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037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037A
KR20220008037A KR1020200086098A KR20200086098A KR20220008037A KR 20220008037 A KR20220008037 A KR 20220008037A KR 1020200086098 A KR1020200086098 A KR 1020200086098A KR 20200086098 A KR20200086098 A KR 20200086098A KR 20220008037 A KR20220008037 A KR 20220008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air
vehicle
air clean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수
석상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20008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8037A/ko
Publication of KR20220008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차량의 실내로 유동되도록 디프로스트벤트와 페이스벤트 및 플로어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및 플로어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도어, 페이스도어 및 플로어도어; 상기 디프로스트벤트와 상기 페이스벤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청정벤트; 및 상기 디프로스트도어와 페이스도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청정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공기청정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에 디프로스트벤트와 페이스벤트 사이에 형성된 공기청정벤트의 공기청정덕트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로 공기가 토출이 되는 청정모드 작동이 가능한 공조장치가 구현됨으로써, 모드 작동에 맞게 차량의 실내로 공기가 적절하게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에 청정 모드 작동이 가능한 공조장치가 구현됨으로써, 차량의 내부에서 냉방기능과 난방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신선한 공기가 생성이 되는 공기 청청이 발생되어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에 쾌적한 차량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서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는 비교적 공간이 협소하고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 및 탑승자가 탑승 할 경우에 실내의 공기가 급속히 혼탁해지고,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하여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유발하게 되어 안전운전을 저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창문을 자주 개폐하는 동작을 반복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밀폐된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신선한 공기로 바꾸어주는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차량에서 사용되는 공기청정기는 시판용으로 콘솔덕트에 별도로 장착하거나 별도의 공기 청정기를 구매하여 차량에 따로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종래의 차량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는 구매후 별도로 차량에 설치 시에는 추가적 비용이 추가되며, 공기청정기를 여러번의 분리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차량의 내부는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별도의 장치인 공기청정기를 설치하고 구동함에 있어서 공기청정기 구동 시에 발생된 동작소음에 의하여 차량의 탑승자 및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어 쾌적한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하는데 다소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공기 청정기를 설치하지 않고 차량의 내부에서 공기 조화가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차량의 실내로 유동되도록 디프로스트벤트와 페이스벤트 및 플로어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및 플로어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도어, 페이스도어 및 플로어도어; 상기 디프로스트벤트와 상기 페이스벤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청정벤트; 및 상기 디프로스트도어와 페이스도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청정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공기청정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공기청정 모드 시, 상기 공기청정도어는, 상기 공기청정벤트를 개방시키며, 상기 디프로스트도어와 페이스도어 및 플로어도어는, 상기 디프로스트벤트와 상기 페이스벤트 및 상기 플로어벤트를 폐쇄하고,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청정벤트를 통해 모두 차량의 실내로 공급된다.
에어컨 공기청정 모드 시, 상기 공기청정도어와 페이스도어는, 각각 상기 공기청정벤트와 페이스벤트를 개방시키며, 상기 디프로스트도어와 플로어도어는, 상기 디프로스트벤트와 상기 플로어벤트를 폐쇄하고,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공기청정벤트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페이스벤트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공급된다.
상기 공기청정벤트에는, 공기청정덕트가 연결되며, 상기 공기청정덕트는, 출구에 콤비필터가 배치된다.
상기 공기청정덕트는, 출구가 차량 크래쉬 패드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출구에 그릴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공기청정 모드 시,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청정벤트를 통해 실내로 토출 시 50
Figure pat00001
이상 100
Figure pat00002
이하로 토출된다.
상기 공기청정벤트에는, 공기청정덕트가 연결되며, 상기 공기청정덕트는, 출구에 콤비필터가 배치되고, 출구가 차량 크래쉬 패드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출구에 그릴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청정벤트를 통해 상기 공기청정덕트로 유입된 후 상기 콤비필터와 상기 그릴을 통과하여 모두 차량의 실내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에 디프로스트벤트와 페이스벤트 사이에 형성된 공기청정벤트의 공기청정덕트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로 공기가 토출이 되는 청정모드 작동이 가능한 공조 장치가 구현됨으로써, 모드 작동에 맞게 차량의 실내로 공기가 적절하게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에 청정 모드 작동이 가능한 공조 장치가 구현됨으로써, 차량의 내부에서 냉방기능과 난방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신선한 공기가 생성이 되는 공기 청청이 발생되어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에 쾌적한 차량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기청정 모드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컨 공기청정 모드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공기청정덕트가 설치된 형상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공기청정덕트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와 콤비필터와 그릴이 설치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공기청정덕트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에 설치된 그릴이 차량의 크래쉬 패드 중심부에 위치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케이스(110), 디프로스트도어(120), 페이스도어(130) 및 플로어도어(140), 공기청정벤트(150), 공기청정도어(160)를 포함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차량의 실내로 유동되도록 디프로스트벤트(111)와 페이스벤트(112) 및 플로어벤트(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증발기(114) 및 히터코어(115)가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상호 열교환이 가능하다.
상기 디프로스트도어(120), 페이스도어(130) 및 플로어도어(14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가 토출되는 상기 디프로스트벤트(111), 페이스벤트(112) 및 플로어벤트(113)의 개도를 조절한다.
상기 공기청정벤트(150)는 상기 디프로스트벤트(111)와 상기 페이스벤트(112)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청정벤트(150)에는 공기청정덕트(151)가 연결되며 상기 공기청정덕트(151)의 출구(152)는 차량 크래쉬 패드(190)의 중심부인 차량 운전석(170)과 차량 조수석(180)의 측 중앙에 토출 형성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공기청정덕트(151)의 출구(152)에는 고도의 청정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콤비필터(153)가 설치되며, 상기 콤비필터(153)에는 그릴(154)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그릴(154)이 상기 콤비필터(15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그릴(154)은 상기 콤비필터(153)가 상기 출구(152)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장착시키는 커버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그릴(154)이 상기 콤비필터(153)에 착탈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콤비필터(153)를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기에 청정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에서 상기 콤비필터(153)를 교체하고자 하는 분리 작업 시에도 차량의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빠른 시간에 교체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공기청정벤트(150)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청정덕트(151)의 상기 출구(152)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모드에 따라 공기가 적절하게 토출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에 하기로 한다.
상기 공기청정도어(160)는 상기 디프로스트도어(120)와 페이스도어(140) 사이에 설치되며, 모드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벤트(150)의 개도를 조절하여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도록 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에 하기로 한다.
여기서부터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에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페이스벤트(112)로 유동되거나 상기 공기청정벤트(150)로 유동되어 상기 공기청정덕트(151)의 상기 출구(152)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모드별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공기청정 모드 시에는 상기 공기청정도어(160)는, 상기 공기청정벤트(150)를 개방시키며, 상기 디프로스트도어(120)와 페이스도어(130) 및 플로어도어(140)는, 상기 디프로스트벤트(111)와 상기 페이스벤트(112) 및 상기 플로어벤트(113)를 폐쇄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청정벤트(150)로 상기 공기청정덕트(151)의 상기 콤비필터(153)를 통과하고 상기 그릴(154)을 통하여 모두 차량의 실내로 공급이 된다.
여기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공기청정벤트(151)를 통해 실내로 토출 되는 공기의 양은 50
Figure pat00003
이상 100
Figure pat00004
이하로 토출 되도록 상기 블로워(미도시)의 전압을 하강시킨다.
따라서 차량의 내부로 공기가 적절하게 공급이 되고 차량의 내부에서 오염된 공기를 상기 콤비필터(153)를 통해 정화하고 신선한 공기가 생성이 되기에 상기 차량의 운전석(170)와 조수석(180)에게 쾌적한 차량 실내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 번째로 에어컨 공기청정 모드 시에는 상기 공기청정도어(160)와 페이스도어(140)는, 각각 상기 공기청정벤트(150)와 페이스벤트(112)를 개방시키며, 상기 디프로스트도어(120)와 플로어도어(140)는, 상기 디프로스트벤트(111)와 상기 플로어벤트(113)를 폐쇄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공기청정벤트(150)로 상기 공기청정덕트(151)의 상기 콤비필터(123)를 통과하고 상기 그릴(154)을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페이스벤트(112)를 통해 공급된다.
즉, 차량의 실내에 냉방 시 혹은 난방 시에도 공기가 공급이 되어 차량의 내부에서 냉방기능과 난방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차량의 내부공간에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신선한 공기가 생성이 되는 공기 청청이 발생되어 상기 차량의 운전석(170)과 조수석(180)에 편안한 차량 실내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에는 기존 차량에 적용되던 미세먼지 센서(미도시)가 배치되어 필요 시 차량 실내 공기를 감지하여 원하는 청정 모드로 전환이 용이하게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차량에서 사용되는 공기청정기는 시판용으로 콘솔덕트에 별도로 장착하거나 별도의 공기 청정기를 구매하여 차량에 따로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종래의 차량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는 구매후 별도로 차량에 설치 시에는 추가적 비용이 추가되며, 공기청정기를 여러번의 분리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차량의 내부는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별도의 장치인 공기청정기를 설치하고 구동함에 있어서 공기청정기 구동 시에 발생된 동작소음에 의하여 차량의 탑승자 및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어 쾌적한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하는데 다소 어렵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에 디프로스트벤트(111)와 페이스벤트(112) 사이에 형성된 공기청정벤트(150)의 공기청정덕트(151)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로 공기가 토출이 되는 청정모드 작동이 가능한 공조장치(100)가 구현됨으로써, 모드 작동에 맞게 차량의 실내로 공기가 적절하게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에 청정 모드 작동이 가능한 공조장치(100)가 구현됨으로써, 차량의 내부에서 냉방기능과 난방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신선한 공기가 생성이 되는 공기 청청이 발생되어 차량의 운전석(170)과 조수석(180)에 쾌적한 차량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100 : 차량용 공조장치 110 : 공조케이스
111 : 디프로스트벤트 112 : 페이스벤트
113 : 플로어벤트 114 : 증발기
115 : 히터코어 120 : 디프로스트도어
130 : 페이스도어 140 : 플로어도어
150 : 공기청정 벤트 151 : 공기청정덕트
152 : 출구 153 : 콤비필터
154 : 그릴 160 : 공기청정도어
170 : 운전석 180 : 조수석
190 : 크래쉬패드

Claims (7)

  1.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차량의 실내로 유동되도록 디프로스트벤트와 페이스벤트 및 플로어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및 플로어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도어, 페이스도어 및 플로어도어;
    상기 디프로스트벤트와 상기 페이스벤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청정벤트; 및
    상기 디프로스트도어와 페이스도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청정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공기청정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기청정 모드 시,
    상기 공기청정도어는, 상기 공기청정벤트를 개방시키며,
    상기 디프로스트도어와 페이스도어 및 플로어도어는, 상기 디프로스트벤트와 상기 페이스벤트 및 상기 플로어벤트를 폐쇄하고,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청정벤트를 통해 모두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컨 공기청정 모드 시,
    상기 공기청정도어와 페이스도어는, 각각 상기 공기청정벤트와 페이스벤트를 개방시키며,
    상기 디프로스트도어와 플로어도어는, 상기 디프로스트벤트와 상기 플로어벤트를 폐쇄하고,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공기청정벤트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페이스벤트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벤트에는, 공기청정덕트가 연결되며,
    상기 공기청정덕트는, 출구에 콤비필터가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덕트는, 출구가 차량 크래쉬 패드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출구에 그릴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공기청정 모드 시,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청정벤트를 통해 실내로 토출 시 50
    Figure pat00005
    이상 100
    Figure pat00006
    이하로 토출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벤트에는, 공기청정덕트가 연결되며,
    상기 공기청정덕트는, 출구에 콤비필터가 배치되고, 출구가 차량 크래쉬 패드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출구에 그릴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청정벤트를 통해 상기 공기청정덕트로 유입된 후 상기 콤비필터와 상기 그릴을 통과하여 모두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00086098A 2020-07-13 2020-07-13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008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098A KR20220008037A (ko) 2020-07-13 2020-07-13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098A KR20220008037A (ko) 2020-07-13 2020-07-13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037A true KR20220008037A (ko) 2022-01-20

Family

ID=8005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098A KR20220008037A (ko) 2020-07-13 2020-07-13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80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1013A (ko) 자동차의 공기 청정 시스템 및 방법
JP2006193116A (ja) 内外気切替装置
JP438771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2000803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80047162A (ko) 오버헤드 콘솔형 차량용 공기 정화장치
KR100710672B1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JP2008179264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KR100706411B1 (ko) 버스의 공기조화 시스템
JP3704862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20008555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825454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7069770A (ja) 車両用空調装置
JPS60252019A (ja) 車両用パ−ソナル換気装置
JPH06305322A (ja) 座席用空調装置
JP2017144864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US20090081939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825335B2 (ja) 換気兼用車内冷房装置
JP370025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352527B1 (ko) 자동차 실내 환풍장치
JP4613722B2 (ja) 車両用換気システム
JPH0848151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116198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5130148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22139220A (ja) シート
JPH11129729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