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250U -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250U
KR20220002250U KR2020210000787U KR20210000787U KR20220002250U KR 20220002250 U KR20220002250 U KR 20220002250U KR 2020210000787 U KR2020210000787 U KR 2020210000787U KR 20210000787 U KR20210000787 U KR 20210000787U KR 20220002250 U KR20220002250 U KR 202200022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on
roller
belt
small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희
송진우
신윤제
Original Assignee
(주) 진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진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 진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210000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250U/ko
Publication of KR202200022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2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 약품류나 전자제품류의 카톤의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다수의 컨베이어가 일렬로 연속하여 설치되어 소형카톤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장치로서, 바닥에 설치되고 일정높이를 갖는 복수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소형카톤을 직선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벨트부; 상기 복수의 벨트부의 연결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소형카톤을 일측 벨트부에서 타측 벨트부로 이송시키는 카톤 롤러부; 및 상기 카톤 롤러부를 따라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톤 롤러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연결블럭, 상기 연결 블럭 사이에 연결된 안내롤러, 및 상기 안내롤러와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연결 블럭 사이에 연결된 카톤 롤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Conveyor apparatus for transporting small items}
본 고안은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물품(carton)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장치는 원자재, 기계부품, 포장된 화물 등을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기계를 말하며, 생산공장 내에서 부품의 운반하거나 카톤과 같은 소형제품의 이동이나 이외 다양한 화물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도 1a는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의 부분 구성도로서, 기존의 컨베이어 장치는는 벨트(2)와, 이 벨트(2)를 권취하여 지지하는 프레임과, 벨트(2)에 회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롤러(5)를 설치하여 벨트(2)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동모터는 벨트 또는 체인 등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벨트풀리들을 통해 벨트(2)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구동모터가 구동하여 벨트풀리들이 회전하면, 벨트(2)가 프레임 상에서 무한 궤적을 그리며 회전하여 물품들을 이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컨베이어에서, 전자부품 등의 소형 부품들을 이송시켜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작업의 특성상 컨베이어가 일렬로 연속하여 설치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컨베이어가 여러대로 연속 설치되면, 불가피하게 그 좌우 양측 대면부위에 일정크기의 요입 영역(G1)을 형성한다(도 1a 참조).
즉 기존의 컨베이어 장치에 설치되는 롤러들(5)은 벨트의 회전을 원활히 지지하기 위해 큰 직경을 갖는 롤러들이 설치되고, 이 때문에 컨베이어의 연속 설치시 그 좌우 양측 대면부위에 형성되는 요입 영역(G1)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따라서 요입 영역(G1)보다 작은 물품(예를 들어, 소형 카톤의 약품류나 전자제품류)이 이송하는 경우, 소형 물품들이 이 요입 영역(G1)에 걸려 더 이상 이송되지 못하거나, 소형 부품들이 이송도중 요입 영역(G1)에 걸리면 회동하는 벨트(2)에 의해 긁히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한편 종래에는 도 1b와 같이 제1 컨베이어 장치(1A)와 제2 컨베이어 장치(1B)의 컨베이어 벨트(3a,3b) 사이에 보조 롤러(2a,2b)를 장착한 대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안 구조도 마찬가지로 이송 중에 소형 물품이 보조 롤러(2a,2b) 사이에 걸려서 이송불량이 발생하거나, 보조 롤러(2a,2b)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덜컹거림으로 인해 이송 물품이 손상되는 문제가 여전히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400호(공개일자: 2015년 01월 27일)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소형 약품류나 전자제품류의 카톤에 대한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수의 컨베이어가 일렬로 연속하여 설치되어 소형카톤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장치로서, 바닥에 설치되고 일정높이를 갖는 복수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소형카톤을 직선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벨트부; 상기 복수의 벨트부의 연결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소형카톤을 일측 벨트부에서 타측 벨트부로 이송시키는 카톤 롤러부; 및 상기 카톤 롤러부를 따라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톤 롤러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연결블럭, 상기 연결 블럭 사이에 연결된 안내롤러, 및 상기 안내롤러와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연결 블럭 사이에 연결된 카톤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일측 벨트부의 일측 카톤 롤러와 상기 타측 벨트부의 타측 카톤 롤러의 배치 간격(요입 영역)은, 상기 소형 카톤의 크기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측면 플레이트,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를 향해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한 쌍의 장력 조절 롤러부, 및 상기 장력 조절 롤러부의 장력 조절축을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에서 일측방향으로 가압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블럭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소형 약품류나 전자제품류의 카톤(carton)의 이송시 덜컹거림이나 이송불량을 개선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에도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컨베이어 장치의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의 부분(요입 영역) 구성도
도 1b는 종래의 다른 컨베이어 장치의 부분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의 연결 롤러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의 요입 영역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의 장력 조절부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의 장력 조절부를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의 장력 조절부를 또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의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의의 카톤 롤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는 제1 컨베이어(10A)와 제2 컨베이어(10B)가 일렬로 연속하여 배치된 구성으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컨베이어 장치는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부(20)와 베이스부(20) 상에 배치되는 벨트부(30)를 포함한다. 또한 벨트부(30)의 양측에는 진행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부(50)가 설치되고, 베이스부(20)에는 구동부(40)가 마련되어 벨트부(3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한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부(50)는 이송되는 카톤의 정렬을 위한 구성요소이다.
한편 제1 컨베이어(10A)와 제2 컨베이어(10B)의 연결부분에는 연결 롤러부(60)가 위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 롤러부(60)는 일측의 제1 연결영역(60a)과 타측의 제2 연결영역(60b)이 서로 근접하게 일렬로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연결 프레임(61a)과 제2 연결 프레임(61b)의 각 선단에는 제1 카톤 롤러(63a)와 제2 카톤 롤러(63b)가 각각 형성된다. 이들 제1 카톤 롤러(63a)와 제2 카톤 롤러(63b)에는 제1 벨트 부재(B1)와 제2 벨트 부재(B2)가 연결된다. 또한 제1 카톤 롤러(63a)와 제2 카톤 롤러(63b)의 사이에는 서로 최대한 밀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0과 같이 요입 영역(G2)은 이송되는 카톤(C1)보다 좁게 형성되어, 카톤(C1)의 이송시 덜컹거림이나 요입 영역(G2)에 걸려 이송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물품 이송부(35)의 측면에는 측면 플레이트(45; 도 6참조)가 장착된다. 여기서 측면 플레이트(45)에는 복수의 장력 조절축(48)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측면 플레이트(45)에는 구동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풀리(41)와 구동풀리(41)에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 풀리(42)가 배치된다. 여기서 종동 풀리(42)에는 롤러 회전축(49)이 형성된 회전롤러(컨베이어 벨트 회전용 롤러)가 연결된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장착 조절축(48)에는 각각 고정블럭(46a,47a)이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블럭(46a,47a)은 각각 스크류가 장착되어 한 쌍의 장력 조절축(48)이 서로 맞닿는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6과 같이 장력 조절축(48)은 측면 플레이트(45)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들 장력 조절축(48)에는 수평방향(서로를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장력 조절부(46,47)가 설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장력 조절축(48)에는 각각 장력 조절 롤러부(R1; 하나만 도시)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장력 조절부(46,47)가 서로를 향해 가압되도록 지지하면 장력 조절 롤러부(R1)가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텐션)이 높아지도록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높은 장력을 확보함으로써 소형의 카톤의 컨베이어 이송시 보다 정확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즉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가 부분적으로 들뜨거나 일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형의 카톤 이송시 이송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벨트부(30) 내에 설치되는 카톤 롤러부(63)는 베이스부(20) 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연결블럭(61)과 제2 연결블럭(62)을 포함한다. 이들 연결블럭(61,62)의 사이에는 연결 샤프트(65)가 장착되고, 이 연결 샤프트(65)를 사이에 두고 전방에는 지지 샤프트(64)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안내롤러(66)가 설치된다. 또한 지지 샤프트(64)에는 카톤 롤러부(63)가 삽입되어 지지 샤프트(64)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카톤 롤러부(63)의 지름은 안내롤러(66)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카톤 롤러부(63)의 지름을 최소화함으로써 컨베이어의 연속 설치시, 제1 카톤 롤러(63a)와 제2 카톤 롤러(63b)의 사이의 요입 영역(G2)이 카톤(C1)의 크기(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제1 카톤 롤러(63a)와 제2 카톤 롤러(63b)의 사이의 요입 영역(G2)을 최소화하여, 소형 카톤(C1)의 이송시 요입 영역(G2)에 걸리거나 덜컹걸리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는 소형 약품류나 전자제품류의 카톤(carton)의 이송시 덜컹거림이나 이송불량을 개선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에도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컨베이어 장치의 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A: 제1 컨베이어
10B: 제2 컨베이어
20: 베이스부
20a: 제1 베이스
20b: 제2 베이스
30: 벨트부
30a: 제1 벨트
30b: 제2 벨트
35: 물품 이송부
40: 구동부
41: 구동 풀리
42: 종동 풀리
43a: 제1 조정바
43b: 제2 조정바
45: 측면 플레이트
46: 제1 장력 조절부
47: 제2 장력 조절부
46a,47a: 고정 블럭
48: 장력 조절축
49: 롤러 회전축
50: 가이드 레일부
50a: 제1 가이드 롤러
50b: 제2 가이드 롤러
60: 연결 롤러부
60a: 제1 연결영역
60b: 제2 연결영역
61: 제1 연결블럭
62: 제2 연결블럭
61a: 제1 연결 프레임
61b: 제2 연결 프레임
63: 카톤 롤러부
63a: 제1 카톤롤러
63b: 제2 카톤롤러
64: 지지 샤프트
65: 연결 샤프트
66: 안내롤러

Claims (3)

  1. 다수의 컨베이어가 일렬로 연속하여 설치되어 소형카톤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장치로서,
    바닥에 설치되고 일정높이를 갖는 복수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소형카톤을 직선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벨트부;
    상기 복수의 벨트부의 연결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소형카톤을 일측 벨트부에서 타측 벨트부로 이송시키는 카톤 롤러부; 및
    상기 카톤 롤러부를 따라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톤 롤러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연결블럭, 상기 연결 블럭 사이에 연결된 안내롤러, 및 상기 안내롤러와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연결 블럭 사이에 연결된 카톤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벨트부의 일측 카톤 롤러와 상기 타측 벨트부의 타측 카톤 롤러의 배치 간격(요입 영역)은, 상기 소형 카톤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측면 플레이트,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장착되고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를 향해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한 쌍의 장력 조절 롤러부, 및
    상기 장력 조절 롤러부의 장력 조절축을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에서 일측방향으로 가압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블럭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
KR2020210000787U 2021-03-12 2021-03-12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 KR202200022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787U KR20220002250U (ko) 2021-03-12 2021-03-12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787U KR20220002250U (ko) 2021-03-12 2021-03-12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250U true KR20220002250U (ko) 2022-09-20

Family

ID=83445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787U KR20220002250U (ko) 2021-03-12 2021-03-12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25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7245B2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US10124960B2 (en) Chain conveyor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shafts
KR20100016155A (ko) 분리된 높이의 싱귤레이터
US5699892A (en) Chain type transfer device
JP3597472B2 (ja) コンベヤ・モータ駆動ユニット及びコンベヤ・システム
US9022200B2 (en) Accumulation conveyor
JP4269838B2 (ja) 物品の方向変更装置
US4986411A (en) Continuous motion vertical conveyor
KR20220002250U (ko) 소형물품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
JPH06115679A (ja) 方向転換装置
US6250454B1 (en) Storage buffer for a multi lane conveyor
KR200281021Y1 (ko) 롤러각도조절이 가능한 롤러스탠드
KR20120129144A (ko) 패널 이송용 컨베이어
JPH08127417A (ja) 物品高速仕分け装置
EP2090531A1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KR102646950B1 (ko) 물품 분류 장치
CN219216623U (zh) 一种防碰撞物流输送结构
JPH11244968A (ja) プレス材搬送装置
KR101482277B1 (ko)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벨트 지지 장치
CN218022487U (zh) 一种装箱输送部件
KR100213723B1 (ko) 제품용 캐비넷의 이송장치
JP2001345551A (ja) リフロー半田付け装置における基板搬送機構
CN115057038A (zh) 一种产品搬运部件
CN115043030A (zh) 一种包材纸板输送部件
CN115009600A (zh) 一种装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