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942A - 접지용구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접지용구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942A
KR20220001942A KR1020200080475A KR20200080475A KR20220001942A KR 20220001942 A KR20220001942 A KR 20220001942A KR 1020200080475 A KR1020200080475 A KR 1020200080475A KR 20200080475 A KR20200080475 A KR 20200080475A KR 20220001942 A KR20220001942 A KR 20220001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lon
grounding
grounding tool
support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3106B1 (ko
Inventor
최승식
이정녕
김윤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8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10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용구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탑에 고정되어 접지용구를 거치하는 접지용구 거치장치에 있어서, 철탑에 고정되는 철탑 지지부, 접지용구를 둘러싸며 지지하는 접지용구 지지부, 철탑 지지부와 접지용구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각도 변경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여 작업자의 접지선 설치 작업을 보조하며 접지용구의 추락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접지용구 거치장치 {SUPPORTING DEVICE FOR GROUND CONNECTION TOOL}
본 발명은 접지용구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의 접지선 설치 작업을 보조하며 접지용구의 추락을 방지하는 접지용구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나 변전소에서는 변전기기나 송전선의 점검 및 수리 작업을 진행할 때, 송, 변전설비의 도체부분을 대지에 접지시킨 후에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송, 변전설비의 도체부분을 접지하기 위해서는 접지용 접지선을 도체부분에 걸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접지용 접지선의 일측에는 철탑 측 금구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전선 측 금구가 마련된다.
철탑 측 금구는 송, 변전설비에 걸리고, 전선 측 금구는 접지용구 등의 접지용구를 통해 송전선에 걸린 후 조임 작업으로 고정된다.
도 1은 종래 철탑에 승탑한 작업자가 접지선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자는 철탑(10)에 올라 접지용구(20)를 이용하여 접지선의 전선측 금구를 송전선에 거는 작업과, 조여서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접지용구(20)는 멀리 위치하는 송전선에도 접지선을 설치할 수 있도록 긴 길이를 갖는 봉 형태로 마련되는데, 작업자는 철탑(10)에 올라 접지용구(20)의 무게를 버텨야 하고, 무거운 접지용구(20)를 조작하여 접지선을 송전선에 설치함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접지선을 설치하는 작업은 철탑(10)의 매우 높은 곳에서 수행되므로 작업자가 접지선을 설치하다가 접지용구(20)를 놓치게 되는 실수가 발생할 수 있고, 접지용구(20)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접지용구를 통해 접지선을 송전선에 거는 작업, 접지용구를 통해 송전선에 걸린 접지선을 조이는 작업 등이 수행됨에 따라 접지용구의 무게로 인해 작업자에게 피로감을 줄 수 있고, 접지용구를 조작하다가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철탑에 올라 접지선을 설치하다가 실수로 접지용구를 놓쳐도 접지용구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접지용구를 철탑에 거치시킬 수 있어서 접지용구의 무게를 분담할 수 있고 접지선을 철탑 측에 고정시키는 작업 시 접지용구를 잡고 있지 않아도 되어 작업이 수월해지는 접지용구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접지용구를 철탑에 지지시킨 상태로 접지선 설치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접지용구로 접지선을 송전선에 걸고 조이는 작업 시 접지용구의 무게가 작업자에게 온전히 부담되지 않아 작업이 수월해지며 피로감을 저감시키고, 작업자가 접지용구를 조작하다가 추락하여도 접지용구에 매달릴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접지용구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탑에 고정되어 접지용구를 거치하는 접지용구 거치장치에 있어서, 철탑에 고정되는 철탑 지지부, 접지용구를 둘러싸며 지지하는 접지용구 지지부, 철탑 지지부와 접지용구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각도 변경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접지용구 거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철탑 지지부는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철탑이 개구 단부 사이로 삽입되며 개구 단부 중 어느 한측이 철탑을 지지하는 클램프, 클램프의 개구 단부 중 나머지 한측에 체결되면서 철탑에 가압력을 가하는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구는 철탑을 가압하는 단부의 반대편에 외주면 양측에서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는 철탑을 가압하는 단부에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 형상의 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는 철탑이 지지되는 개구 단부에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 형상의 확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각도 조절부는 철탑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봉, 접지용구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봉, 양단이 철탑 지지부의 단부와 접지용구 지지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유니버셜 조인트에 각각 결합되어 철탑 지지부와 접지용구 지지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지용구 지지부는 반원형으로 마련되어 접지용구의 외측을 감싸며, 각도 조절부가 결합되는 단부에 체결봉이 제1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제1 조임부, 반원형으로 마련되어 접지용구의 외측을 감싸며, 제1 조임부와 제2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힌지의 반대측 단부에 체결봉이 삽입되어 체결너트로 고정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조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지용구 지지부는 접지용구를 철탑에 거치할 때, 제1 조임부와 제2 조임부가 접지용구를 파지하도록 체결봉에 체결너트가 체결되고, 접지용구를 철탑에 구속시킨 상태로 접지 작업할 때, 체결봉에 체결너트가 체결 해제되어 접지용구와 접지용구 지지부 사이에 틈새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철탑에 올라 접지선을 설치하다가 실수로 접지용구를 놓쳐도 접지용구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지용구를 철탑에 거치시킬 수 있어서 작업이 수월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지용구를 철탑에 지지시킨 상태로 접지선 설치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접지용구로 접지선을 송전선에 걸고 조이는 작업 시 접지용구의 무게가 작업자에게 온전히 부담되지 않으며 작업이 수월해지고 작업자가 접지용구를 조작하다가 추락하여도 접지용구에 매달릴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철탑에 승탑한 작업자가 접지선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지용구 거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지용구 거치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지용구 거치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지용구 거치장치의 사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지용구 거치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지용구 거치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한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지용구 거치장치의 좌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지용구 거치장치의 사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지용구 거치장치는 철탑(10)에 고정되어 접지용구(20)를 거치하는 접지용구 거치장치에 있어서, 철탑(10)에 고정되는 철탑 지지부(100), 접지용구(20)를 둘러싸며 지지하는 접지용구 지지부(300), 철탑 지지부(100)와 접지용구 지지부(300) 사이에 구비되어 각도 변경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도 조절부(200)를 포함한다.
접지용구 거치장치는 작업자가 철탑(10) 위의 매우 높은 곳에서 접지선을 설치하는 작업 시 사용되는 것으로 철탑(10)에 고정되어 접지용구(20)를 거치시키거나, 작업자가 접지용구(20)를 조작하는 것을 보조한다.
이러한 접지용구 거치장치는 철탑 지지부(100), 접지용구 지지부(300), 각도 조절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철탑 지지부(100)는 'ㄱ'형상의 단면을 갖는 프레임 등 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철탑(10)의 앵글에 고정되기 위해 마련되며, 클램프(110)와 고정구(120)로 구성되어 철탑(10)의 일부분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된다.
클램프(110)는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c'형상으로 형성되고, 철탑(10)이 개구 단부 사이로 삽입되며 개구 단부 중 어느 한측이 삽입된 철탑(10)의 일측면을 지지한다.
또한, 클램프(110)의 개구 단부 중 나머지 한측에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121)가 마련되고, 너트부(121)에 고정구(120)가 나사 체결되어 클램프(110)의 개구 단부 중 어느 한측으로 돌출된다.
고정구(120)는 외측에 나사산 형상의 나사부(121)가 형성되어 너트부(121)에 체결되고, 너트부(121)에 체결되며 클램프(110)의 개구 단부와의 사이가 조절되어 철탑(10)의 타측면을 지지하며 가압력을 가한다.
즉, 철탑(10)의 일측면이 클램프(110)의 개구 단부 중 어느 한측에 지지되고 타측면이 고정구(120)의 가압력으로 지지됨에 따라 철탑(10)에 철탑 지지부(100)가 고정된다.
이때 철탑 지지부(100)는 클램프(110)의 개구 단부 중 어느 한측과 고정구(120)가 철탑(10)의 양측면에 가하는 가압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구(120)는 너트부(121)에 체결되어 철탑(10) 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작업자가 철탑(10)에 철탑 지지부(100)를 고정시킬 때 용이하도록, 고정구(120)는 철탑(10)을 가압하는 단부의 반대편에 외주면 양측에서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122)가 마련된다.
또한, 클램프(110)는 철탑(10)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단부에 확장부(112)가 형성되고 고정구(120)의 철탑(10)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단부에 가압부(123)가 형성된다.
확장부(112)는 플랜지 형상으로 클램프(110)의 철탑(10)이 지지되는 개구 단부에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철탑(10)의 일측면과 마찰되는 면적을 확보한다.
가압부(123)는 플랜지 형상으로 고정구(120)의 철탑(10)을 가압하는 단부에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철탑(10)의 타측면과 마찰되는 면적을 확보한다.
이러한 확장부(112)와 가압부(123)는 철탑(10)과 마찰되는 면적이 넓어져 마찰력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철탑(10)과의 고정력을 확보한다.
접지용구 지지부(300)는 봉 형상의 접지용구(20)의 일부분을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2 힌지(330)로 연결되는 반원형의 제1 조임부(310)와 제2 조임부(320)로 구성되어 제1 조임부(310)와 제2 조임부(3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접지용구(20)가 고정되거나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조임부(310)는 반원형으로 마련되어 접지용구(20)의 외측을 감싸며, 일측에 제2 힌지(330)를 통해 제2 조임부(320)가 연결되며, 타측에 각도 조절부(200)가 결합되며 체결봉(311)이 제1 힌지(312)를 통해 연결된다.
각도 조절부(200)는 제1 조임부(310)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302)를 매개로 연결되며, 회전 방지를 위해 일방향으로 이격된 둘 이상의 고정부재(302)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조임부(320)는 반원형으로 마련되어 접지용구(20)의 외측을 감싸며, 일측에 제2 힌지(330)를 통해 제1 조임부(310)가 연결되며, 힌지의 반대측 단부에 관통홀(321)이 형성된다.
체결봉(311)은 관통홀(321)에 삽입된 후 체결너트(301)에 체결되며, 체결봉(311)과 체결너트(301)의 나사 체결에 따라 제1 조임부(310)의 타측과 제2 조임부(320)의 타측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고 접지용구(20)를 고정하는 제1 조임부(310)와 제2 조임부(320)의 조임력이 조절된다.
또한, 체결봉(311)은 제1 조임부(310)에 제1 힌지(31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관통홀(3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조임부(310)의 타단과 제2 조임부(320)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체결봉(311)이 제1 조임부(3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체결봉(311)이 긴 길이의 봉 형상으로 마련될 수 없고, 관통홀(321)에 체결봉(311)이 삽입된 채로 제2 조임부(320)가 제2 힌지(33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체결봉(311)은 제1 조임부(310)에 제1 힌지(312)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 조절부(200)는 철탑 지지부(100)와 접지용구 지지부(300) 사이에 구비되며, 철탑 지지부(100)와 접지용구 지지부(300)를 각도 변경 가능하게 연결하여 작업자가 접지용구 지지부(300)에 지지되는 접지용구(2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각도 조절부(200)는 제1 지지봉(210), 제2 지지봉(220), 연결봉(230)으로 구성되며, 그 사이를 유니버셜 조인트(240)가 연결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접지용구(20)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제1 지지봉(210)은 철탑 지지부(100)에 결합되며, 클램프(11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고 클램프(110)와 결합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유니버셜 조인트(240)가 마련된다.
제2 지지봉(220)은 접지용구 지지부(300)에 결합되며, 제1 조임부(310)에 고정부재(302)를 매개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제1 조임부(310)와 결합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유니버셜 조인트(240)가 마련된다.
연결봉(230)은 양단이 철탑 지지부(100)의 단부와 접지용구 지지부(300)의 단부에 연결되는 유니버셜 조인트(240)에 각각 결합되어 철탑 지지부(100)와 접지용구 지지부(3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유니버셜 조인트(240)는 제1 지지봉(210)과 연결봉(230) 사이의 각도, 연결봉(230)과 제2 지지봉(22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됨에 따라 작업자가 접지용구(20)를 원하는 각도로 변경하며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각도 조절부(200)의 제1 지지봉(210), 제2 지지봉(220), 연결봉(230)은 각각 길이조절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예로,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이중관과 각각의 관에 삽입되어 길이 조정하는 고정핀으로 구성되는 길이조절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작업자가 철탑(10)에 올라 접지용구 거치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후술한다.
먼저, 접지용구 거치장치는 작업자가 철탑(10)에 올라갈 때 용이하도록 접지용구(20)에 접지용구 지지부(300)가 고정되며 작업자는 접지용구(20)만 잡고 철탑(10)에 올라갈 수 있어서 편리하다.
접지용구 지지부(300)는 체결너트(301)가 체결봉(311)에서 풀려 체결봉(311)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고 최대로 이격된 제1 조임부(310)와 제2 조임부(320) 사이로 접지용구(20)를 삽입시킨 후 적정 위치에서 체결너트(301)를 체결봉(311)에 나사 체결하여 제1 조임부(310)와 제2 조임부(320)가 접지용구(20)에 조임력을 가하며, 접지용구 지지부(300)가 접지용구(20)에 고정된다.
작업자는 이렇게 고정된 접지용구(20)를 소지한 채로 철탑(10)에 오르고, 철탑(10)의 작업위치에서 작업자보다 높은 위치의 앵글에 철탑 지지부(100)를 설치한다.
철탑 지지부(100)는 너트부(121)에서 고정구(120)를 풀러 클램프(110)의 단부와 고정구(120)의 단부 사이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클램프(110)의 단부와 고정구(120)의 단부 사이에 철탑(10)을 배치시킨다.
그 다음, 고정구(120)의 단부가 철탑(10)에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정구(120)를 너트부(121)에 체결하여 클램프(110)의 단부와 고정구(120)의 단부 사이를 좁히며, 철탑 지지부(100)가 철탑(10)에 고정된다.
이때, 도 5를 참고하면, 접지용구 거치장치는 접지용구(20)를 철탑(10)에 거치하거나, 접지용구(20)를 철탑(10)에 구속시킨 상태로 작업자의 접지용구(20) 사용을 보조할 수 있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접지용구(20)를 철탑(10)에 거치할 때는 제1 조임부(310)와 제2 조임부(320)가 접지용구(20)를 파지하도록 체결봉(311)에 체결너트(301)가 체결되며 제1 조임부(310)와 제2 조임부(320)가 접지용구(20)를 조여 고정된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접지용구(20)를 철탑(10)에 구속시킨 상태로 접지 작업할 때는 체결봉(311)에 체결너트(301)가 체결 해제되어 접지용구(20)와 접지용구 지지부(300) 사이에 틈새(A)를 형성하며 접지용구(20)가 접지용구 지지부(300)에 구속되지만 움직임은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접지선 설치 작업 시 접지용구(20)를 놓더라도 접지용구(20)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작업자가 철탑에 올라 접지선을 설치하다가 실수로 접지용구를 놓쳐도 접지용구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지용구를 철탑에 거치시킬 수 있어서 접지선을 철탑 측에 고정시키는 작업 시 접지용구를 잡고 있지 않아도 되어 작업이 수월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지용구를 철탑에 지지시킨 상태로 접지선 설치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접지용구로 접지선을 송전선에 걸고 조이는 작업 시 접지용구의 무게가 작업자에게 온전히 부담되지 않아 작업이 수월해지며 피로감을 저감시키고, 작업자가 접지용구를 조작하다가 추락하여도 접지용구에 매달릴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철탑 20: 접지용구
100: 철탑 지지부 110: 클램프
111: 너트부 112: 확장부
120: 고정구 121: 나사부
122: 손잡이부 123: 가압부
200: 각도 조절부 210: 제1 지지봉
220: 제2 지지봉 230: 연결봉
240: 유니버셜 조인트 300: 접지용구 지지부
301: 체결너트 302: 고정부재
310: 제1 조임부 311: 체결봉
312: 제1 힌지 320: 제2 조임부
321: 관통홀 330: 제2 힌지

Claims (8)

  1. 철탑에 고정되어 접지용구를 거치하는 접지용구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철탑에 고정되는 철탑 지지부;
    상기 접지용구를 둘러싸며 지지하는 접지용구 지지부; 및
    상기 철탑 지지부와 접지용구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각도 변경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도 조절부;
    를 포함하는 접지용구 거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탑 지지부는,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철탑이 개구 단부 사이로 삽입되며 개구 단부 중 어느 한측이 상기 철탑을 지지하는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의 개구 단부 중 나머지 한측에 체결되면서 상기 철탑에 가압력을 가하는 고정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구 거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철탑을 가압하는 단부의 반대편에 외주면 양측에서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구 거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철탑을 가압하는 단부에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 형상의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구 거치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철탑이 지지되는 개구 단부에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 형상의 확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구 거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철탑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봉;
    상기 접지용구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봉; 및
    양단이 상기 철탑 지지부의 단부와 접지용구 지지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유니버셜 조인트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철탑 지지부와 접지용구 지지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구 거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용구 지지부는,
    반원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접지용구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각도 조절부가 결합되는 단부에 체결봉이 제1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제1 조임부; 및
    반원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접지용구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제1 조임부와 제2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힌지의 반대측 단부에 상기 체결봉이 삽입되어 체결너트로 고정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조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구 거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용구 지지부는,
    상기 접지용구를 상기 철탑에 거치할 때, 상기 제1 조임부와 제2 조임부가 상기 접지용구를 파지하도록 상기 체결봉에 상기 체결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접지용구를 상기 철탑에 구속시킨 상태로 접지 작업할 때, 상기 체결봉에 상기 체결너트가 체결 해제되어 상기 접지용구와 상기 접지용구 지지부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구 거치장치.
KR1020200080475A 2020-06-30 2020-06-30 접지용구 거치장치 KR102393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475A KR102393106B1 (ko) 2020-06-30 2020-06-30 접지용구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475A KR102393106B1 (ko) 2020-06-30 2020-06-30 접지용구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942A true KR20220001942A (ko) 2022-01-06
KR102393106B1 KR102393106B1 (ko) 2022-05-03

Family

ID=79347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475A KR102393106B1 (ko) 2020-06-30 2020-06-30 접지용구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1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808A (ja) * 1998-12-21 2000-07-04 Aichi Corp ホットスティック支持装置
JP2009103314A (ja) * 2009-02-06 2009-05-1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活線作業用工具の固定装置
KR20130024565A (ko) * 2011-08-31 2013-03-08 한국전력공사 전선 이선 장치
KR20180118537A (ko) * 2017-04-21 2018-10-31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세장 공구 지지 장치, 및, 세장 공구 지지 방법
KR20190143320A (ko) * 2018-06-20 2019-12-30 (주) 진흥이엔지 간접 활선용 절연스틱 무중력 거치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808A (ja) * 1998-12-21 2000-07-04 Aichi Corp ホットスティック支持装置
JP2009103314A (ja) * 2009-02-06 2009-05-1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活線作業用工具の固定装置
KR20130024565A (ko) * 2011-08-31 2013-03-08 한국전력공사 전선 이선 장치
KR20180118537A (ko) * 2017-04-21 2018-10-31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세장 공구 지지 장치, 및, 세장 공구 지지 방법
KR20190143320A (ko) * 2018-06-20 2019-12-30 (주) 진흥이엔지 간접 활선용 절연스틱 무중력 거치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106B1 (ko)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788B2 (en) Conduit attachment system for a cable puller
US20090014208A1 (en) Hinged bushing suspension clamp and method for using said clamp
US8726607B1 (en) Sway brace assembly and method of restraining pipe relative to a building structure
KR101087740B1 (ko) 원터치형 접지금구용 클램프
KR20190041975A (ko) 건축용 클램프
CN106877228A (zh) 一种电缆弯曲固定结构
KR102393106B1 (ko) 접지용구 거치장치
FI20185745A1 (en) PORTABLE CABLE TREATMENT SUPPORT
US9995430B2 (en) Truss hanger
CN104791984A (zh) 一种减振防锈的空调室外机支架
CN108879501B (zh) 一种可调节式线夹定位装置
CN213906109U (zh) 一种引流线绝缘支撑杆
KR20160048327A (ko) 클램프 조임 장치
CN216488583U (zh) 一种新型挂接角度可变的输电线路检修接地线
KR102562082B1 (ko) 케이블 가이드 장치
CN207233394U (zh) 一种非直线管长度调试装置
KR101665642B1 (ko) 전주 가공지선 지지대
KR101038076B1 (ko)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CN111181037A (zh) 可调节的多功能电力设备安装绝缘架
JP2015142399A (ja) 耐張クランプ
EP1165995B1 (en) Pivotable suspension element
CN211598751U (zh) 一种用于隧道的钢缆固定装置及巡检装置
CN210255898U (zh) 一种用于狭小空间的螺栓紧固工具
GB2185283A (en) Tension clamp
CN212217529U (zh) 一种管道焊接固定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