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763A -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763A
KR20220001763A KR1020200080101A KR20200080101A KR20220001763A KR 20220001763 A KR20220001763 A KR 20220001763A KR 1020200080101 A KR1020200080101 A KR 1020200080101A KR 20200080101 A KR20200080101 A KR 20200080101A KR 20220001763 A KR20220001763 A KR 20220001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nge
wound dressing
nasal cavity
dicarboxylic acid
type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9780B1 (ko
Inventor
이영우
김한수
Original Assignee
(주)메디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코어 filed Critical (주)메디코어
Priority to KR1020200080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7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F13/00017
    • A61F13/0004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13/01017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ynthetic, e.g. polymer ba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42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61F13/12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 A61F13/12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specially adapted for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6Surgical swabs, e.g. for absorbency or packing body cavities during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친수성 폴리우레탄 80~90 중량%; (b)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0.1~10 중량%; (c)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0.5~15 중량%; 및 (d) 수용성 다당류 0.1~5 중량%;를 포함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는 비강 수술 후 비강 내 삽입 시 취급이 용이하고, 초기 지혈효과를 높이면서도 상처 치유를 촉진시킴과 동시에 유착을 방지하며, 또한 제거 시에는 통증이나 출혈을 유발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Sponge-type wound dressing applied to nasal cav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강 내 수술 후 출혈이 발생하는 부위에 삽입하여 지혈과 동시에 체액을 최대로 함유함으로써 상처치유를 촉진하며, 수술 부위의 유착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비인후과의 비중격성형술, 코성형술, 코선반절제술, 부비동수술, 기타 비강 내 수술 후에는 출혈과 부종이 발생하게 되고, 초기 1일 이내에 지혈 및 염증기를 거쳐 상피화가 진행되며, 상피세포의 증식은 이후 약 3주에 걸쳐 진행된다. 이 중 가장 초기 단계에서 출혈을 막고, 상처를 보호해 줄 필요가 있으며, 상처의 치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인 유착의 방지 혹은 감소도 필요하다.
종래에는 비분해성인 거즈나 폴리비닐알코올(PVA) 스펀지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제거 시 건조되어 통증과 함께 재출혈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분해성 재료로 친수성 다당류인 히알루론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등을 사용한 제품이나, 분해 시 부서질 수 있는(fragmentable) 폴리우레탄을 원료로 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친수성 다당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약하여 비강 내 삽입 시 취급이 용이하지 않으며,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면 기계적 물성은 우수하나 친수성 다당류에 비하여 상처치유 효과나 유착방지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친수성 폴리우레탄을 주재로 하여, 여기에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및 수용성 다당류를 포함시킨 스펀지형 창상피복재를 제조함으로써, 비강 수술 후 비강 내 삽입 시 취급이 용이하고, 초기 지혈효과를 높이면서도 상처 치유를 촉진시킴과 동시에 유착을 방지하며, 또한 제거 시에는 통증이나 출혈을 유발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18421호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7304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강 수술 후 비강 내 삽입 시 취급이 용이하고, 초기 지혈효과를 높이면서도 상처 치유를 촉진시킴과 동시에 유착을 방지하며, 또한 제거 시에는 통증이나 출혈을 유발하지 않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친수성 폴리우레탄 80~99 중량%; (b)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0.1~10 중량%; (c)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0.5~15 중량%; 및 (d) 수용성 다당류 0.1~5 중량%;를 포함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를 제공한다.
상기 친수성 폴리우레탄은 연질부 대 경질부의 비율이 3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질부는 폴리에틸렌옥시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시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질부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4-사이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친수성 폴리우레탄은 수평균분자량이 30,000 내지 3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은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픽산, 피멜릭산, 스베인산, 아젤라인산, 말레인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디메틸말레인산 무수물 및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성 다당류는 카라기난, 키토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나트륨,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및 글루칸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친수성 폴리우레탄을 물에 넣고 분쇄하여 수분산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수분산 용액에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및 수용성 다당류를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얻는 단계; 및 (III) 상기 혼합용액을 동결건조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80~150℃에서 친수성 폴리우레탄,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및 수용성 다당류를 혼련하는 단계; (ii) 상기 혼련물을 필름, 사각막대 또는 원통형으로 압출 또는 사출성형 하는 단계; (iii) 상기 압출 또는 사출성형물에 물을 흡수시켜 팽윤하는 단계; 및 (iv) 상기 팽윤물을 동결건조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80~150℃에서 친수성 폴리우레탄,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및 수용성 다당류를 혼련하는 단계; (2) 상기 혼련물에 발포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혼합물을 필름, 사각막대 또는 원통형으로 압출 또는 사출성형 하여 발포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강 수술 후 비강 내 삽입 시 취급이 용이하고, 초기 지혈효과를 높이면서도 상처 치유를 촉진시킴과 동시에 유착을 방지하며, 또한 제거 시에는 통증이나 출혈을 유발하지 않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의 실물 이미지.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a) 친수성 폴리우레탄 80~99 중량%; (b)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0.1~10 중량%; (c)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0.5~15 중량%; 및 (d) 수용성 다당류 0.1~5 중량%;를 포함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은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중합반응에 의하여 합성되는 것으로서, 반복단위 내에 두 개의 상이한 구조단위를 갖는 일종의 블록 공중합체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상이한 구조단위는 반응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보통 폴리올 유래 연질부(soft segment) 및 디이소시아네이트 유래 경질부(hard segment)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는 친수성 폴리우레탄을 주재로 하는바, 친수성 폴리우레탄은 비강 내 삽입을 위하여 취급이 용이하도록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야 하고 기본적으로 수분흡수력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친수성 폴리우레탄은 연질부(soft segment) 대 경질부(hard segment)의 비율이 30 내지 150인 것일 수 있고, 50 내지 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연질부의 비율이 30 미만인 경우에는 수분흡수력이 너무 낮고, 반대로 연질부의 비율이 150을 초과하면, 즉 경질부의 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크게 저하된다.
한편, 폴리우레탄의 연질부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에서 유래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친수성 폴리우레탄을 주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연질부로서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에서 유래한 폴리에틸렌옥시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시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옥시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시드 구조의 에테르기로 인하여 친수성을 제공하는데 에테르기 사이의 탄소수가 커질수록 친수성이 약해지고 소수성을 띠게 된다.
또한, 경질부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4-사이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폴리우레탄에서 경질부는 기계적 물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곁사슬이 클 경우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단순한 구조인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친수성 폴리우레탄은 수평균분자량이 30,000 내지 300,0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수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200,000인 것을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친수성 폴리우레탄은 디카르복실산 혹은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이 결합하여 잡아주게 되는데, 친수성 폴리우레탄의 수평균분자량이 30,000 미만인 경우에는 쉽게 분해되어 빠져나와 지혈 및 상처치유에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할 수 있으며, 특히 비강용 창상피복재는 삽입 후 1~3일 이내에 제거하는바, 친수성 폴리우레탄의 수평균분자량이 300,000을 초과하면 미분해되어 제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은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픽산, 피멜릭산, 스베인산, 아젤라인산, 말레인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디메틸말레인산 무수물 및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은 폴리우레탄과 결합하여 초기 분해되지 않고 기계적 물성의 유지 및 팽윤도에 영향을 미치며, 폴리올에 비해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폴리우레탄에 결합하기도 하지만 수분접촉 초기에 빠르게 흡수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비강에 삽입 시 혈액과 접촉하고 혈액 내에 수분은 빠르게 흡수하며, 혈전을 형성하는 단백질 등은 농축되게 하여 지혈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탄소수가 높은 폴리올의 경우 친수성이 저하되어 수분의 흡수가 느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성 다당류는 카라기난, 키토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나트륨,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및 글루칸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용성 다당류는 세포가 달라붙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상처가 치유되는 동안 폴리우레탄이 분해될 때 빠져나와 유착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를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주재인 (a) 친수성 폴리우레탄의 함량은 80~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90~97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친수성 폴리우레탄의 함량이 80 중량%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며, 폴리우레탄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거나 결합에 작용하는 디카르복실산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기계적 물성은 향상되지만 빨리 분해된다.
또한, (b)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의 함량은 0.1~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7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은 폴리우레탄과 결합하며 그 함량이 너무 적으면 분해가 빨라지고, 반대로 너무 많으면 분해가 매우 느려진다.
또한, (c)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의 함량은 0.5~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7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올은 폴리우레탄과 결합하기도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초기 흡수 속도를 향상시키며, 그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 초기 흡수가 크게 느려지며, 반대로 너무 많으면 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d) 수용성 다당류의 함량은 0.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3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용성 다당류는 수술 후 상처의 치유과정에서 상처치유를 촉진하거나 유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바,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유착방지 효과가 발휘될 수 없으며, 5 중량%를 초과하면 창상피복재의 물성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의 다양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바, 하기와 같은 제조방법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I) 친수성 폴리우레탄을 물에 넣고 분쇄하여 수분산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수분산 용액에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및 수용성 다당류를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얻는 단계; 및 (III) 상기 혼합용액을 동결건조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80~150℃에서 친수성 폴리우레탄,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및 수용성 다당류를 혼련하는 단계; (ii) 상기 혼련물을 필름, 사각막대 또는 원통형으로 압출 또는 사출성형 하는 단계; (iii) 상기 압출 또는 사출성형물에 물을 흡수시켜 팽윤하는 단계; 및 (iv) 상기 팽윤물을 동결건조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80~150℃에서 친수성 폴리우레탄,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및 수용성 다당류를 혼련하는 단계; (2) 상기 혼련물에 발포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혼합물을 필름, 사각막대 또는 원통형으로 압출 또는 사출성형 하여 발포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세 가지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중, 첫 번째로 기술한 간단한 동결건조 공정으로 제조되는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의 실시예 및 시험예를 서술한다.
[실시예 1 내지 5]
친수성 폴리우레탄[폴리프로필렌글리콜(연질부)/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경질부) = 35, 수평균분자량 200,000] 10g을 증류수 1L에 넣은 후 호모게나이저로 7,000 rpm에서 30분간 교반 및 분쇄하여 수분산 용액을 형성하였다. 상기 수분산 용액에 하기 표 1과 같이 나머지 성분들을 첨가하여 30분간 더 교반함으로써 혼합용액을 얻었다. 상기 혼합용액을 일정 크기의 틀에 넣고 -25℃에서 2시간 동결시킨 후 30시간 동결건조 하여 스펀지형 창상피복재를 제조하였으며, 첨부한 도 1에 상기 제조된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의 실물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폴리우레탄 85 85 90 90 85
아디픽산 7 7 5 - -
말레인산 무수물 - - - 5 7
PPG 5 - 3 3 -
PTMG - 5 - - 5
NaCMC 3 - - 2 -
HEC - 3 - - -
HPMC - - 2 - 3
* PPG :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TMG :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NaCMC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HEC :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HPMC :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시험예 1 내지 5]
실시예 1 내지 5로부터 제조한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와 함께 비교를 위한 종래 상용화된 제품(Nasopore, Polyganics사)에 대하여 초기흡수속도, 수분흡수도, 압축강도, in vitro 분해시간을 측정하였다. 초기흡수속도는 시료를 물에 접촉시켰을 때 물이 얼마나 빨리 스며드는지를 측정하였다. 수분흡수도는 시료의 건조 시 무게(Wd)와 수분을 완전히 흡수한 후의 무게(Ww)를 측정하여 아래와 같이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수분흡수도 (water uptake) = (Ww-Wd)/Wd X 100
(상기 식에서, Ww: 수분 흡수 후의 무게, Wd: 건조 상태에서의 무게)
또한, 시료의 압축강도는 수분에 적셔진 상태에서 압축강도 측정기(Ametek LS1)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해시간은 in vitro에서 생리식염수에 담가 놓고 시간에 따라 적셔진 상태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초기의 절반정도 되는 시기를 분해시간으로 보았으며, 상기 시험예 1 내지 5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시료 초기흡수속도 수분흡수도(%) 압축강도(kPa) 분해시간(hr)
시험예 1 실시예 1 3분 이내 2,160 109 156
시험예 2 실시예 2 3.5분 이내 2,040 83 127
시험예 3 실시예 3 4분 이내 1,830 54 98
시험예 4 실시예 4 4분 이내 2,210 72 105
시험예 5 실시예 5 3.5분 이내 1,910 122 170
비교예 1 Nasopore 3분 이내 1,210 17 96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로부터 제조한 시료는 종래 상용화된 제품(Nasopore)에 비하여 초기흡수에서는 동등하거나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었으나, 수분흡수도는 훨씬 높게 나와 지혈에 잘 작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압축강도가 현저하게 높아 수술 후 비강 삽입 시 주변조직을 충분히 분리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분해 시간은 4일에서 7일 정도 범위를 나타내어 수술 부위 상처가 아무는 5~7일간 충분히 유지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11)

  1. (a) 친수성 폴리우레탄 80~99 중량%;
    (b)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0.1~10 중량%;
    (c)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0.5~15 중량%; 및
    (d) 수용성 다당류 0.1~5 중량%;를 포함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우레탄은 연질부 대 경질부의 비율이 3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는 폴리에틸렌옥시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시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4-사이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우레탄은 수평균분자량이 30,000 내지 3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은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픽산, 피멜릭산, 스베인산, 아젤라인산, 말레인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디메틸말레인산 무수물 및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다당류는 카라기난, 키토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나트륨,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및 글루칸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9. (I) 친수성 폴리우레탄을 물에 넣고 분쇄하여 수분산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수분산 용액에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및 수용성 다당류를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얻는 단계; 및
    (III) 상기 혼합용액을 동결건조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10. (i) 80~150℃에서 친수성 폴리우레탄,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및 수용성 다당류를 혼련하는 단계;
    (ii) 상기 혼련물을 필름, 사각막대 또는 원통형으로 압출 또는 사출성형 하는 단계;
    (iii) 상기 압출 또는 사출성형물에 물을 흡수시켜 팽윤하는 단계; 및
    (iv) 상기 팽윤물을 동결건조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11. (1) 80~150℃에서 친수성 폴리우레탄,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및 수용성 다당류를 혼련하는 단계;
    (2) 상기 혼련물에 발포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혼합물을 필름, 사각막대 또는 원통형으로 압출 또는 사출성형 하여 발포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KR1020200080101A 2020-06-30 2020-06-30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59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101A KR102459780B1 (ko) 2020-06-30 2020-06-30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101A KR102459780B1 (ko) 2020-06-30 2020-06-30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63A true KR20220001763A (ko) 2022-01-06
KR102459780B1 KR102459780B1 (ko) 2022-10-28

Family

ID=7934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101A KR102459780B1 (ko) 2020-06-30 2020-06-30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780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4871A (ko) * 2004-10-20 2006-04-26 조석형 상처치료용 드레싱의 제조
KR100745050B1 (ko) * 2006-03-24 2007-08-02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70097778A (ko) * 2006-03-29 2007-10-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우레탄 및 키토산의 복합 폼 제조 방법
KR101073048B1 (ko) 2010-04-12 2011-10-12 주식회사 제네웰 점착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2527947A (ja) * 2009-05-27 2012-11-12 ポリガニクス・べー・フェー 止血用フォーム
KR101318421B1 (ko) 2013-04-08 2013-10-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혈 및 상처치유용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23363A (ko) * 2011-04-15 2014-02-26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엘라스토머 섬유 및 이를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
JP2015006428A (ja) * 2003-01-09 2015-01-15 ポリガニックス アイピー ビー.ブイ. 生体医用フォーム
KR20160009724A (ko) * 2014-07-16 2016-01-27 주식회사 제네웰 비압박 지혈용 고분자 폼 조성물, 이를 이용한 비압박 지혈용 고분자 폼의 제조방법 및 비압박 지혈 팩킹용 고분자 폼
KR20170123156A (ko) * 2016-04-28 2017-11-07 구태훈 키토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흡수성 지혈제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8881A (ko) * 2018-02-14 2019-08-23 조석형 폴리우레탄 폼과 하이드로화이버가 복합화돤 쉬트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창상 피복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6428A (ja) * 2003-01-09 2015-01-15 ポリガニックス アイピー ビー.ブイ. 生体医用フォーム
KR20060034871A (ko) * 2004-10-20 2006-04-26 조석형 상처치료용 드레싱의 제조
KR100745050B1 (ko) * 2006-03-24 2007-08-02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70097778A (ko) * 2006-03-29 2007-10-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우레탄 및 키토산의 복합 폼 제조 방법
JP2012527947A (ja) * 2009-05-27 2012-11-12 ポリガニクス・べー・フェー 止血用フォーム
KR101073048B1 (ko) 2010-04-12 2011-10-12 주식회사 제네웰 점착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23363A (ko) * 2011-04-15 2014-02-26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엘라스토머 섬유 및 이를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
KR101318421B1 (ko) 2013-04-08 2013-10-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혈 및 상처치유용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09724A (ko) * 2014-07-16 2016-01-27 주식회사 제네웰 비압박 지혈용 고분자 폼 조성물, 이를 이용한 비압박 지혈용 고분자 폼의 제조방법 및 비압박 지혈 팩킹용 고분자 폼
JP2017522162A (ja) * 2014-07-16 2017-08-10 ジェネウェル シーオー.,エルティーディー. 高分子フォーム組成物、それを用いた高分子フォームの製造方法、及びパッキング用高分子フォーム
KR20170123156A (ko) * 2016-04-28 2017-11-07 구태훈 키토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흡수성 지혈제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8881A (ko) * 2018-02-14 2019-08-23 조석형 폴리우레탄 폼과 하이드로화이버가 복합화돤 쉬트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창상 피복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780B1 (ko)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74906B2 (ja) 水溶性創傷包帯材料
CN107261193B (zh) 一种止血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30123213A1 (en) Modified starch material of biocompatible hemostasis
CA2390556C (en) Use of soluble cellulose derivative having been made hardly soluble in water and method for producing it
JP2001520274A (ja) 発泡材料
KR101678402B1 (ko) 창상치료용 알긴산 하이드로젤 및 그 제조방법
Wei et al. Injectable hydrogel based on dodecyl-modified N-carboxyethyl chitosan/oxidized konjac glucomannan effectively prevents bleeding and postoperative adhesions after partial hepatectomy
KR102388509B1 (ko) 점막 부착성과 팽윤성이 우수한 필름 형태의 유착방지용 조성물
CN103920182B (zh) 一种生物可吸收止血膜
WO2001005370A1 (en) Antiadhesion barriers containing water-soluble alginate and carboxymethyl cellulose as major component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459780B1 (ko) 비강용 스펀지형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JP6916353B1 (ja) 癒着防止用高分子組成物
CN113750285A (zh) 一种复合气凝胶敷料及其制备方法
US10881760B1 (en) Antioxidant, antibacterial, injectable lignin-gelatin composite cryogels for wound healing and tissue engineering
KR20040021411A (ko)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분말및 그 적용방법
CN115025279B (zh) 预防术后粘连的可喷涂天然水凝胶体系及其制备和应用
KR100404140B1 (ko) 다층구조의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8120A (ko) 알지네이트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139327A (zh) 一种改善依从性腔体止血用医用聚氨酯泡沫材料
EP4059527A1 (en) Composite collagen sponge for controlled release of active substances,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CN112979999A (zh) 生物大分子及改性埃洛石复合水凝胶及其制备和应用
US20210106716A1 (en) Biofragmentable hemostatic sponge
CN111228562A (zh) 一种淀粉止血海绵及其制备方法和用途
TWI761709B (zh) 生物可崩解之止血海綿及其製備及使用方法
CN115160637B (zh) 一种可降解止血海绵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