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802U - 피젯 토이 - Google Patents

피젯 토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802U
KR20220000802U KR2020220000758U KR20220000758U KR20220000802U KR 20220000802 U KR20220000802 U KR 20220000802U KR 2020220000758 U KR2020220000758 U KR 2020220000758U KR 20220000758 U KR20220000758 U KR 20220000758U KR 20220000802 U KR20220000802 U KR 202200008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tick
fidget
fidget to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호
Original Assignee
이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호 filed Critical 이수호
Priority to KR2020220000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802U/ko
Publication of KR202200008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802U/ko
Priority to KR2020230000354U priority patent/KR202300004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 A44B1/34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with snap-action counterpiece

Landscapes

  • Toy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양면을 포함하는 제1접촉부; 및 양면을 포함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피젯 토이를 공개한다. 상기 제1접촉부의 내측면에는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접촉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과 동일한 레이아웃을 갖는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접촉부의 제1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2가장자리부가 서로 결합되어 정의된 결합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 중 임의의 제1똑딱이 단추과 상기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 중 상기 제1똑딱이 단추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2똑딱이 단추가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제1똑딱이 단추와 상기 제2똑딱이 단추를 서로에 대하여 가압하였을 때에 상기 한 쌍의 똑딱이 단추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피젯 토이{Fidget Toy}
본 고안은 손으로 만지작거리는 용도의 장난감인 피젯 토이에 관한 것이다.
피젯 토이라는 보통 명칭으로 불리는 장난감들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피젯 토이는 정신적 집중이 요구될 때에, 또는 신경의 분산이 요구될 때에 사용될 수 있는데, 주로 손으로 만지작거리기 좋은 크기를 갖는 장난감이다.
예컨대, 흔히 모나미 볼펜으로 알려진 볼펜을 피젯 토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볼펜의 상단에 배치되어 스프링 장치에 의해 토글되는 단추를 반복적으로 누름으로써 클릭 소리 및 클릭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소리 및/또는 진동에 의하여 볼펜의 조작자가 심리적 안정과 같은 심리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은 잘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용도를 위해 제공된 장치를 사용자가 창의적으로 피젯 토이로서 활용할 수도 있지만, 최근에는 기존의 장치에서 탈피하여 전용으로 제작한 피젯 토이들이 등장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흔히 똑딱이 단추라고 부르는 단추를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피젯 토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똑딱이 단추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들이 공개되어 있는데, 관련된 특허 또는 실용신안 문헌으로서는, KR 10-2016-0053506, KR 10-2010-0067512, KR 10-2013-0045659, KR 10-2000-0002600, KR 20-2017-0002672, KR 20-2012-0003163, KR 20-2007-0000839, 및 KR 20-2004-0000995 등이 있다(출원번호 기준). 똑딱이 단추를 채용한 기존의 제품들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의 암수 똑딱이 단추들을 먼저 잘 정렬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고안에서는 똑딱이 단추를 이용하여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 피젯 토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서로 대응하는 위치의 암수 똑딱이 단추들을 서로 정렬하기 용이한 구조를 갖는 피젯 토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피젯 토이는, 양면을 포함하는 제1접촉부; 및 양면을 포함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접촉부의 내측면에는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접촉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과 동일한 레이아웃을 갖는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접촉부의 제1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2가장자리부가 서로 결합되어 정의된 결합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 중 임의의 제1똑딱이 단추과 상기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 중 상기 제1똑딱이 단추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2똑딱이 단추가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제1똑딱이 단추와 상기 제2똑딱이 단추를 서로에 대하여 가압하였을 때에 상기 한 쌍의 똑딱이 단추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결합영역을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에, 상기 결합영역을 제외한 상기 피젯 토이의 다른 영역에서 느낄 수 있는 제2촉감과는 구분되는 다른 제1촉감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젯 토이의 상기 결합영역을 손가락으로 구부릴 때에 느껴지는 제1탄성은 상기 피젯 토이의 다른 영역을 손가락으로 구부릴 때에 느껴지는 제2탄성과 다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촉감은 상기 제1탄성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고, 상기 제2촉감은 상기 제2탄성에 의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젯 토이의 상기 결합영역 중 손가락과 접촉되는 부분의 표면 질감인 제1표면 질감은 상기 피젯 토이의 다른 영역 중 손가락과 접촉되는 부분의 표면 질감인 제2표면 질감과는 다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촉감은 상기 제1표면 질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고, 상기 제2촉감은 상기 제2표면 질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은 행과 열이 교차하는 매트릭스 형태의 레이아웃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은 일정한 패턴에 의해 반복되는 레이아웃을 갖고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영역은 제1방향으로 연장된 모양을 가지며,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개 열의 레이아웃을 갖고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영역은 제1방향으로 연장된 모양을 가지며,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은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개 열의 레이아웃을 갖고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영역에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접촉부는, 미리 결정된 두께 이상의 가죽이며, 상기 가죽의 내피는 상기 제1접촉부의 상기 내측면이며, 상기 가죽의 외피는 상기 제1접촉부의 외측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접촉부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내부 엘리먼트 및 상기 내부 엘리먼트를 감싸고 있는 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제1접촉부의 제1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2가장자리부를 서로 접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제1접촉부의 제1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2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부를 박음질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영역의 반대편에 배치된 상기 제1접촉부의 제3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4가장자리부가 서로 결합되어 정의된 제2결합영역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영역과 상기 제2결합영역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1접촉부의 나머지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나머지 가장자리부는 서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는 각각, 한 개의 접촉부재를 접어서 형성한 접힘선을 기준으로 서로 구분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제1접촉부의 제1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2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부를 박음질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박음질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촉감은 상기 박음질에 의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을 제외한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을 제외한 상기 제2접촉부는 서로 대칭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에 중력 이외의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접촉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2접촉부의 내측면은 90°보다 작은 예각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똑딱이 단추를 이용하여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 피젯 토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서로 대응하는 위치의 암수 똑딱이 단추들을 서로 정렬하기 용이한 구조를 갖는 피젯 토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젯 토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피젯 토이의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피젯 토이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똑딱이 단추들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피젯 토이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제2접촉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피젯 토이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젯 토이의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한 피젯 토이의 샘플 사진이다.
도 10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한 피젯 토이의 샘플 사진이다.
도 10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한 피젯 토이의 샘플 사진이다.
본 명세서에 공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 제시된 구조 및 기능은 단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여기 공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예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공개된 실시예에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시되는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젯 토이를 나타낸 것이다.
피젯 토이(1)는, 양면을 포함하는 제1접촉부(10) 및 양면을 포함하는 제2접촉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촉부(10) 및 제2접촉부(20)는 손가락이 접촉되어 서로 가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접촉부(10)의 외측면에는 엄지손가락이 접촉되고 제2접촉부(20)의 외측면에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다른 손가락이 접촉되어, 손가락들에 의해 서로 가압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피젯 토이의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피젯 토이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접촉부(10)의 내측면(11)에는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10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접촉부(20)의 내측면(22)에는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100)들과 동일한 레이아웃을 갖는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이 배치되어 있다.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100)의 구성에 따라서는,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100)이 상기 제1접촉부(10)의 내측면(11) 반대의 바깥면에도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의 구성에 따라서는,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이 상기 제2접촉부(20)의 내측면(22) 반대의 바깥면에도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접촉부(10)의 제1가장자리부(141)와 상기 제2접촉부(20)의 제2가장자리부(242)가 서로 결합되어 정의된 결합영역(3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100) 중 임의의 제1똑딱이 단추과 상기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 중 상기 제1똑딱이 단추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2똑딱이 단추가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제1똑딱이 단추와 상기 제2똑딱이 단추를 서로에 대하여 가압하였을 때에 상기 한 쌍의 똑딱이 단추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제1접촉부(10)의 내측면(11)에는 피메일(female) 타입의 똑딱이 단추들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접촉부(20)의 내측면(22)에는 메일(male) 타입이 똑딱이 단추들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접촉부(10)의 내측면(11)에는 피메일 타입의 똑딱이 단추들 뿐만 아니라 메일 타입의 똑딱이 단추들도 혼재되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접촉부(20)의 내측면(22)에도 피메일 타입의 똑딱이 단추들 뿐만 아니라 메일 타입의 똑딱이 단추들도 혼재되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제1접촉부 단추와 제2접촉부 단추는 서로 다른 타입의 단추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똑딱이 단추들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제1접촉부(10)의 제1단추(1001)와 제2접촉부(20)의 제2단추(2001)는 서로 동일한 타입의 단추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단추(1001)와 상기 제2단추(2001)는 서로 가압하더라도 서로 결합되지 않을 것이다. 이 경우, 피젯 토이(1)의 모든 단추들을 손가락으로 서로 가압하였을 때에 거의 대부분의 단추들은 서로 결합되지만, 한/두 군데 단추들(ex: 1001, 2001)은 서로 결합되지 않고 볼록 튀어나온 감촉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어떤 사람에게는 짜증을 일으킬 수도 있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새롭게 집중할 수 있는 포인트를 제공하게 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합영역(30)은, 상기 결합영역(30)의 외측면을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에, 상기 결합영역(30)을 제외한 상기 피젯 토이(1)의 다른 영역(40)에서 느낄 수 있는 제2촉감과는 구분되는 다른 제1촉감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젯 토이(1)의 상기 결합영역(30)을 손가락으로 구부릴 때에 느껴지는 제1탄성은 상기 피젯 토이(1)의 다른 영역(40)을 손가락으로 구부릴 때에 느껴지는 제2탄성과 다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촉감은 상기 제1탄성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고, 상기 제2촉감은 상기 제2탄성에 의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영역(30)은, 상기 제1접촉부(10)의 제1가장자리부(141)와 상기 제2접촉부(20)의 제2가장자리부(242)가 서로 본딩 수지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본딩 수지가 접착력을 제공하며 경화되면서 결합영역(30)의 두께가 다른 영역(40)의 총 두께보다 두꺼워질 수 있으며, 결합영역(30)의 탄성이 상기 굳은 본딩 수지 때문에 더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의 차이로 인하여, 피젯 토이(1)를 조작하는 사람은 피젯 토이(1)를 직접 눈으로 보지 않고도, 손가락의 감촉만으로도 피젯 토이(1)의 결합영역(30)을 구분하고, 피젯 토이(1)의 자세를 검출하여 손쉽게 조작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접촉부(10) 및/또는 제2접촉부(20)는, 이하 더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두꺼운 천, 합성수지, 가죽, 종이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피젯 토이(1)의 상기 결합영역(30) 중 손가락과 접촉되는 부분의 표면 질감인 제1표면 질감은 상기 피젯 토이(1)의 다른 영역(40) 중 손가락과 접촉되는 부분의 표면 질감인 제2표면 질감과는 다르게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촉감은 상기 제1표면 질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고, 상기 제2촉감은 상기 제2표면 질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접촉부(10)의 외측면(12) 중 상기 제1가장자리부(141) 부분은 거칠은 질감으로 가공하고, 상기 제1접촉부(10)의 외측면(12) 중 상기 제1가장자리부(141)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미끄러운 질감으로 가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표면 질감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촉감은, 상기 제2표면 질감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2촉감과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접촉부(20)의 외측면(21) 중 상기 제2가장자리부(242) 부분은 거칠은 질감으로 가공하고, 상기 제2접촉부(20)의 외측면(21) 중 상기 제2가장자리부(242)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미끄러운 질감으로 가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표면 질감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촉감은, 상기 제2표면 질감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2촉감과 다를 수 있다.
도 5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것이다.
제2접촉부(20)에 결합된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은 행과 열이 교차하는 매트릭스 형태의 레이아웃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에 대응하는, 제1접촉부(10)에 결합된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100) 역시 행과 열이 교차하는 매트릭스 형태의 레이아웃을 가질 수 있다.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것이다.
제2접촉부(20)에 결합된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은 일정한 패턴에 의해 반복되는 레이아웃을 갖고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에 대응하는, 제1접촉부(10)에 결합된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100) 역시 일정한 패턴에 의해 반복되는 레이아웃을 갖고 배치될 수 있다.
도 5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것이다.
제2접촉부(20)의 제2가장자리(242), 즉 피젯 토이(1)의 결합영역(3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된 모양을 갖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제2접촉부(20)에 결합된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개 열의 레이아웃을 갖고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에 대응하는, 제1접촉부(10)에 결합된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100) 역시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개 열의 레이아웃을 갖고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d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것이다.
제2접촉부(20)에 결합된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은 제2접촉부(20)의 제2가장자리(2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한 개 열의 레이아웃을 갖고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에 대응하는, 제1접촉부(10)에 결합된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100) 역시 제1접촉부(10)의 제1가장자리(1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한 개 열의 레이아웃을 갖고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피젯 토이(1)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피젯 토이(1)의 결합영역(30)에는 홀(7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홀(71)에는 고리(72)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고리(72)는 홀(72)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끈을 매개로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고리(72)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단단한 금속 또는 단단한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고리(72)는 일정한 형상을 갖지는 않는 스트랩 형태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트랩은 가죽 또는 섬유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a에 예시한 피젯 토이(1)의 상기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은 도 5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을 갖는 매트릭스 형태의 레이아웃을 가진 것일 수 있다.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피젯 토이(1)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6b에 예시한 피젯 토이(1)의 상기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은 도 5d에 도시한 것과 같이 결합영역(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배열된 한 개 열을 갖는 형태의 레이아웃을 가진 것일 수 있다.
도 6b에 예시한 피젯 토이(1)에 있어서, 제1접촉부(10) 및/또는 제2접촉부(20)는 잘 휘는 부드러운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100) 또는 상기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은 상기 천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판형 부재는, 면, 청바지 패브릭, 얇은 가죽, 또는 얇은 합성 수지일 수 있다.
도 6b에 도시한 피젯 토이(1)에 있어서, 만일 예컨대 상기 판형 부재가 상당한 탄성을 갖는 두꺼운 재질로 이루어졌다면, 즉, 판형 부재의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잘 휘지만, 판형 부재의 폭 방향으로는 잘 휘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면, 결합영역(30)의 근처로부터 고리(72)의 반대편 말단까지 서로 분리되어 있던 똑딱이 단추들을 서로 정렬하기가 용이하다. 정렬이 용이하게 되므로 대응하는 똑딱이 단추들을 서로 가압하여 결합하는 것도 용이하다.
그러나 도 6b에 도시한 피젯 토이(1)에 있어서, 상기 판형 부재가 예컨대 매우 얇은 끈 형태의 천으로 이루어졌다면, 상기 판형 부재는 예측할 수 없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때, 결합영역(30)의 근처로부터 고리(72)의 반대편 말단까지 서로 분리되어 있던 똑딱이 단추들을 서로 정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 경우, 도 6b와 같이 고리(72)가 제공된다면, 고리(72)에 좌측 손의 손가락을 끼우고, 우측 손의 손가락들로 서로 분리되어 있던 똑딱이 단추들을 쉽게 정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접촉부(10) 및 제2접촉부(20) 중 적어도 하나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접촉부(10) 및/또는 제2접촉부(20)는 미리 결정된 두께 이상의 두께를 갖는 가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죽의 내피는 상기 제1접촉부의 상기 내측면이며, 상기 가죽의 외피는 상기 제1접촉부의 외측면일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제2접촉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2접촉부(20)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내부 엘리먼트(210) 및 상기 내부 엘리먼트(210)를 감싸고 있는 마감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재(220)는 예컨대 얇은 천 또는 얇은 합성수지일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10) 역시 도 7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영역(30)은 상기 제1접촉부(10)의 제1가장자리부(141)와 상기 제2접촉부(20)의 제2가장자리부(242)를 서로 접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영역(30)은 상기 제1접촉부(10)의 제1가장자리부(141)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접촉부(20)의 제2가장자리부(242) 중 적어도 일부를 서로에 대하여 박음질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젯 토이(1)의 다른 영역(40)에서 느낄 수 있는 제2촉감과는 구분되는 다른 제1촉감은 상기 박음질된 부분의 돌출된 형상으로부터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피젯 토이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나타낸 피젯 토이는 도 1에 나타낸 피젯 토이와 거의 대부분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도 8에 나타낸 피젯 토이(1)에는, 상기 결합영역(30)의 반대편에 배치된 상기 제1접촉부(10)의 제3가장자리부(143)와 상기 제2접촉부(20)의 제4가장자리부(244)가 서로 결합되어 정의된 제2결합영역(5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영역(40)과 상기 제2결합영역(5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1접촉부(30)의 나머지 가장자리부들(142, 144)과 상기 제2접촉부(20)의 나머지 가장자리부들(241, 243)는 서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젯 토이(1)의 양쪽 가장자리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8에 제시한 것과 같이 피젯 토이(1)의 중앙 부분(40)만을 서로 분리했다가 결합하는 작업을 반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젯 토이의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제1접촉부(10)와 상기 제2접촉부(20)는 각각, 한 개의 접촉부재(50)를 접어서 형성한 접힘선(300)을 기준으로 서로 구분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영역(30)은 상기 제1접촉부(10)의 제1가장자리부(141)와 상기 제2접촉부(20)의 제2가장자리부(242) 중 적어도 일부를 서로에 대하여 박음질하거나 또는 본딩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영역(30)은 상기 박음질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촉감은 상기 박음질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100)을 제외한 상기 제1접촉부(10)와 상기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을 제외한 상기 제2접촉부(20)는 서로 대칭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제1접촉부(10)와 제2접촉부(20)를 직사각형의 형태로 표현하였으나, 제1접촉부(10)와 제2접촉부(2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접촉부(10)와 제2접촉부(20)의 형상은, 결합영역(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긴 형태의 삼각형, 긴 형태의 오각형, 긴 형태의 육각형, 긴 형태의 타원형, 또는 긴 형태의 비정형적 모양일 수 있다.
도 10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한 피젯 토이의 샘플 사진이다.
도 10a는 도 6a에 나타낸 피젯 토이의 개념을 샘플로서 구현한 피젯 토이의 사진이다.
도 10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한 피젯 토이의 샘플 사진이다.
도 10b는 도 6b에 나타낸 피젯 토이의 개념을 샘플로서 구현한 피젯 토이의 사진이다.
도 10b는 특히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가 상당히 얇은 천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품이다. 이때, 결합영역(30)의 반대편 단부의 천은 가죽, 세무, 또는 비닐과 같은 마감재로 마감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피젯 토이는 그 자체로서 완성된 제품으로서, 다른 종류의 제품을 위한 부품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의 가장자리들은 심미적 외관을 형성하기 위하여 마감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0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한 피젯 토이의 샘플 사진이다.
도 10c는 도 6a 및 도 9에 나타낸 피젯 토이의 개념을 샘플로서 구현한 피젯 토이의 사진이다.
도 10c에 나타낸 피젯 토이는 반투명한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한 개의 접촉부재(50)를 접힘선(300)을 기준으로 접어서 제작한 것이다.
반투명한 합성수지의 재질에 따라 접힘선(300)을 중심으로 강하게 접어서 꺾으면 제1접촉부(10)의 내측면과 제2접촉부(20)의 내측면은 서로 90°이하의 예각 θ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의 재질에 따라 접힘선(300)을 중심으로 접은 후 접힌 부분 주위를 열 처리하면 제1접촉부(10)의 내측면과 제2접촉부(20)의 내측면은 서로 90°이하의 예각 θ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젯 토이는, 수평면 위에 놓아 두었을 때에 제1접촉부(10)의 내측면과 제2접촉부(20)의 내측면이 서로 90°이하의 예각 θ를 유지하는 상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주보는 상기 두 내측면이 서로 90°이하의 예각 θ를 유지하게 되면, 사용자가 피젯 토이(1)의 조작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단, 상기 두 내측면이 서로 90° 이하의 예각 θ를 유지하는 조건은, 피젯 토이(1)를 수평면 위에 놓아두었을 때에 제1접촉부(10)의 내측면과 제2접촉부(20)의 내측면 중 어느 것도 상기 수평면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다. 제1접촉부(10)의 내측면과 제2접촉부(20)의 내측면이 수평면에 접촉하는 경우, 억지로 상기 두 내측면이 서로 90° 이상의 각을 갖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위에서는, 제1접촉부(10)의 내측면과 제2접촉부(20)의 내측면은 서로 90°이하의 예각 θ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제1접촉부(10)와 제2접촉부(20)를 합성수지로 구성하는 예를 들었으나, 본 고안이 이러한 재료의 구성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접촉부(10)와 제2접촉부(20)를 각각 두꺼운 종이에 얇은 막을 둘러싼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제1접촉부(10)의 상기 제1가장자리부(141)와 상기 제2접촉부(20)의 상기 제2가장라지부(242)를 서로 본딩하면, 제1접촉부(10)의 내측면과 제2접촉부(20)의 내측면이 서로 90°이하의 예각 θ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0c에 제시한 바와 같이,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100)은 제1접촉부(10)의 내측면 뿐만 아니라 외측면에도 노출되어 있을 수 있고,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200)은 제2접촉부(20)의 내측면 뿐만 아니라 외측면에도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1접촉부(10)를 구성하는 재료와 제2접촉부(20)를 구성하는 재료는 서로 다른 것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접촉부(20)는 잘 휘지 않고 탄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접촉부(10)는 잘 휘고 탄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피젯 토이
10: 제1접촉부
11: 제1접촉부의 내측면
12: 제1접촉부의 외측면
20: 제2접촉부
21: 제2접촉부의 외측면
22: 제2접촉부의 내측면
30: 결합영역
50: 제2결합영역
71: 홀
72: 고리
100: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
141: 제1접촉부의 제1가장자리부
200: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
242: 제2접촉부의 제2가장자리부

Claims (16)

  1. 피젯 토이로서,
    양면을 포함하는 제1접촉부; 및 양면을 포함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촉부의 내측면에는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접촉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과 동일한 레이아웃을 갖는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접촉부의 제1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2가장자리부가 서로 결합되어 정의된 결합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 중 임의의 제1똑딱이 단추과 상기 제2세트의 똑딱이 단추들 중 상기 제1똑딱이 단추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2똑딱이 단추가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제1똑딱이 단추와 상기 제2똑딱이 단추를 서로에 대하여 가압하였을 때에 상기 한 쌍의 똑딱이 단추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피젯 토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결합영역을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에, 상기 결합영역을 제외한 상기 피젯 토이의 다른 영역에서 느낄 수 있는 제2촉감과는 구분되는 다른 제1촉감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피젯 토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젯 토이의 상기 결합영역을 손가락으로 구부릴 때에 느껴지는 제1탄성은 상기 피젯 토이의 다른 영역을 손가락으로 구부릴 때에 느껴지는 제2탄성과 다르며,
    상기 제1촉감은 상기 제1탄성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고,
    상기 제2촉감은 상기 제2탄성에 의해 제공되는 것인,
    피젯 토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젯 토이의 상기 결합영역 중 손가락과 접촉되는 부분의 표면 질감인 제1표면 질감은 상기 피젯 토이의 다른 영역 중 손가락과 접촉되는 부분의 표면 질감인 제2표면 질감과는 다르며,
    상기 제1촉감은 상기 제1표면 질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고,
    상기 제2촉감은 상기 제2표면 질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인,
    피젯 토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은 행과 열이 교차하는 매트릭스 형태의 레이아웃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젯 토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영역은 제1방향으로 연장된 모양을 가지며,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개 열의 레이아웃을 갖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젯 토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영역은 제1방향으로 연장된 모양을 가지며,
    상기 제1세트의 똑딱이 단추들은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개 열의 레이아웃을 갖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젯 토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영역에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가 결합되어 있는, 피젯 토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는, 미리 결정된 두께 이상의 가죽이며,
    상기 가죽의 내피는 상기 제1접촉부의 상기 내측면이며,
    상기 가죽의 외피는 상기 제1접촉부의 외측면인,
    피젯 토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젯 토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내부 엘리먼트 및 상기 내부 엘리먼트를 감싸고 있는 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젯 토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제1접촉부의 제1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2가장자리부를 서로 접착하여 형성된 것인, 피젯 토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제1접촉부의 제1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2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부를 박음질하여 형성한 것인, 피젯 토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영역의 반대편에 배치된 상기 제1접촉부의 제3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4가장자리부가 서로 결합되어 정의된 제2결합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영역과 상기 제2결합영역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1접촉부의 나머지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나머지 가장자리부는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젯 토이.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는 각각, 한 개의 접촉부재를 접어서 형성한 접힘선을 기준으로 서로 구분된 것이며,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제1접촉부의 제1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제2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일부를 박음질하여 형성한 것이며,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박음질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촉감은 상기 박음질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젯 토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에 중력 이외의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접촉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2접촉부의 내측면은 90°보다 작은 예각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피젯 토이.

KR2020220000758U 2019-05-03 2022-03-28 피젯 토이 KR20220000802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758U KR20220000802U (ko) 2019-05-03 2022-03-28 피젯 토이
KR2020230000354U KR20230000451U (ko) 2019-05-03 2023-02-21 피젯 토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41U KR20200002477U (ko) 2019-05-03 2019-05-03 피젯 토이
KR2020220000758U KR20220000802U (ko) 2019-05-03 2022-03-28 피젯 토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841U Division KR20200002477U (ko) 2019-05-03 2019-05-03 피젯 토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354U Division KR20230000451U (ko) 2019-05-03 2023-02-21 피젯 토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02U true KR20220000802U (ko) 2022-04-08

Family

ID=7319761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841U KR20200002477U (ko) 2019-05-03 2019-05-03 피젯 토이
KR2020220000758U KR20220000802U (ko) 2019-05-03 2022-03-28 피젯 토이
KR2020230000354U KR20230000451U (ko) 2019-05-03 2023-02-21 피젯 토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841U KR20200002477U (ko) 2019-05-03 2019-05-03 피젯 토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354U KR20230000451U (ko) 2019-05-03 2023-02-21 피젯 토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00002477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77U (ko) 2020-11-11
KR20230000451U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573B2 (en) Resilient claw hair clip
TW202020633A (zh) 滑鼠
KR20220000802U (ko) 피젯 토이
USD975713S1 (en) Stylus for touch screens
US20050055754A1 (en) Gardening glove
JP3134926U (ja) 携帯ゲーム機用指ホルダー
JP2018086248A (ja) 両面使用可能な床運動マット
US20130174319A1 (en) Handpad for touchscreen of an electric device
KR101780414B1 (ko) 스프링 노트 커버
KR100699363B1 (ko) 터치 스크린 터치 기구
JP7262168B2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ゴルフパター
TWM396438U (en) Keypress structure having keypress and touch functions
TWI797558B (zh) 滑鼠裝置
US20030236045A1 (en) Crimped bath scrubber
US10926156B2 (en) Catching tool for baseball
CN202819867U (zh) 一种儿童纽扣
US9259043B2 (en) Flexible fastener for removable attachment to fabric
JP3089508U (ja) パソコン等のキーの入力補助用具。
CN114967944A (zh) 鼠标装置
JP6340370B2 (ja) マウス
JP3114376U (ja) 編織面材を具備する板体の構造
JP3123135U (ja) 消しゴム
CN203028430U (zh) 一种手指分隔板
JP2022104761A (ja) 指輪
TWM522135U (zh) 冊本表面圖層之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