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571A -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 - Google Patents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571A
KR20220008571A KR1020200086836A KR20200086836A KR20220008571A KR 20220008571 A KR20220008571 A KR 20220008571A KR 1020200086836 A KR1020200086836 A KR 1020200086836A KR 20200086836 A KR20200086836 A KR 20200086836A KR 20220008571 A KR20220008571 A KR 20220008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sheet
cells
layer
growth f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837B1 (ko
Inventor
김태수
임세환
최제현
이성준
이영화
박나영
이길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씨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씨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씨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86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83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8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61F13/00008
    • A61F13/0002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61F13/01029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made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1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the fluid retention member being a layer of hydrocolloid, gel form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27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biological activity, e.g. enzymes for debriding wounds or others, collagen or growth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층; 상기 시트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하이드로겔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젤라틴 5 내지 30중량%, 생체적합성 고분자 1 내지 30중량%, 유효성분 0.0001 내지 10중량% 및 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Temparture sensitive complex hydrogel sheet comprising biocompatible hydrogel}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에 관한 것이다.
하이드로겔(hydrogel)은 화학적 가교 또는 물리적인 결합에 의해 수용액 상에서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 물질로써 다량의 수분이나 약물 등을 탐지할 수 있고, 천연 조직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상처 드레싱, 약물 전달 매체 등 적용 분야가 다양화되고 있다. 또한, 하이드로겔은 인체의 세포 기질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생체 적합성, 탄성을 가져 의료뿐만 아니라 제약 산업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드레싱이나 약물전달 매체는 첨가제에 의한 일부 세포 독성, 유효성분 구조 변형, 비가역적 겔화로 인한 유효성분 혼합의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12-0015783호 (2012년 2월 22일 공개)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에 있어서, 시트층; 상기 시트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하이드로겔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젤라틴 5 내지 30중량%, 생체적합성 고분자 1 내지 30중량%, 유효성분 0.0001 내지 10중량% 및 잔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하이드로겔 층은 30℃ 내지 36℃에서 겔 상태에서 졸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덱스트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산,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알지네이트, 카라기난, 키토산,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알킬셀룰로오스, 아가, 엘라스틴 및 콜라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세포, 세포외 소포체, 배양액, 호르몬, 탄수화물, 효소 및 성장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포는 피부세포, 섬유아세포, 혈관 내피 세포, 신경세포, 연골세포, 뼈세포 및 줄기세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성장인자는 섬유아세포증식인자, 혈관 내피 성장 인자, 각질세포성장인자, 신경성장인자, 상피 세포 성장 인자 및 골 형성 성장 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세포외 소포체는 엑소좀(exosomes), 마이크로베시클(microvesicles), 엑토좀(ectosomes), 마이크로파티클(microparticles), 막소포체(membrane vesicles), 나노베시클(nanovesicles) 및 외막소포체(outer membrane vesicle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층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에스테르우레탄, 폴리에틸렌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아크릴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스티렌, 폴리 아닐린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트층은 0.1-1mm 두께이며,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에서 제조된 하이드로겔의 졸-겔 전이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에서 유효성분 혼합 정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하이드로겔 내 유효성분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이고,
도 5는 시트층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하이드로겔 시트의 FE-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에서 시트의 조작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에서 시트 내 유효성분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시트의 단면도이다.
하이드로겔 시트(1)는 시트층(10)과 하이드로겔층(20)으로 이루어진다.
시트층(10)의 두께는 0.1 내지 1mm 이고 하이드로겔층(20)의 두께는 0.5 내지 2mm 일 수 있다.
하이드로겔 시트(1)는 이외에 사용 시 제거되는 이형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층(10)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에스테르우레탄, 폴리에틸렌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아크릴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스티렌, 폴리 아닐린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트층(10)은 0.1 ~ 1mm 두께이며,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이드로겔층(20)은 젤라틴 5 내지 30중량%, 생체적합성 고분자 1 내지 30중량%, 유효성분 0.0001 내지 10중량% 및 잔부를 포함한다. 유효성분은 0.0001 내지 5중량%, 0.001 내지 5중량% 또는 0.001 내지 2중량%일 수도 있다.
유효성분은 하이드로겔층(20)에 균일하게 또는 국지적으로 분포할 수 있다. 잔부는 증류수 또는 버퍼용액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젤라틴은 천연 단백질의 일종으로, 저온에서는 팽창하고, 고온에는 녹아서 졸(sol)이 된다. 또한 실온에서는 탄성있는 젤(gel)이 되는 특징을 갖는다. 젤은 가열하거나 적정 온도가 되면 다시 졸 상태로 돌아오며, 유기 용매에는 녹지 않는 특징이 있다. 졸 상태에서 하이드로겔층(20)의 유효성분은 인체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하이드로겔 층(20)은 30℃ 내지 36℃에서 겔 상태에서 졸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즉 하이드로겔 층(20)은 낮은 온도에서는 점도가 높은 상태였다가 피부에 부착하였을 때 점도가 낮은 졸 상태로 변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층(20)은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덱스트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산,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알지네이트, 카라기난, 키토산,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알킬셀룰로오스, 아가, 엘라스틴 및 콜라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효성분은 세포일 경우 1 x 103 내지 5 x 108 cells/ml, 세포외 소포체의 경우 1 X 106 내지 1 X 1011/ml의 입자수, 성장인자의 경우 0.0001 내지 5중량%일 수 있다.
제조과정에서 줄기세포 배양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효성분은 줄기세포 배양액 내의 성분일 수 있다.
세포는 피부세포, 섬유아세포, 혈관 내피 세포, 신경세포, 연골세포, 뼈세포 및 줄기세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성장인자는 섬유아세포증식인자, 혈관 내피 성장 인자, 각질세포성장인자, 신경성장인자, 상피 세포 성장 인자 및 골 형성 성장 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포외 소포체는 엑소좀(exosomes), 마이크로베시클(microvesicles), 엑토좀(ectosomes), 마이크로파티클(microparticles), 막소포체(membrane vesicles), 나노베시클(nanovesicles) 및 외막소포체(outer membrane vesicle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젤라틴과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조성된 하이드로겔은 생체친화성, 생분해성이 우수한 천연 고분자재료인 젤라틴을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기존의 겔을 이용하는 기술에서 해결할 수 없었던 졸-젤 가역성을 가져 유효 성분 혼합이 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또한 하이드로겔층(20) 하부의 시트층(10)을 통해 편리한 조작성을 가진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르면 부착력과 안정성이 개선되며, 간단한 제조공정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의약품 및 의료기기 개발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이드로겔 제조 및 테스트
하이드로겔 실시예 1
젤라틴 (gelatin, type A, sigma-aldrich)과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Bloomage)을 중량비(배양액 88중량%, 젤라틴 10중량%, 히알루론산 2중량%)에 맞게 배양액에 첨가한 후, 50-60℃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하여 녹여주었다. 그 이후, 0.22um filter를 통해 여과 멸균하여 젤라틴/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온도 감응성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하이드로겔 실시예 2
젤라틴과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methyl cellulose, CMC, Duksan), 을 각 중량비(배양액 86중량%, 젤라틴 10중량%,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4중량%)에 맞게 배양액에 첨가한 후, 50-60℃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하여 녹여주었다. 그 이후, 0.22um filter를 통해 여과 멸균하여 젤라틴/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온도 감응성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하이드로겔 실시예 3
젤라틴과 덱스트란 (Dextran, Pharmacosmos)을 각 중량비(배양액 87.5중량%, 젤라틴 10중량%, 덱스트란 2.5중량%)에 맞게 배양액에 첨가한 후, 50-60℃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하여 녹여주었다. 그 이후, 0.22um filter를 통해 여과 멸균하여 젤라틴/덱스트란을 함유하는 온도 감응성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하이드로겔 실시예 4
젤라틴과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HPMC, Sigma-aldrich)을 각 중량비(배양액 86중량%, 젤라틴 10중량%,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4중량%)에 맞게 배양액에 첨가한 후, 50-60℃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하여 녹여주었다. 그 이후, 0.22um filter를 통해 여과 멸균하여 젤라틴/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온도 감응성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하이드로겔 비교예 1
젤라틴(gelatin, type A, sigma-aldrich)과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Bloomage)을 중량비(배양액 64.5중량%, 젤라틴 35중량%, 히알루론산 0.5중량%)에 맞게 배양액에 첨가한 후, 50-60℃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하여 녹여주었다. 그 이후, 0.22um filter를 통해 여과 멸균하여 젤라틴/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하이드로겔 비교예 2.
젤라틴 10중량%를 60℃에서 녹여준 후, 히알루론산 2중량%와 가교제인 EDC 0.35중량%와 NHS 0.25중량%를 추가하여 10분 정도 교반하여 주었다. 젤이 형성된 후 3차 증류수로 3번 반복하여 하이드로겔을 세척하여 제조하였다.
하이드로겔 시험예 1. 졸-젤 전이 현상 및 점도 측정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젤라틴/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의 온도에 따른 졸-겔 전이 현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Viscometer (DV2T, Brookfield)를 사용하여 0 ~ 60℃에서 점도 (Viscosity)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0 ~ 30℃에서는 측정값을 초과하였으며 (최대측정값 122,800cP), 31℃에서는 약 4000cP, 35℃에서는 약 1500cP로 점도가 낮아졌다. 본 결과를 통하여,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젤라틴/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은 30℃ 이하에서는 젤 상태로써 세포 및 약물을 함유하고 있다가, 31℃이상에서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졸 상태로써 세포/약물을 방출할 수 있는 가역적 기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하이드로겔 시험예 2. 가교된 하이드로겔과 비교를 통한 유효성분 혼합 정도 비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젤라틴/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과 비교예 2인 EDC/NHS coupling reaction을 통해 제조된 가교된 하이드로겔에 각각 트리판 블루 (trypan blue) 10㎕를 자력교반기(300rpm)를 통하여 10분간 혼합하여 하이드로겔과 혼합 정도를 비교한 사진이다.
그 결과, 가교된 하이드로겔 (a)의 경우 trypan blue와 혼합이 어려우며 한 면에 치우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하이드로겔 (b)의 경우 트리판 블루를 하이드로겔 전면에 섞여 하이드로겔 제조 후 유효성분 (세포, 약물 등) 혼합에 용이함을 알 수 있었다.
하이드로겔 시험예 3. 하이드로겔 내 유효성분 안정성 평가
하이드로겔 내 유효성분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피부 각질세포 (HaCaT cell)을 이용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실시예 1-4를 통해 제조된 젤라틴 하이드로겔 용액과 피부 각질 세포를 2x105 혼합하여 24시간 동안 4℃ 내에서 배양시켰다. 24시간 후, 4℃에 젤 상태로 보관된 하이드로겔을 용해시켜 원심분리기 (3000 rpm, 5min)를 통해 하이드로겔과 피부 각질세포를 분리시켜 hemacytomer로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도 4는 본 시험의 결과로써, 하이드로겔 없이 배양액과 세포만 구성되어있는 control의 경우 24시간 후 세포수가 감소하였으며, 젤라틴 하이드로겔로 구성된 샘플의 경우 대부분의 세포가 생존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트 제조 및 테스트
시트 실시예 1.
하이드로겔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온도감응형 젤라틴/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과 나노섬유 시트층을 결합하여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작하였다. 폴리우레탄 나노섬유는 직경 500~800nm이고, 두께는 50~100um이었다.
시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폴리우레탄 나노섬유시트층을 틀에 부착시킨 후 위에 applicator (150mm standard width, micrometer adjustable film applicator)를 이용하여 두께 200um를 유지하며 하이드로겔 실시예 1의 젤라틴/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수용액을 도포하였다. 이 후 5시간동안 4℃에 보관하여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작하였다.
시트 시험예 1. 시트의 구조 확인
시트 실시예 1에서 만들어진 시트의 구조 및 나노섬유의 직경, 표면 거침도, 다공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계 방출 주사 전자 현미경 (FE-SEM, ZEISS Merlin compact, Carl Zeiss Inc., Germany)으로 관찰되었다. 시료를 1x1 cm로 잘라 stage위에 놓고 pt coating으로 30초간 진행한 후, 10-15kV의 전압에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도 5는 하이드로겔을 적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초극세 섬유 집합체가 가교되어 구성된 다공성 부직포로서, 소기공 및 대기공을 포함되어 있는 폴리우레탄 나노섬유(시트층)의 FE-SEM 사진이다. 나노섬유의 직경, 표면 거침도, 다공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FE-SEM(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a)는 시트층의 사진이다. (b)는 시트층의 FE-SEM 이미지로써 폴리우레탄 나노 섬유의 구조 및 다공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의 (a)는 시트 실시예 1에서 제작되어 건조된 상태의 온도감응형 하이드로겔의 표면을 FE-SEM을 통해 구조를 확인한 이미지이다. (b)는 시트 실시예 1을 통해 제작된 최종 시트의 단면을 나타내며 가운데를 기준으로 왼쪽으로는 하이드로겔, 오른쪽으로는 시트층인 폴리우레탄 나노섬유로써 최종 시트로써 결합되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트 시험예 2. 시트 조작성 평가
시트의 조작성 평가 (handling test)를 위해 시트층이 결여된 하이드로겔 샘플을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도 7은 복합 시트 조작성 평가 사진으로써 (a)는 시트층이 결여된 실시예1에서 제조된 젤라틴/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로써 핀셋을 사용하여 들어 올렸을 때 하이드로겔이 찢어지거나 구조가 변형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b)는 시트 실시예 1에 따라 젤라틴 하이드로겔 하부층에 폴리우레탄 나노섬유 시트층이 포함된 구조로써 (a)와 동일하게 핀셋을 사용하여 들어 올렸을 때 시트 조작이 용이했으며,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 구조의 변형 없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트 시험예 3.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 내 유효 성분 ELISA 평가
본 시험은 유효성분인 성장인자 (bFGF)를 사용하여 하이드로겔과 혼합하여 시트층 위에 도포하였을 때와 시트층 위에 바로 도포하였을 경우를 비교하여 ELISA를 통해 유효 성분 검출을 비교하였다. 먼저, bFGF와 젤라틴/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2ml과 혼합하여 시트층 위에 도포 시킨 시험군과, bFGF (0.1ug/ml)를 폴리우레탄 나노 섬유 시트층 위에 도포한 대조군을 37℃ 배양기 내에서 4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그 후 시트층 위 상층액을 각각 회수 후 human FGF 2 (bFGF) ELISA kit (R&D systems)를 사용하여 도포 된 bFGF를 검출하였다.
도 8은 본 시험의 결과로써 젤라틴/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과 혼합된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 위 상층액에서 bFGF는 약 400pg/ml이 검출되었으며, 젤라틴/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이 결여된 시트층 위에 도포된 bFGF는 50ng/ml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즉, 시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시험군이 대조군의 유효성분 양보다 약 8배 이상으로 높게 검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젤라틴/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은 시트층 위에서 유효성분을 함유하며 높은 수준으로 전달하며 안정적으로 전달체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는 우수한 부착력, 졸-젤 전이 현상, 유효 성분 혼합 우수성 및 안정성 등의 효과를 갖는 바, 하이드로겔과 시트층을 부착함으로 형태 유지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치료용 시트 형성을 위한 복잡한 제조 공정이 없기 때문에 기존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조하는 공정에 비해 공정이 단순화되어 기존 보다 경제성이 우수한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7)

  1.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에 있어서,
    시트층;
    상기 시트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하이드로겔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젤라틴 5 내지 30중량%, 생체적합성 고분자 1 내지 30중량%, 유효성분 0.0001 내지 10중량% 및 잔부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층은 30℃ 내지 36℃에서 겔 상태에서 졸 상태로 변화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덱스트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산,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알지네이트, 카라기난, 키토산,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알킬셀룰로오스, 아가, 엘라스틴 및 콜라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세포, 세포외 소포체, 배양액, 호르몬, 탄수화물, 효소 및 성장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피부세포, 섬유아세포, 혈관 내피 세포, 신경세포, 연골세포, 뼈세포 및 줄기세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성장인자는 섬유아세포증식인자, 혈관 내피 성장 인자, 각질세포성장인자, 신경성장인자, 상피 세포 성장 인자 및 골 형성 성장 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세포외 소포체는 엑소좀(exosomes), 마이크로베시클(microvesicles), 엑토좀(ectosomes), 마이크로파티클(microparticles), 막소포체(membrane vesicles), 나노베시클(nanovesicles) 및 외막소포체(outer membrane vesicle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시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층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에스테르우레탄, 폴리에틸렌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아크릴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스티렌, 폴리 아닐린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진 하이드로겔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시트층은 0.1-1mm 두께이며, 섬유로 이루어진 하이드로겔 시트.
KR1020200086836A 2020-07-14 2020-07-14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 KR102468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836A KR102468837B1 (ko) 2020-07-14 2020-07-14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836A KR102468837B1 (ko) 2020-07-14 2020-07-14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571A true KR20220008571A (ko) 2022-01-21
KR102468837B1 KR102468837B1 (ko) 2022-11-18

Family

ID=8005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836A KR102468837B1 (ko) 2020-07-14 2020-07-14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온도 감응형 복합 하이드로겔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83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9052A (ja) * 1995-07-12 1998-09-08 シグナス インク. ヒドロゲル・パッチ
KR20120015783A (ko) 2010-08-13 2012-02-22 주식회사 셀랩 경피 흡수 투여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KR20170078417A (ko) * 2015-12-29 2017-07-07 차미선 이중 가교를 갖는 하이드로젤 지지체, 그의 용도 및 이단계 가교를 사용하여 그를 제조하는 하는 방법
KR20180117417A (ko) * 2017-04-19 2018-10-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바이오 잉크 조성물
KR20180125937A (ko) * 2015-08-17 2018-11-26 더 존스 홉킨스 유니버시티 조직 치유용 섬유-하이드로겔 복합체 외과용 메쉬
KR102100506B1 (ko) * 2019-06-27 2020-04-13 주식회사 메디팹 온도 감응성 키토산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바이오 잉크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9052A (ja) * 1995-07-12 1998-09-08 シグナス インク. ヒドロゲル・パッチ
KR20120015783A (ko) 2010-08-13 2012-02-22 주식회사 셀랩 경피 흡수 투여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KR20180125937A (ko) * 2015-08-17 2018-11-26 더 존스 홉킨스 유니버시티 조직 치유용 섬유-하이드로겔 복합체 외과용 메쉬
KR20170078417A (ko) * 2015-12-29 2017-07-07 차미선 이중 가교를 갖는 하이드로젤 지지체, 그의 용도 및 이단계 가교를 사용하여 그를 제조하는 하는 방법
KR20180117417A (ko) * 2017-04-19 2018-10-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바이오 잉크 조성물
KR102100506B1 (ko) * 2019-06-27 2020-04-13 주식회사 메디팹 온도 감응성 키토산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바이오 잉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837B1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kkineni et al. A versatile method for combining different biopolymers in a core/shell fashion by 3D plotting to achieve mechanically robust constructs
Azizian et al. Chitosan-gelatin porous scaffold incorporated with Chitosan nanoparticles for growth factor delivery in tissue engineering
Chen et al. Recent advances in electrospun nanofibers for wound healing
Yu et al. Novel porous three-dimensional nanofibrous scaffolds for accelerating wound healing
Zhu et al. Novel enzymatic crosslinked hydrogels that mimic extracellular matrix for skin wound healing
Naseri et al. Electrospun chitosan-based nanocomposite mats reinforced with chitin nanocrystals for wound dressing
Babitha et al. Biodegradable zein–polydopamine polymeric scaffold impregnated with TiO2 nanoparticles for skin tissue engineering
AU2003299954B2 (en) Sealants for skin and other tissues
Lu et al. Mild immobilization of diverse macromolecular bioactive agents onto multifunctional fibrous membranes prepared by coaxial electrospinning
Machado et al. Electrospun silk-elastin-like fibre mats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Franco et al. Fabrication and biocompatibility of novel bilayer scaffold for skin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Jana et al. Optimization of polycaprolactone fibrous scaffold for heart valve tissue engineering
KR102001120B1 (ko) 나노섬유 및 하이드로젤의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재생용 스캐폴드
Kundu et al. Bio-inspired fabrication of fibroin cryogels from the muga silkworm Antheraea assamensis for liver tissue engineering
WO2012091636A2 (ru) Биополимерное волокно, состав формовочного раствора для его получения,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очного раствора, полотно биомедицин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способ его модификации, биологическая повязка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ран
JP2002542962A (ja) 多孔性基材を被覆する方法
KR102493436B1 (ko) 수축 제어가 가능한 진피층 개발, 및 이를 이용한 균일한 성능의 인공피부 의 제조
Lee et al. Layered hydrogel of poly (γ-glutamic acid), sodium alginate, and chitosan: Fluorescence observation of structure and cytocompatibility
Bastidas et al. Development of fibrous PLGA/fibrin scaffolds as a potential skin substitute
Yuan et al. Advances in biomedical application of nanocellulose-based materials: a review
Laghezza Masci et al. Characterization of collagen/lipid nanoparticle–curcumin cryostructurates for wound healing applications
Giuntoli et al. In-vitro characterization of a hernia mesh featuring a nanostructured coating
Kim et al. Effect of PVA concentration on strength and cell growth behavior of PVA/gelatin hydrogels for wound dressing
Sahi et al. Comparative behaviour of electrospun nanofibers fabricated from acid and alkaline hydrolysed gelatin: towards corneal tissue engineering
Kuddushi et al. Recent advances in novel materials and techniques for developing transparent wound dress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