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580U - 접이식 모기장 - Google Patents

접이식 모기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580U
KR20220000580U KR2020200003202U KR20200003202U KR20220000580U KR 20220000580 U KR20220000580 U KR 20220000580U KR 2020200003202 U KR2020200003202 U KR 2020200003202U KR 20200003202 U KR20200003202 U KR 20200003202U KR 20220000580 U KR20220000580 U KR 202200005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r
supports
mosquito net
pair
right ang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709Y1 (ko
Inventor
전진용
Original Assignee
전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용 filed Critical 전진용
Priority to KR2020200003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0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5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5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9/00Nets for protection against insects in connection with chairs or beds; Bed canopies
    • A47C29/006Mosquito n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52Ne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05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mattr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편리하게 접거나 설치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로 제공할 수 있으며 크기에 관계없이 같은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접이식 모기장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본 고안은 하나의 제1가로바와 제1가로바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1세로바로 구성되는 제1지지대; 하나의 제2가로바와 제2가로바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2세로바로 구성되는 제2지지대; 하나의 제3가로바와 제3가로바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3세로바로 구성되는 제3지지대; 하나의 제4가로바와 제4가로바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4세로바로 구성되는 제4지지대; 및 상기 제1,2지지대는 지면에 대칭 형태로 깔려 있도록 하고, 제3,4지지대는 지붕을 형성하기 위하여 "V"의 형태로 펼쳐져 있도록 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2,3,4지지대에 고정되는 방충망;을 포함하고; 상기 제1,2,3,4지지대는 각각 단일한 막대 형태가 될 수 있도록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모기장{Foldable Mosquito Net}
본 고안은 접이식 모기장 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편리하게 접거나 설치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로 제공할 수 있으며 크기에 관계없이 같은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접이식 모기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는 사람을 곤욕스럽게 하는 존재이다. 모기는 수면을 방해하는 것은 물론이요 병을 옮기는 매개체 역할을 하기도 하여 피하는 것이 상책이다. 이러한 모기를 방어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예전에는 향을 피우기도 하였으나 화재의 위험이 있고 너무 자극적이어서 근래에는 실외에서만 주로 사용된다. 그대신 액상 모기향이 있기도 하고 패치 형태의 모기향이 제공되기도 한다. 근래에는 모기를 유인하여 포획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도 등장하였다.
한편 종래로부터 모기장이라는 것이 사용되어 왔다. 모기장은 보통 실내 또는 실외에서 취침할 때 모기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안전하고도 확실한 수단이다. 다만 모기장은 치고 거두는 일이 번거롭고 모기장 안으로 드나드는 것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장점이 워낙에 뚜렷하여 끊임없이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예전에는 모기장을 방벽 곳곳에 못 또는 걸고리를 설치하고 여기에다 모기장을 걸어서 설치하는 방식이 제공되었으나 설치가 복잡하고 못 등을 방에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서, 팝업 형태의 모기장이 제안되었다.
팝업 모기장은 커버에서 꺼내어 풀어놓으면 탄성에 의해 자동적으로 펼쳐지는 것으로서 설치하기가 극히 용이하다. 그러나 그에 비해 원래의 상태로 접어놓는 것은 어렵다. 방법을 잘 아는 경우에는 큰 어려움이 없으나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모기장이 3 ~ 4인용이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큰 경우에는 접은 작업이 몇배로 힘들다.
텐트 형식의 모기장도 제안된 바 있지만, 이에 의하면 설치하기가 편리하지 않고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38190호 참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6-0006839호에 의한 모기장은 크기를 크게 하는데 제한이 있는 구조로서 유아용으로 적합할 뿐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6-0006839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38190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설치하는 것은 물론이고 접는 과정도 쉽게 되어 있는 접이식 모기장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좀 더구체적으로는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을 제공할 수 있고 크기에 관계 없이 설치하거나 해체하기가 용이한 접이식 모기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하나의 제1가로바와 제1가로바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1세로바로 구성되는 제1지지대; 하나의 제2가로바와 제2가로바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2세로바로 구성되는 제2지지대; 하나의 제3가로바와 제3가로바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3세로바로 구성되는 제3지지대; 하나의 제4가로바와 제4가로바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4세로바로 구성되는 제4지지대; 및 상기 제1,2지지대는 지면에 대칭 형태로 깔려 있도록 하고, 제3,4지지대는 지붕을 형성하기 위하여 "V"의 형태로 펼쳐져 있도록 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2,3,4지지대에 고정되는 방충망;을 포함하고;
상기 제1,2,3,4지지대는 각각 단일한 막대 형태가 될 수 있도록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모기장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2,3,4지지대는 각각 3개의 단위막대로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단위막대는 "L" 형태의 소켓에 의해 직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켓에 끼워지는 상기 단위막대 끝에는 고무나 우레탄 소재로 된 캡이 씌워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2,3,4지지대는 각각 튜브 형태의 외피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방충망은 상기 외피에 재봉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2,3,4지지대의 한쪽 세로봉과 다른 쪽 세로봉은 각각 한점을 향해 모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2,3,4지지대는 분리가 가능한 직선형 단위막대가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막대가 곡선 형태로 휘는 부분이 없게 되는 조립식 모기장이 제공된다. 조립이나 해체방법이 직관적이어서 방법을 알아야 하는 것도 아니고 힘을 필요로 하지도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설치가 용이하고 해체도 용이하게 되어 있는 조립식 모기장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모기장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모기장이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모기장을 접는 과정을 도시하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모기장을 구성하는 지지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모기장의 각 지지대의 조립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모기장의 각 지지대를 연결하는 허브의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고, 이후에 도 2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모기장은 제1,2,3,4지지대(10,20,30,40)와 그 위에 덮어씌워지거나 그 아래에 매달리게 되는 방충망(50)을 포함한다.
제1지지대(10)는 하나의 제1가로바(11)와 제1가로바(11)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1세로바(12,13)로 구성된다. 제2지지대(20)는 하나의 제2가로바(21)와 제2가로바(21)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2세로바(22,23)로 구성된다. 제3지지대(30)는 하나의 제3가로바(31)와 제3가로바(31)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3세로바(32,33)로 구성된다. 제4지지대(40)는 하나의 제4가로바(41)와 제4가로바(41)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4세로바(42,43)로 구성된다.
제1,2,3,4지지대(10,20,30,40)는 모두 같은 규격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었을 때 단정하게 정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모기장을 설치한 상태에서 제1,2지지대(10,20)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지면에 대칭 형태로 깔려 있게 되며, 제3,4지지대(30,40)는 지붕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V"의 형태로 펼쳐져 있게 된다.
방충망(50)과 제1,2,3,4지지대(10,20,30,40)의 상대적인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제1,2지지대(10,20)는 180°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제3,4지지대(30,40)는 30 ~ 60°의 사잇각을 이루고 있다. 제1,2지지대(10,20)는 방충망(50)의 하단을 아래로 당기는 작용을 하고, 제3,4지지대(30,40)의 자체 무게에 의해 천장에 해당하는 부분을 팽팽하게 당기는 작용을 한다.
제1,2,3,4지지대(10,20,30,40)와 방충망(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된다. 즉 제1,2,3,4지지대(10,20,30,40)의 각 가로바(11,21,31,41)와 세로바(12,13,22,23,32,33,42,43)를 구성하는 단위막대(51)는 튜브 형태의 외피(52) 내부에 설치된다. 방충망(50)은 이 외피(52)에 단부에 재봉(53)으로 고정된다. 방충망(50)은 일체형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고 제1,2,3,4지지대(10,20,30,40)를 경계로 몇조각으로 나뉘어져 있을 수도 있다.
언급한 것처럼 제1,2,3,4지지대(10,20,30,40)는 각각 단일한 막대 형태가 될 수 있도록 즉 3개의 봉 또는 막대 형태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2,3,4지지대(10,20,30,40)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3개의 단위막대(51)로 분리될 수 있으며, 단위막대(51)는 "L" 형태의 소켓(61)에 의해 직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지지대(10,20,30 또는 40)에 2개의 소켓(61)이 사용됨으로써 각 지지대(10,20,30 또는 40)는 "
Figure utm00001
"과 같은 형태를 취하게 된다.
소켓(61)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위막대(51)의 끝에는 고무나 우레탄으로 된 캡(62)이 고정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소켓(61)과 단위막대(51)의 연결 및 분리는 외피(52) 내부에서 실시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모기장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2,3,4지지대(10,20,30,40)의 한쪽 세로봉(12,22,32,42)과 다른 쪽 세로봉(13,23,33,43)은 각각 한점을 향해 모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허브(60)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허브(60)는 몸체(6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4개의 단위소켓(62,63,64,6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세로봉(12,13)은 제1단위소켓(62)에, 제2세로봉(22,23)은 제4단위소켓(65)에, 제3세로봉(32,33)은 제2단위소켓(63), 제4세로봉(42,43)은 제3단위소켓(64)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단위소켓(62,63,64,65)은 몸체(61)의 중심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이중 일부만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제2,3단위소켓(63,64)는 "V"형태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1, 도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접혀지게 되는 접이식 모기장이 제공된다. 도 1은 모기장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제1지지대(10)와 제2지지대(20)를 위로 들어올리면 제1,2,3,4지지대(10,20,30,40)가 한데로 합쳐져 바로 도 3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외피(52) 내부에 있는 각 소켓(61)에서 단위막대(51)를 분리함으로써 화살표(K)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화살표(K) 방향으로 접으면 도 4의 상태가 되고, 접는 작업이 완료된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4의 상태에서 방충망(50)을 가지런히 하여 소정의 케이스에 넣거나 커버로 씌워서 보관하면 된다.
모기장을 설치할 때는 도 3의 상태에서 제1,2지지대(10,20)만 놓으면 된다. 그러면 제1,2지지대(10,20)가 회전하여 지면에 닿으면서 바로 도 1 내지 도 2의 펼쳐진 상태가 된다.
한편 소켓(61)에 단위막대를 편리하게 끼우기 위한 가이드수단이 마련된다. 소켓(61)과 단위막대(51)는 와이어나 나일론으로 된 강인한 끈으로 연결하여 놓는 것이다. 그러면 서로 분리해도 항상 쉽게 끼울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끈은 탄성고무줄이 될 수도 있다. 텐트의 접이식 폴대를 서로 연결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20,30,40 : 제1,2,3,4지지대
11,21,31,41 : 제1,2,3,4가로바
12,13,22,23,32,33,42,43 : 제1,2,3,4세로바
50 : 방충망 51 : 단위막대
52 : 외피 53 : 재봉
54 : 소켓 55 : 캡
60 : 허브 61 : (허브)몸체
62,63,64,65 : 제1,2,3,4단위소켓

Claims (5)

  1. 하나의 제1가로바와 제1가로바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1세로바로 구성되는 제1지지대;
    하나의 제2가로바와 제2가로바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2세로바로 구성되는 제2지지대;
    하나의 제3가로바와 제3가로바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3세로바로 구성되는 제3지지대;
    하나의 제4가로바와 제4가로바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4세로바로 구성되는 제4지지대; 및
    상기 제1,2지지대는 지면에 대칭 형태로 깔려 있도록 하고, 제3,4지지대는 지붕을 형성하기 위하여 "V"의 형태로 펼쳐져 있도록 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2,3,4지지대에 고정되는 방충망;을 포함하고;
    상기 제1,2,3,4지지대는 각각 단일한 막대 형태가 될 수 있도록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모기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지지대는 각각 3개의 단위막대로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단위막대는 "L" 형태의 소켓에 의해 직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모기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지지대는 각각 튜브 형태의 외피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방충망은 상기 외피에 재봉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모기장.
  4. 제1항에 있어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2,3,4지지대의 한쪽 세로봉과 다른 쪽 세로봉은 각각 한점을 향해 모이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모기장.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 끼워지는 상기 단위막대 끝에는 고무나 우레탄 소재로 된 캡이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모기장.
KR2020200003202U 2020-09-03 2020-09-03 접이식 모기장 KR200495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02U KR200495709Y1 (ko) 2020-09-03 2020-09-03 접이식 모기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02U KR200495709Y1 (ko) 2020-09-03 2020-09-03 접이식 모기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80U true KR20220000580U (ko) 2022-03-11
KR200495709Y1 KR200495709Y1 (ko) 2022-07-29

Family

ID=8081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202U KR200495709Y1 (ko) 2020-09-03 2020-09-03 접이식 모기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0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76815Y (zh) * 1999-06-05 2000-05-10 吴建光 活动蚊帐
KR20090038190A (ko) 2007-10-15 2009-04-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090011558U (ko) * 2008-05-09 2009-11-12 윤제영 유아용 모기장
KR20160006839A (ko) 2014-07-09 2016-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76815Y (zh) * 1999-06-05 2000-05-10 吴建光 活动蚊帐
KR20090038190A (ko) 2007-10-15 2009-04-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090011558U (ko) * 2008-05-09 2009-11-12 윤제영 유아용 모기장
KR20160006839A (ko) 2014-07-09 2016-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709Y1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5261A (en) Tent
US5816278A (en) Collapsible tent
US8087423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protection against the sun
US9066512B2 (en) Collapsible hunting blind
US7552739B2 (en) Collapsible structure
US7708339B2 (en) Canopy frame particularly applicable to deck chairs, garden chairs, beach chairs and the like
US20120006370A1 (en) Structure and Assembly for Forming an Open-Air Insect-Protected Enclosed Space
US6014982A (en) Pyramidal tent-like structure
US6530844B2 (en) Ball barrier assembly
US4478234A (en) Collapsible frame for portable shelters
WO1994019980A1 (en) Extended umbrella canopy
US5662134A (en) Tent apparatus
KR200495709Y1 (ko) 접이식 모기장
JP4707930B2 (ja) 折り畳み式テント
CN215212674U (zh) 一种天幕帐篷
US20150184417A1 (en) Tent Frame
US7010819B2 (en) Universal hammock support
KR20130057349A (ko) 절첩식 통발
KR101889830B1 (ko)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KR20090009920U (ko) 접힘과 펼침이 자유로운 모기장
KR200443575Y1 (ko) 천장 고정형 모기장
KR200471269Y1 (ko) 파라솔
CN209732372U (zh) 洞穴型蝙蝠捕捉器
CN210105460U (zh) 帐篷骨架及帐篷
EP1087078A1 (en) A structure of an easy setup 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