패류의 부유기(대략 400㎛ 이하의 길이) 유생을 양성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일반적으로 패류의 유생은 부화한 후 일정 기간을 수중을 부유하며 사는 부유기를 거치는데, 통상 300㎛ 내지 400㎛ 길이가 되는 중간육성기인 치패로 성장하면 더 이상 부유하지 않고 가라앉아 저서성 생활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부유기의 유생을 양식하기 위한 설비로서, 치패로 성장하여 가라앉게 되면 중간육성기를 거치기 위한 환경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수조부(200)와 해수공급부(400) 및 유생수용유닛(600)을 포함한다.
먼저, 수조부(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조부(200)는 해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갖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간부 외벽의 일측에 관통형성된 배수관을 갖는다.
이러한 수조부(200)는 후술할 해수공급부(400)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배수관을 통해 다시 해수를 외부로 내보내게 되며, 외부로 내보내진 해수는 패류의 배설물이나 슬러지가 여과된 후 다시 상기 해수공급부(400)를 통해 수조부(200)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조부(200)는 다단으로 적층되는 것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대량양식을 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이때 적층된 수조부(20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작업 및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해수공급부(4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해수공급부(400)는 상기 수조부(200)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설치되어 바다로부터 공급된 해수를 상기 수조부(200)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해수공급부(400)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배수공이 관통형성되어 하방으로 상기 해수가 배수되도록 한다.
이러한 해수공급부(400)는, 상기 수조부(200)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배치되는 제1해수공급라인(420)과, 상기 유생수용유닛(600)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조부(200)의 가장자리에 안쪽에 배치되는 제2해수공급라인(4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해수공급라인(420)은 유생수용유닛(6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유생수용유닛(600)의 내부에 포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높이에서 해수를 낙하시켜 하강수류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유생수용유닛(600)의 내부에서 포말이 발생하지 않아 수용되어 있는 부유기 유생의 폐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하강수류에 의해 유생의 배설물이나 슬러지가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2해수공급라인(440)은 상기 제1해수공급라인(420)에서 배수되는 해수보다 더 큰 물줄기 및 물세기를 가지는 해수를 배수하여 상기 수조부(200) 내의 해수에 용존산소량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해수공급라인(440)은 상황에 따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멈출 수 있으며, 물줄기 및 물세기를 사용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조부(200)의 상단에는 상기 제1해수공급라인(420)과 교차 배치되는 지지대(8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대(800)는 상기 제1해수공급라인(420)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제1해수공급라인(4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제1해수공급라인(420)은 항시 내부 통로를 통해 해수가 흘러 항상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견고히 지지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상기 제2해수공급라인(440)은, 상기 유생수용유닛(600)의 측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해수가 유입되는 급수관(442)과, 상기 수조부(200)의 공간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관(442)의 하부에 설치되는 여과통(44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여과통(444)은 해수를 수용하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급수관(442)으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발생하는 물살 및 포말을 제한하고, 상기 여과통(444)에 유입된 해수는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조부(200)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여과통(444)의 개구부는 메쉬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메쉬망은 유입되는 해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유생수용유닛(6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유생수용유닛(600)은 상기 해수공급부(400)의 배수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조부(20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저면에는 상기 유생보다 작은 면적의 구멍을 갖는 그물망이 형성되어 일정 개체수의 유생을 수용한다.
이러한 구조의 유생수용유닛(600)은 몸체의 과반 이상이 해수에 잠기도록 배치되며, 저면에 형성된 그물망을 통해 외부로 해수가 수조부(200)의 공간부로 통과되도록 하고, 통과된 해수는 수조부(200)에 관통형성된 배수관을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 유생수용유닛(600)의 내부에는 하강수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의해 유생의 배설물이나 슬러지가 상기 하강수류에 쓸려 상기 그물망으로 자연 배출된다.
한편,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수조부(200)의 공간부 바닥면 또는 측면에는 막대형태의 이격부재(220a,220b)가 설치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부재(220a,220b)는 상기 유생수용유닛(600)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유생을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새로운 유생을 담을 때 상기 유생수용유닛(600)을 손쉽게 들어낼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편해지고, 유생수용유닛(600)이 파손되었을 때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청소 작업시에도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이격부재(220a,220b)에 의해 상기 유생수용유닛(600)의 하부에 형성된 그물망이 완전 개방되므로 배설물이나 슬러지가 하강수류에 의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220a,220b)는 상기 유생수용유닛(600)이 수조부(200)의 공간부에 수용될 때 제1해수공급라인(420) 아래에 가지런히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부유기에서 중간육성기인 치패로 성장한 유생을 분리할 시 유생수용유닛만을 꺼내어 치패만 구별하여 손쉽게 건져낼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치패로 성장하지 않은 부유기의 유생에게 피해를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치패를 분리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해수공급부에서 유입되는 해수가 유생수용유닛의 저면 그물망을 통해 지속적으로 흘러감으로써 상기 유생수용유닛에 수용되는 해수가 하강수류를 형성하므로 유생의 배설물을 특별한 작업 없이도 쉽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해수가 고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흐르게 해 수조부로 유입되는 해수의 용존산소량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류 유생의 생존에 필요한 기포기의 설치를 배제하여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기포기의 설치를 배제함에 따라 상기 기포기로부터 생성된 포말(거품)으로 인해 유생이 폐사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수조부
220: 이격부재
400: 해수공급부
420: 제1해수공급라인
440: 제2해수공급라인
442: 급수관
444: 여과통
600: 유생수용유닛
800: 지지대

Claims (3)

  1. 바다와 인접한 육상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다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패류의 부유기(400㎛ 이하의 길이) 유생을 양성하는 인공종묘 양식설비에 있어서,
    해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갖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간부 외벽의 일측에 관통형성된 배수관을 갖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설치되어 바다로부터 공급된 해수를 상기 수조부에 공급하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배수공이 관통형성되어 하방으로 상기 해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해수공급부; 및
    상기 해수공급부의 배수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수용되되, 저면에는 상기 유생보다 작은 면적의 구멍을 갖는 그물망이 형성되어 일정 개체수의 유생을 수용하는 유생수용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의 공간부 바닥면 또는 측면에는 막대형태의 이격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유생수용유닛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공급부는,
    상기 수조부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배치되되 상기 유생수용유닛의 내부에 포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높이에서 해수를 낙하시켜 하강수류를 발생시키는 제1해수공급라인과,
    상기 유생수용유닛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조부의 가장자리에 안쪽에 배치되되 상기 제1해수공급부에서 배수되는 해수보다 더 큰 물줄기 및 물세기를 가지는 해수를 배수하여 상기 수조부 내의 해수에 용존산소량을 보충하는 제2해수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KR1020190053290A 2019-05-07 2019-05-07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KR20200128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290A KR20200128990A (ko) 2019-05-07 2019-05-07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290A KR20200128990A (ko) 2019-05-07 2019-05-07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990A true KR20200128990A (ko) 2020-11-17

Family

ID=73642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290A KR20200128990A (ko) 2019-05-07 2019-05-07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89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2641A (zh) * 2020-12-11 2021-04-06 南方海洋科学与工程广东省实验室(湛江) 一种岛礁外海中小型智能养殖网箱
KR20220150718A (ko) 2021-05-04 2022-11-11 이문경 3배체 치패 단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패 단련방법
KR20230041151A (ko) * 2021-09-16 2023-03-24 주식회사 백두써니텍 육상 양식장용 암모니아 가스 발생 저감장치
KR102543743B1 (ko) * 2022-06-20 2023-06-16 주식회사 미래바다 가리비 개체종묘 생산을 위한 챔버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833Y1 (ko) 2001-05-14 2001-10-15 강명우 패류의 양식장치
KR100760272B1 (ko) 2005-02-07 2007-09-19 주식회사 씨에버 패류 유생 생산용 수조
KR101108643B1 (ko) 2011-07-29 2012-01-31 (주) 대호아이앤티 패류 양식을 위한 연승수하식 채묘기
KR101285112B1 (ko) 2010-12-14 2013-07-17 성순만 패류 양식용 어구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833Y1 (ko) 2001-05-14 2001-10-15 강명우 패류의 양식장치
KR100760272B1 (ko) 2005-02-07 2007-09-19 주식회사 씨에버 패류 유생 생산용 수조
KR101285112B1 (ko) 2010-12-14 2013-07-17 성순만 패류 양식용 어구 조립체
KR101108643B1 (ko) 2011-07-29 2012-01-31 (주) 대호아이앤티 패류 양식을 위한 연승수하식 채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2641A (zh) * 2020-12-11 2021-04-06 南方海洋科学与工程广东省实验室(湛江) 一种岛礁外海中小型智能养殖网箱
KR20220150718A (ko) 2021-05-04 2022-11-11 이문경 3배체 치패 단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패 단련방법
KR20230041151A (ko) * 2021-09-16 2023-03-24 주식회사 백두써니텍 육상 양식장용 암모니아 가스 발생 저감장치
KR102543743B1 (ko) * 2022-06-20 2023-06-16 주식회사 미래바다 가리비 개체종묘 생산을 위한 챔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8990A (ko)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JP4803527B2 (ja) カニ類等の池中養殖法
US9027510B2 (en) Multi-level aquaculture device for benthic organisms such as bivalves, aquaculture method, and biofilter using same
Carrasco et al. Paralarval rearing of th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Cuvier).
AU2017341749B2 (en) Device for confining larvae and/or aquatic organisms, system, method for keeping and cultivating them in aquatic environments
US5144907A (en) Scallop aquaculture
KR20190085386A (ko)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KR102037627B1 (ko) 성게 육상 축양을 위한 양식수조, 이를 이용한 성게 육상 양식 방법
KR20170058652A (ko) 기생충 및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어류 양식용 수조
JP2019050764A (ja) マシジミの養殖方法及び養殖装置
KR101170304B1 (ko) 양식어류와 갯지렁이의 복합양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415366B1 (ko) 이중 튜브식 해삼 양성용 쉘터 및 이를 이용한 해삼용 가두리
KR20220006208A (ko) 패류 인공종묘 양식장치
KR101806086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방법
KR101549211B1 (ko) 어린 패류의 상향식 수류 실내사육장치
Jones et al. Manila clams: hatchery and nursery methods
KR20060090465A (ko) 패류 유생 생산용 수조
KR101849089B1 (ko) 패류 중간육성기 인공종묘 양식장치
KR100906456B1 (ko) 이매패류 양식장치
JP2008092946A (ja) 潜砂性二枚貝の養殖装置
KR101725614B1 (ko) 축제식 양식장에서 복합양식을 위한 조개류 양식 장치
KR102200440B1 (ko)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RU2689676C1 (ru) Способ донного выращивания объектов марикультуры в полувольных условиях
KR101890563B1 (ko) 문어 치어의 단계별 생육 양식어장 구조
RU95463U1 (ru) Ферма для разведения двустворчатых моллюс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