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135A - 오일 탱크용 해치 - Google Patents

오일 탱크용 해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135A
KR20220005135A KR1020200082581A KR20200082581A KR20220005135A KR 20220005135 A KR20220005135 A KR 20220005135A KR 1020200082581 A KR1020200082581 A KR 1020200082581A KR 20200082581 A KR20200082581 A KR 20200082581A KR 20220005135 A KR20220005135 A KR 20220005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ed
hatch
oil tank
cov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6410B1 (ko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박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민 filed Critical 박성민
Priority to KR1020200082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4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62Gates or closures having closure members movable out of the plane of the opening
    • B65D90/623Gates or closures having closure members movable out of the plane of the opening having a rotation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66Operat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가벼우면서 조작성이 우수한 오일 탱크용 해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용 오일 탱크용 해치에 있어서, 오일 탱크에 부착되고, 일측면에 복수의 걸림부가 부착되며, 타측면에는 상고정부와 하고정부가 부착되는 원통형상의 몸체; 원형의 상판, 상기 상판 하면에 부착되는 원통형상의 외면 수직벽, 상기 외면 수직벽 내부에 부착되는 내면 수직벽 및 상기 외면 수직벽과 내면 수직벽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끝단과 상기 밀봉재와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몸체와 결합하는 커버; 및 상기 상고정부와 하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기둥, 상기 회전기중과 결합하는 베이스암, 상기 베이스암의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부 사이에 배치되는 훅 및 상기 베이스암에 나사결합하고 끝단이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휠부를 포함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일 탱크용 해치{Hatch for oil tank}
본 발명은 오일 탱크용 해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에 적용되는 오일 탱크용 해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유와 같은 액상의 화물을 수송하는 선박은 오일탱크를 포함하며, 이때 오일탱크에 원유와 같은 액상의 화물을 저장 및 출고하기 위하여 상부에는 개폐가능한 해치가 반드시 설치된다.
상기 해치는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해수와 같은 이물질들의 탱크 내부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탱크 내부에서 대기로의 내부 저장 액체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일탱크의 상부에 기밀하게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해치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2003-0057508호에는 화물운반선의 케미칼탱크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해치본체가 설치되고, 해치본체의 양측에는 브라켓트와 걸이구가 각각 설치되며, 해치본체의 상부에는 일측에 브라켓트에 힌지볼트로서 힌지설치되는 힌지결합부가 설치되고 하단부에 해치본체의 상면과 밀착되는 패킹이 설치된 해치뚜껑이 덮어 씌워지게 설치되고, 해치뚜껑의 상부에는 일측에 힌지결합부의 상부에 힌지볼트가 설치되는 힌지결합부가 설치되고 반대편에 걸이구에 록킹 및 해제되는 걸쇠가 레버에 의해 설치되며 중앙부에 해치뚜껑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이 설치된 지지대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에 실린더튜브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해치뚜껑의 중앙 상부에는 실린더튜브에서 출몰되는 실린더로드의 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는 실린더튜브와 실린더로드로 이루어지는 실린더의 실린더로드를 출몰 동작시키는 실린더작동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뚜껑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5-0039288호에는 선박의 오일탱크 상부에 설치되는 해치본체, 상기 해치본체에 좌우회동 되도록 결합되는 회동암, 상기 회동암과 함께 회동하도록 결합되어 해치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해치커버, 회동암에 형성된 관통홀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핸들 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박용 해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즉, 종래 선박용 해치의 경우, 해치본체 및 해치커버가 비중이 큰 철강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고가이며, 용접 불량에 따른 흠결 및 파손이 쉽고, 그 큰 중량으로 인하여 선박 전체의 무게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설치상의 어려움이 있고, 상기 해치커버의 큰 중량으로 인하여 해치본체로부터 개방하거나 밀폐하기 위해 사용상의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가벼우면서 조작성이 우수한 오일 탱크용 해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용 오일 탱크용 해치에 있어서, 오일 탱크에 부착되고, 일측면에 복수의 걸림부가 부착되며, 타측면에는 상고정부와 하고정부가 부착되는 원통형상의 몸체; 원형의 상판, 상기 상판 하면에 부착되는 원통형상의 외면 수직벽, 상기 외면 수직벽 내부에 부착되는 내면 수직벽 및 상기 외면 수직벽과 내면 수직벽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끝단과 상기 밀봉재와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몸체와 결합하는 커버; 및 상기 상고정부와 하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기둥, 상기 회전기중과 결합하는 베이스암, 상기 베이스암의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부 사이에 배치되는 훅 및 상기 베이스암에 나사결합하고 끝단이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휠부를 포함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에는 상기 커버를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 측면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와 상기 각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볼트와 상기 회전볼트에 결합하는 나비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볼트의 끝단은 상기 커버 상면에 부착되는 고정구에 형성된 결합홀에 결합하고, 상기 나비너트는 상기 고정구 상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고정구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몸체 측면에 부착되어 커버의 하방향 진행을 방지하는 커버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암은 상기 휠부가 나사결합하는 나사블럭과 상기 나사블럭 양측면에 부착되는 2개의 암을 포함하고, 상기 암 중 하나의 암 끝단에는 상기 회전기둥이 부착되고, 나머지 암의 끝단에는 상기 훅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기둥은 상기 상고정부와 접촉하는 홀드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는 상기 상고정부에 형성된 2개의 고정홀에 대응되는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홀의 홀과 대응되는 고정홀에는 토글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훅은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걸림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는 배치되는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핀홀을 포함하고, 상기 핀홀에는 핀이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 전면에는 핸드그립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고정부의 하면과 상기 하고정부의 상면과 상기 몸체와 결합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휠부는 핸들과 상기 핸들 중심에 결합하고, 상기 나사블럭과 나사결합하는 스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의 끝단은 상기 커버 상면 중심에 부착되는 연결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기둥은 부시를 매개로 의하여 상기 상고정부와 상기 하고정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상기 상판 하면에 부착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상기 원형기둥과 결합하여 상기 커버의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용 해치는 탱크 상단에 부착되는 본체를 원통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본체 상면을 덮는 커버 역시 원통형상의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 상면을 덮는 상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나머지 부품들 역시 제작이 편리한 단순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커버의 개방 및 폐쇄 상태가 정확하게 구현되어 동작성이 우수하며, 조작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용 해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몸체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버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의 커버가 몸체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개폐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6운 도 1에 도시된 고정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1에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용 해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탱크 상단에 부착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을 덮으면서 필요에 따라 개방하는 커버(30), 상기 커버(30)를 고정 및 개방하는 개폐장치(50) 및 상기 해치 커버(30)를 추가로 고정하는 고정장치(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및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강판을 원형으로 절곡한 후, 접촉부분을 용접하여 제조할 수 있다.
물론 오일 탱크와 상기 몸체(10) 역시 용접에 의하여 결합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일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개폐장치(50)의 잠금 작용을 위한 걸림부(11)를 두개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걸림부(11)는 일정한 두께의 판재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0)와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한다.
또한 상기 두개의 걸림부(11)는 동일한 형상이며, 각각 록킹핀(12)을 수용하는 핀홀(13) 두개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록킹핀(12)은 상기 핀홀(13)에 삽입 또는 분리되므로, 끝단은 와이어로프에 의하여 상기 몸체(10)와 연결되, 록킹핀(12)이 분리된 상태에서도 분실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몸체(10)는 타 측면에 상기 개폐장치(50)의 회전 지지를 위한 상고정부(15)와 상기 상고정부(15)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 부착되는 하고정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고정부(15)와 하고정부(19) 역시 일정 두께의 판재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0)와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한다.
또한 상기 상고정부(15)와 하고정부(19)는 중심에 상기 개폐장치(50)의 일부 구성을 수용하는 회전홀(16, 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고정부(15)는 추가하여 상기 회전홀(16)의 주변으로 일정한 각도로 이격 형성되는 2개의 고정홀(17)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홀(17)은 개폐장치(50)가 몸체(10)를 폐쇄하는 위치와 완전히 개방한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된다.
또한 상기 상고정부(15)와 하고정부(19)는 강도 증가용 브라켓(18)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브라켓(18)의 일측면은 상기 몸체(10)에 고정되고, 상면을 상기 상고정부(15)와 결합하고, 하면은 상기 하고정부(19)와 결합하여 전체 고정부(15, 19)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상기 걸림부(11) 상단에 작업자의 그립을 위한 핸드그립부(21)가 부착된다.
상기 핸드그립부(21)는 봉을 원호 형태로 가공하여 용접에 의하여 부착하며, 대략 상기 걸림부(11)의 폭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외면에 커버(30)의 하방향 진행을 방지하는 복수의 커버스토퍼(22)가 부착된다.
상기 커버스토퍼(22)는 사각형상의 판재로 일면이 상기 몸체(10)에 용접에 의하여 부착되며, 전체 4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30)는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결합하여 몸체(10) 상면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의 상판(31), 상기 상판(31) 하단 원주 방향으로 부착되는 환형의 외면 수직벽(32), 상기 외면 수직벽(32)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31) 하단에 부착되는 환형의 내면 수직벽(33), 상기 외면 수직벽(32)과 내면 수직벽(33) 사이에 안착되는 환형의 밀봉재(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31) 하단에는 커버(30)의 강도 향상을 위한 삽자 형태의 보강재(35)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31), 외면 수직벽(32), 내면 수직벽(33) 및 보강재(35)는 판재를 절단하고, 절곡한 후, 용접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므로, 적절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버(30)는 상기 상판(31) 중심부 상단에 상기 개폐장치(5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37)가 부착되며, 상기 연결부(37) 역시 용접에 의하여 상기 상판(31)과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37) 중앙에는 상기 개폐장치(50)와 결합을 위한 결합홀(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홀(38)은 상기 개폐장치(50)의 구성에 따라 측면에서 결합부를 삽입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기타 다른 방식의 결합 구조로 구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버(30)는 상판(31)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장치(80)와 결합하는 고정구(39)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39)는 상기 커버스토퍼(22)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곳에 부착되며, 그 수 또한 상기 커버스토퍼(22)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39)에는 상기 고정장치(80)와 결합을 위한 일측이 개방된 결합홀(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부분이 바깥 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구(39)가 상기 커버(30)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커버(30)는 상기 상고정부(15) 방향으로 부착되는 가이드(4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42)는 사각형 형태의 평판에 일끝단에는 반원부(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원부(43)가 바깥 방향을 향하는 형태로 상기 상판(31)에 부착된다.
상기 가이드(42)는 상기 커버(30)가 상기 개폐장치(50)와 같이 회전하는 역할과 상하 이송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구(39)와 상기 가이드(42) 역시 판재를 절단하여 제작 가능하며, 또한 용접에 의하여 상기 상판(31)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30) 역시 판재를 기본으로 제작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가벼운 무게로 제작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커버(30)가 상기 몸체(10)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재(34)가 몸체(10) 상부 끝단에 의하여 탄성변형하여 밀봉성을 유지하며, 또한 상기 커버스토퍼(22)에 의하여 커버(30)의 하방향 이송이 제한되어 밀봉재(34)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개폐장치(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암(51), 상기 베이스암(51)에 나사결합하는 휠부(65), 상기 베이스암(51)과 상기 고정부(15, 19) 사이에 배치되어 베이스암(51)의 회전을 안내하는 복수의 부시(71), 그리고 상기 베이스암(51)을 상기 고정부(15, 19)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하는 볼트(72) 및 와샤(7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암(51)이 폐쇄된 각도와 개방된 각도에서 고정하기 위한 토글핀(75)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암(51)은 동일한 형태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2개의 암(52)과 상기 암(52) 사이에 배치되며, 중앙에 형성된 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횔부(60)가 나사결합하는 나사블럭(53)을 포함한다.
상기 암(52)의 다른 부재에 비하여 두께가 두터우며, 상기 나사블록(53)과는 용접에 의하여 부착된다.
특히 상기 암(52)은 상기 나사블록(53)과는 강도 증가를 위하여 수평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부착되며, 상기 경사 각도는 10도 내지 20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사 각도가 10도미만인 경우에는 강도 증가가 미미하고, 2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베이스암(51)의 전체 높이가 높아져 부적절하다.
상기 나사블록(53)은 별도의 제조되는 구성으로 중앙에 홀과 홀 내부에 스크류가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통상의 절삭 가공에 의하여 제조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암(51)은 상기 암(52)의 일측에 용접에 의하여 부착되어 상기 걸림부(11)사이에 끝단이 배치되는 훅(54)을 포함한다.
상기 훅(54)은 평판이 절곡된 형태이고, 절곡부(55)가 상기 걸림부(1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암(51)의 타측에는 회전기둥(60)이 부착된다. 상기 회전기둥(60)은 원형 단면 축을 기본으로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상고정부(15)와 접촉하여 베이스암(51)의 하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홀드(61)를 포함한다.
상기 홀드(61)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홀(17)과 대응될 수 있는 홀(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기둥(60)의 끝단에는 볼트(72)와 결합하는 나사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기둥(60)은 상기 부시(71)를 매개로 상기 상고정부(15)와 하고정부(19)에 결합되어, 회전된다.
물론 상기 회전기둥(60)이 상기 고정부(15, 19)에 결합된 후에는 상기 나사부(63)에 와샤(73)와 볼트(72)를 결합시켜 상방향 이송을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암(51)은 상기 회전기둥(6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횔부(65)는 핸들(66)과 스핀들(67)을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67)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블럭(53)가 결합하여, 핸들(66)을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핀들(67)이 상하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스핀들(67)의 끝단은 상기 커버(30)에 형성된 연결부(37)와 결합하여 상기 핸들(66)을 회전시키면, 상기 커버(30)가 상하로 이송한다.
또한 상기 커버(30)에 부착된 가이드(42)의 반원부(43)는 상기 회전기둥(60)과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되어 서로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30)는 핸들(66) 조작에 따라 회전하지 않으면서, 상기 회전기둥(60)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하로 이송한다.
또한 상기 토글핀(75)은 회전되는 토글(76)을 포함한다. 홀에 삽입 시에는 토글(76)을 편 상태에서 삽입하고, 삽입 후에는 토글(76)을 90도 회전시켜 홀에서 토글핀(75)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몸체(10)에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고정장치(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의 고정구(39)와 결합하여 상기 커버(30)를 추가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 측면에 부착되는 지지부(81)와 상기 지지부(8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볼트(82), 상기 회전볼트(82)에 결합하는 나비너트(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30) 개방 시에는 상기 회전볼트(82)가 상기 고정구(39)와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고, 커버(30) 결합 시에는 상기 회전볼트(82)가 상기 고정구(39)의 형성된 결합홀(40)에 안착되고, 상기 결합홀(40) 주변이 상기 나비너트(83)의 하면과 접촉하여 결합한다.
상기 고정장치(80)는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4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81)와 커버스토퍼(22)와 상기 고정구(39)는 동일 수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용 해치(100)는 오일 탱크를 폐쇄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80)가 상기 커버(30)를 록킹하고, 록킹핀(12)은 상기 핀홀(13)에 각각 결합한다.
또한 상기 핸들(6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커버(30)가 상기 몸체(10)에 강하게 부착된다.
또한 상기 토글핀(75)은 홀드(61)의 홀(62)과 닫힌 상태에서 상기 홀(62)과 대응되는 고정홀(17)에 삽입된 후, 토글(76)이 90도 회전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후 상기 커버(3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장치(80)의 나비너트(8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고정구(39)와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핸들(66)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10) 끝단과 상기 커버(30)가 이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핀홀(13)과 상기 토글핀(75)을 홀에서 분리한 후, 상기 개폐장치(50)를 회전시키면, 도 7과 같이 개방된다.
개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토글핀(75)을 홀드(61)의 홀(62)과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홀(17)에 삽입하고, 토글(76)을 90도로 회전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탱크용 해치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몸체 11: 걸림부
12: 록킹핀 13: 핀홀
15: 상고정부 16: 회전홀
17: 고정홀 18: 브라켓
19: 하고정부 20: 회전홀
21: 핸드그립부 22: 커버스토퍼
30: 커버 31: 상판
32: 외면수직부 33: 내면수직부
34: 밀봉재 35: 보강재
37: 연결부 38: 결합홀
39: 고정구 40: 결합홀
42: 가이드 43: 반원부
50: 개폐장치 51: 베이스암
52: 암 53: 나사블럭
54: 훅 55: 절곡부
60: 회전기둥 61: 홀드
62: 홀 63: 나사부
65: 휠부 66: 핸들
67: 스핀들 71: 부시
72: 볼트 73: 와샤
75: 토글핀 76: 토글
80: 고정장치 81: 지지부
82: 회전볼트 83: 나비너트
100: 오일 탱크용 해치

Claims (14)

  1. 선박용 오일 탱크용 해치에 있어서,
    오일 탱크에 부착되고, 일측면에 복수의 걸림부가 부착되며, 타측면에는 상고정부와 하고정부가 부착되는 원통형상의 몸체;
    원형의 상판, 상기 상판 하면에 부착되는 원통형상의 외면 수직벽, 상기 외면 수직벽 내부에 부착되는 내면 수직벽 및 상기 외면 수직벽과 내면 수직벽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끝단과 상기 밀봉재와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몸체와 결합하는 커버; 및
    상기 상고정부와 하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기둥, 상기 회전기중과 결합하는 베이스암, 상기 베이스암의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부 사이에 배치되는 훅 및 상기 베이스암에 나사결합하고 끝단이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휠부를 포함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용 해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커버를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용 해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 측면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와 상기 각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볼트와 상기 회전볼트에 결합하는 나비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볼트의 끝단은 상기 커버 상면에 부착되는 고정구에 형성된 결합홀에 결합하고, 상기 나비너트는 상기 고정구 상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용 해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고정구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몸체 측면에 부착되어 커버의 하방향 진행을 방지하는 커버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용 해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암은 상기 휠부가 나사결합하는 나사블럭과 상기 나사블럭 양측면에 부착되는 2개의 암을 포함하고, 상기 암 중 하나의 암 끝단에는 상기 회전기둥이 부착되고, 나머지 암의 끝단에는 상기 훅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용 해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둥은 상기 상고정부와 접촉하는 홀드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는 상기 상고정부에 형성된 2개의 고정홀에 대응되는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용 해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의 홀과 대응되는 고정홀에는 토글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용 해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훅은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걸림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는 배치되는 절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핀홀을 포함하고, 상기 핀홀에는 핀이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용 해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 전면에는 핸드그립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용 해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고정부의 하면과 상기 하고정부의 상면과 상기 몸체와 결합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용 해치.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휠부는 핸들과 상기 핸들 중심에 결합하고, 상기 나사블럭과 나사결합하는 스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의 끝단은 상기 커버 상면 중심에 부착되는 연결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용 해치.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둥은 부시를 매개로 의하여 상기 상고정부와 상기 하고정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용 해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상판 하면에 부착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용 해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원형기둥과 결합하여 상기 커버의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탱크용 해치.
KR1020200082581A 2020-07-06 2020-07-06 오일 탱크용 해치 KR102396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581A KR102396410B1 (ko) 2020-07-06 2020-07-06 오일 탱크용 해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581A KR102396410B1 (ko) 2020-07-06 2020-07-06 오일 탱크용 해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135A true KR20220005135A (ko) 2022-01-13
KR102396410B1 KR102396410B1 (ko) 2022-05-10

Family

ID=7934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581A KR102396410B1 (ko) 2020-07-06 2020-07-06 오일 탱크용 해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4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343A (ko) * 2008-11-14 2010-05-25 마용규 선박의 오일탱크용 해치
KR20150039288A (ko) * 2013-10-02 2015-04-10 주식회사 제이비엠 선박의 오일탱크용 해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343A (ko) * 2008-11-14 2010-05-25 마용규 선박의 오일탱크용 해치
KR20150039288A (ko) * 2013-10-02 2015-04-10 주식회사 제이비엠 선박의 오일탱크용 해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410B1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0260B2 (en) Closure for a vessel
CA2917893C (en) Closure for an equipment sub
JPH0144594B2 (ko)
US5184422A (en) Swing away manway assembly
KR102396410B1 (ko) 오일 탱크용 해치
US9346494B2 (en) Pivoting door
CN110002240A (zh) 一种用于桶装物料的密闭卸料系统
US20080121644A1 (en) Tank Cover Hinge Assembly
KR101362098B1 (ko) 폐쇄장치
DE2358186A1 (de) Kastenfoermige laderaumverkleidung fuer lastkraftwagen
US6851452B2 (en) Guide plate
US20120000055A1 (en) Closure for a vessel
KR102169469B1 (ko) 스토퍼 기능이 있는 특장차용 도어 힌지
US4890814A (en) Discharge valve with handle lock
CN1153225C (zh) 锁闭两个可互相连通开孔的双盖闸门
US20210245076A1 (en) Integrated latch/hold-open system for nefco launder covers
KR102205022B1 (ko) 선박용 해치 어셈블리
KR101256020B1 (ko) 탱크의 측면 개폐형 맨홀 뚜껑 작동장치
JP2001348848A (ja) 水門扉
JPH0510034Y2 (ko)
KR102653912B1 (ko) 밀폐공간 작업 및 구조용 클램프
CN216158382U (zh) 一种快开门结构
US4673101A (en) Evacuable chamber enclosing
KR20210058020A (ko) 수밀구역의 cctv 지지용 가동식 해치기구
CN219412370U (zh) 氢氧化钙生产设备检修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