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693B1 -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693B1
KR100478693B1 KR10-2003-0084369A KR20030084369A KR100478693B1 KR 100478693 B1 KR100478693 B1 KR 100478693B1 KR 20030084369 A KR20030084369 A KR 20030084369A KR 100478693 B1 KR100478693 B1 KR 100478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rder
company
computer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646A (ko
Inventor
안중욱
Original Assignee
한국기업인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업인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업인증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47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693B1/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업간 주문/거래 정보를 수집, 활용하여 장래에 발생하게 될 매출 채권을 실질적이고 법률적으로 유효한 성립요건들을 생성시키는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전자 결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주문/거래 확인서를 생성하고, 구매 대금을 지급하는 구매기업 컴퓨터;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를 생성하고, 기업카드를 발급받아 판매 대금을 결제하고, 상기 구매 대금을 정산하여 지급받는 협력업체 컴퓨터; 상기 기업카드를 이용한 상기 판매 대금의 결제 요청을 처리하는 납품업체 컴퓨터;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전송받아 검증 및 분류하고, 장래매출 채권을 담보로 상기 기업카드를 발급하고, 상기 구매 대금의 결제 및 상기 판매 대금의 회수를 지원하는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 대출 한도 설정, 상기 기업카드 승인, 상기 판매 대금 지급, 상기 구매 대금을 지급받는 금융기관 컴퓨터를 포함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전자 결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간 거래의 주체인 구매기업, 협력업체, 납품업체 및 금융기관 모두 비용 절감, 어음 결제의 단점 해결 등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Description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방법{System for Managing Order and Transaction Information Between Companies and Method for Making a Prospective Credit of Sale and Managing Electronic Settlement Thereof}
본 발명은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결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업간에 발생하는 주문/거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활용하여 장래에 발생하게 될 매출 채권을 실질적으로 생성하여 담보하고, 구매업체, 협력업체 및 판매업체까지 확대된 기업간 전자 결제의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결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발전의 속도가 가속화되면서 기업간의 주문 및 거래 횟수 역시 괄목할 만한 증가 속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기업간 거래의 증가 추세에 발맞추어 기업간에 발생하는 대금 결제 관계에 관련된 문제도 한층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다.
이와 같은 기업간 거래 관계가 형성될 때, 통상적으로 물품, 용역 등을 판매하는 판매업체는 구매업체를 대상으로 일련의 대금 청구 과정을 진행한다. 대금 청구가 발생하면 구매업체에서는 현금(Cash)보다는 외상거래, 어음(Bill) 등을 대금 결제의 중요한 수단으로서 선호하고 있다. 이는 구매업체가 대금 결제 수단으로 외상거래나 어음 등을 활용하는 경우, 현금 결제에 비해 구매업체의 전반적인 자금 회전을 보다 융통성 있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외상 거래나 어음 등을 이용한 대금 결제는 그 절차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구매업체 및 판매업체 양측 모두 전체적인 대금 결제 과정이 불필요하게 복잡해지는 불편함을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어음은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 유통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도난, 분실 등의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으며, 어음을 사용하는 구매업체 및 판매업체에서는 고도의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더군다나, 이러한 대금 결제 과정이 하나의 판매업체와 다수의 구매업체와 같은 상황에서 발생하는 경우, 앞에서 설명한 어음 결제의 폐해는 더욱 심각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어음 결제의 폐해로 인하여 최근에는 구매기업이 어음 발행을 축소하거나 폐지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어음 배서를 통한 구매 대금의 결제가 불가능해지고, 원/부자재 납품 대금 지급 시기와 판매 대금의 회수 시기 사이의 구조적인 시간 차이로 인하여, 기존 어음 제도를 대체할 수 있는 기업간 결제 수단이나 제도가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
기업간 결제에서 현재 시행중인 결제 수단이나 제도로는 외상매출 채권 담보 대출 제도, 기업 구매 자금 대출 제도, 기업 구매 전용카드 제도 등이 있다. 먼저, 외상매출 채권 담보 대출 제도는 소위 '전자어음' 제도라고 통용되는 것으로서, 어음 할인과 유사한 방식으로 신용도가 우량한 구매기업의 외상매출 채권을 담보로 금융 기관으로부터 차입받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납품업체(공급업체)가 수수료를 부담하므로 신용도가 우량한 대기업과 같은 구매기업을 제외하고는 이용 실적이 극히 저조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두 번째로, 기업 구매 자금 대출 제도는 구매기업이 어음 발행 대신 금융 기관에서 대출을 받아 납품업체에 현금으로 결제해 주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구매 기업이 수수료를 부담하지만, 대출한도 부족, 담보 부족, 금융비용 증가, 전산 미비 및 절차 복잡 등의 이유로 이용 실적이 대략 40% 대로 낮은 편이다.
마지막으로, 기업 구매 전용카드 제도는 구매 기업이 신용카드로 납품 대금을 결제하고, 납품업체가 대금을 지급받는 제도이다. 하지만, 이 제도 역시 전자어음 제도와 마찬가지로 납품업체가 수수료를 지급해야 한다는 단점으로 인해 이용 실적이 30% 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정리하자면, 종래 기업간 구매 대금 결제 수단으로서의 어음뿐만 아니라 어음 제도를 대체하기 위한 각종 제도 역시 기업들의 자체 신용 부족, 대출 한도 부족, 담보 부족 등의 다양한 이유로 이용 실적이 저조하다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업간에 발생하는 주문/거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활용하여 장래에 발생하게 될 매출 채권을 실질적으로 생성하여 담보하고, 구매업체, 협력업체 및 판매업체까지 확대된 기업간 전자 결제의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결제 관리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기업간 거래 행위에서 발생하는 주문 및 거래 정보를 수집, 검증, 분석, 평가하여 전자적 형태의 장래매출 채권 정보를 생성하고, 전자적인 대금 결제를 지원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통신망을 통해 물품/용역에 대한 주문 정보를 전송받은 후, 상기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적 형태의 주문/거래 확인서를 생성하고, 상기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 대금에 대한 정산 작업을 수행하는 구매기업 컴퓨터; 전자적 형태의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를 생성하여 상기 구매기업 컴퓨터로 전송하고, 전자적 형태의 기업카드를 생성하고, 상기 기업카드에 포함된 결제 정보를 판독하여 판매한 상기 물품/용역에 대한 판매 대금을 결제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정산된 상기 구매 대금에 대한 정산 정보를 전달받는 협력업체 컴퓨터; 상기 협력업체 컴퓨터에서 판독된 상기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대금에 대한 결제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판매 대금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납품업체 컴퓨터;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검증 및 분류하고, 상기 주문 정보으로부터 장래에 발생하는 상기 장래매출 채권을 담보로 상기 기업카드를 발급하고, 상기 협력업체에 대한 신용공여 한도를 설정하고, 상기 기업카드의 승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구매 대금에 대한 결제 작업 및 상기 판매 대금에 대한 회수 작업을 지원하는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 및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에 의해 생성된 상기 주문 정보 및 상기 승인 요청을 수신받아 대출 한도를 설정하고, 상기 기업카드를 승인하고, 상기 납품업체 컴퓨터로 상기 판매 대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구매기업 컴퓨터로부터 상기 구매 대금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금융기관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기업간 거래 행위에서 발생하는 주문 정보 및 거래 정보를 수집, 검증, 분석, 평가하여 장래매출 채권을 성립시키고, 전자적인 대금 결제를 지원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방법으로서, (a) 구매기업 컴퓨터가 주문 계약에 따른 전자적 형태의 주문/거래 확인서를 생성하여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가 수신한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검증하여 승인 여부 신호를 상기 구매기업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는 검증된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금융기관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d) 발급받은 기업카드를 이용하여 납품업체 컴퓨터로 판매 대금에 대한 결제 작업을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가 상기 납품업체 컴퓨터로부터 상기 기업카드의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금융기관 컴퓨터로 상기 승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가 상기 금융기관 컴퓨터로부터 상기 기업카드의 승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납품업체 컴퓨터로 전송하여 상기 판매 대금의 결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g) 상기 금융기관 컴퓨터는 상기 납품업체 컴퓨터로 상기 판매 대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구매기업 컴퓨터로부터 구매 대금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를 통해 상기 협력업체 컴퓨터로 정산된 구매 대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기업간 대금 결제의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기업간 대금 결제는 구매기업 컴퓨터(110), 협력업체 컴퓨터(120), 납품업체 컴퓨터(130) 및 은행 등에 구비되는 금융기관 컴퓨터(140)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각 구성 개체들(110 내지 140)들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구성 개체들에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등과 같은 통신 장치에는 기업간 대금 결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간 대금 결제의 과정을 설명하면, 구매기업 컴퓨터(110)가 특정 물품이나 용역 등의 구매를 요청하는 주문 정보를 생성하여 협력업체 컴퓨터(120)로 전달하면(①), 협력업체 컴퓨터(120)는 구매기업 컴퓨터(110)로부터 전달받은 주문 정보중 주문 내역과 관련된 물품/용역의 공급을 요청하는 물품 공급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납품업체 컴퓨터(130)로 전달한다(②). 납품업체 컴퓨터(130)는 주문받은 물품/용역의 공급이 납기 내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물품의 생산 및 납기 일정을 체크하고(③), 주문받은 물품/용역의 공급이 종료된 이후 금융기관 컴퓨터(140)로부터 구매 대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전달받는다(④).
이 과정에서 금융기관 컴퓨터(140)는 협력업체와 구매기업간에 체결된 계약에 따라 장래에 발생하는 매출채권(이하, '장래매출 채권' 이라 칭함)을 담보로 하고, 기 설정된 신용공여 한도 내에서 구매 대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생성한 후 납품업체 컴퓨터(130)로 전달한다. 여기서, 신용공여(信用供與, Granting of Credit)란 대출, 지급 보증 및 유가증권 매입(자금지원 성격의 것에 한함), 기타 금융 거래상의 신용 위험을 수반하는 금융기관의 직·간접적 거래에 따른 포괄적 의미의 부채를 말한다. 금융감독위원회가 정한 신용공여의 범위는 대출, 지급 보증, 지급 보증에 따른 대지급금의 지급, 어음 및 채권의 매입, 기타 거래 상대방의 지급 불능의 경우 이로 인해 금융기관에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거래 등이다.
한편, 채권법적으로 장래매출 채권은 채권 성립 요건을 완전히 갖추지 아니하여 현재 매출채권으로 성립하였다고 볼 수는 없지만, 가까운 장래에 그 요건을 갖출 것으로 기대되는 채권으로서, 일종의 "수익권"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장래매출 채권의 양도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판례(대법원 판례 1997.7.25 선고95다21624 판결)에서 요구하듯이, 양도 당시 기본적 채권 관계가 어느 정도 확정되어 있어 그 권리의 특정이 가능하고(특정 가능성), 가까운 장래에 발생할 것임이 상당한 정도로 기대되어야 한다(발생 가능성). 따라서,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기업간 대금 결제 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특정 가능성과 발생 가능성을 확실하게 뒷받침 또는 보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협력업체 컴퓨터(120)에 대해 생성되는 신용공여 한도는 구매기업 컴퓨터(110)의 구매 주문의 계약 내역에 따른 장래매출 채권의 담보 가치에 따라 수시로 변동되는 유동적인 가치를 말한다. 따라서, 구매기업 컴퓨터(110)로부터 구매 주문을 받지 못한 협력업체 컴퓨터(120)의 신용공여 한도는 0원이 된다.
한편, 협력업체 컴퓨터(120)는 납품업체로부터 납품받은 물품/용역이 구매기업으로 정상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매기업 컴퓨터(110)로 물품/용역에 대한 납품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고(⑤), 구매기업 컴퓨터(110)는 금융기관 컴퓨터(140)로 납품받은 물품/용역에 대한 대가로 구매대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전송한다(⑥). 금융기관 컴퓨터(140)는 구매대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정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협력업체 컴퓨터(120)로 구매대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협력업체 컴퓨터(120)로 발급되는 기업카드를 이용하는 기업간 대금 결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간 대금 결제 시스템은 구매기업 컴퓨터(110), 협력업체 컴퓨터(120), 납품업체 컴퓨터(130), 금융기관 컴퓨터(140) 및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간 대금 결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 개체(110 내지 140 및 200)들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구성 개체들에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등과 같은 통신 장치에는 기업간 대금 결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편, 기업카드란 기업간의 주문/거래에서 구매기업 컴퓨터(110)의 구매 주문 금액에 따라 신용공여 한도가 결정되어지는 신 개념의 구매 카드로서, 마그네틱(Magnetic) 카드 또는 IC(Integrated Circuit) 카드와 같은 유형의 카드뿐만 아니라, 온라인 상에서 통용될 수 있는 전자적 형태의 카드를 모두 포함하는 카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카드의 발급 과정 및 결제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가 채용된 기업간 대금 결제 시스템에서의 기업카드를 이용한 대금 결제 과정을 설명하면, 구매기업 컴퓨터(110)와 물품 공급 계약을 체결한 협력업체 컴퓨터(120)는 자사의 컴퓨터 등에 설치된 소정의 모듈(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정해진 양식에 맞추어 구매기업 컴퓨터(110)로 주문 확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①). 협력업체 컴퓨터(120)로부터 주문 확인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은 구매기업 컴퓨터(110)는 주문 확인서 등과 같은 전자적 형태의 주문 정보를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로 전송한다(②). 구매기업 컴퓨터(110)으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한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는 금융기관 컴퓨터(140)으로 주문 정보를 전송하고(③), 금융기관 컴퓨터(140)는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적 형태의 장래매출 채권 정보를 생성하고, 이의 평가를 통해 협력업체 컴퓨터(120)에 대한 신용공여 한도(=대출 한도)를 설정한다(④).
한편, 협력업체 컴퓨터(120)는 보유 중인 기업카드를 이용하여 납품업체 컴퓨터(130)로 구매 대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⑤). 여기서, 기업카드란 협력업체 컴퓨터(120)가 구매기업 컴퓨터(110)과 체결한 물품 공급 등의 계약에 따라 생성된 협력업체 컴퓨터(120)의 신용공여 한도 정보가 기록된 전자적 형태의 카드이다. 또한, 기업카드는 온라인을 통한 대금 결제의 무결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소정의 보안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예컨대, 기업카드에 이용될 수 있는 보안 모듈 또는 암호 모듈로는 비밀키 방식의 DES(Data Encryption Standard), RC5, IDEA(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SEED, 공개키 방식의 RSA(Rivest, Shamir, Adleman), ECC(Elliptic Curve Cryptosystem) 및 비밀키 방식과 공개키 방식을 혼용한 SSL(Secure Socket Layer) 등의 모듈이 있다.
한편, 비밀키 방식, 공개키 방식, SSL 방식 등을 이용한 온라인 대금 결제의 암호화 기술은 통상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의 핵심 기술 사상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납품업체 컴퓨터(130)는 수신한 기업카드 정보를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로 전송하여 카드 승인을 요청하고(⑥),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는 수신한 기업카드 정보를 금융기관 컴퓨터(140)로 전송하여 기업카드의 승인을 요청한다(⑦).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로부터 기업카드 정보를 수신한 금융기관 컴퓨터(140)는 카드 승인 정보를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로 전송하고(⑧),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는 수신한 카드 승인 정보를 납품업체 컴퓨터(130)로 전송한다(⑨).
한편, 기업카드를 승인한 금융기관 컴퓨터(140)는 전자 결제를 통해 납품업체 컴퓨터(130)로 판매대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전달하고(⑩), 구매기업 컴퓨터(110)로부터 구매대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전달받는다(⑪). 마지막으로 금융기관 컴퓨터(140)는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를 통해 협력업체 컴퓨터(120)로 구매대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서, 협력업체 컴퓨터(120)로 전달되는 구매대금에 대한 결제 정보는 협력업체가 구매기업으로부터 제공받을 대금에서 납품업체로 지급할 대금을 감산한 금액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카드의 발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카드의 발급 과정을 설명하면, 구매기업 컴퓨터(110)가 협력업체 컴퓨터(120)에 대해 기업카드의 개념 및 발급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면(①), 협력업체 컴퓨터(120)는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로 기업카드 발급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전송하여 기업카드 발급을 신청한다(②). 기업카드의 발급 신청을 받은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는 소정의 모듈을 이용하여 협력업체 컴퓨터(120)의 신용을 조사 및 평가하고, 구매대금에 따라 신용공여 한도를 연산하여(③), 이를 평가 정보로서 금융기관 컴퓨터(140)으로 제공한다(④).
금융기관 컴퓨터(140)는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카드의 발급 여부를 판단하고, 신용공여 한도를 설정하고(⑤), 기업카드의 발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기업카드 발급의 승인 정보를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로 전송한다(⑥). 기업카드 발급의 승인 정보를 수신한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는 저장하고 있는 협력업체 컴퓨터(120)의 평가 정보, 기업카드 발급 사실 및 대금 결제 계좌의 변경과 관련된 정보를 구매기업 컴퓨터(110)로 전송한다(⑦).
또한,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는 온라인 상으로 협력업체 컴퓨터(120)로 기업카드를 발급해 준다(⑧). 여기서, 기업카드의 발급이란 협력업체 컴퓨터(120)의 통신 장치에 기업카드를 이용하여 대금을 결제할 수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작업도 포함한다.
한편,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가 협력업체 컴퓨터(120)로 발행하는 기업카드에는 기업식별 정보가 암호화되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기업식별 정보는 해당 기업의 사업자 번호, 법인 번호, 고유 인증 번호, 기업카드의 발급일 및 발행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협력업체 컴퓨터(120)에 발행된 기업카드에는 건 당 주문 정보 또는 기간별 주문 정보의 가공을 통한 한도 설정이 되어 있어 결제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카드를 이용하여 기업간 대금을 결제하는 방법은 구매론(Loan) 방식과 구매카드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먼저, 구매론 방식이란 기업카드로 결제한 대금에 대해서 협력업체(130)의 매입 청구시 금융기관 컴퓨터(140)는 협력업체(130)에게 즉시 현금을 지급하고, 향후 정산 과정에서 협력업체 컴퓨터(120)가 수수료(이자 비용)를 부담하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구매카드 방식이란 현행의 구매카드를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협력업체 컴퓨터(120)는 기업카드로 구매대금에 대한 결제 작업을 수행하고, 납품업체 컴퓨터(130)가 금융기관 컴퓨터(140)에 수수료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면 금융기관 컴퓨터(140)는 구매 대금에 대한 결제 정보중 수수료에 대한 정보를 차감한 후 납품업체 컴퓨터(130)로 구매대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는 크게 주문 정보 수집부(410), 신용공여 지원부(420), 구매 대금 결제 지원부(430) 및 판매 대금 회수 지원부(440)를 포함한다.
주문 정보 수집부(410)는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 주문 정보 검증 모듈(413), 주문 정보 분류 모듈(414), 지원 보고서 생성 모듈(416), 지원 보고서 송수신 모듈 1(418) 및 다수의 데이터베이스(412, 415, 417)를 포함한다.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은 구매기업 컴퓨터(110) 및 협력업체 컴퓨터(120)로부터 전송되는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 및 '주문/거래 확인서'를 통신망을 통해 각각 문서 또는 일반 데이터의 형태로 수신한다. 이때,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로 전송되는 '주문/거래 확인서' 및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나 일반 데이터의 형태 등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구매기업 컴퓨터(110)에는 주문/거래 확인서 생성 시스템과 주문/거래 확인서 전송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고, 협력업체 컴퓨터(120)에는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 생성 시스템과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 전송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또한, '주문/거래 확인서'에는 주문/거래 사실에 대한 부인(不認) 방지, 데이터의 무결성 등을 담보하기 위해 앞에서 설명한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공인 인증서나 사설 인증서 등의 전자 서명이 첨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거래 확인서'에는 확인서 발행인과 확인 대상인 정보가 포함된 기업 식별 정보, 계약 고유번호, 문서번호, 계약일, 납기일, 결제 금액 및 계약 확인 정보가 포함된 계약 식별 정보, 계약 물품(용역) 정보, 계약 수정 정보, 결제 조건 정보 및 기타 특이사항 정보가 포함된 계약 상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에는 기업 식별 정보에 확인서 발행인 대신 요청서 발행인, 확인 대상인 정보 대신 요청 대상인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주문/거래 확인서'와 동일한 정보 항목이 포함된다.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이 수신한 주문 정보('주문/거래 확인서')는 데이터베이스 1(DB 1)(412)에 저장된다.
한편,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이 구매기업 컴퓨터(110)과 협력업체 컴퓨터(120) 사이에 구매 계약이 성립된 후에 주문/거래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첫째, 구매기업 컴퓨터(110)이 생성한 '주문/거래 확인서'를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의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로 직접 전송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협력업체 컴퓨터(120)에 의한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의 생성 및 구매기업 컴퓨터(110)으로의 전송 과정이 생략된다.
둘째, 협력업체 컴퓨터(120)가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를 생성하여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로 전송하고,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이 수신한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를 구매기업 컴퓨터(110)로 전송한다.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를 수신한 구매기업 컴퓨터(110)는 '주문/거래 확인서'를 생성하여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로 전송하는 방법이다.
셋째, 협력업체 컴퓨터(120)가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를 생성하여 구매기업 컴퓨터(110)로 직접 전송하고,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를 수신한 구매기업 컴퓨터(110)가 '주문/거래 확인서'를 생성하여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로 전송하는 방법이다.
넷째, 구매기업 컴퓨터(110)와 협력업체 컴퓨터(120)가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에 접속하여,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와 '주문/거래 확인서'를 생성하여 주문 정보를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로 전송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은 온라인을 통해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와 '주문/거래 확인서'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여 각각의 요청서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웹사이트 등을 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협력업체 컴퓨터(120)가 마그네틱(Magnetic) 카드나 IC(Integrated Circuit) 카드 등을 통해 구매기업 컴퓨터(110)에 주문 확인 요청을 하면 구매기업 컴퓨터(110)가 카드 리더 장치 및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주문 확인 요청을 수신 및 처리하여 '주문/거래 확인서'를 생성하여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로 전송하는 방법이다.
주문 정보 검증 모듈(413)은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이 수신한 주문/거래 확인서에 포함된 주문 정보를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로부터 수신하여 부인 방지, 무결성, 유효성, 적합성 등을 검증하고, 검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승인 또는 미승인의 응답(Response) 데이터를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을 통해 구매기업 컴퓨터(110)이나 협력업체 컴퓨터(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부인 방지, 무결성 및 유효성에 대한 검증은 전자서명법에 의해 정부로부터 지정을 받아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인 인증기관에서 제공하는 공인 인증 기술 또는 금융 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사설 인증 기술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 사실에 대한 부인 방지, 정보의 훼손 여부 확인, 유효한 정보인지에 대한 확인, 송신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또한, 적합성에 대한 검증은 식별 정보, 거래 정보, 세부 주문 정보, 납품 정보, 결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주문 정보 분류 모듈(414)과 함께 설명하겠다.
주문 정보 분류 모듈(414)은 주문 정보 검증 모듈(413)에 의해 검증된 주문 정보를 수신하여 검증된 주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 항목인 기업 식별 정보, 계약 식별 정보, 계약 상세 정보 등의 분류 기준에 따라 주문 정보를 분류 및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 2(DB 2)(415)에 저장한다. 여기서, 기업 식별 정보는 구매기업 컴퓨터(110) 또는 협력업체 컴퓨터(120)의 식별 정보이고, 계약 식별 정보는 구매기업 컴퓨터(110)과 협력업체 컴퓨터(120)에 의해 체결된 물품 또는 용역 공급 계약에 대한 식별 정보이다.
한편, 주문 정보 검증 모듈(413)에 의해 검증되고, 주문 정보 분류 모듈(414)에 의해 분류되어 데이터베이스 2(415)에 저장되는 주문 정보는 표 1과 같은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식별 정보 과거 거래 정보 세부 주문 정보 납품 정보 결제 정보
업체 정보 과거 예시 정보 주문 정보 정상 납품 정보 정상 결제 정보
물품 정보 과거 주문 정보 주문 변경 정보 납품 연기 정보 결제 연기 정보
과거 납품 정보 주문 취소 정보 부분 납품 정보 결제 취소 정보
과거 결제 정보 계약 불이행 정보
과거 하자 정보
따라서, 주문 정보 검증 모듈(413)이 주문 정보의 적합성 여부를 검증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 2(415)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협력업체 컴퓨터(120)에 대한 물품 정보, 과거 거래 정보 등을 이용하여 협력업체 컴퓨터(120)별 주문 패턴(Pattern) 및 주문 규모 등을 시기, 물품 등에 따라 통계치를 산출한다. 그런 다음,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로부터 수신한 현재 주문 정보에 따른 주문 패턴 및 주문 규모를 산출하여 통계치와 비교하여 기 설정된 일정 범위의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못 미치는 경우 비적합한 주문 정보라고 판단한다. 주문 정보 검증 모듈(413)은 현재 주문 정보가 비적합한 주문 정보라고 판단되면 주문 정보의 이상치를 측정하여 주문 정보의 비적합 사실 및/또는 이상치를 모니터 화면 등으로 출력하고, 전자적 장래매출 채권의 생성을 보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원 정보 생성 모듈(416)은 주문 정보 분류 모듈(414)로부터 분류되고 가공된 주문 정보를 수신하여 신용공여 지원부(420)에서의 신용공여 및 한도 설정 작업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원 정보 생성 모듈(416)은 주문 정보 분류 모듈(414)로부터 수신한 가공된 주문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 포맷(Format)으로 변환한 지원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지원 정보 정보를 지원 정보 송수신 모듈 1(418)로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 3(DB 3)(417)에 저장한다.
여기서, 지원 정보는 신용공여 및 한도 설정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로서 크게 신용 정보와 거래 정보로 분류된다. 신용 정보는 후술할 장래매출 채권의 위험을 측정하는 수학식 1에 사용되는 값들 중 협력업체 자체 신용 위험, 구매기업 부도 위험 및 협력업체 연쇄 부도 위험에 관한 정보이다.
여기서, 협력업체 자체 신용 위험과 구매기업 부도 위험은 해당 기업의 재무 사항과 비재무 사항을 토대로 평가하는 정보로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이미 공개되어 있는 신용 평가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 및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협력업체 연쇄 부도 위험은 특정 업체에 대한 수많은 거래업체에 대한 거래비중과 신용도, 금융 활동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거래업체의 부실이 개별업체에 부실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한 값이다.
한편, 지원 정보 생성 모듈(416)은 신용공여 및 한도 설정에 보다 적합한 지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개별업체에 대한 신용 정보뿐만 아니라, 업종별, 시기별, 물품별, 지역별 등의 신용 정보를 통계적으로 산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지원 정보 중 거래 정보는 후술할 장래매출 채권의 위험을 측정하는 수학식 1에 이용되는 값들 중 하자 발생률, 납기 지연률 등 신용 위험을 제외한 협력업체 컴퓨터(120)의 계약 불이행 위험에 관한 정보이다. 지원 정보 생성 모듈(416)은 신용 정보와 마찬가지로 개별업체에 대한 거래 정보뿐만 아니라, 업종별, 시기별, 물품별, 지역별 등의 거래 정보를 통계적으로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원 정보 송수신 모듈 1(418)은 지원 정보 생성 모듈(416)로부터 지원 정보를 수신하여 신용공여 지원부(420)의 지원 정보 송수신 모듈 2(429)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주문 정보 수집부(410)에 의한 주문 정보의 수신 및 검증 작업을 통해 장래매출 채권은 법률적이고 실질적 효력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법률적이고 실질적인 효력을 갖는 장래매출 채권이라도 거래 시장에서 적당한 가격을 갖고 유동되기 위해서는 적정한 가치 평가 작업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장래매출 채권의 가치 평가 작업은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410)의 신용공여 지원부(420)에서 수행한다.
신용공여 지원부(420)는 거래 분석 모듈(421), 한도 설정 모듈(423), 신용 모니터링(Monitoring) 모듈(425), 종합 평가 모듈(427), 다수의 데이터베이스(422, 424, 426, 428) 및 지원 보고서 송수신 모듈 2(429) 등을 포함한다.
거래 분석 모듈(421)은 데이터베이스 4(DB 4)(422)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과거 협력업체 컴퓨터(120)와 다른 구매기업 간의 거래 유형, 자체 신용도 등을 분석한다. 즉, 거래 분석 모듈(421)은 협력업체 컴퓨터(120)에 대한 한도 설정을 위한 하자율, 지연률, 협력업체 컴퓨터(120) 자체 신용 위험, 구매기업 컴퓨터(110)의 부도 위험 등의 거래 분석 정보를 평가 및 산출하고, 산출된 거래 분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4(DB 4)(422)에 갱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협력업체(210) 고유의 신용 위험 또는 구매기업 컴퓨터(110)의 부도 위험을 산출하는 기술은 통상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도 설정 모듈(423)은 거래 분석 모듈(421)과 후술할 신용 모니터링 모듈(425)을 통해 분석 및 평가된 결과와 한도 설정 정책 및 고유의 환경 변수 등을 고려하여 장래매출 채권의 건당 발생 한도를 설정하고, 데이터베이스 5(DB 5)(424)에 저장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장래매출 채권이 시장에서 적정한 가격을 통해 빠르게 유통되기 위해서는 장래매출 채권의 적정한 가치 평가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도 설정 모듈(423)은 구매기업 컴퓨터(110)의 신용도와 협력업체 컴퓨터(120)의 납품 관계에서 생성된 신용공여를 바탕으로 장래매출 채권의 가치 또는 가격을 평가 또는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채권의 가치는 '금액/(1-이자율)'로 간단하게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분모의 이자율 값 대신에 후술할 수학식 1에 의해 연산되는 장래매출 채권의 위험 값을 채용한 '금액/(1-장래매출 채권 위험)'이 장래매출 채권의 가치 또는 가격이 된다.
이러한 장래매출 채권의 가치는 시장의 수요에 따라 채권의 가격이 형성되는 일반 채권과는 달리 구매기업 컴퓨터(110), 협력업체 컴퓨터(120)의 거래 물품, 거래 규모, 협력업체 컴퓨터(120)가 거래하는 거래업체와의 관계에 따른 부도 위험율 등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한도 설정 모듈(423)은 구매기업 컴퓨터(110), 협력업체 컴퓨터(120) 및 금융기관 컴퓨터(140) 사이의 계약 관계에 따라 하나의 계약 또는 주문을 건별로 취급하지 않고, 6개월, 1년 등과 같은 일정 기간 단위 계약 또는 주문으로 취급하여 해당 기간 단위로 한도 설정을 할 수도 있다.
신용 모니터링 모듈(425)은 장래매출 채권을 통해 대금 결제를 처리하는 다수의 협력업체 컴퓨터(120)의 연쇄 부도 위험 및 협력업체 컴퓨터(120)의 디폴트(Default) 위험을 후술할 도 6에서 설명할 방법에 의해 평가 및 산출하는 새로운 개념의 신용 평가 방법이다. 신용 모니터링 모듈(425)에서 산출된 신용 평가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6(DB 6)(426)에 저장된다.
앞에서 설명한 거래 분석 모듈(421), 한도 설정 모듈(423) 및 신용 모니터링 모듈(425)에서 평가 및 산출된 결과 정보는 종합 평가 모듈(427)로 전달되고, 종합 평가 모듈(427)은 수신한 각종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보고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 7(DB 7)(428)에 저장하고, 다른 기업간 대금 결제 시스템과 생성된 보고서,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 평가 모듈(427)에서 생성하는 통합 보고서는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7(428)은 일종의 리포지터리(Repository)로서 기능한다. 일반적으로 리포지터리는 데이터베이스 관련 분야에서 정보 시스템 간에 공유가 필요한 각종 정보나 응용 시스템의 개발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저장소를 의미한다. 물론, 데이터베이스 7(428)이 아닌 별도의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리포지터리로 구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카드를 이용한 대금 결제에 있어서 리포지터리는 협력업체에 대한 구매기업, 금융기관, 채권인수 기관 등의 변동에 따른 결제 계좌를 능동적으로 관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앞에서 설명한 주문 정보 수집부(410) 또는 신용공여 지원부(420)의 각각의 데이터베이스(412, 415, 417) 또는 데이터베이스(422, 424, 426)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젬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412, 415, 417) 또는 데이터베이스(422, 424, 426)는 필요에 따라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관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충분하게 실시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매 대금 결제 지원부(430)는 협력업체 컴퓨터(120)가 본 발명에 따른 기업카드에 포함된 신용공여 한도 정보를 이용하여 납품업체로 구매 대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구매 대금 결제 지원부(430)는 신용공여 한도를 이용한 구매 대금의 결제 기능을 지원하는 구매 대금 결제 모듈을 포함하여 해당 협력업체 컴퓨터(120)에 설정된 신용공여 한도 내에서 구매 대금의 결제를 지원한다.
판매 대금 회수 지원부(440)는 납품업체 컴퓨터(130)가 협력업체 컴퓨터(120)로 판매(납품)한 물품 대금의 회수를 지원하는 기능을 한다. 구매 대금 결제 지원부(430)와 마찬가지로, 판매 대금 회수 지원부(440)에도 납품업체 컴퓨터(130)가 협력업체 컴퓨터(120)로부터 판매 대금의 회수하는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판매 대금 회수 모듈을 포함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 평가 모듈(427)에서 생성하는 통합 보고서에 기록되는 정보 및 용도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5에 도시된 테이블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통합 보고서에 기록되는 정보는 크게 협력업체 신용정보, 구매업체 신용정보, 협력업체 연쇄 부도 위험, 주문 정보, 결제 정보, 장래매출 채권 정보 등으로 대분류된다. 또한, 대분류된 각 항목에 대한 세부 항목들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대분류된 각각의 항목들의 기능 및/또는 활용에 대한 정보도 기록되어 있다. 예컨대, 종합 평가 모듈(427)에서 생성하는 전자적 형태의 통합 보고서는 자금의 조달을 지원하는 다수의 금융기관 또는 금융기관에 상응하는 기관에서 활용될 수 있다.
통합 보고서에 기록된 정보들 중 기업간 식별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래매출 채권을 이용한 기업간 대금 결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형 또는 무형의 기업카드를 생성시키기 위한 기본 관리 정보로서 이용된다. 또한, 통합 보고서에는 주문 정보가 날짜 순으로 분류 및 기록될 수 있어 장래매출 채권을 관리 및 통제하는 기본 정보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래매출 채권의 가치 평가를 위한 발생 가능한 위험 요소를 기간별로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6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장래매출 채권의 위험(Risk)은 납품/검수 전 위험과 납품 후 위험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것을 구매기업과 협력업체의 계약 관계로 파악하면 협력업체의 계약 불이행 위험과 구매기업의 부도 위험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장래매출 채권의 위험은 납품/검수 전 위험과 납품 후 위험을 합한 값이 되고, 이는 다시 (계약 불이행 위험)×(협력업체 디폴트 위험)+(1-계약 불이행 위험)×(구매기업 부도 위험)×(협력업체 연쇄 부도 위험)이 된다. 이것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1과 같다.
Risk = R{1+C-(A×C)-(B×C)}×Db+(1-A-B)×C2+(A+B)×C = α×Db+β
여기서, 0〈α=R{(1+C-(A×C)-(B×C)}, β=(1-A-B)×C2+(A+B)×C≤1이다.
또한 여기서, A=하자 발생률, B=납기 지연률, C=협력업체 자체 신용 위험(구매기업과 관계없이 부도가 날 위험), Db=구매기업 부도 위험, R=협력업체의 연쇄 부도 위험(협력업체가 구매기업에 의존하는 정도)이다. 또한, 하자 발생률, 납기 지연률, 협력업체 자체 신용 위험 및 구매기업 부도 위험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면 얼마든지 산출할 수 있으므로 상수처럼 취급될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1을 보면 장래매출 채권의 위험은 구매기업 부도 위험의 함수임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구매기업 부도 위험이 "0"이라고 가정할 경우, 장래매출 채권 위험인 Risk = (1-A-B)×C2+(A+B)×C로서 협력업체 자체 신용 위험의 함수이며, 하자 발생률과 납기 지연률이 50% 미만일 경우, 장래매출 채권 위험 곡선은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계수값이 +이므로) 모양이 된다. 즉, 협력업체 자체 신용 위험의 증가율보다 장래매출 채권의 위험 증가율이 낮게 된다. 한편, 하자 발생률과 납기 지연률이 "0"이라고 가정할 경우, 장래매출 채권 위험인 Rsik = C2이므로 협력업체 자체 신용 위험의 제곱에 비례하고, 협력업체 자체 신용 위험의 0부터 1사이의 값을 가지므로 장래매출 채권 위험은 급격히 감소한다.
한편, 협력업체의 디폴트 위험(y)은 다음 수식과 같이 표현된다.
y = a(1)×x(1)+a(2)×x(2)+a(3)×x(3)+....+C
또한, a(n)은 구매기업(n)에 부도가 발생할 경우 협력업체가 부도날 확률을 의미하며, a(n)은 협력업체의 매출 구성 비율(구매기업에 대한 매출액/협력업체 전체 매출액)에 관한 함수로 구할 수 있다. 또한, x(n)은 구매기업(n)의 부도 확률이고, C는 앞에서 설명한 협력업체 자체 신용 위험이다.
한편, a(n)은 협력업체의 매출처별 세금 계산 내역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매출처별 세금 계산 내역은 앞에서 설명한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411)을 통해 가능하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한도 설정 모듈(423)에서 기업의 디폴트 위험만을 따로 분리한다면, 기업의 거래처별 상관 관계를 측정한 개별 기업의 신용 모니터링 모듈(425)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에 구축될 수 있는 통합 정보 관리 계좌 시스템(700)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정보 관리 계좌 시스템(700)은 리포지터리(710)와 레지스트리(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포지터리(710)는 도 4에서 이미 설명하였듯이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에 의해 생성되는 모든 정보가 저장 및 공유되는 데이터 저장소이다. 또한, 레지스트리(720)는 리포지터리(710)에 저장된 결제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종 대금의 결제를 수행하는 기업카드이다.
한편, 리포지터리(710)에는 기업 식별 정보, 거래처 식별 정보, 기업 신용 정보, 거래업체 신용 위험, 구매기업 신용 위험, 주문 식별 정보, 주문 정보, 기업간 하자율/지연률, 기업간 연쇄 부도 위험, 장래매출 채권 생성 정보, 결제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레지스트리(720)에는 사업자 번호, 법인 번호, 고유 인증 번호, 발급일, 발행처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업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협력업체는 n 개의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구매기업을 가질 수 있고, 자금을 지원하는 금융기관 또는 금융기관과 상응하는 채권 인수 기관 등으로부터 n 개의 결제 계좌를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구매기업, 채권 인수 기관 및 금융기관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될 때마다 구매기업 및 협력업체의 결제 계좌를 변경하여 관리해야 하는 결과가 초래된다.
예컨대, 하나의 협력업체에 5 개의 구매기업, 5 개의 채권 인수 기관, 5 건의 계약이 장래매출 채권을 통해 결제된다면, 최대 53=125 개의 결제 계좌 변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하나의 계약에 관계되는 구매기업, 협력업체, 금융기관, 채권 인수 기관 등의 수가 많아질수록 구매기업이나 협력업체가 변경 및 관리해야 하는 결제 계좌 변동의 가짓수가 크게 증가하여 결제 계좌의 변경을 일일이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포지터리(710)에 위에서 열거한 장래매출 채권과 관련된 구매기업 및 협력업체의 식별 정보, 계약과 관련된 상세한 정보가 저장된 주문 정보, 결제 정보 등을 저장시키고, 리포지터리(710)에 대금 결제를 요청하는 레지스트리(720)를 인증 및 매칭(Matching)시켜 대금 결제를 수행한다. 즉, 레지스트리(720)에 기록된 기업식별정보와 리포지터리(710)에 저장 또는 공유되는 기업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대응되는 기업의 실제 계좌 리스트를 파악하여 주문 내역별로 대금 결제를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래매출 채권을 이용한 기업간 대금 결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에 의해 협력업체 컴퓨터(120)에 기업카드가 이미 발급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구매기업 컴퓨터(110)와 물품/용역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상호 전송하는 협력업체 컴퓨터(120)는 전자적 형태의 주문 확인 요청서를 구매기업 컴퓨터(110)로 전송하고, 구매기업 컴퓨터(110)는 전자적 형태의 주문 확인서를 생성하여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로 전송한다(S800). 주문 확인서를 수신한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는 주문 정보 검증 모듈(413)을 이용하여 주문 정보의 부인 방지, 유효성, 적합성 등에 검증 작업을 수행한다(S802).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는 수신한 주문 정보의 검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여(S804), 검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금융기관 컴퓨터(140)로 주문/거래 확인서를 전송한다(S806). 또한,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는 검증이 성공된 주문/거래 확인서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해당 협력업체 컴퓨터(120)의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시킨다.
한편, 하나 이상의 납품업체 컴퓨터(130)와 납품 계약을 체결한 협력업체 컴퓨터(120)는 발급받은 기업카드를 이용하여 납품업체 컴퓨터(130)로 판매 대금의 결제를 요청한다(S808). 판매 대금의 결제 요청을 수신한 납품업체 컴퓨터(130)는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로 기업카드의 승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는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810).
납품업체 컴퓨터(130)로부터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한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는 금융기관 컴퓨터(140)로 승인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812). 물론, 단계 S808 내지 단계 S812는 협력업체 컴퓨터(120)가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로 판매업체(13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직접 판매 대금의 결제를 요청하여 단순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로부터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한 금융기관 컴퓨터(140)는 협력업체 컴퓨터(120)가 보유한 기업카드의 한도 정보를 이용하여 카드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S814). 금융기관 컴퓨터(140)는 단계 S814의 판단 결과 카드 승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로 카드 승인 신호를 전송하고,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는 수신한 카드 승인 신호를 납품업체 컴퓨터(130)로 전송한다(S816).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는 해당 협력업체 컴퓨터(120)와 해당 납품업체 컴퓨터(130) 간의 대금 결제 작업을 수행한다(S818). 여기서, 협력업체 컴퓨터(120)와 납품업체 컴퓨터(130)간의 대금 결제 작업 과정은 금융기관 컴퓨터(140)에서 납품업체 컴퓨터(130)로 판매한 물품/용역에 대한 대금 정보를 전송하고, 구매기업 컴퓨터(110)로부터 구매한 물품/용역에 대한 대금 정보를 전달받으면, 이를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로 전달한다. 그러면,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200)는 협력업체 컴퓨터(120)에 대해 구매한 물품/용역에 대한 대금 정보에서 판매한 물품/용역에 대한 대금 정보를 차감한 정도로 정산된 구매한 물품/용역에 대한 대금 정보를 전달한다.
한편, 단계 804 또는 단계 S814의 판단 결과 주문 정보의 검증에 실패하거나, 기업카드의 승인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검증 실패 정보 또는 승인 실패 정보를 구매기업 컴퓨터(110)나 협력업체 컴퓨터(120) 등으로 전송한다(S820, S822).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에 따른 기업간 대금 결제 시스템은 구매기업에게는 협력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물품의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 구매 비용의 절감, 효율적인 협력업체의 관리 기능 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협력업체는 자금 조달이 용이해짐에 따라 단기 운전자금의 원활한 조달, 투자 여력의 확보, 원자재 조달의 용이, 구매 협상력 강화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납품업체는 안정적인 판매 대금의 회수, 원활한 자금 운영, 어음 관리비용의 절감, 연쇄 도산 위험의 예방,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금융기관은 기업간 거래에서 발생하는 구매 대금을 지원하고 수수료를 받아 새로운 수익원으로서의 신규 시장 창출이 가능하고, 현금 대출에 따른 위험의 감소 및 분산, 관리비용의 감소, 영업망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기업간 거래에서 발생하는 장래매출 채권을 실질적이고 법률적으로 유효하게 생성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기업간 대금 결제의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협력업체에게 발급되는 기업카드를 이용하는 기업간 대금 결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카드의 발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 평가 모듈에서 생성하는 통합 보고서에 기록되는 정보 및 용도를 나타낸 테이블,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래매출 채권의 가치 평가를 위한 발생 가능한 위험 요소를 기간별로 나타낸 예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에 구축될 수 있는 통합 정보 관리 계좌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래매출 채권을 이용한 기업간 대금 결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구매기업 120 : 협력업체
130 : 납품업체 140 : 금융기관
200 :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 410 : 주문 정보 수집부
411 :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 413 : 주문 정보 검증 모듈
414 : 주문 정보 분류 모듈 416 : 지원 정보 생성 모듈
418, 429 : 지원 정보 송수신 모듈 420 : 신용공여 지원부
421 : 거래 분석 모듈 423 : 한도 설정 모듈
425 : 신용 모니터링 모듈 427 : 종합 평가 모듈
430 : 구매 대금 결제 지원부 440 : 판매 대금 회수 지원부
700 : 통합 정보 관리 계좌 시스템 710 : 리포지터리
720 : 레지스트리

Claims (21)

  1. 기업간 거래 행위에서 발생하는 주문 및 거래 정보를 수집, 검증, 분석, 평가하여 전자적 형태의 장래매출 채권 정보를 생성하고, 전자적인 대금 결제를 지원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통신망을 통해 물품/용역에 대한 주문 정보를 전송받은 후, 상기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적 형태의 주문/거래 확인서를 생성하고, 상기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 대금에 대한 정산 작업을 수행하는 구매기업 컴퓨터;
    전자적 형태의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를 생성하여 상기 구매기업 컴퓨터로 전송하고, 전자적 형태의 기업카드를 생성하고, 상기 기업카드에 포함된 결제 정보를 판독하여 판매한 상기 물품/용역에 대한 판매 대금을 결제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정산된 상기 구매 대금에 대한 정산 정보를 전달받는 협력업체 컴퓨터;
    상기 협력업체 컴퓨터에서 판독된 상기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대금에 대한 결제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판매 대금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납품업체 컴퓨터;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검증 및 분류하고, 상기 주문 정보으로부터 장래에 발생하는 상기 장래매출 채권을 담보로 상기 기업카드를 발급하고, 상기 협력업체에 대한 신용공여 한도를 설정하고, 상기 기업카드의 승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구매 대금에 대한 결제 작업 및 상기 판매 대금에 대한 회수 작업을 지원하는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 및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에 의해 생성된 상기 주문 정보 및 상기 승인 요청을 수신받아 대출 한도를 설정하고, 상기 기업카드를 승인하고, 상기 납품업체 컴퓨터로 상기 판매 대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구매기업 컴퓨터로부터 상기 구매 대금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금융기관 컴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카드는 상기 구매 계약 정보에 따라 신용공여 한도가 결정되고, 상기 협력업체 컴퓨터의 사업자 번호, 법인 번호, 고유 인증 번호, 발급일 및 발행처를 포함하는 기업 식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 및/또는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수집하여 검증한 후,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신용공여 한도를 설정하는 데 이용되는 지원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 정보 수집부;
    상기 주문 정보 수집부로부터 상기 지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헙력업체에 대한 상기 신용공여 한도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신용공여 지원부;
    상기 구매 대금의 결제 작업을 지원하는 구매 대금 결제 지원부; 및
    설정된 상기 신용공여 한도 내에서 상기 판매 대금의 결제 작업을 지원하는 판매 대금 회수 지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정보 수집부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 및/또는 상기 주문 거래 확인 요청서를 수집하는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
    상기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이 수집한 상기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 및/또는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에 대해 공인 인증 기술이나 사설 인증 기술을 이용하여 부인(不認) 방지, 무결성, 유효성 및 적합성에 대한 검증 작업을 수행하는 주문 정보 검증 모듈;
    상기 주문 정보 검증 모듈로부터 검증된 주문 정보를 수신하여 기업 식별 정보, 계약 식별 정보 및 계약 상세 정보 중 하나 이상의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주문 정보를 분류 및 가공하는 주문 정보 분류 모듈;
    상기 주문 정보 분류 모듈로부터 분류 및 가공된 상기 주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지원 정보를 생성하는 지원 정보 생성 모듈; 및
    상기 지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신용공여 지원부로 전송하는 제 1 지원 정보 송수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정보는
    협력업체의 자체 신용 위험, 구매기업 부도 위험 및 협력업체 연쇄 부도 위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신용 정보; 및
    상기 협력업체의 하자 발생률 및 납기 지연률을 포함하는 계약 불이행 위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거래 정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정보 수집부에는 상기 주문 정보 송수신 모듈이 수집한 상기 주문 정보, 상기 주문 정보 분류 모듈이 가공하여 분류한 상기 가공된 주문 정보 및 상기 지원 정보 생성 모듈이 생성한 상기 지원 정보가 각각 저장되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나 통합되어 저장되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공여 지원부는
    상기 제 1 지원 정보 송수신 모듈로부터 상기 지원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지원 정보 송수신 모듈;
    협력업체에 대한 신용공여 한도 설정을 위한 하자율, 지연률, 상기 협력업체의 자체 신용 위험 및 구매기업의 부도 위험을 포함하는 거래 분석 정보를 산출하는 거래 분석 모듈;
    상기 구매기업의 신용도를 이용하여 상기 협력업체가 보유하는 장래매출 채권의 가치를 평가하여 상기 협력업체의 기업카드에 대한 신용공여 한도를 설정하는 한도 설정 모듈;
    상기 장래매출 채권을 통해 대금 결제를 처리하는 상기 협력업체의 연쇄 부도 위험 및 디폴트(Default) 위험을 평가 및 산출하는 신용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거래 분석 모듈, 상기 한도 설정 모듈 및 상기 신용 모니티링 모듈이 생성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장래매출 채권을 이용한 대금 결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가 기록된 전자적 형태의 통합 보고서를 생성하는 종합 평가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래매출 채권의 가치는 상기 구매기업과 상기 협력업체 간의 거래 물품, 거래 규모 및 상기 협력업체가 거래하는 거래업체와의 관계에 따른 부도 위험율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도 설정 모듈은 상기 구매기업, 상기 협력업체 및 금융기관 사이의 주문 정보에 따라 일정 기간 단위로 상기 협력업체에 대해 신용공여 한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보고서에는 상기 협력업체 신용 정보, 상기 구매기업 신용 정보, 상기 협력업체 연쇄 부도 위험 정보, 주문 정보, 결제 정보 및 상기 장래매출 채권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공여 지원부에는 상기 거래 분석 모듈이 분석한 상기 거래 분석 정보, 상기 한도 설정 모듈이 설정한 상기 신용공여 한도, 상기 신용 모니터링 모듈이 산출한 상기 협력업체의 연쇄 부도 위험 및 상기 디폴트 위험, 상기 종합 평가 모듈이 생성한 상기 통합 보고서 각각 저장되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나 통합되어 저장되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래매출 채권의 위험도인
    Risk = R{1+C-(A×C)-(B×C)}×Db+(1-A-B)×C2+(A+B)×C = α×Db+β의 수식으로 산출되고, 0〈α=R{(1+C-(A×C)-(B×C)}, β=(1-A-B)×C2+(A+B)×C≤1이고, A=하자 발생률, B=납기 지연률, C=협력업체의 자체 신용 위험, Db=구매기업의 부도 위험, R=협력업체의 연쇄 부도 위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
  13. 제 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래매출 채권의 가치는 상기 구매대금을 (1-상기 장래매출 채권의 위험도)값으로 나눈 결과값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업체의 디폴트 위험인
    y = a(1)×x(1)+a(2)×x(2)+a(3)×x(3)+....+C의 수식으로 산출되고, a(n)은 구매기업(n)에 부도가 발생할 경우 협력업체가 부도날 확률이고, x(n)은 구매기업(n)의 부도 확률이고, C는 협력업체 자체 신용 위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는 상기 구매기업 컴퓨터, 상기 협력업체 컴퓨터, 상기 납품업체 컴퓨터 및 상기 금융기관 컴퓨터 사이에서의 대금 결제를 요청한 상기 기업카드를 인증하고, 상기 기업카드에 기록된 기업 식별 정보를 파악하여 관계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 계좌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대금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리포지터리(Repository)를 구축 및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지터리에는 기업 식별 정보, 거래처 식별 정보, 기업 신용 정보, 거래업체 신용 위험 정보, 구매기업 신용 위험 정보, 주문 식별 정보, 주문 정보, 상기 협력업체의 하자율, 지연률 및 연쇄 부도 위험 정보, 장래매출 채권 정보 및 대금 결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시스템.
  17. 기업간 거래 행위에서 발생하는 주문 정보 및 거래 정보를 수집, 검증, 분석, 평가하여 전자적인 형태의 장래매출 채권 정보를 생성하고, 전자적인 대금 결제를 지원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방법으로서,
    (a) 구매기업 컴퓨터가 주문 계약에 따른 전자적 형태의 주문/거래 확인서를 생성하여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가 수신한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검증하여 승인 여부 신호를 상기 구매기업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는 검증된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금융기관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d) 발급받은 기업카드를 이용하여 납품업체 컴퓨터로 판매 대금에 대한 결제 작업을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가 상기 납품업체 컴퓨터로부터 상기 기업카드의 승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금융기관 컴퓨터로 상기 승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가 상기 금융기관 컴퓨터로부터 상기 기업카드의 승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납품업체 컴퓨터로 전송하여 상기 판매 대금의 결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g) 상기 금융기관 컴퓨터는 상기 납품업체 컴퓨터로 상기 판매 대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구매기업 컴퓨터로부터 구매 대금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를 통해 상기 협력업체 컴퓨터로 정산된 구매 대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는,
    상기 구매기업 컴퓨터가 생성하여 전송하는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수집하는 방법;
    상기 협력업체 컴퓨터가 전자적 형태의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를 생성하여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가 수신한 상기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를 상기 구매기업 컴퓨터로 전송하여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수집하는 방법;
    상기 협력업체 컴퓨터가 상기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를 생성하여 상기 구매기업 컴퓨터로 전송하고, 상기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를 수신한 상기 구매기업 컴퓨터가 생성하여 전송하는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수집하는 방법;
    상기 협력업체 컴퓨터와 상기 구매기업 컴퓨터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 상에서 각각 생성하는 상기 주문/거래 확인 요청서와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수집하는 방법; 및
    상기 협력업체로부터 마그네틱(Magnetic) 카드나 IC(Integrated Circuit) 카드를 이용하여 카드 리더 장치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주문 정보를 수신한 상기 구매기업이 생성하는 상기 주문/거래 확인서를 수집하는 방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통해 상기 주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검증은 사설 인증 기술 또는 공인 인증 기술을 이용하여 수신한 상기 주문 정보에 대한 부인(不認) 방지, 무결성, 유효성 및 적합성에 대하여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기업간 대금 결제 서버는 수신한 상기 주문 정보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상기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파악한 현재 주문 패턴(Pattern) 및 현재 주문 규모와, 상기 협력업체에 대한 물품 정보 및 과거 거래 내역 정보를 분석하여 파악한 과거 주문 패턴 및 과거 주문 규모의 통계치를 비교하되, 비교 결과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일정 한도 이상 초과하거나 일정 한도 이하에 못미치는 경우 비적합한 주문 정보라고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카드는 비밀키(Private Key) 방식의 DES(Data Encryption Standard), RC5, IDEA(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및 SEED, 공개키(Public Key) 방식의 RS A(Rivest, Shamir, Adleman), ECC(Elliptic Curve Cryptosystem) 및 비밀키 방식과 공개키 방식을 혼용한 SSL(Secure Socket Layer) 중 하나 이상의 기술을 이용하여 보안화 또는 암호화된 상태에서 대금 결제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방법.
KR10-2003-0084369A 2002-11-27 2003-11-26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방법 KR100478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409 2002-11-27
KR20020074409 2002-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646A KR20040047646A (ko) 2004-06-05
KR100478693B1 true KR100478693B1 (ko) 2005-03-24

Family

ID=37342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369A KR100478693B1 (ko) 2002-11-27 2003-11-26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047B1 (ko) 2010-02-22 2010-07-07 홍종열 어음대체결제수단을 활용한 대금지급 모니터링 및 납품대금 현금성결제 적정심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100A (ko) * 2007-06-05 2009-01-09 주식회사 신한은행 매출채권 할인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100794254B1 (ko) * 2007-09-27 2008-01-11 주식회사 코렘프 상생경영을 위한 협력업체 지원서비스 시스템
KR101362044B1 (ko) * 2011-08-12 2014-02-11 주식회사 나이스디앤비 매출채권 유통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 간 상생협력 지원시스템
KR102207671B1 (ko) * 2018-11-13 2021-01-27 한국기업데이터 주식회사 중소기업 보조사업 지원 방법 및 시스템
CN112561491A (zh) * 2020-12-23 2021-03-26 江苏智慧工场技术研究院有限公司 企业信息采集系统
KR102398155B1 (ko) * 2021-11-10 2022-05-13 주진현 급식 안전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15051963B (zh) * 2022-06-06 2024-01-26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消息处理方法及装置、消息队列系统及电子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047B1 (ko) 2010-02-22 2010-07-07 홍종열 어음대체결제수단을 활용한 대금지급 모니터링 및 납품대금 현금성결제 적정심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646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5661B1 (en) System and method a risk based purchase of goods
US6999943B1 (en) Routing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ing payment transaction volume and profitability
US87066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the ability of borrowers to repay loans
KR101791470B1 (ko) 매출채권의 거래 방법
US20020120537A1 (en) Web bas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usiness to business online transactions
JP2008512778A5 (ko)
KR101422136B1 (ko) 가맹점거래평가모형을 통한 신용카드 매출채권 담보부 대출서비스 위험 관리방법
KR20220046193A (ko) 블록체인 기반의 저작권 거래 서비스 지원 시스템
CN111199479B (zh) 基于区块链进行进口海外代付的方法、存储介质
KR20020013677A (ko) 온라인 상에서 공인인증된 매출채권 양수도 계약에 의한매출채권 결제방법 및 장치
KR100478693B1 (ko) 기업간 주문 및 거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장래매출 채권의 형성 및 전자 결제 관리 방법
CN112581280A (zh) 一种供应链金融服务管理系统
US200200461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nancially intermediating transaction of products
KR20090017793A (ko) 온라인 증권계좌 담보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증권계좌 담보대출 거래방법
KR100584885B1 (ko) 온라인을 통한 자금 조달 시스템 및 방법
Hwang Changes in trading behavior of analyst‐affiliated institutions: The impact of the global analyst research settlement
KR101137305B1 (ko) 온라인 증권계좌 담보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증권계좌 담보대출 거래방법
Stankey Internet Payment Systems: Legal Issues Facing Businesses, Consumers and Payment Service Providers
KR102491724B1 (ko) 외상수출채권 매입 의뢰정보 이상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150050106A (ko) 지식재산권 담보 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금융기관 서버
TWI693572B (zh) 金融交易外幣系統及其資料傳輸方法
KR20220009565A (ko) 외상수출채권 매입 및 한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0836937B1 (ko) 자기앞수표 직불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2702A (ko) 전자 외상채권을 기반으로 하는 자산 유동화 채권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umar et al. KKR’s Acquisition of First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