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148A - 니솔디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니솔디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148A
KR20220002148A KR1020210085233A KR20210085233A KR20220002148A KR 20220002148 A KR20220002148 A KR 20220002148A KR 1020210085233 A KR1020210085233 A KR 1020210085233A KR 20210085233 A KR20210085233 A KR 20210085233A KR 20220002148 A KR20220002148 A KR 20220002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pulmonary fibrosis
nisoldipine
radiatio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석
허종익
남기석
이윤진
이해준
심명규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의학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의학원
Publication of KR20220002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21,4-Dihydropyridines, e.g. nifedipine, nicardi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솔디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니솔디핀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방사선에 의해 유발된 폐섬유화 또는 폐손상을 억제하고 회복시킬 수 있어, 우수한 폐섬유화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방사선 노출사고나 방사선 치료에 의해 유발된 폐섬유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니솔디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ULMONARY FIBROSIS COMPRISING NISOLDIPINE}
본 발명은 니솔디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사선에 의해 유발된 폐섬유화의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을 다루는 산업현장에서의 방사선 노출사고 및 방사선 치료시 생기는 정상조직에 대한 부작용 등 방사선 피폭에 의한 생체 손상의 사례는 다양하다. 방사선은 주로 세포독성으로 인해서 세포 및 조직에 역효과를 미친다.
방사선 치료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방사선 치료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폐섬유화와 같은 부작용은 흉부 방사선 치료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부작용이다. 폐암, 유방암, 또는 호치킨림프종의 치료를 위해, 흉부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10-15%에서 2-3 개월 후 방사선 폐렴이 발생하고 6 개월 후에는 만성 부작용인 섬유화 질환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진행된 폐섬유화는 2년 정도의 기간이 경과되어도 여전히 유지되어 폐기능 저하 및 환자의 고통과 생활의 불편함을 수반하게 된다.
현재 폐섬유화증의 치료는 면역억제제가 주로 사용된다. 스테로이드나 세포독성약물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스테로이드가 우선 사용되며, 방사선 피폭에 의한 폐섬유화의 치료제로는 현재 스테로이드와 아자티오프린 또는 사이클로포스파미드의 병합요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치료법이 환자의 생존율이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명확한 근거는 없으며 지금까지 여러가지 섬유화 억제제가 동물 실험 및 소규모의 환자들에게 시도됐지만 뚜렷한 효과가 입증된 것은 없다. 따라서, 방사선에 의한 폐섬유화를 예방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의약품의 개발이 시급하다.
니솔디핀(Nisoldipine)은 디히드로피리딘(dihydropyridine)계 칼슘채널차단제로서, 상세하게는 화학명이 (RS)-이소부틸 메틸 2,6-디메틸-4-(2-니트로페닐)-1,4-디하이드로피리딘-3,5-디카르복시레이트[(RS)-Isobutyl methyl 2,6-dimethyl-4-(2-nitrophenyl)-1,4-dihydropyridine-3,5-dicarboxylate]이다. 니솔디핀은 기존에 만성 협심증 및 고혈압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폐섬유화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밝혀진 바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8637호 (2016.04.07.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고혈압 치료제인 니솔디핀의 신규한 용도로써, 폐섬유화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니솔디핀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니솔디핀의 신규한 용도로, 니솔디핀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특히 방사선에 의해 유발된 폐섬유화, 폐손상 등을 억제하고 회복시킬 수 있어, 우수한 폐섬유화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방사선 노출사고나 방사선 치료에 의해 유발된 폐섬유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니솔디핀의 인슐린 형성 성장인자 결합 단백질(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 IGFBP5) 억제 효과 및 혈관내피세포의 세포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2는 니솔디핀 처리에 의한 폐섬유화 억제 효과를 동물실험에서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니솔디핀 처리에 의한 폐섬유화 치료 효과를 동물실험에서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니솔디핀 처리에 의한 방사선 유도 염증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것이다.
도 5는 니솔디핀 처리에 의한 방사선 유도 콜라겐 침착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니솔디핀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니솔디핀(nisoldipine)"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로, (RS)-이소부틸 메틸 2,6-디메틸-4-(2-니트로페닐)-1,4-디하이드로피리딘-3,5-디카르복시레이트[(RS)-Isobutyl methyl 2,6-dimethyl-4-(2-nitrophenyl)-1,4-dihydropyridine-3,5-dicarboxylate]로 명명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니솔디핀은 이와 동일한 효능을 갖는 범위 내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성 염 또는 산성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염기성염은 유기 염기염, 무기 염기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리튬염, 마그네슘염, 세슘염, 아미늄(aminium)염, 암모늄염, 트리에칠아미늄염 및 피리디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산성염은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아황산, 인산, 이중 인산, 질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산, 말산, 퓨마르산, 글루코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캠퍼설폰산, 옥살산, 말론산, 글루타릭산, 아세트산, 글리콘산, 석신산, 타타르산, 4-톨루엔설폰산, 갈락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시트르산, 아스파르탄산, 스테아르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무기산 및 유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염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솔디핀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용매화물, 유도체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여 과량의 유기염기를 가하거나 무기염기의 염기 수용액을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염기를 증발시킨 후 건조시켜서 부가염을 얻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폐섬유화를 유도하는 인슐린 형성 성장인자 결합 단백질(IGFBP5)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고, 방사선 피폭에 의해 유발된 염증 또는 콜라겐 침착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방사선 피폭 또는 항암제에 의한 세포 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방사선 치료시 방사선 피폭 전 또는 후에 투여되어, 방사선 피폭 또는 항암제에 의해 유발된 폐섬유화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상기 폐섬유화는 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 시, 정상조직까지 피폭되어 발생된 방사선 치료 부작용이거나 항암치료를 위한 약물요법의 부작용일 수 있다. 상기 폐섬유화를 유발할 수 있는, 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 또는 약물요법은 유방암, 폐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구강암, 구강인두암,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위암,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소장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암, 간암, 대장암 또는 뇌종양에 대한 치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절한 담체와 배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부형제, 희석제, 분산제, 유화제, 완충제, 안정제, 결합제, 붕해제, 용제 등을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적절한 담체 등은 본 발명에 따른 니솔디핀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으로, 투여 형태 및 제형에 따라 달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어떠한 제형으로도 적용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비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형 제형 중 고형 제형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솔비톨, 만니톨, 셀룰로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고,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캡술제형의 경우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구형 제형 중 액상 제형은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제형은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를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치료 효능의 증진을 위해 칼슘이나 비타민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유효 용량 수준은 사용 목적,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 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mg/kg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폐섬유화가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동물에 투여할 수 있고, 상기 동물은 예를 들어, 인간 및 영장류뿐만 아니라 소, 돼지, 말, 개 등의 가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제제 형태에 따른 적당한 투여 경로로 투여될 수 있고,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법은 특히 한정할 필요 없이,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부 도포, 호흡기내 흡입,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폐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수술 또는 다른 약물 치료 등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니솔디핀의 IGFBP5 저해 효과 확인
사람 혈관세포(human aortic endothelial cells, Promocell)를 60mm 플레이트에 3×105을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세포에 10μg/ml 농도의 니솔디핀을 1시간 전처리한 후, 500nM 독소루비신 또는 2Gy의 방사선을 각각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IGFBP5의 발현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간 PCR (도 1A) 및 western blot (도 1B)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도 1A 및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니솔디핀은 인슐린 형성 성장인자 결합 단백질(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 5, IGFBP5)의 발현을 억제하는 동시에, 도 1C에 나타난 바와 같이 p53의 발현도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도 1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화 마커인 SA-β-gal(senescence-associated beta-galactosidase) 염색 시험을 통해서 니솔디핀이 방사선이나 항암제에 의한 세포 노화도 억제하는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IGFBP5에 의한 섬유화 연구는 2000년대 초부터 계속되어 왔는데, 이는 IGFBP5와 결합하는 파트너로써 콜라겐(collagen), 피브로넥틴(fibronectin)과 같은 부착 분자(adhesion molecule)들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IGFBP5는 α-SMA 및 Musin-1의 발현 증가 및 작용으로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활성화하고 EMT(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를 유도하며, 콜라겐, 피브로넥틴과 같은 부착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섬유성 세포(fibrotic cell)와의 부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GFBP5는 자신 뿐 아니라 전섬유증 인자(profibrotic factor)(CTGF, LOX)의 발현을 증가시켜 섬유화를 증가시킨다.
< 실시예 2> 니솔디핀의 방사선 유도 폐섬유화 억제 효과 확인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폐섬유화 예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니솔디핀 10mg/Kg을 방사선 전후에 복강 주사한 후, 방사선에 의한 폐섬유화를 관찰하였다. 90Gy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14일 되는 날에 부검을 실시하였고, 폐를 적출하여 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 방사선에 의한 폐 손상이 관찰되었고, 니솔디핀을 처리한 군에서는 폐의 손상이 억제되거나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3> 니솔디핀의 방사선 유도 폐섬유화 억제 효과 확인
니솔디핀에 의해 유도된 폐섬유화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90Gy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7일 되는 날에 폐섬유화가 진행된 상황에서 니솔디핀 10mg/Kg을 방사선 전후에 복강 주사한 후, 방사선에 의한 폐섬유화를 관찰하였다. 90Gy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21일 되는 날에 부검을 실시하였고, 폐를 적출하여 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 방사선에 의한 폐 손상이 관찰되었고, 니솔디핀을 처리한 군에서는 폐의 손상이 억제되거나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4> 니솔디핀의 방사선 유도 염증반응 억제 효과 확인
90Gy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7일 되는 날에 폐섬유화가 진행된 상황에서 니솔디핀 10mg/Kg을 방사선 전후에 복강 주사한 후, 방사선에 의한 폐섬유화를 관찰하였다. 90Gy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14일 되는 날에 부검을 실시하였고, 폐를 적출하여 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였다.
니솔디핀의 방사선 유도 염증반응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고정된 폐 조직을 파라핀에 포매하고, 포매된 조직을 4μm 두께로 박절하여 헤마토실린과 에오신(H&E)으로 염색하였다. 염증세포 침윤 정도를 헤마토실린 양성을 나타내는 보라색 색의 숫자를 ImageJ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 방사선에 의한 현저한 염증세포 침윤이 관찰되었고, 니솔디핀을 처리한 군에서는 염증세포 침윤이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5> 니솔디핀의 방사선 유도 콜라겐 침착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4와 같이, 박절된 폐 조직 파라핀 절편에서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폐섬유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메이슨의 트리크롬 염색을 시행하여 콜라겐의 침착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 방사선에 의한 콜라겐의 침착이 관찰되었고, 니솔디핀을 처리한 군에서는 콜라겐의 침착이 현저히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Claims (6)

  1. 니솔디핀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폐섬유화를 유도하는 인슐린 형성 성장인자 결합 단백질(IGFBP5)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방사선 피폭에 의해 유발된 염증 또는 콜라겐 침착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방사선 치료시 방사선 피폭 전 또는 후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방사선 피폭 또는 항암제에 의한 세포 노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섬유화는,
    방사선 피폭 또는 항암제에 의해 유발된 폐섬유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210085233A 2020-06-30 2021-06-30 니솔디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 KR202200021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22 2020-06-30
KR20200080022 2020-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148A true KR20220002148A (ko) 2022-01-06

Family

ID=7934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233A KR20220002148A (ko) 2020-06-30 2021-06-30 니솔디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1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637A (ko) 2014-09-30 2016-04-07 한국원자력의학원 폐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637A (ko) 2014-09-30 2016-04-07 한국원자력의학원 폐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4377T3 (es) Derivado de rapamicina para tratar cáncer de páncreas
US8329719B2 (en) Neuroprotective agent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CA2773838C (en) Use of n-(4-((3-(2-amino-4-pyrimidinyl)-2-pyridinyl)oxy)phenyl)-4-(4-methyl-2-thienyl)-1-phthalazinamine in the treatment of antimitotic agent resistent cancer
JP2022051830A (ja) 心筋症、収縮期心機能不全及びうっ血性心不全症状の治療のためのプロベネシド
BR112020000196A2 (pt) composições para administração parenteral de agentes terapêuticos
JP2014527542A (ja) 骨がんの治療に使用するためまたは原発がん細胞の骨への転移性播種を予防するためのpi3k阻害剤
CN115315432A (zh) 亲环蛋白抑制剂及其用途
US11590233B2 (en) Porphyrin compounds and compositions useful for treating cancer
DE60123117T2 (de) Verwendung von alpha-halogenacryloyl-distamycin derivaten zur herstellung eines medikaments zur behandlung von krebs
TW202144379A (zh) 親環蛋白抑制劑及其用途
KR20220002148A (ko) 니솔디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
KR101678702B1 (ko) 신장 세포 암종 치료용 3,3&#39;,4,4&#39;-테트라하이드록시-2,2&#39;-바이피리딘-n,n&#39;-디옥시드
EP2207548B1 (en) Breast cancer therapy
WO2013138600A1 (en) Radioprotector compounds
KR102317644B1 (ko) 글리메피리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방사선 치료 민감제 조성물
US11554121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type 1 collagen production
KR20220002147A (ko) 니솔디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방사선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KR102304069B1 (ko) 항결핵제 치료 효과 증진용 조성물
US20220071982A1 (en) Methods and uses for treating cancer
JP2005527552A (ja) 置換アクリロイルジスタマイシン誘導体および放射線療法を含む腫瘍に対する組合せ治療
US20060009475A1 (en) Quinazolinone compounds in combined modalities for improved cancer treatment
JP2023046235A (ja) 医薬組成物及びstat3のリン酸化阻害剤
CA3217632A1 (en) Drug cocktail for treatment of parkinson&#39;s disease, lewy body disease and multiple system atrophy
RU2020143252A (ru)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состояний, связанных с рецептором s1p1
WO2004078168A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phytosphingosine or a derivativ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