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749A - 광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광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749A
KR20220004749A KR1020217039689A KR20217039689A KR20220004749A KR 20220004749 A KR20220004749 A KR 20220004749A KR 1020217039689 A KR1020217039689 A KR 1020217039689A KR 20217039689 A KR20217039689 A KR 20217039689A KR 20220004749 A KR20220004749 A KR 20220004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port
target site
laser
main bod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야 난조
나오야 이시바시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화-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4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applying laser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61B2018/00029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open
    • A61B2018/0003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open with retur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61B2090/049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against light, e.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2005/002Cooling systems
    • A61N2005/007Cooling systems for cooling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광 치료 장치가, 표적 부위에 대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광원 (8) 과, 본체부 (5) 와, 본체부 (5) 의 측면에 형성된 흡기구 (12) 와, 흡기구 (12) 에 대하여 반대측의 본체부 (5) 의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 (13) 와, 흡기구 (12) 로부터 본체부 (5) 내에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 (14) 를 구비하고, 공기의 분사 방향 (F0) 이, 표적 부위 (T) 에 있어서의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중심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도록 흡기구 (12) 가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광 치료 장치
본 발명은, 광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행 촉진 및 대사 촉진 등, 치료나 치료의 보조 목적으로 생체 조직에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해서, 광 치료 장치가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레이저의 안전 기준 JIS C 6802 에 있어서의 레이저 클래스에 있어서, 클래스 3 이상의 고출력의 광 치료 장치를 재택 의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클래스 1C 의 적합이 필수 요건이 된다.
그런데, 표적 조직인 소정 지점의 피부의 부위나 상태, 및, 피부의 색, 점 및 체모 등의 정도가 상이하면, 동일 출력 그리고 동일 시간의 레이저의 조사여도, 피부에 흡수되는 열 에너지량이 상이하다. 특히, 전신의 피부가 검은 흑색 인종이나 체모가 검고 그리고 진한 사람은, 상대적으로 열 에너지의 흡수량이 커져,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레이저의 조사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냉각 유체, 예를 들어 냉각 공기를 이용하여 레이저의 표적 부위를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를 구비한 광 치료 장치가 공지이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냉각 장치는, 파이프를 통하여 냉각 공기를 분사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72861호
특허문헌 1 에는, 수속 광의 면적보다 약간 넓은 면적에 냉각 공기를 분사한다, 라고 간단히 기재되어 있을 뿐이고, 최적의 분사 방향, 즉 파이프의 각도 등에 대하여 일절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1 에는, 파이프가 핸드 피스에 대하여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 기재되어 있지 않아, 그것이 핸드 피스의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 그것에 의해 분사된 냉각 공기가 받는 영향도 상이하게 된다. 그 결과,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냉각 장치에서는, 표적 부위의 효율적인 냉각이 실시되고 있는지 여부가 의심스럽다.
본 발명은, 표적 부위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장치를 구비한 광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표적 부위에 대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광원과,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에 대하여 반대측의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와,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본체부 내에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 를 구비하고, 공기의 분사 방향이, 표적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레이저의 조사 영역의 중심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흡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배기구가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 근방의 상기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가 상기 배기구보다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공기 공급 장치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팬과, 상기 팬 및 상기 흡기구를 접속하는 덕트를 갖고, 상기 팬이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표적 부위에 대하여 발광하는 발광부와 표적 부위로부터 반사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고, 상기 레이저 광원이 표적 부위에 대하여 소정 거리까지 접근한 것을 검출하는 광학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광학 센서의 발광부 및 수광부가, 상기 흡기구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광학 센서가,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배기구로 직접 향하는 유로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표적 부위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장치를 구비한 광 치료 장치를 제공한다는 공통의 효과를 발휘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광 치료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프로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표적 부위에 있어서의 레이저의 조사 영역을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흐름의 유속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비교예에 의한 공기 흐름의 유속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다른 비교예에 의한 공기 흐름의 유속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또 다른 비교예에 의한 공기 흐름의 유속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체 도면에 걸쳐서,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공통의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광 치료 장치 (1) 의 개략도이고, 도 2 는, 프로브 (3) 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 치료 장치 (1) 는, 제어 장치 (2) 와, 프로브 (3) 와, 제어 장치 (2) 및 프로브 (3)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케이블 (4) 을 가지고 있다. 제어 장치 (2) 는, 1 개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기억부 및 그 주변 회로 등을 가지고 있다. 제어 장치 (2) 는, 미리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프로브 (3) 의 전체적인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그 처리시에, 제어 장치 (2) 는, 후술하는 광학 센서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레이저의 조사 및 정지 그리고 팬의 기동 및 정지 등에 관한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 장치 (2) 는, 입출력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나, 조작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프로브 (3) 는, 원통상의 본체부 (5) 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 (5) 는, 본체부 (5) 내에 있어서 본체부 (5) 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원통상의 가동부 (6) 와, 4 개의 광학 센서 (7) 와, 본체부 (5) 의 내부에 배치된 레이저 광원 (8) 과, 본체부 (5) 의 전면 (前面) 에 형성된 광학 창 (9) 과, 본체부 (5) 내에 배치된 리미트 스위치 (10) 를 가지고 있다. 가동부 (6) 는, 도시되지 않은 탄성 부재에 의해 본체부 (5) 에 대하여 전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가동부 (6) 를 본체부 (5) 와 일체적으로 구성해도 된다. 레이저 광원 (8) 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는, 광학 창 (9) 을 통과하여, 가동부 (6) 의 전단면에 형성된 개구 (11) 를 통하여 표적 부위 (T) 에 조사된다. 레이저가 조사된 표적 부위 (T) 의 표면의 부분을,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이라고 한다 (도 2(B)).
본체부 (5) 의 측면, 구체적으로는 가동부 (6) 의 측면에는, 흡기구 (12) 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 (12) 에 대하여 반대측의 본체부 (5) 의 측면, 구체적으로는 가동부 (6) 의 측면에는, 배기구 (13) 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 (13) 는, 본체부 (5) 의 전단부 근방, 구체적으로는 가동부 (6) 의 전단부 근방의 측면에 형성되고, 흡기구 (12) 가 배기구 (13) 보다 전단부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프로브 (3) 는, 흡기구 (12) 로부터 본체부 (5) 내에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 (14) 를 가지고 있다. 공기 공급 장치 (14) 는, 본체부 (5) 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팬 (15) 과, 팬 (15) 및 흡기구 (12) 를 접속하는 덕트 (16) 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팬 (15) 의 회전에 의해 도입된 공기는, 덕트 (16) 를 통하여 흡기구 (12) 로 유도된다. 또한, 덕트 (16) 는, 본체부 (5) 내에 있어서의 가동부 (6) 의 축선 방향을 따른 이동, 즉 흡기구 (12) 의 이동에 따라 자유롭게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팬 (15) 은, 본체부 (5) 의 측면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러한 공기 흐름이 생성되도록, 팬 (15) 의 날개 형상 및 팬 (15) 의 회전 방향이 결정된다. 본체부 (5) 의 측면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의 공기 흐름에 의해, 본체부 (5) 의 표면으로부터 열을 빼앗아, 본체부 (5), 나아가서는 프로브 (3) 전체를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광학 센서 (7) 및 리미트 스위치 (10) 는, 프로브 (3) 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4 개의 광학 센서 (7) 는, 사용시에, 표적 부위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학 센서 (7) 및 리미트 스위치 (10) 는, 가동부 (6) 의 이동 및 레이저 광원 (8) 에 의한 레이저의 조사를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4 개의 광학 센서 (7) 는, 본체부 (5) 의 내부, 구체적으로는 가동부 (6) 의 전단부 내에 있어서,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광학 센서 (7) 는 모두, 흡기구 (12) 로부터 배기구 (13) 로 직접 향하는 공기의 유로로부터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광학 센서 (7) 는 어느 것도, 흡기구 (12) 와 배기구 (13) 를 직접 연결하는 것과 같은 가상적인 유로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 그것에 의해, 광학 센서 (7) 는, 공기 흐름 (F) 을 크게 저해하는 경우는 없다. 광 치료 장치 (1) 는, 1 개, 2 개 또는 3 개의 광학 센서 (7) 를 갖도록 해도 되고, 5 개 이상의 광학 센서 (7) 를 갖도록 해도 된다. 광 치료 장치 (1) 가 복수의 광학 센서 (7) 를 갖는 경우, 복수의 광학 센서 (7) 는,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개 또는 복수의 광학 센서 (7) 의 각각은, 검출부이며, 전체적으로, 표적 부위 (T) 까지의 거리를 검출하여 거리에 따른 거리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 검출부를 구성한다. 출력된 거리 신호는, 제어 장치 (2) 에 의해 검출된다. 광학 센서 (7) 는, 표적 부위 (T) 에 대하여 발광하는, 도시되지 않은 발광부와, 표적 부위 (T) 로부터 반사한 광을 수광하는, 도시되지 않은 수광부를 갖는다. 광학 센서 (7) 는, 표적 부위 (T) 와의 거리를, 수광부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 강도의 변위로 평가한다. 거리 신호에 의해, 예를 들어 레이저 광원 (8) 으로부터 표적 부위 (T) 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거리 검출부는, 표적 부위 (T) 까지의 거리를 검출하여 거리에 따른 거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다른 센서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광학 센서 (7) 가 흡기구 (12) 로부터 배기구 (13) 로 직접 향하는 공기의 유로로부터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지만, 광학 센서 (7) 의 발광부 및 수광부는, 흡기구 (12) 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공기 흐름에 의해, 광학 센서 (7) 의 발광부 및 수광부의 표면에 부착된 티끌이나 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광학 센서 (7) 를 항상 정상적으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레이저의 안전 기준 JIS C 6802 에 있어서의 레이저 클래스에 있어서, 클래스 3 이상의 고출력의 레이저 광원 (8) 을 탑재한 광 치료 장치 (1) 를 재택 의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광 치료 장치 (1) 는 클래스 1C 에 적합할 필요가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밖의 기준 등으로 재택 의료에 적합한 레이저 광원 (8) 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A) 는, 프로브 (3) 를, 생체의 표적 조직, 즉 표적 부위 (T) 에 가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 는, 프로브 (3) 를 표적 부위 (T) 에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체부 (5), 즉 가동부 (6) 의 전단부는, 생체의 표적 조직, 즉 표적 부위 (T) 에 맞닿는다. 도 2(A) 에 나타난 상태로부터, 프로브 (3) 를 표적 부위 (T) 에 가압하면, 가동부 (6) 가 후퇴하고, 리미트 스위치 (10) 가 ON 이 된다 (도 2(B)). 즉, 리미트 스위치 (10) 는, 레이저 광원 (8) 이 표적 부위 (T) 에 대하여 소정 거리까지 접근한 것을 검출하여 근접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 검출부를 구성한다. 출력된 근접 신호는, 제어 장치 (2) 에 의해 검출된다. 한편, 프로브 (3) 의 표적 부위 (T) 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가동부 (6) 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후퇴하고, 리미트 스위치 (10) 가 OFF 가 된다 (도 2(A)).
광 치료 장치 (1) 에서는, 리미트 스위치 (10) 가 ON 이 되는 것에 의해 출력된 근접 신호가 검출되면, 제어 장치 (2) 에 의해 표적 부위 (T) 에 대하여 레이저 광원 (8) 에 의한 레이저의 조사가 허가되고, 레이저의 조사가 실시된다. 이 때, 4 개의 광학 센서 (7) 모두로부터, 소정 거리에 근접한 것을 나타내는 거리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레이저의 조사가 실시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레이저의 조사 및 정지에 따라, 팬의 기동 및 정지가 실시되도록 해도 된다. 그것에 의해, 레이저의 조사가 이루어졌을 때에만 표적 부위 (T) 를 냉각시킬 수 있어, 불필요하게 표적 부위 (T) 를 냉각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 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모델을 제작하여 유체 해석을 실시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표적 부위 (T) 에 있어서의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을 바로 위에서 본 도면이다. 조사 영역 (A) 은, 레이저 광원 (8) 의 구성, 또는, 레이저가 도시되지 않은 렌즈를 통하는 것에 의해, 마름모꼴로 형성된다. 도 3 에 있어서, 우측이 흡기구 (12) 측이고, 좌측이 배기구 (13) 측이다. 따라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 (F) 이 형성된다. 도 3 에 있어서, 조사 영역 (A) 을 나타내는 마름모꼴이, 실선 및 파선에 의해 나타난 2 개의 삼각형으로서, 상하로 분할되어 있다. 즉, 마름모꼴은,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 (F) 을 따라 상하로 분할되어 있다.
상하의 삼각형에 있어서의 유속 분포는 선 대칭이 되는 것으로부터, 도 4 내지 도 7 에서는, 조사 영역 (A) 의 분할된 일방의 삼각형에 주목하여, 공기 흐름 (F) 의 유속 분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그레이 스케일의 농담의 차이에 의해, 유속이 빠른 영역일수록 농담이 진하게 나타나고, 유속이 느린 영역일수록 농담이 하얗게 나타나 있다. 따라서, 검은 영역이 가장 유속이 빠른 것을 나타내고, 흰 영역이 가장 유속이 느린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가능한 한 조사 영역 (A) 의 전체면을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부터, 삼각형으로 나타낸 부분에 있어서, 보다 넓은 면적에 대하여 농담이 보다 진할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내지 도 7 에 있어서, 공기 공급 장치 (14) 에 의해 공급된 공기가, 흡기구 (12) 로부터 본체부 (5) 내에 분사될 때의 공기 흐름 (F) 의 방향을, 분사 방향 (F0) 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분사 방향 (F0) 은, 흡기구 (12) 에 있어서 가장 유속이 빠른 공기 흐름이 본체부 (5) 내에 분사될 때의 방향으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흐름 (F) 의 유속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는, 프로브 (3) 의 전단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4(b) 는,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절반의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 에 있어서, 우측이 흡기구 (12) 측이고, 좌측이 배기구 (13) 측이다.
도 4(a)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흡기구 (12) 는, 공기의 분사 방향 (F0) 이, 표적 부위 (T) 에 있어서의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에 대하여 전방측, 즉 흡기구 (12) 쪽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기구 (13) 는, 본체부 (5) 의 전단부 근방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 (12) 는, 배기구 (13) 보다 본체부 (5) 의 전단부로부터 이간된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4(a) 를 참조하면, 표적 부위 (T) 의 표면인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의 주변이 보다 진하게 나타나 있다. 도 4(b) 를 참조하면, 배기구 (13) 근방으로부터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에 걸쳐 그리고 분사 방향 (F0) 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폭넓게 진하게 나타나 있다. 특히, 도 4(a)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분사 방향 (F0) 을 따른 방향뿐만 아니라, 중심 (C) 을 초과하도록 분사 방향 (F0) 으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방향도 진하게 나타나 있는 것으로부터, 본체부 (5) 의 전단부 내부의 전체를 공기 흐름 (F) 이 고르게 널리 퍼져 있다. 따라서, 도 4 에 나타난 실시예에 의하면,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즉 표적 부위 (T) 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의 분사 방향 (F0) 대신에, 흡기구 (12) 또는 덕트 (16) 의 형상으로 공기 흐름 (F) 을 규정해도 된다. 즉, 도 4(a)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흡기구 (12) 의 중심 및 레이저의 조사 영역의 중심 (C) 을 통과하는 종단면에 있어서, 흡기구 (12) 근방의 덕트 (16) 상부에 있어서의 제 1 연장선 (16a) 과, 흡기구 (12) 근방의 덕트 (16) 하부에 있어서의 제 2 연장선 (16b) 을 규정한다. 이 때, 도 4(a)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연장선 (16a) 및 제 2 연장선 (16b) 모두가, 표적 부위에 있어서의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의 전방을 통과하도록 구성한다. 그것에 의해, 공기의 분사 방향 (F0) 대신에, 제 1 연장선 (16a) 및 제 2 연장선 (16b) 에 의해,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즉 표적 부위 (T) 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구성을 규정할 수 있다.
도 5 는, 비교예에 의한 공기 흐름 (F) 의 유속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는, 프로브 (3) 의 전단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5(b) 는,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절반의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 에 있어서, 우측이 흡기구 (12) 측이고, 좌측이 배기구 (13) 측이다.
도 5(a)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흡기구 (12) 는, 공기의 분사 방향 (F0) 이, 표적 부위 (T) 에 있어서의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을 직접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기구 (13) 는, 본체부 (5) 의 전단부 근방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 (12) 는, 배기구 (13) 보다 본체부 (5) 의 전단부로부터 이간된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연장선 (16a) 은, 표적 부위에 있어서,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을 통과하고, 제 2 연장선 (16b) 은,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의 전방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연장선 (16a) 및 제 2 연장선 (16b) 의 양방이, 표적 부위에 있어서의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의 전방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는 않다.
도 5(a) 및 도 5(b) 를 참조하면, 도 4 에 나타난 실시예와 비교하여 진하게 나타나 있는 영역이 적고 또한 그 농도도 옅다. 특히, 배기구 (13) 근방이 비교적 진하게 나타나 있는 것으로부터, 분사 방향 (F0) 이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을 향하고 있으면, 공기 흐름 (F) 이 직접 배기구 (13) 를 향하게 되어, 조사 영역 (A) 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없다.
도 6 은, 다른 비교예에 의한 공기 흐름 (F) 의 유속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는, 프로브 (3) 의 전단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6(b) 는,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절반의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 에 있어서, 우측이 흡기구 (12) 측이고, 좌측이 배기구 (13) 측이다.
도 6(a)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흡기구 (12) 는, 공기의 분사 방향 (F0) 이, 표적 부위 (T) 에 있어서의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에 대하여 안쪽, 즉 배기구 (13) 쪽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기구 (13) 는, 본체부 (5) 의 전단부 근방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 (12) 는, 배기구 (13) 보다 본체부 (5) 의 전단부로부터 이간된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연장선 (16a) 및 제 2 연장선 (16b) 의 양방이, 표적 부위에 있어서,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연장선 (16a) 및 제 2 연장선 (16b) 의 양방이, 표적 부위에 있어서의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의 전방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는 않다.
도 6(a) 및 도 6(b) 를 참조하면, 도 4 에 나타난 실시예와 비교하여 진하게 나타나 있는 영역이 적고 또한 그 농도도 옅다. 특히, 배기구 (13) 근방이 비교적 진하게 나타나 있는 것으로부터, 분사 방향 (F0) 이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의 안쪽을 향하고 있으면, 공기 흐름 (F) 이 직접 배기구 (13) 를 향하게 되어, 조사 영역 (A) 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없다.
도 7 은, 또 다른 비교예에 의한 공기 흐름 (F) 의 유속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는, 프로브 (3) 의 전단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7(b) 는,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절반의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 에 있어서, 우측이 흡기구 (12) 측이고, 좌측이 배기구 (13) 측이다.
도 7(a)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흡기구 (12) 는, 공기의 분사 방향 (F0) 이, 표적 부위 (T) 에 있어서의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에 대하여 안쪽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기구 (13) 는, 본체부 (5) 의 전단부로부터 이간된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 (12) 는, 배기구 (13) 와 동일한 정도로 본체부 (5) 의 전단부로부터 이간된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연장선 (16a) 및 제 2 연장선 (16b) 의 양방이, 표적 부위에 있어서,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연장선 (16a) 및 제 2 연장선 (16b) 의 양방이, 표적 부위에 있어서의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의 전방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는 않다.
도 7(a) 및 도 7(b) 를 참조하면, 도 4 에 나타난 실시예와 비교하여 진하게 나타나 있는 영역이 거의 없다. 분사 방향 (F0) 이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의 안쪽을 향하고 있고 또한 배기구 (13) 이 본체부 (5) 의 전단부로부터 이간된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공기 흐름 (F) 이 직접 배기구 (13) 를 향하게 되어, 조사 영역 (A) 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없다.
도 4 를 참조하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공기의 분사 방향 (F0) 이, 표적 부위 (T) 에 있어서의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도록 흡기구 (12) 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표적 부위 (T) 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공기의 분사 방향 (F0) 이 레이저의 조사 영역 (A) 의 중심 (C) 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도록 흡기구 (12) 를 구성할 때에, 표적 부위 (T) 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흡기구 (12) 의 크기 및 형상이나 흡기구 (12) 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의 유속 등에 따라, 연직 방향에 대한 분사 방향 (F0) 의 각도, 즉 흡기구 (12) 또는 흡기구 (12) 근방의 덕트 (16) 의 각도가 결정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공기 공급 장치 (14) 는, 프로브 (3) 의 본체부 (5) 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팬 (15) 에 의해 공기를 공급했지만, 프로브 (3) 와는 별도로 형성된 컴프레서 등에 의해 공기를 공급해도 된다.
1 ; 광 치료 장치
2 ; 제어 장치
3 ; 프로브
4 ; 케이블
5 ; 본체부
6 ; 가동부
7 ; 광학 센서
8 ; 레이저 광원
9 ; 광학 창
10 ; 리미트 스위치
11 ; 개구
12 ; 흡기구
13 ; 배기구
14 ; 공기 공급 장치
15 ; 팬
16 ; 덕트
T ; 표적 부위
A ; 조사 영역

Claims (6)

  1. 표적 부위에 대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광원과,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에 대하여 반대측의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와,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본체부 내에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장치, 를 구비하고,
    공기의 분사 방향이, 표적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레이저의 조사 영역의 중심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흡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치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가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 근방의 상기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가 상기 배기구보다 상기 본체부의 전단부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광 치료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장치가 상기 흡기구에 접속된 덕트를 갖고, 상기 흡기구의 중심 및 상기 레이저의 조사 영역의 중심을 통과하는 종단면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 근방의 상기 덕트 상부에 있어서의 제 1 연장선과, 상기 흡기구 근방의 상기 덕트 하부에 있어서의 제 2 연장선을 규정했을 때, 상기 제 1 연장선 및 상기 제 2 연장선이, 표적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레이저의 조사 영역의 상기 중심의 전방을 통과하는 광 치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장치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팬을 갖고, 상기 덕트가, 상기 팬 및 상기 흡기구를 접속하고, 상기 팬이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광 치료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적 부위에 대하여 발광하는 발광부와 표적 부위로부터 반사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고, 상기 레이저 광원이 표적 부위에 대하여 소정 거리까지 접근한 것을 검출하는 광학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광학 센서의 발광부 및 수광부가, 상기 흡기구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광 치료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센서가,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배기구로 직접 향하는 유로로부터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는 광 치료 장치.
KR1020217039689A 2019-12-23 2020-12-22 광 치료 장치 KR202200047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31711 2019-12-23
JPJP-P-2019-231711 2019-12-23
PCT/JP2020/048017 WO2021132271A1 (ja) 2019-12-23 2020-12-22 光治療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749A true KR20220004749A (ko) 2022-01-11

Family

ID=7657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689A KR20220004749A (ko) 2019-12-23 2020-12-22 광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66053A1 (ko)
EP (1) EP4082464A4 (ko)
JP (1) JPWO2021132271A1 (ko)
KR (1) KR20220004749A (ko)
CN (1) CN114786766A (ko)
CA (1) CA3148961C (ko)
WO (1) WO20211322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577A1 (ja) * 2022-06-13 2023-12-21 帝人ファーマ株式会社 光治療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861A (ja) 2001-03-16 2002-09-24 Terabyt:Kk 光エネルギー水虫治療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4418A (en) * 1991-12-12 1994-09-06 Shahriar Ghaffari Optical system for treatment of vascular lesions
US6402739B1 (en) * 1998-12-08 2002-06-11 Y-Beam Technologies, Inc. Energy application with cooling
US6638272B2 (en) * 2001-06-04 2003-10-28 Cynosure, Inc Cooling delivery guide attachment for a laser scanner apparatus
US6918905B2 (en) * 2002-03-21 2005-07-19 Ceramoptec Industries, Inc. Monolithic irradiation handpiece
AU2009228200A1 (en) * 2008-03-27 2009-10-01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rface cooling
US20100121418A1 (en) * 2008-11-13 2010-05-13 Dae Sic Lee Skin cooling system
KR101818144B1 (ko) * 2017-07-12 2018-01-12 스페클립스 주식회사 레이저 장치 및 이 레이저 장치에서의 레이저 출력 제어 방법
KR102144930B1 (ko) * 2018-03-09 2020-08-14 (주)라메디텍 레이저 채혈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861A (ja) 2001-03-16 2002-09-24 Terabyt:Kk 光エネルギー水虫治療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82464A1 (en) 2022-11-02
CN114786766A (zh) 2022-07-22
CA3148961C (en) 2024-04-23
WO2021132271A1 (ja) 2021-07-01
JPWO2021132271A1 (ko) 2021-07-01
CA3148961A1 (en) 2021-07-01
US20220266053A1 (en) 2022-08-25
EP4082464A4 (en)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1521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human or animal tissue by light
RU2651542C2 (ru) Аппарат для обработки кожи
JP2009028267A (ja) 光照射美容器具
JP5220757B2 (ja) 皮膚トリートメント装置
US11497928B2 (en) Laser therapy device and method of use
JP2020003262A5 (ko)
JP2007520285A5 (ko)
JP2014509228A5 (ko)
ES2368336T3 (es) Manipulación del crecimiento del pelo.
KR20220004749A (ko) 광 치료 장치
KR102521068B1 (ko) 피부 미용 장치
US9220564B2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delivery apparatus
CN216653151U (zh) 激光治疗仪
CN106039593B (zh) 基于组织血氧检测的激光照射系统
KR102266349B1 (ko) 동물 실험용 융합 이미징 시스템 및 방법
KR101654719B1 (ko) 체감 유도형 포셋 및 체감 유도형 포셋의 급수 방법
JP2009240395A (ja) 発毛調節光照射装置
WO2023243577A1 (ja) 光治療装置
JP2005102930A (ja) 皮膚血流改善用光照射装置
KR20220004173A (ko) 광 치료 장치 및 광 치료 장치의 작동 방법
WO2019130465A1 (ja) 外科処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