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182A -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Google Patents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6182A KR20220006182A KR1020200083816A KR20200083816A KR20220006182A KR 20220006182 A KR20220006182 A KR 20220006182A KR 1020200083816 A KR1020200083816 A KR 1020200083816A KR 20200083816 A KR20200083816 A KR 20200083816A KR 20220006182 A KR20220006182 A KR 202200061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unit
- surface plasmon
- plasmon resonance
- optical amplif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8—Surface plasmon devi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의 증폭부의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의 증폭부에 2차 항체가 결합하는 과정을 간단히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의 다양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L 모드, LED 100mA, Voltage 0.5V, Filter 2.0 OD | |||||
Tn I 농도 [pg/mL] |
Non-SPCE | SPCE | 향상비 [S/NS] |
||
유효전압 [mV] |
SD [mV] |
유효전압 [mV] |
SD [mV] |
||
0.01 | 2.4267 | 0.16182 | 6.91903 | 1.03380 | 2.851210 |
0.05 | 1.85052 | 0.28216 | 22.33841 | 1.64855 | 12.07144 |
0.25 | 1.92905 | 0.72629 | 32.21718 | 3.45711 | 16.70106 |
0.50 | 1.31687 | 0.27930 | 36.44144 | 1.15219 | 27.67284 |
P 모드, LED 100mA, Voltage 0.5V, Filter 2.0 OD | |||||
Tn I 농도 [pg/mL] |
Non-SPCE | SPCE | 향상비 [S/NS] |
||
유효전압 [mV] |
SD [mV] |
유효전압 [mV] |
SD [mV] |
||
0.01 | 0.04108 | 0.00140 | 0.06803 | 0.000451 | 1.65588 |
0.05 | 0.02724 | 0.00725 | 0.18656 | 0.01157 | 6.84988 |
0.25 | 0.05347 | 0.00628 | 0.23374 | 0.00280 | 4.37155 |
0.50 | 0.01965 | 0.00133 | 0.25864 | 0.00219 | 13.16568 |
110: 광원 120: 제1렌즈부
130: 제1필터부 140: 증폭부
150: 제2렌즈부 160: 제2필터부
170: 측정부 210: 유전체층
220: 제1금속층 230: 광 도파로층
240: 제2금속층 250: 형광체층
Claims (14)
- 제1광을 발광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광을 상기 광원의 반대 방향으로 수집하도록 형성되는 제1렌즈부;
상기 제1렌즈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광의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형성되는 제1필터부;
상기 제1광을 전달받아 표면 플라즈몬 효과를 발생시켜 증폭된 광인 제2광을 생성하는 증폭부;
상기 제2광을 일 방향으로 수집하도록 형성되는 제2렌즈부;
상기 제2렌즈부를 통과한 상기 제2광의 진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광의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구비되는 제2필터부; 및
상기 제2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제2광의 진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광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폭부는,
유리로 형성되는 유전체층;
상기 유전체층의 상부에 크롬으로 형성되는 제1도금층;
상기 제1도금층의 상부에 은으로 형성되는 광 도파로 층;
상기 광 도파로 층의 상부에 금으로 형성되는 제2도금층; 및
상기 제2도금층에 결합하는 물질에 포함된 형광체로 형성되는 형광체층;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광의 진행 방향에 따라 L 모드 또는 P 모드로 형성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 모드는,
상기 제2광의 진행 방향이 상기 증폭부의 측면 방향이며,
상기 측면 방향으로 상기 제2렌즈부, 상기 제2필터부 및 상기 측정부가 순서대로 형성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 모드는,
프리즘의 빗면이 아닌 다른 면이 상기 증폭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광의 진행방향이 상기 프리즘의 빗면 방향이며,
상기 빗면 방향으로 상기 제2렌즈부, 상기 제2필터부 및 상기 측정부가 순서대로 형성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트로포닌 I(Troponin I, TnI)의 항체가 2차에 걸쳐 상기 제2금속층에 결합하며, 상기 형광체를 포함하는 트로포닌 I가 상기 트로포닌 I의 2차 항체에 결합하여 형성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금층은, 2nm 내외로 형성되며,
상기 광 도파로 층은, 50nm 내외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도금층은, 2nm 내외로 형성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은 LED로 형성되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며, 중심 파장값이 470nm로 형성되고,
상기 제2광은, 상기 증폭부로부터 방출되며, 중심 파장값이 525nm로 형성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는, 상기 제1광 중 450nm 내지 490nm의 범위를 벗어나는 파장을 제1노이즈로 판단하여 제거하도록 형성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는, 상기 제2광 중 500nm 내지 550nm의 범위를 벗어나는 파장을 제2노이즈로 판단하여 제거하도록 형성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는, 일 면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광을 초점으로 모이도록 하는 콜리메이터 렌즈로 형성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부는, 상기 제2광을 일 방향으로 모이도록 하는 컨벡스 렌즈로 형성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와 상기 증폭부 사이에 상기 제1노이즈가 제거된 상기 제1광의 광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조리개부;를 더 포함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와 상기 측정부 사이에 상기 제2노이즈가 제거된 상기 제2광의 광량을 일괄적으로 필터링 할 수 있는 ND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유전체층 하부에 1.35 내지 1.45의 유전율을 가지는 물질이 복수개의 피라미드 형태로 형성되는 실리콘 첨가제(Polydimethylsiloxane, PDMS)층을 더 포함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P 모드는, 상기 프리즘과 상기 측정부를 결합하기 위해 이멀젼 오일을 사용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3816A KR102431807B1 (ko) | 2020-07-08 | 2020-07-08 |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PCT/KR2020/013766 WO2022010037A1 (ko) | 2020-07-08 | 2020-10-08 |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형광 증폭 장치 및 광 증폭 장치 |
US18/015,066 US20230296815A1 (en) | 2020-07-08 | 2020-10-08 | Fluorescent amplification device using surface plasmon resonance and optical amplification device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3816A KR102431807B1 (ko) | 2020-07-08 | 2020-07-08 |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6182A true KR20220006182A (ko) | 2022-01-17 |
KR102431807B1 KR102431807B1 (ko) | 2022-08-11 |
Family
ID=8005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3816A Active KR102431807B1 (ko) | 2020-07-08 | 2020-07-08 |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180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70440A (ko) * | 2007-01-26 | 2008-07-30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싱 시스템 |
KR20090064917A (ko) | 2007-12-17 | 2009-06-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형광현미경 |
KR100927378B1 (ko) * | 2008-11-13 | 2009-11-19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후막 감지층을 구비한 가스센서 칩 및 그 제조 방법 |
JP2019020406A (ja) * | 2012-12-19 | 2019-02-07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センサーチッ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spfs免疫蛍光測定システム |
-
2020
- 2020-07-08 KR KR1020200083816A patent/KR10243180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70440A (ko) * | 2007-01-26 | 2008-07-30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싱 시스템 |
KR20090064917A (ko) | 2007-12-17 | 2009-06-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형광현미경 |
KR100927378B1 (ko) * | 2008-11-13 | 2009-11-19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후막 감지층을 구비한 가스센서 칩 및 그 제조 방법 |
JP2019020406A (ja) * | 2012-12-19 | 2019-02-07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センサーチッ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spfs免疫蛍光測定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1807B1 (ko) | 2022-08-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30643B2 (en) | Spectral microscope | |
CA2943254C (en) | Bioassa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alytes in body fluids | |
JP2020523592A (ja) | 分析試験デバイス | |
CN101082584A (zh) | 一种光纤荧光生物传感器 | |
US20100294948A1 (en) | Optical wavelength demultiplexing detector for fluorescence analysis and fluorescence detection system | |
DE112008003430T5 (de) | Oberflächenplasmonenresonanz benutzendes Fluoreszenzmikroskop | |
CN114966042A (zh) | 一种高灵敏度多通道分子免疫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 |
KR102431807B1 (ko) |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광 증폭 장치 | |
JP2009287999A (ja) | 蛍光検出システム及びこれを利用した濃度測定方法 | |
CN104198452A (zh) | 信号增强激光诱导荧光系统 | |
JPWO2012172987A1 (ja) | 表面プラズモン励起増強蛍光分光測定方法および表面プラズモン励起増強蛍光分光測定装置 | |
CN106198951B (zh) | 一种生物传感标定方法、标定系统及疾病检测系统 | |
US20230296815A1 (en) | Fluorescent amplification device using surface plasmon resonance and optical amplification device using same | |
JP5673211B2 (ja) | 光学式検体検出装置 | |
JP4887475B2 (ja) | 自己蛍光を除去するために複数の検出チャネルを使用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 |
JPH0486546A (ja) | 検体検査装置 | |
KR102486692B1 (ko) | 박테리오파지 기반 sers 활성 금 나노헤일로 구조체 및 제조방법 | |
CN211179857U (zh) | 一种量子点荧光多联检单通道光学检测装置 | |
KR20220006181A (ko) |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형광 증폭 장치 | |
Kishore et al. | Fabrication of a low-cost benchtop optical imager for quantum dot microarray-based stress biomarker detection | |
JP2009145078A (ja) | 蛍光観察又は蛍光測光システム、及び蛍光観察又は蛍光測光方法 | |
Qiu et al. | Targeted optical probing of neuronal circuit dynamics using fluorescent protein sensors | |
DE10130568A1 (de) | Optoelektrisches Analysesystem für die Biotechnologie | |
Adinolfi et al. | Total internal reflection fluorescence-based optical biochip for the detection of immunosuppressants in transplanted patients | |
US20190046090A1 (en) |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criminating optical signa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