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891U - 온도조절기 - Google Patents

온도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891U
KR20220002891U KR2020210001699U KR20210001699U KR20220002891U KR 20220002891 U KR20220002891 U KR 20220002891U KR 2020210001699 U KR2020210001699 U KR 2020210001699U KR 20210001699 U KR20210001699 U KR 20210001699U KR 20220002891 U KR20220002891 U KR 202200028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uction
disposed
suction pipe
temperatur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587Y1 (ko
Inventor
장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Priority to KR2020210001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587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8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8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features for holding the PCB with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도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가 내장된 온도조절기의 내부로 흡입되어 통과하는 외부 공기가 흡입 및 배출이 원활하도록 하는 내부 구조를 가지고, 벽면 외측에 돌출되는 두께 및 내측에 매립되는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온도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도조절기 {Temperature Controller}
본 고안은 온도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가 내장된 온도조절기의 내부로 흡입되어 통과하는 외부 공기가 흡입 및 배출이 원활하도록 하는 내부 구조를 가지고, 벽면 외측에 돌출되는 두께 및 내측에 매립되는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온도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도조절기는 온도조절구(thermostat), 동작 표시램프, 전원제어 릴레이, 온도 제어회로 등이 하나의 기판 위에 조립되어 있고, 기판은 케이스의 내부에 나사로 체결하고 커버를 나사로 체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고장이 빈번한 릴레이가 고장이 생기면 릴레이를 교체하기 위하여 커버와 기판을 케이스에서 해체하고 다시 릴레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수순(手順)이 복잡하고 고장이 빈번한 릴레이의 교체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하기의 실용신안문헌 1에서는, 릴레이를 교체하기 용이한 구조로 제작된 난방용 온도조절기의 조립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케이스 내부에 릴레이와 같이 부피가 비교적 큰 전자부품을 내부에 수용하게 될 경우, 전자부품 및 케이스 내부에 유격을 최소화하도록 구조를 조밀하게 조립되도록 하지 않으면, 장치 자체의 부피가 매우 커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벽면 외측에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제작 및 설치되는 온도조절기의 특징에 있어, 벽면 외측에 돌출되는 두께가 두꺼워질 경우, 실내에 배치 및 이동되는 물체에 의하여 기기 본체에 충격을 가하게 되고, 또는 물체에 기기 외측의 일부가 걸릴 경우, 벽면 내부에 매립된 기기의 전 부위가 벽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문헌 0001) KR 20-0423068 Y1
본 고안은 온도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가 내장된 온도조절기의 내부로 흡입되어 통과하는 외부 공기가 흡입 및 배출이 원활하도록 하는 내부 구조를 가지고, 벽면 외측에 돌출되는 두께 및 내측에 매립되는 두께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온도조절기로서,
사용자의 조작입력을 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전면패널; 일측에서는 상기 전면패널이 부착되는 전면프레임; 상기 전면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고, 외부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팬을 구비하고, 미세먼지농도를 센싱하는 미세먼지센서; 및 상기 미세먼지센서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기 타측에 배치되는 후면프레임;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프레임은, 상기 전면프레임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전면프레임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게 하는 흡입공; 내부에 상기 흡입공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흐를 수 있고,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기 타측의 면에 형성된 격벽으로 구현되는 흡입관로; 및 상기 흡입관로에 연결되고, 상기 미세먼지센서를 수용하는 센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로는 상기 흡입공 측에 배치되는 제1흡입관로 및 상기 제1흡입관로와 상기 센서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흡입관로를 포함하는, 온도조절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흡입관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2흡입관로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흡입관로의 단면적은 상기 흡입관로에 인접한 측에서 상기 흡입관로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프레임은, 상기 전면프레임의 타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미세먼지센서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배출공; 및 상기 미세먼지센서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고,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기 타측의 면에 형성된 격벽으로 구현되는 배출관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로는 상기 배출공 측에 배치되는 제1배출관로 및 상기 제1배출관로와 상기 센서결합부 사이에 배차되는 제2배출관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관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2배출관로의 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배출관로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온도조절기의 내부 구성들의 냉각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면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흡입공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흐를 수 있고, 상기 후면프레임의 상기 일측의 면에 형성된 격벽으로 구현되는 흡입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로와 상기 흡입유로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흐를 수 있고, 상기 흡입유로는 상기 미세먼지센서 측에 배치되는 제1흡입유로; 및 상기 제1흡입유로와 상기 흡입공 사이에 배치되는 제2흡입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흡입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2흡입유로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도조절기는 제1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분리된 제2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프레임은, 상기 온도조절기가 배치되는 벽면 측으로 돌출되는 격벽으로 구현되는 기판수용부; 상기 기판수용부의 격벽의 내측 모서리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돌출높이가 서로 상이한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에 의하여 기판수용부 내의 제1높이에서 제1기판이 수용되고, 상기 제2체결부에 의하여 기판수용부 내의 제2높이에서 상기 제2기판이 수용되고, 상기 제1기판은 상기 제2체결부가 관통할 수 있는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도조절기는 전면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프레임은, 상기 흡입관로의 하측에 배치되고, 전면기판을 수용할 수 있는 전면기판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로의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전면기판의 위치가 상기 전면기판수용부 내에서 상기 격벽보다 낮은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벽면으로부터 비교적 적게 돌출되는 외형을 구비함에 따라, 온도조절기는 인접한 물체에 기기가 걸리지 않아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부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원활하여 방열이 우수하고, 벽면 외측에 돌출되는 두께가 20mm 이하일 수 있는 온도조절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온도조절기 내부에 외부 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곡면형태를 가짐으로써, 내부에 흡입된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고, 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기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기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기의 하부 내측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기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기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기판이 결합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가 결합된 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기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는 전면패널(1000); 내부에 상기 온도조절기를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전면프레임(20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1000)은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온도조절기를 조작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버튼(1200), 및 상기 온도조절기의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버튼(1200)은, 내장된 시스템 내부의 인터페이스에서 상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는 버튼, 시스템 환경설정에 접근할 수 있는 버튼, 및 초기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는 홈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버튼(1200)은, 기능의 구현 및 사용자의 편의성에 있어 상기 복수의 버튼 이외에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1 이상의 버튼이 더 추가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0)는, 사용자가 상기 내장된 시스템을 조작함에 따라 난방장치의 온도조절 상태 및 실내 공기질을 포함한 복수의 제어 요소를 시각화하여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후술하는 흡입공(2100)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후면프레임(40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후면프레임(4000)은 상기 전면프레임(2000)의 후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부가 돌출되어 벽면에 매립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온도조절기는 상기 전면패널(1000), 상기 전면프레임(2000), 및 상기 후면프레임(4000)이 서로 결합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후면프레임(4000)의 일부가 벽면에 매립됨에 따라 기기의 구성요소 일부가 매립되어 내부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벽면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종래의 온도조절기가 벽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경우에, 벽면의 외측으로부터 20mm 이상 돌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돌출된 온도조절기에 부딪히거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가구 등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충돌할 수 있어 고장의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 고안의 온도조절기는 일 실시예에서 벽면으로부터 비교적 적게 돌출되는 외형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온도조절기는 20 mm 이하의 두께를 갖을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벽면으로부터 비교적 적게 돌출되는 외형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온도조절기는 인접한 물체에 기기가 걸리지 않아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기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온도조절기는, 상기 전면프레임(2000)의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공기질을 센싱하는 미세먼지센서(3000); 및 중심부에 기판부(5000)이 배치되는 후면프레임(40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기는 상기 전면패널(1000), 상기 전면프레임(2000),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 및 상기 후면프레임(4000)이 동축상에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온도조절기는 상기 전면패널(1000)의 후측에 상기 전면프레임(2000)가 배치되고, 상기 전면프레임(2000)의 중심부에 형성된 센서결합부(2300)에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가 배치되고,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의 외측에 기판부(5000)을 포함하는 상기 후면프레임(4000)이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조절기는 외부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원활하여 방열이 우수하고, 벽면 외측에 돌출되는 두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후면프레임(40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기판을 조립할 수 있는 상기 기판수용부(4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수용부(4100)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관로(2200)와 결합될 수 있는 내측흡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수용부(4100)의 외측면에는, 끼움 결합할 수 있는 탄성 구조물의 형태를 갖는 복수의 조립부재(32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3211)는 브라켓부(6000)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부재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기판수용부(4100)의 외측면에는 상기 브라켓부(6000)가 끼워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부(6000)는 상기 온도조절기가 벽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경우에, 가장 먼저 벽면에 결합하도록 하고, 이후 상기 후면프레임(4000)를 결합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상기 온도조절기가 벽면에 끼움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프레임(20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면프레임(2000)는, 일측면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전면프레임(2000)의 내부로 흡입시키는 흡입공(2100); 내부에 상기 흡입공(210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흐르는 흡입관로(2200); 내부에 상기 흡입관로(2200)를 지난 공기가 흐르는 배출관로(2400); 및 타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관로(2400)를 지난 상기 공기를 상기 전면프레임(20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2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흡입관로(2200)는 상기 흡입공(2100) 측에 배치되는 제1흡입관로(2210) 및 상기 제1흡입관로(2210)와 상기 센서결합부(2300) 사이에 배치되는 제2흡입관로(2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흡입관로(2210)의 단면적은 상기 제2흡입관로(2220)의 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흡입관로(2200)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온도조절기의 내부 구성들의 냉각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관로(2210)의 단면적은 상기 흡입관로(2200)에 인접한 측에서 상기 흡입관로(2200)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출관로(2400)는 상기 배출공(2500) 측에 배치되는 제1배출관로(2410) 및 상기 제1배출관로(2410)와 상기 센서결합부(2300) 사이에 배차되는 제2배출관로(2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관로(2410)의 단면적은 상기 제2배출관로(2420)의 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배출관로(2400)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온도조절기의 내부 구성들의 냉각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흡입관로(2210) 및 상기 제1배출관로(2410)는,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기는, 벽면 외부로 돌출되는 두께가 얇도록 하고, 상기 온도조절기의 내부 구성들의 냉각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프레임(2000)은, 중앙에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가 배치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흡입공(2100)을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배출공(2500)으로 흘러서 통과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배출공(2500)이 형성된 타측면으로부터 흡입되어 상기 흡입공(2100)이 형성된 일측면의 방향으로 흘러서 통과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조절기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외측으로부터 좌측에 배출공(2500), 및 우측으로 흡입공(2100)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공기 흐름의 방향이 바뀔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수용부(2700)는, 상기 디스플레이(1100)를 수용하여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0)는, 상기 센서결합부(2300)의 외측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 따라, 본 고안의 온도조절기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온도조절기의 두께는, 벽면 외부로 돌출되는 두께, 즉, 상기 전면프레임(2000)가 20mm 이하의 두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관로(2200)의 일부는 상기 흡입공(2100)에 인접하는 관로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관로(2200)의 일부의 직경은 상기 흡입관로(2200)의 나머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흡입공(2100)을 통하여 상기 흡입관로(2200)의 일부를 지나는 외부 공기의 양은, 상기 흡입관로(2200)의 나머지를 지나는 외부 공기의 양보다 많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관로(2400)의 일부는 상기 배출공(2500)에 인접하는 관로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관로(2400)의 일부의 직경은 상기 배출관로(2400)의 나머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배출공(2500)을 통하여 상기 배출관로(2400)의 일부를 지나는 외부 공기의 양은, 상기 배출관로(2400)의 나머지를 지나는 외부 공기의 양보다 많을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전면프레임(2000)의 구조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온도조절기는 내부에 흡입된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고, 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다. 또한, 벽면 외측에 노출되는 기기의 두께가 얇을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기의 하부 내측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때, 상기 온도조절기는 조립된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후면프레임(4000)는, 상기 온도조절기가 배치되는 벽면 측으로 돌출되는 격벽(4110)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4110)의 내측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돌출높이가 서로 상이한 체1체결부(4120) 및 체2체결부(4130)를 포함하여, 상기 체1체결부(4120) 및 상기 체2체결부(4130)에 의하여 상기 격벽(4110)의 내부에 상기 기판부(5000)을 수용하는 기판수용부(4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유로(4200), 및 배출유로(4300)는 중심부에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를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유로(4200)는 상기 흡입관로(2200)과 결합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배출유로(4300)는 상기 배출관로(2400)과 결합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외부 공기는, 상기 흡입되는 유로,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 및 상기 배출되는 유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흐를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기가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를 통과할 수 있는 유로는 상기 흡입유로(4200)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양은 많아지고,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을 통과한 외부 공기의 양은 상기 배출유로(4300)를 지나면서 적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흡입공(2100)으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는 흡입 유로가 축소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 수 있고,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로 외부 공기가 빠르게 유입됨에 따라, 기기 내부의 발열을 냉각시킬 수 있고,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의 센서 성능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수용부(4100)는 중심부에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의 외측에 상기 기판부(5000)을 수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판수용부(4100)는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흡입유로(4200) 및 상기 배출유로(4300)에 의하여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흡입공(2100)을 통하여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확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공(2100)을 통하여 상기 흡입관로(2200)의 일부를 지나는 외부 공기의 양은 상기 흡입관로(2200)의 나머지를 지나는 외부 공기의 양보다 많을 수 있고, 상기 흡입관로(2200)의 나머지를 지나는 외부 공기의 양은 상기 상기 흡입유로(4200) 및 상기 배출유로(4300)의 단부측을 지나는 외부 공기의 양보다 적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배출공(25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외부 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확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공(2500)을 통하여 상기 배출관로(2400)의 일부를 지나는 외부 공기의 양은 상기 배출관로(2400)의 나머지를 지나는 외부 공기의 양보다 많을 수 있고, 상기 배출관로(2400)의 나머지를 지나는 외부 공기의 양은 상기 상기 흡입유로(4200) 및 상기 배출유로(4300)의 단부측을 지나는 외부 공기의 양보다 적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온도조절기는 내부에 외부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의 직경이 연속적으로 확장 및 축소될 수 있어, 외부 공기를 원활하게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기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프레임(4000)은 상기 격벽(4110)의 내측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돌출높이가 서로 상이한 체1체결부(4120) 및 체2체결부(4130)를 포함하는 상기 기판수용부(4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1체결부(4120)의 돌출높이는 상기 체2체결부(4130)의 돌출높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1체결부(4120) 및 상기 체2체결부(4130)는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기판수용부(4100)의 상기 격벽(4110)의 내부에 상기 기판부(5000)을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판부(5000)는,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복수의 오목홈(5211)이 형성되고, 나머지 모서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1관통홀(5212)이 형성되는 제1기판(5210); 및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2관통홀(5221)이 형성되는 제2기판(5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홈(5211) 및 상기 제2관통홀(5221)은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판(5210) 및 상기 제2기판(5220)은 상기 오목홈(5211) 및 상기 제2관통홀(5221)이 상기 후면프레임(4000)에 형성되는 상기 체1체결부(4120) 및 상기 체2체결부(4130)에 동축 상에 배치되도록 위치할 수 있고, 나사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후면프레임(40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면프레임(2000)는, 회로기판(2600); 및 상기 흡입관로(2200) 및 상기 배출관로(240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전면기판수용부(2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온도조절기는 전면기판(51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프레임(2000)은, 상기 흡입관로(2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전면기판(5100)을 수용할 수 있는 전면기판수용부(2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로(2200)의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전면기판(5100)의 위치가 상기 전면기판수용부(2600) 내에서 상기 격벽보다 낮은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2600)은 상기 전면기판수용부(2600)에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로기판(2600)은 상기 전면프레임(2000)에 형성된 상기 흡입관로(2200) 및 상기 배출관로(2400)가 배치되는 영역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기판(2600)은 상기 전면기판수용부(2600)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끼움홈에 의하여 상기 전면프레임(20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관로(2200) 및 상기 배출관로(2400)가 배치되는 영역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후면프레임(4000)은, 내부에 상기 흡입공(210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흐를 수 있고, 상기 후면프레임(4000)의 상기 일측의 면에 형성된 격벽으로 구현되는 흡입유로(420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로(2200)와 상기 흡입유로(420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흐를 수 있고, 상기 흡입유로(4200)는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 측에 배치되는 제1흡입유로(4210); 및 상기 제1흡입유로(4210)와 상기 흡입공(2100) 사이에 배치되는 제2흡입유로(4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흡입유로(42100)의 단면적은 상기 제2흡입유로(4220)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4300)는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 측에 배치되는 제1흡입유로(4300); 및 상기 제1흡입유로(4310)와 상기 흡입공(2100)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배출유로(4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유로(4310)의 단면적은 상기 제2배출유로(4320)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흡입관로(2200) 및 상기 흡입유로(4200)는 상기 전면프레임(2000) 및 상기 후면프레임(4000)이 결합되어 흡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배출관로(2400) 및 상기 배출유로(4300)는 상기 전면프레임(2000) 및 상기 후면프레임(4000)이 결합되어 상기 흡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로부터 방출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후면프레임(4000)의 구조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온도조절기는 내부에 흡입된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고, 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다. 또한, 벽면 외측에 노출되는 기기의 두께가 얇을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기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2600)은 상기 흡입관로(2200) 및 상기 배출관로(2400)가 배치되는 영역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2600)은 상기 전면프레임(20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흡입관로(2200), 및 상기 배출관로(2400)의 밑단에 결합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는 상기 온도조절기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5000)이 결합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판(5210) 및 상기 제2기판(5220)은 상기 오목홈(5211) 및 상기 제2관통홀(5221)이 상기 후면프레임(4000)에 형성되는 상기 체1체결부(4120) 및 상기 체2체결부(4130)에 동축 상에 배치되도록 위치할 수 있고, 나사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후면프레임(40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7(a)는 상기 제1기판(5210) 및 상기 제2기판(5220)이 결합되지 않은 온도조절기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온도조절기의 후측에 배치되는 상기 후면프레임(4000)은 상기 격벽(4110)의 내측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돌출높이가 서로 상이한 상기 체1체결부(4120) 및 상기 체2체결부(4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b)는 상기 제1기판(5210)이 결합된 온도조절기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판(5210)은 상기 오목홈(5211)과 상기 체2체결부(4130)가 동축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관통홀(5212)과 상기 체1체결부(4120)가 동축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수용부(4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c)는 상기 제2기판(5220)이 결합된 온도조절기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기판(5220)은 상기 제2관통홀(5221)과 상기 체2체결부(4130)가 동축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수용부(4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부(5000)은 상기 제1기판(5210), 및 상기 제2기판(5220) 순으로 상기 기판수용부(4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체1체결부(4120) 및 상기 체2체결부(4130)에 나사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후면프레임(40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가 결합된 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판(5210)은, 상기 외부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센싱하는 미세먼지센서(3000); 및 상기 외부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습도 중 1 이상을 센싱하는 제1센서(5110);를 일면에 실장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센서(5110)는 일측면에 형성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공(2100)을 통하여 기기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측면에 형성되는 미도시된 홀을 포함할 수 있고, 흡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를 통과시켜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는 내부에 상기 외부 공기를 상기 전면프레임(2000)의 내부로 흡입시키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센서(5110)의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를 일방향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팬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외부 공기는 상기 흡입공(2100)을 통하여 흡입된 후에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의 내부를 지나서 상기 배출공(2500)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팬은 소형 팬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미세먼지센서(3000) 및 상기 제1센서(5110)는 상기 온도조절기의 내부에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공기질을 센싱할 수 있고, 센싱된 데이터를 상기 온도조절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온도조절기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형태의 제어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로기판(2600), 상기 제1기판(5210), 및 상기 제2기판(5220)을 포함할 수 있고, 각 기판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되는 조작버튼(1200)에 의하여 상기 온도조절기를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벽면으로부터 비교적 적게 돌출되는 외형을 구비함에 따라, 온도조절기는 인접한 물체에 기기가 걸리지 않아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부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원활하여 방열이 우수하고, 벽면 외측에 돌출되는 두께가 최소화되는 온도조절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온도조절기 내부에 외부 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곡면형태를 가짐으로써, 내부에 흡입된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고, 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온도조절기로서,
    사용자의 조작입력을 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전면패널;
    일측에서는 상기 전면패널이 부착되는 전면프레임;
    상기 전면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고, 외부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팬을 구비하고, 미세먼지농도를 센싱하는 미세먼지센서; 및
    상기 미세먼지센서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기 타측에 배치되는 후면프레임;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프레임은,
    상기 전면프레임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전면프레임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게 하는 흡입공;
    내부에 상기 흡입공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흐를 수 있고,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기 타측의 면에 형성된 격벽으로 구현되는 흡입관로; 및
    상기 흡입관로에 연결되고, 상기 미세먼지센서를 수용하는 센서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로는 상기 흡입공 측에 배치되는 제1흡입관로 및 상기 제1흡입관로와 상기 센서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흡입관로를 포함하는, 온도조절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관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2흡입관로의 단면적보다 큰, 온도조절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관로의 단면적은 상기 흡입관로에 인접한 측에서 상기 흡입관로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온도조절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은,
    상기 전면프레임의 타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미세먼지센서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배출공; 및
    상기 미세먼지센서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고,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기 타측의 면에 형성된 격벽으로 구현되는 배출관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로는 상기 배출공 측에 배치되는 제1배출관로 및 상기 제1배출관로와 상기 센서결합부 사이에 배차되는 제2배출관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관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2배출관로의 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배출관로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온도조절기의 내부 구성들의 냉각이 수행되는, 온도조절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흡입공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흐를 수 있고, 상기 후면프레임의 상기 일측의 면에 형성된 격벽으로 구현되는 흡입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로와 상기 흡입유로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흐를 수 있고,
    상기 흡입유로는 상기 미세먼지센서 측에 배치되는 제1흡입유로; 및 상기 제1흡입유로와 상기 흡입공 사이에 배치되는 제2흡입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흡입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2흡입유로의 단면적보다 큰, 온도조절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기는 제1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분리된 제2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프레임은,
    상기 온도조절기가 배치되는 벽면 측으로 돌출되는 격벽으로 구현되는 기판수용부;
    상기 기판수용부의 격벽의 내측 모서리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돌출높이가 서로 상이한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에 의하여 기판수용부 내의 제1높이에서 제1기판이 수용되고,
    상기 제2체결부에 의하여 기판수용부 내의 제2높이에서 상기 제2기판이 수용되고,
    상기 제1기판은 상기 제2체결부가 관통할 수 있는 형태의 형상을 가지는, 온도조절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기는 전면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프레임은,
    상기 흡입관로의 하측에 배치되고, 전면기판을 수용할 수 있는 전면기판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로의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전면기판의 위치가 상기 전면기판수용부 내에서 상기 격벽보다 낮은 위치에서 고정되는, 온도조절기.
KR2020210001699U 2021-05-31 2021-05-31 온도조절기 KR200496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699U KR200496587Y1 (ko) 2021-05-31 2021-05-31 온도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699U KR200496587Y1 (ko) 2021-05-31 2021-05-31 온도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91U true KR20220002891U (ko) 2022-12-08
KR200496587Y1 KR200496587Y1 (ko) 2023-03-09

Family

ID=8439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699U KR200496587Y1 (ko) 2021-05-31 2021-05-31 온도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58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068Y1 (ko) 2006-05-12 2006-08-03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난방용 온도조절기의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801B1 (ko) 2007-08-30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22815B1 (ko) * 2019-01-16 2021-03-05 주식회사 스마트라인 공기 유로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질 측정장치
KR102254648B1 (ko) 2019-03-19 2021-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068Y1 (ko) 2006-05-12 2006-08-03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난방용 온도조절기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587Y1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2884B1 (en) Cooling structure of electronic appliance
US20160178276A1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door including the same
US11963329B2 (en) Apparatus for cooling electronic circuitry
US11683907B2 (en) Apparatus for cooling electronic circuitry
JP2016205750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US20060265721A1 (en) Optical disc drive
KR200496587Y1 (ko) 온도조절기
JP2010025518A (ja) 空気調和機
KR101533315B1 (ko) 공기조화기
JP2002034686A (ja) キッチンユニット
KR10075913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1563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374750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686303B1 (ko) 후드 겸용 전자렌지 및 이의 사용 방법
JP6051150B2 (ja) 冷蔵庫
KR101503282B1 (ko) 공기조화기
US11930615B2 (en) Apparatus for cooling electronic circuitry
CN215597661U (zh) 空调的显示结构和空调器
KR100693539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체결구조
CN209914102U (zh) 烹饪器具
KR20160134184A (ko) 컴퓨터 결합 구조의 책상
JP6843222B2 (ja) 空気調和機の操作パネル
JP2567301Y2 (ja) 空調用設定器
JP7018964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100112318A (ko) 센서를 이용한 냉풍기가 내장된 학습용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