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219A - 휴대용 용기 및 그 뚜껑 구조체 - Google Patents

휴대용 용기 및 그 뚜껑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219A
KR20220004219A KR1020217040478A KR20217040478A KR20220004219A KR 20220004219 A KR20220004219 A KR 20220004219A KR 1020217040478 A KR1020217040478 A KR 1020217040478A KR 20217040478 A KR20217040478 A KR 20217040478A KR 20220004219 A KR20220004219 A KR 20220004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or
lid structure
annular wall
opening
portab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트어 린
Original Assignee
밍-트어 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트어 린 filed Critical 밍-트어 린
Publication of KR20220004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2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3Edible packag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2019/125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the lid comprising a compartment for holding sugar, cream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342Central part of the lid
    • B65D2543/00351Dome-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Wrapp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식용 가능한 제1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커버 구조체가 개시된다. 상기 제1구성요소는 베이스 및 환형 벽을 포함하되, 상기 환형 벽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주변부로부터 상기 베이스에 대해 끼인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환형 벽은 수납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환형 벽의 상기 외측 주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부가 제공된다. 상기 뚜껑 구조체는 제3개구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구성요소를 덮고 수납 공간이 제2구성요소에 대향하는 제2구성요소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부 및 제3개구부는 상기 베이스의 대향 측면에 각각 위치된다. 수용부와 상기 뚜껑 구조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컵이 개시되며, 상기 수용부에 가까운 컵 개구부의 내측 주변부를 덮는 제1구성요소, 및 상기 컵 개구부의 상기 외측 주변부를 덮는 제2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와 뚜껑 구조체를 포함하는 또 다른 휴대용 컵이 개시되며, 제1구성요소는 상기 제2구성요소의 내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구성요소는 상기 컵 개구부의 외측 주변부를 덮는다.

Description

휴대용 용기 및 그 뚜껑 구조체
본 발명은 휴대용 용기 및 그 뚜껑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휴대용 용기 및 식용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그 뚜껑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 나와 있는 종래의 친환경 용기(휴대용 용기)는 대부분 물이나 음료를 담는 기능만 가지고 있다. 상기 친환경 용기를 사용하여 차나 커피를 마실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 휴대용 티백이나 커피백을 사용하여 음료를 우러낸다. 이처럼 소비자들은 휴대용 용기와 티백 또는 커피백을 동시에 구매해야 한다. 음료를 준비할 때, 상기 소비자는 상기 티백 또는 커피백의 포장을 뜯거나 상기 티백을 넣거나 혹은 상기 포장에서 커피 가루를 상기 친환경 용기에 부은 다음, 상기 친환경 용기에 얼음 물이나 끓인 물을 따라 차나 커피를 우러나게 한다. 이러한 준비 과정은 많기도 하고 번거로우며, 상기 티백이나 커피백을 휴대 및 보관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상기 음용자는 용기에 담겨 있거나 양조된 음료만 마실 수 있으며, 상기 음용자는 같은 친환경 용기에 다양한 맛의 음료를 동시에 즐길 수 없다. 상기 음용자가 간식을 즐기려면, 상기 준비된 음료와 함께 간식을 따로 가져와야 한다.
또한 갓 끓이거나 채워진 음료는 종종 상기 음용자에게 너무 차갑거나 너무 뜨겁다. 그러나, 상기 음용자가 상기 용기에 담긴 상태에서 용기를 만짐으로써 음료의 정확한 온도를 인지하지 못하여 실수로 화상을 입기 쉬운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음료가 너무 차갑거나 너무 뜨겁다는 것을 음용자가 알아차렸을지라도, 그들은 여전히 음료를 마셔야 하거나 음료의 온도가 마시기에 적합한 온도로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까지 음료를 홀짝이거나 오래 기다려야 한다. 기다리는 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상기 음료의 온도가 너무 많이 변해서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즐기지 못할 수도 있다. 이점은 매우 불편하다.
또한, 상기 친환경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휴대하거나 상기 용기에 충돌이 있을 경우, 용기 안의 액체가 엎질러져 낭비될 뿐만 아니라 마시는 사람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뚜껑 구조체의 설계에 따라, 용기 안의 음료의 온도와 향미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용기 및 그 뚜껑 구조체를 제공하여, 다양한 맛의 음료를 적당한 온도로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음용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뚜껑 구조체는 간식을 제공하여, 마시는 재미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뚜껑 구조체의 설계에 따라, 휴대용 용기의 구조를 강화하여 액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용기 및 그 뚜껑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뚜껑 구조체의 설계로 인하여 개인의 취향에 따라 음료의 일부를 뚜껑 구조체 내에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용기에 담긴 음료의 맛과 온도는 유지 시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용자는 적당한 온도의 다양한 맛의 음료를 한 모금씩 또는 한 회분씩 나누어 마실 수 있어 마시는 즐거움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 구조체의 일부가 식용 가능하며, 상기 음용자는 마신 후 바로 간식으로 섭취할 수 있어 마시는 재미를 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 구조체를 사용하여 상기 휴대용 용기의 구조를 강화하고, 액체가 엎질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휴대를 더 쉽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용 가능한 제1부분을 포함하는 휴대용 용기의 뚜껑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부분은 바닥부 및 환형 벽을 포함한다. 상기 환형 벽은 상기 바닥부의 끼인각을 가지는 방향으로 바닥부의 주변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바닥부 및 상기 환형 벽은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환형 벽의 외측 주변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부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식용 가능하고 용해 가능한 향미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부는 상기 수납 공간에 대향하는 바닥부 및/또는 환형 벽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부를 추가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부는 상기 수납 공간에 대향하는 상기 바닥부 및/또는 상기 환형 벽의 상기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부는 상기 리세스부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수납 공간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떨어진 상기 환형 벽의 상기 외측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되는 홈을 추가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분은 구획부를 추가 포함하되, 상기 구획부는 상기 수납 공간에 대향하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내면에 구성되고, 상기 구획부의 양단은 상기 환형 벽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 공간을 제1수납 공간 및 제2수납 공간으로 분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분은 적어도 2개의 향미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2개의 향미부들은 상기 제1수납 공간 및 상기 제2수납 공간에 각각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형 벽의 상기 외측 주변부는 제1개구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는 상기 구획부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또는 상기 환형 벽의 상기 외측 주변부는 2개의 제1개구부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들은 상기 제1수납 공간 및 상기 제2수납 공간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형 벽의 상기 외측 주변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개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부분; 을 추가 포함하되, 상기 제2부분은 제3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을 덮고,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제2부분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부 및 제3개구부는 상기 바닥부의 대향 측면에 각각 위치된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수용부 및 전술한 뚜껑 구조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에 가까운 상기 수용부의 내측 주변부를 덮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테두리의 외측 주변부를 덮는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수용부 및 전술한 뚜껑 구조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2부분의 내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의 외측 주변부를 덮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뚜껑 구조체의 설계로 인해, 상기 음료의 일부를 개인 취향에 따라 상기 뚜껑 구조체에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에 담긴 음료의 맛과 온도는 유지 시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용자는 한 모금씩 또는 한 회분씩 나누어 적절한 온도로 다양한 맛의 음료를 마실 수 있으며, 이것은 음주의 편리함과 재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 구조체의 일부가 식용이 가능하며, 상기 음용자는 마신 후 바로 간식으로 섭취할 수 있어 마시는 재미를 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 구조체를 사용하여 상기 휴대용 용기의 구조를 강화하고, 액체가 엎질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를 더 쉽게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도시하는 구성도로서, 상기 뚜껑 구조체는 상기 수용부에 적용된 것이다.
도 1b는 도 1a의 상기 휴대용 용기의 상기 뚜껑 구조체 및 상기 수용부의 분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상기 조립된 휴대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d 내지 도 1e는 도 1c의 상기 휴대용 용기의 음용 상태에서의 연속 동작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f 내지 도 1i는 도 1b의 상기 휴대용 용기의 상기 뚜껑 구조체의 다른 측면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뚜껑 구조체가 상기 수용부에 적용된 것이다.
도 2b는 도 2a의 상기 휴대용 용기의 상기 뚜껑 구조체 및 상기 수용부의 분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상기 조립된 휴대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뚜껑 구조체가 상기 수용부에 적용된 것이다.
도 3b는 도 3a의 상기 조립된 휴대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뚜껑 구조체가 상기 수용부에 적용된 것이다.
도 4b는 도 4a의 상기 조립된 휴대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상기 휴대용 용기의 다른 측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상기 뚜껑 구조체가 상기 수용부에 적용된 것이다.
도 5b는 도 5a의 상기 조립된 휴대용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c 내지 도 5d는 도 5b의 상기 휴대용 용기의 음용 상태에서의 연속 동작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e는 도 5b의 상기 휴대용 용기의 다른 음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뚜껑 구조체가 상기 수용부에 적용된 것이다.
도 6b는 도 6a의 상기 조립된 휴대용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6b의 상기 휴대용 용기의 다양한 음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의 구성도로서, 상기 뚜껑 구조체가 수용부에 적용된 것이다.
도 7b는 도 7a의 상기 조립된 휴대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뚜껑 구조체가 상기 수용부에 적용된 것이다.
도 8b는 도 8a의 상기 조립된 휴대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용기(portable container) 및 뚜껑 구조체(lid structure)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며, 여기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용기 및 뚜껑 구조체는, 상기 뚜껑 구조체의 설계에 기초하여, 개인 취향에 따라 상기 뚜껑 구조체 내에 음료의 일부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용기 내의 음료의 맛과 온도는 유지 시간(retention time)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용자는 한 모금씩 또는 한 회분씩(by sips or batches) 나누어 적절한 온도로 다양한 맛의 음료를 마실 수 있으며, 이는 음료의 편리함과 재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뚜껑 구조체의 일부가 식용이 가능하며, 음용자가 마신 후 바로 간식으로 섭취할 수 있어 마시는 재미를 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 구조체를 사용하여 상기 휴대용 용기의 구조를 강화하고, 액체가 엎질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도시하는 구성도로서 상기 뚜껑 구조체가 수용부에 적용된 것이고, 도 1b는 도 1a의 휴대용 용기의 뚜껑 구조체 및 수용부의 분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휴대용 용기(1)는 수용부(containing portion)(2) 및 뚜껑 구조체(lid structure)(3)를 포함한다. 상기 뚜껑 구조체(3)는 식용 가능한 제1부분(edible first part)(31)을 포함한다. 상기 뚜껑 구조체(3)는 상기 제1부분(31)을 덮는 제2부분(32)을 더 포함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도 1c는 도 1a의 조립된 휴대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1부분(31)은 상기 수용부(2)의 테두리에 가까운 수용부(2)의 내측 주변부(inner periphery)를 덮을 수 있고, 상기 제2부분(32)은 상기 테두리의 외측 주변부(outer periphery)를 덮을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용기는 예를 들어, 친환경 용기(일회용 용기 또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 포함)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1i를 참조하면, 도 1i는 도 1b의 휴대용 용기의 뚜껑 구조체의 다른 측면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분(31)은 바닥부(bottom portion)(311) 및 환형 벽(annular wall)(312)을 포함한다. 상기 환형 벽(312)은 상기 바닥부(311)의 주변부로부터 상기 바닥부(311)와의 끼인각(included angle)(
Figure pct00001
)을 가지는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상기 바닥부(311)와 상기 환형 벽(312)은 수납 공간(accommodating space)(S)을 형성한다. 상기 환형 벽(312)의 외측 주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부(first opening)(3121)가 구성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형 벽(312)의 외측 주변부에는 제1개구부(3121)가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개구부(3121)가 형성된 환형 벽(312)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1개구부(3121)가 형성되지 않은 환형 벽(312) 부분의 두께보다 얇다. 즉, 제1개구부(3121)는 상기 환형 벽(312)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다. 또는, 도 1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분(31')의 환형 벽(312')의 외측 주변부는 제1개구부(3121a)로 구성되고, 상기 환형 벽(312') 전체는 균일한 두께를 가진다. 즉, 상기 제1개구부(3121a)는 상기 환형 벽(312')의 일부가 상기 수납 공간(S)을 향하여 만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는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환형 벽(312)은 상기 바닥부(311)의 주변부로부터 상기 방향(D1)과 끼인각(θ)을 가지는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상기 바닥부(311)와 상기 환형 벽(312)은 수납 공간(S)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 공간(S)은 제2부분(32)을 향해 개방된다. 특히, 도 1c는 상기 끼인각(θ)이 90도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끼인각(θ)은 예를 들어, 45도, 60도, 70도, 80도, 또는 상기 바닥부(311)와 상기 환형 벽(312)이 상기 수납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는 모든 값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1b는 상기 환형 벽(312)의 외측 주변부에 하나의 제1개구부(3121)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상기 제1개구부(들)(3121)의 수 및 배열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부(3121)가 상기 환형 벽(312)의 외측 주변부에서 그 내측 주변부로 관통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으로, 상기 환형 벽(312)과 상기 바닥부(311)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 공간(S)이 액체(L)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도면들은 상기 환형 벽(312)의 상부 에지가 원형 벽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환형 벽(312)의 상부 에지는 또한 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 벽, 또는 환형 벽(312)과 바닥부(311)가 수납 공간(S)을 형성하도록 허용하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제1부분(31)이 수용부(2)의 테두리에 가까운 수용부(2)의 내측 주변부를 덮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1i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분(31)의 환형 벽(312)의 외측 주변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개구부(3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32)은 제3개구부(321)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부(3121) 및 제3개구부(321)는 각각 바닥부(311)의 대향 측면들에 위치한다. 이하, 제1개구부(3121), 제2개구부(3122) 및 제3개구부(321)의 기능을 설명하되,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형 벽(312)의 외측 주변부에는 2개의 제2개구부(3122)가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2개구부(3122)가 형성된 환형 벽(312) 부분의 두께는 제2개구부(3122)가 형성되지 않은 환형 벽(312) 부분의 두께보다 얇다. 즉, 각각의 제2개구부(3122)는 상기 환형 벽(312)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된다. 내지는, 도 1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분(31')의 환형 벽(312')의 외측 주변부는 2개의 제2개구부(3122')로 구성되고, 전체 환형 벽(312')은 균일한 두께를 가진다. 즉, 제2개구부(3122')는 상기 환형 벽(312')의 일부가 상기 수납 공간(S)을 향하여 만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도 1b는 상기 환형 벽(312)의 외측 주변부에 2개의 제2개구부(3122)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다만, 제2개구부(3122)의 개수 및 배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개구부(3122)가 상기 환형 벽(312)의 외측 주변부에서 그 내측 주변부로 관통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으로, 상기 환형 벽(312)과 바닥부(311)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납 공간(S)이 액체(L)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b 및 도 1f 내지 도 1h를 참조하면, 도 1f 내지 도 1h는 도 1b의 휴대용 용기의 뚜껑 구조체의 다른 측면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분(31)은 적어도 하나의 식용 가능성(edible) 및 용해 가능성(soluble) 향미부(flavor portion)(313)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부(313)는 상기 수납 공간(S)에 대향하는 상기 바닥부(311) 및/또는 환형 벽(312)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향미부(313)는 도트 패턴으로 도시된다. 도 1b에서는 상기 제1부분(31)의 향미부(313)가 상기 바닥부(311)의 내면 전체 및 상기 수납 공간(S)과 대향하는 환형 벽(312)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분(31a)의 향미부(313a)는 상기 수납 공간(S)에 대향하는 환형 벽(312)의 내면에만 제공되고; 또는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분(31b)의 향미부(313b)는 상기 수납 공간(S)에 대향하는 바닥부(311)의 내면에만 제공되고; 또는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분(31c)의 향미부(313c)는 상기 수납 공간(S)에 대향하는 상기 바닥부(311) 및 상기 환형 벽(312)의 내면의 일부에만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향미부(313, 313a, 313b 또는 313c)는 쉽게 용해되는 비스킷, 머랭, 퐁당, 향미 얼음 조각, 액체 향미 패킷, 고체 향미 패킷, 분말 향미 패킷,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향미부들(313, 313a, 313b, 313c)은 베이킹, 스프레이, 코팅, 인쇄, 스크린 인쇄, 배치, 임베딩 또는 접착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S)에 대향하는 바닥부(311) 및/또는 환형 벽(312)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용성 및 용해성 향미부들(313, 313a, 313b, 313c)은 음용자는 마실 때 액체(L)(액체(L)는 도면에서 수평 파선으로 도시됨)의 향미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h에서는 상기 제1부분(31c)의 상기 향미부(313c)가 상기 수납 공간(S)에 대향하는 상기 바닥부(311) 및 환형 벽(312)의 내면의 일부에만 제공되고 줄무늬 형상(stripe shape)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향미부(313c)는 또한 예를 들어 텍스트, 라떼 아트, 꽃, 동물 또는 만화 캐릭터와 같은 특별한 패턴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 패턴은 음료의 맛과 온도를 조절하면서 시각적인 흥미를 증가시키기 위해 투명한 제2부분(32)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용기에 담긴 액체의 향미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향미부를 활용하는 동작들이 도 1c 내지 도 1e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d 내지 도 1e는 도 1c의 상기 휴대용 용기의 음용 상태에서의 지속적인 동작들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용기 내의 액체(L)에 상기 향미부(313)의 향미를 첨가하고자 할 때, 상기 휴대용 용기(1)는 액체(L)가 상기 수납 공간(S)으로 흐를 수 있도록, 먼저 몇 초 동안 상기 제1개구부(3121) 쪽으로 기울어져야 한다(도 1d 참조). 그런 다음, 상기 휴대용 용기를 기립 위치(stand-up position)로 되돌릴 수 있다. 이때, 상기 과량 액체(L)는 제2개구부(3122)(도 1b를 참조하며, 도 1c 내지 도 1e의 단면도에는 제2개구부(3122)를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상기 수용부(2)의 내부로 다시 흐를 것이다. 상기 향미부(313)는 식용 가능하고 용해 가능하므로, 액체(L)가 상기 수납 공간(S)으로 유입된 후, 그것은 상기 향미부(313)가 상기 액체(L)에 용해될 수 있도록 향미부(313)와 접촉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액체(L)는 상기 향미부(313)의 향미와 함께 첨가될 것이다. 그 후, 상기 휴대용 용기(1)는 상기 제3개구부(321)를 향하여 직접 기울어지며(도 1e 참조), 상기 사용자는 상기 향미부(313)의 향미가 첨가된 액체(L)를 마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체(L)는 뜨거운 커피이고, 상기 향미부(313)는 초콜릿으로, 상기 수납 공간(S)에 대향하는 상기 바닥부(311) 및 환형 벽(312)의 내면에 스프레이, 코팅 또는 접착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제1개구부(3121)로부터 상기 뜨거운 커피가 상기 제1부분(31)의 상기 수납 공간(S)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용기를 음용 상태로 연속 동작을 진행할 수 있고, 개인의 취향에 따라 용기를 흔들거나 수납 공간(S)에 뜨거운 커피가 남아있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뜨거운 커피에 상기 초콜릿이 용해되어, 상기 제2부분(32)의 제3개구부(321)로부터 초콜릿 향이 나는 뜨거운 커피(모카 커피라고도 함)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체(L)는 뜨거운 커피이고 향미부(313)는 예시를 위한 초콜릿이지만, 상기 액체(L)는 예를 들어, 물, 커피, 우유, 홍차, 녹차, 밀크티 또는 임의의 다른 음료와 같은(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차갑거나 뜨거운 음료일 수 있다. 상기 향미부(313)는 예를 들어, 계피, 카다솜, 헤이즐넛, 바닐라 분말, 바닐라 블록, 초콜릿 분말, 브랜디, 레몬 껍질, 오렌지 껍질, 코코넛 밀크, 코코넛 오일, 크림, 자작나무 버섯, 가노데르마, 코디셉스, 바나나, 청록 해초, 아가베 생강 시럽, 황색 분말, 로즈마리, 꿀, 꿀, 갈색 설탕 등 또는 향미가 있는 다른 재료, 또는 쉽게 용해되는 비스킷, 머랭, 퐁당, 향미 얼음 큐브, 액체 향미 패킷, 고체 향미 패킷, 분말 향미 패킷 또는 기타 분해하기 쉬운 향미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한 쉽게 용해 가능한 비스킷, 머랭, 퐁당, 향미 얼음 큐브, 액체 향미 패킷, 고체 향미 패킷, 분말 향미 패킷 또는 이들의 조합은 베이킹, 스프레이, 코팅, 인쇄, 스크린 인쇄, 배치, 임베딩 또는 부착에 의해 상기 수납 공간(S)에 대향하는 바닥부(311) 및/또는 환형 벽(312)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액체의 종류, 향미 부분의 향미 및 재료, 상기 수납 공간(S)에 대향하는 상기 바닥부(311) 및/또는 환형 벽(312)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향미 부분을 배치하는 방식 및 범위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c 내지 도 1e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분(31)은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구운 단단한 비스킷 또는 치약과 같은 인공의 식용 가능한 전분 본체(artificial edible starch body)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부분(31)의 상기 인공의 식용 가능한 전분 본체는 쉽게 용해 가능하지 않고, 제1부분(31)의 향미부(313)는 용해 가능(쉽게 용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액체(L)가 상기 제1부분(31)의 제1개구부(3121)를 통해 상기 제1부분(31)의 상기 수납 공간(S)으로 들어갈 때, 상기 향미부(313)는 상기 액체(L)에 용해될 수 있고(상기 식용 가능한 전분 본체는 유지되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부분(32)의 제3개구부(321)로부터 향미부(313)를 포함하는 상기 향미 액체(L)를 마실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음료를 다 마신 후에, 제1부분(31)(상기 식용 가능한 전분 몸체)을 직접 섭취할 수 있다. 다양한 맛의 음료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에 담가 맛을 낸 비스킷도 즐길 수 있어 재미를 더한다. 특히, 상기 제1부분(31)은 상기 액상(L)에 향미를 첨가하기 위한 상기 향미부(313)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직접 섭취할 수도 있지만, 또한 상기 액체(L)의 온도를 유지하고 조정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액체(L)가 상기 제1부분(31)의 개구부(3121)로부터 상기 제1부분(31)의 수납 공간(S)으로 들어가면, 상기 액체(L)의 일부는 수납 공간(S)에 머물면서 수용부(2)에 있는 액체(L)의 대부분과 격리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수납 공간(S) 내의 액체(L)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수용부(2) 내의 액체(L)의 대부분을 외부로부터 격리시킴으로써 수납 공간(S) 내의 액체(L)의 온도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향미부(313)의 향미는 상기 수납 공간(S)의 액체(L)에 첨가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는 제2부분(32)의 제3개구부(321)로부터 음료를 마실 수 있어 향미부(313)의 향미와 함께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은) 온도에 적합한 액체(L)를 즐길 수 있다.
도 1c 내지 도 1e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향미부(313)는 또한 상기 제1부분(31)의 식용 가능한 전분과 혼합되어, 인공의 식용 가능한 전분 본체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향미부(313)는 제1부분(31)의 상기 식용 가능한 전분과 혼합될 수 있고, 상기 제1부분(31)의 향미부(313)와 상기 식용 가능한 전분은 함께 일체로 형성된 단일 성분(식용 가능한 전분 본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액체(L)가 상기 제1부분(31)의 제1개구부(3121)로부터 제1부분(31)의 수납 공간(S)으로 유입되면, 상기 제1부분(31)에서 혼합된 향미부(313)는 (상기 식용 가능한 전분을 유지하면서) 상기 액체(L)에 용해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부분(32)의 제3개구부(321)로부터 상기 향미부(313)의 향미가 있는 액체(L)를 마실 수 있다. 특히, 상기 식용 가능한 전분 성분들, 예를 들면, 밀 가루(또는 밀 가루), 퀴노아 가루, 감자 전분, 옥수수 전분, 고구마 전분, 찹쌀 가루, 쌀 가루, 카사바 가루, 연근 가루 또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기타 식용 가능한 전분들을 제공한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도시하는 구성도로서 상기 뚜껑 구조체가 상기 수용부에 적용된 경우이고, 도 2b는 도 2a의 휴대용 용기의 뚜껑 구조체 및 수용부의 분해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조립된 휴대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2실시예의 상기 휴대용 용기(1d)의 구조, 구성 및 기능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휴대용 용기(1)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상기 뚜껑 구조체의 제1부분의 구성이 상이하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뚜껑 구조체(3d)의 제1부분(31d)은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부(314d)를 추가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314d)는 상기 수납 공간(S)에 대향하는 상기 바닥부(311d) 및/또는 환형 벽(312d)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부(313d)는 상기 리세스부(314d) 내에 배치된다. 특히, 도면에서는 상기 제1부분(31d)이 하나의 리세스부(314d) 및 하나의 향미부(313d)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부(314d)가 상기 바닥부(311d)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리세스부(314d)의 개수, 향미부(313d)의 개수 및 그 위치들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도시하는 구성도로서 상기 뚜껑 구조체가 상기 수용부에 적용된 것이고, 도 3b는 도 3a의 상기 조립된 휴대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3실시예의 상기 휴대용 용기(1e)의 구조, 구성 및 기능은 전술한 제2실시예의 휴대용 용기(1d)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상기 뚜껑 구조체의 상기 제1부분의 바닥부의 구성에서 상이하다. 도 2a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시예의 상기 뚜껑 구조체(3d)의 제1부분(31d)의 바닥부(311d)는 균일한 두께를 가진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실시예의 상기 뚜껑 구조체(3e)의 제1부분(31e)의 바닥부(311e)는 불균일한 두께를 가진다. 상기 바닥부(311e)의 내면의 단면은 원호 형상(arc-shape)이고, 상기 바닥부(311e)의 두께는 상기 리세스부(314e)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얇아진다. 이러한 설계는 상기 바닥부(311e)(즉, 상기 리세스부(314e))의 중앙에서 상기 수납 공간(S)으로 들어가는 액체(L)를 수집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서는 상기 제1부분(31e)이 하나의 리세스부(314e) 및 하나의 향미부(313e)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부(314e)가 상기 바닥부(311e)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리세스부(314e)의 개수, 향미부(313e)의 개수, 그 위치들, 및 상기 바닥부(311e)의 두께 등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도시하는 구성도로서 상기 뚜껑 구조체는 상기 수용부에 적용된 것이고, 도 4b는 도 4a의 상기 조립된 휴대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4실시예의 상기 휴대용 용기(1f)의 구조, 구성 및 기능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휴대용 용기(1)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실시예 및 제4실시예는 상기 뚜껑 구조체의 제1부분의 구성이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뚜껑 구조체(3f)의 제1부분(31f)은 상기 수납 공간(S) 및 상기 바닥부(311f)로부터 떨어진 상기 환형 벽(312f)의 외측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된 홈(315f)을 추가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 공간(S) 및 상기 바닥부(311f)로부터 떨어진 상기 환형 벽(312f)의 외측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된 상기 홈(315f)의 이러한 설계에 따라, 상기 제1부분(31f)이 상기 수용부(2)의 테두리에 가까운 상기 수용부(2)의 내측 주변부를 덮을 때, 그것은 테두리에 더 가까울 수 있다(상기 제1부분(31f)의 상기 홈(315f)은 상기 테두리보다 높다). 따라서, 상기 제2부분(32)이 상기 테두리의 외측 주변부를 덮을 때, 상기 테두리보다 높게 배치된 상기 제1부분(31f)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상기 수용부(2)를 덮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부분(31f)이 차지하는 상기 수용부(2)의 상기 내부 공간은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의 용량은 증가될 수 있다.
도 4b와 관련하여 도 4c를 참조하면, 도 4c는 도 4a의 상기 휴대용 용기의 다른 측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휴대용 용기(1f')의 구조, 구성 및 기능은 대부분 전술한 휴대용 용기(1f)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휴대용 용기(1f')와 상기 휴대용 용기(1f)는 상기 환형 벽(312f')과 상기 뚜껑 구조체의 제1부분의 홈(315f')의 높이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뚜껑 구조체(3f')의 제1부분(31f')은 상기 수납 공간(S) 및 바닥부(311f')로부터 떨어진 상기 환형 벽(312f')의 외측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된 홈(315f')을 추가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 공간(S) 및 상기 바닥부(311f')로부터 떨어진 상기 환형 벽(312f')의 외측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된 홈(315f')의 이러한 설계에 따라, 상기 제1부분(31f')이 상기 수용부(2)의 테두리에 가까운 수용부(2)의 내측 주변부를 덮을 때, 이는 상기 테두리에 더 가까울 수 있다(상기 제1부분(31f')의 홈(315f')은 상기 테두리보다 높다). 따라서, 상기 제2부분(32)이 상기 테두리의 외측 주변부를 덮을 때, 상기 테두리보다 높게 배치된 상기 제1부분(31f')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고 상기 수용부(2)를 덮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은 환형 벽(312f')은 상기 액체(L)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수납 공간(S)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더 많은 양의 액체(L)의 향미 및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음용의 편의성을 증가시킨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도시하는 구성도로서 상기 뚜껑 구조체가 상기 수용부에 적용된 것이고, 도 5b는 도 5a의 상기 조립된 휴대용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상기 제5실시예의 휴대용 용기(1g)의 구조, 구성 및 기능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휴대용 용기(1)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실시예 및 제5실시예는 상기 뚜껑 구조체의 제1부분의 구성이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뚜껑 구조체(3g)의 제1부분(31g)은 구획부(partition portion)(316g)를 추가 포함한다. 상기 구획부(316g)는 상기 수납 공간(S)에 대향하는 바닥부(311g)의 내면에 구성되고, 상기 구획부(316g)의 양단은 상기 환형 벽(312g)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 공간(S)을 제1수납 공간(S1)과 제2수납 공간(S2)으로 분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분(1g)은 적어도 2개의 향미부들(313g, 313g')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향미부들(313g, 313g')은 상기 제1수납 공간(S1)과 제2수납 공간(S2)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환상 벽(312g)의 외측 주변부는 제1개구부(3121)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3121)는 상기 구획부(316g)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개구부(3121)는 상기 구획부(316g)의 일단부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수납 공간(S1) 및 제2수납 공간(S2)의 양쪽에도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휴대용 용기에 담긴 액체의 향미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향미부를 활용하는 동작들이 도 5c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5c 내지 도 5d는 도 5b의 상기 휴대용 용기의 음용 상태에서의 지속적인 동작들을 도시하는 구성도이고, 도 5e는 도 5b의 상기 휴대용 용기의 음용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액체(L)에 상기 향미부(313g)의 향미를 첨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용기(1g)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액체(L)가 상기 제1수납 공간(S1)으로 흐르도록 몇 초 동안 제1개구부(3121) 및 제1수납 공간(S1)(도 5c의 화살표 방향(D3) 참조)을 향해 기울어져야 한다. 그런 다음, 상기 휴대용 용기를 상기 기립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이때, 상기 과량 액체(L)는 상기 제2개구부(3122)로부터 상기 용기 부분(2)의 내부로 다시 흐를 것이다. 상기 향미부(313g)는 식용 가능하고 용해 가능하므로, 상기 액체(L)가 상기 제1수납 공간(S1)으로 유입된 후(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향미부(313g)가 상기 액체(L)에 용해될 수 있도록 상기 향미부(313g)와 접촉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액체(L)는 상기 향미부(313g)의 맛과 함께 첨가될 것이다. 그 후, 상기 휴대용 용기(1g)를 상기 제3개구부(321)를 향하여 직접 기울어지게 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향미부(313g)의 맛이 첨가된 상기 액체(L)를 마실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액체(L)에 상기 향미부(313g')의 맛을 첨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용기(1g)는 먼저 상기 액체(L)가 상기 제2수납 공간(S2)으로 흐르도록 몇 초 동안 제1개구부(3121) 및 제2수납 공간(S2)(도시되지 않음) 쪽으로 기울어져야 한다. 그런 다음, 상기 휴대용 용기를 상기 기립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이때, 상기 과량 액체(L)는 상기 제2개구부(3122)로부터 상기 수용부(2)의 내부로 다시 흐를 것이다. 상기 향미부(313g')는 식용 가능하고 용해 가능하므로, 상기 액체(L)가 상기 제2수납 공간(S2)으로 유입된 후, 상기 향미부(313g')가 상기 액체(L)에 용해될 수 있도록 상기 향미부(313g')와 접촉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액체(L)는 상기 향미부(313g')의 맛과 함께 첨가될 것이다. 그 후, 상기 휴대용 용기(1g)는 상기 제3개구부(321)를 향하여 직접 기울어지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향미부(313g')의 맛이 첨가된 상기 액체(L)를 마실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액체(L)에 상기 향미부들(313g, 313g')의 맛들을 모두 첨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용기(1g)는 상기 액체(L)가 상기 제1수납 공간(S1) 및 제2수납 공간(S2)으로 흐르도록 먼저 몇 초 동안 제1개구부(3121)(도시되지 않음) 쪽으로 기울어져야 한다. 그런 다음, 상기 휴대용 용기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립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과량 액체(L)는 상기 제2개구부(3122)로부터 상기 수용부(2)의 내부로 다시 흐를 것이다. 상기 향미부들(313g, 313g')은 식용 가능하고 용해 가능하므로, 상기 액체(L)가 상기 제1수납 공간(S1) 및 제2수납 공간(S2)으로 유입된 후 상기 향미부들(313g, 313g')과 접촉하여 상기 향미부들(313g, 313g')이 상기 액체(L)에 용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체(L)는 상기 향미부들(313g, 313g')의 양쪽 맛들과 함께 첨가될 것이다. 그 후, 상기 휴대용 용기(1g)는 상기 제3개구부(321)를 향하여 직접 기울어지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향미부들(313g, 313g')의 맛들이 첨가된 상기 액체(L)를 마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체(L)는 뜨거운 커피이고, 상기 향미부(313g)는 초콜릿이며, 상기 향미부(313g')는 우유이며, 상기 바닥부(311g)의 내면에는 상기 초콜릿 및 우유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수납 공간(S1)과 제2수납 공간(S2)에 대향하는 상기 환형 벽(312g)은 스프레이, 코팅, 인쇄, 스크린 인쇄, 배치, 임베딩 또는 접착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용기를 음용 상태로 계속 조작하여 상기 뜨거운 커피가 상기 제1개구부(3121)로부터 상기 제1부분(31g)의 제1수납 공간(S1) 및/또는 제2수납 공간(S2)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뜨거운 커피에 초콜릿 및/또는 우유를 녹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부분(32)의 제3개구부(321)로부터 초콜릿 및/또는 우유 향미를 가지는 뜨거운 커피(초콜릿 커피, 라떼 또는 초콜릿 라떼, 모카 향미 커피로도 알려짐)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도 6a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뚜껑 구조체가 상기 수용부에 적용된 것이고, 도 6b는 도 6a의 상기 조립된 휴대용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상기 제6실시예의 휴대용 용기(1h)의 구조, 구성 및 기능은 전술한 제5실시예의 휴대용 용기(1g)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6실시예 및 제5실시예는 상기 뚜껑 구조체의 제1부분의 제1개구부의 구성이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환형 벽(312h)의 외측 주변부는 2개의 제1개구부들(3121, 3121')을 포함하고, 이는 제1수납 공간(S1)과 제2수납 공간(S2)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1개구부들(3121, 3121')은 상기 구획부(316h)의 일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6c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도 6c 내지 도 6d는 도 6b의 휴대용 용기의 다양한 음용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용기 내의 상기 액체(L)에 상기 향미부(313h)의 맛을 첨가하고자 할 때, 상기 휴대용 용기(1h)는 먼저 상기 액체(L)가 제1수납 공간(S1)으로 흐를 수 있도록 몇 초 동안 제1개구부(3121) 및 제1수납 공간(S1)을 향해 기울어져야 한다(도 6c 참조). 그런 다음, 상기 휴대용 용기를 상기 기립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이때, 상기 과량 액체(L)는 상기 제2개구부(3122)로부터 상기 수용부(2)의 내부로 다시 흐를 것이다. 상기 향미부(313h)는 식용 가능하고 용해 가능하므로, 상기 액체(L)가 상기 제1수납 공간(S1)으로 유입된 후(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향미부(313h)가 상기 액체(L)에 용해될 수 있도록 향미부(313h)와 접촉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액체(L)는 상기 향미부(313h)의 맛과 함께 첨가될 것이다. 그 후, 상기 휴대용 용기(1h)는 상기 제3개구부(321)를 향하여 직접 기울어지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향미부(313h)의 맛이 첨가된 액체(L)를 마실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용기 내의 액체(L)에 상기 향미부(313h')의 맛을 첨가하고자 할 때, 상기 액체(L)가 제2수납 공간(S2)으로 흐르도록 휴대용 용기(1h)는 먼저 제1개구부(3121') 및 제2수납 공간(S2)(도시되지 않음)을 향해 몇 초 동안 기울어져야 한다. 그런 다음, 상기 휴대용 용기를 상기 기립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이때, 상기 과량 액체(L)는 상기 제2개구부(3122)로부터 상기 수용부(2)의 내부로 다시 흐를 것이다. 상기 향미부(313h')는 식용 가능하고 용해 가능하므로 상기 액체(L)가 상기 제2수납 공간(S2)으로 유입된 후 상기 향미부(313h')와 접촉하여 상기 향미부(313h')가 상기 액체(L)에 용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체(L)는 상기 향미부(313h')의 맛과 함께 첨가될 것이다. 그 후, 상기 휴대용 용기(1h)는 상기 제3개구부(321)를 향하여 직접 기울어지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향미부(313h')의 맛이 첨가된 액체(L)를 마실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용기 내의 액체(L)에 상기 향미부들(313h, 313h')의 양쪽 맛들을 모두 첨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용기(1h)는 상기 액체(L)가 상기 제1수납 공간(S1)과 제2수납 공간(S2)으로 흐르도록 먼저 몇 초 동안 상기 제1개구부들(3121, 3121')(도시되지 않음) 쪽으로 기울어져야 한다. 그 다음, 상기 휴대용 용기는 상기 기립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상기 과량 액체(L)는 상기 제2개구부(3122)로부터 상기 수용부(2)의 내부로 다시 흐를 것이다. 상기 향미부들(313h, 313h')은 식용 가능하고 용해 가능하므로, 상기 액체(L)가 상기 제1수납 공간(S1) 및 제2수납 공간(S2)으로 유입된 후, 이는 상기 향미부들(313h, 313h')과 접촉하여 향미부들(313h, 313h')이 상기 액체(L)에 용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체(L)는 상기 향미부들(313h, 313h')의 양쪽 맛들과 함께 첨가될 것이다. 그 후, 상기 휴대용 용기(1h)는 상기 제3개구부(321)를 향하여 직접 기울어지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향미부들(313h, 313h')의 맛들과 함께 첨가된 액체(L)를 마실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5실시예와 비교하여 두 개의 제1개구들(3121, 3121')로 설계되어 상기 액체가 상기 제1수납 공간(S1)으로만 또는 제2수납 공간(S2)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기가 더 쉽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도 7a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도시하는 구성도로서 상기 뚜껑 구조체가 상기 수용부에 적용된 것이고, 도 7b는 도 7a의 상기 조립된 휴대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7실시예의 휴대용 용기(1i)의 구조, 구성 및 기능은 대부분 전술한 제6실시예의 휴대용 용기(1h)와 동일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7실시예 및 제6실시예는 상기 뚜껑 구조체의 제1부분의 제1개구부의 위치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환형 벽(312i)의 외측 주변부는 상기 제1수납 공간(S1) 및 제2수납 공간(S2)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는 2개의 제1개구부들(3121, 3121')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개구부들(3121, 3121')은 상기 구획부(316i)로부터 떨어져 배치된다(도 7a 참조).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개구부들(3121, 3121')은 상기 액체(L)가 상기 수용부(2)로부터 상기 제1수납 공간(S1) 및/또는 제2수납 공간(S2)으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수납 공간(S1) 및/또는 제2수납 공간(S2)이 상기 과량 액체(L)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과량 부분은 제1개구들(3121, 3121')을 통해 상기 수용부들(2)의 내부로 다시 흐를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용기(1i)의 제1부분(31i)은 식용 가능한 겔 층(edible gel layer)(318i)을 추가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식용 가능한 겔 층(318i)은 상기 수용부(2)와 마주하는 제1부분(31i)의 표면 또는 상기 제1수납 공간(S1) 및 상기 제2수납 공간(S2)을 제외한 상기 제1부분(31i)의 표면의 일부에 배치된다. 상기 식용 가능한 겔 층(318i)은 상기 제1부분(31i)이 상기 액체(L)와 너무 오래 접촉하여 연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전술한 실시예의 제1부분들(31, 31', 31a, 31b, 31c, 31d, 31e, 31f, 31f', 31g, 31h) 중 어느 하나라도 식용 가능한 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용 가능한 검 층은 동물 검, 식물성 검 또는 미생물 검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성분은 예를 들어 해초 검, 아카시아 검, 찹쌀 검, 사과 검, 옥수수 시럽 검, 잔탄 검, 젤란 검, 젤라틴 및 셸락,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식용 가능한 검 성분일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도 8a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용기를 도시하는 구성도로서 상기 뚜껑 구조체가 상기 수용부에 적용된 것이고, 도 8b는 도 8a의 상기 조립된 휴대용 용기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8실시예의 휴대용 용기(1j)의 구조, 구성 및 기능은 대부분 전술한 실시예의 휴대용 용기(1, 1d, 1e, 1f, 1g, 1h 및 1i)와 동일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8실시예와 이전 실시예들은 상기 뚜껑 구조체의 구성에서 상이하다. 이전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부분(31, 31', 31a, 31b, 31c, 31d, 31e, 31f, 31f', 31g, 31h 또는 31i)은 상기 수용부(2)의 테두리에 가까운 상기 수용부(2)의 내측 주변부를 덮고, 그리고 나서 상기 제2부분(32)은 상기 테두리의 외측 주변부를 덮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용기(1j)는 수용부(2) 및 덮개 구조체(3j)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부분(31j)은 상기 제2부분(32j)의 상기 내면에 연결되고, 그리고 나서 상기 제2부분(32j)은 상기 수용부(2)의 테두리에 가까운 상기 수용부(2)의 상기 외측 주변부를 덮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부분(31j)은 결합 구조체(engaging structure)(317j)를 가지고, 상기 제2부분(32j)은 체결 구조체(fastening structure)(322j)를 가진다. 상기 결합 구조체(317j) 및 상기 체결 구조체(322j)는 상기 제1부분(31j)을 상기 제2부분(32j)의 내면에 연결하도록 서로 맞물릴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2부분(32j)은 상기 테두리의 외측 주변부에 캡핑된다. 특히, 비록 도 8a 및 도 8b는 상기 제1부분(31j)과 제2부분(32j)이 상기 제1부분(31j)과 제2부분(32j)의 맞물림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부분(31j) 및 제2부분(32j)은 후크, 나사 결합, 임베딩, 리벳팅, 접착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방법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부분(31, 31', 31a, 31b, 31c, 31d, 31e, 31f, 31f', 31g, 31h 또는 31i)이 상기 수용부(2)에 대응하여 구성되면, 상기 수용부(2)의 테두리의 구조적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운송 중 상기 휴대용 용기(1, 1d, 1e, 1f, 1f', 1g, 1h, 1i 또는 1j)를 눌렀을 때 상기 수용부(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액체(L)는 상기 수용부(2)가 변형되면 상기 테두리로부터 누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용기(1, 1d, 1e, 1f, 1f', 1g, 1h, 1i 또는 1j)의 테두리에는 제1부분(31, 31', 31a, 31b, 31c, 31d, 31e, 31f, 31f', 31g, 31h 또는 31i 및 제2부분(32 또는 32j)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수용부(2) 내부의 상기 액체(L)를 상기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액체(L)의 온도를 유지한다.
도 1a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의 제2부분(32, 32j) 각각은 상기 제1개구부(3121)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천공부(puncture portion)(323)을 가진다(도 1a 참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천공부(323) 및 제3개구부(321)는 상기 제2부분(32, 32j)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부분(32, 32j)에 반절단선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천공부(323)의 위치는 상기 제1개구부(3121)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천공부(323)를 직접 눌러 완전한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고, 그 다음 상기 수용부(2) 내의 액체(L)가 상기 천공부(323)를 통해 쏟아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향미부(313, 313a, 313b, 313c, 313d, 313e, 313f, 313f', 313g, 313g', 313h, 313h' 또는 313j)의 향미가 첨가되지 않아, 사용자가 액체(L)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천공부(323)가 눌러져 완전한 개구부를 형성한 후, 상기 수용부(2) 내부 및 외부 압력 균형을 위한 환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2) 내부의 상기 액체(L)는 상기 제3개구부(321)를 통해 용이하게 쏟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뚜껑 구조체의 설계로 인해, 상기 용기 내의 음료의 향미 및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용자는 적당한 온도의 다양한 맛의 음료들을 한 모금씩 또는 한 회분씩 나누어 마실 수 있어 음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 구조체의 일부가 식용 가능하며, 상기 음용자는 마신 후 바로 간식으로 섭취할 수 있어 마시는 재미를 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 구조체를 사용하여 상기 휴대용 용기의 구조를 강화하고, 액체가 엎질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휴대를 더 쉽게 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예시일 뿐이며 제한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모든 등가 수정 또는 변경은 청구범위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1)

  1. 휴대용 용기(portable container)의 뚜껑 구조체(lid structure)로서,
    식용 가능한 제1부분(edible first part)을 포함하되,
    상기 제1부분은 바닥부(bottom portion) 및 환형 벽(annular wall)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벽은 상기 바닥부와 끼인각(included angle)을 가지는 방향으로 상기 바닥부의 주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바닥부 및 상기 환형 벽은 수납 공간(accommodating space)을 형성하고,
    상기 환형 벽의 외측 주변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부(first opening)로 구성되는,
    뚜껑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식용 가능하고(edible) 용해 가능한(soluble) 향미부(flavor portion)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부는 상기 수납 공간에 대향하는 상기 바닥부 및/또는 상기 환형 벽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뚜껑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부(recess portion)를 추가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부는 상기 수납 공간에 대향하는 상기 바닥부 및/또는 상기 환형 벽의 상기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향미부는 상기 리세스부에 배치되는,
    뚜껑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수납 공간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떨어진 상기 환형 벽의 상기 외측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되는 홈(groove)을 추가 포함하는,
    뚜껑 구조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구획부(partition portion)를 추가 포함하되,
    상기 구획부는 상기 수납 공간에 대향하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내면에 구성되고,
    상기 구획부의 양단은 상기 환형 벽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 공간을 제1수납 공간 및 제2수납 공간으로 분리하는,
    뚜껑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적어도 2개의 향미부들(two flavor portions)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2개의 향미부들은 상기 제1수납 공간 및 상기 제2수납 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뚜껑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벽의 상기 외측 주변부는 제1개구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개구부는 상기 구획부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또는
    상기 환형 벽의 상기 외측 주변부는 2개의 제1개구부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들은 상기 제1수납 공간 및 상기 제2수납 공간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는,
    뚜껑 구조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벽의 상기 외측 주변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개구부를 포함하는,
    뚜껑 구조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부분(second part)을 추가 포함하되,
    상기 제2부분은 제3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을 덮고,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제2부분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개구부 및 제3개구부는 상기 바닥부의 대향 측면에 각각 위치되는,
    뚜껑 구조체.
  10. 휴대용 용기(portable container)로서,
    수용부(containing portion); 및
    제9항의 뚜껑 구조체;
    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에 가까운 상기 수용부의 내측 주변부를 덮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테두리의 외측 주변부를 덮는,
    휴대용 용기.
  11. 휴대용 용기(portable container)로서,
    수용부(containing portion); 및
    제9항의 뚜껑 구조체;
    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2부분의 내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수용부의 상기 테두리의 상기 외측 주변부를 덮는,
    휴대용 용기.
KR1020217040478A 2019-06-12 2019-06-12 휴대용 용기 및 그 뚜껑 구조체 KR202200042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90908 WO2020248162A1 (zh) 2019-06-12 2019-06-12 可携式杯体及其盖体结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219A true KR20220004219A (ko) 2022-01-11

Family

ID=7378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478A KR20220004219A (ko) 2019-06-12 2019-06-12 휴대용 용기 및 그 뚜껑 구조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219872A1 (ko)
EP (1) EP3984903A4 (ko)
JP (1) JP7337199B2 (ko)
KR (1) KR20220004219A (ko)
CN (1) CN113939457B (ko)
AU (1) AU2019450376B2 (ko)
CA (1) CA3141280C (ko)
WO (1) WO20202481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058B1 (ko) * 2022-10-18 2023-04-05 안지한 컵뚜껑
WO2023136567A1 (ko) 2022-01-11 2023-07-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집전체의 활물질 코팅을 위한 다이 코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97906A1 (en) * 2021-03-16 2022-09-22 Altria Client Services Llc Tray with base, dome and brim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721A (ja) * 1995-11-16 1997-05-27 Keisuke Kita 携帯用食品収容器
US5775205A (en) * 1996-12-16 1998-07-07 Melton; Bruce W. Infuser unit for beverages
JP3077810U (ja) 2000-11-20 2001-06-08 秋雲 黄 調味料などの食品攪拌器の構造
US20040137116A1 (en) * 2001-04-04 2004-07-15 Katsunori Saito Method for processing and preserving food and processed food
US6571973B1 (en) * 2001-05-07 2003-06-03 Lazaros C. Tripsianes Cup lid with cooling spillover chamber
JP3920116B2 (ja) 2002-03-12 2007-05-30 高梨乳業株式会社 蓋付き冷凍菓子
CN100405958C (zh) * 2002-11-26 2008-07-30 迈克尔·米兰 具有用于液体冷却的隔板装置的饮料罐盖
JP2006238765A (ja) 2005-03-02 2006-09-14 Mamoru Isemura 納豆パック
WO2006118697A2 (en) * 2005-04-29 2006-11-09 Ipifini, Inc. Programmable liquid containers
CN2818369Y (zh) * 2005-08-08 2006-09-20 杜和轩 降温盖体
CN1749127A (zh) * 2005-09-29 2006-03-22 上海序参量科技发展有限公司 营养成分杯
DE202008015588U1 (de) * 2008-11-24 2009-03-19 Elasto Form Kg Deckelelement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eines Behälters
JP3154863U (ja) 2009-08-17 2009-10-29 スケーター株式会社 シャーベット形成用カップ
CN201641394U (zh) * 2010-04-01 2010-11-24 吕玉 饮料杯
CN202006952U (zh) * 2010-09-30 2011-10-12 林哲宏 热饮杯
US9169043B2 (en) * 2012-08-13 2015-10-27 Sonoco Development Incorporated Container with removable tray
WO2014030806A1 (ko) 2012-08-24 2014-02-27 농업회사법인 코엔에프(유) 음료용 컵 뚜껑 및 음료용 컵
JP6516999B2 (ja) 2013-10-22 2019-05-22 ツキオカフィルム製薬株式会社 容器及び食品分離シート材
TWM494764U (zh) * 2014-07-10 2015-02-01 Wei-Chih Pan 杯蓋及具有杯蓋之容器
JP3197956U (ja) * 2015-03-27 2015-06-11 株式会社シンギ 飲食用容器
CN106551574A (zh) * 2015-09-24 2017-04-05 邱金和 可食用容器及其制法
US20170158424A1 (en) * 2015-12-04 2017-06-08 Victoria Brown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Consumable Retained By Edible Food Packaging
CN106175345A (zh) * 2016-07-27 2016-12-07 安徽益百利环保科技有限公司 可溶解出茶水成份的杯壁材料
TWM541993U (zh) * 2016-11-03 2017-05-21 De-Huai Lian 飲料杯以及二段式凹槽杯蓋結構
WO2018139946A1 (pt) * 2017-01-25 2018-08-02 Galvão & Noronha, Lda. Cápsula com elemento de selagem e processo de preparação de produtos edíveis usando a referida cápsula
CN208625165U (zh) * 2017-11-15 2019-03-22 杨依婷 餐杯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567A1 (ko) 2022-01-11 2023-07-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집전체의 활물질 코팅을 위한 다이 코터
KR102519058B1 (ko) * 2022-10-18 2023-04-05 안지한 컵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450376A1 (en) 2022-01-27
JP7337199B2 (ja) 2023-09-01
CN113939457B (zh) 2023-12-15
WO2020248162A1 (zh) 2020-12-17
JP2022536691A (ja) 2022-08-18
US20220219872A1 (en) 2022-07-14
EP3984903A1 (en) 2022-04-20
CA3141280C (en) 2024-04-09
CA3141280A1 (en) 2020-12-17
CN113939457A (zh) 2022-01-14
EP3984903A4 (en) 2023-01-04
AU2019450376B2 (en) 202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4219A (ko) 휴대용 용기 및 그 뚜껑 구조체
CN101801250B (zh) 盖子、尤其是饮料杯的盖子
US1889111A (en) Flavor dispenser cup
US9624024B2 (en) Push up cereal cup
US20040099544A1 (en) Portable food container having separate compartments
US20040050847A1 (en) Lid for beverage container with sauce compartment
US11779156B2 (en) Reusable beverage container assembly
US20050284874A1 (en) Display stopper for beverage container lids
US20220041334A1 (en) Containers
WO2002068275A2 (en) Portable food container having separate compartments
TWI671241B (zh) 可攜式杯體及其蓋體結構
TWM585762U (zh) 可攜式杯體及其蓋體結構
JP3154610U (ja) 複合容器
US20160073810A1 (en) Compartmentalized cup
KR20090024900A (ko) 보조컵과 음료컵이 일체로 연결된 일회용 용기
JPH046618Y2 (ko)
KR200357644Y1 (ko) 아이스크림용 포장상자
KR200283265Y1 (ko) 커피믹스
TWM585254U (zh) 含有保存液之顆粒食物的杯裝飲品
KR20210132996A (ko) 일회용 식품용기
AU2013100144A4 (en) Infusion Packaging and Assemblies
WO2022184193A1 (en) Kit for personal preparation of beverage with jelly balls
TWM590141U (zh) 包裝食品
JPS583374Y2 (ja) 簡易コ−ヒ−抽出器
JPH0730521Y2 (ja) 二重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