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431U - 식물공장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 - Google Patents

식물공장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431U
KR20220002431U KR2020210001041U KR20210001041U KR20220002431U KR 20220002431 U KR20220002431 U KR 20220002431U KR 2020210001041 U KR2020210001041 U KR 2020210001041U KR 20210001041 U KR20210001041 U KR 20210001041U KR 20220002431 U KR20220002431 U KR 202200024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irculation
circulation fan
bracket structure
bracke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씽
Priority to KR2020210001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431U/ko
Publication of KR202200024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43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쇄형 식물 공장 내부에서 온도를 균일하게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공기순환 팬을 공간의 확장 없이 설치할 수 있는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갖는 채널 결합부, 상기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브라켓 바디, 및 상기 브라켓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며 공기순환 팬이 결합되는 팬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물공장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A BRACKET STRUCTURE OF AIR CIRCULATION FAN FOR PLANT FACTORY}
본 고안은 브라켓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쇄형 식물공장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을 거치 또는 설치하고 재배 모듈의 고정 설치를 강화하도록 하는 브라켓 구조에 대한 것이다.
식물공장은 내부 환경을 조절한 폐쇄적 공간에서 식물을 폐쇄적으로 생산하는 기술로서, 안전한 식료공급, 식재의 주년 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환경 보전형의 생산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식물공장은 이론적으로는 안정공급, 냉하 또는 난동, 태풍 등의 기상변동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없고, 병원균 또는 해충의 피해를 받는 경우가 없으며 일정한 양, 일정한 형 또는 맛, 영양가 등의 품질, 그리고 안정된 가격으로 작물의 공급이 가능한 것이 장점으로 언급되고 있다.
또한, 식물공장은 높은 안정성, 병원균 또는 해충의 침입이 없기 때문에 이들의 예방, 구제를 위한 농약의 살포도 필요하지 않게 되고, 무농약에 의한 안전한 생산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식물공장은 폐쇄된 환경에서 온도가 제어되어야 하는데 에어컨디셔너 또는 히터에 기인한 온도를 내부에서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냉난방 장치인 공조부를 이용하여 냉난방 및 습도를 조절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내부 온도의 균일성이나 이에 필요한 공기의 순환에 대하여는 전혀 인식이 없다. 나아가 선행기술문헌은 재배기의 생육 작물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방해되어 온도 불 균일이 발생되는 것에 대하여도 전혀 인식이 없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21336호(2013.10.29), 식물공장 재배작물의 다단형 재배장치{Plant Cultiva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폐쇄형 식물 공장 내부에서 온도를 균일하게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공기순환 팬을 공간의 확장 없이 설치할 수 있는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갖는 채널 결합부, 상기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브라켓 바디, 및 상기 브라켓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며 공기순환 팬이 결합되는 팬 결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팬 결합부는 브라켓 바디가 상부 또는 하부 쪽으로 함몰되거나 타공되어 형성되는 공기 연통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바디에서 채널 결합부와 인접한 부위의 하단에는 배선 정리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선 정리 개구는 구조가 ㄴ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바디에는 하부로 함몰되어 개구가 형성된 조명부재 삽입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재 삽입부와 상기 팬 결합부는 인접하여 배치될 수있다. 이 경우에 조명부재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보다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 바디는 상기 타측의 끝단에 단턱이 형성된 재배모듈 고정단이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브라켓 구조에 의해 공기순환 팬을 각각의 재배모듈 상부에 용이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재배모듈의 길이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발하여 냉각이나 히팅의 전체적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브라켓 구조가 재배모듈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하여 견고한 식물공장 시스템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대시킨다.
또한, 본 고안은 조명부재에 인접하게 공기순환 팬이 고정되도록 하므로 조명부재에 의한 발열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브라켓 구조에 공기순환 팬을 고정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를 식물공장 내부에 적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브라켓 구조에 공기순환 팬을 고정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브라켓 구조(100)는 일측의 채널 결합부(10), 여기에서 연장된 브라켓 바디(20), 및 팬 결합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채널 결합부(10)는 식물공장의 일측에 설치된 채널(미도시)에 결합되는데, 채널 결합부(10)의 결합 돌기(11)가 채널의 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브라켓 바디(20)는 채널 결합부(10)에서 연장되어 타측 끝단까지 형성되는데 채널 결합부(10)와 일체로 형성된다.
팬 결합부(30)는 브라켓 바디(2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면서 공기순환 팬(P)이 결합되는데, 공기순환 팬(P)과의 결합을 위해 고정홀(32)이 구비된다. 이때 팬 결합부(30)는 브라켓 바디(20)가 상부 또는 하부 쪽으로 함몰되는 공기 연통홈(31)을 구비한다. 공기 연통홈(31)은 공기순환 팬이 발생시키는 공기가 원활하게 전방으로 이동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1 또는 도 2에서는 팬 결합부(30)가 두개 형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또한, 브라켓 바디(20)에는 하부로 함몰되어 개구가 형성된 조명부재 삽입부(40)가 형성된다. 여기의 개구를 통해 LED 조명의 하우징이 안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브라켓 구조를 더욱 상방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 지므로 공간활용을 더욱 극대화하게 된다.
한편, 브라켓 바디(20)에서 채널 결합부(10)와 인접한 부위의 하단에는 배선 정리 개구(50)가 형성된다. 공기순환 팬(P)에는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배선의 정리가 매우 중요한데, 배선 정리 개구(50)에 전원선을 넣는 방식으로 정리가 가능해 지므로 공기순환 팬(P)의 유지 보수가 더욱 편리해 진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정리 개구는'L'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배선의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100)에서는 조명부재 삽입부(30)와 팬 결합부(40)가 인접하여 배치된다. 일례로 LED 조명은 소자에서 다량의 열이 발산하게 되고 이 열은 하우징이나 방열 기능을 수반하는 외부 케이스에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팬 결합부(40)를 조명부재 삽입부(30)에 인접하여 배치하고 조명 부재의 설치 방향으로 냉각된 공기를 이동시키게 되므로 냉각 효율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브라켓 바디(20)의 타측에 재배모듈 고정단(60)이 형성된다. 재배모듈 고정단은 작물이 자라는 배지인 재배모듈의 면밀한 고정 및 낙하 방지를 위해 단턱(61)을 형성하고 이러한 단턱(61)이 재배모듈의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더욱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의 식물공장은 재배모듈이 냉동 컨네이너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서 길게 배치되는 것을 전제한다. 또한, 재배모듈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온도의 변화에 따라 미세한 방향 변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미세한 방향 변이를 막기 위해서 브라켓 바디(20)의 중심에는 별도의 재배모듈 분리부(70)를 형성하여 좌측에 배치된 재배모듈과 우측에 배치된 재배모듈이 온도에 의해 휨 현상이 발생하여 서로 접촉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를 식물공장 내부에 적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채널 결합부가 일측의 채널에 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브라켓 바디는 공간을 구획하여 재배모듈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재배모듈 고정단은 재배모듈의 최외각 모서리를 지지하여 견고한 장착을 더욱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브라켓 구조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재배모듈이 열과 행을 갖는 복수개 및 복수층 구조에서 적절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200)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브라켓 구조(200)는 최상층 재배모듈의 상부에 배치된 것을 상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재배모듈의 바닥면에는 조명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배치되어 있지만 최상층 재배모듈에 광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그 위치 조명부재를 고정하는 수단이 결여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200)는 조명부재 안착부(80)를 구비하여 조명부재를 고정하여 하부의 최상단 재배모듈에 광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고정 클립을 배치하여 조명부재가 끼움 결합되도록 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200: 브라켓 구조
10: 채널 결합부
11: 결합 돌기
20: 브라켓 바디
30: 팬 결합부
31: 연통홈
32: 고정홀
40: 조명부재 삽입부
50: 배선 정리 개구
60: 재배모듈 고정단
61: 단턱
70: 재배모듈 분리부
80: 조명부재 고정단
81: 고정 클립
P: 공기순환 팬

Claims (7)

  1.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갖는 채널 결합부; 및
    상기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브라켓 바디;
    상기 브라켓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며 공기순환 팬이 결합되는 팬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공장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결합부는 브라켓 바디가 상부 또는 하부 쪽으로 함몰되거나타공되어 형성되는 공기 연통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공장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바디에서 채널 결합부와 인접한 부위의 하단에는 배선 정리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공장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정리 개구는 이를 포함하는 형상이 ㄴ자 구조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공장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바디에는 하부로 함몰되어 개구가 형성된 조명부재 삽입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 삽입부와 상기 팬 결합부는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조명부재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바디는 상기 타측의 끝단에 단턱이 형성된 재배모듈 고정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
KR2020210001041U 2021-04-02 2021-04-02 식물공장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 KR202200024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41U KR20220002431U (ko) 2021-04-02 2021-04-02 식물공장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41U KR20220002431U (ko) 2021-04-02 2021-04-02 식물공장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431U true KR20220002431U (ko) 2022-10-12

Family

ID=8359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041U KR20220002431U (ko) 2021-04-02 2021-04-02 식물공장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431U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등록특허 제10-1321336호(2013.10.29), 식물공장 재배작물의 다단형 재배장치{Plant Cultiva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237B2 (en) Transplant production system
AU2014202160B2 (en) Plant growth apparatus of multistage rack type and plant growth system
EP2521436B1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U2016323373B2 (en) Culture device and culture method
JP6526976B2 (ja) 多段式栽培装置
US109352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a metal core PCB to a heat sink
JP2013034402A (ja) 水耕栽培装置
US113465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heat sink
AU2017274915A1 (en) Cultivation system and cultivation method for Solanaceae seedlings
KR101934482B1 (ko) 기화열 냉각 방식을 가진 식물 재배기 냉각 시스템
AU2018229982A1 (en) Rice seedling cultivation device and rice seedling cultivation method
KR20220002431U (ko) 식물공장 공기순환 팬의 브라켓 구조
WO2022270002A1 (ja) 栽培ハウス
US20140112648A1 (en) Air-handling unit for use in a greenhouse
EP3772897B1 (en) Growing space for vertical farming
JP2014082979A (ja) 植物栽培装置および植物栽培工場
KR20140053610A (ko) 수경재배장치
KR102002828B1 (ko) 식물 생장 환경 조절 장치
JP6526975B2 (ja) 多段式栽培装置
KR100373107B1 (ko) 버섯재배사
KR20150112206A (ko) 열기공급형 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102541081B1 (ko) 공기 주입 방식을 갖는 led 장치
KR200404661Y1 (ko) 시설하우스 난방장치
KR200180127Y1 (ko) 온실용 유리판 전열히터
KR20050099941A (ko) 열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