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227A -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 - Google Patents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227A
KR20220003227A KR1020200080784A KR20200080784A KR20220003227A KR 20220003227 A KR20220003227 A KR 20220003227A KR 1020200080784 A KR1020200080784 A KR 1020200080784A KR 20200080784 A KR20200080784 A KR 20200080784A KR 20220003227 A KR20220003227 A KR 20220003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part
housing
front extension
rear extension
nega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송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론
Priority to KR1020200080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3227A/ko
Publication of KR20220003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08Hospitals, infirmaries, or the like; Schools; Pris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5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underpressure in a room, keeping contamination in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형 이동식 음압병실에 관한 것으로, 중앙의 출입구 하우징(110), 출입구 하우징(1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병실 하우징(120) 및 제2병실 하우징(130)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0)과, 상기 제1병실 하우징(120)과 제2병실 하우징(130) 각각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위치하여, 각각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전면 확장부(200) 및 제2전면 확장부(300)와, 상기 제1병실 하우징(120)과 제2병실 하우징(130) 각각의 배면에서 내측으로 위치하여, 각각 하우징(100)의 배면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가 확장된 상태에서, 병실 공간부의 공기를 배기하여 음압으로 만드는 음압장치부(600)와,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를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확장시키거나 내부로 이동시키되, 확장된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의 처짐을 방지하는 구동장치부(7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A extensible mobile negative pressure room}
본 발명은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2020년 재정된 음압병실 기준(KOBSA-ST-001-202003-01)을 만족하는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대유행에 따라 특정 지역에서 확진자의 수가 동일 시기에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해당 지역의 음압병실 부족현상이 나타난바 있다.
음압병실의 부족에 따라 확진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한 경우, 주변 지역으로 환자를 이송해야 하지만, 이송 과정에서 새로운 확산 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국적인 확산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음압병실을 증축해서 환자를 수용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이러한 음압병실의 부족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646524호(이동식 음압 격리 병실, 2016년 8월 2일 등록)와 같이 이동식 음압병실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상기 등록특허에 기재된 이동식 음압병실은 전실, 화장실, 병실, 기계실을 포함하고, 음압의 절대치 구분을 화장실, 병실, 전실, 기계실의 순서로 높거나 같게 유지하는 구성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동식 음압병실을 구현하면서, 이동가능한 구조물 내에 전실, 화장실, 병실, 기계실을 평면상에서 구획해야 하기 때문에, 통상의 컨테이너 등 규격화된 제품으로는 음압병실 기준을 만족할만한 면적을 확보할 수 없다.
음압시설(격리병상) 기술 기준(KOBSA-ST-001-202003-1, 2020 개정판)의 제4장(기술 기준) 제9조(건축계획)에는 음압병실의 면적, 높이, 출입구의 폭, 유효면적, 폐기물의 일시 보관을 위한 공간의 확보 등 매우 다양하고 구체적인 조건들이 명시되어 있다.
이러한 음압시설 기술 기준을 만족하는 이동식 음압병실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컨테이너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설비가 있어야 하며, 이러한 설비를 제작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차량의 확보가 어려워, 실질적으로는 이동식 음압병실로 보기 어렵다.
즉, 음압시설 기술 기준을 만족하는 종래의 이동식 음압병실은 면적이 넓어서 이동이 어려우며, 구획별로 분리하여 이동시키고 현장에서 재조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압시설 기술 수준을 만족하면서도, 이동이 용이한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공간 활용성을 높임과 아울러 확장시 기계적으로 안정한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은, 본 발명은 확장형 이동식 음압병실에 관한 것으로, 중앙의 출입구 하우징(110), 출입구 하우징(1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병실 하우징(120) 및 제2병실 하우징(130)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0)과, 상기 제1병실 하우징(120)과 제2병실 하우징(130) 각각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위치하여, 각각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전면 확장부(200) 및 제2전면 확장부(300)와, 상기 제1병실 하우징(120)과 제2병실 하우징(130) 각각의 배면에서 내측으로 위치하여, 각각 하우징(100)의 배면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가 확장된 상태에서, 병실 공간부의 공기를 배기하여 음압으로 만드는 음압장치부(600)와,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를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확장시키거나 내부로 이동시키되, 확장된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의 처짐을 방지하는 구동장치부(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병실과 복도를 확장 가능한 구조로 하여, 이동시 병실과 복도를 각각 병실의 일부 및 전실과 중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동하고, 설치시 병실의 일부와 복도를 확장시켜, 음압시설 기술 수준을 만족하면서도 이동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줄입구를 공유하는 두 개의 병실로 구성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임과 아울러 최소한의 면적에서 음압시설 기술 수준에 부합하는 음압병실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병실의 확장시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의 비확장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의 확장상태 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의 확장상태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면 일부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확장 전 상태의 일부 투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확장 후 일부 투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음압병실의 비확장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3은 확장된 상태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확장된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확상된 상태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형 음압병실은, 중앙의 출입구 하우징(110), 출입구 하우징(1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병실 하우징(120) 및 제2병실 하우징(130)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0)과, 상기 제1병실 하우징(120)과 제2병실 하우징(130) 각각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위치하여, 각각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전면 확장부(200) 및 제2전면 확장부(300)와, 상기 제1병실 하우징(120)과 제2병실 하우징(130) 각각의 배면에서 내측으로 위치하여, 각각 하우징(100)의 배면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병실 하우징(120)과 제2병실 하우징(130)은 병실공간부(121, 131)와, 전실(122,132)을 포함하며, 상기 병실공간부(121,131)에는 본 발명이 비확장상태일 때, 각각 제1전면 확장부(200) 및 제2전면 확장부(300)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아울러 전실(122,132) 각각은 본 발명이 비확장 상태일 때, 각각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가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와 제2전면 확장부(300)의 폭은 동일하며, 제1배면 확장부(400)와 제2전면 확장부(500)의 폭은 서로 동일하되,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와 제2전면 확장부(300)의 폭보다는 좁은 것으로 한다.
상기 폭의 차이가 있는 부분은 화장실(126, 136)이 배치된다.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는 각각 설치시 하우징(100)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 이동할 수 있는 구동 수단들과 구동 후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수단들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구성은 이후에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위의 구동 수단들에 의해 이동할 때에는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가 각각 하우징(100)의 내부로 이동하여,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배면 확장부(400)와 제2배면 확장부(500)는 하우징(100)의 배면측으로 각각 스크린 도어(420, 520)가 마련되어 있으며, 확장되었을 때 복도(410, 510)를 형성한다.
이때의 복도(410, 510)는 출입구 하우징(110)의 복도(112)와 연결된다. 이때 복도(410, 510, 112)의 연결은 전실(122, 132)의 내벽(122a, 132a)이 출입구 하우징(110)과는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와 제2전면 확장부(300)가 하우징(100)의 전면측으로 확장되면, 제1전면 확장부(200)와 제2전면 확장부(300)의 바닥면과 측면 및 천장에 가려져 있던 제1병실 하우징(120)과 제2병실 하우징(130)의 일부인 병실공간부(121, 131)가 노출된다.
이때 병실공간부(121,131)는 바닥면, 측면 및 천장을 포함하는 공간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확장된 병실은, 제1전면 확장부(200)의 공간과 병실공간부(121)의 공간을 더한 만큼의 공간을 가지는 하나의 병실과, 제2전면 확장부(300)의 공간과 병실공간부(131)의 공간을 더한 만큼의 공간을 가지는 두 번째 병실을 가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중앙의 하나의 출입공간을 공유하는 두 개의 병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시 병실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최소한의 공간을 이용하여 음압시설 기술 수준에 부합하는 병실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병실 하우징(120)과 제2병실 하우징(130) 각각에는 전실(122,132)과 병실공간부(121,131)를 포함하며, 전실(122,132)과 병실공간부(121,131) 각각을 구획하는 벽면에는 스크린도어(124, 134)가 마련되어 있으며, 전실(122,132)와 확장된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 각각의 복도(410, 510)와의 사이에도 스크린도어(123, 133)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보행이 불가능한 환자는 제1배면 확장부(400)와 제2배면 확장부(500) 각각에 마련된 스크린도어(420, 520)와, 복도(410, 510)와 전실(122, 132) 사이의 스크린도어(123, 133) 및 전실(122,132)과 병실공간부(121,131) 사이의 스크린도어(124, 134)를 통해 출입할 수 있다.
이때 언급된 모든 스크린도어들은 밀폐형 도어로 한다.
의료진의 출입은 출입구 하우징(110)을 통해 이루어지며, 출입구(111a)를 통해 에어샤워부스(111)를 통과하여 출입구 하우징(110)의 복도(112)로 들어갈 수 있다.
복도(112)는 배면 출입문(113)을 통해 외부와 연결될 수 있으나, 배면 출입문(113)은 사용하지 않고 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도(112)는 앞서 언급한 제1배면 확장부(400)와 제2배면 확장부(500) 각각의 복도(410, 510)와 연결되며, 의료진은 앞서 언급한 스크린도어(123, 133)을 통해 전실(122, 132)로 들어갈 수 있으며, 다시 스크린도어(124, 134)를 통해 병실에 출입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면 일부 투시도이다.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병실과 복도 공간의 확장에 초점을 맞춰 설명한 것으로, 하우징(100) 내부에 선택적으로 음압을 형성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음압장치부(6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음압장치부(600)는 적어도 필터(610)와 펌프(620)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620)는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가 확장된 상태에서 동작하여 확장된 병실인 병실공간부(121,131) 및 확장 병실공간부(201,30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음압상태로 만들며, 배출되는 공기는 필터(610)를 통해 필터링된다.
필터(610)는 항균 필터 등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전면 확장부(200)와 제2전면 확장부(300)의 전면에는 병실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창이 설치된다. 이때의 창은 스마트 글라스(203, 303)로 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글라스(203, 303)는 필요에 따라 투광성 또는 비투광성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투광성으로 제어하고, 필요가 없을 때에는 비투광성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글라스(203, 303)를 통해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의 정보는 환자의 상태 정보일 수 있으며, 나아가 질병의 확산 상황에 대한 실시간 정보, 예방법의 홍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전면부에는 패스 박스(pass box, 202,302)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직접 물품을 병실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의 하부측에는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장치부(7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확장 전 상태의 일부 투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확장 후 일부 투시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각각 참조하면, 상기 구동장치부(700)는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 각각의 저면에는 각각 다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내지 제4프레임부(710~740)와, 상기 제1 내지 제4프레임부(710~740) 각각을 이동시키는 실린더(751~75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프레임부(710~7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다수의 프레임(711, 721, 731, 741)과, 각 프레임(711, 721, 731, 741)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휠(712, 722, 732, 742)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들(711, 721, 731, 741)은 각각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의 저면을 지지하여,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의 강성을 높임과 아울러 휠(712, 722, 732, 742)을 이용하여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하거나, 확장된 상태에서 하우징(100)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 및 제1배면 확장부(400), 제2전면 확장부(3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는 각각 쌍으로 하우징(100)의 전면과 배면에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프레임들(711, 721, 731, 741)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프레임부(710)의 프레임들(711)의 사이에 제3프레임부(730)의 프레임들(731)이 배치된다.
이와 동일하게 제2프레임부(720)의 프레임들(721) 사이에 제4프레임부(740)의 프레임들(741)이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4실린더(751~754) 각각을 이용하여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를 개별 이동시킬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일부만 확장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의 원활한 이동과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의 상부에도 휠구조가 적용된다.
도 9는 도 8에서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전면 확장부(200)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100)에서 제공되는 레일(1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상단 구름부(760)를 포함한다.
상단 구름부(760)는 제1전면 확장부(200)의 상부에 연결되는 몸체(761)와, 상기 몸체(76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레일(140)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 휠(762)과, 상기 몸체(76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레일(140)의 저면에 접촉되는 하부 휠(763)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전면 확장부(200)가 제1실린더(751)에 의해 이동할 때, 제1전면 확장부(20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위에서 제1전면 확장부(200)에 상단 구름부(760)가 적용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단 구름부(760)는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 모두에 적용된 것으로 하며, 동일한 구성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확장 가능한 이동식 음압병실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 각각은 확장 상태에서 저면이 지면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가 되며, 하향으로 큰 하중을 받게 된다.
상기 상단 구름부(760)의 하부 휠(763)은 하중에 따라 레일(140)의 저면에 접촉되며, 제1전면 확장부(200)의 처짐을 일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전면 확장부(200)의 처짐 방지를 위하여, 확장상태에서 스토퍼(150)에 접촉되는 처짐방지바(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50)는 하우징(100)의 오픈된 영역의 상부측에 마련된 판상 구조물이다.
상기 스토퍼(150)는 제1전면 확장부(200)가 위치하는 하우징(100)의 일부 영역뿐만 아니라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의 수용하는 오픈 영역의 상부측에도 마련되어 있다.
제1전면 확장부(200)가 확장상태에서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제1전면 확장부(200)에는 스토퍼(150)에 접촉되는 처짐방지바(770)가 설치된다.
처짐방지바(770)는 스토퍼(150)와 접촉되어, 제1전면 확장부(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처짐방지바(770)는 상하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스토퍼(150)에 접촉되기 때문에 제1전면 확장부(20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압병실 자체를 확장 가능한 구조로 하기 때문에 음압병실 자체의 기밀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제1전면 확장부(200)가 확장된 상태에서 제1전면 확장부(200)의 상면 끝단에 위치하여 하우징(100)의 안쪽에 접촉되는 실링부(7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780)는 전면 확장부(200)에 고정을 위한 고정부(781)와, 고정부(781)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며, 단면이 중공된 원형인 탄성부(782)를 포함한다.
이처럼 실링부(780)를 이용하여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가 확장된 상태에서 하우징(100)과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압 병실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하우징 200:제1전면 확장부
300:제2전면 확장부 400:제1배면 확장부
500:제2배면 확장부 600:음압장치부
700:구동장치부

Claims (4)

  1. 중앙의 출입구 하우징(110), 출입구 하우징(1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병실 하우징(120) 및 제2병실 하우징(130)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0);
    상기 제1병실 하우징(120)과 제2병실 하우징(130) 각각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위치하여, 각각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전면 확장부(200) 및 제2전면 확장부(300);
    상기 제1병실 하우징(120)과 제2병실 하우징(130) 각각의 배면에서 내측으로 위치하여, 각각 하우징(100)의 배면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1배면 확장부(400) 및 제2배면 확장부(500);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가 확장된 상태에서, 병실 공간부의 공기를 배기하여 음압으로 만드는 음압장치부(600); 및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를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확장시키거나 내부로 이동시키되, 확장된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의 처짐을 방지하는 구동장치부(700)를 포함하는 확장형 이동식 음압병실.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장치부(700)는,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 각각의 상부에 개별 결합되어, 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상단 구름부(760)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구름부(760)는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 각각의 상부에 개별 결합되는 복수의 몸체(761)와, 상기 몸체(76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140)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 휠(762)과, 상기 몸체(76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140)의 저면에 접촉되는 하부 휠(763)을 포함하는 확장형 이동식 음압병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 각각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150); 및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 각각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가 확장상태에서 상기 스토퍼(150)에 접촉되는 처짐방지바(770)를 더 포함하는 확장형 이동식 음압병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가 확장된 상태에서,
    제1전면 확장부(200), 제2전면 확장부(300), 제1배면 확장부(400), 제2배면 확장부(500) 각각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부(780)를 더 포함하는 확장형 이동식 음압병실.
KR1020200080784A 2020-07-01 2020-07-01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 KR20220003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784A KR20220003227A (ko) 2020-07-01 2020-07-01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784A KR20220003227A (ko) 2020-07-01 2020-07-01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227A true KR20220003227A (ko) 2022-01-10

Family

ID=7934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784A KR20220003227A (ko) 2020-07-01 2020-07-01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32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028B1 (ko) 2022-05-13 2023-03-10 (주)인터오션 이동 가능한 접이식 양음압 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028B1 (ko) 2022-05-13 2023-03-10 (주)인터오션 이동 가능한 접이식 양음압 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0902B2 (ja) 感染症対応型施設
US6772563B2 (en) Mobile accommodation unit in container form
KR102176296B1 (ko) 용도전환이 가능한 이동형 음압병동의 구축방법
WO2008104085A1 (en) Self-cleaning mobile modular isolation unit
US20070144079A1 (en) Buildings
KR102172044B1 (ko) 모듈러 건축공법을 이용한 모듈러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
DE69714860D1 (de) Faltbare, teleskopische, vorgefertigte rahmeneinheiten für nichttragende wände
KR20220003227A (ko) 이동식 확장형 음압병실
CN111395814A (zh) 常规医院与传染病医院平战结合医院及其建造方法
KR102425586B1 (ko) 음압병실이 구비된 이동식 병동
JP2018172924A (ja) 感染症診察スペースを設けた自走式立体駐車場
CN111395813A (zh) 常规医院与传染病医院平疫结合医院及其建造方法
KR20220064853A (ko) 음압 격리병동 컨테이너 시스템
KR102519199B1 (ko) 이동식 음압격리병실
JPH10102643A (ja) 間仕切り構造
GB2415444A (en) Building comprising detachable modules
JP4562564B2 (ja) 個室病室ユニット
CN215671316U (zh) 一种组合式集装箱
US11773613B2 (en) Modular configurable hospital system and method
KR20210146616A (ko) 공간 구획 및 확장용 연동 도어 조립체
KR102509028B1 (ko) 이동 가능한 접이식 양음압 시설
KR101050131B1 (ko) 아파트 복합건물의 구조
CN210152329U (zh) 一种组装式急救屋
CN217581475U (zh) 活动隔墙和可平疫转换的建筑结构
CN115059327B (zh) 医疗建筑护理单元标准层和医疗建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