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000U - 식물 재배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용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3000U KR20220003000U KR2020210001887U KR20210001887U KR20220003000U KR 20220003000 U KR20220003000 U KR 20220003000U KR 2020210001887 U KR2020210001887 U KR 2020210001887U KR 20210001887 U KR20210001887 U KR 20210001887U KR 20220003000 U KR20220003000 U KR 2022000300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low body
- present
- plant cultivation
- plant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8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268 sustained releas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730 sustained-releas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167 biodegradabl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4 cultiv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3 gard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for exampl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6 roo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물 재배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방구와 개방구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확장절개부가 형성된 중공형 본체, 및 확장절개부에 결합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투입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토양의 투입과 식물의 식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식물 재배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식물 재배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투입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토양의 투입과 식물의 식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식물 재배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공간에서 소규모의 식물을 재배하는데 사용되는 화분은 일정량의 토양을 화분 안에 채우고 식물을 식재하도록 구성되어 화초나 나무 등의 식물을 화분의 상부에 수용하여 재배 또는 관상할 수 있으며, 주기적인 수분의 공급을 통해 식물이 성장하도록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기존의 화분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식에서 벗어나, 공기 정화 기능 및 인테리어 등의 목적으로 수태 볼(행잉 볼)을 제작하여 식물을 키우는 방식이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수태 볼은 흙과 수태(이끼), 끈 등을 이용해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구형의 보호틀을 만들어 공중에 매달아 놓거나 선반 또는 바닥에 두는 장식용 틀을 말한다.
그런데, 종래의 수태를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방식은, 수태 볼을 만드는 작업이 다소 복잡하고, 제작에 요구되는 시간이 상당하므로 화분에 흙을 채우고 식물을 식재하는 기존 작업에 비해 많은 작업시간과 노동력을 할애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수태를 이용한 재배방법은 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화분에 비해 적은량의 흙이 사용되고 구조적으로 물의 배수량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식물 생장에 필요한 충분한 물이 흙에 고르게 흡수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장애인이나 유아 등이 원예활동의 일환으로 수태 볼을 제작하여 식물을 키우고자 하는 경우, 주변의 도움 없이는 수태 볼을 제작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태를 이용한 재배방법은 작업자의 실력이나 경험 등에 의존하여 수작업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다소 미흡하게 제작되면 끈이 단단히 묶이지 못하고 풀리면서 수태 볼의 형태가 완전히 해체되는 등의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 내부에 흙을 채우고 식물을 식재하는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일정한 형태를 가지므로 단순히 용기 내부에 흙이 채워지면 식물을 고정하는 보호틀로 사용될 수 있는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식재된 식물의 종류 또는 성장 상태에 따라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은, 개방구와 개방구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확장절개부가 형성된 중공형 본체, 및 확장절개부에 결합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중공형 본체는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하고, 관통공에는 상호 결합되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중공형 본체는 개방구와 이격되어 중공형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본 고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은 복수의 가이드 홈에 압입되는 쐐기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중공형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부, 및 중공형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고, 감지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센서의 신호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은 용기 내부에 단순히 흙을 채워 넣는 것만으로 요구되는 형상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아주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상당히 짧아지며, 작업이 간편하기 때문에 어려운 작업에 제한적인 장애인이나 유아 등 대상 구분 없이 구조물 제작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은 투입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용기 내부에 흙을 채우고 식물을 식재하는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은 투명성의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식재된 식물의 뿌리 또는 지하부를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물 흡수과정이나 뿌리의 성장 등의 장면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교육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에 의하면, 흙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배수 또는 통풍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배수 구멍 또는 통풍 구멍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물이 배수되는 양이나 공기가 통하는 양을 자율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식물 성장 조건에 맞추어 식물을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에 의하면, 식물 성장에 필요한 습도 정보나 온도 정보 등을 감지하고, 검출된 정보를 외부에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식물이 자라나는 현재 환경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의 상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100)은 중공형 본체(10) 및 조절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형 본체(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방된 개방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공형 본체(10)는 개방구(11)를 통해 내부에 흙이 투입될 수 있으며, 내부에 채워진 흙에 식물이 식재되고 개방구(11)를 통해 식물이 중공형 본체(10)의 외측으로 성장될 수 있다. 도면에는 일 예시로서 개방구(11)의 크기가 식물의 줄기 둘레에 비해 크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바람직하게는 줄기 둘레를 인접한 위치에서 에워싸는 형태의 작은 크기(도 7 참고)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공형 본체(10)는 전체적인 형상이 구형, 원통형 또는 각형의 용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공형 본체(10)는 구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구(11)가 상측에 형성되고 하측에는 바닥면(미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중공형 본체(10)는 바닥이나 선반 등에 배치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개방구(11)와 대향하는 측인 바닥면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공형 본체(1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투명성을 띄는 합성수지, 합성섬유, 또는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공형 본체(10)에는 개방구(11)에서 연장되는 확장절개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확장절개부(12)는 개방구(11)의 둘레에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확장절개부(12)는 중공형 본체(10)의 크기에 따라 하나가 형성될 수 있고, 둘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확장절개부(12)는 개방구(11)에서 절개되어 연장되는 하나의 절개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력이 가해지면 절개 라인을 중심으로 중공형 본체(10)가 양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즉, 확장절개부(12)는 양측으로 벌려지는 제1 날개(12a) 및 제2 날개(1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양 날개가 벌어지면서 개방구(11)의 크기를 확장시켜 흙의 투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조절부재(20)는 확장절개부(12)에 결합될 수 있으며, 확장절개부(12)의 절개 라인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절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지퍼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확장절개부(12)의 절개 라인을 따라 이동되어 제1 날개(12a) 및 제2 날개(12b)로 중공형 본체(10)를 분할시킬 수 있다.
즉, 조절부재(20)는 절개 라인을 잠금 상태 또는 열림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동 거리에 따라 확장절개부(12)의 벌어짐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개방구(1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100)은 일정 형태를 가진 본체 내부에 단순히 흙을 채워 넣는 것만으로 요구되는 형상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아주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상당히 짧아지며, 작업이 간편하기 때문에 어려운 작업에 제한적인 장애인이나 유아 등 대상 구분 없이 구조물 제작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100)은 조절부재(20)에 의해 개방구(1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내부에 흙을 채우거나 식물을 식재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100)은 식물의 생장으로 인해 크기가 다른 구조물에 식물을 옮겨 심거나 분갈이를 해야하는 경우, 개방구(11)의 크기가 조절되므로 다른 구조물로의 교체 작업이 훨씬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100)에 의하면, 중공형 본체(10)가 투명성의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식재된 식물의 뿌리 또는 지하부를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물 흡수과정이나 뿌리의 성장 등의 장면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교육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100)은 실리콘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세척이 간편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200)은, 중공형 본체(210)의 관통공(213)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10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본체(210)에는 복수의 관통공(213)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13)은 중공형 본체(210)의 외면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구(212)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구멍들이 중공형 본체(21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관통공(213)이 중공형 본체(210)의 하부 측에만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관통공(213)은 개방구(212)가 위치된 상부 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공(213)은 배수구 또는 통풍구의 역할을 하여 배수 또는 통풍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관통공(213)은 제1 요철부(213a) 및 제2 요철부(21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요철부는 관통공(213)의 통로에 대해 돌출 또는 내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요철부(213a)는 하향 돌출되는 돌기 및 상향의 홈으로 형성되고, 제2 요철부(213b)는 제1 요철부(213a)의 형상과 대응되는 상향 돌기 및 하향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요철부(213a) 및 제2 요철부(213b)는 상호 결속되어서 관통공(213)의 통로를 지그 재그의 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
결국, 관통공(213)은 요철부에 의해 일직선의 구멍이 아닌 일정 경로를 지닌 통로로 형성됨에 따라 흙의 배출을 제한하면서 물 또는 공기의 통행만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에 의하면, 흙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배수 또는 통풍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300-300' 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형 본체(300)는 복수의 가이드 홈(31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314)은 개방구(311)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공형 본체(3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상에는 가이드 홈(314)이 중공형 본체(310)의 하부 측에만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가이드 홈(314)은 개방구(311)가 위치된 상부 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홈(314)은 중공형 본체(310)의 외면에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300)은 가이드 홈(314)에 결합되는 쐐기핀(330)을 포함할 수 있다.
쐐기핀(330)은 가이드 홈(314)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쐐기핀(330)은 가이드 홈(314)에 압입되면서 홈을 구멍의 형태로 뚫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300)은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용기에 구멍을 내어 배수 또는 통풍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300)에 의하면 쐐기핀(330)을 가이드 홈(314)에 삽입한 상태로 두어 구멍을 다시 막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일반적인 화분과는 다르게 배수구 또는 통풍구의 개수를 조절해가면서 물이 배수되는 양이나 공기가 통하는 양을 자율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식물 성장 조건에 맞추어 식물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300)은 상태측정유닛(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측정유닛(340)은 중공형 본체(310)에 설치되어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환경정보들을 측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감지부(341) 및 표시부(342, 3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부(341)는 중공형 본체(3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341a, 341b, 341c)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센서는 토양의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 또는 토양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센서는 중공형 본체(310)의 개방구(311) 또는 토양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대기 온도 정보, 토양 내부 온도 정보, 토양에 함유된 수분량 정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부(342, 343)는 중공형 본체(31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감지부(3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센서(341a, 341b, 341c)로부터 각각의 신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342, 343)는 제1 표시부(342) 및 제2 표시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부(342)는 발광소자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LED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 정보를 색깔 또는 불빛의 수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부(343)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 정보를 디지털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부(341)에 의해 취득된 습도 정보에 따라 식물에 수분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분 부족 상태를 적색 LED 등으로 표시하고, 수분이 과다한 경우에는 수분 과다 상태를 황색 LED 등으로 표시하며, 수분이 적정한 경우에는 보통 상태를 녹색 LED 등으로 표시하여 식물의 현재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식물의 상태별로 추가의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 구멍의 개수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면서 배수량을 조절함에 따라 식물에 공급되는 수분량을 적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300)은 감지부(341)를 통해 식물 성장에 필요한 습도 정보나 온도 정보 등을 감지하고 이들 정보를 표시부(342, 343)에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식물의 주변 환경을 인지하고 이에 알맞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400)은 내피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내피부재(450)는 중공형 본체(41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내피부재(450)는 중공형 본체(410)의 내측 형상과 대응하도록 상측이 개방된 구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피부재(450)는 중공형 본체(410)의 개방구(4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440a)를 포함할 수 있다.
내피부재(450)의 결합부(440a)는 중공형 본체(410)의 개방구(411)에 걸쳐질 수 있도록 상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외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홈(미도시됨)을 갖는 돌기(미도시됨)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형 본체(410)의 개방구(411)에 끼움 가능하게 마련되어 내피부재(450)를 중공형 본체(4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내피부재(450)는 별도의 클립부재(미도시됨)에 의해 중공형 본체(4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렇게, 내피부재(450)는 중공형 본체(410)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 및 제거될 수 있으며, 중공형 본체(410)에 설치되어서 내부에 투입되는 토양 및 식물의 뿌리가 중공형 본체(410)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400)에 의하면, 중공형 본체(410)가 내피부재(450)에 의해 보호되므로 재사용이나 교체시 별도의 세척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내피부재(450)는 보호층(451) 및 비료층(452, 453, 454)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층(451)은 수용성의 막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피부재(450)의 최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층(451)은 비료층(452, 453, 454)을 보호할 수 있으며, 식물의 식재 후 물을 충분히 공급해주면 녹게 되면서 비료층(452, 453, 454)이 흙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비료층(452, 453, 454)은 보호층(451)에 결합될 수 있으며, 내피부재(450)의 외측 즉, 중공형 본체(410)의 내면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비료층(452, 453, 454)은 생분해성 수지와 비료가 혼합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분해되어 비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비료층(452, 453, 454)은 제1 비료층(452), 제2 비료층(453) 및 제3 비료층(4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료층(452)은 보호층(45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서방성 비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비료층(453)은 제1 비료층(45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서방성 비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비료층(454)은 제2 비료층(45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3 서방성 비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내피부재(450)는 다층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비료층(452), 제2 비료층(453), 및 제3 비료층(454)의 순서로 분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방성 비료, 제2 서방성 비료 및 제3 서방성 비료의 순으로 비료가 용출될 수 있으며, 비료의 용출 순서는 생분해성 수지의 혼합 농도 또는 비료에 포함되는 서방성 재료의 혼합 농도 정도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비료층(452), 제2 비료층(453) 및 제3 비료층(454) 각각은 비료와 함께 일정량의 흙을 포함하여 식물의 생장 기간에 따라 중공형 본체(410)의 내부에 추가의 흙을 투입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400)은 분갈이를 하지 않더라도 추가의 흙 또는 비료를 보충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성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500)은 고정부재(56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560)는 중공형 본체(5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끈이나 철사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560)는 끈 또는 철사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러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용 구조물(500)에 의하면 선반 또는 바닥에 거치되지 않고, 고정부재(560)를 통해 공중에 매달리는 형태로 천장 또는 선반 등에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자체적으로 인테리어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게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기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 식물 재배용 구조물
10, 210, 310, 410, 510 : 중공형 본체
11, 211, 311, 411 : 개방구
12, 212, 312, 412 : 확장절개부 213 : 관통공
314 : 가이드 홈 20, 220, 320, 420 : 조절부재
330 : 쐐기핀 340 : 상태측정유닛
341 : 감지부 342, 343 : 표시부
450 : 내피부재 560 : 고정부재
10, 210, 310, 410, 510 : 중공형 본체
11, 211, 311, 411 : 개방구
12, 212, 312, 412 : 확장절개부 213 : 관통공
314 : 가이드 홈 20, 220, 320, 420 : 조절부재
330 : 쐐기핀 340 : 상태측정유닛
341 : 감지부 342, 343 : 표시부
450 : 내피부재 560 : 고정부재
Claims (4)
- 개방구와, 상기 개방구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확장절개부가 형성된 중공형 본체; 및
상기 확장절개부에 결합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용 구조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에는 상호 결합되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식물 재배용 구조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상기 개방구와 이격되어 상기 중공형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홈에 압입되는 쐐기핀;을 더 포함하는 식물 재배용 구조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부; 및
상기 중공형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센서의 신호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식물 재배용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1887U KR20220003000U (ko) | 2021-06-17 | 2021-06-17 | 식물 재배용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1887U KR20220003000U (ko) | 2021-06-17 | 2021-06-17 | 식물 재배용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3000U true KR20220003000U (ko) | 2022-12-26 |
Family
ID=8453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10001887U KR20220003000U (ko) | 2021-06-17 | 2021-06-17 | 식물 재배용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03000U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0925B1 (ko) | 2012-12-31 | 2014-12-09 | (주)한국공예전승협회 | 수태를 이용한 화초 재배방법 |
-
2021
- 2021-06-17 KR KR2020210001887U patent/KR20220003000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0925B1 (ko) | 2012-12-31 | 2014-12-09 | (주)한국공예전승협회 | 수태를 이용한 화초 재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4180606U (zh) | 一种透气储水花盆 | |
KR101726567B1 (ko) | 수직형 식물 재배장치 | |
CN105009973A (zh) | 一种透气储水花盆 | |
JP2011036145A (ja) | 家庭用の栽培ユニット | |
US361163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utdoor flower arrangements | |
KR20110036491A (ko) | 화분용 수위감지기 및 화분 | |
KR20220003000U (ko) | 식물 재배용 구조물 | |
KR100419903B1 (ko) |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 |
KR100518280B1 (ko) | 식생식물근부표면 보호피복재 | |
KR200463816Y1 (ko) | 기능성 화분 | |
CN205511365U (zh) | 一种桌摆补光种植盒 | |
JP2006174829A (ja) | 簡易式養液栽培容器 | |
KR102142449B1 (ko) | 조경용 꽃볼 | |
KR20210016139A (ko) | 착탈식 습도센서를 갖는 화분 | |
KR20160032618A (ko) | 스크린컵이 구성된 수경재배용 베드 세트 | |
KR102582546B1 (ko) | 부유식 다육식물 재배장치 | |
KR20090002959A (ko) | 연꽃재배장치 | |
CN104160889A (zh) | 可自动灌溉及施肥的屏风花盆 | |
KR101011378B1 (ko) | 관상식물용 수직형 지지체 | |
US20220110268A1 (en) | Effective and beneficial vessels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to manipulate root growth | |
KR200365118Y1 (ko) | 연꽃화분 | |
JPH07246032A (ja) | 水分量表示式植木鉢 | |
KR20120100072A (ko) | 도시원예용 재배세트 | |
KR200271930Y1 (ko) | 배지셀을 이용한 셀성목 재배관리기 | |
KR200246716Y1 (ko) | 화분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