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906U - 조립형 다단 식기건조대 - Google Patents

조립형 다단 식기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906U
KR20220000906U KR2020200003727U KR20200003727U KR20220000906U KR 20220000906 U KR20220000906 U KR 20220000906U KR 2020200003727 U KR2020200003727 U KR 2020200003727U KR 20200003727 U KR20200003727 U KR 20200003727U KR 20220000906 U KR20220000906 U KR 202200009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 drying
wire
drying frame
dis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기범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래
주식회사 연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래, 주식회사 연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래
Priority to KR2020200003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906U/ko
Publication of KR202200009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9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수대 인근에 위치하여 세척된 접시나 그릇등을 수납하여 물기를 건조하는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2단 또는 다단 식기건조대의 부족한 건조공간을 연결봉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식기건조대를 연결함에 있어, 건조공간이 연결봉의 길이만큼 늘어나며, 원하는 만큼 식기건조대의 적층이 가능한 조립형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으로 밴딩되되, 최소 두개이상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와이어와, 상기 제1와이어의 안쪽에 세척물을 받칠 수 있도록 수용바스켓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제2와이어와 상기 제1와이어의 각각의 모서리 안쪽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와이어를 바닥과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식기건조틀과 상기 지지봉의 하단은 결합을 위한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단은 암나사부가 구비되는 지지봉과 길이방향으로 가공된 봉의 일단은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연결봉과 상기 식기건조틀의 각 모서리에 구비된 복수개의 지지봉의 암나사부에 복수개의 연결봉의 수나사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연결봉의 결합돌기에 새로운 식기건조틀의 결합홈과 연결해서 식기건조틀을 이격시키게 적층하되, 연결봉으로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형 다단 식기건조대{BUILT-UP TYPE MUTI STAGE DISH DRYER}
본 고안은 개수대의 인근에 위치하여 세척된 접시나 그릇등을 수납하여 물기를 건조하는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2단 또는 다단 식기건조대의 부족한 건조공간을 연결봉을 이용하여 복수층의 식기건조대로 조립이 가능하여, 원하는 만큼 식기건조대의 적층이 가능한 조립형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주방의 개수대와 인접한곳에 위치하여 각종 식기 등을 올려 놓고 건조하는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식기건조대는 접시 등의 식기류를 안치하고 식기류에 부착된 물을 자연낙하시킴으로서 식기류를 건조시키는 주방용품으로, 통상적으로 개수구 근방의 개수대 상부선반의 하측벽에 고정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식기건조대는 식기류를 안치하는 식기건조틀, 이 건조선반이 고정되는 지지봉, 식기류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수집하는 물받이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식기건조선반은 단일 층으로 구성되거나 2개의 식기건조선반이 합쳐진 2층선반 등이 존재하며, 상기 식기건조선반을 두개 이상 가지고 있는 2층이상의 기건조대의 경우 1층의 식기건조선반과 2층의 식기건조반의 공간이 여유롭지 않아 지름이 큰 접시 등을 식기건조선반의 수납공간에 수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는 종래기술로는 국내실용등록 제20-0491625호에 다수개의 금속와이어가 바구니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본체가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고 지지용 금속와이어가 지지하는 식기건조대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문제점과 물받이의 부재로 개수대에 식기류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직접 떨어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식기건조틀을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하되, 적층된 식기건조틀의 거리를 이격시킬 수 있는 식기건조대가 요구된다.
국내등록실용 제20-0491625호(공고일:2020.05.12.)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기존의 식기건조틀의 지지봉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수단을 추가하고, 각 식기건조틀을 연결함에 있어, 사이에 연결봉을 이용하여 각 식기건조틀간의 거리를 이격시켜 연결할 수 있는 조립형 식기건조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식기건조대는,
사각으로 밴딩되되, 적어도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와이어(110)와, 상기 제1와이어(110)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제1와이어(110)와 함께 수용바스켓을 형성하는 제2와이어(120)와, 상기 제1와이어(110)의 모서리 안쪽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수용바스켓을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봉(130)을 포함하는 식기건조틀(100);
상기 식기건조틀(100)을 상하로 배치하여 복수단의 식기건조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에 배치되는 식기건조틀과 하부에 배치되는 식기건조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2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연결봉(200)의 상단과 상부에 배치되는 식기건조틀(100)의 지지봉(130)의 하단 사이에는 제1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봉(200)의 하단과 하부에 배치되는 식기건조틀(100)의 지지봉(130)의 상단 사이에는 제2결합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봉(200)의 상단은 상기 지지봉(13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132)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결합돌기(22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봉(200)의 하단은 상기 지지봉(130)의 상단에 형성된 암나사부(131)에 대등하여 체결되도록 수나사부(210)가 구비되어 상부 식기건조틀과 하부 식기건조틀이 적층되도록 조립되며,
상부 식기건조틀(100)의 지지봉(130) 상단에는 상기 암나사부(131)에 체결되는 나사커버(5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암나사부(131)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다단 식기건조대의 조립구조는 다단 식기건조대로 활용이 가능하면서 손쉽게 연결봉의 분리를 통해서 1단 식기건조대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식기건조대의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단 식기건조대는 추가적인 1단 식기건조대를 구입함으로써 계속적으로 복수의 다단 식기건조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하나의 식기건조틀이 하자가 발생하게 되면 그 일부만을 제거하여 폐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원으 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1a 내지 1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식기건조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식기건조대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식기건조대의 물받이를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 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식기건조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서의 개수대(10)는 요리를 하거나 그릇 등의 식기류를 씻도록 만든 부엌의 공간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부르는 싱크대와 동의어이다.
도 1a 내지 도1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식기건조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1b를 참고하면 사면에 지지봉(130)을 기준으로 바구니형상이 와이어가 배치되는 식기건조틀(100)과, 상기 식기건조틀(100)의 상단에 다른 식기건조틀(100)이 위치하여 상기 복수개의 식기건조틀(100)의 사이에 연결봉(200)이 연결되어 식기건조틀(100)간의 거리를 이격시킨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식기건조틀(100)은, 와이어를 수평방향으로 배딩하여 구성하되 사각으로 밴딩하고 이들을 복수층으로 상하에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1와이어(110)와, 상기 이격되어 배치된 제1와이어(110)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절곡하여 수용바스켓을 형성한다.
상기 수용바스켓의 모서리 안쪽에 상하방향으로 지지봉(130)을 결합 고정한다. 상기 지지봉(130)은 상기 수용바스켓을 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충분히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하는 다리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지지봉(130)의 하단에는 식기건조대의 미끄럼방지와 바닥면의 흠집방지를 위하여 실리콘패킹을 끼워맞춤으로 결합할 수 있다.
4개의 측면과 하면을 'ㄷ'자 모양으로 밴딩한 와이어로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는 제2와이어(120)와, 상기 제1와이어(110)의 4개의 모서리 안쪽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와이어(110) 및 제2와이어(120)를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봉(1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130)은 하단에 지지봉(13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의 홈을 구비하여 상기 홈과 대응되는 결합돌기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32)과, 타단은 일정깊이의 암나사부(131)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봉(200)은, 상기 지지봉(130)과 동일한 외경으로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진 축의 형상이고, 일단은 상기 암나사부(131)와 나사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나사부(210)와, 타단은 상기 결합홈(132)에 결합 가능하게 돌출되는 결합돌기(2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봉(200)의 높이는 여러종류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를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는게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식기건조대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식기건조대의 조립순서는 상기 제1와이어(110)와 제2와이어(120) 및 4개의 지지봉(130)으로 구성된 식기건조틀(100)을 바닥에 놓은 후 상기 4개의 지지봉(130)의 상단에 구비된 암나사부(131)에 상기 연결봉(200)의 수나사부(210)를 각각 나사연결한다.
상기 연결된 4개의 연결봉(200)의 상단에 결합돌기(220)에 새로운 식기건조틀(100)을 연결하되, 지지봉(130)의 하단에 결합홈(132)을 이용하여 안착시키며 연결한다.
또한, 상기 두개의 식기건조틀(100)을 연결한 뒤에는 새로운 연결봉(200)과 식기건조틀(100)로 다시 적층하여도 되며, 적층이 완료됐을경우 최하단의 식기건조틀(100)의 지지봉(130)하단에 식기건조대의 미끄럼방지와 바닥면의 흠집방지를 위하여 실리콘패킹을 끼워맞춤으로 연결해준다.
또한, 상기 최상단의 식기건조틀(100)의 암나사부(131)가 연결되는 부품이 없으므로 외부에 노출되는데, 이때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암나사부(131)에 대응되는 수나사를 가지는 나사커버(500)로 나사연결하여 상기 암나사부(131)의 손상을 방지하고 디자인적으로 미려하게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식기건조대의 물받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식기건조틀(100)이 지지봉(130)에 의해 바닥면과 이격되어 생기는 공간에 세척된 식기류에서 낙하하는 물이 바닥면에 고이는걸 방지하지 위하여 도 3과 같이 플레이트의 끝단에 하단으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닿는 경사단(310)을 구비하여 바닥면에 놓았을때 경사단(310)의 끝단과 플레이트의 타단이 닿게되어 자연스럽게 경사각이 생기는 경사면(320)이 형성되고, 바닥면과 닿는 타단은 끝을 도 3과 같이 원형밴딩한 배수부(330)를 구비하여, 식기류에서 낙하하는 물이 개수대(10)로 더 잘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물받이(300)를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물받이(300)는 식기건조틀(100)의 최하단과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부(330)가 개수대(10)의 상단 끝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식기건조틀 200: 연결봉
110: 제1와이어 210: 수나사부
120: 제2와이어 220: 결합돌기
130: 지지봉
131: 암나사부
132: 결합홈
300: 물받이 400: 실리콘패킹
310: 경사부
500: 나사커버

Claims (2)

  1. 사각으로 밴딩되되, 적어도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와이어(110)와, 상기 제1와이어(110)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제1와이어(110)와 함께 수용바스켓을 형성하는 제2와이어(120)와, 상기 제1와이어(110)의 모서리 안쪽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수용바스켓을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봉(130)을 포함하는 식기건조틀(100);
    상기 식기건조틀(100)을 상하로 배치하여 복수단의 식기건조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에 배치되는 식기건조틀과 하부에 배치되는 식기건조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2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연결봉(200)의 상단과 상부에 배치되는 식기건조틀(100)의 지지봉(130)의 하단 사이에는 제1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봉(200)의 하단과 하부에 배치되는 식기건조틀(100)의 지지봉(130)의 상단 사이에는 제2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다단 식기건조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200)의 상단은 상기 지지봉(13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132)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결합돌기(22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봉(200)의 하단은 상기 지지봉(130)의 상단에 형성된 암나사부(131)에 대등하여 체결되도록 수나사부(210)가 구비되어 상부 식기건조틀과 하부 식기건조틀이 적층되도록 조립되며,
    상부 식기건조틀(100)의 지지봉(130) 상단에는 상기 암나사부(131)에 체결되는 나사커버(5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암나사부(131)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다단 식기건조대.
KR2020200003727U 2020-10-20 2020-10-20 조립형 다단 식기건조대 KR202200009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727U KR20220000906U (ko) 2020-10-20 2020-10-20 조립형 다단 식기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727U KR20220000906U (ko) 2020-10-20 2020-10-20 조립형 다단 식기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906U true KR20220000906U (ko) 2022-04-27

Family

ID=8138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727U KR20220000906U (ko) 2020-10-20 2020-10-20 조립형 다단 식기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90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263B1 (ko) * 2022-10-06 2023-05-17 김점성 분리 가능한 식기건조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25Y1 (ko) 2020-01-08 2020-05-12 추교완 식기건조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25Y1 (ko) 2020-01-08 2020-05-12 추교완 식기건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263B1 (ko) * 2022-10-06 2023-05-17 김점성 분리 가능한 식기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7135B2 (en) Sink dish drainer set
US5012934A (en) Drainer for drying and storing kitchen and other utensils
KR101995690B1 (ko) 조립식 식기건조대
KR20220000906U (ko) 조립형 다단 식기건조대
KR20090131473A (ko) 식기건조대
KR200481228Y1 (ko) 주방용 선반
KR200491625Y1 (ko) 식기건조대
KR101813789B1 (ko) 식기선반
KR200464755Y1 (ko)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KR20100006522U (ko) 식기건조대
KR200484814Y1 (ko) 식기건조대
KR20220052150A (ko) 식기건조대
CN106725219B (zh) 一种多功能沥水篮
KR20110010334U (ko) 회전 가능한 배수대가 구비된 식기 건조대
JP2002330880A (ja) 水切りかご
KR200307608Y1 (ko) 식기건조대
CN210124744U (zh) 一种水槽洗碗机的碗架
KR101935489B1 (ko) 식기 건조판
JPS592773Y2 (ja) 鍋食器類の多段式排水整理棚
KR200410170Y1 (ko) 신발장 선반
SE1550450A1 (en) Dishwashing accessory and dishwashing method
KR200400460Y1 (ko) 식기건조기
KR200284176Y1 (ko) 씽크대용 다용도 개수대
KR102303731B1 (ko) 높이조절 후방지지부를 구비한 식기건조대
KR200341870Y1 (ko) 현가식 식기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