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976A - 특히 자동차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의 브레이크 회로 내의 압력 매체 유동에서 송출 흐름 맥동 및 압력 펄스를 감쇠시키는 유압 댐핑 장치 및 상기 유압 댐핑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전자적으로 슬립 제어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히 자동차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의 브레이크 회로 내의 압력 매체 유동에서 송출 흐름 맥동 및 압력 펄스를 감쇠시키는 유압 댐핑 장치 및 상기 유압 댐핑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전자적으로 슬립 제어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976A
KR20220003976A KR1020210085389A KR20210085389A KR20220003976A KR 20220003976 A KR20220003976 A KR 20220003976A KR 1020210085389 A KR1020210085389 A KR 1020210085389A KR 20210085389 A KR20210085389 A KR 20210085389A KR 20220003976 A KR20220003976 A KR 20220003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damping
pressure
damping device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레흘러
옌스 노르베르크
파트릭 쉘네거
볼프 슈타르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03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6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comprising means for attenuating pressure puls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0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equalis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26Compressed-ai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의 브레이크 회로(28) 내의 압력 매체 유동에서 송출 흐름 맥동 및 압력 펄스를 감쇠시키는 유압 댐핑 장치(14), 및 이러한 유압 댐핑 장치(14)를 구비한 자동차용 전자적으로 슬립 제어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댐핑 장치(14)는 제 1 댐핑 요소(16)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댐핑 요소(18)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요소들(16; 18)은 각각 유압 저항 요소(20; 22) 및 유압 용량(24; 26)을 포함한다. 또한, 댐핑 요소들(16; 18)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유압 저항 요소들(20; 22)과 유압 용량들(24; 26)은 각각 유동 방향(R)에서 서로 교대로 연속해서 배치된다.

Description

특히 자동차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의 브레이크 회로 내의 압력 매체 유동에서 송출 흐름 맥동 및 압력 펄스를 감쇠시키는 유압 댐핑 장치 및 상기 유압 댐핑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전자적으로 슬립 제어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HYDRAULIC DAMPING DEVICE, IN PARTICULAR FOR DAMPING DELIVERY FLOW PULSATIONS AND PRESSURE PULSES IN A PRESSURE MEDIUM FLOW WITHIN A BRAKE CIRCUIT OF A BRAKE CONTROL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ELECTRONICALLY SLIP-CONTROLLABLE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WITH SUCH A HYDRAULIC DAMPING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에 따른 자동차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의 브레이크 회로 내의 압력 매체 유동에서 송출 흐름 맥동 및 압력 펄스를 감쇠시키는 유압 댐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4 항의 특징들에 따른 상기 유압 댐핑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전자적으로 슬립 제어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은 잘 알려져 있다.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은 도로 교통 안전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입증되어, 현재 많은 국가에서 법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면, 차량의 관련 휠들에서 발생하는 휠 슬립이 단시간 동안만 발생하도록 차량의 휠 브레이크 내의 브레이크 압력이 전자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은 제동 과정 동안 조향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주행 동작 동안 불안정한 주행 상태로 되지 않으며 짧은 제동 거리에서도 제동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은 사고가 발생하기 쉬운 교통 상황이나 중대한 운전 조건에 따라 독립적으로, 즉 운전자의 개입없이, 제동 과정을 시작할 수 있으며, 또한 자동화된 운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반을 형성한다.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은 펌프 또는 압력 발생기와 밸브가 배치된 유압 장치로 구성되어 개별 휠의 브레이크 압력을 생성하고 제어한다. 펌프는 이 유압 장치에 부착된 모터, 및 상기 모터와 밸브를 필요에 따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회전 구동되는 편심체에 의해 주기적으로 작동되고 유압 장치에 연결된 라인을 통해 차량의 휠 브레이크로 유압 압력 매체를 송출하는 피스톤 펌프가 종종 펌프 또는 압력 발생기로서 사용된다. 이에 따른 압력 매체 주기적 송출은 송출 흐름 맥동과 압력 펄스가 압력 매체 유동에 나타난다는 단점을 수반한다. 이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에서 발생하며, 압력 매체를 운반하는 라인을 차체에 고정하는 것을 통해 자동차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어서, 거기서 탑승자가 소음으로 인식할 수 있다.
알려진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은 댐핑 장치를 사용하여 이러한 맥동과 충격을 감쇠시킨다. 알려진 댐핑 장치는 압력 발생기 및 밸브와 함께 유압 장치에 설치된다. 댐핑 장치는 유압 용량과 유압 저항 요소로 구성된 소위 댐핑 요소를 포함한다. 후자는 방해받지 않는 압력 매체 유동을 방해하지만, 유압 용량은 특정 체적의 압력 매체를 완충한다. 압력 조건과 무관한 저항이 압력 매체에 발생하지 않게 하는 저항 요소들, 소위 정적 스로틀들뿐만 아니라 압력에 따라 변하는 저항을 갖는 저항 요소들, 소위 동적 스로틀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일정한 체적을 가진 용량뿐만 아니라 압력에 따라 체적이 변하는 용량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변 용량은 일반적으로, 유압 매체보다 더 압축 가능한 매체로 채워진 댐핑 공간으로부터 압력 매체 공간을 분리하는 매체 분리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매체 분리기는 예를 들어 작동 가능한 피스톤으로서 또는 탄성 변형 가능한 멤브레인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의 댐핑 요소 및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의 브레이크 회로 내에 그 구성 요소의 배치는 DE 10 2010 040 157 A1에 개시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댐핑 요소는 유압 장치에서 중요한 설치 공간을 차지하며 치수 및/또는 탄성과 관련된 구조적 설계로 인해 좁은 주파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맥동 또는 압력 펄스만 감쇠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에 따른 유압 댐핑 장치는 한편으로는 주기적으로 동작하는 압력 발생기의 송출 흐름 맥동을 부드럽게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송출된 압력 매체 체적 내에서 압력 펄스를 감쇠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송출 흐름 맥동은 저주파 여기이지만 압력 펄스는 그보다 훨씬 더 높은 주파수의 여기이다. 이는 압력 펄스가 펌프를 통과하는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수단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수단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거의 "갑자기" 발생하기 때문이다. 압력 펄스는 압력 매체 내에서 압력 매체 입자들이 그 휴지 위치 주위에서 위치를 변경하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송출 흐름 맥동은 현재 송출되는 압력 매체량의 변동으로 인한 연속적인 과정을 따른다. 따라서, 이는 모터 샤프트의 커버된 회전 각도에 따라 달라지거나 또는 압력 발생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이 모터 샤프트에 배치된 캠 또는 편심체 요소의 사용된 윤곽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안된 댐핑 장치에서 각각 유압 저항 및 적어도 하나의 유압 용량을 갖는 2 개의 댐핑 요소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이 유압 저항들 및 이 유압 용량들이 각각 압력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연속해서 배치됨으로써, 설명된 장점들이 달성된다. 개별 댐핑 요소의 저항 요소 및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르게 설계된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들 또는 바람직한 개선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또는 다음 설명으로부터 나타난다.
종속 청구항 제 2 항 내지 제 7 항은 댐핑 요소의 유압 저항에 관한 것이다. 이들은 구조적 설계, 유로에서 그 배치, 및 유압 댐핑 장치의 전체 저항에 대한 그 각각의 비율에 관련된다.
종속 청구항 제 8 항 내지 제 13 항에서, 댐핑 요소들에 사용된 유압 용량에 대한 세부 사항이 청구된다. 이들은 이 용량의 구조적 설계, 유로에서 그 배치, 그 각각의 체적 치수 및 댐핑 장치의 총 체적에 대한 각각의 비율과 관련된다.
그 결과, 청구된 조치는 저렴하고 컴팩트하게 구성되며 저주파 송출 흐름 맥동과 고주파 압력 펄스를 효과적으로 감쇠시켜 차량 탑승자를 더 이상 괴롭히지 않는 댐핑 장치를 제공한다.
청구항 제 14 항은 전자적으로 슬립 제어 가능한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의 브레이크 회로 내에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13 항에 따른 댐핑 장치의 국부적 배치에 대한 조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되고 다음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은 총 2 개의 도면으로 구성되며, 도면들에서 서로 대응하는 구성 요소들은 편의상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2개의 실시예는 유압 회로의 섹션에서 유압 구성 요소에 대한 회로 기호를 사용하여 도시된다. 유압 회로의 상기 섹션은 자동차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의 브레이크 회로의 섹션에 해당한다.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의 브레이크 회로(28)의 섹션은 구동 가능한 유압 발생기(10), 및 압력 발생기(10)에 의해 제동 압력 하의 압력 매체가 공급되는 휠 브레이크(12) 사이에서 연장된다. 압력 발생기(10)는 주기적으로 구동되는 압력 발생기인 것으로 가정되며, 이 압력 발생기는 압력 매체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변하는 유량을 생성한다. 발생하는 유량 변동은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로 발생한다.
이 압력 발생기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회전 구동 캠 또는 편심체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 펌프이다. 이러한 피스톤 펌프에는 압력 발생기(10)를 통한 유동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펌프 제어 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펌프 제어 밸브는 대부분 그 제어 요소에서 떨어지는 압력 구배에 따라 거의 갑자기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유압 작동식 밸브이다. 따라서, 이 펌프 제어 밸브는 브레이크 회로(28)에서 송출되는 압력 매체 흐름 내에서 비교적 높은 주파수의 압력 펄스를 트리거한다.
압력 발생기(10)와 휠 브레이크(12) 사이에는, 예시적으로 2 차 유압 저역 통과 필터의 형태로 설계된 댐핑 장치(14)가 배치된다. 원칙적으로, 고차의, 즉 3 차, 4 차 또는 더 높은 차수의 저역 통과 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저역 통과 필터의 차수는 댐핑 장치(14)의 기존 댐핑 요소의 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2 차 저역 통과 필터는 제 1 댐핑 요소(16) 및 제 2 댐핑 요소(18)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유압 저항 요소(20, 22) 및 유압 용량(24, 26)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 1 댐핑 요소(16)의 제 1 유압 저항 요소(20)는 압력 발생기(10)의 하류에 배치된다. 압력 매체의 유동 방향(R)으로 그 뒤에 제 1 댐핑 요소(16)의 제 1 유압 용량(24)이 따른다. 그 다음에는 제 2 댐핑 요소(18)의 제 2 유압 저항 요소(22)와 제 2 유압 용량(26)이 이어진다. 따라서, 댐핑 요소들(16, 18)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관련 저항 요소들(20, 22) 및 용량들(24, 26)이 서로 교대로 연속해서 이어진다. 또한, 저항 요소들(20, 22) 및 용량들(24, 26)은 각각 구조적으로 서로 다르게 설계된다.
제 1 댐핑 요소(16)의 제 1 유압 저항 요소(20)는 일정한 스로틀 단면을 갖는 저항 요소 또는 정적 스로틀이다. 이 스로틀의 스로틀 단면 크기는 압력 조건과는 무관하며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 1 저항 요소(20)는 필요에 따라 기존 압력 매체 라인 내에서 직경이 감소된 섹션으로서 설계될 수 있거나 압력 매체 라인 내로 삽입되는 미리 정해진 스로틀 단면을 갖는 스로틀 슬리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댐핑 요소(16)의 제 1 유압 저항 요소(20)의 하류에 배치된 제 1 유압 용량(24)은 매체 분리기(30)를 구비하고, 따라서 압력 조건에 의존하는 압력 매체 보유량을 갖는다. 압력 매체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압력 매체 보유량이 증가한다. 매체 분리기(30)로는, 예를 들어, 압축 가능한 가스로 채워진 댐핑 공간으로부터 압력 매체 공간을 분리하는 탄성 멤브레인, 또는 스프링 및/또는 엘라스토머 바디와 같은 탄성 부품에 의해 작용하며 실린더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이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제 1 댐핑 요소(16)의 제 1 유압 용량(24) 하류에는 가변 유압 저항을 갖는 제 2 유압 저항 요소(22)가 유로에 배치된다. 압력 조건에 따라, 이러한 저항 요소는 가변 크기의 유동 단면을 개방하므로 동적 스로틀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저항 요소의 경우 압력 차가 증가함에 따라 유동 단면이 증가한다.
제 2 댐핑 요소(18)의 제 2 유압 용량(26)은 상기 동적 스로틀과 휠 브레이크(12) 사이에 위치한다. 이 제 2 유압 용량(26)은 일정한 압력 매체 보유량을 가지며, 기존 압력 매체 라인의 단면 확장으로서 매우 간단히 설계될 수 있거나 상기 압력 매체 라인과 유압식으로 접촉하는 별도의 중공 바디로서 설계될 수 있다.
각각의 댐핑 요소(16, 18)의 유압 저항 요소(20, 22) 및 유압 용량(24, 26)은 도시된 브레이크 또는 유압 회로(28) 내에서 댐핑 효과와 관련하여 서로 구조적으로 조정된다. 이 조정은 다음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
2 개의 저항 요소(20, 22)는 브레이크 또는 유압 회로(28) 내에서 100 %의 총 유압 유동 저항을 초래한다. 이 총 유동 저항은 압력 발생기(10)에 가장 가까운 제 1 저항 요소(20), 즉 정적 스로틀에 의해 약 5 % 내지 15 %가 그리고 휠 브레이크(12)를 향하는 제 2 저항 요소(22) 및 그에 따라 동적 스로틀에 의해 약 85 % 내지 95 %가 생성된다. 따라서, 유압 회로(28) 내의 2 개의 댐핑 요소(16, 18)의 총 유압 용량에 대해서는 반대 조건이 적용된다. 즉, 펌프 측에 배치된 제 1 댐핑 요소(16)의 제 1 유압 용량(24)의 가변 압력 매체 보유량이 댐핑 장치(14)의 100 %의 총 보유량의 약 85 % 내지 95 %를 결정하고, 휠 브레이크 측에 배치된 제 2 댐핑 요소(18)의 제 2 유압 용량(26)의 압력 매체 보유량은 댐핑 장치(14)의 100 %의 총 보유량의 약 5 % 내지 10 %를 결정한다.
설명된 해석 규정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도 1에 따른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제 1 댐핑 요소(16)의 유압 용량(24)이 압력 발생기(10)의 바로 하류에 있고, 이어서 제 2 댐핑 요소(18)의 유압 저항 요소(22) 및 제 2 유압 용량(26)이 이어지며, 이어서 유압 저항 요소(20)가 이어진 다음, 유동하는 압력 매체는 궁극적으로 휠 브레이크(12) 내로 흐른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 1에 따른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제 2 실시예에서는 댐핑 장치(14)가 유압 용량(24)으로 시작하고 유압 저항 요소(20)로 끝난다. 두 실시예의 공통점은 댐핑 요소(16, 18)의 2 개의 유압 용량(24, 26) 사이의 유압 저항 요소(22)가 가변 유동 단면을 갖는 저항 요소이며, 즉 동적 스로틀로서 설계되며, 상기 동적 스로틀 상류에, 압력에 따라 변하는 압력 매체 보유량을 가진 제 1 유압 용량(24)이 배치된다는 것이다. 즉, 제 2 실시예에서, 일정한 유동 단면을 갖는 유압 저항 요소(20)는 댐핑 장치(14)의 입구로부터 출구로 이동되었다.
물론, 설명된 실시예에 대한 변경 또는 추가는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설명된 것 이상으로 가능하다.
10: 압력 발생기
12: 휠 브레이크
14: 댐핑 장치
16, 18: 댐핑 요소
20; 22: 유압 저항 요소
24: 26: 유압 용량
28: 브레이크 회로
30: 매체 분리기

Claims (14)

  1. 특히 자동차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의 브레이크 회로(28) 내의 압력 매체 유동에서 송출 흐름 맥동 및 압력 펄스를 감쇠시키는 유압 댐핑 장치(14)로서,
    상기 유압 댐핑 장치(14)는 제 1 댐핑 요소(16)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댐핑 요소(18)를 포함하고,
    댐핑 요소들(16; 18)은 각각 압력 매체 체적을 완충하기 위한 유압 용량(24; 26) 및
    상기 브레이크 회로(28)에서 방해 없는 압력 매체 유동을 방해하는 유압 저항 요소(20; 22)를 포함하고,
    2 개의 댐핑 요소들(16; 18)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유압 용량들(24; 26) 및 상기 유압 저항 요소들(20; 22)은 각각 압력 매체의 유동 방향(R)에서 서로 교대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유압 댐핑 장치(14).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저항 요소들(20; 22)의 적어도 하나는 압력에 따라 변하는 크기의 유동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핑 장치(14).
  3. 제 2 항에 있어서,
    압력에 따라 변하는 크기의 유동 단면을 갖는 상기 유압 저항 요소(22)는 각각의 댐핑 요소(16; 18)의 상기 유압 용량들(24; 26)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핑 장치(14).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2 개의 댐핑 요소들(16; 18)의 상기 유압 저항 요소들(20; 22) 중 정확히 하나는 압력에 따라 변하는 크기의 유동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핑 장치(14).
  5. 제 4 항에 있어서,
    압력에 따라 변하는 크기의 유동 단면을 갖는 상기 유압 저항 요소(20)는 상기 브레이크 회로(28)에서 상기 압력 발생기(10) 또는 상기 휠 브레이크(12)를 직접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핑 장치(14).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댐핑 요소(16; 18)의 상기 유압 저항 요소들(20; 22)은 상기 댐핑 장치(14)의 총 유동 저항에 대한 상이한 크기의 개별 몫을 갖고, 상기 저항 요소들의 각각의 개별 몫들은 하나의 유압 저항 요소(20)의 개별 몫이 상기 총 유동 저항의 약 5 % 내지 15 %이며 각각 다른 유압 저항 요소(22)의 개별 몫은 상기 총 유동 저항의 약 85% 내지 95%이도록 서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핑 장치(14).
  7. 제 6 항에 있어서,
    압력에 따라 변하는 크기의 유동 단면을 갖는 상기 유압 저항 요소(20)의 유동 저항은 상기 댐핑 요소들(16; 18)의 총 유동 저항의 약 5 %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핑 장치(14).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댐핑 요소(16; 18)의 상기 유압 용량들(24; 26) 중 적어도 하나는 매체 분리기(30)를 구비하고, 상기 매체 분리기(30)는 압력 매체보다 더 압축 가능한 매체가 있는 댐핑 체적으로부터 압력 매체 체적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핑 장치(14).
  9. 제 8 항에 있어서, 압축 가능한 매체가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핑 장치(14).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댐핑 요소(16; 18)의 상기 유압 용량들(24; 26) 중 정확히 하나는 매체 분리기(30)를 구비하고,
    상기 매체 분리기(30)를 구비한, 상기 제 1 댐핑 요소(16)의 상기 용량(24)이 상기 제 2 댐핑 요소(18)의 상기 유압 용량(26) 상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핑 장치(14).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상기 댐핑 요소(16; 18)의 압력 매체를 댐핑하는 상기 유압 용량들(24, 26) 중 정확히 하나가 압력에 따라 변하는 크기의 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핑 장치(14).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댐핑 요소(16; 18)의 상기 유압 용량들(24; 26)의 각각의 개별 체적은, 상기 유압 용량들 중 하나(26)는 상기 댐핑 장치(14)의 총 체적의 약 5 % 내지 15 %인 한편, 각각 다른 유압 용량(24)은 상기 총 체적의 약 85 % 내지 95 %이도록, 서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핑 장치(14).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분리기(30)를 구비한 상기 유압 용량(24)은 상기 총 체적의 약 85 %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핑 장치(14).
  14. 브레이크 압력 하의 압력 매체를 휠 브레이크(12)로 송출하기 위해 전자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구동되는 압력 발생기(10)가 배치된 브레이크 회로(28), 및 상기 브레이크 회로(28)에서 송출 흐름 맥동 및 압력 펄스를 감쇠시키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특징들에 따른 유압 댐핑 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발생기(10)는 압력 매체를 주기적으로 유동 방향(R)에서 송출하는, 자동차용 전자적으로 슬립 제어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댐핑 장치(14)는 상기 브레이크 회로(12)에서 상기 압력 발생기(10)의 하류에 그리고 상기 휠 브레이크(12)의 상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210085389A 2020-07-02 2021-06-30 특히 자동차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의 브레이크 회로 내의 압력 매체 유동에서 송출 흐름 맥동 및 압력 펄스를 감쇠시키는 유압 댐핑 장치 및 상기 유압 댐핑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전자적으로 슬립 제어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 KR202200039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208282.0 2020-07-02
DE102020208282.0A DE102020208282A1 (de) 2020-07-02 2020-07-02 Hydraulische Dämpfungseinrichtung, insbesondere zur Dämpfung von Förderstrompulsationen und Druckimpulsen in einer Druckmittelströmung innerhalb eines Bremskreises eines Bremsregelsystems eines Kraftfahrzeugs und elektronisch schlupfregelbare Brem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solchen hydraulischen Dämpfungsein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976A true KR20220003976A (ko) 2022-01-11

Family

ID=7901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389A KR20220003976A (ko) 2020-07-02 2021-06-30 특히 자동차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의 브레이크 회로 내의 압력 매체 유동에서 송출 흐름 맥동 및 압력 펄스를 감쇠시키는 유압 댐핑 장치 및 상기 유압 댐핑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전자적으로 슬립 제어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013770A (ko)
KR (1) KR20220003976A (ko)
CN (1) CN113879271A (ko)
DE (1) DE102020208282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5517A (ja) * 2002-05-14 2005-08-25 ルーク ラメレン ウント クツプルングスバウ ベタイリグングス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液圧システム
US7670252B2 (en) * 2006-11-17 2010-03-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mechanical transmission during a shift execution
US7996145B2 (en) * 2007-05-03 2011-08-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engine restart for a hybrid powertrain system
DE102010040157A1 (de) 2010-09-02 2012-03-08 Robert Bosch Gmbh Kolbenpumpe zur Förderung von Fluiden und zugehörige Fahrzeugbremsanlage
DE102011089183A1 (de) * 2011-12-20 2013-06-20 Robert Bosch Gmbh Druckpulsationsdämpfer für eine Fahrzeugbremsanlage
DE102013208008A1 (de) * 2012-05-04 2013-1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und Systeme zum Stoppen einer Kraftmaschine
CN109963516B (zh) * 2016-04-18 2021-10-29 伊西康有限责任公司 包括主击发闭锁件和辅助击发闭锁件的外科器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208282A1 (de) 2022-01-05
CN113879271A (zh) 2022-01-04
JP2022013770A (ja)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8619A (ko) 맥동 감쇠가 개선된 유압 시스템
EP0529018B1 (de) Hydraulikaggregat für hydraulische steuer- oder regelvorrichtungen
JP2649091B2 (ja) 高圧液体供給装置
CN108137030B (zh) 用于节流压力介质流的阀装置以及用于抑制压力脉动的减震装置
DE3633687A1 (de) Automatische antriebsschlupfregeleinheit
EP3145767A1 (de) Schlupfregelbare fahrzeugbremsanlage
EP0731762B1 (de) Bremsanlage mit blockierschutzeinrichtung für ein strassenfahrzeug, insbesondere personenkraftwagen
EP0529015B1 (de) Schlupfgeregelte bremsanlag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KR20220003976A (ko) 특히 자동차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의 브레이크 회로 내의 압력 매체 유동에서 송출 흐름 맥동 및 압력 펄스를 감쇠시키는 유압 댐핑 장치 및 상기 유압 댐핑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전자적으로 슬립 제어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
US7735846B2 (en) Hydraulic control circuit
GB2219055A (en) Anti-skid braking system for an automative vehicle
CA1118020A (en) Brake with anti-locking and reapplication control and method
JP6674724B2 (ja) 車両ブレーキ装置の、ダンパを備えた液圧装置
JPH11321619A (ja) 車両の少なくとも1つの走行動特性変数の制御装置および方法
EP0925212B1 (de) Hydraulische kraftfahrzeugbremsanlage mit radschlupfregelung
WO2015176849A1 (de) Dämpfungsvorrichtung
US6513618B1 (en) Power steering system
JP2503274B2 (ja) 流体圧供給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238130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575494B2 (ja)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装置
DE102015204323A1 (de) Dämpfungseinrichtung und schlupfregelbare Fahrzeugbremsanlage
WO2020119975A1 (de) Elektronisch schlupfregelbare bremsanlag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KR101187037B1 (ko) 감쇠력 가변 밸브
KR970065003A (ko) 차동기어의 회전비를 이용한 능동형 현가장치
JPH0338455A (ja) アンチロック液圧ブレーキ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