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716U -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716U
KR20220001716U KR2020200004964U KR20200004964U KR20220001716U KR 20220001716 U KR20220001716 U KR 20220001716U KR 2020200004964 U KR2020200004964 U KR 2020200004964U KR 20200004964 U KR20200004964 U KR 20200004964U KR 20220001716 U KR20220001716 U KR 202200017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cover
toilet
hole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filed Critical 김정호
Priority to KR2020200004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716U/ko
Publication of KR202200017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71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의 하부고정너트의 쐐기부를 보다 넓게 퍼지도록 하여 홀에 잘 걸려서 튼튼하게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최초 작업시 커버가 형성되어 쐐기부가 홀에 잘 들어가도록 형성되며, 작동볼트를 고정할 때 커버가 자연스럽게 파손되어 쐐기부가 퍼질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보다 튼튼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에 의하면 쐐기부가 방사형으로 4개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양변기의 홀의 크기가 달라져도 잘 빠지지 않아서 튼튼하게 고정되고, 연결고정구는 상단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으로 형성하고, 하부에 장홀을 형성하여 한번에 사출가능하기 때문에 쉽게 고정되고, 내부에 다각형홀을 따라 하부고정너트의 외주연이 상승하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고 튼튼하게 결합되며, 하부고정너트의 쐐기부를 감싸는 커버가 형성되고, 커버는 너트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어 쐐기부의 기능을 다할 수 있으므로, 양변기의 홀에 삽입하기 매우 쉬워서 작업성이 뛰어난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FIXTURE FOR TOILET BOWL SHEET COVER}
본 고안은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의 하부고정너트의 쐐기부를 보다 넓게 퍼지도록 하여 홀에 잘 걸려서 튼튼하게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최초 작업시 커버가 형성되어 쐐기부가 홀에 잘 들어가도록 형성되며, 작동볼트를 고정할 때 커버가 자연스럽게 파손되어 쐐기부가 퍼질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보다 튼튼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 또는 좌변기는 걸터앉아서 대소변을 보게 된 서양식의 수세식 변기로 정의 된다.
종래의 양변기를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용변을 받기 위한 볼(bowl)이 형성되는 몸체(401)(10)와; 상기 몸체(401)(10)의 볼로 내려보내는 물을 담아두는 저수통(20); 및 상기 볼 위에 설치되어 사용시 여닫기 위한 시트커버(30); 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커버(30)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볼 위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구(31); 상기 고정구에 축 결합되면서 용변을 볼 때 볼의 테두리에 깔고 앉기 위한 좌대(32); 및 상기 좌대에 축 결합되면서 상기 좌대 위를 덮기 위한 뚜껑(3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시트커버(30)에 있어서 상기 좌대는 다음과 같은 여러 이유로 자주 교체해야 한다. 상기 좌대는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서 앉을 때 신체가 직접 접촉하는 곳이므로 오랜 시간 사용에 의해 불결해지거나 파손되면 교체해야한다.
상기 시트커버(30)는 좌대(32)와 뚜껑(33)을 동시에 결합하는 고정구(31)에 의해서 볼(10)의 상단에 고정되는데, 상기 볼(10)의 후방에 형성된 홀에 고정대(31a)의 볼트(31c)를 삽입하고, 홀의 하단으로 손을 넣어서 너트(31b)를 고정한다.
이때, 너트(31b)를 최대한 꽉 조여야 사용할 때 커버체([0007] 30)가 많이 움직이지 않는다.
이러한 양변기 및 시트커버 조립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70867호, 공개실용신안 공보 제1994-0025129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양변기 및 시트커버 조립에 관한 기술은 너트(31b)를 조이도록 하는 설치가 힘들어서 작업자가 설치에 매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고안자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0491433호에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이하, '고안자기술'이라 함)를 개시한바 있다.
종래의 고안자기술은 도 4와 같이 시트커버의 후방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가운데 장홀(112)이 형성되며, 내벽에 홈(114)이 형성되는 연결고정구(110)와; 상기 연결고정구(110)의 장홀(112)을 전,후로 이송가능하도록 상단에 사각형의 가이드판재(210)가 형성되고, 가운데에는 통과홀(21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홀(212)의 하단 주연부로 원기둥형태로 돌출되는 하단고정돌출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고정돌출부(220)의 양측에는 가이드절개부(222)가 형성되는 지지고정구(200)와; 상기 지지고정구(200)의 하단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몸통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310)의 상단 내주연에 너트부(314)가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310)의 상단외주연으로는 대칭으로 돌출되는 돌출구(312)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310)는 대칭으로 절개된 텐션공간부(330)가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310)의 텐션공간부(330)로 나누어진 각각의 하부에는 고정단턱(320)이 하단으로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322)와 함께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고정너트(300)와; 상기 지지고정구(200)의 상단에서 통과홀(212)로 삽입하여 너트부(314)와 결합하는 볼트(400)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안자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하부고정너트의 고정단턱이 얇고, 양변기에 형성된 홀의 크기가 많이 달라서 하부고정너트가 잘 빠져서 작업성이 낮다.
(2) 연결고정구의 홈의 형성이 어렵고, 지지고정구에 의해서 상승하는 하부고정너트의 돌출구가 약해서 볼트체결을 강하게 할 경우에는 쉽게 파손된다.
(3) 하부고정너트의 경사부가 벌어져 있어서, 하부고정너트를 홀에 넣을 때 잘 들어가지 않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연결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정구의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고정구의 내부에서 고정볼트에 의해서 상승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하부고정너트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구는 상단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개방된 장홀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시트커버를 고정하는 커버고정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고정구는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단이 사각형상의 플랜지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가운데에는 다각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각홀이 길게 형성되도록 주연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다각형을 이루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정너트는 가운데에는 너트부가 형성되고 주연부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다각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다각몸체의 하단주연부에 외부로 4개가 위부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쐐기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쐐기부에는 깔데기 형상의 커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쐐기부가 방사형으로 4개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양변기의 홀의 크기가 달라져도 잘 빠지지 않아서 튼튼하게 고정된다.
(2) 연결고정구는 상단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으로 형성하고, 하부에 장홀을 형성하여 한번에 사출가능하기 때문에 쉽게 고정되고, 내부에 다각형홀을 따라 하부고정너트의 외주연이 상승하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고 튼튼하게 결합된다.
(3) 하부고정너트의 쐐기부를 감싸는 커버가 형성되고, 커버는 너트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어 쐐기부의 기능을 다할 수 있으므로, 양변기의 홀에 삽입하기 매우 쉬워서 작업성이 뛰어나다.
도 1은 종래의 양변기의 개념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양변기의 시트커버의 구조와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양변기의 시트커버의 고정구를 양변기에 결합할 때 나타난 단면도.
도 4는 본원 고안자가 개시한 종래의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의 결합중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의 결합완성 사시도.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원 명세서의 도면은 본 고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이 명확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 다소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는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고, 본원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설명하였다.
본 고안에서 정의된 용어 및 부호들은 사용자, 운용자 및 작성자에 의해서 임의로 정의되거나, 선택적으로 사용된 용어이기 때문에, 이러한 용어들은 본원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용어자체의 의미로 한정하여서는 안된다.
본 고안은 연결고정구(40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정구(400)의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고정구(41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고정구(410)의 내부에서 고정볼트(450)에 의해서 상승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하부고정너트(420)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양변기용 시트커버(430)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구(400)는 상단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몸체(40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개방된 장홀(402)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시트커버(430)를 고정하는 커버고정대(40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고정구(410)는 연결고정구(4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단이 사각형상의 플랜지(411)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411)의 가운데에는 다각홀(412)이 형성되고, 상기 다각홀(412)이 길게 형성되도록 주연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다각형을 이루는 돌출부(413)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정너트(420)는 가운데에는 너트부(421)가 형성되고 주연부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다각몸체(422)(422)가 형성되고, 상기 다각몸체(422)(422)의 하단주연부에 외부로 4개가 위부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쐐기부(423)가 형성되는데, 상기 쐐기부(423)에는 깔때기 형상의 커버(43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430)는 몸체(401)가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두개의 개방구(432)가 형성되며, 넓은 직경부분에는 십형태로 가로대(431)가 형성된다.
상기 종래의 양변기용 시트커버(430) 고정구는 연결고정구(400)가 지지고정구(4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고정구(410)의 내부에 볼트(450)가 지지고정구(410)를 끌어 올리는 형태로 잠기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고정구(400)는 상단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몸체(40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개방된 장홀(402)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시트커버(430)를 고정하는 커버고정대(403)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401)는 상단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커버고정대(403)가 부착된다.
상기 몸체(401)의 내부에는 지지고정구(410)와 볼트(4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홀(402)이 형성되는데, 상기 장홀(402)은 지지고정구(410)의 주연부가 일정 간격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양변기 마다 간격이 다른 홀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고정대(403)는 시트커버(43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시트커버(430)에 홀이 형성되고, 커버고정대(403)는 축으로 활용된다.
상기 지지고정구(410)는 연결고정구(4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단이 사각형상의 플랜지(411)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411)의 가운데에는 다각홀(412)이 형성되고, 상기 다각홀(412)이 길게 형성되도록 주연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다각형을 이루는 돌출부(41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고정구(410)는 상단에 사각형상의 플랜지(411)가 형성되고, 가운데에 다각홀(412)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411)의 주연부는 몸체(401)의 양측 내벽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크기가 제한된다.
상기 다각홀(412)을 길게 만들기 위해서 플랜지(411)의 다각홀(412) 주연부로 일정두께를 가진 원통형의 돌출부(413)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13)의 가운데는 다각홀(412)에서 연장되어 다각형상으로 중공되어 있다.
상기 하부고정너트(420)는 가운데에는 너트부(421)가 형성되고 주연부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다각몸체(422)(422)가 형성되고, 상기 다각몸체(422)(422)의 하단주연부에 외부로 4개가 위부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쐐기부(423)가 형성되는데, 상기 쐐기부(423)에는 깔때기 형상의 커버(43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고정너트(420)는 주연부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다각몸체(422)(422)가 형성되는데, 상기 다각몸체(422)(422)의 주연부는 돌출부(413) 내부의 다각형내벽에 포함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다각홀(412)과 다각몸체(422)(422)는 동일한 각으로 형성되어 사각형 내지 팔각형 까지 형성될 수 있고, 팔각형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원형에 가까워서 튼튼하게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다각몸체(422)(422)의 하부에는 4부분으로 나뉘어져 하단으로 내려갈 수록 직경이 커지는 쐐기부(423)가 형성되는데, 각 쐐기부(423)는 각각 이격되어 있어서 내부로 끝단이 안쪽으로 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쐐기부(423)는 적어도 2단으로 형성되고 각 단마다 닥턱(424)이 형성되고, 상기 닥턱(424)은 양변기의 홀의 하단을 튼튼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쐐기부(423)의 끝단은 다각몸체(422)(422)의 외부연보다 외곽으로 25~40% 넓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430)는 쐐기부(423)의 끝단이 다각몸체(422)(422)보다 외부로 벌어져 있기 때문에 최초 양변기의 홀에 삽입하기 쉽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뒤집어진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깔때기 형상의 커버(430)의 넓은 직경부분에는 십자형태로 연결된 가로대(431)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적어도 2개의 절개된 개방구(432)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430)는 홀에 삽입한 후에 볼트(450)로 하부고정너트(420)를 조이게 되면 하부고정너트(420)가 상승하면서 가로대(431)를 파손하고, 결국 절개부와 연장된 부분이 파손되면서 떨여저 나가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양변기용 시트커버(430) 고정구의 작동과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양변기용 시트커버(430) 고정구로 시트커버(430)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하부고정너트(420)의 다각몸체(422)(422)를 지지고정구(410)의 돌출부(413)에 삽입하고 볼트(450)를 이용하여 하부고정너트(420)의 너트부(421)에 살짝 고정한다.
이때, 커버(430)는 하부고정너트(420)의 쐐기부(423)를 모아서 씌워져 있기 때문에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후, 연결고정구(400)의 장홀(402)을 양변기의 홀에 적정한 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볼트(450)를 잡고, 장홀(402)을 통해서 양변기의 홀에 커버(430)부터 집어넣는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지지고정구(410)의 몸체(401) 내벽에 지지고정구(410)의 플랜지(411)를 접하게 한 상태에서 볼트(450)를 조인다.
이때, 볼트(450)가 조이면서 하부고정너트(420)가 상승하게 되고, 커버(430)의 가로대(431)를 파손하면서 하부고정너트(420)를 더욱더 끌어 당긴다.
마침내 커버(430)가 떨어져 나가게 되고, 쐐기부(423)가 벌어져서 홀의 하단에 닥턱(424)이 튼튼하게 고정되면서 볼트(450)를 완전히 조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볼트(450)를 강하게 조여도 두개의 닥턱(424)으로 인해서 홀에서 빠지지 않으면서 강하게 조여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편리하면서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에 의하면 쐐기부가 방사형으로 4개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양변기의 홀의 크기가 달라져도 잘 빠지지 않아서 튼튼하게 고정되고, 연결고정구는 상단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으로 형성하고, 하부에 장홀을 형성하여 한번에 사출가능하기 때문에 쉽게 고정되고, 내부에 다각형홀을 따라 하부고정너트의 외주연이 상승하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고 튼튼하게 결합되며, 하부고정너트의 쐐기부를 감싸는 커버가 형성되고, 커버는 너트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어 쐐기부의 기능을 다할 수 있으므로, 양변기의 홀에 삽입하기 매우 쉬워서 작업성이 뛰어난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400 : 연결고정구 401 : 몸체
402 : 장홀 403 : 커버고정대
410 : 지지고정구 411 : 플랜지
412 : 다각홀 413 : 돌출부
420 : 하부고정너트 421 : 너트부
422 : 다각몸체 423 : 쐐기부
424 : 단턱 430 : 커버
431 : 가로대 432 : 개방구
450 : 볼트

Claims (4)

  1. 연결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정구의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고정구의 내부에서 고정볼트에 의해서 상승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하부고정너트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고정너트의 끝단에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가 하부고정너트와 체결될 때 커버가 파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
  2. 연결고정구(40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정구(400)의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고정구(41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고정구(410)의 내부에서 고정볼트(450)에 의해서 상승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하부고정너트(420)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양변기용 시트커버(430)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구(400)는 상단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몸체(40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개방된 장홀(402)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시트커버(430)를 고정하는 커버고정대(40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고정구(410)는 연결고정구(4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단이 사각형상의 플랜지(411)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411)의 가운데에는 다각홀(412)이 형성되고, 상기 다각홀(412)이 길게 형성되도록 주연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다각형을 이루는 돌출부(413)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정너트(420)는 가운데에는 너트부(421)가 형성되고 주연부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다각몸체(422)(422)가 형성되고, 상기 다각몸체(422)(422)의 하단주연부에 외부로 4개가 위부로 경사져서 형성되는 쐐기부(423)가 형성되는데, 상기 쐐기부(423)에는 깔때기 형상의 커버(4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423)는 적어도 2단으로 형성되고 각 단마다 닥턱(424)이 형성되고, 끝단은 다각몸체(422)(422)의 외부연보다 외곽으로 25~40% 넓게 퍼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30)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넓은 직경부분에는 십자형태로 연결된 가로대(431)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적어도 2개의 절개된 개방구(4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
KR2020200004964U 2020-12-31 2020-12-31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 KR202200017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64U KR20220001716U (ko) 2020-12-31 2020-12-31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64U KR20220001716U (ko) 2020-12-31 2020-12-31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16U true KR20220001716U (ko) 2022-07-07

Family

ID=8239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964U KR20220001716U (ko) 2020-12-31 2020-12-31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71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1640A (en) Removable toilet seat and toilet seat connector
JP4663730B2 (ja) 脱着可能な便座のヒンジアッセンブリー
US7314252B2 (en) Chair supported by a plurality of legs
AU2005289856B2 (en) Quick release toilet seat hinge assembly
EP2050882A1 (en) Toilet
JPH02186021A (ja) 水槽を便器に結合する取付組立体
KR20220001716U (ko)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
US5368364A (en) Chair with armrests
US5457824A (en) Easily removable and attachable toilet seat connector and method
BE1000388A7 (fr) Dispositif de fixation pour charniere d'abattant de cuvette de toilettes.
KR200494101Y1 (ko)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
US6263516B1 (en) Toilet cover assembly
JPH10192076A (ja) 脚用保護キャップ
KR200240359Y1 (ko) 좌변기 커버의 고정장치
KR200279138Y1 (ko) 운동장용 조립식 스텐드의 의자 고정장치
JPH09266831A (ja) 着脱式側柵の固定構造
JP3944628B2 (ja) 便座ボックスの設置構造
KR102259032B1 (ko) 책상 보관함
JP3135394U (ja) ゴルフバッグ基底盤
JPH0617970Y2 (ja) 折戸の下部案内部材
KR101003907B1 (ko) 젖먹이 유아용 변기 및 보조 변기 시트
JP2682377B2 (ja)
JPH0941458A (ja) 便器用水タンク、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部品
KR200246559Y1 (ko) 책상용간막이고정구
JP4359106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の肘掛け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