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617U - 표면 인쇄가 용이한 덴탈 마스크 - Google Patents

표면 인쇄가 용이한 덴탈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617U
KR20220000617U KR2020200004376U KR20200004376U KR20220000617U KR 20220000617 U KR20220000617 U KR 20220000617U KR 2020200004376 U KR2020200004376 U KR 2020200004376U KR 20200004376 U KR20200004376 U KR 20200004376U KR 20220000617 U KR20220000617 U KR 202200006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extending
dental
present
wri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페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페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페커
Publication of KR202200006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6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마스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바디는 상기 이어밴드의 상측 일단이 고정되는 제1바디; 상기 이어밴드의 하측 타단이 고정되는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2바디의 상단에서 전방 하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상기 제3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하단에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상기 제3바디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바디의 상단과 연결된 제4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인쇄가 용이한 덴탈 마스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면 인쇄가 용이한 덴탈 마스크 {A Dental Mask for Easy Surface Printing}
본 발명은 표면 인쇄가 용이한 덴탈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독감은 매년 발생하며 간헐적으로 대유행이 일어나 수백만 명이 생명이 잃기도 한다. 2009년에는 돼지 인플루엔자가 발생하여 전세계적으로 수만 명이 사망하기도 하였고, 2020년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세계적으로 대유행하여 수백만명이 감염되고 수십만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유행성 질환을 불러오는 바이러스나 세균은 공기나 사람의 비말을 통해 전파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현상은 최근 대유행하는 코로나19 감염증의 주요 감염 경로로 파악되고 있다.
즉, 밀집공간에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활동할 경우에는 코로나 19와 같은 질병에 무방비 상태에서 쉽게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계절에 관계없이 또 연령에 관계없이 마스크 착용이 자연스럽게 일상화되고 있다.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됨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마스크의 디자인 역시 점차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그림 또는 문양을 마스크 바디에 프린팅한 마스크들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이 중 덴탈 마스크는 입체 형상을 만들기 전 마스크 원단에 원하는 문양을 반복적으로 프린팅하고, 이후 원단을 소정 크기로 커팅하는 단계로 마스크의 제작이 진행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덴탈 마스크 원단이 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롤러와의 상대운동에 의한 원단 밀림 현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문양들이 마스크 바디에 일정한 위치에 프린팅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이와 같은 원단을 통해 입체형 상을 만들어 덴탈 마스크를 제조하더라도 원하는 위치에 일정하게 프린팅된 마스크를 제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덴탈 마스크의 입체 형상을 만든 후 프린팅 하더라도, 입체적인 형상으로 인해 마스크 바디에 특정 그림 또는 문양을 반복적으로 인쇄하기는 쉽지가 않은 특징이 있다.
따라서, 어떠한 상태에서도 덴탈 마스크 바디의 정위치에 인쇄할 수 있는 기술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덴탈 마스크의 바디의 주름 형상을 조정하여, 덴탈 마스크 바디의 형상이 완성된 상태임에도 덴탈 마스크의 원하는 위치에 다양한 종류의 그림 또는 문양을 쉽게 프린팅할 수 있는, 덴탈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덴탈 마스크 바디의 원하는 위치에 그림 또는 문양을 용이하게 프린팅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마스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바디는 상기 이어밴드의 상측 일단이 고정되는 제1바디; 상기 이어밴드의 하측 타단에 고정되는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2바디의 상단에서 전방 하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상기 제3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하단에서 전방 상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상기 제3바디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바디의 상단과 연결된 제4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인쇄가 용이한 덴탈 마스크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 바디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 덴탈 마스크의 주름부 형상은 도 1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마스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바디는 상기 이어밴드의 상측 일단이 고정되는 제1바디; 상기 이어밴드의 하측 타단에 고정되는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2바디의 상단에서 후방 하측으로 연장된 후 상측으로 제4 바디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전방 하단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제3 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하단에서 전방 상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상기 제3바디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바디의 상단과 연결된 제4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인쇄가 용이한 덴탈 마스크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 바디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 덴탈 마스크의 주름부 형상은 도 2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바디는 겉표면으로 보이는 전체 마스크 바디 면적에 있어서 약 40% 이상 80% 이하, 바림직하게는 약 50% 이상 70% 이하의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바디는 겉표면으로 보이는 전체 마스크 바디 면적에 있어서 약 10 내지 20% 이하의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제4바디는 상측 주름부(100)와 하측 주름부(20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바디는 제1 바디의 하단에서 전방 상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제3 바디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측으로 연장되고, 다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3 바디 상단과 연결됨에 있어, 상측 주름부(100)가 수평 주름부를 기준으로 5 내지 20도의 각도(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도의 각도(50)로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바디는 제1 바디의 하단에서 전방 상측을 연장된 후, 다시 제3 바디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측으로 연장되고, 다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3 바디 상단과 연결됨에 있어, 하측 주름가 수평 주름부를 기준으로 5 내지 20도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도의 각도로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도 4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덴탈 마스크는 코받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바디를 이루는 주름부는 초음파 용착 또는 열용착을 통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4 바디는 그림 및/또는 문양 등이 잘 인쇄되기 위한 발수성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바디와 제3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목화솜 필터와 정전기 필터와 나노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의 중앙부 형상을 조정하여 입체 형상을 갖는 덴탈 마스크 바디에 다양한 종류의 그림 또는 문양을 쉽게 프린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덴탈 마스크 바디의 정위치에 그림 또는 문양을 프린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측면도로, 주름 형성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측면도로, 주름 형성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전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가 용이한 마스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마스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바디는 상기 이어밴드의 상측 일단이 고정되는 제1바디; 상기 이어밴드의 하측 타단에 고정되는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2바디의 상단에서 전방 하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상기 제3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하단에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상기 제3바디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바디의 상단과 연결된 제4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인쇄가 용이한 덴탈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마스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바디는 상기 이어밴드의 상측 일단이 고정되는 제1바디; 상기 이어밴드의 하측 타단에 고정되는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2바디의 상단에서 후방 하측으로 연장된 후 상측으로 제4 바디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전방 하단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제3 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하단에서 전방 상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상기 제3바디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바디의 상단과 연결된 제4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인쇄가 용이한 덴탈 마스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주름 구성을 가짐으로써, 마스크 바디의 각 면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바디는 겉표면으로 보이는 전체 마스크 바디 면적에 있어서 약 40% 이상 80% 이하, 바림직하게는 약 50% 이상 70% 이하의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넓어진 제4 바디로 인해 덴탈 마스크의 입체 형상을 형성한 뒤에도 마스크 바디에 프린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제4 바디가 상기 면적 범위를 가짐으로 인해 덴탈 마스크 바디에 보다 용이한 인쇄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바디는 겉표면으로 보이는 전체 마스크 바디 면적에 있어서 10 내지 20% 이하의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제4바디는 상측 주름부(100)와 하측 주름부(20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바디는 제1 바디의 하단에서 전방 상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제3 바디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측으로 연장되고, 다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3 바디 상단과 연결됨에 있어, 상측 주름부(100)가 수평 주름부를 기준으로 3 내지 20도의 각도(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도의 각도(50)로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바디는 제1 바디의 하단에서 전방 상측을 연장된 후, 다시 제3 바디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측으로 연장되고, 다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3 바디 상단과 연결됨에 있어, 하측 주름부(200)가 수평 주름부를 기준으로 3 내지 20도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도의 각도로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측 주름부는 사용자의 호흡부를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착용 편의를 위해 상측 주름부가 수평 주름부와 이루는 각도는 하측 주름부가 수평 주름부와 이루는 각도보다 커야 한다.
상기와 같은 각도 범위를 가짐으로써, 입체 형상을 갖는 덴탈 마스크에 그림 또는 문양을 인쇄하기 용이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도 4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덴탈 마스크는 코받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바디를 이루는 주름부는 초음파 용착 또는 열용착을 통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4 바디는 그림 및/또는 문양 등이 잘 인쇄되기 위한 발수성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마스크 바디와 제3마스크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목화솜 필터와 정전기 필터와 나노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제1 바디 20: 제2 바디 30: 제3 바디
40: 제4 바디 50: 상측 주름부와 수평측의 각도
60: 하측 주름부와 수평측의 각도
100: 상측 주름부 200: 하측 주름부

Claims (6)

  1. 이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마스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바디는 상기 이어밴드의 상측 일단이 고정되는 제1 바디;
    상기 이어밴드의 하측 타단에 고정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2 바디의 상단에서 전방 하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제3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하단에서 전방 상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상기 제3 바디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바디의 상단과 연결된 제4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인쇄가 용이한 덴탈 마스크.
  2. 이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마스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바디는 상기 이어밴드의 상측 일단이 고정되는 제1바디;
    상기 이어밴드의 하측 타단에 고정되는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2바디의 상단에서 후방 하측으로 연장된 후 상측으로 제4 바디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전방 하단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제3 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하단에서 전방 상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상기 제3바디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바디의 상단과 연결된 제4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탈 마스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바디는 겉표면으로 보이는 전체 마스크 바디 면적에 있어서 50% 이상 70% 이하의 면적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탈 마스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는 겉표면으로 보이는 전체 마스크 바디 면적에 있어서 10 내지 20% 이하의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탈 마스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바디는 상측 주름부와 하측 주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바디의 상측 주름부는 수평 주름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5도의 각도를 이루며 주름이 형성되고, 하측 주름부는 수평 주름부를 기준으로 3 내지 15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주름이 형성되고,
    상측 주름부가 수평 주름부와 이루는 각도는 하측 주름부가 수평 주름부와 이루는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탈 마스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바디는 그림 및/또는 문양 등이 잘 인쇄되기 위한 발수성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덴탈 마스크.
KR2020200004376U 2020-09-08 2020-11-30 표면 인쇄가 용이한 덴탈 마스크 KR20220000617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54 2020-09-08
KR20200003254 2020-09-08
KR20200003311 2020-09-11
KR2020200003311 2020-09-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17U true KR20220000617U (ko) 2022-03-15

Family

ID=8081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376U KR20220000617U (ko) 2020-09-08 2020-11-30 표면 인쇄가 용이한 덴탈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61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6991U (ja) 自身の口中からの異常な匂いの吸入を防止するマスク
KR20220000617U (ko) 표면 인쇄가 용이한 덴탈 마스크
KR20170093560A (ko) 마스크
US11064745B1 (en) Face mask with separate inhaling and exhaling portions
US20230240799A1 (en) Dental face mask and shield system and method of making
JP2010162098A (ja) マスクカバー
US20220339475A1 (en) Mask and Removable Cidal Metal or Cidal Metal Alloy Insert
CN104069596B (zh) 一种仿生呼吸面罩
JP3230900U (ja) マスク
JP3227777U (ja) マスク
KR20220053346A (ko) 바디부가 용착된 마스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마스크
CN212994536U (zh) 脸部防护装置
JP2012187332A (ja) 形態補強マスク
KR20210107233A (ko) 마스크
CA3187972A1 (en) Strapless face mask
JP6811450B1 (ja) マスク
KR20220003421A (ko)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KR20220057956A (ko) 식용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된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0381B1 (ko) 통풍형 귀걸이 마스크
JP2022017008A (ja) マスク
JP3234589U (ja) フェイスシールド
CN215455592U (zh) 一种用于疫情的密封良好的口罩
JP7195290B2 (ja) マスクカーテン
JP6928979B1 (ja) マスクカバー
US20210330005A1 (en) Antiviral and antibacterial face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