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940A -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940A
KR20220007940A KR1020200085869A KR20200085869A KR20220007940A KR 20220007940 A KR20220007940 A KR 20220007940A KR 1020200085869 A KR1020200085869 A KR 1020200085869A KR 20200085869 A KR20200085869 A KR 20200085869A KR 20220007940 A KR20220007940 A KR 20220007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frame
fixing pin
heigh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625B1 (ko
Inventor
오소연
오선홍
Original Assignee
오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소연 filed Critical 오소연
Priority to KR1020200085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6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1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on steps or stairw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면에 접촉하는 다리, 상기 다리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연결되며,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다리의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을 포함하는 보행보조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행보조기{WALKING ASSISTANCE DEVICE}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에 대한 발명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계단이나 경사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에 대한 발명이다.
현대에 이르러 식생활 개선 및 의료기술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면서 노령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보행이 자유롭지 못한 노인들이 많이 생겨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고령화 이외에 교통사고나 산업재해 또는 각종 질병으로 인한 보행이 불편한 환자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고, 이와 같은 보행이 불편한 노인이나 환자의 경우에 별도 보행 보조장치를 사용하여 보행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보행 보조장치의 종래 보행 보조장치 일 예로는 일정 높이 상방으로 연장된 프레임의 상부에 보행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보행자가 손잡이를 잡고 프레임에 의지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행 보조장치는 전방 다리와 후방 다리가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계단이나 경사로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다리의 높낮이를 수시로 조절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노면에 접촉하는 다리; 상기 다리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연결되며,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다리의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을 포함하는, 보행보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은, 하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을 연결하는 상부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다리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다리고정핀; 상기 다리고정핀과 상기 다리 사이의 결합 및 해제를 조정하는 레버; 및 상기 다리고정핀과 상기 레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의 작동력을 상기 다리고정핀에 전달하는 캘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캘리퍼는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다리 고정핀이 상기 다리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상기 다리 고정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리에는 복수의 걸림홈이 상기 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다리고정핀이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림으로서, 상기 다리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소정의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캘리퍼에 의해서 상기 레버에 가해지는 상기 작동력은 상기 다리고정핀에 더 큰 힘의 크기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는 복수개이며, 각각의 상기 복수개의 다리는 독립적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행보조기의 다리의 높낮이를 수시로 조절할 수 있어, 계단이나 경사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보행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리고정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10)는 노면에 접촉하는 다리(300), 다리(300)를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하부프레임(100),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230)를 구비하고 하부프레임(100)에 연결되는 상부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100)은, 하부수평프레임(110) 및 하부 수평프레임(11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수직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수직프레임(120)은 하부수평프레임(110)의 좌우로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파이프가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수직프레임(120)은 중공 형상의 파이프구조로서 내부의 빈 공간에 다리(300)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리(300)는 원기둥형상으로서 그 외경이 하부수직프레임(120)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하부수직프레임(1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다리(300)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걸림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200)은, 하부수평프레임(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갖고, 사용자가 손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230)를 갖는 상부수평프레임(210)과, 상부수평프레임(210)과 하부수평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상부수직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기(10)는 사용자가 평지에서 이용하다가 경사로나 계단을 이용하여야 할 경우를 대비하여, 다리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유닛(400)을 포함한다.
높이조절유닛(400)은, 다리(300)의 걸림홈(310)에 고정 및 해제되는 다리고정핀(430), 다리고정핀(430)과 다리(300) 사이의 결합 및 해제를 조정하는 레버(410), 및 다리고정핀(430)과 레버(410) 사이에 배치되어, 레버(410)의 작동력을 상기 다리고정핀(430)에 전달하는 캘리퍼(4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410)는 상부수평프레임(210)에 배치되고, 캘리퍼(420)는 하부수평프레임(110)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410)는 사용자가 손잡이(230)를 잡은 상태에서 쉽게 쥘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410)와 캘리퍼(420) 사이 및 캘리퍼(420)와 다리고정핀(430) 사이는 와이어(440)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레버(410)를 당기면 캘리퍼(420)에 그 힘이 전달되어, 캘리퍼(420)는 다리고정핀(430)이 다리(300)와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레버(410), 캘리퍼(420), 및 다리고정핀(430)이 각각 지레의 힘점, 받침점, 및 작용점이 되어,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다리고정핀(430)과 다리(300) 사이의 결합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캘리퍼(420)는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하나의 꼭지점에 회전축이 마련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축에 교차하는 두 변이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두 변은 그 양단이 사용자가 레버(410)를 당기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서로 가까워지고, 걸림돌기(431)에 연결된 와이어(440)를 잡아당겨서 걸림돌기(431)가 회동하여 다리(300)의 걸림홈(310)에서 이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레버(410)를 풀면 캘리퍼(420)의 두변의 양단이 서로 멀어지고, 당겨졌던 와이어(440)가 원래상태로 복귀하면서, 걸림돌기(431)가 걸림홈(310)에 걸릴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동작을 위해, 다리고정핀(430)은 다리(300)의 걸림홈(310)에 걸리는 걸림돌기(431)와 걸림돌기(43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지지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410)가 당겨지면, 와이어(440)는 캘리퍼(420)를 거쳐 걸림돌기(431)가 회동하여 다리(300)의 걸림홈(310)에서 이탈할 수 있다. 사용자가 레버(410)를 놓으면, 당겨졌던 와이어(440)가 원래상태로 복귀하면서, 걸림돌기(431)가 걸림홈(310)에 걸릴 수 있다.
또한, 하부수직프레임(120)의 내부에는 삽입되는 다리(300)를 외측으로 밀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1 압축스프링(320)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핀지지부(432)에는 걸림돌기(431)가 다리(300)의 걸림홈(31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2 압축스프링(433)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압축스프링(320)과 제2 압축스프링(433)은 사용자가 레버(410)를 당기지 않을 경우에는, 다리고정핀(430)의 걸림돌기(431)가 다리(300)의 걸림홈(310)에 걸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다리(300)에는 복수의 걸림홈(310)이 다리(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걸림돌기(431)가 복수의 걸림홈(310) 중 어느 하나에 걸림으로서, 다리(300)가 하부프레임(100)의 하부수평프레임(110)에 대해 소정의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다리(300)는 복수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보행보조기(10)는 4 개의 다리(300)가 마련되어 있다. 4개의 다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는 레버(410)를 당겨서 다리고정핀(430)과 다리(300)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킨 후 각각의 다리(300)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한 후, 레버(410)를 원상태로 해제하여 다리(300)를 하부수직프레임(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로나 계단에서 사용하는 경우, 경사로의 경사나 계단의 높이에 맞춰, 전방의 다리를 후방의 다리보다 낮게 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기(10)는 사용자가 레버를 이용하여 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지면의 경사에 따라 자주 또한 쉽게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다리를 다쳐서 재활 치료를 해야하거나 퇴행성 관절염으로 고생하는 사람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리 재활 치료를 해야하는 환자들이 평지를 걷는 연습이 가능하고 계단을 오르고 내리는 연습도 같이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의 도움이 많이 필요한 재활 치료 환자들이 타인의 도움없이 재활치료를 활 수 있다. 타인의 도움이 줄어 그들을 보조하는 요양사 및 활동보조인 그리고 환자의 가족들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고, 수술을 결정할 때 보호자의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주변 사람들에게 의지를 덜하게 되기 때문에 재활 치료 환자가 주변 사람들에게 느끼는 미안한 마음도 덜어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보행보조기 100: 하부프레임
110: 하부수평프레임 120: 하부수직프레임
200: 상부프레임 210: 상부수평프레임
220: 상부수직프레임 230: 손잡이
300: 다리 310: 걸림홈
320: 제1 압축스프링 400: 높이조절유닛
410: 레버 420: 캘리퍼
430: 다리고정핀 431: 걸림돌기
432: 핀지지부 433: 제2 압축스프링
440: 와이어

Claims (5)

  1. 노면에 접촉하는 다리;
    상기 다리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연결되며,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다리의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을 포함하는,
    보행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하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을 연결하는 상부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다리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다리고정핀;
    상기 다리고정핀과 상기 다리 사이의 결합 및 해제를 조정하는 레버; 및
    상기 다리고정핀과 상기 레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의 작동력을 상기 다리고정핀에 전달하는 캘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캘리퍼는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다리고정핀이 상기 다리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상기 다리고정핀에 결합되는,
    보행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에는 복수의 걸림홈이 상기 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다리고정핀이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걸림으로서, 상기 다리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 소정의 높이에서 고정되는
    보행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퍼에 의해서 상기 레버에 가해지는 상기 작동력은 상기 다리고정핀에 더 큰 힘의 크기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보행보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복수개이며,
    각각의 상기 복수개의 다리는 독립적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
KR1020200085869A 2020-07-13 2020-07-13 보행보조기 KR102546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869A KR102546625B1 (ko) 2020-07-13 2020-07-13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869A KR102546625B1 (ko) 2020-07-13 2020-07-13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940A true KR20220007940A (ko) 2022-01-20
KR102546625B1 KR102546625B1 (ko) 2023-06-23

Family

ID=8005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869A KR102546625B1 (ko) 2020-07-13 2020-07-13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7401B2 (en) * 2019-10-21 2023-07-25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Mechanical self-leveling wal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9007A (ja) * 1983-07-29 1985-02-28 エバレツト ダグラス ホーゲン 環状刃物
JPH0639007A (ja) 1992-07-23 1994-02-15 Ohashi Kogyo Kk 歩行器
US6453921B1 (en) * 2000-11-16 2002-09-24 Brian M. Rost Stair walker
KR20200046592A (ko) 2018-10-25 2020-05-07 곽정석 노약자 또는 환자용 보행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9007A (ja) * 1983-07-29 1985-02-28 エバレツト ダグラス ホーゲン 環状刃物
JPH0639007A (ja) 1992-07-23 1994-02-15 Ohashi Kogyo Kk 歩行器
US6453921B1 (en) * 2000-11-16 2002-09-24 Brian M. Rost Stair walker
KR20200046592A (ko) 2018-10-25 2020-05-07 곽정석 노약자 또는 환자용 보행 보조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7401B2 (en) * 2019-10-21 2023-07-25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Mechanical self-leveling wal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625B1 (ko)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6369B2 (ja) 介護補助装置
JP2010142353A (ja) 体重支持装置
KR20140088757A (ko) 기립 보조형 휠체어
KR101839501B1 (ko) 보행 교정기
JP2012019831A (ja) 歩行補助器
KR20210024772A (ko) 자동 브레이크 기능과 인체감지 높이조절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보행보조기
KR20220007940A (ko) 보행보조기
US20180177673A1 (en) Gait assist apparatus
JP2012115566A (ja) 下肢屈伸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US20190125613A1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JP2007111422A (ja) 椅子
KR20100045157A (ko) 전동식 이동보조장치
KR20170111849A (ko) 하지 보조 보행기
KR102295864B1 (ko) 보행보조기
KR20190007685A (ko) 휠체어에 장착되는 이동장치
WO2014029998A1 (en) Wheeled walking aid with sit to stand help
KR100936398B1 (ko) 안전 보행용 보조 기구
KR100849268B1 (ko) 휠체어용 풋레스트 어셈블리
KR20120002374A (ko) 보행 보조차
KR200490704Y1 (ko)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
JPH1128220A (ja) 上体支持装置
KR20210072653A (ko) 침대 이동 보조 휠체어
KR101743166B1 (ko) 보행 보조기용 안전장치
JP7422400B2 (ja) リハビリ用起立補助具
KR102184228B1 (ko) 능동 및 수동 겸용 기립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