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732A - 전력 계통 해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계통 해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732A
KR20220001732A KR1020200080035A KR20200080035A KR20220001732A KR 20220001732 A KR20220001732 A KR 20220001732A KR 1020200080035 A KR1020200080035 A KR 1020200080035A KR 20200080035 A KR20200080035 A KR 20200080035A KR 20220001732 A KR20220001732 A KR 20220001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ts
voltage
facility
processor
pow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2961B1 (ko
Inventor
윤태영
오장만
장석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8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9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2203/20Simulating, e g planning, reliability check, modelling or computer assisted design [C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10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력 계통 해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 장치는, 출력 장치, 메모리, 및 상기 출력 장치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가 정전력 모드일 때 출력해야 하는 무효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무효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FACTS 설비가 정전력 출력을 하도록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생성된 시각 정보를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전력 계통 해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ANALYSING ELECTRIC POWER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력 계통 해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계통의 안정적 운영을 위하여, SVC(static var compensator) 및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 등의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가 전력 계통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FACTS 설비는 평상시에 정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선로 고장 시, 정전압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정전압 모드는, 계통의 전압이 기 설정된 기준 전압값을 추종하도록 하는 제어 모드를 포함하고, 정전력 모드는, 계통의 전압 변동에 관계없이, FACTS 설비가 기 설정된 기준 전력값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0685호(2019.05.15 등록, 전력 계통 해석 장치 및 전력 계통 해석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계통 운영 및 계통 계획 수립 등의 계통 검토를 위한 도구로서 PSS/E 프로그램과 PAZ 프로그램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PSS/E 프로그램과 PAZ 프로그램의 경우, FACTS 설비의 정전력 모드가 반영되지 않음에 따라(정전압 모드만 반영), 실제 FACTS 설비 운전 상황에 따른 무효전력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계산한 무효전력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 FACTS 설비 운전 상황에 따른 무효전력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계산한 무효전력 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고장 발생 시 계통이 쉽게 불안정해질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solution)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FACTS 설비의 정전력 모드를 고려하여 전력 계통을 해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출력 장치, 메모리, 및 상기 출력 장치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가 정전력 모드일 때 출력해야 하는 무효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무효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FACTS 설비가 정전력 출력을 하도록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생성된 시각 정보를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는, PSS/E 프로그램 또는 PAZ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효전력을 산출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FACTS 설비를 식별하고,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전력계통 조류해석을 수행하고, 상기 조류해석 수행 결과로부터 상기 FACTS 설비와 연관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FACTS 설비의 종류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더미부하를 생성하고, 조류 계산을 통해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되어 있는 모선전압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을 결정하고,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더미부하를 삭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메모리로부터 FACTS 전압 상한값, FACTS 전압 하한값, 및 정전력 모드 출력값을 포함하는 FACTS 정보를 로드(load)하고,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과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 사이에 포함되고,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정전력 모드 출력값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과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 사이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정전력 모드 출력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을 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을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으로 결정하고,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을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으로 결정하고,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과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 사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을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더미부하를 생성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FACTS 설비가 SVC(static var compensator)인 경우, 무효전력 출력값이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정임피던스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더미부하를 모델링하고, 상기 FACTS 설비가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인 경우, 무효전력 출력값이 전압에 비례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정전류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더미부하를 모델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가 정전력 모드일 때 출력해야 하는 무효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산출된 무효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FACTS 설비가 정전력 출력을 하도록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생성된 시각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는, PSS/E 프로그램 또는 PAZ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무효전력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FACTS 설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전력계통 조류해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조류해석 수행 결과로부터 상기 FACTS 설비와 연관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FACTS 설비의 종류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더미부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조류 계산을 통해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되어 있는 모선전압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더미부하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FACTS 전압 상한값, FACTS 전압 하한값, 및 정전력 모드 출력값을 포함하는 FACTS 정보를 로드(load)하는 단계,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과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 사이에 포함되고,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정전력 모드 출력값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과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 사이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정전력 모드 출력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을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을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과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 사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을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더미부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FACTS 설비가 SVC(static var compensator)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무효전력 출력값이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정임피던스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더미부하를 모델링하는 단계 및 상기 FACTS 설비가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무효전력 출력값이 전압에 비례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정전류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더미부하를 모델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FACTS 설비의 정전력 모드를 모두 고려하여 전력 계통을 해석함으로써, 실제 FACTS 설비 운전 상황에 따른 무효전력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계산한 무효전력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력 계통 해석을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력 계통 해석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력 계통 해석을 위한 데이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에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력 계통 해석을 위한 데이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FACTS 설비가 정전력 모드일 때 출력해야 하는 무효전력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FACTS 설비를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계통 해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력 계통 해석을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40), 출력 장치(150), 및 통신 회로(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100)의 구성 요소는 상술한 구성 요소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성 요소들 이외에 다른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입력 장치(140)) 또는 통신 회로(16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로드하고,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FACTS 설비가 정전력 모드일 때 출력해야 하는 무효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FACTS 설비(예: SVC, STATCOM 등)의 식별 및 조류 해석을 수행하고, 조류해석 수행 결과로 계산된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무효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140)를 통해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입력받거나, 메모리(130)를 통해 기 저장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로드(load)하거나, 또는 통신 회로(160)를 통해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수신함으로써,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는, PSS/E 프로그램 또는 PAZ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무효전력을 산출한 것에 응답하여, FACTS 설비가 정전력 출력을 하도록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PSS/E 프로그램 또는 PAZ 프로그램의 경우, FACTS 설비의 동작 모드 중 정전력 모드가 고려되지 않음에 따라 PSS/E 프로그램 또는 PAZ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전력계통을 해석할 경우, 해석을 통해 산출된 무효전력과 실제 FACTS 설비의 운전 상황에 따른 무효전력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FACTS 설비의 동작 모드 중 정전력 모드를 고려하도록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무효전력이 산출되면, 메모리(130)에 기 저장된 FACTS 정보(예: FACTS 전압 상한값, FACTS 전압 하한값, 및 정전력 모드 출력값)를 로드하고,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이 FACTS 전압 상한값과 FACTS 전압 하한값 내에 포함되지 않거나 무효전력이 정전력 모드 출력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 내의 FACTS 설비가 정전력 출력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 내의 FACTS 설비가 정전력 출력을 하도록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FACTS 설비의 종류를 고려하여 더미부하를 생성하고, FACTS 설비를 운휴(off)시킨 후 조류 계산을 수행함으로써 모선전압을 산출하고, 산출된 모선전압이 FACTS 전압 상한값을 초과하면, FACTS 전압 상한값을 FACTS 설비의 전압(또는 추종 전압)으로 결정하고, 산출된 모선전압이 FACTS 전압 하한값 미만이면, FATCS 전압 하한값을 FACTS 설비의 전압으로 결정하고, 산출된 모선전압이 FACTS 전압 상한값과 FACTS 전압 하한값 사이(dead band)면, 산출된 모선전압을 FACTS 설비의 전압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값을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한 후, 더미부하를 삭제함으로써,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갱신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된 모선전압(예: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이 FACTS 전압 상한값과 FACTS 전압 하한값 내에 포함되지 않거나, 갱신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된 무효전력이 정전력 모드 출력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갱신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된 모선전압이 FACTS 전압 상한값과 FACTS 전압 하한값 내에 포함되고 갱신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된 무효전력이 정전력 모드 출력값과 일치할 때까지 상술한 동작(예: 더미부하 생성 동작 내지 더미부하 삭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된 것에 응답하여, 갱신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된 것에 응답하여, 출력 장치(150)를 통해 갱신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PSS/E 프로그램 또는 PAZ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갱신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 장치(150)를 통해 생성된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메모리(130)에 기 저장된 FACTS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14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FACTS 설비의 기본 정보(예: FACTS 설비가 연결된 변전소 이름, 모선전압, FACTS 설비 용량, 설비 종류(SVC, STATCOM))와 운전 설정값(무효전력 운전기준(-100% ~ +100%), 정전력 모드가 적용되는 전압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FACTS 정보는 메모리(130)가 아닌 외부의 별도 저장 장치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입력 장치(140)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의 외부(예: 관리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4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출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출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 장치(15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통신 회로(16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회로(160)는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129)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가 전력계통 해석을 위한 모든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력계통 해석을 위한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별도의 전력계통 모듈에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FACTS 설비의 정전력 모드를 모두 고려하여 전력 계통을 해석함으로써, 실제 FACTS 설비 운전 상황에 따른 무효전력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계산한 무효전력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력 계통 해석을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력 계통 해석을 위한 데이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에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력 계통 해석을 위한 데이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2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FACTS 설비가 정전력 모드일 때 출력해야 하는 무효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140)를 통해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입력받거나, 메모리(130)를 통해 기 저장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로드(load)하거나, 또는 통신 회로(160)를 통해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가 수신되면,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FACTS 설비(예: SVC, STATCOM 등)의 식별 및 조류 해석을 수행하고, 조류해석 수행 결과로 계산된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무효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는, PSS/E 프로그램 또는 PAZ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동작 203에서, 프로세서(120)는 산출된 무효전력에 기반하여 FACTS 설비가 정전력 출력을 하도록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무효전력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FACTS 설비의 동작 모드 중 정전력 모드를 고려하도록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FACTS 설비의 종류를 고려하여 더미부하를 생성하고, FACTS 설비를 운휴(off)시킨 후 조류 계산을 수행함으로써 모선전압을 산출하고, 산출된 모선전압이 FACTS 전압 상한값을 초과하면, FACTS 전압 상한값을 FACTS 설비의 전압(또는 추종 전압)으로 결정하고, 산출된 모선전압이 FACTS 전압 하한값 미만이면, FATCS 전압 하한값을 FACTS 설비의 전압으로 결정하고, 산출된 모선전압이 FACTS 전압 상한값과 FACTS 전압 하한값 사이(dead band)면, 산출된 모선전압을 FACTS 설비의 전압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값을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한 후, 더미부하를 삭제함으로써,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FACTS 설비의 무효전력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려계통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된 것에 응답하여, 갱신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PSS/E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에 따라 SAVE 파일로 저장하거나 또는 RAW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205에서, 프로세서(120)는 갱신된 전력 계통 데이터베이스를 출력 장치(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PSS/E 프로그램 또는 PAZ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갱신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 장치(150)를 통해 생성된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되는 시각 정보는, FACTS 설비의 정전력 모드가 고려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므로, FACTS 설비의 정전력 모드가 고려되지 않은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생성된 시각 정보와 상이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계통에서 200MVA SVC가 정상 상태에서 -50[%]의 정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FACTS 설비의 정전력 모드가 고려되지 않은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생성된 시각 정보의 SVC는 도 3의 (a)와 같이, +100[%]로 동작하는 정전압 모드로 표시되는 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FACTS 설비의 정전력 모드가 고려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생성된 시각 정보의 SVC는 도 3의 (b)와 같이 -50[%]로 동작하는 정전력 모드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실제 계통에서 100MVA STATCOM이 정상 상태에서 -20[%] 정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FACTS 설비의 정전력 모드가 고려되지 않은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생성된 시각 정보의 STATCOM은 도 4의 (a)와 같이, -100[%]로 동작하는 정전압 모드로 표시되는 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FACTS 설비의 정전력 모드가 고려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생성된 시각 정보의 STATCOM은 도 4의 (b)와 같이, -20[%]로 동작하는 정전력 모드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FACTS 설비의 정전력 모드를 모두 고려하여 전력 계통을 해석함으로써, 실제 FACTS 설비 운전 상황에 따른 무효전력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계산한 무효전력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FACTS 설비가 정전력 모드일 때 출력해야 하는 무효전력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FACTS 설비를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2의 동작 201에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FACTS 설비가 정전력 모드일 때 출력해야 하는 무효전력을 산출하는 동작의 상세 동작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5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140)를 통해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입력 받음으로써,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를 통해 기 저장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로드(load)함으로써,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통신 회로(160)를 통해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수신함으로써,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프로세서(120)는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FACTS 설비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SVC 및/또는 STATCOM을 검색함으로써, FACTS 설비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의 종류가 SAVE 파일인 경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서 STATCOM는 도 6의 (a)와 같이, 'FACTS 항목'에 구현되어 있고,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서 SVC는 도 6의 (b)와 같이 'Switched Shunt 항목‘에서 'Control Mode"가 'continuous, cntr voltage’로 되어 있는 설비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의 종류가 RAW 파일인 경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서 STATCOM는 도 6의 (c)와 같이, ‘FACTS DEVICE DATA 항목’에 구현되어 있고,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서 SVC는 도 6의 (d)와 같이, 'SWITCHED SHUNT DATA 항목'에서 2번째 항목이 2로 되어 있는 설비로 구현될 수 있다.
동작 505에서, 프로세서(120)는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전력계통 조류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조류를 산출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프로세서(120)는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무효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조류해석 수행 결과로부터, FACTS 설비와 연관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무효전력을 식별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2의 동작 203에서, 산출된 무효전력에 기반하여 FACTS 설비가 정전력 출력을 하도록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동작의 상세 동작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FACTS 설비가 연계되어 있는 모선전압 및 FACTS 설비의 무효전력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기 저장된 FACTS 정보(예: FACTS 전압 상한값, FACTS 전압 하한값, 및 정전력 모드 출력값)를 로드하고, 로드된 FACTS 정보와 FACTS 설비가 연계되어 있는 모선전압 및 FACTS 설비의 무효전력을 비교함으로써, FACTS 설비가 연계되어 있는 모선전압 및 FACTS 설비의 무효전력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이 FACTS 전압 상한값과 FACTS 전압 하한값 내에 포함되고, 무효전력이 정전력 모드 출력값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FACTS 설비가 연계되어 있는 모선전압 및 FACTS 설비의 무효전력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FACTS 설비가 연계되어 있는 모선전압 및 FACTS 설비의 무효전력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본 알고리즘을 종료하고, FACTS 설비가 연계되어 있는 모선전압 및 FACTS 설비의 무효전력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동작 703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프로세서(120)는 FACTS 설비가 연계되어 있는 모선전압 및 FACTS 설비의 무효전력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FACTS 설비의 종류에 기반하여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더미부하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FACTS 설비가 SVC인 경우, 무효전력 출력값이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정임피던스 모델(Q=Q0V2)을 이용하여 부하를 모델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FACTS 설비가 STATCOM인 경우, 무효전력 출력값이 전압에 비례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정전류 모델(Q=Q0V1)을 이용하여 부하를 모델링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프로세서(120)는 더미부하를 생성한 것에 응답하여, 조류 계산을 통해 FACTS 설비가 연계되어 있는 모선전압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더미부하를 생성한 것에 응답하여,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 내의 FACTS 설비를 운휴(off)시키기고,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조류 계산을 수행함으로써, FACTS 설비가 연계되어 있는 모선전압을 산출할 수 있다.
동작 707에서, 프로세서(120)는 산출된 모선전압에 기반하여 FACTS 설비의 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산출된 모선전압이 FACTS 전압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FACTS 전압 상한값을 FACTS 설비의 전압(또는 추종 전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산출된 모선전압이 FACTS 전압 하한값 미만인 경우, FACTS 전압 하한값을 FACTS 설비의 전압(또는 추종 전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산출된 모선전압이 FACTS 전압 상한값과 FACTS 전압 하한값 내에 포함되는 경우, 산출된 모선전압을 FACTS 설비의 전압(또는 추종 전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FACTS 설비의 전압이 결정되면,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의 FACTS 설비의 전압을 결정된 전압으로 갱신(또는 조정,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동작 709에서, 프로세서(120)는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서 더미부하를 삭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0: 전자 장치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40: 입력 장치
150: 출력 장치
160: 통신 회로

Claims (14)

  1. 출력 장치;
    메모리; 및
    상기 출력 장치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가 정전력 모드일 때 출력해야 하는 무효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무효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FACTS 설비가 정전력 출력을 하도록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생성된 시각 정보를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는, PSS/E 프로그램 또는 PAZ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인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효전력을 산출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FACTS 설비를 식별하고,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전력계통 조류해석을 수행하고,
    상기 조류해석 수행 결과로부터 상기 FACTS 설비와 연관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FACTS 설비의 종류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더미부하를 생성하고,
    조류 계산을 통해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되어 있는 모선전압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을 결정하고,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더미부하를 삭제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메모리로부터 FACTS 전압 상한값, FACTS 전압 하한값, 및 정전력 모드 출력값을 포함하는 FACTS 정보를 로드(load)하고,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과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 사이에 포함되고,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정전력 모드 출력값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과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 사이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정전력 모드 출력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을 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을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으로 결정하고,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을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으로 결정하고,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과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 사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을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더미부하를 생성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FACTS 설비가 SVC(static var compensator)인 경우, 무효전력 출력값이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정임피던스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더미부하를 모델링하고,
    상기 FACTS 설비가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인 경우, 무효전력 출력값이 전압에 비례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정전류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더미부하를 모델링하는 전자 장치.
  8.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가 정전력 모드일 때 출력해야 하는 무효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산출된 무효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FACTS 설비가 정전력 출력을 하도록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생성된 시각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는, PSS/E 프로그램 또는 PAZ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전력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FACTS 설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전력계통 조류해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조류해석 수행 결과로부터 상기 FACTS 설비와 연관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FACTS 설비의 종류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더미부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조류 계산을 통해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되어 있는 모선전압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더미부하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FACTS 전압 상한값, FACTS 전압 하한값, 및 정전력 모드 출력값을 포함하는 FACTS 정보를 로드(load)하는 단계;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과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 사이에 포함되고,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정전력 모드 출력값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과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 사이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정전력 모드 출력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FACTS 설비가 연계된 모선전압과 상기 무효전력이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을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을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이 상기 FACTS 전압 상한값과 상기 FACTS 전압 하한값 사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산출된 모선전압을 상기 FACTS 설비의 전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계통 데이터베이스에 더미부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FACTS 설비가 SVC(static var compensator)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무효전력 출력값이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정임피던스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더미부하를 모델링하는 단계; 및
    상기 FACTS 설비가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무효전력 출력값이 전압에 비례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정전류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더미부하를 모델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00080035A 2020-06-30 2020-06-30 전력 계통 해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32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35A KR102432961B1 (ko) 2020-06-30 2020-06-30 전력 계통 해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35A KR102432961B1 (ko) 2020-06-30 2020-06-30 전력 계통 해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32A true KR20220001732A (ko) 2022-01-06
KR102432961B1 KR102432961B1 (ko) 2022-08-17

Family

ID=7934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035A KR102432961B1 (ko) 2020-06-30 2020-06-30 전력 계통 해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9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7317A (ko) * 2008-10-01 2010-04-09 한국전력공사 다기 facts 기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20130034769A (ko) * 2011-09-29 2013-04-08 한국전력공사 순동무효전력을 확보하기 위한 무효전력보상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980685B1 (ko) * 2015-07-09 2019-05-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계통 해석 장치 및 전력 계통 해석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7317A (ko) * 2008-10-01 2010-04-09 한국전력공사 다기 facts 기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20130034769A (ko) * 2011-09-29 2013-04-08 한국전력공사 순동무효전력을 확보하기 위한 무효전력보상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980685B1 (ko) * 2015-07-09 2019-05-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계통 해석 장치 및 전력 계통 해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961B1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18216A1 (ko) 계통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재구성에 따른 실시간 계통 주파수 및 전압 변동 모델링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0515647A (zh) 一种静态资源管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WO2011142296A1 (ja) 発電計画作成装置
WO2018061450A1 (ja) 電力系統安定化装置および方法
KR101964345B1 (ko) 전자 장치의 충전기
KR102432961B1 (ko) 전력 계통 해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1932198B (zh) 文件审核方法及相关产品
JP2022094441A (ja) 電力系統監視制御装置、電力系統監視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電力系統監視制御方法
Wang et al. Voltage instability performance of risk-based security constrained optimal power flow
CN116822594A (zh) 模型量化方法、模型量化装置、电子设备和介质
Fang et al. Optimal generation rescheduling with sensitivity-based transient stability constraints
US10467358B2 (en) Simulation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42191B1 (ko) 전력계통 연계 및 계통 보호를 위한 전력변환시스템
CN114498778A (zh) 交直流联合送电极限确定方法及装置
KR20210134527A (ko) 데이터 처리 방법, 장치, 기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5185456A (zh) 集群缩容风险提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19193539A (ja) 電力系統制御システム、及び、電力系統制御方法
KR101126174B1 (ko) 전압 관리 시스템 및 전압 관리 방법
JP2022077459A (ja) 電力配分装置、電力配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47462A (ko) 분산 전원 환경에서의 배전 계통의 고장 해석 방법
KR20210058005A (ko) 시계열 모의 운영 기반의 배전계통 분산형 전원의 용량 산정 장치 및 그 방법
JP4541127B2 (ja) 電力制御情報管理装置
JP6852831B1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213421A (ja) 支援装置、電力系統解析装置、支援方法、電力系統解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627433B (zh) Ai处理器实时的参数预测方法、系统、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