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405U -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405U
KR20220001405U KR2020200004513U KR20200004513U KR20220001405U KR 20220001405 U KR20220001405 U KR 20220001405U KR 2020200004513 U KR2020200004513 U KR 2020200004513U KR 20200004513 U KR20200004513 U KR 20200004513U KR 20220001405 U KR20220001405 U KR 202200014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ehive
geomgi
coupled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984Y1 (ko
Inventor
조동환
Original Assignee
조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환 filed Critical 조동환
Priority to KR2020200004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984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4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9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상부벌통을 보다 쉽게 이동하고, 작업자의 손이 지탱되는 손잡이가 있어서 작업효율을 높이는 계상벌통의 내검기를 제시한다. 그 내검기는 계상벌통의 상부벌통이 세워지거나 이동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는 세로지지부 및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부벌통의 왕복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가이드부는 복수개의 가로대 및 복수개의 세로대를 포함하여 격자를 이루고, 슬라이딩부는 세로대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Internal inspector built up bee hive having sliding part}
본 고안은 계상벌통 내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벌통을 보다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에 관한 것이다.
양봉은 벌꿀과 그에 따른 산물인 밀랍, 화분, 로얄젤리 등을 생산하기 위해 꿀벌을 기르는 것이다. 최근에는 왕유, 화분하, 봉침독, 웅봉저의 생산을 비롯하여 종봉생산업, 여왕벌생산업, 임대양봉 또는 계획수정양봉에 이르기까지 분야가 다양해지고 있다. 양봉을 위한 벌통은 나무상자를 만들어 내부에 벌집이 형성되는 소비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벌들의 서식처를 제공한다. 이때, 벌통은 하나로만 이루어진 단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보다 많은 양의 꿀을 모으기 위하여 두개 이상의 벌통을 다층으로 적층하는 계상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계상벌통이라고 하고, 국내등록특허 제10-1925714호 등과 같이 다양하게 개량되고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91100호는 작은 노동력으로 적층된 벌통을 쉽게 분리하여 양봉을 위한 작업하는 계상 내검기를 제시하고 있다. 종래의 내검기는 가이드를 이용하여 계상벌통의 상부벌통을 이동시켜, 상부벌통 및 하부벌통을 동시에 작업할 수는 있다. 하지만, 가이드를 사용하여 쉽게 상부벌통을 이동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부벌통의 무게로 인하여 이동하는 데 많은 힘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을 지탱하는 손잡이가 없어서 작업효율이 떨어진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부벌통을 보다 쉽게 이동하고, 작업자의 손이 지탱되는 손잡이가 있어서 작업효율을 높이는 계상벌통의 내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는 계상벌통의 상부벌통이 세워지거나 이동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는 세로지지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벌통의 왕복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의 가로대 및 복수개의 세로대를 포함하여 격자를 이루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세로대에 결합된다.
본 고안의 내검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레일 및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을 따라 움직인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내검기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는 제1 내지 제3 가로대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지지부는 상기 제1 가로대의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세로지지부는 바닥면에 놓이는 받침대에 결합되고, 상기 세로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손잡이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가로대의 제1 가로대의 측면에 결합된 고정프레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에 삽입된 상기 제2 지지대는 고정레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대의 단부에는 밀봉커버가 삽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에 의하면, 슬라이딩부를 활용함으로써, 상부벌통을 가이드를 따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의 상부로 돌출된 지지대를 손잡이로 사용으로써, 작업자의 손을 지탱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내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슬라이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내검기를 활용하여 상부벌통을 세우고 이동시키는 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하였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내검기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내검기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슬라이딩부 및 손을 지탱하는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상부벌통을 보다 쉽게 이동하고, 작업자의 손이 지탱되는 부분이 있어서 작업효율을 높이는 계상벌통의 내검기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부 및 손을 지탱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내검기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고, 상기 슬라이딩부 및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내검기는 벌통의 내부상태를 확인하거나 채밀 등과 같은 작업을 위해서는 적층된 벌통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적층된 벌통이 분리되면, 분리된 벌통마다 내부상태를 확인하거나 채밀 등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내검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내검기(100)는 받침대(10), 세로지지부(20), 가이드부(30) 및 슬라이딩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받침대(10)는 내검기(100)를 지탱하며, 도면에서는, 받침대(10)는 막대 형태를 제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받침대(10)는 상기 벌통의 하중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강철 등과 같은 재질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부(40)는 상부벌통의 왕복운동(a)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세로지지부(20)는 높이(H)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H)는 바닥면으로부터 가이드부(30)의 상면까지를 지칭하며, 받침대(10) 및 제1 가로대(31)의 간격이다. 높이(H)를 조절하기 위하여, 받침대(10)와 결합되는 제1 지지대(21) 및 제1 가로대(31)와 결합되는 제2 지지대(25)를 포함한다. 제2 지지대(25)는 제1 지지대(21)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높이(H)가 조절된다. 즉, 제2 지지대(25)가 제1 지지대(21)의 내부로 깊게 삽입되면 높이(H)가 낮아지고, 제2 지지대(25)의 내부로 낮게 삽입되면 높이(H)가 높아진다. 높이(H)의 조절이 완료되면, 고정레버(22)를 돌려서 제2 지지대(25)를 고정한다.
제2 지지대(25)는 제1 가로대(31)에 고정되며, 가이드부(30)의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대(25)는 제1 가로대(31)에 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가이드부(30)의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2 지지대(25)는 제1 가로대(31)에 접합된 고정프레임(24)에 삽입되고, 고정레버(2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2 지지대(25)가 제1 가로대(31)에 접합되지 않고, 고정프레임(24)이 제1 가로대(31)에 접합된다. 고정레버(23)를 돌리면, 제2 지지대(25)는 고정프레임(24)에 고정된다. 고정프레임(24) 및 고정레버(23)는 제2 지지대(25)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2 지지대(25)가 가이드부(30)의 상부로 연장되면, 제2 지지대(25)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작업을 할 수 있다. 즉, 상부로 연장된 제2 지지대(25)는 작업자의 손을 지탱하는 손잡이가 된다. 손잡이 역할을 하는 제2 지지대(25)에 작업자가 손을 지탱하면, 내검기(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내검기(100)가 움직이지 않으면,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 지지대(25)의 단부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밀봉커버(26)가 삽입되어, 작업자의 손이 다치지 않고 힘을 충분하게 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대(25)는 상기 계상벌통이 가이드부(30)로부터 밀려나가서, 바닥면으로 낙하되지 않는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경우에 따라, 제2 지지대(25)가 가이드부(30)의 상부로 연장되지 않고, 종래와 같이 제1 가로대(31)의 하부에 접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제1 가로대(31), 제2 가로대(32), 제3 가로대(33) 및 복수개의 세로대(34)를 포함한다. 제1 가로대(31)는 세로지지부(20)와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세로지지부(20)는 제1 가로대(31)의 측면에 결합된다. 제2 가로대(32)는 제3 가로대(33)와 함께 복수개의 세로대(34)와 결합되어, 가이드부(30)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한다. 제3 가로대(33)는 제1 내지 제3 가로대(31, 32, 33)에서 세로지지대(20)에 대하여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제1 가로대(31)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된다. 복수개의 세로대(34)는 제1 내지 제3 가로대(31, 32, 33) 상에 결합되고, 각각의 세로대(34)는 이격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3 가로대(31, 32, 33)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한다. 즉, 제1 내지 제3 가로대(31, 32, 33) 및 세로대(34)는 격자 형태를 이룬다.
가이드부(30)의 단부는 계상벌통에 고정되는 고정핀(35)을 포함한다. 고정핀(35)은 내검기(100)가 계상벌통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된다. 고정핀(35)은 내검기(100)를 상기 계상벌통에 고정하는 방식은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핀(35)은 핀 형태로 상기 계상벌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식이 제시되었으나, 고정이 가능하면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슬라이딩부(4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때, 내검기(10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슬라이딩부(40)는 세로대(34)에 결합되고, 레일(41) 및 슬라이더(42)를 포함한다. 레일(41)은 슬라이더(42)가 삽입되어, 슬라이더(42)가 레일(41)을 따라 왕복운동(a)을 하도록 한다. 슬라이딩부(40)는 왕복운동(a)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다른 요소, 예컨대 베어링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상부벌통을 슬라이딩부(40)에 옮긴 후에 힘을 가하면, 상기 상부벌통은 슬라이더(42)에 의해 쉽게 움직인다. 실제, 현장에서는 수많은 상부벌통을 옮겨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상기 상부벌통을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면 작업에 대한 부담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내검기(100)를 활용하여 상부벌통(TH)을 세우고 이동시키는 하는 단면도이다. 이때, 내검기(10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상부벌통(TH)을 세우거나 이동하기 이전에, 내검기(100)의 높이(H)를 조절한 다음, 고정핀(35)을 하부벌통(LH)의 내부에 삽입하여 내검기(100)를 고정시킨다. 계상벌통(SH)을 이루는 하부 및 상부벌통(LH, TH)는 나왕과 같은 목재, EPP, EPS와 같은 고분자, 스티로폴과 같은 발포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핀(35)은 하부벌통(LH)의 내벽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상부벌통(TH)는 10kg 내지 20kg의 중량을 가진다. 계상벌통(SH)은 팔레트와 같은 지지부(PB)에 안착된다.
상부벌통(TH)을 세우는 과정은 상부벌통(TH)을 90도로 회전하여 슬라이딩부(40)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부벌통(TH)을 대략 90도로 회전시키면, 상부벌통(TH)이 세워져서 하부 및 상부벌통(LH, TH)가 노출된다. 하부 및 상부벌통(LH, TH)가 노출되면, 하부 및 상부벌통(LH, TH) 각각의 내부상태를 확인하거나 채밀 등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있다. 상부벌통(TH)을 세우면, 중량이 무거운 상부벌통(TH)을 직접 들어 올리지 않으므로, 작업자에게 과도한 노동력을 요구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작업시간이 짧고 적은 인력으로 작업을 할 수 있고, 특히 고령 작업자가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제2 지지대(25)를 손을 잡고, 내검기(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상부벌통(TH)을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부벌통(TH)을 밀어서 슬라이딩부(40)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제2 지재대(25)는 상부벌통(TH)이 슬라이딩부(40)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상부벌통(TH)을 이동시키면, 상부벌통(TH)이 세워져서 하부 및 상부벌통(LH, TH)가 노출된다. 하부 및 상부벌통(LH, TH)가 노출되면, 하부 및 상부벌통(LH, TH) 각각의 내부상태를 확인하거나 채밀 등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있다. 상부벌통(TH)을 이동하면, 중량이 무거운 상부벌통(TH)을 직접 들어 올리지 않고 상부벌통(TH)을 슬라이더(42)로 쉽게 왕복운동(a)을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과도한 노동력을 요구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작업시간이 짧고 적은 인력으로 작업을 할 수 있고, 특히 고령 작업자가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내검기 10; 받침대
20; 세로지지대
21, 25; 제1 및 제2 지지대
22, 23; 고정레버 24; 고정프레임
26; 밀봉커버
30; 가이드부
31, 32, 33; 제1 내지 제3 가로대
34; 세로대 35; 고정핀
40; 슬라이딩부 41; 레일
42; 슬라이더

Claims (7)

  1. 계상벌통의 상부벌통이 세워지거나 이동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는 세로지지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벌통의 왕복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의 가로대 및 복수개의 세로대를 포함하여 격자를 이루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세로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레일 및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는 제1 내지 제3 가로대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지지부는 상기 제1 가로대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지지부는 바닥면에 놓이는 받침대에 결합되고, 상기 세로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가로대의 제1 가로대의 측면에 결합된 고정프레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에 삽입된 상기 제2 지지대는 고정레버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의 단부에는 밀봉커버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
KR2020200004513U 2020-12-09 2020-12-09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 KR200495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513U KR200495984Y1 (ko) 2020-12-09 2020-12-09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513U KR200495984Y1 (ko) 2020-12-09 2020-12-09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405U true KR20220001405U (ko) 2022-06-16
KR200495984Y1 KR200495984Y1 (ko) 2022-10-06

Family

ID=8221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513U KR200495984Y1 (ko) 2020-12-09 2020-12-09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98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178Y1 (ko) * 2020-08-20 2021-02-10 하나시스 주식회사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178Y1 (ko) * 2020-08-20 2021-02-10 하나시스 주식회사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984Y1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39373B1 (de) Platzteiler einer melkstandanordnung und melkstandanordnung
KR200495984Y1 (ko)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계상벌통의 내검기
EP1391149A1 (de) Abdeckung eines Fahrzeugs mit einem nach oben offenen Behälter
KR101030323B1 (ko) 탈봉판이 구비된 벌통
PT2210472E (pt) Cabeça de colheita e máquina automotriz cavaleira fazendo aplicação daquela, utilizáveis para a colheita de sebes frutíferas
CN105684958B (zh) 一种能连续取蜜的蜂箱
KR200493178Y1 (ko) 다기능 벌통 내검보조기
KR200491100Y1 (ko) 가이드를 포함하는 계상 벌통의 내검보조기
DE102020107771B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lage von Eiern in einem Geflügelstall
US11877562B2 (en) Vertical displacement access beehive
DE60106877T2 (de) Vorrichtung fuer mindestens einen melkstand und stall mit mehreren melkstaenden
KR20220129750A (ko) 회전부를 포함하는 계상벌통의 내검기
DE60208283T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r tierspezifischen Behandlung bei einem Tier
KR200495848Y1 (ko)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DE102008005749B4 (de) Transportgestell
DE102015100279B4 (de)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von Futter für ein Tier
KR20240033758A (ko) 계상용 벌통 리프트장치
US20200267944A1 (en) Apparatus for bee hive leveler
KR20220127775A (ko) 계상용 벌통 리프트장치
DE202014103038U1 (de) Aufzuchtvoliere
DE2715911A1 (de) Aufstallungsvorrichtung
AU2021106808A4 (en) A lif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230050578A1 (en) Beehive with Height Adjustment
DE60318039T2 (de) Positionierer für Nackenschiene
DE3528377C2 (de) Selbstfangfreßg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