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690B1 - 조립식 식기건조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식기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690B1
KR101995690B1 KR1020190034916A KR20190034916A KR101995690B1 KR 101995690 B1 KR101995690 B1 KR 101995690B1 KR 1020190034916 A KR1020190034916 A KR 1020190034916A KR 20190034916 A KR20190034916 A KR 20190034916A KR 101995690 B1 KR101995690 B1 KR 101995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unit blocks
fitting groove
fitt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190034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690B1/ko
Priority to PCT/KR2019/014442 priority patent/WO20201970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거지를 마친 식기를 보관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식기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분해 및 조립시킬 수 있는 조립식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식기건조대는 평면 형태로 조립되는 격자 단위블럭(110)들을 구비하며 식기가 안치되는 바닥부(100)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격자 단위블럭들에 끼워져 조립되는 벽면 단위블럭들을 구비한 벽면부(200)와, 상기 벽면 단위블럭들과 조립되는 코너 단위블럭(310)들을 구비한 코너부(300)와,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거치되는 드레인패널(40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식기건조대{Prefabricated kitchen utensils drying rack}
본 발명은 설거지를 마친 식기를 보관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식기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분해 및 조립시킬 수 있는 조립식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건조대는 주방의 싱크대 상단이나 일측에 구비되어 설거지를 마친 그릇이나 접시, 컵 등의 식기들을 보관하고 건조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의 식기건조대는 금속 와이어를 절곡하여 제작되었으며, 보다 많은 식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다층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건조대는 다수의 금속 와이어를 각기 다른 형태로 일일이 절곡시켜야 하므로 제작성이 크게 떨어지고 용접을 통해 금속 와이어들을 연결해야 하므로 조립성이 매우 불량하여 양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장기간 사용시 수분에 의해 용접부위가 쉽게 부식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종래의 식기건조대는 용접을 통해 금속 와이어들이 연결되어 분해 조립이 불가한 일체형으로 제작되므로 보관과 취급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에 맞는 최적의 크기와 높이로 맞춤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불편함도 가진다.
또한, 식기로부터 흘러내린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해 바닥에 고여 있게 되므로 미관상, 위생상 좋지 않다.
KR 10-1900608 B1
본 발명은 금속 와이어를 이용하지 않고 제작되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분해 및 조립해가면서 크기와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식기건조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식기건조대는 평면 형태로 조립되는 격자 단위블럭들을 구비하며 식기가 안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격자 단위블럭들에 끼워져 조립되는 벽면 단위블럭들을 구비한 벽면부와 상기 벽면 단위블럭들과 조립되는 코너 단위블럭들을 구비한 코너부와,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거치되며 타단에는 물을 배출시키도록 특정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사홈부가 형성된 드레인패널을 구비한다.
삭제
아울러, 상기 코너 단위블럭의 하단에는 상부 끼움홈과 하부 끼움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구비되고, 일측의 마주하는 지지대들 사이에는 양단이 상기 상부 끼움홈에 끼워져 드레인 패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부거치대가 결합되며, 타측의 마주하는 지지대들 사이에는 양단이 상기 하부 끼움홈에 끼워져 드레인 패널의 타측을 지지하는 하부거치대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레인 패널의 저면에는 상기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끼워지는 복수의 거치홈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드레인 패널은 연속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패널편들로 분할구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타단에는 후속되는 패널편의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되므로 부식될 염려가 없고, 별도의 결합부재 및 작업공구 없이 끼움결합을 통해 간편하게 조립되므로 보관과 취급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으며, 식기가 안착되는 바닥부가 평면 형태로 조립되는 격자 단위블럭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공간에 맞는 최적의 형태로 맞춤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활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식기건조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식기건조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격자 단위블럭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단위블럭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단위블럭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코너 단위블럭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드레인패널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패널편의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패널편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패널편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이드편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접시거치대의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접시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접시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식기건조대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식기건조대의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식기건조대의 결합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식기건조대는 크게 바닥부(100)와 벽면부(200)와 코너부(300)와 드레인패널(400)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100)와 벽면부(200)와 코너부(300)와 드레인패널(400)은 식기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에 의해 부식될 염려가 없도록 모두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되며, 별도의 작업공구 없이 오로지 끼움결합을 통해 간편하게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100)는 평면 형태로 조립되는 격자 단위블럭(110)들을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자 단위블럭(110)는 한 쌍의 수평부재(111)와 한 쌍의 수직부재(112)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격자 형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111)와 수직부재(112)의 총 8군데 단부에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다른 격자 단위블럭(110)들과 조립되도록 격자 끼움돌기(113) 격자 끼움홈(114)이 교대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격자 단위블럭(110)들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연장 조립해 나가면서 설치공간에 맞추어 적합한 크기의 사각형태로 바닥부(100)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부(100)는 보강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강대(120)는 마주하는 수평부재(111) 또는 수직부재(112)의 상단에 끼움결합되는 탄성걸이부(121)가 양단에 구비된 연결부재로서, 바닥부(100)에 안치되는 식기의 하중에 의해 격자 단위블럭(110)들이 이격되면서 조립상태가 불량해지는 것을 막아준다. 상기 보강대(120)를 인접하게 복수로 설치하면 격자의 크기가 축소되므로 격자보다 작은 크기의 식기도 바닥부(100)에 안전하게 안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벽면부(200)는 바닥부(1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격자 단위블럭(110)들에 끼워져 조립되는 벽면 단위블럭들로 구성된다.
상기 벽면 단위블럭들은 상기 바닥부(100)의 양측단과 후단을 이루는 격자 단위블럭(110)에 끼워져 조립되는 제1단위블럭(210)들과, 상기 바닥부(100)의 전단을 이루는 격자 단위블럭(110)에 끼워져 조립되는 제2단위블럭(220)들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위블럭(210)는 제1수직면(211)과, 상기 제1수직면(211)의 하단으로부터 바닥부(100)를 향해 연장형성되어 식기로부터 흘러내린 물이 바닥부(100)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경사바닥면(212)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제1단위블럭(210)들은 마주하는 격자 단위블럭(110)의 격자 끼움홈(114)과 격자 끼움돌기(113)에 끼움 결합되는 제1벽면 끼움돌기(213)와 제1벽면 끼움홈(214)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수직면(211)의 양측단에는 다른 제1단위블럭(210)들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각각 상하방향으로 제1측방 끼움돌기(215)와 제1측방 끼움홈(216)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측방 끼움돌기(215)는 제1측방 끼움홈(216)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탄성걸림편(217)을 구비하고 상기 제1측방 끼움홈(216)에는 상기 탄성걸림편(217)에 대응되는 걸림공(21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단위블럭(220)들은 식기의 출입이 이루어지는 바닥부(100)의 전단에 설치되는 점을 감안하여 식기의 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단위블럭(210) 보다 높이가 낮게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단위블럭(220)은 중앙블럭(221)과, 상기 중앙블럭(221)들을 연결시켜 주는 연결블럭(222)과, 엔드블럭(223)으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블럭(221)은 상기 제1단위블럭(210)의 제1수직면(211)보다 보다 높이가 낮은 제2수직면(221a)과, 상기 제2수직면(221a)의 마주하는 격자 단위블럭(110)의 격자 끼움홈(114)과 격자 끼움돌기(113)에 끼움 결합되는 제2벽면 끼움돌기(221b)와 제2벽면 끼움홈(221c)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면(221a)의 양측단에는 상기 연결블럭(222)과 결합되기 위한 연결홈(221d)이 각각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블럭(222)의 양측단에는 각각 상기 연결홈(221d)에 대응되는 제1연결돌기(222a)가 형성된다.
상기 엔드블럭(223)은 코너부(300)와 마주하는 중앙블럭(221)의 측단에 결합되어 후술하는 코너부(300)의 코너 단위블럭(31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중앙블럭(221)과 마주하는 엔드블럭(223)의 일측단에는 중앙블럭(221)의 측단에 끼워지는 엔드홈(223a)이 형성되고, 상기 코너 단위블럭(310)과 마주하는 엔드블럭(223)의 타측단에는 상기 코너 단위블럭(310)과 착탈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각각 상하방향으로 엔드 끼움돌기(223b)와 엔드 끼움홈(223c)이 형성된다. 상기 엔드 끼움돌기(223b)와 엔드 끼움홈(223c)은 상기 코너 단위블럭(310)의 공용화를 위하여 상기 제1단위블럭(210)의 제1측방 끼움돌기(215)와 제1측방 끼움홈(216)에 대하여 각각 동일한 높이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코너부(300)는 바닥부(100)의 모서리에서 양측의 벽면 단위블럭들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코너 단위블럭(310)들을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 단위블럭(310)은 코너수직면(311)과 상기 코너수직면(311)의 하단으로부터 바닥부(100)를 향해 연장형성되어 식기로부터 흘러내린 물이 바닥부(100)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코너 경사바닥면(312)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코너수직면(311)의 양측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코너 끼움홈(313)과 코너 끼움돌기(314)가 형성된다. 상기 코너 끼움홈(313)과 코너 끼움돌기(314)는 제1단위블럭(210)과 마주하는 경우에는 제1단위블럭(210)의 제1측방 끼움돌기(215)와 제1측방 끼움홈(216)에 끼움결합되며, 엔드블럭(223)과 마주하는 경우에는 상기 엔드블럭(223)의 엔드 끼움돌기(223b)와 엔드 끼움홈(223c)에 끼움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코너 끼움돌기(314)는 제1측방 끼움홈(216) 또는 엔드 끼움홈(223c)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탄성걸림편(315)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엔드 끼움홈(223c)에는 상기 탄성걸림편(315)에 대응되는 걸림공(223d)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탄성걸림편(315)는 재1단위블럭(210)과 마주하는 경우에 상기 제1측방 끼움홈(216)의 걸림공(218)에 결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엔드 끼움돌기(223b)에도 탄성걸림편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탄성걸림편은 상기 코너 끼움홈(313)의 걸림공(316) 또는 상기 제1측방 끼움돌기(215)의 걸림공(218)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코너 단위블럭(310)의 하단에는 상기 바닥부(100)를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 주는 지지대(3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00)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대(317)를 통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드레인패널(400)이 거치된다.
상기 드레인패널(400)은 바닥부(100)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단과 타측단을 따라 중앙부가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패널(400)은 전후방향으로 오버랩 시켜 가면서 바닥부(100)의 크기에 맞추어 확장설치가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드레인패널(400)들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오버랩될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패널(400)의 전후단(411)은 각각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대(317)에는 상부 끼움홈(317a)과 하부 끼움홈(317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의 마주하는 지지대(317)들 사이에는 양단이 마주하는 일측의 지지대(317)들의 상부 끼움홈(317a)에 끼워져 드레인패널(400)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부거치대(510)가 결합됨과 함께 타측의 마주하는 지지대(317)들 사이에는 양단이 마주하는 타측의 지지대(317)들의 하부 끼움홈(317b)에 끼워져 드레인패널(400)의 타측을 지지하는 하부거치대(520)가 결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거치대(510)는 바닥부(100)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단위 거치편(511)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위 거치편(511)은 용이한 조립을 위하여 양측단에는 각각 거치돌기(511a)와 거치홈(511b)이 상하로 교차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거치대(520) 역시 상기 상부거치대(510)와 마찬가지로 단위 거치편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단위 거치편들은 상부거치대(510)를 이루는 단위 거치편(511)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패널(400)의 일측을 상부거치대(510)에 거치시키고 타측을 하부거치대(520)에 거치시키면, 상기 드레인패널(400)이 상기 바닥부(100)의 저면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되며, 바닥부(100)에 안치된 식기로부터 낙하하는 물은 상기 드레인패널(400)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흘러내리면서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패널(40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속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패널편(410)들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드레인패널(400)이 복수의 패널편(410)들로 분할 구성되면 상기 드레인패널(400)을 바닥부(100)의 크기에 맞추어 적당한 길이로 신장 또는 축소시켜 가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패널편(410)의 저면에는 상기 상부지지대(317) 및 하부지지대(317)의 상부에 끼워지는 복수의 안착홈(421)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돌출부(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420)가 구비되면, 경사지게 설치되는 상기 드레인패널(400)은 상부지지대(317)와 하부지지대(317)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된 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420)는 상기 드레인패널(400)이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거치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420)의 타단에는 후속되는 패널편(410)이 용이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후속되는 패널편(410)의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패널편(410)의 상면에는 패널편(410) 상부로 낙하하는 물이 패널편(410)의 양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돌기(440)가 상기 패널편(410)의 상면 양측에서 각각 일측에서 타측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거치편(511)의 상부에는 상기 드레인패널(400)의 돌출부(420)가 안착되도록 단위거치편(511)의 폭 만큼 전후방으로 이격형성된 한 쌍의 안내턱(511c)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안내턱(511c)은 드레인패널(400)이 정규위치에서 전후방으로 유동됨 없이 항상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패널(400)의 타단에는 드레인패널(4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특정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사홈부(451)가 형성된 가이드편(450)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편(450)을 통해 예컨대 싱크대 볼과 같이 드레인패널(4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처리할 수 있는 특정방향으로 유로를 매우 용이하고 간편하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편(450)의 중앙에는 경사홈부(451)를 향하는 가이드턱(452)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턱(452)은 가이드편(450)의 일측으로 유입된 물이 가이드편(450)을 가로질러 타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상기 가이드턱(452)쪽으로 흘러 내리도록 유도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100)에는 접시를 세워서 거치시킬 수 있는 접시거치대(6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시거치대(600)는 접시가 삽입되는 공간부(610)와, 상기 공간부(61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탄성지지부(620)와, 상기 탄성지지부(620)들의 하단을 연결하면서 상기 격자 단위블럭(110)에 끼움결합되는 탄성후크(6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620)는 상부로 수렴하는 집게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압축변형된다.
상기 탄성후크(630)는 각각의 탄성지지부(620)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격자 단위블럭(110)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상기 격자 단위블럭(110)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탄성결합되는 제1탄성결합단(631)과, 각각의 탄성지지부(620)의 일측 하단들끼리 및 타측 하단들끼리를 상호 연결시키면서 상기 격자 단위블럭(11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탄성결합되는 한 쌍의 제2탄성결합단(632)을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탄성지지부(620)에 내측으로 외력을 가하여 접시거치대(600)를 압축변형시킨 상태에서 제2탄성결합단(632)을 격자 단위블럭(110)의 수평부재(111)들 또는 수직부재(112)들 사이에 위치시킨 후 외력을 해제하면 탄성지지부(620)가 원복되면서 제2탄성결합단(632)이 각각 수평부재(111)들 또는 수직부재(112)들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사용자가 상기 제2탄성결합단(632)에 대하여 마주하는 수평부재(111) 또는 수직부재(112)들을 향해 외측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기 제2탄성결합단(632)이 마주하는 수평부재(111) 또는 수직부재(112)들의 내측면에 끼워지면서 탄성결합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탄성결합단(631)은 수평부재(111)와 수직부재(112)가 상부면에 탄성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접시거치대(600)가 바닥부(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가 접시의 수량에 따라 자유롭게 접시지지대(600)의 설치수량을 증감시키고 설치방향도 바꾸어가면서 바닥부(100)의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게 되고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식기를 건조 및 보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시지지대(317)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지지부(620)는 상부몸체(621)와 하부몸체(622)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621)와 하부몸체(622)를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신축편(623)을 구비한다. 상기 신축편(623)은 자바라 구조로 이루어진 방수코팅 처리가 된 금속편이 적당하다.
따라서, 탄성지지부(620)의 상부를 잡아 올리면 신축편(623)이 신장되면서 큰 접시를 거치하기가 용이해지고 탄성지지부(620)를 누르게 되면 신축편(623)이 압축되면서 작은 접시를 거치하기에 적합한 사이즈로 축소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621)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신축편(623)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신축변형되면서 접시지지대(317)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구부릴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공간부(610)에 삽입되는 접시를 양측에서 교차 지지함으로써 접시에 대한 지지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신축편(623)의 외측으로 탄성밴드(640)가 감겨져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밴드(640)는 상기 신축편(623)이 신축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자바라 형태가 손상되는 것을 막아 줌으로써 신축편(623)이 원활하게 신축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부(620)의 대항면에는 천이나 섬유들로 이루어진 수분흡수부(6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분흡수부(650)는 상기 공간부(610)로 삽입되는 접시에 묻은 물기를 흡수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건조를 돕는 동시에 접시와 탄성지지부(620)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접시가 미끄러지면서 탄성지지부(6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아준다.
아울러, 상기 신축편(623)에는 철심(66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철심(660)은 신축편(623)과 동일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신축편(623)의 절곡부위에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축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피로하중이 누적되어 파단되는 철심(660)을 통해 코팅처리된 금속편으로 이루어져 외부에서는 금속편의 파단상태를 파악하기 힘들었던 신축편(623)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철심(660)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게 부착되면 물에 부식되기 쉬우므로 상기 신축편(623)의 절곡부위에는 투명실리콘부(624)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실리콘부(624)의 내부에 철심(660)이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바닥부(100)는 코너 단위블럭(310)을 적층하여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너 단위블럭(310)의 상단에는 상부에 위치하는 코너 단위블럭(310)의 지지대(317)가 삽입되는 지지대 삽입홈(318)이 형성된다.(도 6 참조) 따라서, 상기 코너 단위블럭(310)들은 상기 지지대(317)와 지지대 삽입홈(318)을 통해 연속적으로 적층결합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바닥부(100)들의 상하 간격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최상부에 위치한 코너 단위블럭(310)의 상단에는 마감편(32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마감편(320)은 지지대 삽입홈(318)을 은폐시켜 전체적인 미감을 크게 향상시켜 준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코너 단위블럭(310)을 이용하여 메인 식기건조대(A)의 측부에 제1보조건조대(700)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식기 건조 영역을 확장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 식기건조대(A)의 코너 단위블럭(310)의 외측면에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제1보조건조대(700)를 고정시키는 연결블럭(330)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330)은 제1보조건조대(700)와 결합되는 수직돌기부(331)와 상기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탄성클립부(332)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연결블럭(330) 대신 상기 코너 단위블럭(310)의 외주면에 상기 제1보조건조대(700)를 고정시키는 수직돌기부(331)만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장하다.
상기 제1보조건조대(700)는 평면 형태로 조립되는 격자 단위블럭들을 구비하며 식기가 안치되는 바닥부(710)와, 상기 바닥부(7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격자 단위블럭들에 끼워져 조립되는 벽면 단위블럭들을 구비한 벽면부(720)와, 상기 벽면 단위블럭들과 조립되는 코너 단위블럭들을 구비한 코너부(730)로 구성되는 바, 상기 바닥부(710), 벽면부(720), 코너부(730)는 상기한 메인 식기건조대(A)의 바닥부(100), 벽면부(200), 코너부(300)의 구성과 대동소이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1보조건조대(700)는 상기 연결블럭(330)과 결합되는 별도의 보조 코너 단위블럭(740)을 구비한다.
상기 보조 코너 단위블럭(740)은 코너수직면(741)과 상기 연결블럭(330)의 수직돌기부(331)에 끼워지도록 상기 코너수직면(741)의 중앙에 형성된 끼움홈(742)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코너수직면(741)의 양측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코너 끼움홈(743)과 코너 끼움돌기(744)가 형성된다. 상기 코너 끼움홈(743)과 코너 끼움돌기(744)는 마주하는 벽면부(720)의 벽면 단위블럭들에 형성된 측방 끼움돌기(미도시)와 측방 끼움홈(미도시)에 끼움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코너 끼움돌기(744)는 상기 측방 끼움홈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탄성걸림편(745)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측방 끼움홈에는 상기 탄성걸림편(745)에 대응되는 걸림공(미도시)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조 코너 단위블럭(740)을 연결블럭(33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코너수직면(741)이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연결블럭(330)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코너수직면(741)의 상단에는 절개홈(74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보조건조대(700)는 상부의 연결블럭(330)에 이동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제1보조건조대(700)가 구비되면 보다 많은 식기를 건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수직돌기부(331)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가면서 설치공간에 맞춘 최적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공간활용도와 편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코너 단위블럭(310)을 이용하여 메인 식기건조대(A)의 측부에 제2보조건조대(800)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식기 건조 영역을 확장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 식기건조대(A)의 코너 단위블럭(310) 외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제2보조건조대(800)를 고정시키는 연결블럭(330)이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연결블럭(330)은 상기한 연결블럭(330)과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연결블럭(330) 대신 상기 코너 단위블럭(310)의 외주면에 상기 제2보조건조대(800)를 고정시키는 수직돌기부(331)만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보조건조대(800)는 평면 형태로 조립되는 격자 단위블럭들을 구비하며 식기가 안치되는 바닥부(810)와, 상기 바닥부(8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격자 단위블럭들에 끼워져 조립되는 벽면 단위블럭들을 구비한 벽면부(820)와, 상기 벽면 단위블럭들과 조립되는 코너 단위블럭들을 구비한 코너부(830)들로 구성되는 바, 상기 바닥부(810), 벽면부(820), 코너부(830)는 상술한 메인 식기건조대(A)의 바닥부(100), 벽면부(200), 코너부(300)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2보조건조대(800)는 메인 식기건조대(A)의 연결블럭(330)과 결합되는 별도의 보조 벽면엔드블럭(840)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보조 벽면엔드블럭(840)에는 상하 방향으로 보조 엔드 끼움홈(841)과 보조 엔드 끼움돌기(842)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 엔드 끼움홈(841)과 보조 엔드 끼움돌기(842)는 마주하는 벽면부(820)의 벽면 단위블럭들에 형성된 측방 끼움돌기와 측방 끼움홈에 끼움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보조 엔드 끼움돌기(841)는 상기 측방 끼움홈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탄성걸림편(843)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측방 끼움홈에는 상기 탄성걸림편(843)에 대응되는 걸림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보조건조대(800)의 벽면부(820)는 상기 메인 식기건조대(A)와 마주하는 일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메인 식기건조대(A)의 상기 제2보조건조대(800)와 마주하는 제1단위블럭(210)에는 마주하는 상기제2보조건조대(800)의 바닥부(810)를 이루는 격자 단위블럭의 격자 끼움홈과 격자 끼움돌기에 끼움 결합되는 보조 벽면 끼움돌기(213a)와 보조 벽면 끼움홈(214a)이 추가로 구비된다.
사용자는 필요 따라 메인 식기건조대(A)에 상기 제2보조건조대(800)를 탈착시켜 가면서 보다 많은 식기를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식기건조대(A) 또는 제1보조건조대(B) 또는 제2보조건조대(800)의 벽면부에는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행주걸이대(B)나 수저통(C)이 거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바닥부 110; 격자 단위블럭
200; 벽면부 300; 코너부
310; 코너 단위블럭 317; 지지대
317a; 상부 끼움홈 317b; 하부 끼움홈
400; 드레인패널 410; 패널편
420; 돌출부 421; 안착홈
430; 끼움홈 450; 가이드편
451; 경사홈부 510; 상부거치대
520; 하부거치대

Claims (5)

  1. 평면 형태로 조립되는 격자 단위블럭들을 구비하며 식기가 안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격자 단위블럭들에 끼워져 조립되는 벽면 단위블럭들을 구비한 벽면부;
    상기 벽면 단위블럭들과 조립되는 코너 단위블럭들을 구비한 코너부; 및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거치되며, 타단에는 물을 배출시키도록 특정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사홈부가 형성된 드레인패널을 구비한 조립식 식기건조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단위블럭의 하단에는 상부 끼움홈과 하부 끼움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구비되고;
    일측의 마주하는 지지대들 사이에는 양단이 상기 상부 끼움홈에 끼워져 드레인패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부거치대가 결합되며;
    타측의 마주하는 지지대들 사이에는 양단이 상기 하부 끼움홈에 끼워져 드레인패널의 타측을 지지하는 하부거치대가 결합된 조립식 식기건조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패널의 저면에는 상기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끼워지는 복수의 거치홈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된 조립식 식기건조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패널은 연속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패널편들로 분할구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타단에는 후속되는 패널편의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조립식 식기건조대.
KR1020190034916A 2019-03-27 2019-03-27 조립식 식기건조대 KR101995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916A KR101995690B1 (ko) 2019-03-27 2019-03-27 조립식 식기건조대
PCT/KR2019/014442 WO2020197025A1 (ko) 2019-03-27 2019-10-30 조립식 식기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916A KR101995690B1 (ko) 2019-03-27 2019-03-27 조립식 식기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690B1 true KR101995690B1 (ko) 2019-07-02

Family

ID=6725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916A KR101995690B1 (ko) 2019-03-27 2019-03-27 조립식 식기건조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5690B1 (ko)
WO (1) WO202019702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382A (ko) 2020-05-25 2021-12-02 김영기 싱크대 거치형 식기 건조 장치
KR20220146238A (ko) 2021-04-23 2022-11-01 김민정 방청성능이 향상된 식기건조대
KR20230000692U (ko) * 2021-09-29 2023-04-05 전영채 가변형 물받이를 구비한 식기 건조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0641B (zh) * 2021-01-20 2022-08-02 杭州企昌财务管理有限公司 便于安装固定的厨房餐具滤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534Y1 (ko) * 2003-10-15 2004-01-16 (주)현대공업 식기건조대 받침대
KR101817446B1 (ko) * 2016-12-20 2018-01-18 주식회사 제이비제이 식기 건조대
KR101900608B1 (ko) 2017-07-19 2018-09-19 명진실업 주식회사 조립식 주방용 식기 건조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445512U (zh) * 2012-02-26 2012-09-26 温汉雄 橱柜用的拉篮
US9113773B2 (en) * 2013-12-12 2015-08-25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rack assembly with trim assembly
KR20170115812A (ko) * 2016-04-08 2017-10-18 김학중 조립식 식기건조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534Y1 (ko) * 2003-10-15 2004-01-16 (주)현대공업 식기건조대 받침대
KR101817446B1 (ko) * 2016-12-20 2018-01-18 주식회사 제이비제이 식기 건조대
KR101900608B1 (ko) 2017-07-19 2018-09-19 명진실업 주식회사 조립식 주방용 식기 건조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382A (ko) 2020-05-25 2021-12-02 김영기 싱크대 거치형 식기 건조 장치
KR20220146238A (ko) 2021-04-23 2022-11-01 김민정 방청성능이 향상된 식기건조대
KR20230000692U (ko) * 2021-09-29 2023-04-05 전영채 가변형 물받이를 구비한 식기 건조대
KR200497129Y1 (ko) * 2021-09-29 2023-08-03 전영채 가변형 물받이를 구비한 식기 건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7025A1 (ko)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690B1 (ko) 조립식 식기건조대
US8419143B2 (en) Structure for modifying height of shelf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270618B1 (ko)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CN101309628B (zh) 用于洗碗机的存放装置
US20060254994A1 (en) Dish receiving member of dishwasher
CN109662675B (zh) 方便拆装的餐具架结构及洗碗机
KR20080064940A (ko) 식기 건조대
CN210019226U (zh) 碗篮组件和洗碗机
KR200452723Y1 (ko) 조립식 식기건조대
KR101813789B1 (ko) 식기선반
KR200491625Y1 (ko) 식기건조대
CN210019249U (zh) 洗碗机的活动排、碗篮组件和洗碗机
KR200473078Y1 (ko) 식기건조대
CN109662676B (zh) 洗碗机的活动排、碗篮组件和洗碗机
CN111700568B (zh) 餐盘收纳架及具有其的碗篮
CN211961405U (zh) 一种柜内拉篮
KR20220000906U (ko) 조립형 다단 식기건조대
US20170215691A1 (en) Utility rack
KR100431249B1 (ko) 확장성을 갖는 식기건조대 겸용 봉선반
KR102112326B1 (ko) 수평형 프라이팬 거치대
KR200279949Y1 (ko) 조립 현가식 식기건조대
CN210871427U (zh) 一种托架及洗碗机
CN206473289U (zh) 筷篮组件及洗碗机
CN211093896U (zh) 一种洗碗机的托架
KR102303731B1 (ko) 높이조절 후방지지부를 구비한 식기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