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303A -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303A
KR20220006303A KR1020200084094A KR20200084094A KR20220006303A KR 20220006303 A KR20220006303 A KR 20220006303A KR 1020200084094 A KR1020200084094 A KR 1020200084094A KR 20200084094 A KR20200084094 A KR 20200084094A KR 20220006303 A KR20220006303 A KR 20220006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tool
inspection tool
fram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4781B1 (ko
Inventor
조영주
김기현
강민구
Original Assignee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4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78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303A/ko
Priority to KR1020220007021A priority patent/KR102372617B1/ko
Priority to KR1020220007017A priority patent/KR102372619B1/ko
Priority to KR1020220007020A priority patent/KR102372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01M13/025Test-benches with rotational drive means and loading means; Load or drive sim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Abstract

본 발명은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대에 검사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서 검사장치의 보관 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고, 검사대의 전후방에 각각 다른 종류의 검사구를 장착시켜 동시 검사 작업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Inspection apparatus with replaceable inspection tool}
본 발명은 검사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검사대에서 검사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제작할 시에는 도어, 후드, 트렁크 리드 등을 포함하는 바디와, 엔진, 변속기, 서스펜션 등을 포함하는 부품들을 각각 제작한 이후 조립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각 구성품들이 정확히 조립되어야만 완성된 차량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어서, 제작된 구성품에 대한 검사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차량의 형상을 이루고 지지하게 되는 바디는 철판을 부분별로 프레스 성형하여 제작된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프레임들은 성형 후 치수대로 정확하게 성형되었는지 검사가 필요하며, 검사를 통과한 구성품들만이 후공정으로 전달되어 조립 과정에 투입될 수 있다.
부품 검사를 위해 사용하는 장비가 검사구이다. 검사구는 각종 부품들을 안착 고정시킨 후, 안착된 부품이 설계된 것에 맞추어 형상이나 각종 홀 등이 형성되었는지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지그이다.
도1은 종래의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검사장치는 부품이 안착 고정되는 검사구(2)와, 검사구(2)를 지지하는 소정 높이의 검사대(1)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형태이다. 따라서 일체형의 검사장치(1,2)를 검사를 위한 장소로 이동시켜 놓은 후 검사구(2)에 부품을 안착시켜 검사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검사장치(1,2)는 검사구(2)와 검사대(1)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부품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체형의 검사장치(1,2)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검사장치(1,2)를 보관하기 위해 상당한 넓이의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검사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04576호(2017.02.02. '차량 도어프레임 검사용 지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검사대에 검사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검사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는, 검사 대상 부품이 안착되는 검사구; 상기 검사구를 보관하는 보관대; 상기 보관대에서 인출된 상기 검사구를 지지하는 검사대; 및 상기 검사구를 상기 검사대에 고정시키는 검사구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사대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인접하게 복수개가 일직선 상에 설치되고, 둘레를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롤러;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직선 상에 설치되는 상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대는, 상기 검사대의 하부프레임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인접하게 복수개가 일직선 상에 설치되고, 둘레를 따라 롤러홈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롤러;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직선 상에 설치되는 상단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구는 하단이 상기 보관대의 받침롤러에 형성된 롤러홈에 안착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단롤러 사이에 구속된 상태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검사구가 상기 보관대에서 인출되면 상기 검사구의 하단이 상기 검사대의 하부롤러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부롤러 사이에 구속된 상태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대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 지점에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사구에는 상기 고정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검사구가 상기 검사대에 장착되었을 시, 상기 검사구고정수단을 상기 검사구의 삽입홀과 상기 검사대의 고정홀을 연장하여 관통되도록 삽입하면 상기 검사구가 상기 검사대에 고정될 수 있다.
또, 상기 검사대의 하부롤러와 상부롤러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검사구가 장착될 수 있다.
또, 상기 보관대에는 고리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사대는, 상기 보관대의 고리걸림부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검사대와 상기 보관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검사구가 이동할 시, 상기 고리걸림부에 체결되는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검사대와 상기 보관대의 정렬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와 검사구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검사대에 검사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검사장치의 보관 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예컨대 4개 종류의 부품을 검사하고자 한다면, 종래에는 검사구와 검사대가 일체로 제작된 4대의 검사장치를 각각 준비해야만 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한 대의 검사대와 4대의 검사구를 구비하면 된다. 따라서 검사대 3대만큼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의 수직프레임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검사구를 장착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한 대의 검사대가 위치하는 작업 현장에서 두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검사 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어서, 공간 활용도와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종래에는 검사구와 검사대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한 대의 검사대에서 전방과 후방에 검사구를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그 이유는 동시에 검사해야 하는 작업 스케줄이 바뀔 경우 대응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예컨대 종래의 일체형 검사장치에서 한 대의 검사대의 전방에는 A 종류의 검사구가 마련되어 있고, 후방에는 B 종류의 검사구가 마련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A 부품과 B 부품의 동시 검사는 가능하다. 하지만 작업 스케줄 변동에 따라 A 부품과 C 부품을 동시에 검사해야 한다면, 해당 검사장치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한 대의 검사대에 하나의 검사구만 일체로 제작된 형태인 것이다.
반면 본원발명과 같이 검사대에 검사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라면, 필요한 검사구를 언제든지 검사대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A-B 부품의 동시 검사 작업은 물론 A-C 부품, B-C 부품의 동시 검사 작업도 가능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와 보관대가 짝을 이루어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검사구의 보관, 장착 작업이 매우 수월하다. 만약 보관대가 없거나 검사대와 연동되는 구조로 제작되지 않았다면, 상당한 무게를 갖는 검사구를 작업자가 들어올려 검사대에 장착하거나 빼내야 하기 때문에, 검사구의 장착 및 해체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에서 검사구가 설치되는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보관대를 사용하고 있어서, 검사대를 보관대에 밀착시킨 후 검사구를 잡아당기는 한 번의 작업만으로 검사구를 검사대에 위치시킨 후 검사구고정수단을 통해 검사구를 고정시킴으로써 장착 작업이 모두 완료된다. 따라서 검사구 장착 작업이 매우 간편하며 검사구를 들어올려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서 안전사고의 위험도 없어지게 된다.
도1은 종래의 일체형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의 (a)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검사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b)는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4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대에 검사구가 보관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대에 보관된 검사구가 검사대로 이동하고 있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대에 보관된 검사구가 검사대로 완전히 이동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의 (a)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검사대에 검사구가 장착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b)는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8은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대와 검사대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검사대를 정면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4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대에 검사구가 보관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5는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대에 보관된 검사구가 검사대로 이동하고 있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6은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보관대에 보관된 검사구가 검사대로 완전히 이동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7은 도2에 도시된 검사장치에서 검사대에 검사구가 장착된 상태를 정면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2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는 검사대(100), 보관대(200), 검사구(300) 및 검사구고정수단(400)을 포함한다.
검사대(100)는 검사구(30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한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검사대(100)는 여러 종류의 검사구(300)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다. 이러한 검사대(100)는 하부프레임(110), 다리부(140), 수직프레임(120), 상부프레임(130), 하부롤러(111) 및 상부롤러(131)를 포함한다.
하부프레임(110)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수평하게 설치되며, 하부프레임(110)의 아래에는 하부프레임(110)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14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140)의 하단에는 이동바퀴(141)가 마련되어 있어서, 검사대(100)를 보관대(200)를 향하여, 또는 검사 작업 위치로 밀거나 끌어당길 경우 다리부(140) 하단의 이동바퀴(141)가 지면을 구르면서 상당한 무게의 검사대(100)가 안정적으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물론 이동바퀴(141)에는 바퀴고정수단(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어서, 검사대(100)의 이동이 필요치 않을 시 바퀴고정수단을 작동시켜 의도치 않게 이동바퀴(141)가 굴러가 검사대(1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하부프레임(110)의 상부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프레임(120)이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수직프레임(120)은 검사구(300)가 쓰러지지 않도록 검사구(300)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수직프레임(120)의 일 지점에는 고정홀(1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추후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에 장착되었을 시 검사구(300)의 삽입홀(311)과 검사대(100)의 고정홀(121)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검사구고정수단(400)에 의해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30)은 수직프레임(120)의 상부에서 수직프레임(120)의 전면과 후면 방향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된 형태로 설치된다.
하부롤러(111)는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검사구(300)를 받쳐주게 된다. 이러한 하부롤러(111)는 수직프레임(120)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수직프레임(120)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하부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복수개 설치된다. 또한 하부롤러(111)는 회전축이 지면과 수평하고 수직프레임(120)과 직교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하부롤러(111)의 둘레에는 안착홈(11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롤러(111)의 안착홈(111a)에 검사구본체(310)의 하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검사구(300)가 하부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검사구본체(310)의 하단은 하부롤러(111)의 안착홈(111a)에 구속되어 수직프레임(1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부롤러(131)는 상부프레임(130)의 하부에서 수직프레임(120)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부롤러(131)는 회전축이 지면에 수직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며, 수직프레임(120)의 전면과 후면 방향에서 각각 상부프레임(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복수개 설치된다. 따라서 상부롤러(131)와 수직프레임(120) 사이에 검사구본체(310)의 상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검사구(300)가 상부프레임(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검사구본체(310)의 상단은 상부롤러(131)와 수직프레임(120) 사이에서 구속되어 전면이나 후면으로 쓰러지지 않게 된다.
한편 검사대(100)에서 하부프레임(110)은 높이조절수단(미도시)을 통해 다리부(140)와 결합되어 있어서, 높이조절수단의 조작을 통해 하부프레임(110) 및 하부롤러(111) 전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보관대(200)는 검사대(100)에 설치되는 검사구(300)를 보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보관대(200)는 받침프레임(210), 다리프레임(240), 지지프레임(220), 상단프레임(230), 받침롤러(211) 및 상단롤러(231)를 포함한다.
받침프레임(210)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수평하게 설치되며, 받침프레임(210)의 아래에는 받침프레임(210)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다리프레임(24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다리프레임(240)의 하단에는 지지바퀴(241)가 마련되어 있어서 보관대(200)를 보관장소로 편리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바퀴(241)에도 바퀴고정수단(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어서 보관대(200)가 의도치 않게 위치 변경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한편 보관대(200)의 받침프레임(210)은 검사대(100)의 하부프레임(110)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나, 미세한 높이 차이는 검사대(100)의 높이조절수단(미도시)을 통해 맞춰주는 것이 가능하다.
받침프레임(210)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프레임(220)이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지지프레임(220)은 검사대(100)의 수직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검사구(300)가 쓰러지지 않도록 검사구(300)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다만 검사대(100)에서는 하부프레임(110) 위에 하나의 수직프레임(120)이 설치되어 있고, 그 수직프레임(120)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검사구(300)가 장착되도록 하여, 하나의 검사대(100)를 이용하여서는 총 2개의 검사구(300)를 이용한 검사 작업만 동시에 가능토록 하였다. 하지만 보관대(200)에 검사구(300)가 보관될 때에는 동시 작업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나의 보관대(200)에 3개 이상의 검사구(300)가 동시에 보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보관대(200)의 받침프레임(210)의 크기는 검사대(100)의 하부프레임(110)의 크기보다 크게 설계되며, 받침프레임(210)의 상부에 복수의 지지프레임(22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보관대(200)의 받침프레임(210)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지지프레임(220)이 설치되어 있어서 총 4개의 검사구(300)가 동시에 보관 가능한 구조를 도시하였다.
상단프레임(230)은 지지프레임(220)의 상부에서 지지프레임(220)의 전면과 후면 방향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받침롤러(211)는 받침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검사구(300)를 받쳐주게 된다. 이러한 받침롤러(211)는 각 지지프레임(220)의 전면과 후면에서 지지프레임(220)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일직선상에 복수개 설치된다. 또한 받침롤러(211)는 회전축이 지면과 수평하고 지지프레임(220)과 직교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받침롤러(211)의 둘레에는 롤러홈(21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롤러(211)의 롤러홈(211a)에 검사구본체(310)의 하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검사구(300)가 받침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검사구본체(310)의 하단은 받침롤러(211)의 롤러홈(211a)에 구속되어 지지프레임(2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단롤러(231)는 상단프레임(230)의 하부에서 지지프레임(220)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단롤러(231)는 회전축이 지면에 수직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며, 지지프레임(220)의 전면과 후면 방향에서 각각 상단프레임(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복수개 설치된다. 따라서 상단롤러(231)와 지지프레임(220) 사이에 검사구본체(310)의 상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검사구(300)가 상단프레임(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검사구본체(310)의 상단은 상단롤러(231)와 지지프레임(220) 사이에서 구속되어 전면이나 후면으로 쓰러지지 않게 된다.
검사구(300)는 검사 대상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대(100)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제작된다. 이러한 검사구(300)는 직사각형 형태의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검사구본체(310)를 포함한다.
검사구본체(310)의 전방은 검사 대상 부품이 안착되는 부분이며, 후방은 검사대(100)의 수직프레임(120) 또는 보관대(200)의 지지프레임(220)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검사구본체(310)의 전방에는 검사 대상 부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고, 검사 대상 부품을 고정시키는 체결수단과, 외곽 치수나 관통홀 치수 등을 검사하기 위한 기준자 등이 표시되어 있다. 검사 대상 부품의 종류에 따라 검사구본체(310)의 전방 형태도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검사구(300)는 검사 대상 부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만큼 미리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검사구본체(310)의 일 지점에는 삽입홀(311)이 형성되어 있다. 검사구본체(310)의 삽입홀(311)은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에 올바르게 장착되었을 시 수직프레임(120)에 형성된 고정홀(12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검사구고정수단(400)은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에 장착되었을 시, 검사구(300) 하단을 받치는 하부롤러(111)의 구름에 따라 검사구(300)가 수평이동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에 위치된 상태에서 검사구고정수단(400)을 삽입홀(311)과 고정홀(121)을 연장하여 관통하도록 끼워주면, 검사구(300)의 수평 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검사구고정수단(400)은 예컨대 볼락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검사대(100)에 검사구(300)가 장착된 상태라는 것은, 검사구(300)에 검사 대상 부품을 안착시키고 검사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태이기 때문에 검사구(300)의 견고한 고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보관대(200)에 검사구(300)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검사구(300)의 위치 고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는 아니하다. 하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보관대(200)의 지지프레임(220)에도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검사구고정수단(400)을 이용하여 검사구(300)를 보관대(200)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5 및 도6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에서 검사대(100)에 검사구(300)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토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대(200)에는 서로 다른 검사 대상 부품을 검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검사구(300)가 보관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즉 보관대(200)의 받침롤러(211)에 검사구본체(310)의 하단이 안착 지지된 상태이고, 검사구본체(310)의 상단은 상단롤러(231)와 지지프레임(220) 사이에 구속된 상태로 보관되고 있다.
이후 검사대(100)에 검사구(300)를 장착하기 위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100)를 이동시켜 보관대(200)에 밀착시킨다. 검사대(100)의 다리부(140) 하단에는 이동바퀴(141)가 마련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검사대(100)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검사대(100)에는 수직프레임(1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검사구(300)를 장착시킬 수 있는데, 도5에서는 보관대(200)에 보관된 4개의 검사구(300) 중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한 검사구(300)를 검사대(100)의 전방에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토록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검사대(100)를 이동시켜 수직프레임(120)의 전방 부분이 해당 검사구(300)가 보관된 지지프레임(220)의 전방과 맞닿도록 위치시킨다. 즉 검사대(100)의 하부롤러(111)와 보관대(200)의 받침롤러(211)가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 검사대(100)를 정위치 시키는 것이다. 필요시 작업자는 검사대(100)에 마련되어 있는 높이조절수단(미도시)을 조절하여 하부롤러(111)의 높이와 받침롤러(211)의 높이를 맞춰줄 수 있다. 또한 검사대(100)의 정렬이 완료되면 바퀴고정수단(미도시)을 통해 이동바퀴(141)와 지지바퀴(241)의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검사대(1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정렬하는 과정을 마치면, 작업자는 해당 검사구(300)를 잡아 당겨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구(300)를 검사대(100)로 이동시킨다.
보관대(200)에 보관된 검사구(300)가 이동할 때에는 검사구본체(310)의 하단이 받침롤러(211)를 따라 일직선으로 이동하게 되고, 검사구본체(310)의 상단은 지지프레임(220)과 상단롤러(231) 사이에 지지된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보관대(200)를 먼저 빠져나온 검사구본체(310)의 하단 부분은 검사대(100)의 하부롤러(111)에 형성된 안착홈(111a)에 안착되고, 검사구본체(310)의 상단 부분은 검사대(100)의 수직프레임(120)과 상부롤러(131) 사이에 진입하면서 일직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검사구(300)가 보관대(200)에서 빠져나와 검사대(100)에 진입하더라도, 검사구본체(310)의 하단은 여전히 하부롤러(111)의 안착홈(111a)에 구속되어 있고, 검사구본체(310)의 상단은 수직프레임(120)과 상부롤러(131) 사이에 구속되어 있어서 검사구(300)가 전방으로 미끄러지거나 후방으로 쓰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검사구(300)가 보관대(200)를 완전히 빠져나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100)에 정위치를 잡으면 작업자는 검사구고정수단(400)을 이용하여 검사구(300)가 검사대(100)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즉 도7의 (a)에 도시된 검사대(100)의 정면도와 (b)에 도시된 검사대(100)의 측면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검사구고정수단(400)이 검사구본체(310)의 삽입홀(311)과 수직프레임(120)의 고정홀(121)을 연장하여 관통하도록 삽입되면, 검사구(30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하부롤러(111)를 따라 이동하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검사구고정수단(400)을 이용한 검사구(300)의 고정 작업까지 마치면, 검사구(300)가 장착된 상태의 검사대(100)를 작업 공간으로 다시 이동시킨 후 검사 대상 부품을 검사구(300)에 장착시켜 검사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검사대(100)의 수직프레임(120)에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검사구(300)를 장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나의 검사대(100)에서 두 개의 검사구(300)를 장착한 후 동시에 검사 작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검사대(100)에 검사구(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검사 작업을 완료한 검사구(300)를 제거하고 다른 종류의 검사구(300)를 장착시켜 검사 작업을 진행하고자 한다면, 작업자는 검사대(100)를 다시 이동시켜 보관대(200)의 비어 있는 받침롤러(211)에 제거 대상이 되는 검사구(300)를 밀어 넣고, 다시 보관대(200)의 다른 위치에 보관된 검사구(300)를 인출시켜 검사대(100)에 장착시켜 사용하면 된다.
한편 보관대(200)와 검사대(100) 사이에서 검사구(3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보관대(200)와 검사대(100)의 정렬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물론 앞선 설명에서는 이동바퀴(141)와 지지바퀴(241)에 마련되어 있는 바퀴고정수단(미도시)을 통해 보관대(200)와 검사대(100)가 고정되도록 한다고 설명하였지만, 보관대(200)와 검사대(100)를 서로 연결하여 직접적으로 고정시켜주는 체결수단(112)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100)의 하부프레임(110)에서 보관대(200)의 받침프레임(210)과 접촉하게 되는 지점에 체결수단(112)을 설치하는 것이다.
체결수단(112)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레버(112a)와 걸림고리(112b)를 갖는 버클 형태가 적용된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보관대(200)의 받침프레임(210)에는 검사대(100)의 체결수단(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고리(112b)가 끼워지는 고리걸림부(250)를 설치한다. 검사대(100)가 보관대(200)에 밀착되는 위치는 어느 검사구(300)를 인출시키는지에 따라 수시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고리걸림부(250) 역시 받침프레임(210)에서 복수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도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100)를 보관대(200)에 밀착시키고 체결수단(112)의 걸림고리(112b)가 보관대(200)의 고리걸림부(250)에 진입되도록 한 후, 도8의 (b)와 같이 체결레버(112a)를 내려 걸림고리(112b) 전방이 고리걸림부(250)에 걸리도록 하면, 걸림고리(112b)가 고리걸림부(250)에 걸려 견고하게 체결된다.
이에 따라 검사구(300)를 이동시킬 때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보관대(200)와 검사대(100)는 체결수단(112)과 고리걸림부(250)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체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정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체결수단(112)과 고리걸림부(250)는 검사대(100)의 하부롤러(111)와 보관대(200)의 받침롤러(211)가 서로 정렬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적정한 위치에 설계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100)와 검사구(300)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검사대(100)에 검사구(3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검사장치의 보관 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예컨대 4개 종류의 부품을 검사하고자 한다면, 종래에는 검사구(2)와 검사대(1)가 일체로 제작된 4대의 검사장치를 각각 준비해야만 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한 대의 검사대(100)와 4대의 검사구(300)를 구비하면 된다. 따라서 검사대(100) 3대만큼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100)의 수직프레임(120)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검사구(300)를 장착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한 대의 검사대(100)가 위치하는 작업 현장에서 두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검사 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어서, 공간 활용도와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종래에는 검사구(2)와 검사대(1)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한 대의 검사대에서 전방과 후방에 검사구를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그 이유는 동시에 검사해야 하는 작업 스케줄이 바뀔 경우 대응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예컨대 종래의 일체형 검사장치에서 한 대의 검사대의 전방에는 A 종류의 검사구가 마련되어 있고, 후방에는 B 종류의 검사구가 마련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A 부품과 B 부품의 동시 검사는 가능하다. 하지만 작업 스케줄 변동에 따라 A 부품과 C 부품을 동시에 검사해야 한다면, 해당 검사장치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한 대의 검사대(1)에 하나의 검사구(2)만 일체로 제작된 형태인 것이다.
반면 본원발명과 같이 검사대(100)에 검사구(3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라면, 필요한 검사구(300)를 언제든지 검사대(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A-B 부품의 동시 검사 작업은 물론 A-C 부품, B-C 부품의 동시 검사 작업도 가능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100)와 보관대(200)가 짝을 이루어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검사구(300)의 보관, 장착 작업이 매우 수월하다. 만약 보관대(200)가 없거나 검사대(100)와 연동되는 구조로 제작되지 않았다면, 상당한 무게를 갖는 검사구(300)를 작업자가 들어올려 검사대(100)에 장착하거나 빼내야 하기 때문에, 검사구(300)의 장착 및 해체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에서는 검사대(100)에서 검사구(300)가 설치되는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보관대(200)를 사용하고 있어서, 검사대(100)를 보관대(200)에 밀착시킨 후 검사구(300)를 잡아당기는 한 번의 작업만으로 검사구(300)를 검사대(100)에 위치시킨 후 검사구고정수단(400)을 통해 검사구(300)를 고정시킴으로써 장착 작업이 모두 완료된다. 따라서 검사구(300) 장착 작업이 매우 간편하며 검사구(300)를 들어올려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서 안전사고의 위험도 없어지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검사대
110 : 하부프레임
111 : 하부롤러
111a : 안착홈
112 : 체결수단
112a : 체결레버
112b : 걸림고리
120 : 수직프레임
121 : 고정홀
130 : 상부프레임
131 : 상부롤러
140 : 다리부
141 : 이동바퀴
200 : 보관대
210 : 받침프레임
211 : 받침롤러
211a : 롤러홈
220 : 지지프레임
230 : 상단프레임
231 : 상단롤러
240 : 다리프레임
241 : 지지바퀴
250 : 고리걸림부
300 : 검사구
310 : 검사구본체
311 : 삽입홀
400 : 검사구고정수단

Claims (5)

  1. 검사 대상 부품이 안착되는 검사구;
    상기 검사구를 보관하는 보관대;
    상기 보관대에서 인출된 상기 검사구를 지지하는 검사대; 및
    상기 검사구를 상기 검사대에 고정시키는 검사구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인접하게 복수개가 일직선 상에 설치되고, 둘레를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롤러;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직선 상에 설치되는 상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대는,
    상기 검사대의 하부프레임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인접하게 복수개가 일직선 상에 설치되고, 둘레를 따라 롤러홈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롤러;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직선 상에 설치되는 상단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구는 하단이 상기 보관대의 받침롤러에 형성된 롤러홈에 안착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단롤러 사이에 구속된 상태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검사구가 상기 보관대에서 인출되면 상기 검사구의 하단이 상기 검사대의 하부롤러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부롤러 사이에 구속된 상태에서 직선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 지점에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사구에는 상기 고정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검사구가 상기 검사대에 장착되었을 시, 상기 검사구고정수단을 상기 검사구의 삽입홀과 상기 검사대의 고정홀을 연장하여 관통되도록 삽입하면 상기 검사구가 상기 검사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의 하부롤러와 상부롤러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검사구가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대에는 고리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사대는,
    상기 보관대의 고리걸림부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검사대와 상기 보관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검사구가 이동할 시, 상기 고리걸림부에 체결되는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검사대와 상기 보관대의 정렬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KR1020200084094A 2020-07-08 2020-07-08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KR102354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094A KR102354781B1 (ko) 2020-07-08 2020-07-08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KR1020220007021A KR102372617B1 (ko) 2020-07-08 2022-01-18 걸림부가 형성된 보관대를 갖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KR1020220007017A KR102372619B1 (ko) 2020-07-08 2022-01-18 검사대에 고정이 가능한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KR1020220007020A KR102372618B1 (ko) 2020-07-08 2022-01-18 롤러가 형성된 검사대를 갖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094A KR102354781B1 (ko) 2020-07-08 2020-07-08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017A Division KR102372619B1 (ko) 2020-07-08 2022-01-18 검사대에 고정이 가능한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KR1020220007020A Division KR102372618B1 (ko) 2020-07-08 2022-01-18 롤러가 형성된 검사대를 갖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KR1020220007021A Division KR102372617B1 (ko) 2020-07-08 2022-01-18 걸림부가 형성된 보관대를 갖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303A true KR20220006303A (ko) 2022-01-17
KR102354781B1 KR102354781B1 (ko) 2022-01-25

Family

ID=8004887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094A KR102354781B1 (ko) 2020-07-08 2020-07-08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KR1020220007017A KR102372619B1 (ko) 2020-07-08 2022-01-18 검사대에 고정이 가능한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KR1020220007021A KR102372617B1 (ko) 2020-07-08 2022-01-18 걸림부가 형성된 보관대를 갖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KR1020220007020A KR102372618B1 (ko) 2020-07-08 2022-01-18 롤러가 형성된 검사대를 갖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017A KR102372619B1 (ko) 2020-07-08 2022-01-18 검사대에 고정이 가능한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KR1020220007021A KR102372617B1 (ko) 2020-07-08 2022-01-18 걸림부가 형성된 보관대를 갖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KR1020220007020A KR102372618B1 (ko) 2020-07-08 2022-01-18 롤러가 형성된 검사대를 갖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35478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097A (ko) * 2002-03-25 2003-10-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카세트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카세트이송방법
JP2009263077A (ja) * 2008-04-24 2009-11-1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積載台車
KR20110022757A (ko) * 2009-08-28 2011-03-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처리모듈의 인출장치
KR20120016923A (ko) * 2010-08-17 2012-02-27 한솔테크닉스(주) Lcm 에이징 검사기의 대차 분리 시스템
KR101339169B1 (ko) * 2013-04-22 2013-12-09 (주)네온테크 반도체 절단 장비용 컨베이어 로더
KR101770602B1 (ko) * 2016-08-30 2017-08-23 두성산업주식회사 열처리용 오븐 및 대차 시스템
KR101783587B1 (ko) * 2017-06-15 2017-10-23 이문배 비전 검사 장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097A (ko) * 2002-03-25 2003-10-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카세트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카세트이송방법
JP2009263077A (ja) * 2008-04-24 2009-11-1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積載台車
KR20110022757A (ko) * 2009-08-28 2011-03-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처리모듈의 인출장치
KR20120016923A (ko) * 2010-08-17 2012-02-27 한솔테크닉스(주) Lcm 에이징 검사기의 대차 분리 시스템
KR101339169B1 (ko) * 2013-04-22 2013-12-09 (주)네온테크 반도체 절단 장비용 컨베이어 로더
KR101770602B1 (ko) * 2016-08-30 2017-08-23 두성산업주식회사 열처리용 오븐 및 대차 시스템
KR101783587B1 (ko) * 2017-06-15 2017-10-23 이문배 비전 검사 장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781B1 (ko) 2022-01-25
KR20220013432A (ko) 2022-02-04
KR102372617B1 (ko) 2022-03-10
KR102372619B1 (ko) 2022-03-10
KR102372618B1 (ko) 2022-03-10
KR20220013433A (ko) 2022-02-04
KR20220013431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669B1 (ko) 모듈형 받침대 시스템
CN103192208B (zh) 用于定位和组装轴套的泵车底架工装夹具
CN107971682B (zh) 夹具快换装置
CN105035346B (zh) 模块化支柱系统
CN209936199U (zh) 一种底盘履带梁总成专用拼点工装
KR102372617B1 (ko) 걸림부가 형성된 보관대를 갖는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EP3440425B1 (de) Mobiles messsystem zum dreidimensionalen optischen vermessen von fahrzeugen und fahrzeugteilen
CN108061502B (zh) 一种滑移检测机构及前风窗开口尺寸检测工装
KR101529228B1 (ko) 백히팅용 케이블 로봇
KR20170091713A (ko) 타이어 균일성 테스트 시스템
KR102372623B1 (ko) 차단봉을 구비한 검사구의 교체가 가능한 검사장치
CN206153949U (zh) 一种自补偿辅助支撑装置
KR200394636Y1 (ko) 차량 내외장검사구용 리어 임팩트 범퍼 더미 로딩장치와래디에이터 그릴 더미 로딩장치
KR20060133621A (ko) 차량 내외장검사구용 리어 임팩트 범퍼 더미 로딩장치와래디에이터 그릴 더미 로딩장치
CN110186672B (zh) 轮轴的检测装置
CN207027426U (zh) 工作台
KR100619257B1 (ko) 차량 내외장검사구용 프론트 범퍼 더미 로딩장치와 리어범퍼 더미 로딩장치
KR20180001261U (ko) 블록 하부 파이프 얼라인 장치
KR20150019894A (ko) 써클홀 가공장치
CN211262158U (zh) 一种天窗前排水槽测量支架装置
CN215004284U (zh) 一种车辆前保险杠蒙皮检具夹持机构
CN215658792U (zh) 一种风机机脚焊接的定位装置
CN108931216B (zh) 一种汽车仪表台工具箱的检测方法
US20060164071A1 (en) Slidable mounting plate
CN116754250A (zh) 座椅靠背落锁检测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