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482A - 항-FcRn 항체에 대한 제형 - Google Patents

항-FcRn 항체에 대한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482A
KR20220001482A KR1020210082808A KR20210082808A KR20220001482A KR 20220001482 A KR20220001482 A KR 20220001482A KR 1020210082808 A KR1020210082808 A KR 1020210082808A KR 20210082808 A KR20210082808 A KR 20210082808A KR 20220001482 A KR20220001482 A KR 20220001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formulation
hl161bkn
histidine
ser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혜경
김영주
정미진
Original Assignee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01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91Stabilisation, frag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Fc-receptors, e.g. CD16, CD32, CD6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4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 C07K2317/41Glycosylation, sialylation, or fucosyl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HL161 BKN 항체 또는 이의 단편, (b) 만니톨, 솔비톨, 아르기닌, 히스티딘, 글리신 및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c) 시트레이트 또는 히스티딘으로부터 선택된 완충 시스템, 및 (d) 폴리소르베이트를 포함하는 pH 4.0 내지 8.0의 수성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제형 내에 존재하는 HL161BKN 항체는 안정성이 향상되며, 독성이 없어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Description

항-FcRn 항체에 대한 제형{FORMULATION FOR ANTI-FcRn ANTIBODY}
본 발명은 항-FcRn 항체인 HL161BKN에 최적화된 제형에 관한 것이다.
자가면역 질환의 원인은 유전적, 환경적 및 면역학적인 관점에서 오랜 기간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여전히 명확한 질병의 발생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최근 많은 연구를 통해 다수의 자가 면역 질환들이 IgG 형태의 자가항체(autoantibody)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실제로 자가면역 질환 진단 및 치료연구에서 질환 특이적인 자가항체들의 존재 유무와 감소에 따른 치료효과와의 연관성이 널리 규명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가면역 질환 치료제로서 1차 선택제는 전신 고용량 스테로이드 주사이며, 증상이 심각하거나 스테로이드로 조절이 어려운 경우 고용량의 IVIG(Intravenous immunoglobulin) 투여 또는 혈장 분리 반출술을 적용하였다. 고용량 스테로이드는 효과가 미약하거나 반복 사용시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IVIG와 혈장 분리 반출술의 경우는 치료비용이 비싸고 다양한 부작용과 감염의 위험이 있어 이 치료 분야에서의 치료제 개발이 절실한 상태이다.
한편, 최근 FcRn 항체를 이용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가 연구되고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147606호). 상기 항체는 IgG의 리사이클링(Recycling) 작용에 관여하는 FcRn(Neonatal Fc Receptor)을 블록킹하여 체내 IgG의 소실속도(Catabolism)를 증가시킴으로써 자가항체를 낮추어 질환을 치료하고자 하는 새로운 기전의 약물이다. 이러한 항-FcRn 항체는 기존 치료제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제품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러한 항체를 체내 자가항원(Autoantigen)에 대한 자가항체(Autoantibody)가 발생하여 질환이 나타나는 천포창(Pemphigus bulgaris)이나 신경성 척수염(Neuromyelitis optica),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과 같은 중증 자가면역 질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항체에 최적화된 제형 및 투여 방법에 따라 최적화된 제형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14-0147606 A
본 발명자들은 중증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항-FcRn 항체에 최적화된 제형을 개발하기 위해서 연구한 결과, 항-FcRn 항체인 HL161BKN에 최적화된 버퍼 및 제형을 개발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항-FcRn 항체 또는 이의 단편, (b) 만니톨, 솔비톨, 아르기닌, 히스티딘, 글리신 및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c) 시트레이트 또는 히스티딘으로부터 선택된 완충 시스템, 및 (d)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a) 항-FcRn 항체 또는 이의 단편, (b) 만니톨, 솔비톨, 아르기닌, 히스티딘, 글리신 및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c) 시트레이트 또는 히스티딘으로부터 선택된 완충 시스템, 및 (d)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pH 4.0 내지 8.0의 약제학적 제제는 HL161BKN에 최적화된 약학 조성물으로서, 상기 제형에서 HL161BKN의 안정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도 1은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이용하여 HL161BKN의 열안정성을 분석한 것이다.
도 2는 시트르산 나트륨-포스페이트 버퍼 pH 5.0, 6.0, 7.0, 8.0 조건에서 HL161BKN의 4주 가속 안정성을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HL161BKN의 제형을 연구하기 위한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4는 부형제 테스트 결과, 부형제에 따라 생성된 HL161BKN(210 mg/mL)의 응집체(aggregates) 및 단편(fragments)의 변화량를 확인한 것이다.
도 5는 각 부형제 조건에 따른 HL161BKN(210 mg/mL)의 전하 변이체(charge variants) 양상을 CEX-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도 6은 부형제 조합에 따른 HL161BKN의 응집체 변화량의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부형제 조합에 따라 생성된 HL161BKN(210 mg/mL)의 응집체 및 단편의 변화량을 확인한 것이다.
도 8은 부형제 조합에 따른 HL161BKN의 응집체 및 단편의 변화량의 실험계획법(Design of Experiment, DOE)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부형제 조합에 따른 HL161BKN의 전하 변이체(charge variants) 양상을 CEX-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도 10은 추가 부형제 테스트에서 HL161BKN(210 mg/mL)의 응집체 및 단편의 변화량을 확인한 것이다.
도 11은 추가 부형제 테스트에서 부형제 조건에 따른 HL161BKN의 전하 변이체(charge variants) 양상을 CEX-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도 12는 HL161BKN(210 mg/mL)의 교반 스트레스에 대한 PSB20 유무에 따른 영향을 확인한 것이다.
도 13은 교반 테스트에서 PSB20 유무에 따른 HL161BKN의 단량체(monomer) 변화를 확인한 것이다.
도 14는 점성 감소 부형제 테스트에서 HL161BKN(210 mg/mL)의 응집체 및 단편의 변화량을 확인한 것이다.
도 15는 1차 부형제 스크리닝에서 HL161BKN(210 mg/mL)의 응집체 및 단편의 변화를 확인한 것이다.
도 16은 1차 부형제 스크리닝 조건에 따른 HL161BKN의 전하 변이체(charge variants) 양상을 CEX-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도 17은 2차 부형제 스크리닝에서 HL161BKN(210 mg/mL)의 응집체 및 단편의 변화를 확인한 것이다.
도 18은 2차 부형제 조건에 따른 HL161BKN의 전하 변이체(charge variants) 양상을 CEX-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도 19는 HL161BKN의 불용성 미립자(sub-visible particle) 수의 변화를 확인한 것이다.
도 20은 HL161BKN 제형에서 HL161BKN의 농도에 따른 점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때, HL161BKN이 170 mg/mL 일때, 10 cP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항-FcRn 항체 또는 이의 단편, (b) 만니톨, 솔비톨, 아르기닌, 히스티딘, 글리신 및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c) 시트레이트 또는 히스티딘으로부터 선택된 완충 시스템, 및 (d)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pH 4.0 내지 8.0의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추가적으로 메티오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추가적으로 수크로스, 트레할로스와 같은 당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 시스템은 그 짝 산-염기 성분으로 인해 pH에서의 변화에 저항성인 버퍼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히스티딘 버퍼"는 히스티딘 이온을 포함하는 버퍼를 의미한다. 이때, 히스티딘 버퍼의 구체예는 히스티딘 클로라이드 버퍼, 히스티딘 아세테이트 버퍼, 히스티딘 포스페이트 버퍼, 및 히스티딘 설페이트 버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시트레이트 버퍼"는 시트레이트 이온을 포함하는 버퍼를 의미한다. 이때, 시트레이트 버퍼의 구체예는 시트르산-나트륨 버퍼, 시트르산-칼륨 버퍼, 시트르산-칼슘 버퍼, 및 시트르산-마그네슘 버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계면활성제"는 교반(agitation) 및 전단(shearing)과 같은 기계적 스트레스에 대해 단백질 제형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나타낸다.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는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록사머, 트리톤,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나트륨 라우릴 설포네이트, 나트륨 옥틸 글리코시드, 라우릴-설포베타인, 미리스틸-설포베타인, 리놀레일-설포베타인, 스테아릴-설포베타인, 라우릴-사르코신, 미리스틸-사르코신, 리놀레일-사르코신, 스테아릴-사르코신, 리놀레일-베타인, 미리스틸-베타인, 세틸-베타인, 라우릴 아미도프로필-베타인, 코카르아미도프로필-베타인, 리놀레아미도프로필-베타인, 미리스트아미도프로필-베타인, 팔미토일아미도프로필-베타인, 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베타인, 미리스트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팔미토일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나트륨 메틸 코카아실, 나트륨 메틸 올레일-타우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에틸렌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코폴리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 폴리소르베이트 2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수성 제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주사형 액상 제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항-FcRn 항체는 HL161BKN 일 수 있다.
상기 HL161BKN은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H-CDR1,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H-CDR2, 및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H-CDR3을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며,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L-CDR1,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L-CDR2, 및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L-CDR3을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HL161BKN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쇄 및 경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쇄 및 경쇄는 표 2에 기재된 핵산에 의해 코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항체의 당화 위치는 다음과 같다: Asn301, N-glycan(G0F, G1F, G0-GlcNac, Man5).
Figure pat00002
이때,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20 cP 이하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1 cP 내지 20 cP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10 cP 내지 20 cP의 점도를 가질 수 있으며, 약 10 cP, 약 11 cP, 약 12 cP, 약 13 cP, 약 14 cP, 약 15 cP, 약 16 cP, 약 17 cP, 약 18 cP, 약 19 cP, 약 20 cP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250 mOs/kg 내지 500 mOs/kg의 삼투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300 mOs/kg ~ 450 mOs/kg 또는 350 mOs/kg ~ 400 mOs/kg의 삼투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약 250 mOs/kg, 약 260 mOs/kg, 약 270 mOs/kg, 약 280 mOs/kg, 약 290 mOs/kg, 약 300 mOs/kg, 약 310 mOs/kg, 약 320 mOs/kg, 약 330 mOs/kg, 약 340 mOs/kg, 약 350 mOs/kg, 약 360 mOs/kg, 약 370 mOs/kg, 약 380 mOs/kg, 약 390 mOs/kg, 약 400 mOs/kg, 약 410 mOs/kg, 약 420 mOs/kg, 약 430 mOs/kg, 약 440 mOs/kg, 약 450 mOs/kg, 약 460 mOs/kg, 약 470 mOs/kg, 약 480 mOs/kg, 약 490 mOs/kg, 또는 약 500 mOs/kg의 삼투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HL161BKN을 50 mg/mL 내지 250 mg/mL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60 mg/mL 내지 250 mg/mL, 70 mg/mL 내지 250 mg/mL, 80 mg/mL 내지 250 mg/mL, 90 mg/mL 내지 250 mg/mL 또는 100 mg/mL 내지 250 mg/mL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HL161BKN을 120 mg/mL 내지 230 mg/mL, 150 mg/mL 내지 220 mg/mL 또는 180 mg/mL 내지 210 mg/mL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HL161BKN을 약 50 mg/mL, 약 60 mg/mL, 약 70 mg/mL, 약 80 mg/mL, 약 90 mg/mL, 약 100 mg/mL, 약 110 mg/mL, 약 120 mg/mL, 약 130 mg/mL, 약 140 mg/mL, 약 150 mg/mL, 약 160 mg/mL, 약 170 mg/mL, 약 180 mg/mL, 약 190 mg/mL, 약 200 mg/mL, 약 210 mg/mL, 약 220 mg/mL, 약 230 mg/mL, 약 240 mg/mL, 또는 약 250 mg/mL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pH 4.0 내지 8.0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pH 4.0 내지 7.0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pH 5.0 내지 6.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약 pH 5.0, 약 pH 5.1, 약 pH 5.2, 약 pH 5.3, 약 pH 5.4, 약 pH 5.5, 약 pH 5.6, 약 pH 5.7, 약 pH 5.8, 약 pH 5.9, 약 pH 6.0, 약 pH 6.1, 약 pH 6.2, 약 pH 6.3, 약 pH 6.4, 약 pH 6.5, 약 pH 6.6, 약 pH 6.7, 약 pH 6.8, 약 pH 6.9 또는 약 pH 7.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10 mM 내지 400 mM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만니톨, 솔비톨, 아르기닌, 히스티딘 또는 글리신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이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첨가제는 각각 10 mM 내지 400 mM, 20 mM 내지 300 mM, 50 mM 내지 250 mM 또는 100 mM 내지 150 mM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첨가제는 각각 약 10 mM, 약 20 mM, 약 30 mM, 약 40 mM, 약 50 mM, 약 60 mM, 약 70 mM, 약 80 mM, 약 90 mM, 약 100 mM, 약 110 mM, 약 120 mM, 약 130 mM, 약 140 mM, 약 150 mM, 약 160 mM, 약 170 mM, 약 180 mM, 약 190 mM, 약 200 mM, 약 210 mM, 약 220 mM, 약 230 mM, 약 240 mM, 약 250 mM, 약 260 mM, 약 270 mM, 약 280 mM, 약 290 mM, 약 300 mM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2개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상기 첨가제는 만니톨 및 솔비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상기 첨가제는 만니톨 및 아르기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상기 첨가제는 만니톨 및 히스티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상기 첨가제는 만니톨 및 글리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상기 첨가제는 솔비톨 및 아르기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상기 첨가제는 솔비톨 및 히스티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상기 첨가제는 솔비톨 및 글리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상기 첨가제는 아르기닌 및 히스티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상기 첨가제는 아르기닌 및 글리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상기 첨가제는 히스티딘 및 글리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첨가제는 상술한 농도로 약제학적 제제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제제의 일 구체예는 (a) 100 mg/mL 내지 250 mg/mL의 항-FcRn 항체, (b) 50 내지 250 mM의 L-아르기닌 또는 이의 염산염, (c) 50 내지 250 mM의 L-히스티딘 및 (d) 0.01 내지 0.05%의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하는, pH 5.0 내지 6.0의 약제학적 제제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항-FcRn 항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수성 제제일 수 있으며, 주사형 액상 제제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약제학적 제제는 피하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가속 조건에서 매우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속 조건(25℃, 상대습도 60%)에서 6개월 테스트 결과 응집체 및 단편의 함유량이 약 1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에서 응집체 및 단편의 함유량은 약 9% 이하, 약 8% 이하, 약 7% 이하, 약 6% 이하, 약 5.5% 이하 또는 약 5.0% 이하 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장기 보존 조건에서도 매우 안정적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5℃, 36개월 조건에서 응집체 및 단편의 함유량이 약 1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에서 응집체 및 단편의 함유량은 약 9% 이하, 약 8% 이하, 약 7% 이하, 약 6% 이하, 약 5% 이하, 약 4% 이하, 약 3% 이하, 약 2% 이하, 약 1.8% 이하, 약 1.5% 이하 또는 약 1.2% 이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자가면역 질환은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MG), 갑상선눈병증(Thyroid Eye Disease, TED), 온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Warm Autoimmune Hemolytic Anemia, WAIHA), 시신경척수염(Neuromyelitis Optica, NMO),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ITP), 보통 천포창(Pemphigus Vulgaris, PV),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병증(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CIDP), 루프스 신염(Lupus Nephritis, LN), 및 막성신증(Membranous Nephropathy, MN)으로 이루어진 군으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HL161BKN에 최적화된 제형 스크리닝
HL161BKN을 각 조건별로 약 210 mg/mL 농도로 제조하여 40℃ 가속조건에서 4주간 보관하며, 농도(A280), 탁도(A340), 순도(SEC-HPLC, CEX-HPLC), 점도, 삼투압, 불용성미립자(MFI) 분석 등을 수행하여 시료의 안정성 및 피하투여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우선, 기존 항체 제품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부형제 11종을 대상으로 스크리닝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L-히스티딘, L-아르기닌 염산염, L-글리신, D-소르비톨, D-만니톨이 응집체 생성 감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선정된 부형제 5종의 조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 L-아르기닌 염산염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1)으로 응집체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응집체 및 단편화에 대한 효과값(effect value) 비교 결과를 종합하여, L-히스티딘, D-만니톨을 부형제로 선택하였다. 또한, 추가 부형제 스크리닝 결과, 응집 생성 감소 효과를 나타낸 L-메티오닌을 추가로 선정하였다. 또한, 히스티딘을 기본 버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품의 보관 및 이송 중 발생할 수 있는 교반 스트레스에 의한 응집체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고순도의 0.02% 폴리소르베이트 20을 선택하였다.
다음으로 선정된 히스티딘 기본 버퍼와 L-아르기닌 염산염, D-만니톨, L-메티오닌 부형제의 1차 농도 스크리닝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PBS20 농도를 0.02%로 고정하고 수행하였다. 그 결과, 부형제 없이 50 mM 히스티딘 기본 버퍼 조건에서의 높은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부형제 조건에 따른 응집체 및 단편 증가량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L-아르기닌 염산염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응집체 생성이 감소되었다.
반면 D-만니톨 유무 및 L-메티오닌 농도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HL161BKN 제형으로 L-히스티딘 기본 버퍼에 L-아르기닌 염산염, 0.02% PSB20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L-히스티딘 및 L-아르기닌 염산염의 최적 농도를 선정하기 위해 HL161BKN 2배치를 가지고, 2차 농도 스크리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부형제 농도 조건에 따른 응집체 및 단편 증가량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모든 조건에서의 점도 및 삼투압 측정값이 피하투여에 적합한 20 cP 이하, 250 ~ 500 mOsmol/kg로 확인되었다.
또한 각 조건 시료에 대하여 미세 유체 이미징(Micro flow imaging, MFI)을 이용한 불용성 미립자 분석을 수행한 결과, 불용성 미립자(sub-visible particles) 수 증가가 가장 적었던 조건을 확인하였으며, 순도(aggregates 및 fragments), 점도, 삼투압 시험을 통한 안정성 및 피하주사(SC) 투여 적합도를 평가하여 최종 제형을 선정하였다.
결론적으로, HL161BKN의 비임상 및 임상 1상 시험을 위한 제형을 약 100 mM L-히스티딘, 약 100 mM L-아르기닌 염산염, 약 0.02% 폴리소르베이트 20(pH 6.0)으로 선정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I. HL161BKN의 제조
제조예 1. HL161 항체를 제조하기 위한 유전자 컨스트럭트 및 벡터 준비
HL161BKN을 제조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중쇄를 코딩하는 서열번호 3의 핵산 서열을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pCHO 1.0 벡터(Life Technologies)에 적재하였다. 또한,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경쇄를 코딩하는 서열번호 4의 핵산 서열을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pCHO 1.0 벡터에 적재하였다.
제조예 2. HL161BKN 세포주 제작 및 생산
제조예 1에서 제작한 발현 벡터를 이용하여 CHO-S 세포에 형질전환하고 methotrexate와 puromycin의 선별 과정을 거친 후, 최종 생산 세포주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세포주는 cell bank로 제작하여 보관함으로서 HL161BKN 생산에 이용하였다. 항체 생산은 배양 배지(Dynamis medium + 8 mM L-glutamine)가 들어 있는 바이오리액터에서 2일 간격으로 첨가 배지(EFB+)를 첨가함으로써 약 15일동안 배양한 후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그 후, Protein A 컬럼을 수행하고, low pH에서 viral inactivation 시킨 후,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AEX) 및 Cation exchange chromatography(CEX)를 수행하였다. 그 후, 농축 및 buffer 교환(Ultrafiltration/Diafiltration) 후, 제균 여과하는 단계로 정제하였다. SEC-HPLC, CE-SDS, cIEF, ELISA, Potency, Concentration 등의 분석을 통해 생산한 항체 시료의 품질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3. HL161BKN의 기본 특성 분석
HL161BKN의 열 안정성과 pH에 따른 가속 조건에서의 안정성 시험, 용해도 시험을 진행하였다. 열 안정성은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로 Tm 값을 분석하였으며, pH 별 가속조건 실험은 37℃에서 1개월간 보관하면서 응집체 및 단편 생성 정도를 모니터링 하였다.
Tm 값 분석을 위한 DSC는 오송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장비를 이용하였다. 25℃ ~ 100℃ 범위에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과 같이 확인되었다. IgG1 type의 전형적인 DSC histogram을 나타냈으며, CH 도메인과 Fv 도메인에 따른 커브를 확인할 수 있었다. HL161BKN은 79.9℃의 높은 Tm을 나타내 열역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pH 5.0, 6.0, 7.0, 및 8.0의 시트르산 나트륨-포스페이트 버퍼를 이용하여, HL161BKN 농도를 10 mg/mL로 제조하였다. 그 후, 37℃에 4주 보관하면서 SEC-HPLC를 이용한 응집체(aggregates) 또는 단편(fragments) 생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pH가 높을수록 응집체 또는 단편 발생이 증가하였다(도 2).
이 결과를 토대로 낮은 pH인 5.0과 6.0의 저농도 또는 고농도의 버퍼들을 이용하여 HL161BKN을 100 mg/mL로 제조 후, 40℃ 가속 조건에서 4주간 보관하며 안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HL161BKN은 낮은 pH 조건인 pH 5.0 ~ 6.0에서 안정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모든 조건에서 전체적으로 단량체(monomer)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또한, HL161BKN의 용해도를 확인하고자 10 ~ 300 mg/mL 농도까지 6단계로 농축하면서, 단계별로 시료를 채취하여 육안 관찰, A280 nm(농도), A340 nm(탁도, turbidity), SEC-HPLC 순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HL161BKN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탁도가 점차 증가되나, 268 mg/mL 농도까지 단량체 순도 변화는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II. HL161BKN에 최적화된 제형 선별
준비예 1. HL161BKN에 최적화된 제형 스크리닝
본 실험목적은 HL161BKN의 고농도 피하투여 제품 개발을 위한 원액(drug substance) 및 제품(drug product)의 제형을 선정하기 위함이다. 본 실험에는 HL161BKN-B005, HL161BKN-B018, HL161BKN-B021 3개의 생산 배치를 이용하였으며 사용한 시약 및 기구는 하기와 같다(표 3).
Figure pat00003
본 제형 테스트를 위해 사용한 기기는 다음과 같다(표 4).
Figure pat00004
준비예 2. 시험 방법
HL161BKN의 제형 선정 시험은 크게 부형제 스크리닝과 부형제 농도 스크리닝 시험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부형제 스크리닝
실시예 1.1. 부형제 테스트
현재 시판중인 항체 제품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11종의 부형제로 수크로오스(Sucrose), D-트레할로스(D-Trehalose), D-만니톨(D-Mannitol), D-소르비톨(D-Sorbitol), L-아르기닌 염산염(L-Arginine HCl), L-히스티딘 염산염(L-Histidine HCl), L-히스티딘(L-Histidine), L-글리신(L-Glycine),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 20), 폴리소르베이트80(Polysorbate 80), 염화나트륨(NaCl)을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5 mM 시트르산 나트륨(sodium citrate)(pH 6.0)을 기본 버퍼로 하여 12가지 buffer 조건에서 excipients test를 수행하였다(표 5).
HL161BKN을 Amicon®(Cut off MW. 30,000)을 이용하여 1 mL 이하로 농축 후, 해당 buffer 조건으로 버퍼교환 하여 최종 농도가 210 mg/mL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각 조건별 시료는 0.3 ~ 0.5 mL씩 제조하였으며, 1.5 mL 마이크로원심분리기 튜브에 담아 40℃, 4주간 보관하였다. 0, 2, 4주차에 시료를 샘플링하여 농도(A280), 탁도(A340), 순도(SEC-HPLC, CEX-HPLC)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5
실시예 1.2. 부형제 조합 테스트
실시예 1.1에서 선정된 5종의 부형제(L-히스티딘, L-아르기닌 염산염, L-글리신, D-소르비톨, D-만니톨)를 조합할 경우 시너지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DOE(design of experiments) software(Stat-ease Design-Expert®, version 7.0)를 사용하여 2 level factorial(2n-1) design으로 17가지 조건 시험을 계획하였다(표 6). 구체적으로, 5 mM 시트르산 나트륨(pH 6.0) 기본 버퍼 조건과 11가지 부형제 조합 조건의 총 12가지 조건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5가지 excipient 단독 조건 시험은 실시예 1.1의 시험 결과를 사용하였다.
시험 방법은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추가로 각 조건별 버퍼 및 시료에 대한 삼투압을 측정하였고, 상기 DOE Software를 사용하여 ANOVA 분석 및 효과값(effects value)를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6
실시예 1.3. 추가 부형제 테스트
HL161BKN 제형 시험에 대한 부형제 추가 분석을 진행하였다.
공유 결합 응집(Covalent aggregates) 감소 효과가 알려진 L-메티오닌의 추가 시험과 주사(injection)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시트르산 나트륨(pH 6.0) 기본 버퍼를 히스티딘(pH 6.0)으로 변경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peroxide가 많이 함유된 저품질의 PSB20(Polysorbate 20) 사용 시 산화에 의해 항체 안정성이 감소하므로, 제형용 고품질의 PSB20으로 변경하였다. 그 후, 상기 제형을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0.02% 농도에서 교반 스트레스(agitation stress)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고농도 항체 제품의 점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부형제를 스크리닝하였다.
실시예 1.3.1. L-메티오닌 및 히스티딘 기본 버퍼(Histidine basal buffer) 테스트
L-메티오닌 효과와 기본 버퍼인 5 mM 시트르산 나트륨(pH 6.0)을 히스티딘(pH 6.0)으로 변경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표 7의 6가지 조건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히스티딘 기본 버퍼의 경우, L-히스티딘과 L-히스티딘 염산염을 혼합하여 pH 6.0이 되도록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시험 방법은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Figure pat00007
실시예 1.3.2. 폴리소르베이트 20(PSB20) 테스트
교반 스트레스(Agitation stress)에 대한 PSB20의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표 8의 4가지 조건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제조된 시료를 1.5 mL 마이크로원심분리기 튜브에 0.5 mL씩 담고 MyLab intelli mixer에 장착하여 실온에서 1주일 동안 10 rpm으로 회전시킨 후, 농도, 탁도, 순도(SEC-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Figure pat00008
실시예 1.3.3. 점도 감소를 위한 부형제 스크리닝
HL161BKN 고농도 제품을 피하투여 경로로 개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점도를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는 8종의 부형제를 테스트하였다. 50 mM 히스티딘(pH 6.0)을 기본 버퍼로 하여 총 9가지 부형제 스크리닝 시험을 수행하였다(표 9).
시료를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조건별 1 mL씩 제조하여 25℃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4주 가속 안정성시험을 수행하면서 각 조건 별 농도(A280), 순도(SEC-HPLC) 변화를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9
실시예 1.4. 부형제 농도 스크리닝
실시예 1.4.1. 1차 부형제 농도 스크리닝
실시예 1.1, 1.2 및 1.3을 통해서 선정된 50 mM 히스티딘(pH 6.0) 기본 버퍼와 부형제 4종(L-메티오닌, L-아르기닌 염산염, D-만니톨, PSB20) 중 3종(L-메티오닌, L-아르기닌 염산염, D-만니톨)에 대하여 2 level factorial(2n) design의 DOE 시험을 계획하여 총 9가지 조건으로 부형제 농도 스크리닝을 수행하였다(표 10).
실험은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농도(A280), 탁도(A340), 순도(SEC-HPLC, CEX-HPLC), 점도, 삼투압 변화를 분석하였다.
Figure pat00010
실시예 1.4.2. 2차 부형제 농도 스크리닝
최종 선정된 히스티딘 기본 버퍼와 부형제 2종(L-아르기닌 염산염, PSB20) 중, L-아르기닌 염산염의 최적 농도 탐색을 위하여 4가지 조건에서 4주 40℃ 가속 안정성 시험을 HL161BKN B018 및 B021의 2배치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표 11). 시험은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농도(A280), 탁도(A340), 순도(SEC-HPLC, CEX-HPLC), 점도, 삼투압, 불용성 미립자(Micro flow imaging; MFI)를 분석하였다.
Figure pat00011
실시예 2. 부형제 스크리닝 시험결과
실시예 2.1. 부형제 테스트 수행 결과
부형제 스크리닝을 위해 선정된 11종 부형제의 HL161BKN 시료 안정성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40℃ 가속조건의 0, 2, 4주차에 농도, 탁도, 순도, 응집체(aggregates), 단편(fragments) 및 전하 변이체(charge variants)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응집체 및 단편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좋은 5 종(L-아르기닌 염산염, L-히스티딘, D-만니톨, L-글리신, D-소르비톨)의 부형제를 선정하였다.
실시예 2.1.1. 농도(A280) 및 탁도(A340) 분석 결과
HL161BKN 농도가 4주 동안 증가하였으며(표 12), 이는 40℃ 가속조건에서 버퍼 증발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Figure pat00012
반면, 대부분의 조건에서 탁도는 증가하지 않거나, 0.020 이하의 변화량을 보였다. 단, PSB20 조건에서 육안으로 뿌옇게 변한 것이 관찰되었으며 탁도(A340) 역시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13).
Figure pat00013
실시예 2.1.2. 응집체 및 단편 분석 결과
SEC-HPLC를 이용하여 각 부형제 조건 별 응집체 및 단편 증가량을 비교 평가하였다(표 14). 기본 버퍼 조건과 비교하여 L-아르기닌 염산염, L-히스티딘, L-히스티딘 염산염, D-만니톨, L-글리신, D-소르비톨은 응집체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0.2% PSB20, 0.2% PSB80, NaCl은 오히려 응집체 생성을 증가시켰다. 그리고, 단편 생성을 억제하는 부형제는 L-히스티딘, L-히스티딘 염산염, L-아르기닌 염산염, L-글리신이었으며, NaCl은 단편 생성을 증가시켰다(표 14 및 도 4).
Figure pat00014
실시예 2.1.3. 전하 변이체 분석 결과
CEX-HPLC를 이용하여 각 부형제 조건에 따른 HL161BKN의 전하 변이체(charge variants)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뚜렷한 전하 변이체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다만, PSB20과 NaCl 조건에서 주요 피크(main peak)가 많이 감소하였다(도 5). 이는 응집체 증가로 인한 결과로 예상되었다.
실시예 2.2. 부형제 조합 테스트 결과
실시예 1.1의 부형제 테스트에서 선정된 5종의 부형제 조합에 의한 HL161BKN 시료 안정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40℃, 4주 가속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응집체 및 단편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L-아르기닌 염산염, L-히스티딘, 및 D-만니톨을 선정하였다.
부형제 스크리닝 시험을 통해 선정된 부형제에 대하여 조합(combination)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design of experiments(DOE) software를 사용하여 조건시험을 계획하였다. 기본 buffer 조건과 11가지 excipients combination조건의 총 12가지 조건 시험을 수행하였다. 5가지 excipients 단독 조건 시험은 실시예 1.1의 시험 결과를 사용하였다(표 15).
응집체 변화량 비교 결과를 ANOVA로 분석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1)으로 aggregates 생성을 감소시키는 부형제를 찾았다. 그러나 단편 생성을 통계적 유의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부형제는 없었다.
반면, HL161BKN의 경우 부형제 조합에 따라 응집체 생성 양상이 달랐으나, 부형제 조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는 없었다. ANOVA 분석 및 effect value 비교 순위를 참고하여 부형제 종류를 선정하였다.
Figure pat00015
실시예 2.2.1. 농도(A280) 및 탁도(A340) 분석 결과
HL161BKN 농도가 4주 동안 증가하였으며, 이는 40℃ 가속조건에서 버퍼 증발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표 16). 반면 탁도는 증가하지 않거나 0.054 이하로 미미한 증가를 보였다(표 17).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실시예 2.2.2. 응집체 및 단편 분석 결과
SEC-HPLC를 이용하여 각 부형제 조합 조건 별 응집체 및 단편 증가량을 비교 평가하였다(표 18 및 도 7). 또한, 실시예 1.1의 부형제 단독 조건시험을 포함하여 총 17가지 조건에 대한 SEC-HPLC 데이터를 ANOVA 분석하였다. 그 결과, L-아르기닌 염산염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1)으로 응집체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도 6), 단편 생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까지 감소시키는 부형제는 없었다.
또한, 응집 및 단편화에 대한 effect value를 비교한 결과, L-히스티딘, D-만니톨, D-소르비톨을 부형제로 사용하였을 경우, HL161BKN의 응집체 및 단편 생성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부형제간의 시너지 효과는 없었다. D-만니톨과 D-소르비톨은 이성질체로써 둘 중 사용 빈도가 높은 D-만니톨을 선택하였다(도 8).
Figure pat00018
* A: 50 mM L-아르기닌 염산염, H: 50 mM L-히스티딘, G: 100 mM L-글리신, M: 200 mM D-만니톨, S: 250 mM D-소르비톨
실시예 2.2.3. 전하 변이체 분석 결과
CEX-HPLC를 이용하여 부형제 조합 조건에 따른 HL161BKN의 전하 변이체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뚜렷한 전하 변이체(basic 및 acidic variants)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도 9).
실시예 2.2.4. 점도 및 삼투압 분석 결과
각 부형제 조합 조건별 점도를 측정한 결과, L-아르기닌 염산염 첨가 시 점도가 감소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삼투압은 첨가된 부형제의 개수와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구체적으로, 50 mM L-아르기닌 염산염, 50 mM L-히스티딘, 100 mM L-글리신 첨가 시에 각각 약 100 mOsmol/kg, 200 mM D-만니톨 첨가 시에 약 200 mOsmol/kg, 250 mM D-소르비톨 첨가 시에 약 250 mOsmol/kg의 삼투압이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19).
일반적으로 피하 주사제들의 삼투압은 체내 삼투압(약 290 mOsmol/kg)과 유사하며 약 250 ~ 500 mOsmol/kg 범위로 조절된다(PCT/EP2009/066675). 따라서 HL161BKN 농도를 감안하여 제형 버퍼의 삼투압은 약 220 ~ 450 mOsmol/kg 범위로 조절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삼투압 범위를 고려하여 추후 부형제 농도 스크리닝 시험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Figure pat00019
* A: 50 mM L-아르기닌 염산염, H: 50 mM L-히스티딘, G: 100 mM L-글리신, M: 200 mM D-만니톨, S: 250 mM D-소르비톨
실시예 2.3. 추가 부형제 테스트 수행 결과
추가 부형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50 mM 히스티딘(pH 6.0)을 기본 버퍼로 사용하며, 응집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L-메티오닌과 교반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응집체 생성을 억제하는 0.02% PSB20을 추가 부형제로 선택하였다.
실시예 2.3.1. L-메티오닌 및 히스티딘 기본 버퍼 테스트 수행 결과
1) 농도(A280) 및 탁도(A340) 분석 결과
HL161BKN 농도가 4주 동안 증가하였으며, 이는 40℃ 가속조건에서 버퍼 증발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표 20). 탁도는 증가되지 않거나 0.1 이하로 미미한 증가를 보였다(표 21).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2) 응집체 및 단편 분석 결과
기본 버퍼 조건과 비교하여 L-메티오닌이 응집체 생성을 억제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0.02% PSB20에 의한 응집체 생성 증가는 없었다. 또한 L-히스티딘을 부형제로 첨가한 조건과 기본 버퍼로 사용한 조건의 결과는 유사하였으며, 10 mM 히스티딘보다 50 mM 히스티딘 조건에서 응집체 생성이 감소하였다(표 22 및 도 10).
Figure pat00022
3) 전하 변이체 분석 결과
CEX-HPLC 분석 결과, 뚜렷한 전하 변이체(basic 및 acidic variants)의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도 11).
실시예 2.3.2. 폴리소르베이트 20 테스트 수행 결과
1) 농도(A280) 및 탁도(A340) 분석 결과
실온에서의 교반 시험 결과, 농도 변화는 거의 없었다. PSB20 없이 교반한 시료는 육안상 하얗게 변하여 탁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도 12). 반면, PSB20이 있는 시료는 교반조건시에 육안상 약간 뿌옇게 변하였으며, 탁도가 0.227 정도 증가하였다(표 23).
이를 통해 고농도 HL161BKN의 교반에 의한 스트레스를 PSB20이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23
2) 응집체 및 단편 분석 결과
교반 스트레스에 의해 응집체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PSB20에 의한 응집체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교반 스트레스에 의한 단편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표 24 및 도 13).
Figure pat00024
실시예 2.3.3. 점도 감소를 위한 부형제 스크리닝 수행 결과
1) 농도(A280) 및 점도 분석 결과
HL161BKN 농도가 4주 동안 증가하였으며(표 25), 이는 40℃ 가속조건에서 buffer 증발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L-히스티딘 염산염, L-아르기닌 염산염, L-글리신 첨가 시, 조건 1 대비 점도가 감소되었으나 그 효과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반면, L-라이신 염산염, NaCl, Na2SO4, NH4Cl의 경우는 오히려 점도가 크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표 26).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2) 응집체 및 단편 분석 결과
SEC-HPLC 분석을 통해 응집체 및 단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건 1 대비 L-히스티딘 염산염, L-아르기닌 염산염을 첨가했을 때 응집체가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였으며, 단편 생성을 감소시키는 부형제는 없었다(표 27 및 도 14).
Figure pat00027
실시예 2.4. 부형제 농도 스크리닝 수행 결과
실시예 2.4.1. 1차 부형제 농도 스크리닝 수행 결과
상기 실시예 1.3에서 선정된 히스티딘 기본 버퍼(pH 6.0)와 0.02% PSB20에서의 부형제 3종(L-메티오닌, L-아르기닌 염산염, D-만니톨)의 농도를 스크리닝하고자 총 9가지 조건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표 28). 그 결과, 히스티딘 기본 버퍼에 L-아르기닌 염산염과 PSB20을 부형제로 선정하였다.
Figure pat00028
1) 농도(A280) 및 탁도(A340) 분석 결과
HL161BKN 농도가 4주간 약 15% 내외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40℃ 가속조건에서 버퍼 증발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표 29). 각 조건에서의 탁도는 평균 0.048 정도의 미미한 증가만을 나타내었다(표 30).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2) 응집체 및 단편 분석 결과
SEC-HPLC 분석 결과, 각 부형제 농도 조건에 따른 응집체 및 단편 증가량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50 mM 히스티딘의 기본 버퍼 조건(조건 1)에서의 안정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50 mM 보다 100 mM L-아르기닌 염산염 첨가시 응집체 생성이 감소되었다. 그리고, L-메티오닌의 농도 및 D-만니톨 첨가 유무에 따른 응집체 및 단편 증가량은 기본 버퍼 조건과 거의 차이가 없거나 약간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31 및 도 15).
Figure pat00031
3) 전하 변이체 분석 결과
CEX-HPLC 분석 결과, 각 부형제 조건에 따른 뚜렷한 전하 변이체(charge variants)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도 16).
4) 점도 및 삼투압 분석 결과
각 부형제 농도 조건에 따른 점도와 삼투압 측정 결과, 50 mM 보다 100 mM 농도의 L-아르기닌 염산염 첨가 조건에서 점도 감소효과가 큰 것을 확인하였으며, 112 ~ 588 mOsmol/kg로 대부분 삼투압 기준을 만족하였다(표 32).
Figure pat00032
실시예 2.4.2. 2차 부형제 농도 스크리닝
실시예 1.4.1의 1차 부형제 농도 스크리닝에서 선정된 히스티딘 기본 버퍼와 2 종의 부형제 중, L-아르기닌 염산염의 최적 농도 선정을 위해 4가지 조건에서 HL161BKN 2 배치 시료(HL161BKN B018, HL161BKN B021)로 농도, 탁도, 순도(aggregates 및 fragments), 점도, 삼투압 시험을 통한 안정성 및 피하주사(SC) 투여 적합도를 평가한 결과, 100 mM L-히스티딘, 100 mM L-아르기닌 염산염, 0.02% PSB20, pH 6.0을 HL161BKN의 최종 제형으로 결정하였다(표 33).
Figure pat00033
1) 농도(A280) 및 탁도(A340) 분석
HL161BKN 농도가 4주간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이는 1.5 mL 마이크로원심분리기를 파라필름(parafilm)으로 밀봉한 후, 항온항습기에 보관함으로써 버퍼의 증발을 방지한 효과로 예상되었다(표 34). 그리고, 탁도는 모든 조건에서 0.102 이하로 미미한 증가를 보였다(표 35).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2) 응집체 및 단편 분석
SEC-HPLC 분석을 통하여, 각 부형제 조건에 따른 응집체 및 단편 증가량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조건 3(100 mM L-Histidine, 100 mM L-Arginine HCl, 0.02% PSB20, pH 6.0)과 조건 4(50 mM L-Histidine, 100 mM L-Arginine HCl, 0.02% PSB20, pH 6.0)에서의 응집체 생성이 가장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36 및 도 17).
Figure pat00036
3) 전하 변이체 분석
CEX-HPLC 분석 결과, 각 부형제 조건에 따른 뚜렷한 전하 변이체(basic 및 acidic variants)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도 18).
4) 점도 및 삼투압 분석
각 부형제 농도 조건에 따른 점도 및 삼투압 측정 결과, 점도는 11 ~ 16 cP로 피하투여 제품의 점도 한계인 20 cp 이하로 조절이 되었으며, 삼투압은 350 ~ 465 mOsmol/kg으로 기준인 250 ~ 500 mOsmol/kg에 적합하였다(표 37).
Figure pat00037
5) 불용성 미립자 분석
HL161BKN의 각 부형제 조건 시료에 대하여 미세 유체 이미징(Micro flow imaging, MFI)을 이용한 불용성 미립자 분석을 오송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 지원센터에서 진행하였다.
각 조건의 시료를 10 mg/mL로 희석하여 5 ㎛ ~ 100 ㎛ 범위의 미립자(sub-visible particles) 수 증가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조건 3에서 미립자 수 증가가 가장 적었다(표 38 및 도 19).
Figure pat00038
실시예 3. 안정성 시험
HL161BKN에 대해 최종 선정된 제제 조건에서 36개월 장기보존 및 가속 안정성 시험을 Catalent(USA)사에서 수행하였다.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완제의약품(Drug product, DP)는 Borosilicate glass vial과 테플론(teflon)이 코팅된 고무 마개(rubber stopper)를 사용하여 보관하였다. 선정된 제제 조건으로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 36개월 동안 DP의 안정성이 확인되어 주사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보하였다(표 39 및 표 40).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실시예 4. 최종 개발 후보 항체 제형 선정
HL161BKN은 상기 제형에서 고농도에서 매우 안정한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피하 투여 주사제 형태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주사제를 개발하는 경우 투여 부위의 통증 및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피하 투여가 가능한 점도는 20 cP 이하가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HL161BKN을 9단계 농도 조건으로 농축하여 5℃, 25℃ 조건에서 viscosity를 측정하였다. 170 mg/mL의 고농도 HL161BKN 시료의 점도를 확인한 결과, 25℃에서 10 cP로 확인되어 피하 투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도 20).
HL161BKN은 상기 제형 연구에서 200 mg/mL 이상의 고농도에서도 매우 안정한 성질을 가짐이 확인되었다. 이로서 향후 자가 투여가 가능한 SC 주사제 제품 형태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타사 경쟁 제품들이 모두 infusion 형태의 제품인 것을 감안할 때 환자 편의성 증대라는 차별화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형에서 고농도의 HL161BKN가 안정함을 확인하였으므로, 저농도의 HL161BKN도 상기 제형에서 안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다양한 농도의 HL161BKN에 상기 제형은 적용될 수 있다.
<110> Hanall Biopharma Co., Ltd. <120> FORMULATION FOR ANTI-FcRn ANTIBODY <130> SPD21-023-HAB <150> KR 10-2020-0079135 <151> 2020-06-29 <160> 1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45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L161_Heavy chain <400> 1 Gln Leu Leu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Gly Ser Leu Ser Ser Ser 20 25 30 Phe Ser Tyr Trp Val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35 40 45 Trp Ile Gly Thr Ile Tyr Tyr Ser Gly Asn Thr Tyr Tyr Asn Pro Ser 50 55 60 Leu Lys Ser Arg Leu Thr Ile Ser Val Asp Thr Ser Lys Asn His Phe 65 70 75 80 Ser Leu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85 90 95 Cys Ala Arg Arg Ala Gly Ile Leu Thr Gly Tyr Leu Asp Ser Trp Gly 100 105 110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115 120 125 Val Phe Pro Leu Ala Pro Ser Ser Lys Ser Thr Ser Gly Gly Thr Ala 130 135 140 Ala Leu Gly Cys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145 150 155 160 Ser Trp Asn Ser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165 170 175 Val Leu Gln Ser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180 185 190 Pro Ser Ser Ser Leu Gly Thr Gln Thr Tyr Ile Cys Asn Val Asn His 195 200 205 Lys Pro Ser Asn Thr Lys Val Asp Lys Arg Val Glu Pro Lys Ser Cys 210 215 220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Ala Ala Gly 225 230 235 240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245 250 255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260 265 270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275 280 285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Tyr Asn Ser Thr Tyr 290 295 300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305 310 315 320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Lys Ala Leu Pro Ala Pro Ile 325 330 335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340 345 350 Tyr Thr Leu Pro Pro Ser Arg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355 360 365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370 375 380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385 390 395 400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405 410 415 Asp Lys Ser Arg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420 425 430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435 440 445 Pro Gly 450 <210> 2 <211> 2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L161_Light chain <400> 2 Ser Tyr Val Leu Thr Gln Ser Pro Ser Val Ser Val Ala Pro Gly Gln 1 5 10 15 Thr Ala Arg Ile Thr Cys Gly Gly Asn Asn Ile Gly Ser Lys Ser Val 20 25 30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Ala Pro Val Leu Val Val Tyr 35 40 45 Asp Asp Ser Asp Arg Pro Ser Gly Ile Pro Glu Arg Phe Ser Ala Ser 50 55 60 Asn Ser Gly Asn Thr Ala Thr Leu Thr Ile Ser Arg Val Glu Ala Gly 65 70 75 80 Asp Glu Ala Asp Tyr Tyr Cys Gln Val Trp Asp Ser Ser Ser Asp His 85 90 95 Val Val Phe Gly Gly Gly Thr Lys Leu Thr Val Leu Gly Gln Pro Lys 100 105 110 Ala Ala Pro Ser Val Thr Leu Phe Pro Pro Ser Ser Glu Glu Leu Gln 115 120 125 Ala Asn Lys Ala Thr Leu Val Cys Leu Ile Ser Asp Phe Tyr Pro Gly 130 135 140 Ala Val Thr Val Ala Trp Lys Ala Asp Ser Ser Pro Val Lys Ala Gly 145 150 155 160 Val Glu Thr Thr Thr Pro Ser Lys Gln Ser Asn Asn Lys Tyr Ala Ala 165 170 175 Ser Ser Tyr Leu Ser Leu Thr Pro Glu Gln Trp Lys Ser His Arg Ser 180 185 190 Tyr Ser Cys Gln Val Thr His Glu Gly Ser Thr Val Glu Lys Thr Val 195 200 205 Ala Pro Thr Glu Cys Ser 210 <210> 3 <211> 135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olynucleotides coding HL161 heavy chain <400> 3 cagctgctgc tgcaagaatc cggccctggc ctggtgaaac cctccgagac actgtccctg 60 acctgcaccg tgtccggcgg ctccctgtcc tccagcttct cctactgggt ctggatccgg 120 cagccccctg gcaagggcct ggaatggatc ggcaccatct actactccgg caacacctac 180 tacaacccca gcctgaagtc ccggctgacc atctccgtgg acacctccaa gaaccacttc 240 agcctgaagc tgtcctccgt gaccgccgct gacaccgccg tgtactactg tgccagaagg 300 gccggcatcc tgaccggcta cctggactct tggggccagg gcaccctggt gacagtgtcc 360 tccgcctcca ccaagggccc ctccgtgttc cctctggccc cctccagcaa gtccacctct 420 ggcggcaccg ctgccctggg ctgtctggtg aaagactact tccccgagcc cgtgaccgtg 480 tcctggaact ctggcgccct gacctccggc gtgcacacct tccctgccgt gctgcagtcc 540 tccggcctgt actccctgtc cagcgtggtg accgtgccct ccagctctct gggcacccag 600 acctacatct gcaacgtgaa ccacaagccc tccaacacca aggtggacaa gcgggtggaa 660 cccaagtcct gcgacaagac ccacacctgt cccccctgtc ctgcccctga agctgctggc 720 ggccctagcg tgttcctgtt ccccccaaag cccaaggaca ccctgatgat ctcccggacc 780 cccgaagtga cctgcgtggt ggtggacgtg tcccacgagg accctgaagt gaagttcaat 840 tggtacgtgg acggcgtgga agtgcacaac gccaagacca agcccagaga ggaacagtac 900 aactccacct accgggtggt gtccgtgctg accgtgctgc accaggactg gctgaacggc 960 aaagagtaca agtgcaaggt ctccaacaag gccctgcctg cccccatcga aaagaccatc 1020 tccaaggcca agggccagcc ccgcgagccc caggtgtaca cactgccccc tagccgggaa 1080 gagatgacca agaaccaggt gtccctgaca tgcctggtga agggcttcta cccctccgac 1140 attgccgtgg aatgggagtc caacggccag cccgagaaca actacaagac caccccccct 1200 gtgctggact ccgacggctc attcttcctg tactccaagc tgaccgtgga caagtcccgg 1260 tggcagcagg gcaacgtgtt ctcctgctcc gtgatgcacg aggccctgca caaccactac 1320 acccagaagt ccctgtccct gagccccggc 1350 <210> 4 <211> 64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olynucleotides coding HL161 light chain <400> 4 tcttacgtgc tgacccagtc cccctccgtg tccgtggctc ctggccagac cgccagaatc 60 acctgtggcg gcaacaacat cggctccaag tccgtgcact ggtatcagca gaagcccggc 120 caggcccccg tgctggtggt gtacgacgac tccgaccggc cctctggcat ccctgagcgg 180 ttctccgcct ccaactccgg caacaccgcc accctgacca tctccagagt ggaagccggc 240 gacgaggccg actactactg ccaagtgtgg gactcctcct ccgaccacgt ggtgttcggc 300 ggaggcacca agctgaccgt gctgggccag cctaaggccg ctccctccgt gaccctgttc 360 cccccatcct ccgaggaact gcaggccaac aaggccaccc tggtctgcct gatctccgac 420 ttctaccctg gcgccgtgac cgtggcctgg aaggccgaca gctctcctgt gaaggccggc 480 gtggaaacca ccaccccctc caagcagtcc aacaacaaat acgccgcctc ctcctacctg 540 tccctgaccc ccgagcagtg gaagtcccac cggtcctaca gctgccaagt gacacacgag 600 ggctccaccg tggaaaagac cgtggcccct accgagtgct cc 642 <210> 5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L161_Hv CDR1 <400> 5 Phe Ser Tyr Trp Val 1 5 <210> 6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L161_Hv CDR2 <400> 6 Thr Ile Tyr Tyr Ser Gly Asn Thr Tyr Tyr Asn Pro Ser Leu Lys Ser 1 5 10 15 <210> 7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L161_Hv CDR3 <400> 7 Arg Ala Gly Ile Leu Thr Gly Tyr Leu Asp Ser 1 5 10 <210> 8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L161_Lv CDR1 <400> 8 Gly Gly Asn Asn Ile Gly Ser Lys Ser Val His 1 5 10 <210> 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L161_Lv CDR2 <400> 9 Asp Asp Ser Asp Arg Pro Ser 1 5 <210> 10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L161_Lv CDR3 <400> 10 Gln Val Trp Asp Ser Ser Ser Asp His Val Val 1 5 10

Claims (17)

  1. (a) 항-FcRn 항체 또는 이의 단편,
    (b) 만니톨, 솔비톨, 아르기닌, 히스티딘, 글리신 및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
    (c) 시트레이트 또는 히스티딘으로부터 선택된 완충 시스템, 및
    (d) 계면활성제
    를 포함하는 pH 4.0 내지 8.0의 약제학적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아르기닌 또는 이의 염이고,
    상기 완충 시스템이 히스티딘인, 약제학적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인 것인, 약제학적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메티오닌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주사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20 cP 이하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250 mOs/kg 내지 500 mOs/kg의 삼투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FcRn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의 농도가 50 mg/mL 내지 250 mg/mL인 것인, 약제학적 제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항-FcRn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의 농도가 80 mg/mL 내지 250 mg/mL인 것인, 약제학적 제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의 pH는 4.0 내지 7.0인 것인, 약제학적 제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FcRn 항체는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H-CDR1,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H-CDR2, 및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H-CDR3을 포함하는 중쇄가변영역을 포함하며;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L-CDR1,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L-CDR2, 및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을 가지는 L-CDR3을 포함하는 경쇄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제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피하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a) 50 mg/mL 내지 250 mg/mL의 항-FcRn 항체,
    (b) 50 내지 250 mM의 L-아르기닌 또는 이의 염산염,
    (c) 50 내지 250 mM의 L-히스티딘 버퍼 및
    (d) 0.01 내지 0.05%의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하며,
    pH 4.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제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가속 조건 하(25℃ 상대습도 60%) 6개월 보관 시 HL161BKN의 응집체 및 단편의 양이 10% 이하인, 안정성이 증가된, 약제학적 제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장기보존 조건(5℃) 하 36개월 보관 시 HL161BKN의 응집체 및 단편의 양이 10% 이하인, 안정성이 증가된, 약제학적 제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장기보존 조건(5℃) 하 36개월 보관 시 HL161BKN의 응집체 및 단편의 양이 5.0% 이하인, 안정성이 증가된, 약제학적 제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중증 근무력증, 갑상선눈병증, 온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시신경척수염,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보통 천포창,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병증, 루프스 신염, 및 막성신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부터 선택된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를 위한 것인, 약제학적 제제.
KR1020210082808A 2020-06-29 2021-06-25 항-FcRn 항체에 대한 제형 KR202200014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135 2020-06-29
KR20200079135 2020-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482A true KR20220001482A (ko) 2022-01-05

Family

ID=79315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808A KR20220001482A (ko) 2020-06-29 2021-06-25 항-FcRn 항체에 대한 제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4173637A1 (ko)
JP (1) JP2023532326A (ko)
KR (1) KR20220001482A (ko)
CN (1) CN115776879A (ko)
AR (1) AR122766A1 (ko)
AU (1) AU2021299606A1 (ko)
BR (1) BR112022026780A2 (ko)
CA (1) CA3184423A1 (ko)
IL (1) IL299150A (ko)
MX (1) MX2023000009A (ko)
TW (1) TW202216196A (ko)
WO (1) WO20220051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5300A (zh) * 2017-12-19 2019-06-25 北京盈科瑞创新药物研究有限公司 一种福多司坦雾化吸入用溶液制剂及其制备方法
US11926669B2 (en) 2022-05-30 2024-03-12 Hanall Biopharma Co., Ltd. Anti-FcRn antibody or antigen binding fragment thereof with improved stabi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606A (ko) 2013-06-20 2014-12-30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FcRn 특이적 인간 항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자가면역 질환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O3000B1 (ar) * 2004-10-20 2016-09-05 Genentech Inc مركبات أجسام مضادة .
PE20091174A1 (es) * 2007-12-27 2009-08-03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Formulacion liquida con contenido de alta concentracion de anticuerpo
TW201817745A (zh) * 2011-09-30 2018-05-16 日商中外製藥股份有限公司 具有促進抗原清除之FcRn結合域的治療性抗原結合分子
GB201208370D0 (en) * 2012-05-14 2012-06-27 Ucb Pharma Sa Antibodies
EP3137504B1 (en) * 2014-04-30 2023-05-10 Hanall Biopharma Co., Ltd. Antibody binding to fcrn for treating autoimmune diseas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606A (ko) 2013-06-20 2014-12-30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FcRn 특이적 인간 항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자가면역 질환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26780A2 (pt) 2023-01-17
JP2023532326A (ja) 2023-07-27
MX2023000009A (es) 2023-04-03
CA3184423A1 (en) 2022-01-06
TW202216196A (zh) 2022-05-01
CN115776879A (zh) 2023-03-10
AR122766A1 (es) 2022-10-05
IL299150A (en) 2023-02-01
WO2022005113A1 (ko) 2022-01-06
AU2021299606A1 (en) 2023-02-23
EP4173637A1 (en)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9451B2 (en) Anti-BAFFR antibody therapeutic formulations
KR102397713B1 (ko) 안정한 액체 약제학적 제제
AU2020277135B2 (en) Highly concentrated low viscosity MASP-2 inhibitory antibody formulations, kits, and methods
US11654194B2 (en) PD-L1 antibody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20230043247A (ko) C5-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 및 c5-관련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
CN102892430A (zh) 抗神经生长因子(ngf)抗体组合物
KR20220001482A (ko) 항-FcRn 항체에 대한 제형
CN106822891A (zh) 具有降低的聚集的免疫球蛋白
JP2009534390A (ja) 生物医薬品製剤のための緩衝剤
CA3118415A1 (en) Tgf-.beta. receptor fusion prote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101653082B1 (ko) Il-17 항체 제제
JP2020515517A (ja) 安定した液体製剤
KR20200090829A (ko) 제제
KR20200034748A (ko) Sost 항체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용도
EP3848049A1 (en) Anti-tim3 antibody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CA3003647A1 (en) Anti-factor d antibody formulations
CA3235650A1 (en) Aqueous formulations of an anti-cd22 antibody and uses thereof
TW202323280A (zh) 包含抗-ox40單株抗體的藥物製劑
KR20220044286A (ko) 항 pd-1/her2 이중특이성 항체를 포함하는 제제,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CN112618482A (zh) 新型蛋白制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