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549A - 고주파 융착 튜브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주파 융착 튜브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549A
KR20220009549A KR1020200087863A KR20200087863A KR20220009549A KR 20220009549 A KR20220009549 A KR 20220009549A KR 1020200087863 A KR1020200087863 A KR 1020200087863A KR 20200087863 A KR20200087863 A KR 20200087863A KR 20220009549 A KR20220009549 A KR 20220009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high frequency
tube container
should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찬
이동훈
Original Assignee
김재찬
이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찬, 이동훈 filed Critical 김재찬
Priority to KR1020200087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9549A/ko
Publication of KR20220009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4Dielectric heating, e.g. high-frequency welding, i.e. radio frequency welding of plastic materials having dielectric properties, e.g. PV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로 튜브 용기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고주파를 2번에 나누어서 실시하는 것은 라미네이트 쉬트를 사이드 실링하여 바디(1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접합면에는 반드시 2매의 라미네이트 쉬트가 포개져야만 원통형의 바디(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바디(10)의 접합면 두께는 1매로 이루어진 바디(10)보다 2배가 된다. 따라서 사출로 성형된 숄더(20)에 바디(10)를 밀착시켜 고주파로 유도 가열하여 라미네이트의 내부 수지층을 녹여 융착 할 때 바디(10)의 접합면은 두께가 2배로 고주파의 출력이 바디(10)의 다른 부위보다 높아야 하지만 1회에 너무 높은 출력으로 고주파 융착시키면 바디(10)과 숄더(20)이 융착은 되지만 바디(10)의 외관이 과열되어 엉망이 되고, 제품으로 가치가 저하된다. 기존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주파 출력을 낮추는 경향이 있어 튜브 용기가 누수 되는 품질 문제가 자주 대두되었다. 이러한 연유로 본 발명에서는 고주파를 2회로 나누어 1차로 고주파 출력을 정상적인 범위에서 진행하여 완벽하게 융착 시키고, 2차로 고주파 출력을 낮추어 튜브 용기의 외관 및 품질을 완성하는 제조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주파 융착 튜브 제조 방법 {methods of tube welded high frequency generators}
본 발명은 치약이나 화장품, 각종 식품, 의약품 연고제를 저장하기 위한 일회용 튜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바디 상단에 사출된 숄더 또는 숄더 앤 원터치 캡을 고주파로 융착하여 성형됨으로써 용기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조과정과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일회용 튜브 용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 용기는 여러 가지 페이스트상 물질인 치약이나 식품 및 연고, 화장품 등의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플랙시블한 라미네이트 쉬트로 이루어진 바디에 내용물을 충진시킨 상태에서 바디 일측에 장착된 숄더의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하며, 보관시에는 소정의 캡을 숄더와 결합시켜 배출구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튜브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튜브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라미네이트 쉬트로 이루어진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상단에 장착되어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01)를 갖는 숄더(200)와; 상기 숄더(200)의 배출구(201)로부터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300);으로 이루어지며, 최초 제조된 튜브 용기에는 숄더(200)의 배출구(201)를 밀봉하기 위한 금속 박판(400)이 부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튜브 용기는 통상적으로 압출 합지 방식으로 다수의 수지를 적층하여 제작된 플랙시블한 라미네이트 쉬트를 사이드 실링하여 원통형의 바디(100)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100)를 금형에 삽입하여 그 상단에 배출구(201)를 갖는 숄더(200) 부분을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한 다음, 금속 박판(400)으로 배출구(201) 상단을 완전히 덮도록 리드 실링하고, 숄더(200)에 별도로 성형하여 제작된 캡(300)을 씌운 다음 상기 바디 하단을 통해 내용물을 충진시키고 밀봉함으로써 제품이 완성된다. 상기 숄더(200)와 캡(300)은 서로 탈, 장착이 가능한 나사 결합 혹은 억지 끼움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러한 튜브 용기들은 최초 사용시 캡(300)을 분리하여 열고, 숄더(200)의 배출구(201)에 부착된 금속 박판(400)을 제거한 후 바디(100) 부분을 눌러 숄더(200)의 배출구(201)를 통해 내용물을 일정분량 배출시켜 사용한 다음, 재사용을 위하여 캡(300)을 다시 결합하여 보관 및 휴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인스턴트 제품의 증가로 한번 사용한 후 버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회용 튜브 용기의 사용량도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회용 튜브 용기의 경우 그 사용목적이 일회용임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바디(100)와 숄더(200), 캡(300)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여 내용물의 양과 비례한 가격을 제시하지 못한 채 사용자에게 가격부담을 주고 있다. 특히 숄더(200)의 배출구(201)에 금속 박판(400)을 리드 실링하는 과정은 자동화 공정이 용이하지 못하여 더욱 부담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종래 튜브 용기의 제조과정을 혁신하고 생산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일회용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일회용 튜브 용기 제조방법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용물이 저장되는 라미네이트 쉬트로 이루어진 바디;와 상기 바디 상단에 사출물인 숄더를 2번의 고주파에 의해 융착;하고, 배출구에 캡을 체결 또는 억지 끼움하는 방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튜브 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디와 숄더를 2번의 고주파로 융착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고 용기로써 주요 기능인 내용물이 누수되는 품질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튜브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번의 고주파로 융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튜브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로 전술한 대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튜브 용기는 플랙시블한 라미네이트 쉬트로 이루어진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융착되는 사출로 성형된 숄더(20);와 금속 박편인 리드 실러;와 캡;으로 구성되는데,
도 2의 (a)와 같이 상기 고주파용 맨드럴(1)에 상기 바디(10)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바디(10)가 삽입된 고주파용 맨드럴(1)에 사출로 성형된 숄더(20)를 씌우는 단계;
도 2의 (b)와 같이 상기 고주파 모듈(3)로 바디(10)의 상단을 수축시켜 사출로 성형된 숄더(20)에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고주파 모듈(3)에 고주파 성능의 약 70%에서 75%까지의 세기로 고주파 출력을 인가하여 1차로 융착하는 단계;
상기 고주파 전원을 일시 차단하는 단계;
상기 고주파 모듈(3)에 고주파 성능의 약 60%에서 70%까지의 세기로 고주파 출력을 인가하여 2차로 융착하는 단계;로 제조하는 방법으로 구성하는 일회용 튜브 용기를 제작하여 포장재로써 튜브 용기의 주요 기능인 누수 품질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한다.
고주파를 2번에 나누어서 실시하는 것은 라미네이트 쉬트를 사이드 실링하여 바디(1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접합면에는 반드시 2매의 라미네이트 쉬트가 포개져야만 원통형의 바디(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바디(10)의 접합면 두께는 1매로 이루어진 바디(10)보다 2배가 된다. 따라서 사출로 성형된 숄더(20)에 바디(10)를 밀착시켜 고주파로 유도 가열하여 라미네이트의 내부 수지층을 녹여 융착 할 때 바디(10)의 접합면은 두께가 2배로 고주파의 출력이 바디(10)의 다른 부위보다 높아야 하지만 1회에 너무 높은 출력으로 고주파 융착시키면 바디(10)과 숄더(20)이 융착은 되지만 바디(10)의 외관이 과열되어 엉망이 되고, 제품으로 가치가 저하된다. 기존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주파 출력을 낮추는 경향이 있어 튜브 용기가 누수 되는 품질 문제가 자주 대두되었다. 이러한 연유로 본 발명에서는 고주파를 2회로 나누어 1차로 고주파 출력을 정상적인 범위에서 진행하여 완벽하게 융착 시키고, 2차로 고주파 출력을 낮추어 튜브 용기의 외관 및 품질을 완성하는 제조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으로 제작된 튜브 용기에 금속 박편을 리드 실링하는 단계;
상기 금속 박편이 리드 실링된 튜브 용기에 캡을 체결 또는 억지 끼움하여 튜브 용기를 완성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구현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 청구 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바디
20 : 숄더 또는 숄더 앤 캡
1 : 고주파용 맨드럴
3 : 고주파 모듈

Claims (2)

  1. 일회용 튜브 용기는 주요 부품으로 플랙시블한 라미네이트 쉬트로 이루어진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융착되는 사출로 성형된 숄더(20);와 금속 박판인 리드 실러;와 캡;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고주파용 맨드럴(1)에 상기 바디(10)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바디(10)가 삽입된 고주파용 맨드럴(1)에 사출로 성형된 숄더(20)를 씌우는 단계;
    상기 고주파 모듈(3)로 바디(10)의 상단을 수축시켜 사출로 성형된 숄더(20)에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고주파 모듈(3)에 고주파 성능의 약 70%에서 75%까지의 세기로 고주파 출력을 인가하여 1차로 융착하는 단계;
    상기 고주파 전원을 일시 차단하는 단계;
    상기 고주파 모듈(3)에 고주파 성능의 약 60%에서 70%까지의 세기로 고주파 출력을 인가하여 2차로 융착하는 단계;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으로 제작된 튜브 용기에 금속 박편을 리드 실링하는 단계;
    상기 금속 박편이 리드 실링된 튜브 용기에 캡을 체결 또는 억지 끼움하여 튜브 용기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융착 튜브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모듈(3)에 고주파 성능의 약 70%에서 75%까지의 세기로 고주파 출력을 인가하여 1차로 융착하는 단계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시간은 라미네이트 쉬트의 두께에 상응하여 조정되고;
    상기 고주파 전원을 일시 차단하는 단계에서 차단 시간은 고주파 출력에 비례하고;
    상기 고주파 모듈(3)에 고주파 성능의 약 60%에서 70%까지의 세기로 고주파 출력을 인가하여 2차로 융착하는 단계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시간은 라미네이트 쉬트의 두께에 상응하여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융착 튜브 제조 방법.
KR1020200087863A 2020-07-16 2020-07-16 고주파 융착 튜브 제조 방법 KR20220009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863A KR20220009549A (ko) 2020-07-16 2020-07-16 고주파 융착 튜브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863A KR20220009549A (ko) 2020-07-16 2020-07-16 고주파 융착 튜브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549A true KR20220009549A (ko) 2022-01-25

Family

ID=80048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863A KR20220009549A (ko) 2020-07-16 2020-07-16 고주파 융착 튜브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95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3280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thin-walled flexible plastic tube with label
JPH07329994A (ja) 多連式並列チュ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EA036813B1 (ru) Трубчатый контейнер с наружной тубой и внутренним контейнером
KR20220009549A (ko) 고주파 융착 튜브 제조 방법
AU4477797A (en) Method and mould tools for injection moulding a plastics material part in a packaging sheet material
EP2040899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jection moulding a packaging container portion
AU2003278599A1 (en) Bag-making method
JP2007269385A (ja) 軟質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073781A (zh) 用于制造包装封闭件的方法和设备
KR100909254B1 (ko) 일회용 튜브 용기
JP2002096828A (ja) 注出具付き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95439A (ko) 일회용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MX2008015249A (es) Dispositivo de abertura, tapa atornillable para su uso en tal dispositvo de abertura y metodo de formacion de tal dispositivo de abertura.
JP2007269398A (ja) 軟質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内容物収容軟質容器
JP2006036218A (ja) 軟質容器及びその密封方法
CN104958180A (zh) 一种医用输液塑瓶的组合盖
JP4266492B2 (ja) アルミ・ラミネートチューブ容器
CN202124198U (zh) 带塑料嘴的液体包装用塑料容器盖
KR20150027476A (ko) 캡 일체 튜브용기용 캡 및 그 제조방법
CN218143242U (zh) 一种一体式高密封性瓶盖
KR20020089395A (ko) 개선된 용기 및 이 용기의 형성 방법 및 장치
JP2626464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マウテンカップのガスケット形成方法
JP2015143130A (ja) 粘稠物収納容器
KR20070103130A (ko) 포장재용 튜브
KR20210149510A (ko) 포장용 튜브의 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