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511U -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 Google Patents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511U
KR20220002511U KR2020210002614U KR20210002614U KR20220002511U KR 20220002511 U KR20220002511 U KR 20220002511U KR 2020210002614 U KR2020210002614 U KR 2020210002614U KR 20210002614 U KR20210002614 U KR 20210002614U KR 20220002511 U KR20220002511 U KR 202200025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nap lock
lock structure
rubber core
n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아-첸 웨이
Original Assignee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25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5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 하나, 고무 코어 하나, 그리고 단자 하나가 있는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를 제공한다. 하우징에는 조작부 하나, 복수의 연결부, 그리고 복수의 잠금쇠부가 포함된다. 연결부는 조작부의 표면에서 하우징의 한쪽 측면을 따라 아래로 연장한다. 잠금쇠부는 작용 구조, 베이스 및 스냅 잠금 구조를 제공한다. 스냅 잠금 구조는 노치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조작부는 베이스와 분리 또는 연결하여 설치된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헤드는 스냅 잠금 구조에 작용하여 스냅 잠금 구조로 하여금 초기 상태를 바꾸어 스냅 잠금 구조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노치를 잠글 때까지 첫째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한다. 외력을 조작부에 가하여 연결부에 변형이 일어나게 함으로써 작용 구조가 첫째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변형되게 하여 스냅 잠금 구조도 첫째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해서 스냅 잠금 구조가 노치를 분리시키게 한다.

Description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Connector with lock and unlock structure}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를 제시한다.
기존의 잠금쇠와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는 누름 부재를 제공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잠그고 사용자로 하여금 눌러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소형 또는 마이크로형 응용 환경에서는 유한한 공간의 제한으로 인해 기존의 커넥터를 사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존 커넥터의 단점을 해결하는 데 사용되는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를 제시한다.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할 수 있는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에 근거하여 고무 코어를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조작부, 복수의 연결부, 그리고 복수의 잠금쇠부가 있는 일체형의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상기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에 근거하여,표면에서 하우징의 한쪽 측면을 따라 아래로 연장하여 잠금쇠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제공하여 조작부가 잠금쇠부를 연동시키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네 번째 목적은 상기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에 근거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노치를 잠금 고정시키고 조작부를 누름으로써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노치를 분리시키는 잠금쇠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섯 번째 목적은 상기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에 근거하여 분리 또는 연결 설치되는 베이스와 조작부를 제공하여 베이스와 조작부가 분리되었을 때 베이스는 작용 구조의 지탱점이 되고 베이스와 조작부가 연결되었을 때 베이스는 조작부의 지탱점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여섯 번째 목적은 상기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에 근거하여,하우징과 고무 코어를 통해 위치 제한 부재를 제공하여 하우징과 고무 코어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곱 번째 목적은 상기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에 근거하여,하우징의 위치 대응 부재와 고무 코어의 위치 대응 구멍을 통해 하우징이 순조롭게 고무 코어와 결합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여덟 번째 목적은 상기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에 근거하여 하우징의 멈춤 부재와 고무 코어의 멈춤 블록이 서로 간섭하여 하우징으로 하여금 고무 코어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헤드와 노치가 있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를 제공한다.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에는 하우징 하나, 고무 코어 하나, 그리고 단자 하나가 있다. 하우징에는 조작부 하나, 복수의 연결부, 그리고 복수의 잠금쇠부가 포함된다. 조작부는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된다. 연결부는 조작부와 잠금쇠부를 연결하며, 연결부는 표면에서 하우징의 한쪽 측면을 따라 아래로 연장한다. 잠금쇠부는 하우징의 양측에 설치된다. 잠금쇠부는 작용 구조, 베이스 및 스냅 잠금 구조를 제공한다. 작용 구조는 베이스와 스냅 잠금 구조를 연결한다. 스냅 잠금 구조는 노치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조작부는 베이스와 분리하여 설치된다. 고무 코어는 하우징과 결합한다. 고무 코어는 거치 공간을 형성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거치한다. 고무 코어는 복수의 오프닝과 복수의 단자 구멍을 형성한다. 오프닝은 잠금쇠부가 설치되게 한다. 단자의 한쪽 끝은 거치 공간에 설치되며, 단자의 다른 쪽 끝은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는 스냅 잠금 구조에 작용하여 스냅 잠금 구조로 하여금 초기 상태를 바꾸어 스냅 잠금 구조가 노치를 잠글 때까지 첫째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한다. 스냅 잠금 구조는 작용 구조를 통해 베이스에 작용하여 둘째 방향으로 이동해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외력을 조작부에 가하여 연결부에 변형이 일어나게 함으로써 작용 구조가 첫째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변형되게 하여 스냅 잠금 구조도 첫째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해서 스냅 잠금 구조가 노치를 분리시키게 한다.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헤드와 노치가 있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할 수 있는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를 제공한다.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에는 하우징 하나, 고무 코어 하나, 그리고 단자 하나가 있다. 하우징에는 조작부 하나, 복수의 연결부, 그리고 복수의 잠금쇠부가 포함된다. 조작부는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된다. 연결부는 조작부와 잠금쇠부를 연결하며, 연결부는 표면에서 하우징의 한쪽 측면을 따라 아래로 연장한다. 잠금쇠부는 하우징의 양측에 설치된다. 잠금쇠부는 작용 구조 하나, 베이스 하나, 그리고 스냅 잠금 구조 하나를 제공한다. 작용 구조는 스냅 잠금 구조를 연결한다. 스냅 잠금 구조는 노치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조작부는 베이스와 연결 설치된다. 고무 코어는 하우징과 결합한다. 고무 코어는 거치 공간을 형성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거치한다. 고무 코어는 복수의 오프닝과 복수의 단자 구멍을 형성한다. 오프닝은 잠금쇠부가 설치되게 한다. 단자의 한쪽 끝은 거치 공간에 설치되며, 단자의 다른 쪽 끝은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는 스냅 잠금 구조에 작용하여 스냅 잠금 구조로 하여금 초기 상태를 바꾸어 스냅 잠금 구조가 노치를 잠글 때까지 첫째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한다. 스냅 잠금 구조는 작용 구조를 통해 둘째 방향으로 이동해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외력을 조작부에 가하여 연결부에 변형이 일어나게 함으로써 조작부가 첫째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작용 구조가 변형되게 하여 스냅 잠금 구조도 첫째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해서 스냅 잠금 구조가 노치를 분리시키게 한다.
기존의 커넥터들과 비교해서, 본 고안이 제시하는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는 하우징이 조작부, 복수의 연결부와 복수의 작용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고무 코어와 결합하는 것을 통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자동으로 잠그고 수동으로 잠금 해제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도 1은 본 고안 첫째 실시예의 잠금쇠와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를 입체적으로 보여 주는 도이다.
도 2a는 도 1의 하우징을 앞에서 본 도이다.
도 2b는 도 1의 하우징을 아래서 본 도이다.
도 3a는 도 2a 내지 도 2b의 조작부, 연결부 및 잠금쇠부를 보여 주는 첫 번째 도이다.
도 3b는 도 2a 내지 도 2b의 조작부, 연결부 및 잠금쇠부를 보여 주는 두 번째 도이다.
도 4 본 고안의 하우징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결합한 것을 보여 주는 도이다.
도 5a는 도 1의 고무 코어를 앞에서 본 도이다.
도 5b는 도 1의 고무 코어를 위에서 내려다 본 도이다.
도 5c는 도 1의 고무 코어를 뒤에서 본 도이다.
도 6은 도 1의 하우징과 고무 코어가 결합한 것을 보여 주는 도이다.
도 7 본 고안 둘째 실시예의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를 입체적으로 보여 주는 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작부, 연결부 및 잠금쇠부를 보여 주는 첫 번째 도이다.
도 9은 도 8의 하우징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연결을 보여 주는 도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내용과 특징 및 효능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제시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본 설명서에서는 '하나' 또는 '한 개'로 유닛, 부품, 구성 부재 등을 묘사한다. 이는 단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고 본 발명의 범주에 대해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하기 위함뿐이다. 따라서 분명하게 별도의 뜻을 제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러한 묘사는 한 개 또는 최소한 한 개로, 그리고 단수 역시 동시에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설명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에는 …이 있다', '포함한다', '들어있다' 또는 기타 유사한 용어는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포괄적인 포함물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중요한 부재가 들어있는 부품, 구조물, 제품 혹은 장치는 본 설명서에 열거된 부재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열거되지 않았으나 상기 부품, 구조물, 제품 혹은 장치에 통상적으로 있는 고유한 기타 부재 역시 포함된다. 분명하게 별도의 뜻을 제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또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또는'이지 배타적인 '또는'이 아니다.
본 고안 첫째 실시예의 잠금쇠와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를 입체적으로 보여 주는 도인 도 1을 참고한다. 도 1에서,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10)는 헤드(22)와 노치(24)가 있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인쇄 회로 기판(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음)을 연결할 수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 부분은 도 4에 표시된 것을 함께 참고할 수 있다.
도 1로 돌아가서,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10)에는 하우징(12) 하나, 고무 코어(14) 하나, 그리고 단자(16) 하나가 있다.
도 1의 하우징의 상세한 구조를 보여 주는 도 2a 내지 도 2b,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b을 함께 참고한다. 도 2a는 하우징을 앞에서 본 도이고 도도 2b는 하우징을 아래서 본 도이다. 도 3a은 도 2a 내지 도도 2b 조작부, 연결부 및 잠금쇠부를 보여 주는 첫 번째 도이며, 도 3b는 도 2a 내지 도도 2b 조작부, 연결부 및 잠금쇠부를 보여 주는 두 번째 도이다.
하우징(12)에는 조작부(122), 연결부(124), 그리고 잠금쇠부(126)가 포함된다. 하우징(12)은 휘어져서 조작부(122), 연결부(124) 및 잠금쇠부(126)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조작부(122), 연결부(124) 및 잠금쇠부(126)는 동일한 하우징(12)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부(122)의 수량은 한 개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연결부(124)와 잠금쇠부(126)의 수량은 각각 두 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연결부(124)와 잠금쇠부(126)는 조작부(122)의 양 단에 각각 따로 설치된다.
조작부(122)는 하우징(12)의 표면(SF)에 형성된다. 조작부(122)는 표면(SF)의 앞 측에서 한 각도(θ)로 휘어져 연장하여 연결부(124)를 형성한다. 각도(θ)는 90도 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의 표면(SF)은 강화 구조(128)를 제공할 수 있다.
연결부(124)는 조작부(122)와 잠금쇠부(126)를 연결한다. 연결부(124)는 조작부(122)로 하여금 잠금쇠부(126)에 매달리게 한다.
잠금쇠부(126)는 하우징(12')의 양측에 설치된다. 잠금쇠부(126)는 작용 구조(1262), 베이스(1264), 그리고 스냅 잠금 구조(1266)를 형성한다. 스냅 잠금 구조(1266)는 노치(24)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작용 구조(1262)는 베이스(1264)와 스냅 잠금 구조(1266)를 연결한다. 작용 구조(1262)는 L형으로 베이스(1264)에 사용되어 C형을 이룬다. 작용 구조(1262)는 첫째 탄성 부재(1262')와 둘째 탄성 부재(1262”)가 있다.
본 고안의 하우징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결합한 것을 보여 주는 도인 도 4를 함께 참고한다. 도 4에서, 헤드(22)는 스냅 잠금 구조(1266)에 작용하여 스냅 잠금 구조(1266)로 하여금 초기 상태를 바꾸어 스냅 잠금 구조(1266)가 노치(22)를 잠글 때까지 첫째 방향(FD)을 향해 이동하게 한다. 스냅 잠금 구조(1266)는 작용 구조(1262)를 통해 둘째 방향(SD)으로 이동해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외력을 조작부(122)에 가하여 연결부(124)에 변형이 일어나게 함으로써 작용 구조(1262)가 첫째 방향으로 이동하고 변형되게 하여 스냅 잠금 구조(1266)도 첫째 방향(FD)을 향해 이동하게 하여 스냅 잠금 구조(1266)가 노치(22)를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도 3a 및 도 3b로 돌아간다. 잠금쇠부(126)(또는 베이스(1264))에는 또한 고정부(1268)가 하우징(12)의 양측에 형성되어 하우징(12)을 인쇄 회로 기판에 고정시킬 수 있다.
베이스(1264)는 또한 첫째 위치 제한 부재(12614, 12610)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첫째 위치 제한 부재(12614, 12610)은 도 3b에 표시된 것으로 참고할 수 있다. 첫째 위치 제한 부재(12614)는 하우징(12)이나 베이스(1264)의 뒷면에 형성되고 첫째 위치 제한 부재(12614)는 하우징(12)이나 잠금쇠부(126)의 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첫째 위치 제한 부재(12614)는 구멍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첫째 위치 제한 부재(12610)는 판스프링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베이스(1264)에는 또한 위치 대응 부재(12612)도 포함된다. 여기서 위치 대응 부재(12612)는 삽입 부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위치 대응 부재(12612)는 하우징(12)의 앞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표면(SF)에는 위치 대응 노치(123)가 형성되어 나중에 아래에서 설명하는 고무 코어(14)가 형성하는 위치 대응 블록(148)과 위치를 대응한다. 위치 대응 노치(123)가 위치 대응 블록(148)에 위치 대응하는 것을 통해 하우징(12)은 고무 코어(14)와 조합한다.
도 1의 고무 코어의 구조를 상세히 보여 주는 도 5a 내지 도 5c를 함께 참고한다. 도 5a는 고무 코어를 앞에서 본 도이고 도 5b는 고무 코어를 위에서 내려다 본 도이며, 도 5c는 고무 코어를 뒤에서 본 도이다.
고무 코어(14)는 하우징(12)과 결합한다. 고무 코어(14)는 거치 공간(SP)을 형성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을 거치한다. 고무 코어(14)는 오프닝(146)과 단자 구멍(144)을 형성한다. 오프닝(146)을 잠금쇠부(126)가 설치되게 한다.
고무 코어(14)에는 또한 둘째 위치 제한 부재(1410, 1412)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둘째 위치 제한 부재(1412)는 고무 코어(14)의 뒷면에 형성되고 둘째 위치 제한 부재(1410)는 고무 코어(14)의 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둘째 위치 제한 부재(1412)는 스냅 잠금 블록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둘째 위치 제한 부재(1410)은 스냅 홈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둘째 위치 제한 부재(1410, 1412)는 각각 첫째 위치 제한 부재(12614, 12610)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둘째 위치 제한 부재(1410, 1412)가 첫째 위치 제한 부재(12614, 12610)와 결합하는 것을 통해 하우징(12)을 고무 코어(14)에 위치 제한시킨다.
고무 코어(14)에는 또한 위치 대응 구멍(143)도 포함된다. 위치 대응 구멍(143)은 위치 대응 부재(12612)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위치 대응 부재(12612)가 위치 대응 구멍(143)과 결합하는 것을 통해 하우징(12)으로 하여금 고무 코어(14)에 위치가 대응되게 하여 하우징(12)이 고무 코어(14)와 정확히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도 1로 돌아간다. 단자(16)의 한쪽 끝은 거치 공간(SP)에 설치되며, 단자(16)의 다른 쪽 끝은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할 수 있다. 단자(16)는 단자 구멍(144)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첫째 위치 제한 부재(12614, 12610), 둘째 위치 제한 부재(1410, 1412), 위치 대응 부재(12612), 위치 대응 구멍(144)의 조합 방식은 도 6을 함께 참고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하우징과 고무 코어가 결합한 것을 보여 주는 도이다.
본 고안 둘째 실시예의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를 입체적으로 보여 주는 도인 도 7을 참고한다. 도 7에서,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10')에는 마찬가지로 도 9의 헤드(22)와 노치(24)가 있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2)과 인쇄 회로 기판(4)을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10')에는 첫째 실시예의 하우징(12), 고무 코어(14) 및 단자(16)가 있는 것 이외에, 차이점은 하우징(12')이 다른 구조를 가진 다는 점이다.
도 1의 하우징의 둘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 주는 도인 도 8을 함께 참고한다. 도 8에서, 조작부(122')는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10)의 조작부(122)와 다르다. 여기서 조작부(122')는 베이스(1264')와 연결 설치되어 작용 구조(1262''')가 베이스(1264') 및 스냅 잠금 구조(1266')에 연결되게 한다.
상기 실시예로 본 고안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이가 이해해야 할 것은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게 아니라는 점이다. 주의할 점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기술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것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것을 준거로 해야 할 것이다.
2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22 헤드
24 노치
10,10'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12,12' 하우징 122,122' 조작부
123 노치 1262,1262''' 작용 구조
1262' 첫째 탄성 부재 1262” 둘째 탄성 부재
1264 베이스 1266 스냅 잠금 구조
1268 고정부 12612 위치 대응 부재
12614,12610 첫째 위치 제한 부재
124 연결부 126 잠금쇠부
128 강화 구조 14,14' 고무 코어
143 위치 대응 구멍 144 위치 대응 구멍
146 오프닝 148 위치 대응 블록
1410,1412 둘째 위치 제한 부재
16 단자 SF,SF' 표면
θ 각도 FD 첫째 방향
SD 둘째 방향 SP 거치 공간

Claims (5)

  1. 헤드와 노치가 있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며 하우징, 고무 코어 및 단자가 있으며.
    하우징에는 조작부, 복수의 연결부, 그리고 복수의 잠금쇠부가 있으며, 조작부는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되며, 연결부는 조작부와 잠금쇠부를 연결하고 연결부는 표면에서 하우징의 한쪽 측면을 따라 아래로 연장하며, 잠금쇠부는 하우징에 양측에 설치되며, 잠금쇠부는 작용 구조, 베이스 및 스냅 잠금 구조를 제공하며, 작용 구조는 베이스와 스냅 잠금 구조를 연결하고 스냅 잠금 구조는 노치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조작부는 베이스와 분리 설치되며,
    고무 코어는 하우징과 결합하고 또 고무 고어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거치하는 거치 공간을 형성하며, 고무 코어는 복수의 오프닝과 복수의 단자 구멍을 형성하고 이러한 오프닝은 잠금쇠부가 설치되게 하며, 그리고
    단자의 한쪽 끝은 거치 공간에 설치되고 단자의 다른 쪽 끝은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하며,
    상기 헤드는 스냅 잠금 구조에 작용하여 스냅 잠금 구조로 하여금 초기 상태를 바꾸어 스냅 잠금 구조가 노치를 잠글 때까지 첫째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하며, 스냅 잠금 구조는 작용 구조를 통해 베이스에 작용하여 둘째 방향으로 이동해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며, 외력을 조작부에 가하여 연결부에 변형이 일어나게 함으로써 작용 구조가 첫째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변형되게 하여 스냅 잠금 구조도 첫째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해서 스냅 잠금 구조가 노치를 분리시키게 하는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는 위치 대응 노치가 형성되고 고무 코어에는 위치 대응 블록이 형성되며, 위치 대응 노치와 위치 대응 블록이 위치를 대응하는 것을 통해 하우징은 고무 코어와 조합하며, 베이스에는 또한 위치 대응 부재가 있고 고무 코어에는 위치 대응 구멍이 있으며, 위치 대응 부재는 위치 대응 구멍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위치 대응 부재가 위치 대응 구멍과 결합하는 것을 통해 하우징으로 하여금 고무 코어와 위치 대응하게 하는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첫째 위치 제한 부재가, 고무 코어에는 둘째 위치 제한 부재가 있으며, 첫째 위치 제한 부재는 둘째 위치 제한 부재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첫째 위치 제한 부재는 둘째 위치 제한 부재와 결합하여 하우징을 고무 코어에 위치 제한시키며, 첫째 위치 제한 부재와 둘째 위치 제한 부재는 각각 한 개와 복수이며, 첫째 위치 제한 부재는 구멍이거나 판스프링이고 둘째 위치 제한 부재는 스냅 잠금 블록이거나 스냅 홈이며, 스냅 홈이 스냅 잠금 블록을 스냅 잠그거나 구멍이 판스프링을 스냅 잠그는 것을 통해 하우징을 고무 코어에 위치 제한시키는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용 구조는 L형으로 베이스와 C형을 이루도록 사용되며, 작용 구조에는 첫째 탄성 부재와 둘째 탄성 부재가 있는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5. 헤드와 노치가 있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며 하우징, 고무 코어 및 단자가 있으며,
    하우징에는 조작부, 복수의 연결부, 그리고 복수의 작용부가 있고 조작부는 하우징의 한 표면에 형성되며, 연결부는 조작부와 잠금쇠부를 연결하고 연결부는 표면에서 하우징의 한쪽 측면을 따라 아래로 연장하며, 잠금쇠부는 하우징의 양측에 설치되고 잠금쇠부는 작용 구조, 베이스 및 스냅 잠금 구조를 제공하며, 작용 구조는 스냅 잠금 구조를 연결하고 스냅 잠금 구조는 노치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조작부는 베이스와 연결 설치되며,
    고무 코어는 하우징과 결합하며, 고무 코어는 거치 공간을 형성하여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거치하며, 고무 코어는 복수의 오프닝과 복수의 단자 구멍을 형성하고 오프닝은 잠금쇠부가 설치되게 하며,
    단자의 한쪽 끝은 거치 공간에 설치되고 다른 쪽 끝은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하며,
    상기 헤드는 스냅 잠금 구조에 작용하여 스냅 잠금 구조로 하여금 초기 상태를 바꾸어 스냅 잠금 구조가 노치를 잠글 때까지 첫째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하고 스냅 잠금 구조는 작용 구조를 통해 베이스에 작용하여 둘째 방향으로 이동해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며, 외력을 조작부에 가하여 연결부에 변형이 일어나게 함으로써 조작부가 첫째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작용 구조가 변형되게 하여 스냅 잠금 구조도 첫째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해서 스냅 잠금 구조가 노치를 분리시키게 하는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KR2020210002614U 2021-04-12 2021-08-23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KR20220002511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0203998 2021-04-12
TW110203998U TWM621301U (zh) 2021-04-12 2021-04-12 具有鎖扣與解鎖結構的連接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511U true KR20220002511U (ko) 2022-10-19

Family

ID=7827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614U KR20220002511U (ko) 2021-04-12 2021-08-23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34748U (ko)
KR (1) KR20220002511U (ko)
CN (1) CN216818805U (ko)
TW (1) TWM621301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6818805U (zh) 2022-06-24
JP3234748U (ja) 2021-11-04
TWM621301U (zh)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2299B2 (en) Fixing tool
CN211428425U (zh) 连接器
KR200497693Y1 (ko)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JPH11149959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CN107069349B (zh) 电接插式连接装置和对此的释放元件
EP2665131A2 (en) Attachment structure of an electronic device
JP2018181499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20210005994A1 (en) Connector
KR20220002511U (ko) 잠금쇠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WO2014208306A1 (ja) フラット回路体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6084107B2 (ja) コネクタ
CN115173147A (zh) 具有锁扣与解锁结构的连接器
KR20220002487U (ko)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TWI768826B (zh) 具有鎖扣與解鎖結構的連接器
WO2015002144A1 (ja) フラット回路体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7294871B2 (ja) 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JP4876282B2 (ja) 配線用クランプ
CN110176737B (zh) 配线器具用安装框
JPS5826473Y2 (ja) コネクタ
JP5031517B2 (ja) 配線ボックス
KR20230122911A (ko) 커넥터
JP2001351744A (ja) コネクタの可動構造
JP5971476B2 (ja) コネクタ装置
KR20210002656U (ko) 신속 조립이 가능한 케이블 커넥터
TW202240995A (zh) 易鎖易解鎖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