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565A -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565A
KR20220009565A KR1020200087905A KR20200087905A KR20220009565A KR 20220009565 A KR20220009565 A KR 20220009565A KR 1020200087905 A KR1020200087905 A KR 1020200087905A KR 20200087905 A KR20200087905 A KR 20200087905A KR 20220009565 A KR20220009565 A KR 20220009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rt
purchase
receivables
foreign
ex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동
홍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200087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9565A/ko
Publication of KR20220009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은, 무역 서버가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Open Account) 매입 및 한도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수출업체 단말로부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가능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검증 결과 또는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현황을 상기 수출업체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무역 시스템(1000) 내 무역 서버(200)를 이용하여 수출 업체의 매입 신청 내역, 관세청의 통관 내역 및 기존의 매입 신청 내역에서 각 항목의 정보가 올바르게 기재/기록되었는지 확인하고, 문서 간 상호 비교/추적하여 수출 업체의 한도 초과 매입 여부를 확인하고 중복 매입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PURCHASING LIMIT OF EXPORT BONDS}
본 발명은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수출 업체가 매입 은행으로 외상수출채권의 매입을 신청하는 과정에서 외상수출채권의 중복 매입을 방지하고 한도를 초과하는 매입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무역 시스템(Electronic Data Interchange, EDI)은 무역 분야에서 요구되는 복잡한 절차 및 페이퍼 워크를 네트워크 상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무역 업체 및 무역 관련 기관이 수출입 업무에 관계되는 영수, 송금, 상역 업무를 처리하고, 무역관련 서류 및 무역 관련 은행 업무를 자동화시켜 처리할 수 있는 수출입 서비스에 대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무역 시스템은 서로 간의 업무 처리 과정에서 자료의 손실을 막고, 정보 처리의 편의를 도모한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지만, 업무 처리 과정에서 처리되는 서류들의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무역 금융 사기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현재 전자 무역 시스템은 외상수출채권을 매입하는 과정에서 수출 업체가 제공하는 서류(매입 의뢰서 및 근거 서류)에 대한 비교/검증을 진행하지 않으며, 수출 업체가 다수의 거래 은행과 거래한 채권 금액의 한도가 통합 관리되고 있지 않아 수출 업체가 지정된 채권 금액보다 초과 매입을 신청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수출 업체가 전자 무역 시스템이 아닌 오프라인 방식으로 은행에서 외상수출채권을 매입하고 있으며, 은행은 지급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서류를 전자 무역 시스템에 등록하지 않고 별도의 서버에 저장해두고 있기 때문에, 전자 무역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출 업체 별로 외상수출채권의 매입 한도를 관리하는 데에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수출 업체가 다수의 거래 은행과 거래한 외상수출채권이 누적 관리되고 있지 않아 수출 업체가 제출한 외상수출채권이 정당한 금액을 매입 신청하는지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었기에 외상수출채권의 이상 거래를 사전에 파악하기 곤란했다.
따라서 수출 업체와 은행간에 수출 매입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데이터화하고, 이를 기초로 수출 업체의 외상수출채권 매입 한도를 관리하고 이상 거래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며, 본 발명은 이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9254호(2015.07.08.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출 업체와 은행이 주고 받는 문서 내 정보들을 비교, 검증하여 수출 업체의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수출 업체의 외상수출채권 매입 신청이 부당한 입금을 요청하는 이상 거래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수출 업체와 은행들이 수출 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주고 받는 문서, 자료들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은 무역 서버가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Open Account) 매입 및 한도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수출업체 단말로부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가능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검증 결과 또는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현황을 상기 수출업체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수 가능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필수 항목 기재 여부, 수출신고내역에서 각 항목의 수출통관 여부 및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잔액 한도 내 매입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검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한도 내 매입 여부는, 수출업체의 수출 타입에 따라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와 함께 수신하는 수출신고필증 또는 상업송장(Invoice)을 기초로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수 가능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와 상기 수출업체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사이에서,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가 검증을 통과할 경우,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은행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작성한 수출 업체의 수출이행내역을 조회하고,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 내 적어도 하나의 수출 항목을 매칭시켜 수출이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출이행 데이터를 상기 은행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출이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출업체의 수출 타입에 따라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와 함께 수신하는 수출신고필증의 식별 번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식별 번호 당 하나의 수출이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증 결과는, 상기 수출이행 데이터 및 근거 서류를 기초로 상기 은행 단말에 의해 생성된 상기 외상수출채권매입 의뢰서의 접수 통보서 또는 오류 통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검증 결과 및 진행 경과에 따라 수출업체의 매입한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역 서버는, 외상수출채권(Open Account)의 매입 및 한도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수출업체 단말로부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가능 여부를 검증하는 외상수출채권 검증부 및 상기 외상수출채권의 매입 의뢰서의 검증 결과 또는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현황을 확인하는 수출업체 관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상수출채권 검증부는,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필수 항목 기재 여부, 수출신고내역에서 각 항목의 수출통관 여부 및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잔액 한도 내 매입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수출업체의 수출 타입에 따라 상기 수출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와 함께 수신하는 수출신고필증 또는 상업송장(Invoice)을 수신하고, 상기 외상수출채권 검증부는, 상기 수출신고필증 또는 인보이스를 기초로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가 검증을 통과할 경우, 상기 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작성한 수출 업체의 수출이행내역을 조회하고,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 내 적어도 하나의 수출 항목을 매칭시켜 수출이행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와 함께 상기 데이터 생성부가 생성한 수출이행 데이터를 은행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수출업체의 수출 타입에 따라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와 함께 수신하는 수출신고필증의 식별 번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식별 번호 당 하나의 수출이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증 결과는, 상기 수출이행 데이터 및 근거 서류를 기초로 상기 은행 단말에 의해 생성된 상기 외상수출채권매입 의뢰서의 접수 통보서 또는 오류 통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출업체 관리부는,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검증 결과 및 진행 경과에 따라 수출업체의 매입한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출 업체의 매입 신청 내역, 관세청의 통관 내역 및 기존의 매입 신청 내역에서 각 항목의 정보가 올바르게 기재/기록되었는지 확인하고, 문서 간 상호 비교/추적하여 수출 업체의 한도 초과 매입 여부를 확인하고 중복 매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상수출채권 매입 신청에 오류가 없는 정상 건에 대하여, 매입 의뢰서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에 대한 수출신고필증 및 관세청을 통해 조회 가능한 수출이행내역을 은행으로 제공하여, 은행에서 보다 간편하게 수출 채권 매입 심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은행의 업무 처리 진행 상태(접수/오류/결과/취소)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수출 업체의 수출 채권 매입 한도를 관리(차감/원복)할 수 있으며, 수출 업체는 서로 다른 거래 은행 별로 분산되어 있는 수출 채권 매입 총 금액 및 한도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출대금을 조기에 회수할 수 있어 수출업체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한도 초과 매입 및 중복 매입을 방지하는 바, 무역 금융 사기를 예방하여 국가적 피해를 최소화시키고, 수출 활력 정책의 실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출 관련 내수 기업의 낙수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수출 업체가 매입 은행으로 외상수출채권의 매입을 신청하는 과정에서 수출 업체의 과거 매입정보와 신규 매입 의뢰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이례적인 매입 신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매입 은행에 제공함으로써 외상수출채권의 부당 거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국환 법규 및 규정을 준수하는 무역 대금 결제가 이루어짐으로써, 금융 기관은 안정적인 무역 금융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으며, 추가 금융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무역 금융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됨에 따라, 중견/중소 수출 기업은 무역 금융을 통한 수혜를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외상수출채권 거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무역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역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출업체가 의뢰한 외상수출채권을 매입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처리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Open Account) 매입 및 한도를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역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출업체가 의뢰한 외상수출채권을 매입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전자 무역 시스템(1000)에서 다루는 외상수출채권(Open Account)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외상수출채권 거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국내 수출업자 또는 수출업체는 해외 수입자와 일정 기간 동안 물품을 거래하기 위한 수출입 계약(기본매매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수출입 계약이 성사된 후, 수입자가 구매 주문서(Purchase Order)를 통해 선적을 요청하면, 수출업자는 수입자의 요청에 따라 물품을 선적한 후, 선적 서류 원본을 수입상에게 송부할 수 있으며, 매입 은행(수출업자의 계좌)으로 수출채권의 매입 의뢰서와 함께 선적 서류 사본을 제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매입 은행은 매입 의뢰서에 기재된 매입 대금만큼을 수출업자에게 제공하고, 수입상이 수출입 계약 상에 기재된 날짜(만기일)에 맞게 송금 은행으로 송금을 의뢰하면, 송금 은행은 다시 매입 은행으로 수출 대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입 은행은 단순히 수출업자가 제공하는 매입 의뢰서 및 선적 서류 사본을 기초로 외상수출채권의 대금을 제공하는 바, 수출업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전적으로 신뢰할 수 밖에 없으며, 그에 따른 금융 사기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무역 시스템(1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무역 시스템(1000)은 수출업체 단말(100), 무역 서버(200) 및 은행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출업체 단말(100)은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작성하는 수출업체가 소지한 단말로서, 스마트 폰, 태블릿 PC, PC 등 다양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출업체 단말(100)은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작성하기 위해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무역 서버(200)를 통해 제공 받을 수 있다.
수출업체 단말(100)은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무역 서버(200) 또는 은행 단말(300)로 송신함과 동시에, 수출신고필증 또는 상업송장(Invoice)를 작성하여 송신할 수 있으며, 이는 매입 의뢰서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수출입 계약 1건에 다수의 물품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수출업체는 다수의 물품 각각에 대한 수출신고필증 또는 상업송장을 작성할 수 있으며, 무역 서버(200)는 다수의 물품 각각에 대한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무역 서버(200)는 수출업체 단말(100)이 송신한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은행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는지 검증하고, 수출업체의 매입 한도를 관리할 수 있다. 즉, 무역 서버(200)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가능 여부를 검증하고, 검증이 통과된 매입 의뢰서만을 은행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역 서버(200)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필수 항목 기재 여부, 수출신고내역에서 각 항목의 수출통관 여부 및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잔액 한도 내 매입 여부의 각 항목을 검증하고, 하나의 항목이라도 검증을 통과하지 못할 시에 수출업체 단말(100)로 매입 의뢰 오류 통보서를 송신할 수 있다.
반면, 모든 항목의 검증을 통과한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는 은행 단말(300)로 송신되며, 무역 서버(200)는 수출업체의 수출이행내역을 조회한 후, 이를 은행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무역 서버(200)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접수한 은행 단말(300)로부터 진행 경과(접수/오류/결과/취소)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확인하는 즉시 통보서의 형태로 수출업체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진행 경과에 따른 수출업체의 매입 한도를 관리할 수 있다.
은행 단말(300)은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심사하고, 심사 결과에 따른 업무(매입 의뢰서 접수/오류/결과/취소 통보 송신, 입금 통지 송신, 계산서 송신)를 처리하는 은행 관리자의 단말로서, 무역 서버(200)와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에 대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은행 단말(300)은 무역 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기존의 은행 전용 웹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무역 서버(200)가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외상수출채권에 대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무역 시스템(10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 수출업체와 은행 간 거래를 중재하는 무역 서버(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역 서버(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역 서버(200)는 통신부(210), 외상수출채권 검증부(220), 수출업체 관리부(230) 및 데이터 생성부(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부가적인 구성 역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통신부(210), 외상수출채권 검증부(220), 수출업체 관리부(230) 및 데이터 생성부(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역 서버(200)의 기능을 기준으로 분류한 임시 또는 가상적인 구성일 뿐이며, 어느 한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을 다른 구성이 함께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의 구성이 전체 구성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가 통신부(210), 외상수출채권 검증부(220), 수출업체 관리부(230) 및 데이터 생성부(24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210)는 수출업체 단말(100) 및 은행 단말(300)과 통신하며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수출업체 단말(100)로부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수신하고, 은행 단말(200)로부터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외상수출채권 진행 경과를 수출업체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은행 단말(200)을 통해 접수된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 접수 통보서, 오류통보서, 결과통보서, 취소통보서를 수출업체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210)는 수출업체 단말(100)로부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와 함께 수출업체의 수출 타입(거래 유형)에 따라 수출신고필증 또는 상업송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출업체가 물품을 직수출할 경우에 수출신고필증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출업체가 물품을 중계 무역 또는 외국인도수출할 경우에 상업송장을 수신할 수 있다.
외상수출채권 검증부(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가능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상수출채권 검증부(220)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필수 항목 기재 여부, 수출신고 내역에서 각 항목의 수출통관 여부 및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잔액 한도 내 매입 여부를 검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접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매입 의뢰서가 은행 단말(300)로 접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출업체와 은행 간의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외상수출채권 검증부(220)는 수출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서류를 이용하여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잔액 한도 내 매입 여부를 두 번에 걸쳐 검증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구분 지어 설명할 수 있다.
구분 검증 단계 검증 내역
검증 값 연산 매입 한도
수출통관
(직수출)
검증 1
(수출 계약)
매입 의뢰서 기재
매입 의뢰 총금액
매입 의뢰서 기재
수출계약 금액
검증 2
(매입 서류별)
매입 의뢰서 기재
수출신고필증
매입신청금액
관세청 통관
수출신고필증
결제 금액
수출통관 외
(중계 무역,
외국인도수출 등)
검증 1
(수출 계약)
매입 의뢰서 기재
매입 의뢰 총금액
매입 의뢰서 기재
수출계약금액
검증 2
(매입 서류별)
매입 의뢰서 기재
상업송장
매입신청금액
매입 의뢰서 기재
상업송장 총금액
다시 말해서, 외상수출채권 검증부(220)는 계약 성사 과정에서 수출입 계약 1건에 기재된 1)수출계약금액([표 1]의 매입 한도)과 계약 성사 이후에 무역업체가 작성한 매입 의뢰서의 2)매입 의뢰 총 금액([표 1]의 검증 값)을 비교할 수 있으며, 하나의 수출입 계약 건에 다수의 물품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직수출 방식에 대해서는 매입 서류 별로 수출신고필증에 기재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출업체의 한도와 검증 값을 비교하고, 중계 무역 또는 외국인도수출 방식에 대해서는 상업송장에 기재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출업체의 한도와 검증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수출업체 관리부(230)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검증 결과 또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수출업체 관리부(230)는 수입자와 수출입 계약이 성사된 수출업체가 매입 은행을 대상으로 주고 받는 서류들을 중개하며,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매입/취소에 따른 매입 한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수출업체 관리부(230)는 수출입 계약이 성사된 이후, 수출업체의 1차 매입 실행이 완료된 수출계약서류 및 수출신고필증 또는 상업송장 건을 기초로 향후, 수출업체의 2차~N차 매입 의뢰 시(N은 2이상의 자연수) 앞서 완료한 매입을 제외한 매입 한도 금액 내에서만 매입 의뢰가 가능할 수 있도록 매입 한도를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240)는 은행이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심사할 수 있도록 심사를 위해 필요한 수출업체의 수출 이행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생성부(240)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가 검증을 통과할 경우, 관세청 서버(미도시)를 이용하여 수출신고필증에 대한 수출 이행 내역을 조회하고, 조회된 결과를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 내 적어도 하나의 수출 항목과 매칭시켜 수출이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생성부(240)는 수출 타입이 직수출인 건에 대해서 수출이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매입 의뢰서와 함께 수신한 수출신고필증의 식별 번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식별 번호의 개수에 맞게 수출이행 데이터를 생성한 후, 통신부(210)가 이를 은행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역 서버(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출업체와 매입 은행 간의 외상수출채권 대금을 지급하는 과정에서, 무역 서버(200)가 수출 업체의 매입 신청 내역, 관세청의 통관 내역 및 기존의 매입 신청 내역에서 각 항목의 정보가 올바르게 기재되었는지 확인하고, 문서 간 상호 비교 및 추적하여 수출 업체의 한도 초과 매입 여부를 확인하고 중복 매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역 서버(200)를 포함하는 전자 무역 시스템(1000)에서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출업체가 의뢰한 외상수출채권을 매입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출업체가 수출업체 단말(100)을 이용하여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작성하고(S101), 이를 무역 서버(200)로 송신한다(S101-1). 이때, 수출업체는 수출 타입(거래 유형)에 따라 외상수출채권 대금을 지급받기 위한 추가 서류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출업체가 물품을 직수출할 경우에 수출신고필증을 송신할 수 있으며, 수출업체가 물품을 중계 무역 또는 외국인도수출할 경우에 상업송장을 송신할 수 있다.
S101-1 단계 이후, 무역 서버(200)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가능 여부를 검증한다(S102). 구체적으로, 무역 서버(200)는 매입 의뢰서에 기재된 모든 물품이 수출 통관을 통과했는지, 매입 의뢰서 내 필수 항목이 모두 기재되었는지,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매입 한도가 초과되지 않았는지 검증할 수 있다. 여기서, 수출 통관 통과 여부는 무역 서버(200)가 매입 의뢰서 내 물품 목록과 수출 신고 번호를 매칭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만약, S102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이라도 검증을 통과하지 못한 경우, 무역 서버(200)는 수출업체 단말(100)로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 오류 통보서를 송신할 수 있으며(S103-2, 오류, NO), 반대로, S102 단계에서 모든 항목에 대한 검증을 통과할 경우, 무역 서버(200)는 은행 단말(300)로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전달할 수 있다(S103-1, 통과, YES).
그에 따라, 수출업체는 무역 서버(200)로부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에 대한 검증 통과 여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오류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S103-1 단계 이후, 무역 서버(200)는 직수출 방식으로 물품을 판매하는 건에 대하여, 해당 매입 의뢰서에 기재된 수출신고필증을 기초로 관세청 서버(미도시)에서 수출 이행 내역을 조회할 수 있으며, 조회된 결과를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 내 적어도 하나의 수출 항목과 매칭시켜 수출이행 데이터를 생성한다(S104). 즉, 무역 서버(200)는 수출업체를 대신하여 수출업체의 수출이행내역을 은행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 교환은 무역 서버(200)와 은행 단말(300) 각각에 부여된 송수신 식별자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무역 서버(2000가 생성한 수출이행 데이터는 아래의 [표 2]와 같이 표기될 수 있다.
구분 통관내역 데이터 선적여부표시 선적내역 데이터
수출통관 완료 O "N" X
선적 완료 O "Y" O
S104 단계 이후, 무역 서버(200)는 수출이행 데이터를 은행 단말(300)로 전달하며(S104-1), 은행은 무역 서버(300)로부터 제공 받은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 및 수출이행 데이터를 기초로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심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은행 단말(300)은 기 저장된 수출업체의 정보와 무역 서버(200)를 통해 전달받은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 내 정보가 일치하는지, 매입 의뢰서 내 내용이 올바르게 기재되어 있는지 심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어느 하나의 항목이라도 검증을 통과하지 못할 경우, 은행 단말(300)은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에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무역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S105-1). 이 후, 무역 서버(200)는 매입 의뢰서에 따라 수출업체로 대금이 지급될 수 없음을 판단하고, 수출업체의 매입 한도를 원복시키며(S105-2), 수출업체 단말(100)로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 오류 통보서를 송신할 수 있다(S105-3).
반면, 은행 단말(300)의 심사 결과 모든 항목이 검증을 통과할 경우, 은행 단말(300)은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가 접수 되었음을 무역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S106-1). 이 후, 무역 서버(200)는 매입 의뢰서에 따라 수출업체로 대금이 지급될 수 있음을 판단하고, 수출업체의 매입 한도를 관리하며(S106-2), 수출업체 단말(100)로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 접수 통보서를 송신할 수 있다(S106-3).
한편, 은행 단말(300)이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접수한 이후, 수출업체로부터 취소 요청이 들어올 경우, 무역 서버(200)는 수출업체 단말(100)로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 오류 통보서를 송신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은행 단말(300)이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접수하고 매입을 실행한 이후, 수출업체로부터 취소 요청이 들어올 경우, 무역 서버(200)는 수출업체 단말(100)로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 취소 통보서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무역 서버(200)는 수출업체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은행 단말(300)에서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그에 대한 처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수출업체 단말(100)로 통보서 형식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수출업체에게 해당 내용을 고지한 이후 수출업체의 한도를 관리함으로써, 차후 수출업체의 재매입 시 매입 한도 부족에 따라 매입 의뢰가 불가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무역 서버(200)는 수출업체 단말(100)로 은행 단말(300)의 진행 경과에 대한 통보서를 송신하면, 이를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에 대한 트리거(trigger) 신호로 간주하고, 수출계약서류 및 수출신고필증/상업송장에 대한 매입 한도를 관리할 수 있다.
지금까지 전자 무역 시스템(1000)에서 수출업체가 작성한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검증하고 접수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접수된 매입 의뢰서의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처리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은행 단말(300)은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처리 결과를 무역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S107-1). 구체적으로, 은행 단말(300)은 수출업체가 제공하고, 무역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수출업체의 수출계약서류, 상업송장, 운송서류 등의 근거 서류를 매입 의뢰서와 비교하여 매입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은행 단말(300)에 의해 매입이 실행되는 즉시, 무역 서버(200)는 매입 의뢰서에 기재된 수출계약서류 및 수출신고필증/상업송장에 대한 매입 한도를 최종 차감하고(S107-2), 수출업체 단말(100)로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 결과 통보서를 송신할 수 있다(S107-3).
또한, 은행 단말(300)은 무역 서버(200)로 매입 결과를 전달하는 것 외에도 기 등록된 수출업체 단말(100)로 입금을 통지하고(S108), 계산서를 전달하며(S109), 그에 따라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에 대한 거래가 종료될 수 있다.
한편, 은행 단말(300)을 통해 외상수출채권 매입이 실행된 이후에 수출업체의 요청에 의해 매입이 취소될 수 있는데(S110), 이는 무역 서버(200)의 중개를 통해 수행되거나, 수출업체가 은행으로 직접 취소 요청서를 제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은행 단말(300)은 외상수출채권의 매입 취소 결과를 무역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S111-1). 이 후, 무역 서버(200)는 차감되었던 수출업체의 매입 한도를 원복시키고(S111-2), 수출업체 단말(100)로 외상수출채권의 매입 취소 결과를 통보할 수 있다(S111-3).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무역 시스템(1000)을 이용하여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역 서버(200)가 제공하는 전자 무역 시스템(1000)을 이용하여 모든 정보가 전산 처리되고, 무역 서버(200)를 통해 수출업체와 은행이 수행하는 일련의 동작이 서로 공유되는 바, 수출 업체는 서로 다른 거래 은행 별로 분산되어 있는 수출 채권 매입 총 금액 및 한도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출대금을 조기에 회수할 수 있어 수출업체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은행은 보다 안정적인 무역 금융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무역 시스템(1000) 내에서 무역 서버(200)가 수행하는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Open Account) 매입 및 한도를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역 서버(200)는 수출업체 단말(100)로부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수신한다(S10). 아울러, 무역 서버(200)는 수출업체의 수출 타입(거래 유형)에 따라 수출업체 단말(100)로부터 수출신고필증 또는 상업송장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S10 단계 이후, 무역 서버(200)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가능 여부를 검증한다(S20). 즉, 무역 서버(200)는 은행의 업무를 경감시켜 주기 위해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필수 항목 기재 여부, 수출신고 내역에서 각 항목의 수출통관 여부 및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잔액 한도 내 매입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는 통과되어 은행으로 접수되거나 반려 즉,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각각에 대한 결과를 수출업체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S20 단계 이후, 무역 서버(200)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검증 결과 또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현황을 수출업체 단말(100)로 송신한다(S30). 예를 들어,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가 검증을 통과하고, 은행에 접수된 이후, 무역 서버(200)는 수출업체 단말(100)로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 접수 통보서/취소 통보서/결과 통보서/오류 통보서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이를 수출업체 단말(100)로 알림과 동시에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매입 한도를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역 서버(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3의 무역 서버(200)에서 외상수출채권 검증부(220)에 외상수출채권 이상거래 감지부(222)가 더 포함되어 있다는 것에 차이가 있다.
도 3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상수출채권 검증부(220)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필수 항목 기재 여부, 수출신고 내역에서 각 항목의 수출통관 여부 및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잔액 한도 내 매입 여부를 검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접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매입 의뢰서가 은행 단말(300)로 접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해당 외상수출채권 의뢰서만을 기준으로 하여 매입 여부를 검증하게 되며, 해당 수출 업체의 과거 매입 신청 이력은 검증 사항에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수출 업체가 다수의 거래 은행과 거래한 외상수출채권이 수출업체 관리부(230)를 통해 누적 관리되고 있어 해당 수출 업체의 과거 매입 신청 이력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누적된 매입 신청 이력을 분석하면 신규로 접수된 매입 신청이 정당한 금액을 매입 요청하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외상수출채권 매입 신청이 이상 거래인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상거래 분석서를 작성하여 매입 은행에 제공함으로써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심사할 수 있게 한다.
외상수출채권 이상거래 감지부(222)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이상거래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은 수출업체의 과거 외상수출채권 매입 신청 대비 물품의 단가, 단위중량의 이상 추이를 탐지하는 것이며, 동일한 물품에 대해 비교해야 하므로 HS 코드와 같은 공인된 기준으로 물품을 분류할 필요가 있다. 수출입 계약 1건에 다수의 물품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물품별로 물품의 단가, 단위중량의 이상 추이를 탐지해야 한다.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에는 필수 항목으로 매입 의뢰인, 매입 의뢰금액, HS 코드, 총수량, 총순중량 등이 포함되므로, 과거의 누적된 매입 거래에 대해 현재 매입 신청의 물품별로 그 단가와 단위중량을 비교할 수 있다. 누적된 과거의 매입 정보는 시간의 추이에 따라 특정한 경향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의 매입 신청이 이러한 추이에서 크게 벗어난다면 이를 이상 거래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S 코드 기준 동일한 물품임에도 그 단가 또는 단위중량이 크게 올라 매입 의뢰금액이 과다하게 청구되었다면 이상 거래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상 거래 탐지시, 과거 매입 의뢰 정보상의 물품의 단가, 단위중량에 대한 과부족(more and less) 허용률을 설정하여 그 범위를 벗어난 경우를 이상 거래로 간주하게 되는데, 과부족 허용률은 통계상의 추세선을 기준으로 하여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추세선은 기계학습을 통해 더욱 정확하게 개선될 수 있으며, 무역 서버(200)에 HS 코드별 물품의 단가와 단위중량에 대한 빅데이터가 확보될수록 이상 거래 탐지의 신뢰성은 점차로 향상될 수 있다.
두 번째 방식은 수출업체의 과거 외상수출채권 매입 신청 대비 거래 유형의 이상 변화를 탐지하는 것이다.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 항목상의 매입 의뢰인, 거래유형 코드, HS 코드, 총수량, 선적지 국가코드, 도착지 국가코드, 수입자 국가코드 등 과거 거래 항목을 기반으로 하여, 수출 업체의 과거 거래 유형에서 벗어난 거래를 이상 거래로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소규모의 업체의 경우 생산설비에 한계가 있어 수출 품목이 과거 수출 품목에서 크게 벗어나기 어려운데 금속 관련 원자재 품목이 플라스틱 관련 품목으로 수출 품목이 이종 품목으로 바뀌거나, 동일 수입국에 대해 직수출에서 중계무역수출로 수출방식이 바뀌거나, 수출 수량이 수출 업체의 역량에 비해 과도하게 증가하고, 동일 품목인데도 선적지가 변화하는 등 과거 수출 거래 유형에서 벗어난 거래는 이상 거래로 간주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두가지 방식의 이상 거래 탐지 결과는, 도 8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이상거래 분석서로 작성되어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와 함께 은행 단말(300)로 전달된다.
은행 단말(300)은 기 저장된 수출업체의 정보와 무역 서버(200)를 통해 전달받은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 내 정보가 일치하는지, 매입 의뢰서 내 내용이 올바르게 기재되어 있는지 심사하는 것은 물론, 이상거래 분석서의 결과를 참조하여 매입 여부를 심사할 수 있다(S103-1, 통과, YES). 심사 결과에 따라 은행 단말(300)이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에 오류가 발생하였거나 접수가 되었음을 무억 서버(200)로 전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수출업체의 매입 한도를 관리하는 일련의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이상 거래 탐지에 대해서는 외상수출채권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 수출대금의 다른 결제 방식인 신용장 방식과 추심 방식의 매입 의뢰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 광학적 판독 매체 등 모든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의 데이터 포맷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전자 무역 시스템
100: 수출업체 단말
200: 무역 서버
210: 통신부
220: 외상수출채권 검증부
222: 외상수출채권 이상거래 감지부
230: 수출업체 관리부
240: 데이터 생성부
300: 은행 단말

Claims (15)

  1. 무역 서버가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Open Account) 매입 및 한도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수출업체 단말로부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가능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검증 결과 또는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현황을 상기 수출업체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 가능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필수 항목 기재 여부, 수출신고내역에서 각 항목의 수출통관 여부 및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잔액 한도 내 매입 여부의 각 항목을 검증하는 단계인,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한도 내 매입 여부는,
    수출업체의 수출 타입에 따라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와 함께 수신하는 수출신고필증 또는 상업송장(Invoice)을 기초로 검증하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 가능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와 상기 수출업체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사이에서,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가 검증을 통과할 경우,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은행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작성한 수출 업체의 수출이행내역을 조회하고,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 내 적어도 하나의 수출 항목을 매칭시켜 수출이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출이행 데이터를 상기 은행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출이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출업체의 수출 타입에 따라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와 함께 수신하는 수출신고필증의 식별 번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식별 번호 당 하나의 수출이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인,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결과는,
    상기 수출이행 데이터 및 근거 서류를 기초로 상기 은행 단말에 의해 생성된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통보서 또는 오류 통보서를 포함하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검증 결과 및 진행 경과에 따라 수출업체의 매입한도를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8. 외상수출채권(Open Account)의 매입 및 한도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수출업체 단말로부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가능 여부를 검증하는 외상수출채권 검증부; 및
    상기 외상수출채권의 매입 의뢰서의 검증 결과 또는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현황을 확인하는 수출업체 관리부;
    를 포함하는 무역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상수출채권 검증부는,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필수 항목 기재 여부, 수출신고내역에서 각 항목의 수출통관 여부 및 수출업체의 외상수출채권 잔액 한도 내 매입 여부의 항목을 검증하는,
    무역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수출업체의 수출 타입에 따라 상기 수출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와 함께 수신하는 수출신고필증 또는 상업송장(Invoice)을 수신하고,
    상기 외상수출채권 검증부는,
    상기 수출신고필증 또는 인보이스를 기초로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검증하는,
    무역 서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가 검증을 통과할 경우,
    상기 수출채권 매입 의뢰서를 작성한 수출 업체의 수출이행내역을 조회하고,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 내 적어도 하나의 수출 항목을 매칭시켜 수출이행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와 함께 상기 데이터 생성부가 생성한 수출이행 데이터를 은행 단말로 송신하는,
    무역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수출업체의 수출 타입에 따라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와 함께 수신하는 수출신고필증의 식별 번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식별 번호 당 하나의 수출이행 데이터를 생성하는,
    무역 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결과는,
    상기 수출이행 데이터 및 근거 서류를 기초로 상기 은행 단말에 의해 생성된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접수 통보서 또는 오류 통보서를 포함하는,
    무역 서버.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출업체 관리부는,
    상기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서의 검증 결과 및 진행 경과에 따라 수출업체의 매입한도를 조정하는,
    무역 서버.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00087905A 2020-07-16 2020-07-16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220009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905A KR20220009565A (ko) 2020-07-16 2020-07-16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905A KR20220009565A (ko) 2020-07-16 2020-07-16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565A true KR20220009565A (ko) 2022-01-25

Family

ID=8004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905A KR20220009565A (ko) 2020-07-16 2020-07-16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95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9254A (ko)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신한은행 은행서버가 기업 수출금융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은행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9254A (ko)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신한은행 은행서버가 기업 수출금융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은행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1965B2 (en) Payment handling
KR101791470B1 (ko) 매출채권의 거래 방법
JP5188505B2 (ja) 支払処理システム債務転換通知
US8744961B2 (en) Method of providing secure payment and transaction reconciliation
US84290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hanges in business stability
US2012030352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erifying regulation compliance
JP2007507799A (ja) 自動支払と自動調整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30103512A (ko) 저축 특징을 갖는 선불 카드
JP2010509699A5 (ko)
CN111144884A (zh) 基于区块链进行信用证项下进口押汇的方法、存储介质
CN112001795A (zh) 一种跨境业务的申报文件校验方法、装置及设备
US20140006267A1 (en) Stakeholder collaboration
US20130138535A1 (en) Network secure pay-as-you-go system
KR101138416B1 (ko) 가상 계좌를 이용한 국제 거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2632B1 (ko) 물류 및 부가세 확인을 통한 진성거래를 위한 구매자금 대출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매자금 대출관리 방법
KR100478693B1 (ko)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방법
US200200461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nancially intermediating transaction of products
KR101934265B1 (ko) 중소협력사의 발주서 담보대출상품의 구성에 따른 운영관리시스템
KR102491724B1 (ko)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정보 이상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2326173B1 (ko) 블록체인 기반 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220009565A (ko)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140132823A (ko) 채권 양수도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TWI693572B (zh) 金融交易外幣系統及其資料傳輸方法
KR20210155502A (ko) 매출채권의 거래 방법
WO2019211664A1 (en) Payment platform for securing pay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