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318A -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318A
KR20220007318A KR1020200085404A KR20200085404A KR20220007318A KR 20220007318 A KR20220007318 A KR 20220007318A KR 1020200085404 A KR1020200085404 A KR 1020200085404A KR 20200085404 A KR20200085404 A KR 20200085404A KR 20220007318 A KR20220007318 A KR 20220007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ound
core part
turns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찬
이동환
이동진
박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5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7318A/ko
Priority to US17/110,976 priority patent/US20220013270A1/en
Priority to CN202110157337.3A priority patent/CN113921245A/zh
Publication of KR2022000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5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6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with special arrangement or spacing of turns of the winding(s), e.g. to produce desired self-reson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9/00Fixed transformers or mutual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9/04Transformers or mutual inductances suitable for handling frequencies considerably beyond the audio r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95Windings disposed upon ring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3Insulation between winding turns, between win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2017/048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encapsulating core, e.g. made of resin and magnetic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어부, 및 코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코일부를 포함하고, 코어부는, 제1코일부가 권선된 제1코어부, 제2코일부가 권선된 제2코어부, 및 제1 및 제2코일부 사이에 이격 배치되고, 제1 및 제2코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권선된 제3코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 부품 {COIL COMPONENT}
본 발명은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코일 부품 중 하나인 인덕터(Inductor)는 저항(Resistor) 및 커패시터(Capacitor)와 더불어 전자 기기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수동 전자 부품이다.
전자기기가 점차 고성능화되고 작아짐에 따라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전자부품은, 그 수가 증가하고 소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부품의 실장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커플드(Coupled) 형태의 코일 부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동일한 사이즈 내에서 부품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는, 상호 인덕턴스(Mutual Inductance)를 증가시켜 결합계수를 크게 하거나, 누설 인덕턴스(LeakageInductance)를 증가시켜 결합계수를 적절히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커플드(Coupled) 인덕터가 가지는 코일부의 형태를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형함으로써, 전술한 상호 인덕턴스와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하여, 결합계수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예로서, 부품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결합 계수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접한 복수의 도선이 서로 중첩되도록 바이필러(bifilar) 형태로 권선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319817호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커플드 인덕터 구조를 갖는 코일 부품에서 코일부 간의 상호 인덕턴스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코어부, 및 코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코일부를 포함하고, 코어부는, 제1코일부가 권선된 제1코어부, 제2코일부가 권선된 제2코어부, 및 제1 및 제2코일부 사이에 이격 배치되고, 제1 및 제2코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권선된 제3코어부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한 복수의 도선이 서로 중첩되도록 바이필러(bifilar) 형태로 권선함으로써, 부품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결합 계수를 원하는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코일 부품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도면으로, 도 2에 대응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도면으로, 도 2에 대응되는 도면.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X 방향은 제1 방향 또는 길이 방향, Y 방향은 제2 방향 또는 폭 방향, Z 방향은 제3 방향 또는 두께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자 기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부품들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전자 부품 사이에는 노이즈 제거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코일 부품이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즉, 전자 기기에서 코일 부품은, 파워 인덕터(Power Inductor), 고주파 인덕터(HF Inductor), 통상의 비드(General Bead), 고주파용 비드(GHz Bead), 공통 모드 필터(Common Mode Filter)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권선형 코일 부품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코일 부품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도면으로, 도 2에 대응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도면으로, 도 2에 대응되는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0)은, 코어부(100) 및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부(1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0)의 외관을 이루며, 폐루프를 이루는 토로이덜(Toroida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부(100)는, 후술하는 제1코일부(210)가 권선된 제1코어부(110), 제2코일부(220)가 권선된 제2코어부(120), 및 제1 및 제2코어부(110, 12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가 서로 인접하도록 권선된 제3코어부(130)를 포함한다.
코어부(100)는, 자성 물질과 절연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부(100)는 절연수지 및 절연수지에 분산된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성체 시트를 하나 이상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코어부(100)는 자성 물질이 절연수지에 분산된 구조 외에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코어부(100)는 페라이트와 같은 자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자성 물질은 페라이트 또는 금속 자성 분말일 수 있다.
페라이트 분말은, 예로서, Mg-Zn계, Mn-Zn계, Mn-Mg계, Cu-Zn계, Mg-Mn-Sr계, Ni-Zn계 등의 스피넬형 페라이트, Ba-Zn계, Ba-Mg계, Ba-Ni계, Ba-Co계, Ba-Ni-Co계 등의 육방정형 페라이트류, Y계 등의 가닛형 페라이트 및 Li계 페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금속 자성 분말은, 철(Fe), 실리콘(Si), 크롬(Cr), 코발트(Co),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나이오븀(Nb), 구리(Cu) 및 니켈(Ni)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 자성 분말은, 순철 분말, Fe-Si계 합금 분말, Fe-Si-Al계 합금 분말, Fe-Ni계 합금 분말, Fe-Ni-Mo계 합금 분말, Fe-Ni-Mo-Cu계 합금 분말, Fe-Co계 합금 분말, Fe-Ni-Co계 합금 분말, Fe-Cr계 합금 분말, Fe-Cr-Si계 합금 분말, Fe-Si-Cu-Nb계 합금 분말, Fe-Ni-Cr계 합금 분말, Fe-Cr-Al계 합금 분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금속 자성 분말은 비정질 또는 결정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자성 분말은 Fe-Si-B-Cr계 비정질 합금 분말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페라이트 및 금속 자성 분말은 각각 평균 직경이 약 0.1㎛내지 3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부(100)는, 절연수지에 분산된 2 종류 이상의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성 물질이 상이한 종류라고 함은, 절연수지에 분산된 자성 물질이 평균 직경, 조성, 결정성 및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서로 구별됨을 의미한다.
절연수지는 에폭시(epoxy), 폴리이미드(polyimide), 액정 결정성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일부(200)는 코어부(100)에 권선되어 코일 부품의 특성을 발현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코일 부품(1000)이 파워 인덕터로 활용되는 경우, 코일부(200)는 전기장을 자기장으로 저장하여 출력 전압을 유지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전원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는 구리 도선 등의 금속 도선을 스파이럴(spiral) 형상으로 감아서 형성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복수의 턴 각각의 표면에 절연층(미도시)이 배치될 수도 있다.
코일부(200)는 코어부(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턴을 형성하도록 권선되는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를 포함한다.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는 서로 바이필러(Bifilar)로 권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이필러(Bifilar) 권선이란, 두 개의 인접한 절연 전도체로 구성된 권선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이필러(Bifilar) 권선의 일 예로서,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는 서로 중첩되고,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턴 수는, 제1코어부(110)에 권선된 제1코일부(210)의 턴 수 또는 제2코어부(120)에 권선된 제2코일부(220)의 턴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길이 2.5㎜, 폭 2.5㎜, 두께 0.5㎜를 갖는 코일 부품에서, 코일부(200)의 단면적을 80 ㎛ * 80 ㎛, 코어부(100)의 단면적을 300 ㎛ * 300 ㎛로 형성하여 결합 계수를 측정한 것이다. 즉, 전술한 코일 부품에서, 제1코어부(110)에서의 제1코일부(210)의 턴 수, 제2코어부(120)에서의 제2코일부(220)의 턴 수와 제3코어부(130)에서의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턴 수를 동일하게 형성한 후 결합 계수(k) 값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Self inductance Mutual inductance 결합 계수(k)
1 0.0806μH -0.0393 μH -0.488
표 1의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턴 수를 제1코일부(210) 또는 제2코일부(220) 각각의 턴 수와 동일하게 형성한 경우 결합 계수의 절대값이 약 0.5에 근접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나의 코일 부품에서 각 코일부가 중첩되는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부품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결합 계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턴 수는, 제1코어부(110)에 권선된 제1코일부(210)의 턴 수보다 많을 수 있다. 또한,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턴 수는, 제2코어부(120)에 권선된 제2코일부(220)의 턴 수보다 많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각 턴 간의 이격거리는, 제1코어부(110)에 형성된 제1코일부(210)의 각 턴 간의 이격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각 턴 간의 이격거리는, 제2코어부(120)에 형성된 제2코일부(220)의 각 턴 간의 이격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3코어부(130)에 권선되는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턴 수가 증가하므로,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각 턴 간의 이격거리가 그만큼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이에 반드시 제한되지는 아니하고, 제3코어부(130)에 권선되는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턴 수가 증가하더라도,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각 턴 간의 이격거리는 감소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턴 수는, 제1코어부(110)에 권선된 제1코일부(210)의 턴 수보다 적을 수 있다. 또한,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턴 수는, 제1코어부(110)에 권선된 제1코일부(210)의 턴 수보다 적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각 턴 간의 이격거리는, 제1코어부(110)에 형성된 제1코일부(210)의 각 턴 간의 이격거리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각 턴 간의 이격거리는, 제2코어부(120)에 형성된 제2코일부(220)의 각 턴 간의 이격거리보다 클 수 있다. 즉, 제3코어부(130)에 권선되는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턴 수가 감소하므로,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각 턴 간의 이격거리가 그만큼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이에 반드시 제한되지는 아니하고, 제3코어부(130)에 권선되는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턴 수가 감소하더라도,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각 턴 간의 이격거리는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코일부(210)는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일 단부(211), 및 일 단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턴을 형성하도록 제1코어부(210)에 연장되는 타 단부(212)를 가진다.
제2코일부(220)는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일 단부(221), 및 일 단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턴을 형성하도록 제2코어부(120)에 연장되는 타 단부(222)를 가진다.
제1코일부(210)의 일 단부(211)는 제2코일부(220)의 일 단부(221)와 타 단부(222) 사이에 배치되고, 제2코일부(220)의 일 단부(221)는 제1코일부(210)의 일 단부(211)와 타 단부(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감겨 있을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겨 있을 수도 있다. 이들 경우,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권선 수를 증가시키면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 간의 상호 인덕턴스가 증가하여 결합 계수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권선 수를 감소시키면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 간의 상호 인덕턴스가 감소하여 결합 계수가 감소하게 된다. 즉,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권선 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코일 부품의 결합 계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예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겨있을 수 있다. 즉, 각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턴(turn)방향인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이 경우, 제3코어부(130) 내부에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어 자속이 상쇄된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권선 수가 증가되는 경우,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 간의 상호 인덕턴스가 증가하므로 결합 계수가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제3코어부(130)에 권선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권선 수가 감소하는 경우,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 간의 상호 인덕턴스가 감소하므로 결합 계수가 감소하게 된다.
종래 커플드 인덕터에서는 상하 배치된 코일부 간의 두께를 이용하여 결합 계수를 조절하였는데, 코일 부품의 두께를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코일부 간의 간격을 증가시킬 경우 부품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코일 부품에서 각 코일부가 중첩되는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공간적 여유가 있는 X-Y 평면 상에서 부품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결합 계수를 조절할 수 있다.
절연층(미도시)은, 코일부(210, 220)의 표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미도시)은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의 턴을 보호하고, 절연시키기 위한 것으로, 패릴린 등의 공지의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미도시)에 포함되는 절연 물질은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절연층(미도시)은 기상증착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과 비교할 때 코일부(200)를 도금으로 형성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상이한 코일부(2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는 시드층 및 시드층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금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를 코어부(100)의 일면 측에 도금으로 형성할 경우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는 무전해도금층 등의 시드층과 전해도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해도금층은 단층 구조일 수도 있고, 다층 구조일 수도 있다. 다층 구조의 전해도금층은 어느 하나의 전해도금층을 다른 하나의 전해도금층이 커버하는 컨포멀(conformal)한 막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전해도금층의 일면에만 다른 하나의 전해도금층이 적층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코일부(210, 220)는,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주석(Sn), 금(Au), 니켈(Ni), 납(Pb), 티타늄(Ti),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코일 부품
100: 코어부
110, 120, 130: 제1 내지 제3코어부
210, 220: 제1 및 제2코일부
211, 212: 제1코일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
221, 222: 제2코일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

Claims (16)

  1.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턴을 형성하도록 권선되는 제1 및 제2코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상기 제1코일부가 권선된 제1코어부, 상기 제2코일부가 권선된 제2코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코어부 사이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코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권선된 제3코어부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코어부에 권선된 상기 제1 및 제2코일부는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코일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코어부에 권선된 상기 제1 및 제2코일부의 턴 수는, 상기 제1코어부에 권선된 상기 제1코일부의 턴 수 또는 상기 제2코어부에 권선된 상기 제2코일부의 턴 수와 동일한,
    코일 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코어부에 권선된 상기 제1 및 제2코일부의 턴 수는, 상기 제1코어부에 권선된 상기 제1코일부의 턴 수보다 많은,
    코일 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코어부에 권선된 상기 제1 및 제2코일부의 턴 수는, 상기 제2코어부에 권선된 상기 제2코일부의 턴 수보다 많은,
    코일 부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코어부에 권선된 상기 제1 및 제2코일부의 턴 수는, 상기 제1코어부에 권선된 상기 제1코일부의 턴 수보다 적은,
    코일 부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코어부에 권선된 상기 제1 및 제2코일부의 턴 수는, 상기 제2코어부에 권선된 상기 제2코일부의 턴 수보다 적은,
    코일 부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부는 상기 제3코어부에 권선된 일 단부, 및 상기 일 단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코어부에 연장되는 타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2코일부는 상기 제3코어부에 권선된 일 단부, 및 상기 일 단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코어부에 연장되는 타 단부를 가지는,
    코일 부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서로 반대인,
    코일 부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부의 일 단부는 상기 제2코일부의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코일부의 일 단부는 상기 제1코일부의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 부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코어부에 권선된 상기 제1 및 제2코일부의 각 턴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코어부에 형성된 상기 제1코일부의 각 턴 간의 이격거리보다 작은,
    코일 부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코어부에 권선된 상기 제1 및 제2코일부의 각 턴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코어부에 형성된 상기 제1코일부의 각 턴 간의 이격거리보다 큰,
    코일 부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폐루프를 이루는,
    코일 부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코일부는 절연층이 피복된 구리 도선으로 형성되는,
    코일 부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코일부는 도금층으로 형성되는,
    코일 부품.
  16.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에 권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턴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코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상기 제1코일부가 권선된 제1코어부, 상기 제2코일부가 권선된 제2코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코일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코일부가 서로 바이필러(Bifilar)로 권선된 제3코어부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KR1020200085404A 2020-07-10 2020-07-10 코일 부품 KR20220007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404A KR20220007318A (ko) 2020-07-10 2020-07-10 코일 부품
US17/110,976 US20220013270A1 (en) 2020-07-10 2020-12-03 Coil component
CN202110157337.3A CN113921245A (zh) 2020-07-10 2021-02-04 线圈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404A KR20220007318A (ko) 2020-07-10 2020-07-10 코일 부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318A true KR20220007318A (ko) 2022-01-18

Family

ID=7917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404A KR20220007318A (ko) 2020-07-10 2020-07-10 코일 부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13270A1 (ko)
KR (1) KR20220007318A (ko)
CN (1) CN11392124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9817A (ja) 2000-05-10 2001-11-16 Fdk Corp チョークコイ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8484A (en) * 1963-05-16 1966-03-01 Cambridge Thermionic Corp D-cores with associated windings for producing high q
US3944937A (en) * 1973-12-06 1976-03-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oad-band signal transmitting device using transformer
US8130067B2 (en) * 2010-05-11 2012-03-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frequency semiconductor transform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9817A (ja) 2000-05-10 2001-11-16 Fdk Corp チョークコイ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13270A1 (en) 2022-01-13
CN113921245A (zh)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9365B2 (en) Inductor array component and board for mounting the same
KR101823191B1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300014B1 (ko) 코일 부품
CN113161123A (zh) 线圈组件
KR20200060009A (ko) 인덕터
KR102188451B1 (ko) 코일 부품
KR102185050B1 (ko) 코일 전자부품
KR102429686B1 (ko) 코일 부품
KR20220007318A (ko) 코일 부품
KR20210144031A (ko) 코일 부품
KR20190106620A (ko) 코일 부품
US11664148B2 (en) Coil component
US20170032886A1 (en) Coil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18496B1 (ko) 코일 전자부품
KR20200031426A (ko) 코일 부품
KR102430637B1 (ko) 코일 부품
KR102152862B1 (ko) 코일 부품
JP2023165599A (ja) コイル部品
KR20200105778A (ko) 코일 부품
KR20220106100A (ko) 코일 부품
KR20220007286A (ko) 코일 부품
KR20230168427A (ko) 코일 부품
KR20220007287A (ko) 코일 부품
JP2024066450A (ja) コイル部品
KR20200048213A (ko) 인덕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