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704A - 분절 와이어 안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분절 와이어 안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4704A KR20220004704A KR1020217038780A KR20217038780A KR20220004704A KR 20220004704 A KR20220004704 A KR 20220004704A KR 1020217038780 A KR1020217038780 A KR 1020217038780A KR 20217038780 A KR20217038780 A KR 20217038780A KR 20220004704 A KR20220004704 A KR 202200047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wire guide
- depression
- pulley
- distal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2—Constructional details of control elements, e.g. 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66—Proximal part of endoscope body, e.g. 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mea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e.g. by using a sanitary shea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8—Articul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61B1/2676—Bronchosco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7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pper alimentary canal, e.g. oesophagoscopes, gastroscopes
- A61B1/2736—Gastrosco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rinary organs, e.g. urethroscopes, cystosco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ctum, e.g. proctoscopes, sigmoidoscopes, colonosco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36—Handl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23—Cables or r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의료 장치의 조향 조립체는, 함몰부 그리고 함몰부 내에 배치된 제1 및 제2 와이어 안내부를 갖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와이어 안내부의 적어도 하나가 함몰부에 대해서 키 결합될(keyed)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또는 제2 와이어 안내부가 함몰부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 세그먼트는 조향 조립체에 커플링된 외피를 제1 및 제2 방향으로 조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와이어 세그먼트는 제1 와이어 안내부와 제2 와이어 안내부 사이의 제1 갭을 통과할 수 있다. 제2 와이어 세그먼트는 제1 와이어 안내부와 제2 와이어 안내부 사이의 제2 갭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갭 중 어느 것도 어떠한 중첩 공간도 점유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원은,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2019년 5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841,290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한다.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내시경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를 위한 조향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개시 내용은 분절 와이어 안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의 핸들은, 서로 분리되어 유지되는 다수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조향 구성요소)를 수용한다. 그러한 구성요소를 핸들 내에 배치하는 것은, 체인 또는 유사 구성요소의 이용을 포함한다. 그러한 구성요소는, 부품 비용 및 조립 비용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조 비용을 높이고, 그에 따라 이들은 일회용 장치의 생산에서 이용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그에 따라, 내시경 또는 다른 의료 장치의 단순하고 비용-효과적인 조향 조립체가 필요하다.
일 예에서, 의료 장치의 조향 조립체는, 함몰부(recess) 그리고 함몰부 내에 배치된 제1 및 제2 와이어 안내부를 갖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와이어 안내부의 적어도 하나가 함몰부에 대해서 키 결합될(keyed)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또는 제2 와이어 안내부가 함몰부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 세그먼트(wire segment)는 조향 조립체에 커플링된 외피(sheath)를 제1 및 제2 방향으로 조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와이어 세그먼트는 제1 와이어 안내부와 제2 와이어 안내부 사이의 제1 갭을 통과할 수 있다. 제2 와이어 세그먼트는 제1 와이어 안내부와 제2 와이어 안내부 사이의 제2 갭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갭 중 어느 것도 어떠한 중첩 공간도 점유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조향 조립체의 임의의 예가 이하의 특징 중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조향 조립체는 제3 와이어 안내부, 그리고 외피를 제3 및 제4 방향으로 조향하도록 구성된 제3 및 제4 와이어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와이어 세그먼트는 제2 와이어 안내부와 제3 와이어 안내부 사이의 제3 갭을 통과할 수 있다. 제4 와이어는 제2 와이어 안내부와 제3 와이어 안내부 사이의 제4 갭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갭 및 제2 갭은 서로 오프셋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 세그먼트는 조향 조립체에 커플링된 외피의 좌측/우측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와이어 세그먼트는 조향 조립체에 커플링된 외피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갭 중 어느 것도 어떠한 중첩 공간도 점유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와이어 안내부는 제1 굴대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제1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와이어 안내부는 제2 굴대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와이어 안내부는 제3 굴대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제3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개구부의 각각이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 안내부의 각각이 함몰부 내로 키 결합되어, 함몰부 내에 배치될 때, 함몰부에 대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와이어 안내부의 각각이 함몰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와이어 안내부의 각각이 함몰부 내로 키 결합되어, 함몰부 내에 배치될 때, 함몰부에 대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향 조립체는 제1 및 제2 와이어 세그먼트에 커플링된 제1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풀리는 제1 와이어 안내부 및 제2 와이어 안내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풀리는 제3 및 제4 와이어 세그먼트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제2 풀리는 제2 와이어 안내부 및 제3 와이어 안내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풀리의 두께가 제1 및 제2 갭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풀리의 두께가 제3 및 제4 갭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와이어 안내부는, 제1 및 제2 갭의 제1 부분을 각각 형성하는 제1 및 제2 오프셋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와이어 안내부는, 제1 및 제2 갭의 제2 부분을 각각 형성하는 제3 및 제4 오프셋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와이어 안내부는, 제1 오프셋 표면으로부터 제2 오프셋 표면까지 연장되는 제1 단차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와이어 안내부는, 제3 오프셋 표면으로부터 제4 오프셋 표면까지 연장되는 제2 단차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차 표면은 제1 및 제2 갭의 제3 부분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에서, 의료 장치의 조향 조립체는 핸들, 그리고 핸들 내에 배치된 제1, 제2, 및 제3 와이어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제3 와이어 안내부의 적어도 하나가 굴대에 의해서 구속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 세그먼트는 제1 및 제2 방향을 따른 핸들에 커플링된 외피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3 및 제4 와이어 세그먼트는 제3 및 제4 방향을 따른 외피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와이어 세그먼트는 제1 와이어 안내부와 제2 와이어 안내부 사이의 제1 갭을 통과할 수 있다. 제2 와이어 세그먼트는 제1 와이어 안내부와 제2 와이어 안내부 사이의 제2 갭을 통과할 수 있다. 제3 와이어 세그먼트는 제2 와이어 안내부와 제3 와이어 안내부 사이의 제3 갭을 통과할 수 있다. 제4 와이어 세그먼트는 제2 와이어 안내부와 제3 와이어 안내부 사이의 제4 갭을 통과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조향 조립체의 임의의 예가 이하의 특징 중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갭 중 어느 것도 어떠한 중첩 공간도 점유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갭 및 제2 갭은 서로 오프셋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의료 장치의 조향 조립체는 핸들 내에 배치된 제1, 제2, 및 제3 와이어 안내부, 및 제1 및 제2 와이어를 가지는 제1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풀리는 제1 와이어 안내부와 제2 와이어 안내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풀리는 제3 및 제4 와이어를 가질 수 있다. 제2 풀리는 제2 와이어 안내부와 제3 와이어 안내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와이어 안내부 그리고 제1 및 제2 풀리가 서로에 대해서 적층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제2, 제3, 및 제4 와이어 세그먼트를 분리된 격실들 내에서 완전히 수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조향 조립체의 임의의 예가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은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와이어 안내부의 각각이 함몰부 내로 키 결합되어, 함몰부 내에 수용될 때, 함몰부에 대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 모두가 단지 예시적 및 설명적인 것이고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포함한다", "포함하는"이라는 용어, 또는 그 임의의 다른 변형된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기 위한 것이고, 그에 따라 요소의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기구는 이러한 요소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고,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기구에 대해서 명백하게 나열되지 않거나 내재되지 않은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이라는 용어는 "이상적"이 아니라 "예"의 의미로 본원에서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근위"라는 용어는 조작자에 더 가까운 방향을 의미하고, "원위"라는 용어는 조작자로부터 더 먼 방향을 의미한다. 비록 본원에서 내시경을 언급하지만, 내시경 또는 내시경술에 대한 언급이 개시된 핸들 및 다른 양태의 가능한 적용예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개시된 양태는 십이지장경, 기관지경, 요관경, 결장경, 카테터, 진단 또는 치료 도구 또는 장치, 또는 다른 유형의 의료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개시 내용의 예를 묘사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개시 내용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a는 의료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의 의료 장치의 핸들 구성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a의 의료 장치의 일부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a의 의료 장치의 부분-조립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제1 와이어 안내부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a의 의료 장치의 부분-조립 상태의 핸들 구성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제2 와이어 안내부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a의 의료 장치의 부분-조립 상태의 핸들 구성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3 와이어 안내부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1a의 의료 장치의 부분-조립 상태의 핸들 구성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a는 의료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의 의료 장치의 핸들 구성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a의 의료 장치의 일부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a의 의료 장치의 부분-조립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제1 와이어 안내부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a의 의료 장치의 부분-조립 상태의 핸들 구성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제2 와이어 안내부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a의 의료 장치의 부분-조립 상태의 핸들 구성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3 와이어 안내부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1a의 의료 장치의 부분-조립 상태의 핸들 구성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내시경의 핸들(예를 들어, 내시경의 동작 부분)은, 내시경으로 시술을 수행할 때 조작자에 의해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시경의 핸들은, 내시경의 외피의 원위 단부를 편향시키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조향 구성요소 또는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향 구성요소 또는 조립체는, 예를 들어, 풀리, 드럼, 및/또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조립체의 와이어는 핸들(예를 들어, 핸들)로부터 원위적으로, 내시경의 외피(예를 들어, 삽입 부분) 내로, 그리고 외피의 원위 단부를 향해서 외피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와이어는 외피의 원위 단부를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피는, 다양한 방향(예를 들어, 90 내지 360도의 이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분절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외피는, 외피의 원위 단부의 이동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메커니즘 또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외피의 원위 단부를 효과적으로 편향시키기 위해서, 조향 조립체의 와이어들이 서로 교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또한, 드럼 및/또는 풀리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것 그리고 드럼 및/또는 풀리의 제어를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저렴한 및/또는 조립이 더 용이한 구성요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개시 내용의 양태는, 와이어, 드럼 및/또는 풀리를 내시경 내에 배치하고 수용하기 위한 와이어 안내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장치(10)를 도시한다. 장치(10)는 내시경, 십이지장경, 기관지경, 요관경, 결장경, 카테터 또는 다른 유형의 의료 장치일 수 있다. 장치(10)는 핸들(12)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12)은, 전체 개시 내용이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대리인 문서 번호가 06530-0876-00600이고 명칭이 "Chambered Handle for a Medical Device"인, 동시에-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에서 설명된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장치(10)는 또한, 의료 시술 중에 대상의 신체 루멘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외피(14) 또는 다른 유형의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14)의 근위 단부는 핸들(12)에 결합될 수 있다. 외피(14)는 원위 단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원위 선단부(18)가 원위 단부(16)의 최원위 특징부일 수 있다. 원위 선단부(18)는 다양한 구성요소, 예를 들어 상승부, 공기/물/흡입 개구부, 작업 채널 개구부(들), 광학적 요소(예를 들어, 카메라 및/또는 렌즈), 조명 장치(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절 섹션(20)이 원위 선단부(18)에 근접할 수 있다. 분절 섹션(20)은, 하나 이상의 방향(예를 들어, 장치(10)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위쪽, 아래쪽, 왼쪽 및/또는 오른쪽 방향)을 따른 원위 단부(16)의 편향을 촉진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제공부(umbilicus)(24)가 핸들(1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공부(24)를 이용하여 장치(10)를 구성요소, 예를 들어 (카메라, 비디오, 조명을 포함하는 광학적 제어, 또는 다른 광학적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기, 공기 및/또는 물 공급부 및/또는 흡입 공급부에 연결할 수 있다.
핸들(12)은, 장치(10)와 관련된 시술 이전에, 도중에, 또는 이후에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해서 조작자에 의해서 이용되는 많은 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12)은 조향 구성요소(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구성요소(30)는 분절 섹션(20)의 편향을 제어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조향 구성요소(30)는,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조향 조립체(100)(도 2 참조)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구성요소(30)는, 외피(14)의 원위 단부(16)를 편향시키기 위해서 이용되는 2개의 노브(knob)(32, 3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브(32, 34)의 하나를 이용하여 외피(14)의 원위 단부(16)를 좌측/우측 방향으로 편향시킬 수 있고, 노브(32, 34)의 다른 하나를 이용하여 외피(14)의 원위 단부(16)를 상/하 방향으로 편향시킬 수 있다. 조향 구성요소(30)는, 록킹 위치(locking position)에 있을 때 원위 단부(16)가 좌측/우측 및/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 또는 제한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록킹 메커니즘(36, 3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록킹 메커니즘(36)은, 노브(32)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에 의해서 원위 단부(16)가 좌측/우측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노브일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38)은, 노브(34)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에 의해서 원위 단부(16)가 상/하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레버일 수 있다. 임의의 다른 적합한 특징부를 이용하여 노브(32, 34)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핸들(12)은 또한 많은 수의 포트 및/또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12)은, 기구 또는 다른 장치를 외피(14)의 작업 채널 아래로 전달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작업 채널 포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 채널 포트(40)는 포트 하우징(4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포트(40)는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12)은 또한 유체 구성요소, 예를 들어 공기, 물 및/또는 흡입을 제공하기 위한 밸브(52)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52, 54)를 누를 때 상응 기능이 가능하도록, 밸브(52)가 제공부(24), 핸들(12), 및/또는 외피(14) 내의 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52)의 하나를 이용하여 공기 및/또는 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밸브(52)를 이용하여 흡입을 제공할 수 있고, 작업 채널 포트(40)로부터 연장되는 작업 채널에 연결될 수 있다.
핸들(12)은 또한, 외피(14)의 원위 선단부(18)에 위치되는 상승부(미도시)를 위쪽 및/또는 아래쪽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상승부 레버(6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가 십이지장경인 경우에, 상승부 레버(60)가 포함될 수 있다.
장치(10)의 길이방향 축은 핸들(12) 및 외피(14)를 따라서 연장되는 축이고, 길이방향은 길이방향 축을 따른 방향이다. 반경방향은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방향이다.
도 1b는, 장치(10)의 동작을 위해서 이용되는 많은 구성요소가 설치되지 않은, 핸들(12)의 본체(70)를 도시한다. 본체(70)는 제1 함몰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함몰부(80)는, 제1 함몰부(80)의 전부가 아닌 일부를 둘러싸는 벽(82)을 가질 수 있다. 제1 함몰부(80)는, 제1 함몰부(80)의 원위 단부에서 그리고 본체(70)의 외부 측면에서 개방될 수 있다. 제1 함몰부(80)는, 반원형 또는 u-형상일 수 있는, 둥근 최근위 측면 또는 단부(84)를 가질 수 있다. 제1 함몰부(80)의 (하단 표면일 수 있는) 내부 표면(83)이 개방 원위 단부로부터, 개방 외부 측면에 대향되는, 둥근 최근위 단부(84)까지 연장될 수 있다. 내부 표면(83)은 본체(70) 및/또는 장치(10)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거나 대략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함몰부(80)는 개방 원위 단부와 둥근 최근위 측면(84) 사이에서 연장되는 2개의 측방향 표면(86)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외측 방향은 내부 표면(83)으로부터 제1 함몰부(80)의 개방 외부 측면을 통해서 연장되는 방향이고, 내측 방향은 반대 방향이다. 대안적으로, 제1 함몰부(80)는, 제1 함몰부(80)의 다른 하위 세트(subset)를 둘러싸는 벽(82)을 가질 수 있다. 제1 함몰부(80)는, 제1 함몰부(80)의 개방 외부 측면에 대해서 제1 함몰부(80)보다 더 깊게 함몰될 수 있는 제2 함몰부(8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함몰부(88)는 내부 표면(83)으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벽(82)은, 주 본체(70)의 반경방향을 따라서 측정될 때, 균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거나 가변적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융기부(90)가 제1 함몰부(80)의 둘레의 일부 주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융기부(90)는 제1 함몰부(80)의 곡선형의 최근위 측면(84) 주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융기부(90)는 또한 제1 함몰부(80)의 측방향 표면(86)의 일부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융기부(90)는, 제공부(24)에 더 근접한 제1 함몰부(80)의 직선형 측면의 일부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조향 조립체(100)가 핸들(12) 내에 피팅(fit)될 수 있거나, 그 위에 배치될 수 있거나, 달리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조향 조립체(100)는 제1 함몰부(8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케이블 조향 조립체(100)는,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굴대를 포함할 수 있는 굴대 조립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조향 조립체는 또한, 외피(14)의 원위 단부(16)의 편향을 실시하기 위한 2개의 와이어(122, 124)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22, 124)의 쌍은 2개의 분리된 와이어를 각각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와이어는 페룰(ferrule) 내에서 각각 종료될 수 있고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풀리 내의 슬롯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와이어(122, 124)의 쌍은, 스풀 또는 풀리 주위에서 루프화된 하나의 단일 와이어로 형성된 와이어 세그먼트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122)의 쌍은 좌측/우측 방향과 같은 하나의 방향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와이어(124)의 쌍은 상/하 방향과 같은 다른 방향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와이어(122, 124)의 쌍의 구성은 단지 예시적이다. 대안적인 구조물이 이용될 수 있고, 외피(14)의 원위 단부(16)를 편향시키기 위한 다른 유형의 메커니즘을 위해서 와이어(122, 124)의 쌍이 생략될 수 있다.
제1 와이어(122)의 쌍은 제1 와이어(또는 와이어 세그먼트)(132) 및 제2 와이어(또는 와이어 세그먼트)(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132)를 근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외피(14)의 원위 단부(16)가 제1 방향(예를 들어, 우측 방향)으로 편향되게 할 수 있다. 제2 와이어(134)를 근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외피(14)의 원위 단부(16)가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예를 들어, 좌측 방향)으로 편향되게 할 수 있다. 제1 와이어(132)의 근위 이동은 제2 와이어(134)의 원위 이동을 수반할 수 있다. 제2 와이어(134)의 근위 이동은 제1 와이어(132)의 원위 이동을 수반할 수 있다. 제1 와이어(132) 및 제2 와이어(134)는, 예를 들어, 노브(32)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또는 대안적인 메커니즘, 예를 들어 조향 구성요소(30)의 다른 구성요소를 활성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근위적 또는 원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노브(32)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1 방향의 편향을 유발할 수 있고, 노브(32)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2 방향의 편향을 유발할 수 있다.
제2 와이어(124)의 쌍은 제3 와이어(136) 및 제4 와이어(1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와이어(136)를 근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외피(14)의 원위 단부(16)가 제3 방향(예를 들어, 아래쪽 방향)으로 편향되게 할 수 있다. 제4 와이어(138)를 근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외피(14)의 원위 단부(16)가 제3 방향에 반대되는 제4 방향(예를 들어, 위쪽 방향)으로 편향되게 할 수 있다. 제3 와이어(136)의 근위 이동은 제4 와이어(138)의 원위 이동을 수반할 수 있다. 제4 와이어(138)의 근위 이동은 제3 와이어(136)의 원위 이동을 수반할 수 있다. 제3 와이어(136) 및 제4 와이어(138)는, 예를 들어, 노브(3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또는 대안적인 메커니즘, 예를 들어 조향 구성요소(30)의 다른 구성요소를 활성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근위적 또는 원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노브(34)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3 방향의 편향을 유발할 수 있고, 노브(34)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제4 방향의 편향을 유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132) 및 제2 와이어(134)는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제1 와이어 안내부(142) 및/또는 제2 와이어 안내부(144)에 의해서 핸들(12)의 제1 함몰부(80) 내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와이어 안내부(142)와 제2 와이어 안내부(144) 사이의 상호 작용은 제1 와이어(132)와 제2 와이어(134)의 서로로부터의 이격을 촉진할 수 있다. 제3 와이어(136) 및 제4 와이어(138)는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제2 와이어 안내부(144) 및/또는 제3 와이어 안내부(146)에 의해서 핸들(12)의 제1 함몰부(80) 내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와이어 안내부(144)와 제3 와이어 안내부(146) 사이의 상호 작용은 제3 와이어(136)와 제4 와이어(138)의 서로로부터의 이격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와이어 안내부(144)는 제1 와이어(122)의 쌍을 제2 와이어(124)의 쌍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와이어 안내부(144)는 제1 함몰부(80) 내에서 제1 와이어(132)를 제3 와이어(136)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 와이어 안내부(144)는 또한 제1 함몰부(80) 내에서 제2 와이어(134)를 제4 와이어(138)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와이어 안내부(142, 144, 146)는 와이어(132, 134, 136, 및 138)를 서로 이격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안내부(142, 144, 146)는 와이어(132, 134, 136, 및 138)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그리고 그들의 각각의 풀리 상에서의 그들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와이어 안내부(142, 144, 및 146)는, 와이어(132, 134, 136, 및 138)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외피(14)의 조향 원위 단부(16)와 간섭할 수 있는, 와이어(132, 134, 136, 및 138)의 교차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는, 와이어가 풀리에 대한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3은, 핸들(12)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분리된, 제1 함몰부(80) 및 융기부(90)를 도시한다. 조향 구성요소(30)의 굴대(172)가 핸들(12)의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대(172)는 와셔 또는 플랜지(174)를 이용하여 핸들(12)의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플랜지(174)는 제2 함몰부(88)에 대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플랜지(174)와 제2 함몰부(88) 사이에는 키 결합 관계가 존재한다. 플랜지(174)와 제2 함몰부(88) 사이의 키 결합 관계는, 제2 함몰부(88) 내의 플랜지(174)의 회전을 최소화하거나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양태를 도시한다. 도 4a는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b 및 도 4c는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d는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제1 함몰부(80) 내에 배치된 제1 와이어 안내부(142)를 도시한다. 제1 와이어 안내부(142)는, 제1 함몰부(80)의 형상에 상보적인 둘레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최근위 부분 또는 측면(180)은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최근위 측면(180)의 곡률 반경은 제1 함몰부(80)의 최근위 측면(84)의 곡률 반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더 작을 수 있다. 제1 와이어 안내부(142)는 제1 함몰부(80)와 키 결합 관계를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함몰부(80)에 대한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회전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 안내부는, 직선형일 수 있는 최원위 측면(1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 안내부(142)는 또한 제1 측방향 측면(184) 및 제2 측방향 측면(186)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각각은 최근위 측면(180)과 최원위 측면(18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방향 측면(184, 186)은, 제1 함몰부(80)의 벽(86)과 교합(mate)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측방향 측면(184, 186)은 직선형일 수 있다.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형상이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신속 설치를 보조할 수 있는데, 이는, 와이어 안내부(142)가 대칭적이 아니고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곡선형 최근위 측면(180)이 제1 함몰부(80)의 최근위 측면(84)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제1 와이어 안내부(142)는 개구부(190)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190)는 둥근 형상(예를 들어,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190)는 굴대(172)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직경 또는 굴대(172)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갖는 크기일 수 있다. 개구부(190)는 최원위 측면(182)보다 최근위 측면(184)에 더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된 임의의 와이어 안내부 내의 개구부는, 와이어 안내부의 개구부와 굴대(172)(또는 다른 굴대 또는 샤프트) 사이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구속될 수 있다.
제1 와이어 안내부(142)는 제1 측면(192) 및 제2 측면(194)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각각은 최근위 측면(180)으로부터 최원위 측면(182)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4b는 특히 제1 측면(192)의 양태를 도시한다. 도 4c는 특히 제2 측면(194)의 양태를 도시한다.
제1 와이어 안내부(142)는 근위 부분(196)을 가질 수 있다. 근위 부분(196)은 와셔-유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부분(196)은 개구부(190)를 포함할 수 있고, 개구부(190)에 동심적인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 안내부(142)는 또한 제1 원위 부분(202) 및 제2 원위 부분(204)을 가질 수 있다. 제1 원위 부분(202)은 제1 측방향 측면(184)으로부터 제2 측방향 측면(186)을 향해서 연장될 수 있으나, 제2 측방향 측면(186) 전에 종료될 수 있다. 제2 원위 부분(204)은 제2 측방향 측면(186)으로부터 제1 측방향 측면(184)을 향해서 연장될 수 있으나, 제1 측방향 측면(184) 전에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원위 부분(202) 및 제2 원위 부분(204)의 각각은 제1 측방향 측면(184)과 제2 측방향 측면(186) 사이의 중간에서 또는 대략적으로 중간에서 종료될 수 있으나, 다른 치수들도 고려된다. 제1 원위 부분(202) 및 제2 원위 부분(204)의 각각은, 근위 부분(196)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측면(192)과 제2 측면(194) 사이의 거리는, 근위 부분(196)에서보다, 제1 원위 부분(202) 및 제2 원위 부분(204)의 각각에서 더 멀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위 부분(202) 및 제2 원위 부분(204)은 제1 측면(192) 상에서 근위 부분(196)에 대해서 상승되거나 돌출될 수 있다.
특히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측면(192) 상에서, 제1 원위 부분(202)은 제2 원위 부분(204)보다 근위 부분(196)에 대해서 더 상승될 수 있다. 제1 원위 부분(202)은 제2 원위 부분(204)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측면(192)과 제2 측면(194) 사이의 거리는, 제2 원위 부분(204)에서보다, 제1 원위 부분(202)에서 더 멀 수 있다.
도 4d는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저면도를 도시하며, 그에 따라 최원위 측면(182)이 도시된다. 최원위 측면(182)을 따라, 제2 측면(194)은 편평할 수 있다. 최원위 측면(182)을 따라, 제1 측면(192)은 엇갈릴(staggered)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원위 부분(202)을 따른) 제1 편평 부분(206) 및 (제2 원위 부분(204)을 따른) 제2 편평 부분(208)이 있고, 단차부(210)가 제1 편평 부분(206)과 제2 편평 부분(208) 사이에 있다. 제1 편평 부분(206) 및 제2 편평 부분(208)은 서로 오프셋될 수 있다. 제1 편평 부분(206) 및 제2 편평 부분(208)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단차부(210)는 제1 편평 부분(206)과 제2 편평 부분(208) 사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단차부(210)는 제1 편평 부분(206) 및 제2 편평 부분(208) 모두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제1 측면(192) 상에서, 제1 원위 부분(202)은 근위 연부(212)를 가질 수 있고, 제2 원위 부분(204)은 근위 연부(214)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원위 부분(202, 204)의 근위 연부(212, 214)는 근위 부분(196)에 각각 인접할 수 있다. 근위 연부(212, 214)는, 각각이 동일 원의 세그먼트일 수 있는 둥근 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근위 연부(212, 214)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192)을 정면에서 볼 때,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근위 연부(212, 214)는 상이한 두께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연부(212)는 근위 연부(214)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근위 연부(212)와 근위 연부(214) 사이의 두께 차이는 제1 원위 부분(202)과 제2 원위 부분(204) 사이의 두께의 차이에 상응할 수 있다.
특히 도 4c를 참조하면, 제1 원위 부분(202)은 중공형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원위 부분(202)은 제2 측면(194) 상에서 함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230)는, 제1 원위 부분(202)의 윤곽을 따르는 내측부 벽(232)을 가질 수 있다. 제1 원위 부분(202)이 중공형일 수 있다는 사실은,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제조 비용 및 질량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함몰부(230)는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벽의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몰딩 또는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다른 제조 기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함몰부(230)는, 제3 와이어 안내부(146)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함몰부(430)의 특성 중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함몰부(230) 또는 다른 부분은 또한 표시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34)는, 예를 들어, 핸들(12) 내의 와이어 안내부(142)의 배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34)는, 제1 와이어 안내부(142)가 함몰부(80)의 내부 표면(83)에 인접하게 될 하단 와이어 안내부라는 것을 나타내는, "B", 예를 들어 제1 심볼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심볼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표시부가 이용될 수 있다.
도 5a는 함몰부(80) 내에 배치된 제1 와이어 안내부(142)를 도시한다. 도 5b는 (제1 와이어 안내부(142) 위에서)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제1 측면(192)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1 풀리(250)를 도시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위" 또는 "~의 상단부"라는 용어는, 함몰부(80)의 개방 외부 측면을 향하는 외측 방향을 나타낸다. "아래" 또는 "아래쪽"이라는 용어는 내부 표면(83)을 향하는 내측 방향을 나타낸다.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제2 측면(194)이 제1 함몰부(80)의 내부 표면(83)에 인접하도록, 제1 와이어 안내부(142)가 제1 함몰부(8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면(192)은 제1 함몰부(80)의 개방 외부 측면에 대면될 수 있다. 굴대(172)는 개구부(190)를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대(172)가 개구부(190)와 정렬되도록 제1 와이어 안내부(142)가 배치될 수 있고, 이어서 제1 함몰부(80)의 내부 표면(83) 상에 놓일 때까지 제1 와이어 안내부(142)가 굴대(172)를 따라서 전진될 수 있다. 제1 풀리(250)는 제1 와이어 안내부(142)에 접경될 수 있거나, 제1 풀리(250)와 제1 와이어 안내부(142) 사이에 갭이 있을 수 있다. 제1 풀리(250)는 스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풀리(250)는, 제1 풀리(250)가 제1 와이어 안내부(144)의 근위 부분(196)과 정렬되고 근위 연부(212, 214)와 접경되도록 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부분(196)의 직경은 제1 풀리(25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와이어(122)의 쌍(제1 와이어(132) 및 제2 와이어(134))이 제1 풀리(250) 주위를 둘러쌀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122)의 쌍은 하나의 연속적인 와이어일 수 있거나 분리된 와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풀리(250)는, 굴대 조립체(120)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굴대(172)와 동축적일 수 있는, 제1 풀리 굴대(252)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풀리 굴대(252)는 제1 풀리(250)에 대해서 고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풀리 굴대(252)의 회전은 제1 풀리(250)의 회전을 유발할 수 있다. 제1 풀리 굴대(252)가 노브(32)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풀리 굴대(252)의 회전을 유발할 수 있다. 제1 와이어(132)는 제1 원위 부분(202)의 제1 편평 표면(206)을 따라서 전달될 수 있다. 제2 와이어(134)는 제2 원위 부분(204)의 제2 편평 표면(206)을 따라서 전달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양태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핸들(12)의 제1 함몰부(80) 내에 설치된 제2 와이어 안내부(144)를 도시한다.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둘레 형상은, 전술한,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둘레 형상의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와이어 안내부(144)는 제1 와이어 안내부(142)와 동일한 둘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와이어 안내부(142)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와이어 안내부(144)는, 제1 함몰부(80)의 형상에 상보적인 둘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와이어 안내부(144)는, 곡선형일 수 있는 최근위 측면(280) 및 직선형일 수 있는 최원위 측면(2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와이어 안내부(144)는 또한 제1 측방향 측면(284) 및 제2 측방향 측면(286)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각각은 최근위 측면(280)과 최원위 측면(28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방향 측면(284, 286)은, 제1 함몰부(80)의 내부 측방향 표면(86)과 교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측방향 측면(284, 286)은 직선형일 수 있다. 제1 와이어 안내부(144)의 형상은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신속 설치를 보조할 수 있다.
제2 와이어 안내부(144)는 개구부(290)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290)는 둥근 형상(예를 들어,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290)는 제1 풀리 굴대(252)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크기일 수 있다. 개구부(290)는, 제1 풀리 굴대(252)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290)는 최원위 측면(282)보다 최근위 측면(280)에 더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풀리 굴대(252)가 굴대(172)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개구부(290)는 개구부(190)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와이어 안내부(144)는 제1 측면(292)(도 6a, 도 6b 참조) 및 제2 측면(294)(도 6c 참조)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각각은 최근위 단부(280)로부터 최원위 단부(28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면(292, 294)은, 정면에서 볼 때,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a가 제1 측면(292)을 특정하여 도시하지만, 제1 측면(292)은 제2 측면(294)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와이어 안내부(144)는 근위 부분(296)을 가질 수 있다. 근위 부분(296)은 와셔-유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부분(296)은 개구부(290)를 포함할 수 있고, 개구부(290)에 동심적인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와이어 안내부(144)는 또한 제1 원위 부분(302) 및 제2 원위 부분(304)을 가질 수 있다. 제1 원위 부분(302)은 제1 측방향 측면(284)으로부터 제2 측방향 측면(286)을 향해서 연장될 수 있으나, 제2 측방향 측면(286) 전에 종료될 수 있다. 제2 원위 부분(304)은 제2 측방향 측면(286)으로부터 제1 측방향 측면(284)을 향해서 연장될 수 있으나, 제1 측방향 측면(284) 전에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원위 부분(302) 및 제2 원위 부분(304)의 각각은 제1 측방향 측면(284)과 제2 측방향 측면(286) 사이의 중간에서 또는 대략적으로 중간에서 종료될 수 있다. 제1 원위 부분(302) 및 제2 원위 부분(304)의 각각은, 근위 부분(296)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측면(292)과 제2 측면(294) 사이의 거리는, 근위 부분(296)에서보다, 제1 원위 부분(302) 및 제2 원위 부분(304)의 각각에서 더 멀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위 부분(302) 및 제2 원위 부분(304)은 제1 측면(292) 상에서 그리고 제2 측면(294) 상에서 근위 부분(296)에 대해서 상승되거나 돌출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292) 상에서, 제1 원위 부분(302)은, 근위 부분(296)을 형성하는 평면에 대해서, 제2 원위 부분(304)보다 더 상승되거나 더 돌출될 수 있다. 제2 측면(294) 상에서, 제2 원위 부분(304)은, 근위 부분(296)을 형성하는 평면에 대해서, 제1 원위 부분(302)보다 더 상승되거나 더 돌출될 수 있다.
도 6d는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저면도를 근위 방향으로 도시하며, 그에 따라 최원위 측면(282)이 도시된다. 최원위 측면(282)에서의 제1 원위 부분(302)의 두께는 최원위 측면(282)에서의 제2 원위 부분(304)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원위 부분(302)은 최원위 측면(282)에서 제2 원위 부분(304)과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측면(292) 및 제2 측면(294) 모두를 따라서, 최원위 측면(282)이 엇갈릴 수 있다. 제1 측면(292) 상에, (제1 원위 부분(302)을 따른) 제1 편평 부분(306) 및 (제2 원위 부분(304)을 따른) 제2 편평 부분(308)이 있을 수 있고, 제1 단차부(336)가 제1 편평 부분(306)과 제2 편평 부분(308) 사이에 있을 수 있다(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원위 부분(302)은 제1 측면(292)의 표면 상에서 중공형일 수 있으나 최원위 측면(282) 및 제2 측면(294)을 따라서 편평할 수 있다). 제1 편평 부분(306)은 제2 편평 부분(308)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그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고, 단차부(336)는 제1 편평 부분(306) 및 제2 편평 부분(308) 모두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제2 측면(294) 상에, 제3 편평 부분(310) 및 제4 편평 부분(312)이 있을 수 있고(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원위 부분(304)은 제2 측면(294)의 표면 상에서 중공형일 수 있으나 최원위 측면(282) 및 제1 측면(292)을 따라서 편평할 수 있다), 제2 단차부(338)가 제3 편평 부분(310)과 제4 편평 부분(312)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제3 편평 부분(310)은 제4 편평 부분(31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그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고, 단차부(338)는 제3 편평 부분(310) 및 제4 편평 부분(312) 모두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제1 단차부(336) 및 제2 단차부(338)는 제1 측방향 측면(284)과 제2 측방향 측면(286) 사이의 대략적으로 중간에 위치될 수 있으나, 다른 치수도 고려된다. 제1 단차부(336) 및 제2 단차부(338)는 정렬될 수 있거나 서로 오프셋될 수 있다.
제1 측면(292) 상에서, 제1 원위 부분(302)은 제1 측면 근위 연부(316)를 가질 수 있고, 제2 원위 부분(304)은 제1 측면 근위 연부(320)를 가질 수 있다. 제2 측면(294) 상에서, 제1 원위 부분(302)은 제2 측면 근위 연부(318)를 가질 수 있고, 제2 원위 부분(304)은 제2 측면 근위 연부(322)를 가질 수 있다. 근위 연부(316, 318, 320, 322)는 근위 부분(296)에 인접할 수 있다. 근위 연부(316, 318, 320, 322)는, 각각이 동일 원의 세그먼트일 수 있는 둥근 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근위 연부(316, 318, 320, 322)가, 제1 측면(192) 또는 제2 측면(194)을 정면에서 볼 때,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그러나, 근위 연부(316, 318, 320, 322)는 상이한 두께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원위 부분(302)의 제1 측면 근위 연부(316)는 제1 원위 부분(302)의 제2 측면 근위 연부(318)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원위 부분(304)의 제2 측면 근위 연부(322)는 제2 원위 부분(304)의 제1 측면 근위 연부(320)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원위 부분(302)의 제1 측면 근위 연부(316)는 제2 원위 부분(304)의 제1 측면 근위 연부(320)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원위 부분(304)은 제2 측면(294) 상의 제1 원위 부분(302)보다 더 상승되거나 돌출될 수 있고, 제2 원위 부분(304)의 제2 측면 근위 연부(322)는 제1 원위 부분(302)의 제2 측면 근위 연부(318)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원위 부분(302, 304)은 중공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원위 부분(302)은 제1 측면(292) 상에서 함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340)는, 제1 원위 부분(302)의 윤곽을 따르는 내측부 벽(342)을 가질 수 있다. 제2 원위 부분(304)은 제2 측면(294) 상에서 함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함몰부(350)는, 제2 원위 부분(304)의 윤곽을 따르는 내측부 벽(352)을 가질 수 있다. 제1 원위 부분(302, 304)이 중공형일 수 있다는 사실은, 제2 와이어 안내부(242)의 제조 비용 및 질량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함몰부(340, 350)의 하나 또는 둘 모두가 표시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60)는, 예를 들어, 핸들(12) 내의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배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350)는, 제2 와이어 안내부(144)가 제1 와이어 안내부(142) 위에 있게 될 중간 와이어 안내부라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부(234)와 상이한 "M", 또는 제2 심볼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표시부가 이용될 수 있다.
도 7a는 함몰부(80) 내에 배치된 제2 와이어 안내부(144)를 도시한다. 도 7b는 (제1 풀리(250) 위에서) 제1 풀리(25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 풀리(360)를 도시한다.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제2 측면(294)이 제1 함몰부(80)의 내부 표면(83)에 대면하도록, 제2 와이어 안내부(144)가 제1 함몰부(8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면(292)은 제1 함몰부(80)의 외부 개방 측면에 대면될 수 있다. 제1 측면(292) 및 제2 측면(294)이 동일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측면(294)이 내부 표면(83)에 대면되도록 제2 와이어 안내부(144)가 배치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풀리 굴대(252)가 개구부(290)를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풀리 굴대(252)가 개구부(290)와 정렬되도록 제2 와이어 안내부(144)가 배치될 수 있고, 이어서 제2 측면(294)이 제1 풀리(250)에 인접할 때까지, 제2 와이어 안내부(144)가 제1 풀리 굴대(252)를 따라서 전진될 수 있다.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근위 부분(296)이 제1 풀리(250)의 표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함몰부(80)의 개방 외측부 측면에 대면될 수 있다.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근위 부분(296)의 제2 측면(294)은 제1 풀리(250)의 외향 표면 상에 놓일 수 있고, 제2 측면(294)은 함몰부(80)의 개방 외측부 측면에 대면될 수 있다. 제1 풀리(250)는, 제1 풀리(250)가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근위 부분(296)과 정렬될 수 있게 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풀리(250)는 근위 부분(296)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풀리(250)의 두께 및 와이어 안내부(142, 144)와 풀리(250) 사이의 상대적인 높이차로 인해서, 갭이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제1 측면(192)과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제2 측면(29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갭(366)이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제1 원위 부분(202)의 제1 측면(192)과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제1 원위 부분(302)의 제2 측면(29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갭(368)이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제2 원위 부분(204)의 제1 측면(192)과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제2 원위 부분(304)의 제2 측면(29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갭(366) 및 제2 갭(368)은 어떠한 중첩 공간도 차지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갭(366)이 제2 갭(368)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제1 와이어(132)는 갭(366)을 통과할 수 있고, 제2 와이어(134)는 갭(368)을 통과할 수 있다. 벽(210 및/또는 338)은 제1 와이어(132) 및/또는 제2 와이어(134)가 벽(210) 및/또는 벽(338)을 지나서 측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210 및/또는 338)은 와이어(132) 및/또는 와이어(134)가 제1 함몰부(80)의 중심선을 지나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갭(366)은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제1 원위 부분(202)의 제1 측면(192),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제1 원위 부분(302)의 제2 측면(294), 단차부(338), 및 제1 함몰부(80)의 측방향 표면(86)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 또는 격실일 수 있다. 갭(368)은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제2 원위 부분(204)의 제1 측면(192),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제2 원위 부분(304)의 제2 측면(294), 단차부(210), 및 제1 함몰부(80)의 측방향 표면(86)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 또는 격실일 수 있다. 갭(366 및/또는 368)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갭(366 및/또는 368)은 4개의 측면에 의해서 둘러싸일 수 있거나, 완전히 둘러싸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갭(366)은, 벽들(210 및 338)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갭(368)에 대해서 개방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풀리(360)가 제2 와이어 안내부(144)에 인접하여(예를 들어, 제2 와이어 안내부(144)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풀리(360)는 스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풀리(360)는, 제2 풀리(360)가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근위 부분(296)의 외경과 정렬되도록 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풀리(360)는, 제1 풀리(250) 및/또는 근위 부분(186, 296)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와이어(124)의 쌍(제3 와이어(136) 및 제4 와이어(138))이 제2 풀리(360)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와이어(124)의 쌍은 하나의 연속적인 와이어일 수 있거나 분리된 와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풀리(360)는, 굴대(172) 및/또는 제1 풀리 굴대(252)와 동축적일 수 있고 굴대 조립체(120)의 구성요소일 수 있는, 제2 풀리 굴대(370)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풀리 굴대(370)는 제2 풀리(360)에 대해서 고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 풀리 굴대(370)의 회전은 제2 풀리(360)의 회전을 유발할 수 있다. 제2 풀리 굴대(370)는 제1 풀리 굴대(252)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고, 제2 풀리 굴대(370)는 굴대 조립체(120)의 일부로서 제1 풀리 굴대(252) 위에 피팅될 수 있다. 제2 풀리 굴대(370)가 노브(34)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 풀리 굴대(370)의 회전을 유발할 수 있다. 제3 와이어(136)가 제1 원위 부분(302)을 따라서 전달될 수 있다. 제4 와이어(138)가 제2 원위 부분(204)을 따라서 전달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양태를 도시한다. 도 9는 케이블 조향 조립체(100)에 설치된 제3 와이어 안내부를 도시한다. 제3 와이어 안내부(146)는 제1 와이어 안내부(142) 또는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와이어 안내부(146)는, 제1 함몰부(80)에 대해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최근위 부분 또는 측면(380)은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최근위 측면(380)의 곡률 반경은 제1 함몰부(80)의 최근위 측면(84)의 곡률 반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더 작을 수 있다. 제3 와이어 안내부(146)는 제1 함몰부(80)와 키 결합 관계를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함몰부(80) 또는 융기부(90)에 대한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회전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제3 와이어 안내부(146)는, 직선형일 수 있는 최원위 측면(3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와이어 안내부(146)는 또한 제1 측방향 측면(384) 및 제2 측방향 측면(386)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각각은 최근위 측면(380)과 최원위 측면(38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3 와이어 안내부(146)는 개구부(390)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390)는 둥근 형상(예를 들어,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390)는 제2 풀리 굴대(370)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크기일 수 있다. 개구부(390)는, 제2 풀리 굴대(370)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390)는,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최원위 단부(382)보다,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최근위 단부(380)에 더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개구부(390)는 각각의 개구부(190 및 290)보다 클 수 있다.
제3 와이어 안내부(146)는 제1 측면(392)(도 8b 참조) 및 제2 측면(394)(도 8a 참조)을 포함할 수 있고, 그 각각은 최근위 측면(380)으로부터 최원위 측면(38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제1 측면(392)은, 굴대(172)보다 더 큰 크기의 제2 풀리 굴대(370)를 위해서 개구부(390)가 개구부(190)보다 클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제1 측면(192)과 동일할 수 있다.
제3 와이어 안내부(146)는 근위 부분(396)을 가질 수 있다. 근위 부분(396)은 와셔-유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부분(396)은 개구부(390)를 포함할 수 있고, 개구부(390)에 동심적인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부분(396)은 제2 풀리 굴대(370)의 직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내경을 가질 수 있고, 외경은, 제2 풀리(360)의 외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풀리(360)는 근위 부분(396)과 정렬될 수 있다.
제3 와이어 안내부(146)는 또한 제1 원위 부분(402) 및 제2 원위 부분(404)을 가질 수 있다. 제1 원위 부분(402)은 제2 측방향 측면(386)으로부터 제1 측방향 측면(384)을 향해서 연장될 수 있으나, 제1 측방향 측면(384) 전에 종료될 수 있다. 제2 원위 부분(404)은 제1 측방향 측면(384)으로부터 제2 측방향 측면(386)을 향해서 연장될 수 있으나, 제2 측방향 측면(386) 전에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원위 부분(402) 및 제2 원위 부분(404)의 각각은 제1 측방향 측면(384)과 제2 측방향 측면(386) 사이의 중간에서 또는 대략적으로 중간에서 종료될 수 있으나, 다른 치수들도 고려된다. 제1 원위 부분(402) 및 제2 원위 부분(404)의 각각은, 근위 부분(396)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측면(392)과 제2 측면(394) 사이의 거리는, 근위 부분(396)에서보다, 제1 원위 부분(402) 및 제2 원위 부분(404)의 각각에서 더 멀 수 있다. 제1 원위 부분(402) 및 제2 원위 부분(404)은 제1 측면(392) 상에서 근위 부분(396)에 대해서 상승되거나 돌출될 수 있다.
제1 측면(392) 상에서, 근위 부분(396)과 관련하여, 제1 원위 부분(402)은 제2 근위 부분(404)보다 더 돌출되거나 상승될 수 있다. 제1 원위 부분(402)은 제2 원위 부분(404)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측면(392)과 제2 측면(394) 사이의 거리는, 제2 원위 부분(404)에서보다, 제1 원위 부분(402)에서 더 멀 수 있다.
도 8c는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저면도를 도시하며, 그에 따라 최원위 측면(382)이 도시된다. 최원위 측면(382)은, 제2 원위 부분(404)에서보다, 제1 원위 부분(402)에서 더 큰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최원위 측면(382)을 따른 제1 측면(392)과 제2 측면(394) 사이의 거리는, 제2 원위 부분(404)에서보다, 제1 원위 부분(402)에서 더 멀 수 있다. 최원위 측면(382)을 따라, 제1 측면(392)은 엇갈릴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원위 부분(402)을 따른) 제1 편평 부분(406) 및 (제2 원위 부분(404)을 따른) 제2 편평 부분(408)이 있고, 단차부(410)가 제1 편평 부분(406)과 제2 편평 부분(408) 사이에 있다. 제1 편평 부분(406) 및 제2 편평 부분(408)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고 서로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단차부(410)는 제1 편평 부분(406)과 제2 편평 부분(408) 사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단차부(410)는 제1 편평 부분(406) 및 제2 편평 부분(408) 모두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제1 측면(392) 상에서, 제1 원위 부분(402)은 근위 연부(412)를 가질 수 있고, 제2 원위 부분(404)은 근위 연부(414)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원위 부분(402, 404)의 근위 연부(412, 414)는 근위 부분(396)에 각각 인접할 수 있다. 근위 연부(412, 414)는, 각각이 동일 원의 세그먼트일 수 있는 둥근 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측면(192)을 정면에서 볼 때, 근위 연부(412, 414)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근위 연부(412, 414)는 상이한 두께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원위 부분(202)이, 원위 부분(204)보다, 근위 부분(396)에 대해서 더 돌출된다는 사실로 인해서, 근위 연부(414)는 근위 연부(412)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특히 도 8a를 참조하면, 제1 원위 부분(402)은 중공형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원위 부분(402)은 제2 측면(194) 상에서 함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230)는, 제1 원위 부분(402)의 윤곽을 따르는 내측부 벽(432)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함몰부(430)는 근위 연부(412)에 상응하는 내측부 벽(432) 및 벽(410) 만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함몰부(430)는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최원위 측면(382) 및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제2 측방향 측면(386) 상에서 개방된다. 제1 원위 부분(402)이 중공형일 수 있다는 사실은,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제조 비용 및 질량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함몰부(430)의 형상이 또한, 다른 메커니즘(예를 들어, 상승부 분절 메커니즘 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핸들(12) 내에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함몰부(430) 또는 다른 부분은 또한 표시부(434)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434)는, 예를 들어, 핸들(12) 내의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배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34)는, 제3 와이어 안내부(146)가 함몰부(80)로부터 외측으로 대면될 상단 와이어 안내부라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부(234, 360)와 상이한 "T", 또는 제3 심볼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표시부가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케이블 조향 조립체(100)에 설치된 제3 와이어 안내부(146)를 도시한다.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제1 측면(392)이 제1 함몰부(80)의 개방 외측부 표면에 대면되는 제2 풀리(360)의 표면에 인접하도록, 제3 와이어 안내부(146)가 제1 함몰부(80) 내에, 주위에, 또는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면(394)은 제1 함몰부(80)의 개방 외측부 표면에 대면될 수 있다. 제2 풀리 굴대(370)는 개구부(390)를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풀리 굴대(370)가 개구부(390)와 정렬되도록 제3 와이어 안내부(146)가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 이어서 제3 와이어 안내부(146)가 제1 함몰부(80)의 개방 외측부 표면에 가장 가까운 제2 풀리(360)의 표면 상에 놓일 때까지, 제3 와이어 안내부(146)가 제3 풀리 굴대(370)을 따라서 전진될 수 있다.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근위 부분(396)은 제2 풀리(360)의 외측 대면 표면에 인접하여 그 위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풀리(360)는, 제2 풀리(360)가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근위 부분(396)과 정렬될 수 있게 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풀리(360)는 근위 부분(39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갭이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제1 측면(292)과 제3 와이어 안내부(146) 제1 측면(39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2 풀리(360)의 두께로 인해서, 제3 갭(466)이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제1 원위 부분(302)의 제1 측면(292)과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제2 원위 부분(404)의 제1 측면(39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풀리(360)의 두께로 인해서, 제4 갭(468)이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제2 원위 부분(304)의 제1 측면(292)과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제1 원위 부분(402)의 제1 측면(39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갭(466) 및 제4 갭(468)의 각각은 서로 그리고 제1 갭(366) 및 제2 갭(368)의 각각에 대해서 오프셋될 수 있다. 제3 갭(466) 및 제4 갭(468)은 벽(336 및 410)의 하나 이상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갭(366, 368, 466, 468) 중 어느 것도 어떠한 중첩 공간도 점유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와이어(136)는 제3 갭(466)을 통과할 수 있고, 제4 와이어(138)는 제4 갭(468)을 통과할 수 있다. 벽(410 및/또는 336)은 제3 와이어(136) 및/또는 제4 와이어(138)의 측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410 및/또는 336)은 와이어(136) 및/또는 와이어(138)가 제1 함몰부(80)의 중심선과 교차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3 갭(466)은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제1 원위 부분(302)의 제1 측면(292),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제2 원위 부분(404)의 제1 측면(392), 벽(410), 및 제1 함몰부(80)의 측방향 표면(86)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 또는 격실일 수 있다. 제4 갭(468)은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제2 원위 부분(304)의 제1 측방향 측면(392),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제1 원위 부분(402)의 제1 측방향 측면(392), 벽(336), 및 제1 함몰부(80)의 측방향 표면(86)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 또는 격실일 수 있다. 갭(466 및/또는 468)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갭(466 및/또는 468)은 4개의 측면에 의해서 둘러싸일 수 있거나, 완전히 둘러싸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갭(466)은, 벽들(410 및 336)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갭(468)에 대해서 개방될 수 있다.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제2 측면(394)은, 제1 함몰부(80)의 개방 측면에 가장 가까운 그리고 함몰부(430)로부터 이격된, 케이블 조향 조립체(100)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제2 측면은 편평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와이어 안내부(144)의 개구부(290)는, 굴대(172)에 대비하여 더 큰 제1 풀리 굴대(252)의 직경을 수용하기 위해서,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개구부(190)보다 클 수 있다. 개구부(390)는, 제1 풀리 굴대(252) 및 굴대(172)에 대비하여 더 큰 제2 풀리 굴대(370)의 직경을 수용하기 위해서, 개구부(290 및 190)보다 더 클 수 있다. 제2 와이어 안내부(244)의 최원위 측면(282)의 두께는 제1 와이어 안내부(142)의 최원위 측면(182) 및 제3 와이어 안내부(146)의 최원위 측면(382)의 각각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 와이어 안내부(142), 제2 와이어 안내부(144), 및 제3 와이어 안내부(146)는 동일한 둘레 측정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 제2 및 제3 와이어 안내부(142, 144, 146)의 근위 부분(196, 296, 396)의 각각이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와이어 안내부 및 제3 와이어 안내부가 동일할 수 있거나, 개구부(190, 290)의 크기, 표시부(434 및 234), 및/또는 함몰부(230, 430)의 형상을 제외하고,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290)는 개구부(190)보다 클 수 있고, 함몰부(430)는 개방 측면을 가질 수 있는 반면, 함몰부(230)는 전체가 둘러싸일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원리가 특정 적용예에 대한 예시적인 예를 참조하여 본원에서 설명되었지만, 개시 내용이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당업계의 숙련 기술을 가지고 본원에서 제공된 교시 내용에 접근하는 사람은, 부가적인 변경, 적용, 및 균등물의 치환 모두가, 본원에서 설명된 예의 범위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Claims (15)
- 의료 장치의 조향 조립체이며:
함몰부를 가지는 핸들;
함몰부 내에 배치된 제1 및 제2 와이어 안내부로서, 제1 또는 제2 와이어 안내부의 적어도 하나가 함몰부에 대해서 키 결합되어 제1 또는 제2 와이어 안내부가 함몰부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 안내부; 및
조향 조립체에 커플링된 외피를 제1 및 제2 방향으로 조향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와이어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제1 와이어 세그먼트는 제1 와이어 안내부와 제2 와이어 안내부 사이의 제1 갭을 통과하고, 제2 와이어 세그먼트는 제1 와이어 안내부와 제2 와이어 안내부 사이의 제2 갭을 통과하며, 제1 및 제2 갭 중 어느 것도 어떠한 중첩 공간도 점유하지 않는, 조향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제3 와이어 안내부; 및
외피를 제3 및 제4 방향으로 조향하도록 구성된 제3 및 제4 와이어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제3 와이어 세그먼트는 제2 와이어 안내부와 제3 와이어 안내부 사이의 제3 갭을 통과하고, 제4 와이어는 제2 와이어 안내부와 제3 와이어 안내부 사이의 제4 갭을 통과하는, 조향 조립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갭 및 제2 갭은 서로 오프셋되는, 조향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와이어 세그먼트는 조향 조립체에 커플링된 외피의 좌측/우측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조향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제3 및 제4 와이어 세그먼트는 조향 조립체에 커플링된 외피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조향 조립체. -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1, 제2, 제3 및 제4 갭 중 어느 것도 어떠한 중첩 공간도 점유하지 않는, 조향 조립체. -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와이어 안내부는 제1 굴대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2 와이어 안내부는 제2 굴대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3 와이어 안내부는 제3 굴대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제3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1, 제2, 및 제3 개구부의 각각이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조향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와이어 안내부의 각각이 함몰부 내로 키 결합되어, 함몰부 내에 배치될 때, 함몰부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는, 조향 조립체. - 제2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와이어 안내부의 각각이 함몰부 내에 배치되는, 조향 조립체. - 제2항, 제5항 내지 제7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와이어 안내부의 각각이 함몰부 내로 키 결합되고, 함몰부 내에 배치될 때, 함몰부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는, 조향 조립체. - 제2항, 또는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와이어 세그먼트에 커플링된 제1 풀리로서, 제1 와이어 안내부와 제2 와이어 안내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풀리, 및
제3 및 제4 와이어 세그먼트에 커플링된 제2 풀리로서, 제2 와이어 안내부와 제3 와이어 안내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풀리를 더 포함하는, 조향 조립체. - 제11항에 있어서,
제1 풀리의 두께가 제1 및 제2 갭을 유지하는, 조향 조립체.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제2 풀리의 두께가 제3 및 제4 갭을 유지하는, 조향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와이어 안내부는, 제1 및 제2 갭의 제1 부분을 각각 형성하는 제1 및 제2 오프셋 표면을 가지고, 제2 와이어 안내부는, 제1 및 제2 갭의 제2 부분을 각각 형성하는 제3 및 제4 오프셋 표면을 가지는, 조향 조립체. - 제14항에 있어서,
제1 와이어 안내부는, 제1 오프셋 표면으로부터 제2 오프셋 표면까지 연장되는 제1 단차 표면을 가지고, 제2 와이어 안내부는, 제3 오프셋 표면으로부터 제4 오프셋 표면까지 연장되는 제2 단차 표면을 가지며, 제1 및 제2 단차 표면은 제1 및 제2 갭의 제3 부분을 각각 형성하는, 조향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962841290P | 2019-05-01 | 2019-05-01 | |
US62/841,290 | 2019-05-01 | ||
PCT/US2020/030607 WO2020223430A1 (en) | 2019-05-01 | 2020-04-30 | Systems and devices for articulation wire guidan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4704A true KR20220004704A (ko) | 2022-01-11 |
Family
ID=7080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38780A KR20220004704A (ko) | 2019-05-01 | 2020-04-30 | 분절 와이어 안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2) | US11707183B2 (ko) |
EP (1) | EP3962343B1 (ko) |
JP (1) | JP2022531182A (ko) |
KR (1) | KR20220004704A (ko) |
CN (1) | CN114025653A (ko) |
AU (1) | AU2020264462A1 (ko) |
CA (1) | CA3137561A1 (ko) |
WO (1) | WO202022343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33795A (zh) * | 2020-02-27 | 2021-07-20 | 北京派尔特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可弯转腔镜下直线切割吻合器及其组件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86999B2 (ja) * | 1994-10-19 | 1998-08-13 | アスモ株式会社 | ワイヤ式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US20040193016A1 (en) * | 2002-06-17 | 2004-09-30 | Thomas Root | Endoscopic delivery system for the non-destructive testing and evaluation of remote flaws |
JP4235134B2 (ja) * | 2004-03-11 | 2009-03-11 |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 低騒音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
WO2009140288A2 (en) * | 2008-05-13 | 2009-11-19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Steering system with locking mechanism |
US9459066B2 (en) * | 2009-04-28 | 2016-10-04 | John D. Evans | Compound bows with modified cams |
JP2011143029A (ja) * | 2010-01-13 | 2011-07-28 | Olympus Corp | 内視鏡湾曲操作装置 |
US20130038930A1 (en) * | 2011-08-08 | 2013-02-14 | Gradient Lens Corporation | Alignment apparatus |
KR102160753B1 (ko) * | 2013-09-13 | 2020-09-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내시경 장치 |
AU2015242144B2 (en) * | 2014-03-31 | 2019-05-02 | Human Extensions Ltd. | Steerable medical device |
WO2015195277A1 (en) * | 2014-06-20 | 2015-12-23 |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 Mechanism of small drive wire retention on spool |
US9931487B2 (en) * | 2015-08-06 | 2018-04-03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Bidirectional steering control apparatus for a catheter |
JP6775666B2 (ja) * | 2016-07-28 | 2020-10-28 | クック・メディカル・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 ワイヤ張力調整機構を有する操縦可能なカテーテル |
-
2020
- 2020-04-30 AU AU2020264462A patent/AU2020264462A1/en active Pending
- 2020-04-30 EP EP20727881.3A patent/EP3962343B1/en active Active
- 2020-04-30 US US16/862,823 patent/US11707183B2/en active Active
- 2020-04-30 WO PCT/US2020/030607 patent/WO2020223430A1/en unknown
- 2020-04-30 CN CN202080047984.2A patent/CN114025653A/zh active Pending
- 2020-04-30 CA CA3137561A patent/CA3137561A1/en active Pending
- 2020-04-30 KR KR1020217038780A patent/KR20220004704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0-04-30 JP JP2021564258A patent/JP2022531182A/ja active Pending
-
2023
- 2023-06-07 US US18/330,679 patent/US20230309804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962343A1 (en) | 2022-03-09 |
US20200345209A1 (en) | 2020-11-05 |
CA3137561A1 (en) | 2020-11-05 |
US20230309804A1 (en) | 2023-10-05 |
EP3962343B1 (en) | 2024-10-23 |
WO2020223430A1 (en) | 2020-11-05 |
JP2022531182A (ja) | 2022-07-06 |
US11707183B2 (en) | 2023-07-25 |
AU2020264462A1 (en) | 2021-11-18 |
CN114025653A (zh) | 2022-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50313450A1 (en) | Stopper for the Cables of a Bending Section of An Endoscope | |
US11337590B2 (en) | Endoscope | |
WO2015175246A1 (en) | Stopper for the cables of a bending section of an endoscope | |
US11311179B2 (en) | Endoscope | |
US9351631B2 (en) | Bending angle adjustment mechanism for endoscope and endoscope having the bending angle adjustment mechanism | |
US20230309804A1 (en) | Systems and devices for articulation wire guidance | |
JP6811720B2 (ja) | 内視鏡、内視鏡用キャップ及び内視鏡用キャップ形成方法 | |
US20230108741A1 (en) | Insertion device and operation portion unit | |
WO2015080014A1 (ja) | 挿入機器の操作機構、挿入機器 | |
US11857161B2 (en) | Chambered handle for a medical device | |
JP2001046329A (ja) | 内視鏡 | |
JP6810788B2 (ja) | 操縦可能カテーテルハンドル | |
EP2574270B1 (en) | Closure device for end opening and endoscope | |
EP4190223A1 (en) | Endoscope handle with frame | |
EP4282317A1 (en) | Endoscope comprising a bending section having individual segments | |
US20200352421A1 (en) | Insertion apparatus and endoscope | |
US20240306903A1 (en) | Endoscope | |
US20240225419A1 (en) | Endoscope valv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
EP4247230A1 (en) | Endoscope with a bending section having a cut-out for a working channel | |
EP4142563A1 (en) | An articulated bending section body for an insertion endoscope | |
JPH01148234A (ja) | 内視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