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197U - 조립형 냉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형 냉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197U
KR20220002197U KR2020220001731U KR20220001731U KR20220002197U KR 20220002197 U KR20220002197 U KR 20220002197U KR 2020220001731 U KR2020220001731 U KR 2020220001731U KR 20220001731 U KR20220001731 U KR 20220001731U KR 20220002197 U KR20220002197 U KR 202200021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teel plate
assembled
opening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340Y1 (ko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우 filed Critical 정진우
Priority to KR2020220001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340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1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1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3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조립형 냉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조립형 냉각 장치는, 일체로 조립되어 내부에 냉각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 개의 단열 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열 판넬 중 어느 하나의 단열 판넬은 상기 냉각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개구부를 가지는 단열 판넬 조립체; 및 상기 단열 판넬 조립체 상에 조립되되, 상기 제1 개구부를 가지는 어느 하나의 단열 판넬의 일측에 위치되며, 열교환기가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되는 냉기가 상기 냉각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개구부와 단일 통로를 이루는 제2 개구부가 일측면에 형성되는 기계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형 냉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Prefab Cooling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고안은 조립형 냉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계장치와 몸체, 그리고 몸체의 판넬을 분해 조립을 할 수 있는, 조립형 냉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온에서의 보관이 필요한 각종 저장물품들은 냉장고에 넣어 변질을 방지하면서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기존 냉장고는 발포된 우레탄이 충진된 몸체에 냉각 싸이클 기계의 각각의 부품들이 안팎으로 용접 결합된 방식으로 냉각 싸이클 기계의 내구연한 경과 시 냉장고 전체를 폐기하여야 한다.
둘째, 기존 냉장고는 형태와 크기 별로 각각의 전용 지그가 필요해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들어가며, 우레탄이 충진된 몸체에 각각의 부품을 부착 및 배관 용접하는 등등 제작 과정이 복잡해 생산 비용도 많이 든다.
셋째, 기존 냉장고는 몸체와 도어, 그리고 각각의 부품들이 결합된 하나의 단일 제품을 형성함으로써 커다란 부피와 무거운 중량으로 배송 및 설치가 힘들다.
또한, 기존의 조립식 저장고, 냉동 창고의 경우는, 저장고 안에 증발기 및 그와 관련된 부품을 조립하고, 저장고 지붕에 압축기 및 그와 관련된 부품을 조립 후 상호 냉매관 연결 후 냉매 가스 주입이라는 과정이 있어, 저장고 설치 시 전문 기술자가 필요하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냉장고 몸체 부분과 냉각 싸이클 기계 부분을 독립적으로 만들어, 냉장고 내구연한이 다하면 냉각 싸이클 기계 부분만 교체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조립형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냉각 싸이클 기계 부분, 그리고 냉장고 몸체 또한 "조립 가능한 단열 판넬"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배송 설치도 쉬워져, 택배 발송 후 사용자 설치도 가능한, 조립형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립식 저장고, 냉동 창고의 경우도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한 냉각 싸이클 기계 부분이 독립적인 완제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저장고, 냉동 창고 지붕 위, 또는 측면에 고정만 하면 돼 비 전문가도 설치가 가능한, 조립형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조립형 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형 냉각 장치는, 일체로 조립되어 내부에 냉각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 개의 단열 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열 판넬 중 어느 하나의 단열 판넬은 상기 냉각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개구부를 가지는 단열 판넬 조립체; 및 상기 단열 판넬 조립체 상에 조립되되, 상기 제1 개구부를 가지는 어느 하나의 단열 판넬의 일측에 위치되며, 열교환기가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되는 냉기가 상기 냉각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개구부와 단일 통로를 이루는 제2 개구부가 일측면에 형성되는 기계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교환기는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1 개구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교환기는 제1 송풍 팬 및 제2 송풍 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송풍 팬은 상기 응축기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송풍 팬은 상기 증발기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발생되는 냉기를 상기 냉각 공간 내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씰링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씰링 부재는 상기 단열 판넬 조립체와 상기 기계 박스의 조립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 공간으로 제공되는 냉기의 외부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속 부재는 상기 단열 판넬 조립체와 상기 기계 박스를 일체로 결속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단열 판넬은 바닥 판넬, 천정 판넬, 벽체 판넬 및 도어 판넬로 구분되며, 상기 도어 판넬에는 이슬 맺힘 방지를 위한 열선이 매설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단열 판넬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강판 및 제2 강판; 상기 제1 강판 및 제2 강판이 이루는 사이 공간을 채우는 형태로 구비되는 보온재; 및 상기 보온재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보온재의 폭 방향 양단의 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보온재의 내측 방향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보온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조립형 냉각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형 냉각 장치 제조 방법은, 바닥 판넬, 일측에 제1 개구부를 가지는 천정 판넬, 벽체 판넬 및 도어 판넬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단열 판넬 및 일측면에 상기 제1 개구부와 대응되는 제2 개구부를 가지며 내측에 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기계 박스를 준비하는 단계; 내부에 냉각 공간이 구획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단열 판넬을 일체로 조립하여 단열 판넬 조립체를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가 단일 통로를 이루도록, 상기 천정 판넬 상에 상기 기계 박스를 위치시켜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일체로 조립되어 내부에 냉각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 개의 단열 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열 판넬 중 어느 하나의 단열 판넬은 상기 냉각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개구부를 가지는 단열 판넬 조립체; 및 상기 단열 판넬 조립체 상에 조립되되, 상기 제1 개구부를 가지는 어느 하나의 단열 판넬의 일측에 위치되며, 열교환기가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되는 냉기가 상기 냉각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개구부와 단일 통로를 이루는 제2 개구부가 일측면에 형성되는 기계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장에서 냉장고의 외관을 이루도록 쉽게 조립 가능함은 물론, 부품 교체 및 수리 또한 쉽게 할 수 있는 조립형 냉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강력한 기밀 유지가 가능하며 구조적으로도 튼튼한 조립형 냉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비전문가도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형 냉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립형 냉각 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단열 판넬을 택배 배송이 가능한 크기로 제조할 수 있는, 조립형 냉각 장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지그로 다양한 크기의 단열 판넬을 제조할 수 있는, 조립형 냉각 장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 크기 별로 각각의 전용 지그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조립형 냉각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조립형 냉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냉각 장치의 단열 판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캡 부재를 구비하는 단열 판넬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변형 예에 따른 캡 부재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변형 예에 따른 캡 부재가 결합된 단열 판넬을 나타낸 단면도로, 도 6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단열 판넬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2 및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냉각 장치의 단열 판넬의 조립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열선이 매설되어 있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판넬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판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0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냉각 장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S1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냉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냉각 장치(10)는 예를 들어, 냉장고 또는 냉동고일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냉각 장치(10)는 현장에서 조립 가능한 업소용 대형 냉장고 또는 냉동고일 수 있다. 이러한 조립형 냉각 장치(10)는 업주, 즉, 사용자가 원하는 용량 혹은 크기로 주문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냉각 장치(10)는 단열 판넬 조립체(11) 및 기계 박스(1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단열 판넬 조립체(11)는 일체로 조립되어 내부에 냉각 공간(CA)을 구획하는 복수 개의 단열 판넬(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 판넬 조립체(11)는 냉장고 또는 냉동고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단열 판넬(100)은 조립 위치에 따라, 바닥 판넬(100A), 천정 판넬(100B), 벽체 판넬(100C) 도어 판넬(100D)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도 15를 참조하면, 도어 판넬(100D)에는 이슬 맺힘 방지를 위한 열선(H)이 매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장고 또는 냉동고의 외형을 이루는 바닥 판넬(100A), 천정 판넬(100B), 벽체 판넬(100C) 및 도어 판넬(100D)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단열 판넬(100)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단열 판넬 조립체(11)는 현장 조립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단열 판넬 조립체(11)를 이루는 복수 개의 단열 판넬(100)은 택배 가능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사 측에서는 택배를 통하여 상기 단열 판넬(100)들을 설치 현장으로 배송할 수 있다. 이에, 구매자 혹은 작업자는 설치 현장에서 바닥 판넬(100A), 천정 판넬(100B) 및 벽체 판넬(100C)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단열 판넬(100)을 직접 조립하여 단열 판넬 조립체(11)를 만들 수 있다.
이때, 바닥 판넬(100A), 천정 판넬(100B) 및 벽체 판넬(100C)은 일측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된 일측면에는 최종적으로 도어 판넬(100D)이 결합되어, 냉장고 또는 냉동고의 외형을 이루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단열 판넬(100) 중 어느 하나의 단열 판넬(100)은 냉각 공간(CA)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개구부(101)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조립형 냉각 장치(10)의 경우, 바닥 판넬(100A), 천정 판넬(100B) 및 벽체 판넬(100C) 중 천정 판넬(100B)은 냉각 공간(CA)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개구부(10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은 가로 방향으로 긴 조립형 냉각 장치(10)의 경우, 기계 박스(12)가 조립되는 벽체 판넬(100C)에 제1 개구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과 같은 형태의 조립형 냉각 장치(1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천정 판넬(100B)에 구비되는 제1 개구부(101)는 기계 박스(12)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는 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되는 냉기가 단열 판넬 조립체(11) 내부의 냉각 공간(CA)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바닥 판넬(100A), 천정 판넬(100B) 및 벽체 판넬(100C)로 구분되며, 조립되어 단열 판넬 조립체(11)를 이루는 단열 판넬(100)은 제1 강판(110), 제2 강판(120), 보온재(130) 및 강도 보강 부재(14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강판(110)은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강판(11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강판(120)은 제1 강판(110)과 마찬가지로 판상을 구비될 수 있다. 제2 강판(12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의 크기에 의하여 단열 판넬(100)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은 보온재(13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은 단열 판넬(100)에 강도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은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은 동일한 형상, 크기 및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은 그 사이 공간에 보온재(130) 및 강도 보강 부재(14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서로 대향되게 이격될 수 있다.
단열 판넬(100)이 냉장고 또는 냉동고로 사용될 단열 판넬 조립체(11)로 조립된 경우, 예를 들어, 제1 강판(110)은 단열 판넬 조립체(11)의 내측면을 이룰 수 있으며, 제2 강판(120)은 단열 판넬 조립체(11)의 외측면을 이룰 수 있다.
이때, 단열 판넬(100)은 제3 강판(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강판(125)은 제1 강판(110) 및 제2 강판(120)과 동일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제3 강판(125)은 서로 대향되게 이격되는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보온재(130)는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이 서로 마주하며 이루는 사이 공간을 채우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보온재(130)의 형성 면적은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보온재(130)는 육면체 형상의 블록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온재(130)는 경질 발포 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질 발포 우레탄은 스티로폼에 비해 우수한 단열 특성과 우수한 강도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 사이에 경질 발포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보온재(130)를 구비하는 단열 판넬(100)은 우수한 단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 사이 공간을 채우는 형태로 구비되는 보온재(130)는 단열 판넬(100)에 우수한 단열 특성을 부여하고,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강도 보강 부재(140)는 강도가 약한 보온재(13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강도 보강 부재(140)는 보온재(130)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보온재(130)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강도 보강 부재(140)는 보온재(130)의 폭 방향 양단의 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강도 보강 부재(14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보온재(130)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강도 보강 부재(140)는 서로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이때, 강도 보강 부재(140)는 보온재(130)의 내측 방향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도 보강 부재(140)는 발포 우레탄 재질로 구비되는 보온재(13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강도가 높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도 보강 부재(140)는 철 또는 강화 단열성이 뛰어난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강도 보강 부재(140)는 보온재(130)의 내측 방향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보온재(130)와의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이루기 위해, 강도 보강 부재(140)는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도 보강 부재(140)는 본체(141) 및 날개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41)는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41)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날개부(142)는 본체(141)의 폭 방향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날개부(142)는 본체(141)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날개부(142)는 본체(141)와 ‘ㄷ’자 형상의 단면을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강도 보강 부재(140)는 본체(141) 및 이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본체(141)와 ‘ㄷ’자 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날개부(142)를 포함한다. 이때, 강도 보강 부재(140)는 날개부(142)를 선단으로 하여, 보온재(130)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도 보강 부재(140)는 보온재(130)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강도 보강 부재(140)가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되는 것은 일례일 뿐, 강도 보강 부재(140)는 보온재(130)와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도 보강 부재(140)는 “H”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강도 보강 부재(140)는 보온재(130)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철 패턴(140a)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철 패턴(140a)은 보온재(130)와 접촉되는 강도 보강 부재(140)의 접촉면에 마련될 수 있다. 강도 보강 부재(140)는 이러한 요철 패턴(140a)을 통하여, 보온재(130)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포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온재(130)와 강도 보강 부재(140) 간의 결합력을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판넬(100C)이 수직 방향으로 2단 조립되는 경우, 하중 지지를 위해, 아래쪽 벽체 판넬(100C)에 구비되는 강도 보강 부재(140)는 위쪽 벽체 판넬(100C)에 구비되는 강도 보강 부재(140)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판넬(100)은 캡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 부재(150)는 서로 대향되게 이격되는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캡 부재(150)는 단면이 ‘ㄷ’자 형태로 구비되어,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 사이에 노출되는 보온재(130)의 상단을 덮으면서, 제1 강판(110)과 보온재(130) 사이 및 제2 강판(120)과 보온재(130) 사이에 클립 형태로 끼워질 수 있다.
캡 부재(150)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열 판넬(100)의 강도는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캡 부재(150)는 단열 판넬(100)의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캡 부재(150)는 필요에 따라 단열 판넬(100)의 일측 테두리면에만 구비되거나, 복수 개로 구비되어, 단열 판넬(100)의 테두리면 전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변형 예로서, 캡 부재(150)는 캡 본체(151), 날개부(152) 및 강판 끼움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캡 본체(151)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캡 본체(151)는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 사이에 노출되는 보온재(130)의 단부, 즉, 단열 판넬(100)의 테두리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캡 본체(151)는 서로 대향되게 마주하는 양측 강도 보강 부재(140) 모두를 덮을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날개부(152)는 캡 본체(151)의 폭 방향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날개부(152)는 캡 본체(151)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날개부(152)는 캡 본체(151)와 'ㄷ'자 형상의 단면을 이룰 수 있다.
캡 본체(151)가 단열 판넬(100)의 테두리면 상에 위치될 때, 날개부(152)는 보온재(130)의 내측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를 위해, 보온재(130)에는 날개부(152)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예컨대, 드릴 트리머를 통하여 가공될 수 있다. 이때, 보온재(130)와 접촉되는 날개부(152)의 접촉면에는 보온재(130)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철 패턴(152a)이 구비될 수 있다.
강판 끼움부(153)는 캡 본체(151)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강판 끼움부(153)의 일측면에는 제1 강판(110) 또는 제2 강판(1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슬릿(153a)이 깊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152)의 외측면은 상기 슬릿(153a)의 일측벽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러한 캡 부재(150)는 날개부(152)를 통하여 보온재(130)를 지지하고, 강판 끼움부(153)를 통하여 제1 강판(110) 및 제2 강판(120)을 지지하는 형태로 단열 판넬(100)의 노출된 테두리면 상단과 하단(도면 기준)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변형 예로, 단열 판넬(100)의 노출된 테두리면은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다른 변형 예의 경우,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은 보온재(130) 및 강도 보강 부재(140)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은 보온재(130) 및 강도 보강 부재(140)보다 상측과 하측(도면 기준)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다른 변형 예에 따르면, 보온재(130) 및 강도 보강 부재(140)보다 상측과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의 양측 단부는 단열 판넬(100)의 노출된 테두리면 방향으로 서로를 향하여 포개지는 형태로 절곡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단열 판넬(100)의 노출된 테두리면은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에 의해 마감 처리, 즉, 캡핑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조립 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단열 판넬(100)의 이음 부분에는 단열 부재(200)가 구비될 수 있다. 단열 부재(200)는 예를 들어, 단열 판넬(100)들이 냉장고(도 1의 1)로 조립되는 경우, 양측 단열 판넬(100)의 이음 부분으로 냉장고(도 1의 1)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단열 부재(200)는, 예를 들어, 접착력을 가지는 단열 테이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단열 판넬(100)은 서로 간의 이음 부분에 구비되는 단열 부재(200)를 통하여, 일차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양측 단열 판넬(100)은 판넬 결속 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속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립 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단열 판넬(100)은 나사형 결속 부재(310)에 의해 일체로 결속될 수 있다.
나사형 결속 부재(310)는 양측 단열 판넬(100)의 이음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나사형 결속 부재(310)는 일측 단열 판넬(100)의 제2 강판(120) 측으로부터 일측 단열 판넬(100) 및 단열 부재(200)를 차례로 관통하고, 타측 단열 판넬(100)의 내측에 삽입되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양측 단열 판넬(100)을 일체로 결속시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단열 판넬(100)의 이음 부분에도 상기 단열 부재(2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단열 판넬(100)은 서로 간의 이음 부분에 구비되는 단열 부재(200)를 통하여, 일차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양측 단열 판넬(100)은 판넬 결속 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속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립 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단열 판넬(100)은 파스너형 결속 부재(320)에 의해 일체로 결속될 수 있다.
파스너형 결속 부재(320)는 양측 단열 판넬(100)의 이음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파스너형 결속 부재(320)는 일측 단열 판넬(100)에 타측 단열 판넬(100)을 끌어당겨 결속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파스너형 결속 부재(320)를 통하여,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단열 판넬(100) 또한 일체로 결속되어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나사형 결속 부재(310) 및 파스너형 결속 부재(320)는 일례일 뿐, 판넬 결속 부재는 이들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결속 부재로 구비되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단열 판넬(100) 및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단열 판넬(100)을 일체로 결속시켜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로서, 단열 판넬(500)은 제1 강판(510), 제2 강판(520), 보온재(130), 제1 강도 보강 부재(140) 및 제2 강도 보강 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강판(510)은 제1 강판 본체(511) 및 제1 강판 날개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강판 본체(511)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강판 본체(511)는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강판 날개부(512)는 제1 강판 본체(511)의 양측 장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1 강판 날개부(512)는 제1 강판 본체(511)의 양측 장변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강판(510)은 제1 강판 본체(511)와 제1 강판 날개부(512)에 의해,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강판(520)은 제2 강판 본체(521) 및 제2 강판 날개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강판 본체(521)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강판 본체(521)는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강판 본체(521)는 제1 강판 본체(511)와 대응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2 강판 날개부(522)는 제2 강판 본체(521)의 양측 단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2 강판 날개부(522)는 제2 강판 본체(521)의 양측 단변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2 강판 날개부(522)는 제1 강판 날개부(512)와 대응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강판(520)은 제2 강판 본체(521)와 제2 강판 날개부(522)에 의해,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강판(510)과 제2 강판(520)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경우, 제1 강판 본체(511), 양측 제1 강판 날개부(512), 제2 강판 본체(521) 및 양측 제2 강판 날개부(522)는 육면체 형상의 단열 판넬(500)의 각 면을 이루게 된다.
보온재(130)는 육면체를 이루는 제1 강판(510)과 제2 강판(520)의 내측 공간을 채우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온재(130)는 육면체 형상의 블록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보온재(130)의 모든 면들이 제1 강판(510) 및 제2 강판(5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열 판넬(500)은 우수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1 강도 보강 부재(140)는 보온재(130)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보온재(130)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강도 보강 부재(140)는 보온재(130)의 폭 방향 양단의 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강도 보강 부재(14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보온재(130)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강도 보강 부재(140)는 서로 평행을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강도 보강 부재(140)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도 보강 부재(도 2의 140)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강도 보강 부재(140)는 "ㄷ"자 형상이나 "H"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강도 보강 부재(145)는 보온재(130)의 변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2 강도 보강 부재(145)는 보온재(13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온재(130)의 변 방향 일단을 기준으로 볼 때, 제2 강도 보강 부재(145)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제2 강도 보강 부재(145)는 제1 강판(510)의 제1 강판 본체(511)와 접하고, 다른 하나의 제2 강도 보강 부재(145)는 제2 강판(520)의 제2 강판 본체(521)와 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2 강도 보강 부재(145)는 서로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제2 강도 보강 부재(145)는 제1 강판 본체(511)와 제1 강도 보강 부재(140) 사이에 끼워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제2 강도 보강 부재(145)는 제2 강판 본체(521)와 제1 강도 보강 부재(140) 사이에 끼워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강판 날개부(512) 및 한 쌍의 제2 강판 날개부(522)를 단열 판넬(500)의 테두리면으로 정의할 때,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테두리면 전체, 즉, 육면체의 4면에 강도 보강 부재(140, 14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열 판넬(500)의 강도는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계 박스(12)는 단열 판넬 조립체(11)의 일측에 조립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 박스(12)는 천정 판넬(100B)의 외측면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 박스(12)는 양측 벽체 판넬(100C)의 외측면에 조립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기계 박스(12)는 내측에 열교환기의 수용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열교환기는 기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210), 상기 압축기(210)에 의해 고온 고온으로 압축된 기체 냉매를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220), 액체 냉매를 안개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급속하게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미도시) 및 상기 팽창 밸브를 통하여 급속 팽창된 냉매를 공급 받아, 공기 또는 물 등과 열교환시킴으로써 액체 증발에 의한 열 흡수로 냉기를 발생시키는 증발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시하진 않았지만, 압축기(210), 응축기(220), 팽창 밸브 및 증발기(230)는 냉매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냉매 순환 라인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증발기(230)가 냉장고 또는 냉동고 안에 배치되는 종래와 달리, 증발기(230)가 냉장고 또는 냉동고의 외관을 이루는 단열 판넬 조립체(11)의 외부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 냉장고 안에 배치되어 있는 증발기와 냉장고 밖에 배치되는 응축기를 조립 과정에서 연결할 필요가 없게 되며, 그 결과, 조립을 쉽게 할 수 있으며, 고장 발생 시에도 부품 교체나 수리 또한 쉽게 할 수 있다.
즉, 증발기(230)가 단열 판넬 조립체(11)의 내부가 아닌, 기계 박스(12)에 마련됨으로써, 비 전문가도 쉽게 냉각 장치(10)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열교환을 통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증발기(230)는 단열 판넬 조립체(11) 상에 기계 박스(12)를 조립하는 경우, 단열 판넬 조립체(11),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 판넬(100B)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개구부(10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증발기(230)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제1 개구부(101)를 통하여 단열 판넬 조립체(11)의 내측에 마련되는 냉각 공간(CA)으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기계 박스(12)의 일측면에는 제2 개구부(1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12a)는 단열 판넬 조립체(11)에 기계 박스(12)가 조립되는 경우, 제1 개구부(101)와 단일 통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230)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제2 개구부(12a) 및 제1 개구부(101)가 이루는 단일 통로를 통과하여, 단열 판넬 조립체(11)의 내부에 마련되는 냉각 공간(CA)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천정 판넬(100B)의 내측면 중 제1 개구부(101)와 인접된 부분에는 바람 가이드 막(102)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230)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제2 개구부(12a)와 제1 개구부(101)가 이루는 단일 통로를 통과한 후, 바람 가이드 막(102)에 의해 이동 경로가 가이드되어, 바닥 판넬(100A) 쪽으로 향하게 된다. 이를 통해, 냉각 공간(CA)은 전체적으로 고른 냉각 효율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제1 개구부(101)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개구부(12a)는 제1 개구부(101)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계 박스(12)의 내측에 수용되는 열교환기는 제1 송풍 팬(240) 및 제2 송풍 팬(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풍 팬(240)은 응축기(220)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송풍 팬(250)은 증발기(230)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증발기(230)에서 발생되는 냉기를 제2 개구부(12a) 및 제1 개구부(101)가 이루는 단일 통로로 통하여 냉각 공간(CA)으로 유입시켜, 냉기가 냉각 공간(CA) 내에서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 박스(12)가 벽체 판넬(100C)에 조립되는 경우, 기계 박스(12)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 즉, 압축기(210), 응축기(220), 팽창 밸브, 증발기(230) 및 송풍 팬(240, 250)은 이에 최적화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도 4의 열 교환기 구조는 도 2의 "F" 방향에서 바라본 경우이다. 아래층에는 압축기(210)와 응축기(220) 및 제1 송풍 팬(240)이 배치되고, 위층에는 증발기(230)가 배치된다. 이 경우에도 증발기(230)는 벽체 판넬(100C)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230)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일측 제2 개구부(12a) 및 벽체 판넬(100C)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개구부가 이루는 단일 통로를 통과하여, 단열 판넬 조립체(11)의 내부에 마련되는 냉각 공간(CA)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냉기는 냉각 공간(CA)을 순환한 후 타측 제2 개구부(12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증발기(230)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양측 제2 개구부(12a)를 통해, 냉각 공간(CA)의 내부와 외부로 순환할 수 있다.
도 5의 열 교환기 구조는 도 4의 열 교환기 구조와 비교하여 구성들의 설치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열 판넬 조립체(11)는 복수 개의 단열 판넬(100)을 현장에서 조립함으로써, 만들어진다. 또한, 열교환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기계 박스(12)도 현장에서 단열 판넬 조립체(11) 상에 조립된다.
이때, 단열 판넬 조립체(11),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 판넬(100B)의 일측에는 제1 개구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기계 박스(12)의 일측면에는 제2 개구부(12a)가 형성되어 있어, 냉기가 접합면 사이로 빠져나가 냉각 장치(10)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각 장치(10)는 씰링 부재(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씰링 부재(13)는 단열 판넬 조립체(11)과 기계 박스(12)의 조립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씰링 부재(13)는 기계 박스(12)에 수용되어 있는 증발기(230)로부터 발생되어, 단열 판넬 조립체(11)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냉각 공간(CA)으로 제공되는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각 장치(10)는 결속 부재(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속 부재(14)는 단열 판넬 조립체(11)와 기계 박스(12)를 일체로 결속시키는 부재이다.
예를 들어, 결속 부재(14)는 나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사형 결속 부재(14)는 천정 판넬(100B)의 일측면으로부터 씰링 부재(13)를 관통하여 기계 박스(12)의 벽체에 삽입되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천정 판넬(100B)과 기계 박스(12)를 일체로 결속시켜 조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속 부재(14)는 파스너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형 결속 부재(14)는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벽체 판넬(100C)과 기계 박스(12)를 일체로 결속시켜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결속 부재(14)가 나사형 또는 파스너형으로 구비되는 것은 일례일 뿐, 단열 판넬 조립체(11)와 기계 박스(12)는 현장에서 사용 가능하면서 쉽고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결속 부재(14)를 통해서도 결속될 수 있다.
이하,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냉각 장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냉각 장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S1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22는 도 20의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23은 도 20의 S1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냉각 장치 제조 방법은 S110 단계 내지 S13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10 단계
먼저, 도 21을 참조하면, S110 단계는 복수 개의 단열 판넬(100) 및 기계 박스(도 1의 12)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S110 단계에서는 바닥 판넬(100A), 제1 개구부(101)를 가지는 천정 판넬(100B), 벽체 판넬(100C) 및 도어 판넬(100D)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단열 판넬(100)을 준비할 수 있다. 또한, S110 단계에서는 천정 판넬(100B)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개구부(101)와 대응되는 제2 개구부(12a)를 가지는 기계 박스(12)를 준비할 수 있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는 기계 박스(12)의 내측에 압축기(210), 응축기(230), 팽창 밸브(미도시) 및 증발기(230)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복수 개의 단열 판넬(100)은 먼저, 하나의 지그로 하나의 단열 판넬 모재를 제조한 후 이를 원하는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단열 판넬 모재를 절단하는 경우 절단면으로 보온재(130)가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단열 판넬 모재를 절단한 다음, 단열 판넬 모재의 절단면에 강도 보강 부재(140)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릴 트리머를 사용하여, 절단면으로 노출된 보온재(130)에 강도 보강 부재(140)가 삽입될 홈을 가공한 후 가공된 홈에 강도 보강 부재(140)를 끼워 넣을 수 있다. 그 다음, 보강 부재(140)의 외측면을 제3 강판(125)으로 마감함으로써, 단열 판넬(100)을 제조할 수 있다.
단열 판넬 모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그 상에 제1 강판(110)을 배치한 다음, 제1 강판(11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강도 보강 부재(140)를 각각 배치할 수 있다. 그 다음, 강도 보강 부재(140) 상에 제2 강판(120)을 배치할 수 있다. 그 다음, 이들 사이에 보온재(130)를 주입 및 건조함으로써, 단열 판넬 모재를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강판(110)과 제2 강판(120) 사이에 보온재(130)를 먼저 주입 및 건조시킨 후 보온재(130)에 강도 보강 부재(140)가 삽입될 홈을, 예컨대, 드릴 트리머를 사용하여 가공한 후 가공된 홈에 강도 보강 부재(140)를 삽입함으로써, 단열 판넬 모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지그 상에 제2 강판(520)을 배치한 다음, 제2 강판(520) 상에 제1 강도 보강 부재(140)와 제2 강도 보강 부재(145)를 배치할 수 있다. 그 다음, 제2 강도 보강 부재(145) 상에 제1 강판(510)을 배치할 수 있다. 그 다음, 이들 사이에 보온재(130)를 주입 및 건조함으로써, 단열 판넬 모재를 제조할 수 있다.
S120 단계
다음으로, 도 22를 참조하면, S120 단계는 단열 판넬 조립체(11)를 만드는 단계이다. S120 단계에서는 내부에 냉각 공간(CA)이 구획되도록, 복수 개의 단열 판넬, 예를 들어, 바닥 판넬(100A), 천정 판넬(100B), 벽체 판넬(100C) 및 도어 판넬(100D)을 일체로 조립하여 단열 판넬 조립체(11)를 만들 수 있다.
S120 단계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단열 판넬(100)의 이음 부분에 단열 부재(200)를 시공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단열 판넬(100)을 일차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그 다음, S120 단계에서는 나사형 결속 부재(310)를 사용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단열 판넬(100)을 일체로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S120 단계에서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단열 판넬(100)의 이음 부분에도 상기 단열 부재(200)를 시공하여,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단열 판넬(100)을 일차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그 다음, S120 단계에서는 파스너형 결속 부재(320)를 사용하여,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단열 판넬(100)을 일체로 결속시킬 수 있다.
S130 단계
마지막으로, 도 23을 참조하면, S130 단계는 단열 판넬 조립체(11)에 기계 박스(12)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S130 단계에서는 천정 판넬(100B)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개구부(101)와, 기계 박스(12)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개구부(12a)가 단일 통로를 이루도록, 천정 판넬(100B) 상에 기계 박스(12)를 위치시켜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개구부(101) 상에는 기계 박스(12)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증발기(23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증발기(230)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제1 개구부(101)와 제2 개구부(12a)가 이루는 단일 통로를 통과하여 단열 판넬 조립체(11)의 내부에 마련되는 냉각 공간(CA)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S130 단계에서는 단열 판넬 조립체(11)와 기계 박스(12)의 조립면 사이에 씰링 부재(13)를 시공하여, 냉각 공간(CA)으로 제공되는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S130 단계에서는 나사형 또는 파스너형 결속 부재(14)를 사용하여, 단열 판넬 조립체(11)에 기계 박스(12)를 일체로 결속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냉각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냉장고 또는 냉동고의 외관을 이루게 되는 단열 판넬 조립체(11)의 외부, 즉, 기계 박스(12) 내에 증발기(230)를 설치함으로써, 단열 판넬 조립체(11)과 기계 박스(12)의 조립을 보다 쉽게 할 수 있으며, 고장 발생 시에도 부품의 교체 및 수리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조립형 냉각 장치
11; 단열 판넬 조립체
12; 기계 박스
12a; 제2 개구부
13; 씰링 부재
14; 결속 부재
100; 단열 판넬
101; 제1 개구부
110; 제1 강판
120; 제2 강판
130; 보온재
140; 강도 보강 부재

Claims (2)

  1. 바닥 판넬, 천정 판넬, 벽체 판넬 및 도어 판넬을 포함하되, 육면체를 이루도록, 상기 바닥 판넬의 세 변에 각각, 벽체 판넬이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조립되고, 상기 바닥 판넬의 나머지 한 변에 상기 도어 판넬이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조립되되 이웃하는 양측 벽체 판넬과도 조립되고, 상기 바닥 판넬의 네 변에 수직하게 조립된 상기 세 개의 벽체 판넬과 하나의 상기 도어 판넬의 상단에 상기 천정 판넬이 조립되어 내부에 냉각 공간을 구획하되, 상기 천정 판넬은 상기 냉각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개구부를 가지는 단열 판넬 조립체; 및
    상기 단열 판넬 조립체 상에 조립되되, 상기 제1 개구부를 가지는 천정 판넬의 일측에 위치되며, 열교환기가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되는 냉기가 상기 냉각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개구부와 수직 방향으로 단일 통로를 이루는 제2 개구부가 일측면에 형성되는 기계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판넬, 천정 판넬, 벽체 판넬 및 도어 판넬은 각각,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강판 및 제2 강판;
    상기 제1 강판 및 제2 강판이 이루는 사이 공간을 채우는 형태로 구비되는 보온재; 및
    상기 보온재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보온재의 폭 방향 양단의 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보온재의 내측 방향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보온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열 부재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판넬인 상기 바닥 판넬과 벽체 판넬 및 도어 판넬의 이음 부분, 상기 천정 판넬과 벽체 판넬 및 도어 판넬의 이음 부분에 구비되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판넬을 일차적으로 조립하고,
    상기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판넬의 이음 부분에 체결되어, 상기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판넬을 일체로 결속시켜 조립하는 제1 나사형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열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벽체 판넬 또는 도어 판넬의 이음 부분에 더 구비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벽체 판넬 또는 도어 판넬을 일차적으로 조립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벽체 판넬 또는 도어 판넬의 이음 부분에 체결되어,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벽체 판넬 또는 도어 판넬을 일체로 결속시켜 조립하는 제1 파스너형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하며,
    제2 나사형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나사형 결속 부재는 상기 천정 판넬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기계 박스의 벽체에 삽입되는 형태로 체결되어, 상기 천정 판넬과 기계 박스를 일체로 결속시켜 조립하고,
    제2 파스너형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파스너형 결속 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벽체 판넬과 기계 박스를 일체로 결속시켜 조립하는, 조립형 냉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1 개구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가지는 어느 하나의 단열 판넬은 바람 가이드 막을 더 가지되,
    상기 바람 가이드 막은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되어 상기 단일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냉각 공간으로 유입되는 냉기가 상기 어느 하나의 단열 판넬과 대향되는 다른 하나의 단열 판넬을 향하도록, 상기 냉기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개구부와 인접된 부분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단열 판넬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조립형 냉각 장치.
KR2020220001731U 2021-03-05 2022-07-15 조립형 냉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963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731U KR200496340Y1 (ko) 2021-03-05 2022-07-15 조립형 냉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328 2021-03-05
KR2020220001731U KR200496340Y1 (ko) 2021-03-05 2022-07-15 조립형 냉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328 Division 2021-03-05 2021-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197U true KR20220002197U (ko) 2022-09-14
KR200496340Y1 KR200496340Y1 (ko) 2023-01-04

Family

ID=8327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731U KR200496340Y1 (ko) 2021-03-05 2022-07-15 조립형 냉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340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5176U (ko) * 1989-09-07 1991-04-25
JPH0719719A (ja) * 1993-07-05 1995-0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断熱箱体
KR200300290Y1 (ko) * 2002-09-18 2003-01-14 김재남 조립식 냉장고
JP2004011935A (ja) * 2002-06-03 2004-01-15 Hoshizaki Electric Co Ltd 断熱扉
KR20050008334A (ko) * 2003-07-15 2005-01-21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전기 냉동/냉장 쇼케이스
KR20140112210A (ko) * 2013-03-13 2014-09-23 주식회사 일양오피오 냉장,냉동고의 판넬조립구 및 판넬조립방법
JP2015158327A (ja) * 2014-02-25 2015-09-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KR102167411B1 (ko) * 2020-01-13 2020-10-19 주식회사 비디이엔지 냉장 냉동고의 판넬조립구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5176U (ko) * 1989-09-07 1991-04-25
JPH0719719A (ja) * 1993-07-05 1995-0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断熱箱体
JP2004011935A (ja) * 2002-06-03 2004-01-15 Hoshizaki Electric Co Ltd 断熱扉
KR200300290Y1 (ko) * 2002-09-18 2003-01-14 김재남 조립식 냉장고
KR20050008334A (ko) * 2003-07-15 2005-01-21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전기 냉동/냉장 쇼케이스
KR20140112210A (ko) * 2013-03-13 2014-09-23 주식회사 일양오피오 냉장,냉동고의 판넬조립구 및 판넬조립방법
JP2015158327A (ja) * 2014-02-25 2015-09-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KR102167411B1 (ko) * 2020-01-13 2020-10-19 주식회사 비디이엔지 냉장 냉동고의 판넬조립구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340Y1 (ko)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3535B2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TWI634060B (zh) 隔熱箱體以及冰箱
EP2589904B1 (en) Refrigerator
RU2494322C2 (ru) Холод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5578263B1 (ja) 冷蔵庫
US11768026B2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EP2283289A2 (en) Cold appliance
US10907871B2 (en) Refrigerant flow path switch and air conditioner
KR20220002197U (ko) 조립형 냉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6196859A (zh) 冰箱
KR102529094B1 (ko) 냉장고
KR20220002195U (ko) 조립 가능한 단열 판넬
KR101992415B1 (ko) 롤 본드 증발기
CN114207367A (zh) 真空绝热模块、冰箱和制造该冰箱的方法
CN113544450B (zh) 冰箱及其制造方法
CN113474602A (zh) 冰箱
WO2023062904A1 (ja) 空気調和機
JP3823993B2 (ja) 冷蔵庫
WO2023062900A1 (ja) 空気調和機
JP7280740B2 (ja) 冷蔵庫
KR200435439Y1 (ko) 실외용 소형 저온창고
JP2002357380A (ja) 保冷庫
CN116235012A (zh) 冰箱
CN115560516A (zh) 冰箱
JP2012154585A (ja) 冷却貯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