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421A -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 Google Patents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3421A KR20220003421A KR1020200081212A KR20200081212A KR20220003421A KR 20220003421 A KR20220003421 A KR 20220003421A KR 1020200081212 A KR1020200081212 A KR 1020200081212A KR 20200081212 A KR20200081212 A KR 20200081212A KR 20220003421 A KR20220003421 A KR 202200034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k
- bonding portion
- shape memory
- memory member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힘면이 형성된 마스크면 부재; 상기 마스크면 부재의 길이방향 상면을 따라 형성된 제1 접합부; 상기 제1 접합부와 인접한 하부에 위치한 제1 형상기억부재; 상기 제1 형상기억부재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접합부; 상기 마스크면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형상기억부재의 인접한 하부에 형성된 제3 접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스크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고기능성 부재가 적용된 복수의 형상조정부가 구비된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보건위생상 병균이나 먼지 등의 흡입 등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가리거나 혹한기에 방한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최근 황사나 미세먼지, 공해 등에 의한 공기 오염이 더욱더 심각해지고 있으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영어: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는 SARS-CoV-2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동물 기원의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으로써, 이 바이러스 감염증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 중 처음으로 발견된 신종 감염병으로 전세계적으로 문제시되어 호흡기를 외부와 차단할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 및 입에 밀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또는 황사 등을 필터링하고, 착용자의 비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독감, 감기 및 코로나 19와 같이 호흡기 질환은 주로 바이러스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으로, 접촉이나 비말을 통해서 바이러스가 전파되어 감염된다. 이와 같은 바이러스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 1차적 바이러스 전파 방지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각 정부에서 마스크의 착용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모두 덮는 형상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마스크 내부에서는 착용자의 입과 코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호흡시 또는 대화시 침이 튀거나 날숨에 의하여 입에 마스크가 달라붙는 등 불편함이 발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일반 보건용 마스크를 예시한 도면으로써,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할 경우, 입이 위치한 부분은 들숨의 경우에 입에 밀착하게 되어 침이 묻기 쉽다. 날숨의 경우 또는 대화를 하는 경우 입으로부터 튀어나온 침이 입이 위치한 부분에 집중되므로 오염되기 쉽다. 특히, 영유아의 경우 입에 닿는 부분을 입으로 물거나 빠는 경우가 많아서 침에 의한 오염에 취약하다.
한편, 전염병이나 감염병이 범지구적으로 유행하는 현상을 팬데믹(영어: pandemic)으로 정의하는데,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는, 범유행병이 되기까지의 여섯 단계의 과정을 인간의 첫 감염과 인플루엔자의 바이러스의 이동과 관련하여 나누고 있다. 구체적으로, 1단계는 동물에 한정된 감염, 2단계는 동물 간 전염을 넘어 소수의 사람에게 감염된 상태, 3단계는 사람들 사이에서 감염이 증가된 상태, 4단계는 사람들 간 감염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세계적 유행병이 발생할 초기 상태, 5단계는 감염이 널리 확산돼 최소 2개국에서 병이 유행하는 상태를 말한다. 6단계인 팬데믹은 5단계를 넘어 다른 대륙의 국가에까지 추가 감염이 발생한 상태로 바이러스가 동물로부터 사람에게로 감염된 사례가 많아서, 동물 감염으로 시작하여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직접 확산되고, 새로운 바이러스의 감염은 전 세계적 유행으로 끝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현재 코로나 19에 의한 펜데믹은 6단계로 볼 여지가 크다. 따라서, 마스크의 착용은 종래 혹한기에 한하였던데 반하여, 최근 혹서기에도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도 2를 참고하면, 종래 사용되는 마스크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를 참고하면, 11a와 같은 주름이 형성되어 사용시에 주름 부분이 착용시 일정한 공간을 만들어 내어 착용감을 증가시키도록 구비되어 있다. 다만,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의 점착부분(13)은 1회용 마스크인 점 때문에 생산원가의 문제 등으로 단순한 박음질처리 된다. 측면의 단순 박음질은 사용자가 착용시 얼굴에 밀착성이 좋지 않아 외부의 공기와 차단 효과가 낮다.
이를 개선한 것이 도 2b에 도시된 마스크로써, 얼굴의 굴곡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제공되고 있다. 다만,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얼굴에 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 2a에 비하여 더 긴 마스크면(21)을 갖게 형성되어야 한다. 혹한기에는 얼굴 커버면적을 넓혀 보온성을 개선할 수 있으나, 혹서기에는 반대로 얼굴에 접하여 체온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전 접힌 상태(도 3a)에서 사용상태(도 3b)로 변형시 마스크의 윗면(21a)과 아랫면(21b)가 벌어지면서 좌우측에 간극(gap)을 형성하게 되는데, 윗면과 아랫면 소재는 천, 부직포 등 부드러운 소재로 되어 있으므로 얼굴의 형상에 따라 밀착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는 침으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는 혹서기에 착용하더라도 입과 마스크 사이에 일정한 입체공간을 유지하도록 하여 마스크의 장시간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는 냉감소재를 사용하여 혹서기 착용성을 크게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힘면이 형성된 마스크면 부재; 상기 마스크면 부재의 길이방향 상면을 따라 형성된 제1 접합부; 상기 제1 접합부와 인접한 하부에 위치한 제1 형상기억부재; 상기 제1 형상기억부재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접합부; 상기 마스크면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형상기억부재의 인접한 하부에 형성된 제3 접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면 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을 가로지르는 제2 형상기억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형상기억부재의 인접한 상부에 형성된 제4 접합부; 및 상기 제2 형상기억부재의 인접한 하부에 형성된 제5 접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면 부재의 양측면을 따라 제6 접합부 및 제7 접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6 접합부 및 상기 제7 접합부는 상기 접힘면의 경계부근에서 상기 마스크면 부재의 양측면을 따라 평행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면 부재는 상기 제1 접합부, 제2 접합부 및 제3 접합부에 의하여 형성된 제1 형상기억부재 거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면 부재는 상기 제4 접합부 및 제5 접합부 사이에 제2 형상기억부재 거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면 부재는 외기와 접하는 외피 및 사용자의 얼굴과 접하는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 및 내피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정화필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피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적용된 냉감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감원단은 피부와 접촉하는 표면층, 수분보유층, 이면층 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표면층은 냉감성 섬유와 도전사가 혼방된 원사 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이면층은 폴리프로필렌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합성섬유가 각각 또는 혼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분보유층은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형성되며, 폴리프로필렌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냉감성 섬유와 해조섬유가 혼방된 원사나, 폴리프로필렌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냉감성 섬유 및 해조섬유가 각각 사용되어 형성되되, 상기 냉감원단의 표면층 및 이면층은 수분보유층보다 저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은 나노금속염, 세라미드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는 침으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는 혹서기에 착용하더라도 입과 마스크 사이에 일정한 입체공간을 유지하도록 하여 마스크의 장시간 착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는 냉감소재를 사용하여 혹서기 착용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마스크의 착용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사용되는 마스크의 착용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마스크의 사용전 및 사용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의 사용전 및 사용시의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의 단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의 단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종래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을 비교한 제1 예시도이다.
도 8은 종래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을 측면에서 비교한 제2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사용되는 마스크의 착용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마스크의 사용전 및 사용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의 사용전 및 사용시의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의 단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의 단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종래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을 비교한 제1 예시도이다.
도 8은 종래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을 측면에서 비교한 제2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의 사용전 및 사용시의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힘면(111)이 형성된 마스크면 부재(110); 상기 마스크면 부재(110)의 길이방향 상면을 따라 형성된 제1 접합부(122a); 상기 제1 접합부(122a)와 인접한 하부에 위치한 제1 형상기억부재(121); 상기 제1 형상기억부재(121)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접합부(122c); 상기 마스크면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형상기억부재(121)의 인접한 하부에 형성된 제3 접합부(122b);를 포함한다.
접힘면(111)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데, 탄성부재(170)의 탄성에 의하여 착용시 구조적 강도를 확보하고 착용감을 해하지 않는 정도로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접힘면(11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형상기억부재(123)는 마스크면 부재(110)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형상기억부재(123)는 제1 형상기억부재(121)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제2 형상기억부재(123)는 길이방향으로 더 길거나 또는 폭방향으로 더 넓게 구비됨으로써, 얼굴에서 코에 비하여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입부분의 좌우 측면 및/또는 상하 측면이 마스크면 부재(110)와 맞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형상기억부재(123)의 인접한 상부에 형성된 제4 접합부(124a); 및 상기 제2 형상기억부재(123)의 인접한 하부에 형성된 제5 접합부(12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부(122a) 내지 제3 접합부(122b)와 마찬가지로 제4 접합부(124a) 및 제5 접합부(124b)는 연속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면서도 제2 형상기억부재(123)가 일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단가를 낮추고, 자주 쓰고 벗더라도 제2 형상기억부재(123)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의 구겨짐을 방지하여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면 부재(110)의 양측면을 따라 제6 접합부(131a) 및 제7 접합부(131b)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6 접합부(131a) 및 상기 제7 접합부(131b)는 상기 접힘면(111)의 경계부근에서 상기 마스크면 부재(110)의 양측면을 따라 평행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6 접합부(131a)와 제7 접합부(131b)는 마스크면 부재(110)의 양 단부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접힘면(111)의 경계 부근(P)에서 타원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6 접합부(131a)와 제7 접합부(131b)가 상부 및 하부 접힘면(111)에서 형성하는 일정한 만곡접합부는 실제 사용자가 착용시 얼굴 측면에서의 밀착성을 크게 향상시킴으로써, 종래 도 1a 보다 길이방향으로 좁은 마스크면 부재(110)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포장재의 감소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종래 도 1b에 의한 마스크보다 외부와의 차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종래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을 비교한 제1 예시도이고, 도 8은 종래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을 측면에서 비교한 제2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의 경우 입이 위치한 부분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제2 형상기억부재(123)로 인해 착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에도 형상이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제6 접합부(131a)와 제7 접합부(131b)는 접힘면(111)의 경계 부근(P)에서 굴곡지게 형성되어 종래의 마스크에 비하여 착용시 외부 공기와 차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도 2b에 의한 종래 마스크와 비효하여 가공성이 양호하고 좁은 폭으로도 충분한 외기 차단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비닐 등의 고분자 포장부재 사용을 감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a의 마스크에 비하여 얼굴을 덮는 면적이 감소함으로써 혹서기 마스크 착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의 단면도를 예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의 단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마스크면 부재(110)는 상기 제1 접합부(122a), 제2 접합부(122c) 및 제3 접합부(122b)에 의하여 형성된 제1 형상기억부재(121) 거치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형상기억부재(121)가 배치되는 면에 열접합 방식 등으로 형성된 별도의 거치공간인 거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형상기억부재(123)의 경우에도 상기 마스크면 부재(110)의 상기 제4 접합부(124a) 및 제5 접합부(124b) 사이에 형성된 제2 형상기억부재(123) 거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형상기억부재(121) 거치부 및 제2 형상기억부재(123) 거치부는 제1 형상기억부재(121) 및 제2 형상기억부재(123)가 가는 철사 등으로 제공되는 경우에 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형상기억부재(121) 거치부 및 제2 형상기억부재(123) 거치부는 착탈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회용이 아닌 장기 착용을 위한 마스크의 경우, 벨크로, 자석, 단추 등으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형상기억부재(121) 거치부 및 제2 형상기억부재(123) 거치부는 제1 형상기억부재(121) 및 제2 형상기억부재(123)가 가는 철사 등으로 구비되어 반복적 구부림 동작으로 절단되거나 또는 불필요한 접철부로 인해 피부에 손상을 주는 경우 등 교체가 가능하도록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도 6의 경우 제3 형상기억부재 거치부가 더 포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3 형상기억부재는 필요에 따라 제1 형상기억부재(121) 또는 제2 형상기억부재(123)를 적절히 가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마스크면 부재(110)는 외기와 접하는 외피 및 사용자의 얼굴과 접하는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 및 내피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정화필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6b를 참고할 때, 상기 내피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적용된 냉감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냉감원단의 경우 열전도성이 높아 피부와 닿았을 때 빠르게 열기를 흡수하여 섬유에 닿은 부분의 체온을 낮게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스크에 적용할 경우 피부와 맞닿을 경우 얼굴의 열기를 낮추어 착용감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감원단은 피부와 접촉하는 표면층, 수분보유층, 이면층 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표면층은 냉감성 섬유와 도전사가 혼방된 원사 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이면층은 폴리프로필렌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합성섬유가 각각 또는 혼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분보유층은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형성되며, 폴리프로필렌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냉감성 섬유와 해조섬유가 혼방된 원사나, 폴리프로필렌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냉감성 섬유 및 해조섬유가 각각 사용되어 형성되되, 상기 냉감원단의 표면층 및 이면층은 수분보유층보다 저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감원단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체온을 낮추고, 땀의 흡수를 도와 냉감이 오래도록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층은 나노금속염, 세라미드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표면층에 세라미드 같은 냉감성 물질이나 은(Ag) 같은 금속성 물질의 항균성, 방취성, 원적외선을 내는 물질을 나노화 시키고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같은 냉감성 물질이 코팅처리하여 냉감성을 향상시키고 항균성, 방취성, 원적외선방사성, 냉감성 등의 기능성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의 은 함유 물질은 항균성, 방취성을 향상시키고 몸에 이로운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이러한 은 함유 물질은 티타늄 옥사이드에 은을 함침시켜 나노 금속염으로 제조하여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미드는 쌀에서 추출되고 스핑고당지질이 다량 함유돼 있는 소재로 냉감미용효과가 있어 아토피성피부염에도 유효하고 화장품 이외에 냉감첨가제로 광범위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냉감원단에 냉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팅처리를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0)
-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힘면이 형성된 마스크면 부재; 상기 마스크면 부재의 길이방향 상면을 따라 형성된 제1 접합부; 상기 제1 접합부와 인접한 하부에 위치한 제1 형상기억부재; 상기 제1 형상기억부재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접합부; 상기 마스크면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형상기억부재의 인접한 하부에 형성된 제3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면 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을 가로지르는 제2 형상기억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형상기억부재의 인접한 상부에 형성된 제4 접합부; 및 상기 제2 형상기억부재의 인접한 하부에 형성된 제5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면 부재의 양측면을 따라 제6 접합부 및 제7 접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6 접합부 및 상기 제7 접합부는 상기 접힘면의 경계부근에서 상기 마스크면 부재의 양측면을 따라 평행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면 부재는 상기 제1 접합부, 제2 접합부 및 제3 접합부에 의하여 형성된 제1 형상기억부재 거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면 부재는 상기 제4 접합부 및 제5 접합부 사이에 제2 형상기억부재 거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면 부재는 외기와 접하는 외피 및 사용자의 얼굴과 접하는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 및 내피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정화필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적용된 냉감원단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감원단은 피부와 접촉하는 표면층, 수분보유층, 이면층 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표면층은 냉감성 섬유와 도전사가 혼방된 원사 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이면층은 폴리프로필렌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합성섬유가 각각 또는 혼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분보유층은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형성되며, 폴리프로필렌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냉감성 섬유와 해조섬유가 혼방된 원사나, 폴리프로필렌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냉감성 섬유 및 해조섬유가 각각 사용되어 형성되되, 상기 냉감원단의 표면층 및 이면층은 수분보유층보다 저밀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나노금속염, 세라미드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1212A KR20220003421A (ko) | 2020-07-01 | 2020-07-01 |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1212A KR20220003421A (ko) | 2020-07-01 | 2020-07-01 |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3421A true KR20220003421A (ko) | 2022-01-10 |
Family
ID=7934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1212A KR20220003421A (ko) | 2020-07-01 | 2020-07-01 |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0342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42287A (zh) * | 2022-05-12 | 2022-06-21 | 佛山科学技术学院 | 一种具有独立多功能层的高阻隔性可拆卸口罩 |
-
2020
- 2020-07-01 KR KR1020200081212A patent/KR2022000342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42287A (zh) * | 2022-05-12 | 2022-06-21 | 佛山科学技术学院 | 一种具有独立多功能层的高阻隔性可拆卸口罩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84654B2 (en) | Breathable face mask | |
KR102279769B1 (ko) | 마스크 | |
KR200489311Y1 (ko) | 통기성 천과 비닐을 이용한 일회용 감염방지 가운 | |
KR102233818B1 (ko) | 입술이 투시되는 투명 마스크 | |
KR102188331B1 (ko) | 입과 코 분리형 마스크 | |
US12030294B2 (en) | Composite material for use in a face mask, and a face mask formed thereof | |
KR20070055065A (ko) | 마스크 | |
KR20170093560A (ko) | 마스크 | |
KR20240070493A (ko) | 마스크 | |
KR20220003421A (ko) | 착용성이 개선된 기능성 마스크 | |
JP7472288B2 (ja) | マウスカバー | |
CN111150143A (zh) | 一种口罩及其制备方法 | |
JP6920768B1 (ja) | マスク | |
JP3228984U (ja) | ポケット付き接触冷感マスク | |
KR20220045867A (ko) | 투명 입체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70095647A (ko) | 마스크 | |
CN211961010U (zh) | 一种设有铜纤维层的无绳口罩 | |
KR20220124363A (ko) | 김 서림 방지 마스크 | |
JP2021188181A (ja) | マスク及び身体冷却用繊維製品 | |
CN216875135U (zh) | 一种具有防勒耳朵以及防雾功能的口罩 | |
CN212814453U (zh) | 一种真丝防护口罩 | |
KR102612748B1 (ko) | 투명필름이 구비된 일회용 마스크 | |
JP6912761B1 (ja) | マスク | |
TWM532288U (zh) | 立體口罩 | |
KR20220021412A (ko) | 마스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